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71B1 -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71B1
KR101835271B1 KR1020170070838A KR20170070838A KR101835271B1 KR 101835271 B1 KR101835271 B1 KR 101835271B1 KR 1020170070838 A KR1020170070838 A KR 1020170070838A KR 20170070838 A KR20170070838 A KR 20170070838A KR 101835271 B1 KR101835271 B1 KR 101835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sewage
water
tank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안남우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경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경주시 filed Critical 경상북도 경주시
Priority to KR102017007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271B1/ko
Priority to CN201790000725.8U priority patent/CN209396964U/zh
Priority to PCT/KR2017/006750 priority patent/WO2018225890A1/ko
Priority to BR112018072102-6A priority patent/BR112018072102B1/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수가 공급되는 하수유입구(6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오존처리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배출구(613)가 형성된 처리수조(610); 상기 처리수조(610)의 타측에 연결되어 하수를 공급받으며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된 하수에 용해시켜 배출하는 오존발생기(62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620)에 연결되어 오존수가 공급되는 오존수유입구(6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접촉조(633a 내지 633c)로 구획하고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634)이 형성된 격벽부(6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조(610)의 일측과 처리수공급관(640)으로 연결되어 오존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조(610)에 공급하는 처리수배출구(635)가 형성된 오존반응조(630);를 포함하는 오존처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OZONE TREATMENT SYSTEM AND, WATER TREAT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하수와 오존을 반응시켜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BOD, 세균, 냄새 및 색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화처리할 수 있는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은 하수와 접촉시 하수에 포함된 대장균을 살균하거나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하수정화처리 시설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하수가 유입되는 챔버의 내부로 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주입하여 하수와 오존을 반응시켜 오염된 하수가 정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이나 BOD는 오존이 과포화된 고농도 상태에서 쉽게 제거되고 세균, 냄새 및 색도 제거는 오존이 상대적으로 적은 저농도 상태에서 제거되나, 종래의 오존처리장치는 하나의 챔버 내에서 오존반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의 오존농도를 고농도에 맞출 경우 세균이나 냄새, 색도 제거의 효과가 저하되고 반대로 오존농도를 저농도에 맞출 경우 유기물질이나 BOD의 제거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에, 오존농도가 상이한 챔버를 여러 대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시설비용과 설비규모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오존반응에 사용된 오존은 다른 용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되어 폐기되기 때문에 오존발생기에서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오존을 생성해야 하고 오존폐기시설물의 부하가 꾸준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44604호(2015.08.07),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재활용하는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반응조 내에 오존이 과포화된 고농도 접촉공간과 오존이 상대적으로 적은 저농도 접촉공간을 각각 조성하여 오존반응에 의한 하수의 정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오존반응에 사용된 오존을 폭기에 필요한 기포생성에 활용하여 오존생성량과 오존폐기시설물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존처리장치는,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수가 공급되는 하수유입구(6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오존처리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배출구(613)가 형성된 처리수조(610); 상기 처리수조(610)의 타측에 연결되어 하수를 공급받으며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된 하수에 용해시켜 배출하는 오존발생기(62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620)에 연결되어 오존수가 공급되는 오존수유입구(6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접촉조(633a 내지 633c)로 구획하고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634)이 형성된 격벽부(6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조(610)의 일측과 처리수공급관(640)으로 연결되어 오존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조(610)에 공급하는 처리수배출구(635)가 형성된 오존반응조(6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존반응조(630)는, 상기 격벽부(632)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면서 하부에는 오존이 과포화되어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및 BOD를 제거하기 위한 고농도접촉조(633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보다 상대적으로 오존이 적게 용해되어 하수에 포함된 세균, 냄새 및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저농도접촉조(633b)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632)는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하부격벽(614a) 및 상부격벽(614b)이 구비되어,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와 저농도접촉조(633b) 사이에 두 접촉조(633a,633b)의 오존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농도구획조(633c)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수조(610)는 내부공간 내에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하부격벽(614a)과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상부격벽(614b)이 하부와 상부에 교호로 배치되면서 오존수와 하수를 혼합하기 위한 복수의 혼합조(6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수조(610)는, 상기 복수의 혼합조(615) 중 하수유동 방향의 최말단 혼합조(615)의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폭기부(6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말단 혼합조(615)는 상기 폭기부(616)로부터 공급되는 기포에 의해 처리수에 포함된 오존을 탈기하기 위한 폭기조로 기능하며, 상부에는 탈기된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가스배출관(617)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반응조(630)의 상단에는 내부의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가스배출관(637)이 형성되고, 상기 폭기부(616)는 상기 제1가스배출관(617)과 제2가스배출관(637) 중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최말단 혼합조(615)에 주입하기 위한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수밀한 내부공간(211)이 형성되고 하수유입구(212)와 하수배출구(213)가 각각 마련된 제1응집챔버(210)와, 상기 내부공간(2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직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응집제를 내부공간으로 배출하는 응집제배출구(221)가 형성된 회전축(220) 및, 상기 회전축(220)의 둘레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며 와류를 형성하는 교반날개부(230)를 포함하는 고속응집장치(20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에서 배출된 하수가 공급되는 하수유입구(6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오존처리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배출구(613)가 형성된 처리수조(610)와, 상기 처리수조(610)의 타측에 연결되어 하수를 공급받으며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된 하수에 용해시켜 배출하는 오존발생기(62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620)에 연결되어 오존수가 공급되는 오존수유입구(6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접촉조(633a 내지 633c)로 구획하고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634)이 형성된 격벽부(6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조(610)의 일측과 처리수공급관(640)으로 연결되어 오존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조(610)에 공급하는 처리수배출구(635)가 형성된 오존반응조(630)를 포함하는 오존처리장치(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의 하수배출구와 연결된 하수유입구(3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수배출구(312)가 형성된 제2응집챔버(310)와, 상기 제2응집챔버(3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응집조(321)로 구획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322)이 형성된 격벽(320) 및, 각 연통공(322)의 하부 위치에 수평배치된 난류방지판(330)을 포함하는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의 하수배출구(312)와 연결된 하수유입구(4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처리수배출구(413)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하부격벽(414)과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상부격벽(415)이 하부와 상부에 교호로 배치되면서 복수의 버블반응조(416)를 형성하는 반응챔버(410) 및,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의 미세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버블생성기(420)를 포함하는 스컴스키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오존반응이 이루어지는 오존반응조(630)의 경우, 내부에 배치된 격벽부(632)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면서 하부에는 오존이 과포화되어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및 BOD를 제거하기 위한 고농도접촉조(633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보다 상대적으로 오존이 적게 용해되어 하수에 포함된 세균, 냄새 및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저농도접촉조(633b)가 형성되므로 오존반응에 의한 하수의 정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시스템 구축비용과 설비의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격벽부(632)는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하부격벽(614a) 및 상부격벽(614b)이 구비되어,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와 저농도접촉조(633b) 사이에 두 접촉조(633a,633b)의 오존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농도구획조(633c)가 형성되므로, 고농도접촉조(633a)에서 배출된 고농도 오존의 하수가 저농도접촉조(633b)로 바로 유입되어 저농도접촉조(633b)의 오존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하수와 상기 오존반응조(630)로부터 오존처리된 하수를 수조 내부에 각각 공급받아 혼합되도록 하는 처리수조(610)의 경우, 내부공간 내에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하부격벽(614a)과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상부격벽(614b)이 하부와 상부에 교호로 배치되면서 오존수와 하수를 혼합하는 복수의 혼합조(615)를 형성하므로 오존과 하수가 반응하는 정체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각 격벽(614a,614b)을 통과하면서 상하로 유동하며 이송되므로 오존수와 하수의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상기 복수의 혼합조(615) 중 하수유동 방향의 최말단 혼합조(615)는 폭기부(616)로부터 공급되는 기포에 의해 처리수에 포함된 오존을 탈기하기 위한 폭기조로 기능하며 상부에는 탈기된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가스배출관(617)이 마련되므로 처리수에 오존이 함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반응조(630)의 상단에는 내부의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가스배출관(637)이 형성되고, 상기 폭기부(616)는 상기 제1가스배출관(617)과 제2가스배출관(637) 중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최말단 혼합조(615)에 주입하기 위한 기포를 형성하여 기존에 버려지는 오존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오존생성량과 오존폐기시설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응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플럭응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컴스키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스트레이너가 교대로 이용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몇가지 용어들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하수'는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로서, 하수월류수(CSO)를 포함하여, 녹조(Water-Bloom), 생하수, 공장폐수, 침출수, 분뇨 및, 축산폐수 등의 정화처리 대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은 우수에 다량으로 포함된 협잡물 뿐만 아니라, 화학적 슬러지, 고농도 유기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응집(Coagulation)'은 부유물질이 상호간의 접촉에 의해 엉키어 큰 덩어리를 이루는 현상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보다 큰 덩어리로 응집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응결(Flocculation)'의 의미와 구분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기재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오존처리장치(600), 고속응집장치(200),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 및 스컴스키머(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오존처리장치(600)는 하나의 반응조 내에 오존이 과포화된 고농도 접촉공간과 오존이 상대적으로 적은 저농도 접촉공간을 각각 조성하여 오존반응에 의한 하수의 정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하수 정화처리 장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조(610), 오존발생기(620) 및 오존반응조(630)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수조(610)는 오존반응조(630)에서 오존이 용해된 하수인 오존수와 전단에 배치된 스컴스키머(400)로부터 배출된 하수를 혼합하기 위한 저장탱크로서,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스컴스키머(400)의 하수배출구(413)와 관로로 연결되어 하수가 공급되는 하수유입구(6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오존처리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배출구(6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 내에는 상기 하수유입구(612)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하수를 내부공간에 고르게 주입하기 위한 하수공급관(611)이 배치되며 상기 하수공급관(611)의 단부에는 내부공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노즐과 연통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하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수조(610)의 일측에는 오존반응조(630)로부터 배출되는 오존수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처리수 유입구(619)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내부에 공급된 하수의 일부를 오존발생기(620)에 공급하기 위한 하수공급구(618)이 형성되며, 상기 하수배출구(613)는 처리수조(610) 상에서 일정높이에 배치되어 설정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는 하수가 월류되면서 후단의 방류조(180)나 UV소독설비(19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처리수조(610) 내에서 하수와 오존수의 정체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수조(610)는 내부공간 내에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하부격벽(614a)과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상부격벽(614b)이 하부와 상부에 교호로 배치되면서 오존수와 하수를 혼합하는 복수의 혼합조(615)를 형성하여, 오존과 하수가 반응하는 정체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각 격벽(614a,614b)을 통과하면서 상하로 유동하며 이송되므로 오존수와 하수의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오존반응조(630)에서 탈기된 오존가스(O3 Gas)는 배관을 통해 버블생성기(420)의 공기유량계에 연결되어 잔존오존을 재사용함으로써 처리효율을 높이고 잔존오존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조(610)는 상기 복수의 혼합조(615) 중 하수유동 방향의 최말단 혼합조(615)의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폭기부(Bubble Generator,616)가 구비되어, 상기 최말단 혼합조(615)는 폭기부(616)로부터 공급되는 기포에 의해 처리수에 포함된 오존을 탈기하기 위한 폭기조로 기능하며, 처리수조(610)의 상부에는 탈기된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가스배출관(617)이 구비된다. 이러한 폭기부(616)와 폭기조에 의한 폭기작용으로 주입된 기포에 의해 하수에 용해된 오존이 탈기처리되어 제1가스배출관(617)를 통해 배출할 수 있으므로 처리수에 오존이 함유되어 인체에 유해작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오존반응조(630)의 상단에는 내부의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가스배출관(637)이 형성되고, 상기 폭기부(616)는 상기 제1가스배출관(617)과 제2가스배출관(637) 중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최말단 혼합조(615)에 주입하기 위한 기포를 형성하여 기존에 버려지는 오존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오존생성량과 오존폐기시설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오존발생기(Ozonizer,620)는 오존반응에 필요한 오존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상기 처리수조(610)의 타측에 마련된 하수공급구(618)에 연결되어 처리수조(610) 내부의 하수를 공급받으며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된 하수에 용해시켜 오존반응조(630)측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하수공급구(618)와 오존발생기(620) 사이에는 순환공급되는 하수에 유동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펌프(650)부가 구비되며, 상기 순환펌프부(6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순환펌프로 이루어져 동일한 공급라인에 분기되도록 연결되어 하나의 순환펌프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순환펌프를 동작시켜 하수처리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반응조(630)는 공급된 하수와 오존을 접촉시켜 오존반응에 의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조로서,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620)에 연결되어 오존수가 공급되는 오존수유입구(6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수평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접촉조(633a 내지 633c)로 구획하고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634)이 중앙에 형성된 격벽부(6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조(610)의 일측과 처리수공급관(640)으로 연결되어 오존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조(610)에 공급하는 처리수배출구(63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존반응조(630)는, 상기 격벽부(632)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면서 하부에는 오존이 과포화되어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및 BOD를 제거하기 위한 고농도접촉조(633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보다 상대적으로 오존이 적게 용해되어 하수에 포함된 세균, 냄새 및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저농도접촉조(63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부(632)는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하부격벽(614a) 및 상부격벽(614b)이 구비되어,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와 저농도접촉조(633b) 사이에 두 접촉조(633a,633b)의 오존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농도구획조(633c)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와 저농도접촉조(633b)가 상하로 밀착배치되는 경우 연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고농도의 오존수가 저농도접촉조(633b)의 오존농도가 적정치보다 급격하게 높아질 수 있으며 농도차에 의해 고농도접촉조(633a)의 상부부분에 위치하는 오존수의 농도가 적정치보다 작아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농도구획조(633c)가 고농도접촉조(633a)와 저농도접촉조(633b) 사이에 배치되어 급격한 농도변화를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고농도접촉조(633a)와 저농도접촉조(633b)는 각각 적절치의 오존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농도접촉조(633b)에 배치되는 처리수배출구(635)는 오존반응조(630) 내에서 일정높이에 배치되어 설정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는 처리수가 월류되면서 처리수공급관(640)을 통해 처리수조(610)의 처리수 유입구(619)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오존반응조(630) 내에서 오존과 하수가 반응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수배출구(613)는 처리수조(610) 상에서 일정높이에 배치되어 설정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는 하수가 월류되면서 후단의 방류조(180)나 UV소독설비(19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존처리장치(6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오존반응이 이루어지는 오존반응조(630)의 경우, 내부에 배치된 격벽부(632)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면서 하부에는 오존이 과포화되어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및 BOD를 제거하기 위한 고농도접촉조(633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보다 상대적으로 오존이 적게 용해되어 하수에 포함된 세균, 냄새 및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저농도접촉조(633b)가 형성되므로 오존반응에 의한 하수의 정화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시스템 구축비용과 설비의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속응집장치(200)는 급속교반조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유입된 하수를 제1응집챔버(210) 내에서 선회와류시킴으로써 상기 응집제를 완전하게 용해시켜 단시간 내에 용해된 응집제와 하수의 부유물질 간의 응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화장치이다.
상기 고속응집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110)의 후단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한 내부공간(211)이 형성되고 하수유입구(212)와 하수배출구(213)가 각각 마련된 제1응집챔버(210)와, 상기 내부공간(2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직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응집제를 내부공간으로 배출하는 응집제배출구(221)가 형성된 회전축(220) 및, 상기 회전축(220)의 둘레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며 와류를 형성하는 교반날개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응집챔버(210)는 유입된 하수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내부가 밀폐된 탱크 타입으로 형성되며 서스(SUS) 등과 같이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응집챔버(210)의 하부로 유입된 하수는 교반날개부(230)에 의해 챔버 내에서 선회와류되며 동시에 응집제배출구(221)를 통해 응집제가 공급되고 그 과정에서 용해된 응집제에 의해 응집된 부유물질이 하수와 함께 하수배출구(213)로 배출되며, 상기 하수유입구(212)로 유입되는 하수에는 보조응집제가 혼합된 형태로 투입되어 응집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축(220)은 유입된 하수 및 응집제를 선회와류시키는 교반날개부(230)를 제2응집챔버(210) 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축부로서, 내부에는 공급된 응집제를 상기 응집제배출구(221)까지 이송하기 위한 응집제이송관(222)이 상하로 연장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20)은 제1응집챔버(210)의 상단에 베어링 등의 회전수단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일측에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28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80)는 도시되지 않은 인버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버터를 통해 구동전원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회전축(22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부(230)는 제1응집챔버(210) 내에서 회전축(220)의 상부 위치에서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1교반날개(231) 및 상기 회전축(220) 상에서 제1교반날개(231)의 하부위치에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제2교반날개(232)를 포함하며, 각 교반날개(231,232)에는 측방 개구된 통공(232,234)이 형성되어, 각 교반날개별(231,232)별로 유입된 하수를 가압하는 부분(날개 부분)과 가압되지 않는 부분(통공 부분)으로 구분됨으로써 교반날개부(230)의 회전에 따른 와류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속응집장치(200)는 직립배치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응집챔버(210)의 내벽에 일측이 고정장착되고 제1응집챔버(210)의 내벽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된 수류방해판(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류방해판(240)은 교반날개부(230)의 회전에 따라 제1응집챔버(210) 내에서 함께 회전하는 하수와 마찰하여 선회와류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와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응집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의 하수유입구(212)는 일단이 유량조정조(110)에 연결되는 하수공급관(250)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고속응집장치(200)는 상기 하수공급관 또는 하수유입구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하수의 농도를 측정하는 하수센서(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수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중앙제어하는 제어부(500)는 상기 하수센서(2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에 공급되는 응집제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부유물질을 응집하는데 필요한 적절량의 응집제를 투입가능하면서도 응집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속응집장치(200)는 상기 회전축(2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20)의 내부에 상하로 연장형성된 응집제이송관(222)의 상단에 응집제를 공급하기 위한 로터리조인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발생시 해당 부분품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의 전단에는 유량조정조(110)와 응집제탱크(120)가 각각 배치되어 정화대상인 하수와 이 하수를 응집시키는데 필요한 응집제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응집제 공급라인에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응집제펌프(121)가 배치되어 고속응집장치(200)으로 공급되는 응집제의 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는 종래의 기계식 완속교반조의 기능을 대신하기 위한 정화장치로서, 제2응집챔버(310)의 내부를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응집조(321)로 구획하고 각 응집조(321)의 하수가 낙차에 의해 하부에 배치된 인접 응집조(32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순환수류가 생성되는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교반동력없이 무동력으로 하수에 포함된 미세한 부유물질이 수류에 의해 내부에서 순환하며 상호간에 접촉하여 일정크기로 응집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의 하수배출구와 연결된 하수유입구(3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수배출구(312)가 형성된 제2응집챔버(310)와, 상기 제2응집챔버(3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응집조(321)로 구획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322)이 형성된 격벽(320) 및, 각 연통공(322)의 하부 위치에 수평배치된 난류방지판(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응집챔버(310)는 유입된 하수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탱크 타입으로 형성되며 서스 등과 같이 내식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에는 2개의 격벽(320)에 의해 3개의 응집조(321)가 챔버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격벽(320)이 배치되어 2개나 4개 이상의 응집조(3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2응집챔버(310)의 상단에 배치된 하수유입구(311)로 유입된 하수는 첫번째 격벽(320)에 의해 구획된 첫번째 응집조(321)로 유입되고 유입된 하수는 연통공(322)을 통해 두번째 응집조(321)로 배출되며, 두번째 응집조(321)에 유입된 하수는 연통공(322)을 통해 세번째 응집조(321)로 배출되고 최종적으로 제2응집챔버(310)의 하단에 형성된 하수배출구(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부에서 하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다단 응집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하수유입구(311) 또는 연통공(322)을 통해 각 응집조의 상부로 유입된 하수는 중앙부의 위치에서 낙차에 의해 하부방향을 향하는 낙하수류를 형성하게 되며, 낙하하면서 각 응집조(321)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하수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동하면서 응집조(321)의 내측벽면과 접촉되어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상승수류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각 응집조(321)의 내부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순환수류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은 첫번째 응집조(321)에서 생성된 순환수류에 의해 함께 순환하면서 상호 접촉되어 유입될 때의 크기보다 큰 덩어리 형태를 갖도록 응집될 수 있으며, 응집된 상태의 부유물질은 두번째 응집조(321) 및 세번째 응집조(321)를 거치면서 그 크기가 더욱 커지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난류방지판(330)의 단부둘레에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331)가 형성되어, 유입된 하수가 난류방지판(330) 상에서 정체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낙차폭을 증대시켜 응집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20)의 단부 둘레에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형태로 경사진 경사면(323)이 형성되거나, 상기 격벽(320)이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경사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격벽(320)의 상부면에 슬러지가 정체되지 않고 연통공(322)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응집챔버(310)의 상부에는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관(340)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응집챔버(310)의 내부압력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압력조절관(340)을 구동제어하여 상기 설정치가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하수배출구(312)와 스컴스키머(400)의 하수유입구(412) 사이에는 하수배출관(360)이 연결되며, 상기 하수배출관(360)은 상기 하부배출구(312)에서 배출되는 하수의 배출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만곡하게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됨으로써 하수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되면서 하수배출관(360)의 내벽과 부딪혀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의 응집된 상태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수유입구(412)에는 유입된 하수를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419)이 장착되고 도면에는 하나의 분사노즐(419)이 도시되었으나 복수 개의 분사노즐(419)이 버블반응조(416)의 폭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각 분사노즐(419)은 상기 하수유입구(412)와 분기관으로 각각 연결되어 버블반응조(416)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수를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컴스키머(400)는 하부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다단으로 설치된 격벽구조를 통해 단계별로 일시적인 버블의 유출을 제한하여 포화된 버블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부상된 부유물질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정화처리가 가능함은 물론 처리수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부유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컴스키머(400)는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의 하수배출구(312)와 연결된 하수유입구(4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처리수배출구(413)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하부격벽(414)과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상부격벽(415)이 하부와 상부에 교호로 배치되면서 복수의 버블반응조(416)를 형성하는 반응챔버(410) 및,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의 미세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버블생성기(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반응챔버(410)는 하수와 미세버블이 내부로 공급되면서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부상시켜 제거하기 위한 반응공간을 제공하는 챔버로서, 부상분리가 이루어지는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하수유입구(412)로는 상기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로부터 배출된 하수가 내부공간으로 공급되고 정화된 하수는 타측에 배치된 처리수배출구(4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면에는 세 개의 하부격벽(414)와 세 개의 상부격벽(415)이 반응챔버(410) 내에서 하수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교대로 배치되는 격벽구조에 의해 세 개의 버블반응조(416)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의 농도 및 미세버블 공급량에 따른 정화효율을 고려하여 두 개의 버블반응조 또는 네 개 이상의 버블반응조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수의 효율적인 정화를 위해 유입펌프를 인버터 제어하여 정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하수의 정량유입 및 응집제의 정량투입으로 처리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응집극대화로 부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불어, 하수유입구(412)를 통해 유입된 하수에는 미세버블에 의해 부상되지 않는 크기의 부유물질이 포함될 수 있는 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크기의 부유물질의 경우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하부에 침전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버블반응조(416)의 하부에는 침전된 침전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418)가 형성되고 각 버블반응조(416)는 상기 배출구(418)로 침전슬러지가 유동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슬러지의 원활한 제거를 위해 배출구(418)를 중심으로 양측에 45도 이상 경사면을 주어 신속한 슬러지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세버블의 사용은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 번째로 기존의 침전방식(침전시간)보다 체류시간(부상시간)이 짧아 급격한 처리수량의 증가에 대한 대응성이 뛰어나고 설치에 필요한 소요부지 면적이 적으며 침전방식의 경우 침전을 위한 보다 큰 부유물질입자의 형성을 위해 응집제의 사용량이 많은 반면 부상방식의 경우 적은 부유물질 입자 크기로도 충분한 부상효율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세버블에 의한 부상방식은 기존 공기부상방식의 밀리버블 기포크기보다 직경 30이하의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의 미세기포를 사용함으로써 계면흡착현상이 우수하여 부유물질 입자와의 기포 부착빈도가 높아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2mm 크기 이하의 부유물질 입자를 제거할 수 있으며 보다 깨끗한 처리수질을 확보하기 위해 소량의 응집제 사용이 필요함으로 실질적인 응집제 사용량이 침전방식 및 기존 공기부상방식보다 적게 소요된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미세버블의 경우 수중에서의 기포 상승속도가 약 1 내지 3mm/min로써 짧게는 15분 길게는 약 1시간 가량 수중에 머물러 있어 부유물질 입자와의 접촉시간이 길어 부상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세 번째 특징은 미세버블(마이크로버블 또는 나노버블)의 경우 기포 표면적이 넓어 산소용해율이 뛰어나 부상처리 후 잔여 미세버블은 수중에 완전 용해되어 처리수내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농도를 과포화시켜 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처리수가 수계로 흘러갔을 때 수생생태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네 번째 특징으로는 미세버블의 경우 기포의 파쇄(Crushing)효과에 의한 OH*기를 발생시켜 유기물질 제거, 악취제거 및 살균기능을 가지고 있어 처리수 및 부상슬러지내 악취를 저감시켜 주며 대장균을 살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컴스키머(400)는, 상기 반응챔버(4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외부면에는 복수의 스키머(431)가 장착된 회전체인(432)을 회전시켜 상기 미세버블에 의해 각 버블반응조(416)의 상단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긁어내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상슬러지 배출부(4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인(432)은 반응챔버(410)의 양 측에 이격배치되어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스키머(431)를 순환회전시킨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격벽(415)의 상단에는 상향 오목한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키머(431)에 의해 인접된 버블반응조(416)의 상측에서 이송되는 부유물질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라운드부(440)가 배치되어, 스키머(431)에 의해 가압되면서 측방으로 이동하는 부상슬러지가 상부격벽(415)의 뾰족한 상단에 걸려 분해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반응챔버(410)의 일측단 상부에는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반응챔버(410)의 일측단 위치에서 선회하는 스키머(431)와 접촉하여 상기 스키머(431)에 부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및 수분제거부(450)가 배치되어, 슬러지가 표면에 묻은 상태로 이송되어 최후단의 버블반응조(416)에 근접되면서 묻은 슬러지가 가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응챔버(410)의 일측 벽면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상향 돌출형성되어 상기 반응챔버(410)의 일측단 위치에서 선회하는 스키머(431)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스키머(431)에 묻은 수분을 긁어내는 슬러지 및 수분제거부(450)가 배치되어, 슬러지배출구(411)로 불필요하게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농축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배출구(411)의 외측 측벽 상단에는 부상슬러지 배출부(430)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선회하는 스키머(431)의 표면과 접촉하면서 스키머(431)에 묻은 잔여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제거부가 형성되어 잔여슬러지가 버블반응조(416)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부격벽(415) 중 최후단에 배치된 상부격벽(415)의 상단에는 회전체인(432)의 말단위치에서 선회하는 스키머(431)의 선회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상향 연장형성되고 상기 스키머(431)의 선회곡선을 따라 라운드지게 절곡된 슬러지 유출방지웨어(490)가 장착되어, 스키머(431)가 회전체인(432)의 말단에서 선회하면서 스키머(431)에 흡착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처리수배출구(413)측으로 유입되어 하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챔버(410)는 일측에 공급되는 미세버블을 내부공간으로 주입하기 위한 미세버블 유입구(4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각 버블반응조(416)를 통과하고 처리수배출구(413)를 향해 이동하는 처리수의 일부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공급구(424)가 형성되며, 상기 버블생성기(420)는 상기 처리수공급구(424)와 미세버블 유입구(421) 사이에 연결된 처리수이송라인(470) 상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처리수로 미세버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세버블을 미세버블 유입구(421)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스컴스키머(400)는 상기 버블생성기(420)와 처리수공급구(424) 사이의 처리수이송라인(470) 상에 배치되어 버블생성기(420)에 공급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의 스트레이너(460)를 포함하고, 각 스트레이너(460)는 서로 다른 분기라인(471)으로 상기 처리수이송라인(470)에 연결된다.
또한, 각 분리라인(471)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솔밸브(480)가 각각 배치되고, 제어부(500)는 버블생성기(420)에 구비된 압력계(422)의 디지털 신호값에 따라 각 솔밸브(480)의 개폐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스트레이너(460) 중 어느 하나의 스트레이너(460)를 이용하는 중에 버블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해당 스트레이너(460)의 솔밸브(480)는 차단되고 다른 하나의 스트레이너(460)의 솔밸브(480)가 개방되어 이물질이 없는 새로운 스트레이너(460)를 통해 미세버블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계(422)의 디지털 신호값이 8 내지 10Kg/㎠ 범위를 벗어나면 현재 이용되는 스트레이너(460)가 솔밸브(480)에 의해 다른 스트레이너(460)로 교대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스트레이너(480)의 상부에는 개폐덮개(462)가 구비되어 내부의 거름망(461)을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블생성기(420)의 출력단에는 순환수와 혼합하여 거대기포를 생성한 후 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상태를 유지하고 후단에 스플릿(Split) 장치를 배치하여 이를 통과하면서 더 작게 분해하여 기존의 미세버블보다 작은 초미세버블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초미세버블을 공급하여 다수의 초미세버블이 부유물질을 완전히 포위하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하여 부상 및 제거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고속응집장치(200),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 및 스컴스키머(400)가 하수의 처리 이송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배치되어 고속응집장치(200)과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을 통해 스컴스키머(400)를 통해 미세버블에 의해 부상시킬 수 있는 정도로 부유물질을 단시간 내에 응집시킬 수 있으며, 미세버블에 의해 부상효율을 증대시켜 부유물질을 최소화되도록 정화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컴스키머(400)의 반응챔버(410)의 일측에는 정화된 하수의 일부를 버블생성기(420)로 공급하기 위한 하수공급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버블생성기(420)는 공급되는 하수에 미세버블을 형성하여 반응챔버(410) 내부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하수공급라인 상에는 반송유량계(140)가 배치되어 미세버블의 공급량을 측정 및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구(418)를 통해 배출된 침전슬러지는 후단에 배치된 슬러지저류조(150)로 배출되어 저장된다.
또한, 처리수배출구(413)에는 슬러지저류조(150)가 연결되어 정화된 처리수를 저장하고, 슬러지저류조(150)의 후단에는 처리수조(610) 및 오존발생기(620)가 배치되어 처리수를 살균소독할 수 있으며 유량계(160)를 거쳐 방류조(180) 또는 UV소독설비(190)로 최종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0...고속응집장치 210...제1응집챔버
220...회전축 230...교반날개부
300...무동력 플럭응집장치 310...제2응집챔버
320...격벽 330...난류방지판
400...스컴스키머 410...반응챔버
420...버블생성기 500...제어부
600...오존처리장치 610...처리수조
620...오존발생기 630...오존반응조

Claims (7)

  1.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수가 공급되는 하수유입구(6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오존처리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배출구(613)가 형성된 처리수조(610);
    상기 처리수조(610)의 타측의 하수공급구(618)에 연결되어 하수를 공급받으며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된 하수에 용해시켜 배출하는 오존발생기(62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620)에 연결되어 오존수가 공급되는 오존수유입구(6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접촉조(633a 내지 633c)로 구획하고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634)이 형성된 격벽부(6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조(610)의 일측과 처리수공급관(640)으로 연결되어 오존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조(610)에 공급하는 처리수배출구(635)가 형성된 오존반응조(630);를 포함하고,
    상기 오존반응조(630)는, 상기 격벽부(632)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면서 하부에는 오존이 과포화되어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질 및 BOD를 제거하기 위한 고농도접촉조(633a)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보다 상대적으로 오존이 적게 용해되어 하수에 포함된 세균, 냄새 및 색도를 제거하기 위한 저농도접촉조(633b)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632)는 내부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하부격벽(614a) 및 상부격벽(614b)이 구비되어, 상기 고농도접촉조(633a)와 저농도접촉조(633b) 사이에 두 접촉조(633a,633b)의 오존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농도구획조(633c)를 형성하고,
    상기 처리수조(610)는 내부공간 내에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하부격벽(614a)과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상부격벽(614b)이 하부와 상부에 교호로 배치되면서 오존수와 하수를 혼합하기 위한 복수의 혼합조(615)가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조(610)는,
    상기 복수의 혼합조(615) 중 하수유동 방향의 최말단 혼합조(615)의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폭기부(6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말단 혼합조(615)는 상기 폭기부(616)로부터 공급되는 기포에 의해 처리수에 포함된 오존을 탈기하기 위한 폭기조로 기능하며, 상부에는 탈기된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가스배출관(617)이 마련되고,
    상기 오존반응조(630)의 상단에는 내부의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가스배출관(637)이 형성되고,
    상기 폭기부(616)는 상기 제1가스배출관(617)과 제2가스배출관(637) 중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오존가스를 이용하여 상기 최말단 혼합조(615)에 주입하기 위한 기포를 형성하고,
    상기 하수공급구(618)와 오존발생기(620) 사이에는 순환공급되는 하수에 유동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순환펌프(650)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순환펌프부(650)는 복수 개의 순환펌프로 이루어져 동일한 공급라인에 분기되도록 연결되어 하나의 순환펌프에 기능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순환펌프를 동작시켜 하수처리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고,
    수처리 시스템의 버블생성기(420)의 공기유량계에 연결되어 잔존 오존을 재사용함으로써 처리효율을 높이고 잔존오존을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오존반응조(630)에서 탈기된 오존가스(O3 Gas)는 배관을 통해서 상기 버블생성기(420)에 연결되는,
    오존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밀한 내부공간(211)이 형성되고 하수유입구(212)와 하수배출구(213)가 각각 마련된 제1응집챔버(210)와, 상기 내부공간(21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직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응집제를 내부공간(211)으로 배출하는 응집제배출구(221)가 형성된 회전축(220) 및, 상기 회전축(220)의 둘레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하며 와류를 형성하는 교반날개부(230)를 포함하는 고속응집장치(20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에서 배출된 하수가 공급되는 하수유입구(6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오존처리된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배출구(613)가 형성된 처리수조(610)와, 상기 처리수조(610)의 타측에 연결되어 하수를 공급받으며 오존을 생성하여 공급된 하수에 용해시켜 배출하는 오존발생기(62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오존발생기(620)에 연결되어 오존수가 공급되는 오존수유입구(6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접촉조(633a 내지 633c)로 구획하고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634)이 형성된 격벽부(6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상기 처리수조(610)의 일측과 처리수공급관(640)으로 연결되어 오존처리된 처리수를 처리수조(610)에 공급하는 처리수배출구(635)가 형성된 오존반응조(630)를 포함하는 오존처리장치(600);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속응집장치(200)의 하수배출구(213)와 연결된 하수유입구(3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수배출구(312)가 형성된 제2응집챔버(310)와, 상기 제2응집챔버(3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의 응집조(321)로 구획하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연통공(322)이 형성된 격벽(320) 및, 각 연통공(322)의 하부 위치에 수평배치된 난류방지판(330)을 포함하는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 및
    수밀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무동력 플럭응집장치(300)의 하수배출구(312)와 연결된 하수유입구(412)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처리수배출구(413)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하부격벽(414)과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상부격벽(415)이 하부와 상부에 교호로 배치되면서 복수의 버블반응조(416)를 형성하는 반응챔버(410) 및,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의 미세버블을 생성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버블생성기(420)를 포함하는 스컴스키머(400);를 포함하고,
    상기 난류방지판(330) 상에서 유입된 하수가 정체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낙차폭을 증대시켜 응집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난류방지판(330)의 단부 둘레에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형태로 경사진 경사부(331)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320)의 상부면에 슬러지가 정체되지 않고 상기 연통공(322)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320)의 단부 둘레에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형태로 경사진 경사면(323)이 형성되거나, 상기 격벽(320)이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하는 경사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처리 시스템.
  7. 삭제
KR1020170070838A 2017-06-07 2017-06-07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1835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38A KR101835271B1 (ko) 2017-06-07 2017-06-07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CN201790000725.8U CN209396964U (zh) 2017-06-07 2017-06-27 臭氧处理装置及包括该臭氧处理装置的水处理系统
PCT/KR2017/006750 WO2018225890A1 (ko) 2017-06-07 2017-06-27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BR112018072102-6A BR112018072102B1 (pt) 2017-06-07 2017-06-27 Aparelho para tratamento de ozônio e sistema de tratamento de água incluindo o me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38A KR101835271B1 (ko) 2017-06-07 2017-06-07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271B1 true KR101835271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838A KR101835271B1 (ko) 2017-06-07 2017-06-07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35271B1 (ko)
CN (1) CN209396964U (ko)
BR (1) BR112018072102B1 (ko)
WO (1) WO201822589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7467A (zh) * 2018-12-17 2019-03-08 濮阳市科润石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式油田污水处理装置
CN112110574A (zh) * 2020-09-24 2020-12-22 上海城市水资源开发利用国家工程中心有限公司 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CN113735304A (zh) * 2021-04-24 2021-12-03 闫韶娟 一种熄焦废水臭氧催化氧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4489A (en) * 2019-06-07 2020-12-09 Niall Drennan Enterprises Ltd A device for treating and recycling water
CN110894112A (zh) * 2019-12-17 2020-03-20 文孝红 一种利用臭氧强氧化原理的污水处理装置
CN112250236B (zh) * 2020-10-10 2023-01-20 天津万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多级处理设备
CN114920432B (zh) * 2022-06-28 2023-05-30 尚迪(南京)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粪尿集中收集处理装置
CN116022908B (zh) * 2023-02-09 2023-09-26 安徽工程大学 一种臭氧多级催化反应塔及催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2020B2 (ja) * 1995-10-31 2004-04-26 株式会社明電舎 加圧型下方注入式オゾン接触槽とその制御方法
KR101362858B1 (ko) * 2013-08-27 2014-02-14 경상북도 경주시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KR101369975B1 (ko) * 2013-08-27 2014-03-06 경상북도 경주시 무동력 플럭응집 장치
KR101369979B1 (ko) * 2013-08-27 2014-03-06 경상북도 경주시 선회와류식 고속응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765A (ko) * 2004-10-04 2006-04-07 한국수자원공사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KR101233355B1 (ko) * 2010-12-28 2013-02-13 대림산업 주식회사 고효율의 오존 용해 성능을 가지는 반응조를 구비한 고도산화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2020B2 (ja) * 1995-10-31 2004-04-26 株式会社明電舎 加圧型下方注入式オゾン接触槽とその制御方法
KR101362858B1 (ko) * 2013-08-27 2014-02-14 경상북도 경주시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KR101369975B1 (ko) * 2013-08-27 2014-03-06 경상북도 경주시 무동력 플럭응집 장치
KR101369979B1 (ko) * 2013-08-27 2014-03-06 경상북도 경주시 선회와류식 고속응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7467A (zh) * 2018-12-17 2019-03-08 濮阳市科润石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式油田污水处理装置
CN112110574A (zh) * 2020-09-24 2020-12-22 上海城市水资源开发利用国家工程中心有限公司 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CN113735304A (zh) * 2021-04-24 2021-12-03 闫韶娟 一种熄焦废水臭氧催化氧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72102A2 (pt) 2020-02-27
BR112018072102B1 (pt) 2022-11-16
CN209396964U (zh) 2019-09-17
WO2018225890A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271B1 (ko)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1779748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0723337B1 (ko) 산화 가압 부상장치
US748193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ozone activated flotation
KR101362858B1 (ko)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US200601752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CN104743642B (zh) 一种电解装置及海上生活污水处理系统
KR100882200B1 (ko) 하이드로사이클론 및 이것을 포함하는 수질오염 방지장치
KR101220539B1 (ko) 수처리장치
KR101602289B1 (ko)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US2006015742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ultraviolet light
KR101020238B1 (ko)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58028B1 (ko) 고속 복합 수처리 장치
KR101842450B1 (ko) 가압식 세라믹막을 이용한 연속 순환식 중수처리 시스템
KR100907905B1 (ko) 연속 흐름식 복합 수처리 장치
KR102300297B1 (ko) 플라즈마와 오존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348591B1 (ko)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1989833B1 (ko) 연속 순환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KR102315900B1 (ko) A2o 및 sbr 하이브리드형 폐수처리 시스템
KR101957444B1 (ko) 마이크로버블과 oh라디칼을 이용한 oh라디칼 부상분리식 수질정화시스템
KR101026768B1 (ko) 케비테이션 고액분리 부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장치
WO2006078797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wastewater
KR100997446B1 (ko) 미세 기포발생기 및 그를 구비한 오폐수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