KR20190142175A -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175A
KR20190142175A KR1020180069760A KR20180069760A KR20190142175A KR 20190142175 A KR20190142175 A KR 20190142175A KR 1020180069760 A KR1020180069760 A KR 1020180069760A KR 20180069760 A KR20180069760 A KR 20180069760A KR 20190142175 A KR20190142175 A KR 20190142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ter tank
main body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691B1 (ko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김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건 filed Critical 김영건
Priority to KR1020180069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6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물이 유동되는 수조내에 배치되어 물고기 배설물과 먹이 잔여물로 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있어서, 수조내에 배치되는 본체(1)는 원통형태로 된 원통체(11)와, 상기 원통체(11)의 저면측에 고정되어 수조 바닥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받침부(3) 및 본체(1)의 상부를 기포와 물의 유동을 허용하는 덮개부(4)를 포함하며, 중앙부에 관형의 가이드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저면의 하측에 폭기장치가 배치되는 돔 형태로 된 돔가이드부(12)가 상기 원통체(11)의 하부에서 돔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의 하부들에 의해 골 형태로 포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조내에 배치되어 부유되는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되므로 무동력을 쉽게 물고기 배설물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고,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여 이물질 포집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포집장치를 수조에서 빼내어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수조내의 물의 오염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수조 물관리의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Device For Capturing Impurity In The Aquarium}
본 발명은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항과 같은 수조에서 물고기들의 배설물과 같은 이물질을 무동력으로 간편하게 포집하여 제거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수조용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취미생활로 실내에서 수조(어항)을 설치하여 관상어류를 기르는 가정이 많으며, 실내에 수조를 설치하는 것은 취미생활과 더불어 실내 습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좋은 점이 있다. 주기적으로 어항 청소와 불순물을 배출시켜 주어야 물고기들이 살아가는데 좋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수조의 관리는 수조내의 어류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만들어주기 위해 필수적이다.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어항 관리방법으로서, 어항내의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물갈이와 함께, 스포이드, 사이펀 등을 이용하여 바닥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호수 출수구를 입수구보다 낮게 하여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 물과 같이 불순과 유해물질(암모니아, 질산염, 아질산염, 질소가스 등)을 배출하여 어항 내부 물을 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물갈이와 같은 기존의 어항 물갈이 방식은 사람이 직접 물갈이를 실시하는 것으로 많은 노동력이 들어가므로 사용자의 불편이 많으며, 스포이드나 사이펀을 이용하여 물갈이를 할 경우, 어항 내에 있는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있는 이물질에 스포이드나 사이펀이 닿지않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스포이드를 이용시에는 스포이드를 일일이 여러 번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함게, 사이펀을 사용시에는 사이펀의 압력에 의해 생물들이 다치거나 어항 내 구조물들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감소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6-0009015호(1996년10월14일 공고)에는 양측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측 가장자리에는 물이 흡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의 상측에 에어 펌프(P)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제1 에어 호스(H)로 연결된 에어 정류 파이프가 제공됨과 아울러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마개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의 하측단에 공기 정류 파이프와 제2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 토출 파이프를 보유하는 하부 마개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어 에어 토출 파이프로 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수조에 채워진 물을 순환시켜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을 포함하고, 가속 파이프와 공간부에 바이오 휠터가 제공된 수조용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정화장치는 물고기의 배설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일정 기간 교체해야 하므로 필터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필터 교체 시기를 쉽게 알기 어려워 교체 시기를 지나치는 경우에는 배설물이 부패되어 수조내의 물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6-0009015호(1996년10월14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수조의 이물질 제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조내에서 부유되는 이물질을 무동력으로 필터 없이 포집하고, 이물질의 포집 상태를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어 포집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물이 유동되는 수조내에 배치되어 물고기 배설물과 먹이 잔여물로 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있어서,
수조내에 배치되는 본체는 원통형태로 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저면측에 고정되어 수조 바닥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받침부 및 본체의 상부를 기포와 물의 유동을 허용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중앙부에 관형의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고 저면의 하측에 폭기장치가 배치되는 돔 형태로 된 돔가이드부가 상기 원통체의 하부에서 돔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체와 돔가이드부의 하부들에 의해 형성된 골 형태로 포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체와 돔가이드부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는 원통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그 연결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가 물과 함께 유동하는 동안, 상기 받침부의 지지부들에 의해 본체가 수조 저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본체 외측의 수조내의 물이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된 돔가이드부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기포와 함께 가이드부을 통해 배출되어 수조내에서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에는 본체가 수조내에서 유지되도록 중량체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한 요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에는 돔가이드부의 저면 하측에 제공된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로 유동하도록 개구부들이 덮개의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 복수개소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원통체와 돔가이드부 상면 사이에 이물질 포집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된 다공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공판은 다수의 경사면들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경사면들로 형성되는 골부분에 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본 발명에 의한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수조내에 배치되어 부유되는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되므로 무동력을 쉽게 물고기 배설물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고,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여 이물질 포집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어 포집장치를 수조에서 빼내어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수조내의 물의 오염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수조 물관리의 수고를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포집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포집장치의 돔가이드부 상면에 이물질 포집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다공판이 배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다공판의 변형예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수조내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저면측에 고정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부(3) 및 덮개부(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는 원통체(11)의 내측에 돔 형태로 돌출된 돔가이드부(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돔가이드부(12)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부(1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본체(1)의 원통체(11) 내측면과 돔가이드부(12)의 둥글게 만곡된 외측면에 의해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의 하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골에 의해 포집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는 아크릴과 같이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3)는 상기 본체의 원통체(11)의 저면에 예를들어 스크류나 보스와 홈의 결합구조와 같이 통상적인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연결부(31)와, 그 연결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를 지지하는 지지부(33)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3)들 각각의 상면에는 오목한 요홈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35)에는 본체(1)와 받침부(3)가 수조내에 가라앉아 있도록 수조 바닥에 배치되는 자갈과 같은 중량체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부(33)는 요홈부(35)가 상면에 형성되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4개소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각형이나 다른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의 원통체(11)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돔가이드부(12)의 하측에는 통상적으로 수조내에 제공되는 폭기장치가 배치되어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들이 돔가이드부(12)의 만곡된 저면과 가이드부(13)를 통해 수조내로 유동된다.
상기 덮개부(4)는 상기한 돔가이드부(12)의 저면 하측에 제공된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가이드부(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로 유동하도록 개구부(41)들이 덮개의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 복수개소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돔가이드부(12) 저면측에서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가 물과 함께 유동하며, 이때, 상기 받침부(3)의 지지부(33)들에 의해 본체(1)가 수조 저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본체 외측의 수조내의 물이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된 돔가이드부(12)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기포와 함께 가이드부(13)을 통해 배출되어 수조내에서 순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 상면 사이에 이물질 포집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다수의 홀(51)이 형성된 다공판(5)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판(5)의 홀(51)을 통해 낙하된 이물질은 기포에 의한 물의 유동에도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 사이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지 않고 갇히게 되므로 이물질 포집 효율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조로, 도 5에 도시된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포집장치를 수조내에 배치하고, 수조 바닥에 배치되는 자갈을 지지부(33)의 요홈부(35)에 담아 포집장치를 고정시키며, 돔가이드부(12)의 저면측에서 폭기장치(100)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키면, 그 발생된 기포가 물과 함께 돔가이드부(12)가이드부(13)을 통해 덮개부(4)의 저면측에서 유동하면서 기포와 물이 덮개부의 개구부(41)를 통해 수조 표면을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상기 돔가이드(12) 저면측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유동으로 본체(1) 외측의 물이 돔가이드부(12) 저면측으로 부터 가이드부(13)을 통해 유동하면서, 수조내에서 물고기의 배설물과 물고기 먹이의 잔여물인 이물질도 함께 유동하게 되며, 상기 돔가이드부(12)를 통해 배출되어 덮개부(4)의 개구부(41)를 통해 빠져 나가는 동안 잠시 정체되며, 이때 물에 포함된 이물질들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 사이의 하부로 낙하되어 쌓이게 됨으로써 수조내의 이물질이 포집된다.
상기한 기포와 물의 유동 과정에서 덮개부(4)의 개구부(41)를 통해 기포가 확산되면서 물이 유동하게 됨에 따라 기포의 체류 시간이 연장되어 수조내 물에 기포의 산소가 녹을 수 있는 시간이 연장되므로 물의 용존 산소량이 증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폭기장치가 작동하는 한,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수조내의 물이 유동하여 순환되며, 이 과정에서 수조내의 물에 포함된 배설물과 먹이 잔여부분들이 본체의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 상면의 하부에 형성되는 골에 포집되므로, 별도의 이물질 포집을 위한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고,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수조 외부에서도 이물질 포집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이물질이 부패하여 수조내의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수조내에서 포집장치를 꺼내어 이물질을 비우고 다시 폭기장치 위에 배치함으로써, 수조내의 물의 교체 시기가 연장되므로 물관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변형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판(5')은 다수의 경사면(52')들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경사면(52')들로 형성되는 골부분에 홀(51')들을 형성하여 다공판의 상면에서 이물질이 유동하여 홀(51')들을 통해 포집되며, 또한 포집된 이물질이 다공판 상측의 기포에 의한 물의 유동에 의해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은 수조내에서 물고기들의 배설물과 먹이 잔여분들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쉽게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이물질이 부패되어 물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관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본체 3 : 받침부
4 : 덮개부 5, 5' : 다공판
11 : 원통체 12 : 돔가이드부
13 : 가이드부 31 ; 연결부
33 : 지지부 35 : 요홈부
41 : 개구부 51, 51' : 홀
52' : 경사면 100 : 폭기장치

Claims (7)

  1.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물이 유동되는 수조내에 배치되어 물고기 배설물과 먹이 잔여물로 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있어서,
    수조내에 배치되는 본체(1)는 원통형태로 된 원통체(11)와, 상기 원통체(11)의 저면측에 고정되어 수조 바닥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받침부(3) 및 본체(1)의 상부를 기포와 물의 유동을 허용하는 덮개부(4)를 포함하며,
    중앙부에 관형의 가이드부(13)가 돌출 형성되고 저면의 하측에 폭기장치가 배치되는 돔 형태로 된 돔가이드부(12)가 상기 원통체(11)의 하부에서 돔형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의 하부들에 의해 골 형태로 포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는 상기 본체의 원통체(11)의 저면에 결합되는 연결부(31)와, 그 연결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를 지지하는 지지부(33)들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가 물과 함께 유동하는 동안, 상기 받침부(3)의 지지부(33)들에 의해 본체(1)가 수조 저면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본체 외측의 수조내의 물이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된 돔가이드부(12)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어 기포와 함께 가이드부(13)을 통해 배출되어 수조내에서 순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3)에는 본체(1)가 수조내에서 유지되도록 중량체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한 요홈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에는 돔가이드부(12)의 저면 하측에 제공된 폭기장치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가이드부(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부로 유동하도록 개구부(41)들이 덮개의 연결부에 인접한 위치에 복수개소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6. 제 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원통체(11)와 돔가이드부(12) 상면 사이에 이물질 포집을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다수의 홀(51, 51')이 형성된 다공판(5, 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5')은 다수의 경사면(52')들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경사면(52')들로 된 골부분에 홀(51')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20180069760A 2018-06-15 2018-06-15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214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60A KR102149691B1 (ko) 2018-06-15 2018-06-15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760A KR102149691B1 (ko) 2018-06-15 2018-06-15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175A true KR20190142175A (ko) 2019-12-26
KR102149691B1 KR102149691B1 (ko) 2020-09-01

Family

ID=6910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760A KR102149691B1 (ko) 2018-06-15 2018-06-15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32B1 (ko) *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07U (ko) * 1989-08-18 1991-03-18 김시명 수족관의 용수 정화장치
JPH089832A (ja) * 1994-06-27 1996-01-16 Yoji Nagano 濾過装置
KR960009015A (ko) 1994-08-24 1996-03-22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20050051166A (ko) * 2003-11-27 2005-06-01 최규정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JP2006217822A (ja) * 2005-02-08 2006-08-24 Kumamoto Univ 魚介類の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
KR100907912B1 (ko) * 2009-03-23 2009-07-16 이옥주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07U (ko) * 1989-08-18 1991-03-18 김시명 수족관의 용수 정화장치
KR910003982Y1 (ko) * 1989-08-18 1991-06-10 김시명 수족관의 용수 정화장치
JPH089832A (ja) * 1994-06-27 1996-01-16 Yoji Nagano 濾過装置
KR960009015A (ko) 1994-08-24 1996-03-22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20050051166A (ko) * 2003-11-27 2005-06-01 최규정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JP2006217822A (ja) * 2005-02-08 2006-08-24 Kumamoto Univ 魚介類の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
KR100907912B1 (ko) * 2009-03-23 2009-07-16 이옥주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691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799B1 (ko) 여과기능을 갖는 수족관
US6659043B1 (en) Aquarium water circulation system
US4921614A (en) Aquarium cleaning and filtering system and method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404144B1 (ko)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WO2023038263A1 (ko)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160115291A (ko)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EP2328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KR20190142175A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KR102190367B1 (ko) 해수 정화장치
KR20100047777A (ko) 활어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JP2007222700A (ja) し尿浄化システム
KR100564147B1 (ko) 해수의 정수 및 살균장치
CN109566523B (zh) 鱼池过滤装置及方法
KR100530716B1 (ko)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KR102237734B1 (ko)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KR20110033580A (ko) 자연생태정원용 수질 정화장치
KR101119152B1 (ko) 활어 수조용 정수기
JP2010184205A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とその排液処理装置
JPH01236987A (ja) 表層水集水装置
KR20120118177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