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503A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503A
KR20050100503A KR1020040025766A KR20040025766A KR20050100503A KR 20050100503 A KR20050100503 A KR 20050100503A KR 1020040025766 A KR1020040025766 A KR 1020040025766A KR 20040025766 A KR20040025766 A KR 20040025766A KR 20050100503 A KR20050100503 A KR 20050100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il
water
raw water
water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김영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김영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Priority to KR102004002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0503A/ko
Publication of KR20050100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를 갖는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 유수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필터분리방식, 비중분리방식을 갖도록, 내부가 상호 연락하는 제1챔버와 제2챔버로 구획 분할된 유수분리조를 구비하여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와의 사이에는 벌집모양의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제2챔버에는 오일이 제거된 원수만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동구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오일을 갖는 원수를 상기 제1챔버에서 1차 유수 분리하고, 상기 필터를 통하여 오일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2챔버에서 2차 유수 분리된 원수만을 상기 작동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함으로써, 산업현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함유된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수분리기{Oil water separater}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로부터 자연환경 등의 오염을 방지할 목적으로 오일을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 유수분리기가 사용됨이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 유수분리기는 비중분리방식, 필터분리방식, 전기응집방식 또는 폭기분리방식 등을 채용하여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을 분리하여 배출하고 있으나,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데는 다소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현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함유된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있어서, 상면만이 개구된 내부가 빈 중공구조를 이루어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덮개가 분리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좌우 양측에는 상기 중공된 내부와 연락하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각각 설치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중공된 내부를 상기 입수관과 연락하는 제1챔버와 상기 출수관과 연락하는 제2챔버로 2분리하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입설되며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를 상호 연락하게 하는 통공을 갖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유수분리조;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과 연락하도록 격벽에 탈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된 다음 비중에 의해 1차 유수 분리된 후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2챔버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오일을 필터링하는 벌집모양의 필터; 및 상기 출수관과 연락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된 다음 상기 제2챔버에서 비중에 의해 2차 유수 분리된 원수만을 상기 출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한 작동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유수분리조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표면에는 열중합된 에폭시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챔버에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2챔버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그리드(grid)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함체에는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원수를 상기 제1챔버로부터 상기 출수관을 통하여 바이패스하기 위한 제3챔버가 더 구획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서, 상기 작동구는 상기 제3챔버와 연락하여 상기 제2챔버에서 유수 분리된 원수를 배출하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동구는 상기 제2챔버와 출수관을 연락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바닥으로부터 "ㄴ"자 모양으로 입설된 중공구조의 통체와, 상기 통체에 입설된 "U"자 모양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에서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이동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이동체는 부구(浮具)와 이 부구와 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4a∼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는 유수분리조(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수분리조(10)는 상면만이 개구된 내부가 빈 중공구조를 갖는 함체(11)와 이 함체(11)에 내설되어 상기 함체(11)의 중공된 내부를 2분리하는 격벽(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체(11)는 그 중공된 내부와 연락하는 입수관(13)과 출수관(14)을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고 있는 구조이다. 상기 함체 (11)는 상기 입수관(13)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일을 갖는 원수를 저류한 다음 오일이 제거된 원수를 상기 출수관(14)을 통하여 배출하게 한다. 상기 함체(11)의 개구된 상면에는 수밀덮개(15)가 분리되게 결합된다. 상기 함체(11)는 개구된 상면을 통하여 출입이 가능하다.
상기 격벽(12)은 바닥으로부터 입설됨을 통해 상기 함체(11)의 중공된 내부를 상기 입수관(13)과 연락하는 제1챔버(16)와 상기 출수관(14)과 연락하는 제2챔버(17)로 각각 구획 분할하고 있다. 상기 격벽(12)과 상기 함체(11)와의 접합 부위는 실링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12)에는 통공(1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챔버(16)와 제2챔버(17)는 이 통공(12a)을 통하여 연락가능하게 된다. 상기 격벽(12)은 하부가 경사지게 절곡된 상태로 상기 함체(11)에 입설되며, 상기 통공(12a)은 상기 격벽(12)의 이 경사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유수분리조(10)는 철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그 표면은 내식성 또는 내화학성 등에 강하도록 샌드-브라스팅(sand-blasting)된 후 200℃의 온도에서 열중합된 에폭시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코팅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유수분리조(10)에는 필터(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 (20)는 상기 제2챔버(17)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12a)과 연락하도록 상기 격벽(12)에 설치된다. 이에, 상기 필터(20)는 상기 격벽(12)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20)는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진 벌집모양이다. 상기 필터(20)는 교체가능하도록 상기 격벽(12)에 대하여 탈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필터(20)는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사각프레임(20a)과 이 사각프레임(20a)을 좌우 양측에서 상기 격벽(12)에 대하여 탈착되게 결합시키는 결합봉(20b)을 통하여 상기 격벽(12)에 대하여 탈착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필터(20)는 상기 입수관(13)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16)로 유입된 다음 1차 유수 분리된 후 상기 통공(12a)을 통하여 상기 제2챔버(17)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오일을 필터링하게 한다. 상기 필터(20)를 통과하는 동안 오일은 상기 필터(20)의 내부에 유착된다.
한편, 상기 제2챔버(17)에는 작동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구(30)는 상기 필터(20)를 통하여 필터링된 다음 상기 제2챔버(17)에서 2차 유수 분리된 원수만을 상기 출수관(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한다. 상기 제2챔버(17)에 저류된 상태의 원수는 비중에 의해 오일과 분리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작동구(30)는 오일과 분리된 이 원수만을 상기 출수관(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한다. 이러한 작동구(30)는 상기 입수관(13) 및 출수관(14)과 연락하도록 상기 제1및 제2챔버 (16,17)와는 독립되게 상기 함체(10)의 중공된 내부에 구획 형성된 하기의 제3챔버 (40)를 통하여 오일과 분리된 원수를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작동구(30)는 상기 제2챔버(17)와 출수관(14)을 연락하는 통로 (31a)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챔버(17)의 바닥으로부터 "ㄴ"자 모양으로 입설된 중공구조의 통체(31)와, 상기 통체(31)에 입설된 가이드 프레임(32)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32)의 내부에서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통로(31a)를 개폐하는 이동체 (33)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체(31)는 "ㄴ"자 모양의 형태를 이루는 수평부의 상면과 수직부의 상부 배면에 중공된 내부(31b)와 연락하게 각각 형성된 구멍들(31c,31d)로 형성되는 통로(31a)를 통하여 상기 제2챔버(17)와 출수관(14)을 연락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2)은 격자망 형태를 취하는 "U"자 모양으로 상기 통체(31)의 수평부에 입설된다.
상기 이동체(33)는 구형의 부구(浮具;33a)와 이 부구(33a)와 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상기 통로(31a) 즉, 구멍(31c)을 개폐하는 개폐구(33b)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구(33b)는 구체의 주위로 환테를 둘러 상기 통로(31a)를 수밀하게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구(30)를 통하여 오일이 분리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출수관(14)과의 사이를 연락하는 상기 제3챔버(40)는 상기 입수관(13)을 통하여 상기 함체(11) 내부로 유입되는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원수를 상기 제1챔버(16)로부터 상기 출수관(14)을 통하여 바이패스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3챔버(40)는 상기 제1및 제2챔버(16,17)와는 독립되게 상기 함체(11)의 길이단을 따라 구획 형성되며, 상기 입수관(13)과 출수관(14)은 이 제3챔버(40)와 연락되게 상기 함체(11)에 설치된다. 상기 제3챔버(40)로 인해, 상기 입수관(13)을 통하여 상기 제3챔버(40)로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제3챔버(40)와 상기 제1챔버(16)를 연락하게 하는 가이드판(50a)을 갖는 입수공(50)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16)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구 (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원수는 상기 제3챔버(40)와 상기 제2챔버(17)를 연락하게 하는 배수공(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제2챔버(17)에서 오일이 분리된 원수는 상기 통체(31)의 통로(31a), 이 통로(31a)와 연락하는 상기 배수공 (60), 상기 제3챔버(40) 및 상기 출수관(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에는 그리드(grid;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리드(70)는 상기 통공(12a)을 통하여 상기 제2챔버(17)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부피가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리드(70)는 상기 격벽(12)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제1챔버(16)의 바닥으로터 입설된 판체 (70a)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챔버(17)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제1챔버(16)로 유입되는 원수는 이 그리드(7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판체(70a)와 격벽(12)의 사이를 통해 상기 제2챔버(17)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관(13)을 통하여 상기 제3챔버(40)로 유입되는 오일을 갖는 원수는 상기 입수공(50)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16)로 이동한다. 상기 제1챔버(16)로 유입되는 원수는 저류되었다가 상기 그리드(70)를 통하여 상기 통공(12a)을 통해 상기 필터(20)로 이동하며, 상기 제1챔버 (16)에서 유수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20)로 이동한다. 상기 필터(20)로 이동하는 원수는 상기 그리드(7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이는 상기 필터 (20)의 수명 연장을 기대하게 한다.
상기 제2챔버(17)에는 상기 제1챔버(16)를 통해 1차 유수 분리되고, 상기 그리드(7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상기 필터(20)를 통해 오일이 제거된 원수가 유입된다. 상기 제2챔버(17)로 원수가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이동체 (33)가 부구(33a)을 통하여 상승하게 되며, 상기 개폐구(33b)에 의해 닫혀진 상기 통로(31a)가 열리게 된다. 이에, 상기 제2챔버(17)로 유입되는 원수는 열려진 상기 통로(31a)을 통하여 상기 제3챔버(40) 및 출수관(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챔버(17)에서 비중에 의해 2차 유수 분리된 상태의 즉, 오일이 제거된 원수만이 배출된다.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16)로 유입되는 원수의 량이 감소하여 상기 제2챔버(17)의 수위가 하강하면, 상기 이동체(33) 또한 하강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제2챔버(17)의 수위가 더 떨어지면, 상기 이동체(33)는 상기 통로(31a)를 닫게 된다. 이에, 수면 위로 분리되어 있는 오일은 외부로 배출됨 없이 상기 제2챔버(17)에 남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는 상기 필터(20)를 통한 필터분리방식, 상기 제1및 제2챔버(16,17)를 통한 비중분리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산업현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함유된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6은 도5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는 상기 제3챔버(40)와 그리드(70)가 제거된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와 동일함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111)은 덮개(115)와, 좌우 양측에 입수관(113)과 출수관(114)을 갖는 상기 함체(11)와 동일 구조의 함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112)는 상기 함체(111)의 내부를 2분리하여 제1챔버(116)와 제2챔버(117)로 구획 분할하는 상기 격벽(12)과 동일 구조의 격벽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112a)는 상기 제1챔버 (116)와 제2챔버(117)를 연락가능하게 하는 상기 통공(12a)과 동일 구조의 통공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120)은 상기 제2챔버(117)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112a)과 연락하도록 격벽(112)에 탈착되게 설치된 필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필터(20)와 동일하게 상기 입수관(113)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116)로 유입된 다음 상기 통공 (112a)을 통하여 상기 제2챔버(117)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오일을 필터링하는 벌집모양의 유착필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130)은 상기 출수관(114)과 연락하도록 상기 제2챔버(117)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120)를 통하여 필터링된 다음 상기 제2챔버(117)에서 저류된 상태의 유수 분리된 원수만을 상기 출수관(1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한 상기 작동구(30)와 동일 구조의 작동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31)은 상기 제2챔버(117)와 출수관(114)을 연락하는 통로(131a)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챔버(117)의 바닥으로부터 "ㄴ"자 모양으로 입설된 상기 통체(31)와 동일 구조인 중공구조의 통체(131)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132)는 상기 통체(131)에 입설된 상기 가이드 프레임(32)과 동일 구조의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133)은 구형의 부구(133a)와 개폐구(133b)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체(33)와 동일 구조를 갖는 이동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7a 및 도7b는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7a는 오일을 갖는 원수가 상기 입수관(113)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116)로 유입된 다음 1차 유수 분리된 후, 상기 필터(120)를 통해 오일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제2챔버(117)로 유입되어 2차 유수 분리된 후, 상기 작동구(130)의 통로(131a) 및 출수관(114)을 통해 오일이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도7b는 원수의 유입량 감소로 상기 제2챔버 (117)로부터 오일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일련의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도4a∼ 도4c를 참조하는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작동원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는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와 동일하게 상기 필터(120)를 통한 필터분리방식, 상기 제1및 제2챔버(116,117)를 통한 비중분리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산업현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함유된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유수분리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9는 도8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유수분리기는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에 그리드(170)를 더 설치한 구조로, 이 그리드(170)는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그리드(70)와 동일 구조로 동일 위치에서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에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구조 및 그 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부호 또한 제2실시예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하였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유수분리기 또한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와 동일하게 상기 필터(120)를 통한 필터분리방식, 상기 제1및 제2챔버(116,117)를 통한 비중분리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산업현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함유된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분리방식, 비중분리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산업현장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이 함유된 원수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게 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4a∼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6은 도5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유수분리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유수분리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9는 도8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유수분리조 11,111:함체
12,112:격벽 12a,112a:통공
13,113:입수관 14,114:출수관
15,115:덮개 16,116:제1챔버
17,117:제2챔버 20,120:필터
20a:사각프레임 20b:결합봉
30,130:작동구 31,131:통체
31a,131a:통로 32,132:가이드 프레임
33,133:이동체 33a,133a:부구
33b,133b:개폐구 40:제3챔버
50:입수공 50a:가이드판
60:배수공 70,170:그리드
70a:판체

Claims (7)

  1. 유수분리기에 있어서,
    상면만이 개구된 내부가 빈 중공구조를 이루어 상기 개구된 상면에는 덮개가 분리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좌우 양측에는 상기 중공된 내부와 연락하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각각 설치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중공된 내부를 상기 입수관과 연락하는 제1챔버와 상기 출수관과 연락하는 제2챔버로 2분리하도록 상기 함체의 내부에 입설되며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를 상호 연락하게 하는 통공을 갖는 격벽으로 이루어진 유수분리조;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통공과 연락하도록 격벽에 탈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상기 제1챔버로 유입된 다음 비중에 의해 1차 유수 분리된 후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2챔버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오일을 필터링하는 벌집모양의 필터; 및
    상기 출수관과 연락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된 다음 상기 제2챔버에서 비중에 의해 2차 유수 분리된 원수만을 상기 출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한 작동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조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열중합된 에폭시 폴리에스테르수지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에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2챔버로 이동하는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그리드(grid)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에는 상기 입수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용능력을 초과하는 원수를 상기 제1챔버로부터 상기 출수관을 통하여 바이패스하기 위한 제3챔버가 더 구획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는 상기 제3챔버와 연락하여 상기 제2챔버에서 유수 분리된 원수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는 상기 제2챔버와 출수관을 연락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챔버의 바닥으로부터 "ㄴ"자 모양으로 입설된 중공구조의 통체와, 상기 통체에 입설된 "U"자 모양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부에서 수위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이동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부구(浮具)와 이 부구와 거리를 두고 연결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KR1020040025766A 2004-04-14 2004-04-14 유수분리기 KR20050100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766A KR20050100503A (ko) 2004-04-14 2004-04-14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766A KR20050100503A (ko) 2004-04-14 2004-04-14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503A true KR20050100503A (ko) 2005-10-19

Family

ID=3727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766A KR20050100503A (ko) 2004-04-14 2004-04-14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050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018A (ko) * 2004-06-24 2004-08-21 김수해 유수(油水)분리기용 오일자동차단장치
KR100918317B1 (ko) * 2009-04-08 2009-09-18 김점수 유수분리기
KR101113681B1 (ko) * 2009-06-30 2012-02-14 블루그린링크(주)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446272B1 (ko) *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CN107670337A (zh) * 2017-09-26 2018-02-09 深圳市蓝石环保科技有限公司 液体分离器及液体分离器的回抽控制方法
CN109110938A (zh) * 2017-06-23 2019-01-01 江苏天地化纤有限公司 一种化纤加工废水油水分离装置
KR20200116397A (ko) * 2019-04-01 2020-10-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수분리 시스템
KR20210026611A (ko) 2019-08-30 2021-03-10 김성철 유수 분리 장치
CN114195226A (zh) * 2022-01-05 2022-03-18 济宁康盛彩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用高效油水分离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018A (ko) * 2004-06-24 2004-08-21 김수해 유수(油水)분리기용 오일자동차단장치
KR100918317B1 (ko) * 2009-04-08 2009-09-18 김점수 유수분리기
KR101113681B1 (ko) * 2009-06-30 2012-02-14 블루그린링크(주) 조립식 오탁수 처리시설
KR101446272B1 (ko) *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CN109110938A (zh) * 2017-06-23 2019-01-01 江苏天地化纤有限公司 一种化纤加工废水油水分离装置
CN107670337A (zh) * 2017-09-26 2018-02-09 深圳市蓝石环保科技有限公司 液体分离器及液体分离器的回抽控制方法
CN107670337B (zh) * 2017-09-26 2022-11-22 深圳市蓝石环保科技有限公司 液体分离器及液体分离器的回抽控制方法
KR20200116397A (ko) * 2019-04-01 2020-10-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수분리 시스템
KR20210026611A (ko) 2019-08-30 2021-03-10 김성철 유수 분리 장치
CN114195226A (zh) * 2022-01-05 2022-03-18 济宁康盛彩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用高效油水分离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9893B2 (ja) 燃料フィルター
EP0608352B1 (en) Separators
US5918622A (en) Separation valve
US6517715B1 (en) Readily serviceable separator unit with a focusing plate
EA200801203A1 (ru) Резервуар для разделения скважи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содержащей воду, нефть и газ, использование такого резервуара и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скважи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включающей воду, нефть и газ
KR20050100503A (ko) 유수분리기
SE9902914L (sv) Anordning för uppsamling av flytande föroreningar på en vattenmassas yta, samt flytrecipient för användning vid sådan uppsamling
CN105692838A (zh) 一种油水泥分离装置
KR101657508B1 (ko) 식물성 오일의 유수분리 탱크
KR960003776A (ko)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JP2939426B2 (ja) 油水の分離装置
JPS59209628A (ja) ドレン分離器
CN113785163A (zh) 冷凝水捕集装置及其浮体
US1199266A (en) Trap for petrol, oil, grease, and the like.
JP2004216274A (ja) 油水分離器
JP4480234B2 (ja) 雨水浄化装置
JP2001327964A (ja) 油水分離装置
US20050016938A1 (en) Filtering apparatus
CN207861956U (zh) 一体化隔油除渣设备
KR20040075654A (ko) 소형선박용 유수분리장치
CN218493764U (zh) 油气水分离器
JPH09262405A (ja) 管路における気液分離器
CN210645230U (zh) 一种油水分离器及其组合油水分离装置
KR100233160B1 (ko) 유수분리기의 유수분리판
KR19980073299A (ko) 유수(油水)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