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317B1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18317B1 KR100918317B1 KR1020090030473A KR20090030473A KR100918317B1 KR 100918317 B1 KR100918317 B1 KR 100918317B1 KR 1020090030473 A KR1020090030473 A KR 1020090030473A KR 20090030473 A KR20090030473 A KR 20090030473A KR 100918317 B1 KR100918317 B1 KR 1009183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water
- case body
- oil
- contamina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수분리기의 케이스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유수가 분리되며 배출되는 배출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오염수가 이동하는 거리를 케이스본체의 한정된 공간에서 길게 하고 오염수의 수면을 잔잔해지게 하며, 오염수중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수가 분리되며 배출되는 배출측에서는 유수가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한정된 크기의 유수분리기에서 유수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염수가 유입되어 담기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에 삽탈식으로 설치되는 오염수지연체(30)로 유수분리기가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전방벽 상부에 오염수유입관(11)과 정화수월류벽(15)이 구비되며, 정화수월류벽(15)의 내외측에는 저면이 바닥면과 이격된 유수분리벽(19)과 정화수배출관(20)이 연결된 정화수모임실(18)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수월류벽(15)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17)을 형성한 요(凹)홈 형태로 형성된 높이조절구(16)가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수분리벽(19) 양측의 케이스본체(10) 내측 모서리에는 폐유월류부(13)를 형성한 폐유월류벽(14)이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 내측 바닥에는 후단부가 폐유월류벽(14)과 이격되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오염수지연체(30)가 얹혀지는 한 쌍의 받침벽(12)이 수직 설치되며, 상기 오염수지연체(30)는 상부에 손잡이(32)를 설치한 상판(31)의 하부에 전방부터 후방 까지 수개의 1, 2차막음판(35,37)이 교대로 간격을 두고 하향 설치되며, 상기 1차막음판(35)은 "V"자 형의 절곡되며 양측 날개부가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과 미세한 틈새(G2)를 두게 형성되고, 상기 2차막음판(37)은 중앙부에 오염수가 통과할 소정의 간격(G1)을 두고, 양측 외측 날개부는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판(31)에는 1차막음판(35)의 중앙측 절곡부와 2차막음판(37)의 간격(G1)을 노출되게 하는 수개의 거품소멸구멍(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수분리기, 케이스본체, 폐유월류벽, 정화수월류벽, 유수분리벽, 오염수지연체, 1차막음판, 2차막음판, 오염수, 정화수, 폐유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수분리기의 케이스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유수가 분리되며 배출되는 배출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오염수가 이동하는 거리를 케이스본체의 한정된 공간에서 길게 하고 오염수의 수면을 잔잔해지게 하며, 오염수중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고, 유수가 분리되며 배출되는 배출측에서는 유수가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한정된 크기의 유수분리기에서 유수분리 효율이 크게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유수분리기에서는 제1차통에서 슬러지(sludge)의 분리와 유분(油分)의 조분리(粗分離)를 하고, 제2차통에서는 평행분리판을 사용하여 조립화(粗粒化)에 의한 정분리(精分離)를 행하였으며, 보다 고도의 정밀한 분리를 필요로 할 때에는 다음 단계로서 제3차통을 설치하여 유분(油分)의 흡착처리 또는 조립화(粗粒化)에 의한 분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처리공정은 각기 독립된 분리 탱크로서 행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복수개의 분리통이 평면상을 유지하도록 유의해야하고 서로를 배관으 로서 직렬로 되도록 연결하고 있었던 것이다.
물과 기름의 비중차를 이용한 이들 유수분리기에 있어서는 처리공정을 증가하게 되면 그만큼 처리성능이 향상되고 또한 각 분리통의 용량을 증가시키면 체류시간을 길게 하드라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공지된 바 있으나, 이렇게 되면 유수분리기로서는 대형화 되고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며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수분리기의 케이스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유수가 비중 차이에 의해 분리되며 배출되는 배출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오염수가 이동하는 거리를 케이스본체의 한정된 공간에서 길게 하고 오염수의 수면을 잔잔해지게 하며, 오염수 중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정된 크기의 유수분리기에서 유수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염수가 유입되어 담기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본체에 삽탈식으로 설치되는 오염수지연체로 유수분리기가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본체는 전방벽 상부에 오염수유입관과 정화수월류벽이 구비되며, 정화수월류벽의 내외측에는 저면이 바닥면과 이격된 유수분리벽과 정화수배출관이 연결된 정화수모임실이 설치되고, 상기 정화수월류벽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 요(凹)홈 형태로 형성된 높이조절구가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유수분리벽 양측의 케이스본체 내측 모서리에는 폐유월류부를 형성한 폐유월류벽이 상하로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 내측 바닥에는 후단부가 폐유월류벽과 이격되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오염수지연체가 얹혀지는 한 쌍의 받침벽이 수직 설치되며, 상기 오염수지연체는 상부에 손잡이를 설치한 상판의 하부에 전방부터 후방 까지 수개의 1, 2차막음판이 교대로 간격을 두고 하향 설치되며, 상기 1차막음판은 "V"자 형의 절곡되며 양측 날개부가 케이스본체의 내벽면과 미세한 틈새를 두게 형성되고, 상기 2차막음판은 중앙부에 오염수가 통과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측 외측 날개부는 케이스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판에는 1차막음판의 중앙측 절곡부와 2차막음판의 간격을 노출되게 하는 수개의 거품소멸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수분리기는, 다수개의 1, 2 차막음판을 교대로 설치하여 배출측으로 이동하는 오염수의 수면이 잔잔해지고, 오염수 및 오일성분이 이동하는 경로가 "V"자형 통로를 양측에서 동시에 경사진 지그재그식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서, 잔잔한 수면에서 오염수 및 오일성분이 이동하는 거리를 길게 하고 그로인하여 이동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오염수중에 포함된 대부분의 오일성분이 떠오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렇게 떠오른 다량의 오일성분이 폐유월류벽과 정화수월류벽에서 확실하게 분리됨에 따라 유수분리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오염수 및 오일성분이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유수분리기가 소형화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염수가 유입되어 담기는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에 삽탈식으로 설치되어 케이스본체(10)로 담겨지 는 오염수가 배출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거리를 길게 하고 수면이 잔잔해지게 하며 거품을 소멸시키게 하는 오염수지연체(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오염수는 기계부품을 가공할 때 사용하고 난 뒤에 배출되는 절삭유나, 기계부품을 세척할 때 사용하고 난 뒤에 배출되는 세척수, 세차장에서 사용을 마치고 배출되는 세척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이 오염수에는 이물질을 포함한 오일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뒤에 설명하게 되는 정화수는 상기 오염수에서 폐유와 분리하여 오일성분과 함께 이물질이 분리(제거)되어 깨끗해진 유체를 칭하는 것이며, 폐유는 상기 오염수에서 정화수와 분리된 오일성분을 칭하는 것으로 이물질이 포함된 것을 칭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본체(10)는 도 1, 2 및 도 5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벽 상부에는 케이스본체(10)의 내부로 오염수를 유입시키는 오염수유입관(11)가 하향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벽 중앙 상부에는 정화수월류벽(15)이 요(凹)홈 형태로 형성되고, 이 정화수월류벽(15) 전방의 케이스본체(10) 후방벽 내측 중앙에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 유수분리벽(19)이 케이스본체(10)의 바닥면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수분리벽(19)는 정화수월류벽(15)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ㄷ"자 형태로 절곡된 유수분리벽(19)과 후방벽의 사이에는 하방이 개방된 장방형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정화수월류벽(15) 후방의 케이스본체(10) 후방벽 외측에는 후방에 정 화수배출관(20)이 연결 설치된 정화수모임실(18)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정화수월류벽(15)과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수분리벽(19) 양측의 케이스본체(10) 내측 모서리에는 내측면의 높이가 낮아 오일성분이 월류되는 폐유월류부(13)를 형성한 폐유월류벽(14)이 상하 전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이때 폐유월류벽(14)는 "ㄴ"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케이스본체(10)의 후방측 모서리부에 상하로 장방형의 공간이 형성되며, 폐유월류벽(14)에 대응하는 케이스본체(10)의 후방 양측벽에는 폐유월류벽(14) 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폐유를 배출하는 폐유배출관(21)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0) 내측 바닥에는 후단부가 폐유월류벽(14)과 간격을 둔 상태로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오염수지연체(30)가 얹혀지는 한 쌍의 받침벽(12)이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폐유월류벽(14)의 폐유월류부(13) 높이가 정화수월류벽(15) 보다 수면위에 뜬 오일성분(유막)이 폐유월류부(13)로 넘어갈 수 있을 만큼 높게 설치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폐유월류부(13)의 높이가 정화수월류벽(15) 보다 0.2~0.3㎜를 높게 제작하였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월류벽(15)의 후면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장공(17)을 형성한 요(凹)홈 형태로 형성된 높이조절구(16)가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은 도 1, 3 및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오염수지연체(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이 "V"홈 형태로 절단되고 후방 양측 모서리부가 경사지게 절단된 상판(31)의 상부에 손잡이(32)가 설치되고, 이 상판(31)의 하부에는 전방부터 후방 까지 1, 2차막음판(35,37)이 교대로 간격을 두고 하향 설치된다.
이때, 상기 1차막음판(35)은 "V"자 형의 절곡되며 양측 날개부가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과 미세한 틈새(G2)를 형성하는 측면절곡부(34)가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2차막음판(37)은 선단부에 오염수통과부(36)가 후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경사판(37a)이 "V"자 형태로 배치되게 설치된다.
이때, 양측 오염수통과부(36)는 소정의 간격(G1)을 두게 설치되고, 양측 경사판(37a)의 외측 날개부는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오염수가 상기 간격(G1)으로 만 이동하게 한다.
상기 상판(31)에는 수개의 거품소멸구멍(33)이 형성되는데, 이 거품소멸구멍(33)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막음판(35)의 중앙측 절곡부와 2차막음판(37)의 양측 오염수통과부(36)가 간격을 두고 만나는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염수유입관(11)을 통하여 오염수가 케이스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오염수유입관(11)의 선단 토출부는 케이스본체(10)의 내측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향 설치되어 오염수유입관(11)에서 토출되는 오염수는 케이스본체(10)의 내측 바닥면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하는 오염수는 그 낙하하는 수압에 의해 1차적으로 바닥면에 부 딪치면서 일부는 받침벽(12)에 의해 오염수지연체(3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을 통하여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대부분의 나머지 오염수는 케이스본체(10)의 전방 내벽과 첫 번째 1차막음판(3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차오르면서 일시적으로 그 공간에 갇히게 된다.
이때, 1차막음판(35)는 중앙부가 "V"자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서 케이스본체(10)의 전방 내벽과 첫 번째 1차막음판(3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평면에서 볼 때 오각형으로 형성되게 되며 이 오각형의 공간이 오염수가 갇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첫 번째 1차막음판(35)의 양측 측면절곡부(34)가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에 미세한 틈새(G2)를 두고 설치되어서, 상기 오각형의 상하측 공간과 양측의 미세한 틈새(G2)를 제외하고 전후좌우 사방이 막혀서 대부분의 오염수가 첫 번째의 1차막음판(35)을 통해서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첫 번째의 1차막음판(35) 양측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G2)로 소량의 오염수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측 틈새(G2)를 통과한 오염수와 오일성분은 첫 번째의 1차막음판(35)과 두 번째의 2차막음판(37) 사이에 "V"자 형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중앙부측으로 이동하면서 두 번째의 2차막음판(37) 중앙에 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양측 오염수통과부(36) 사이의 간격(G1)을 통하여 이동한 뒤에 세 번째에 설치된 1차막음판(35)의 중간에 "V"자로 절곡된 부분에 막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두 번째의 2차막음판(37)과 세 번째의 1차막음판(35) 사이에 형성되는 "V"자 형으로 형성되는 공간의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스본체(10)의 내벽 과 세 번째에 설치된 1차막음판(35)의 양측 측면절곡부(3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G2)를 통하여 네 번째에 설치된 2차막음판(37) 전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에서의 설명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본체(10)의 양측 내벽면과 양측 측면절곡부(34)가 미세한 틈새(G2)를 두고 설치되고, 그 후방에는 한 쌍의 경사판(37a)을 "V"자 형으로 배치되게 설치하되, 양측 경사판(37a)의 양측날개부는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오염수가 흐르지 못하고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양측 오염수통과부(36)에 의해 중앙부에서 간격(G1)을 두고 설치된 2차막음판(37)이 반복적으로(교대로) 설치되어서 오염수 및 오일성분이 이동하는 경로가 "V"자 형 통로를 양측에서 동시에 경사지게 지지재그식으로 이동하는 형태가 되어 그 경로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오염수 및 오일성분이 경유하는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그 만큼 이동속도도 낮아지게 되어 오염수 중에 포함된 다량의 오일성분이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고, 그렇게 떠오르는 오일성분은 수면위에서 상기 "V"자 형 통로를 양측에서 동시에 경사진 경로로 지지재그식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이동하며 최후방측의 2차막음판(37)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각형의 공간에 채워지는 오염수는 오염수유입관(11)을 통하여 케이스본체(10)의 바닥으로 낙하됨에 따라 심하게 출렁이는 상태이나, 상기 첫 번째 1차막음판(35)이 출렁이는 오염수를 막고 있어서 첫 번째의 1차막음판(35) 후방부터는 후방으로 갈수록 수면이 잔잔해 진다.
상기와 같이 오각형의 공간으로 오염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오염수지연체(30) 하부와 받침벽(12)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으로 이동하는 일부의 오염수는 오염수지연체(30) 하방에 하측이 개방되게 설치된 각각의 1차막음판(35)와 2차막음판(37) 사이의 공간 상측으로 수위가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1차막음판(35)와 2차막음판(37) 사이의 공간 상측으로 올라가는 오염수의 수위가 높아지고, 그 각각의 1차막음판(35)과 2차막음판(37)에 의해 수면이 잔잔해지면서 오염수 중에 포함된 오일성분이 오염수에 포함된 물과의 비중차이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이렇게 수면위로 떠오르는 오일성분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수개의 "V"자형 경로를 지그재그식으로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최후방측의 2차막음판(37) 후방에 이동해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1차막음판(35)과 2차막음판(37)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각기 "V"자형으로 절곡된 부분과 양측 오염수통과부(36)가 "V"자형으로 만나는 부분에서 경사지게 이동하던 오염수가 만나면서 거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큰 거품은 상판(31)의 저면에 붙어 이동하다가 거품소멸구멍(33)의 개방된 공간에서 터지면서 소멸되고, 작은 거품은 다음의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일부는 소멸되고, 작은 거품들이 합쳐져서 큰 거품이 되다가 그 큰 거품은 다음의 거품소멸구멍(33)에서 또 다시 터지면서 소멸되게 된다.
위와 같은 경로를 거쳐 케이스본체(10)의 후방측 공간까지 오염수와 오일성분이 이동해온 뒤에는 그 오염수의 상면에 비교적 많은 량의 오일성분이 떠 있는 상태이고, 오염수의 하측에는 오일성분이 최소화된 상태인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0)의 후방 양측에는 오염수의 상면에 떠 있는 오일성분이 흘러 넘어가게 하는 폐유월류부(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의 오일성분은 폐유월류부(13)를 넘어서 폐유월류벽(14)으로 담겨지게 된다.
이렇게 폐유월류벽(14) 내에 담겨지는 오일성분은 폐유배출관(21)을 통하여 폐유를 모을 수 있는 별도의 통에 담아서 그 폐유를 폐기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목적하는 바대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위와 같이 케이스본체(10)의 후방측에 오염수와 오일성분이 도달해 왔을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수분리벽(19)이 하부는 케이스본체(10)의 바닥면과 간격을 두고 있고 상측은 오염수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와 같이 오일성분이 최소화된 오염수(이제부터는 정화수라 칭한다)는 유수분리벽(19)의 하부를 통하여 유수분리벽(19)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위와 같이 유수분리벽(19)의 내측공간으로 차오르는 정화수는 정화수월류벽(15)을 넘어서 정화수모임실(18)에 담겨지게 되며, 정화수모임실(18)에 담겨지는 정화수는 정화수모임실(18)에 후방으로 연결된 정화수배출관(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그렇게 배출된 정화수를 사용자가 목적하는 바대로 재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월류벽(15)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구(16)를 나사로서 높이를 승하강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오일성분의 높이와 오염수(정화수)의 높이에 맞게 높이조절구(16)의 높이를 조절하여 정화수의 원활한 월 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때, 첫 번째의 1차막음판(35), 두 번째의 2차막음판(37), 세 번째의 1차막음판(35) 등 차례를 붙여 설명한 것에서, 도면상에서 1, 2차막음판(35,37)을 각기 3개씩 설치하여 모두 6개를 설치한 것을 1, 2차막음판(35,37)을 구분하지 않고 앞에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등으로 표현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케이스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설치되는 오염수지연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상판을 분리시킨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도 4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본체 11 : 오염수유입관 12 : 받침벽
13 : 폐유월류부 14 : 폐유월류벽 15 : 정화수월류벽
16 : 높이조절구 17 : 장공 18 : 정화수모임실
19 : 유수분리벽 20 : 정화수배출관 21 : 폐유배출관
30 : 오염수지연체 31 : 상판 32 : 손잡이
33 : 거품소멸구멍 34 : 측면절곡부 35 : 1차막음판
36 : 오염수통과부 37 : 2차막음판
Claims (2)
- 삭제
- 오염수가 유입되어 담기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형 케이스본체(10)와, 케이스본체(10)에 삽탈식으로 설치되는 오염수지연체(30)로 유수분리기가 이루어지며,상기 케이스본체(10)는 전방벽 상부에 오염수유입관(11)가 하향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의 후방벽 중앙 상부에는 요(凹)홈 형태의 정화수월류벽(15)이 형성되며, 케이스본체(10) 후방벽 내측 중앙에는 정화수월류벽(15)을 감싸는"ㄷ"자 형태의 유수분리벽(19)이 케이스본체(10)의 바닥면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정화수월류벽(15) 후방의 케이스본체(10) 후방벽 외측에는 후방에 정화수배출관(20)이 연결된 정화수모임실(18)이 상부가 개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정화수월류벽(15)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17)을 형성한 요(凹)홈 형태로 형성된 높이조절구(16)가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되고,상기 유수분리벽(19) 양측의 케이스본체(10) 내측 모서리에는 폐유월류부(13)를 형성한 폐유월류벽(14)이 상하 전길이에 걸쳐 설치되며, 폐유월류벽(14)에 대응하는 케이스본체(10)의 후방 양측벽에는 폐유배출관(21)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본체(10) 내측 바닥에는 후단부가 폐유월류벽(14)과 이격되게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기 오염수지연체(30)가 얹혀지는 한 쌍의 받침벽(12)이 수직 설치되며,상기 오염수지연체(30)는 상부에 손잡이(32)를 설치한 상판(31)의 하부에 전방부터 후방 까지 저면이 받침벽(12)에 얹혀지는 수개의 1차막음판(35)과 2차막음판(37)이 교대로 간격을 두고 하향 설치되며,상기 1차막음판(35)은 "V"자 형의 절곡되며 양측 날개부가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과 미세한 틈새(G2)를 형성하게 하는 측면절곡부(34)가 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2차막음판(37)은 한 쌍의 경사판(37a)을 "V"자 형태로 배치되게 설치하되, 중앙부에 오염수가 통과할 소정의 간격(G1)을 두고, 양측 경사판(37a)의 외측 날개부는 케이스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상기 상판(31)에는 1차막음판(35)의 중앙측 절곡부와 2차막음판(37)의 간격(G1)을 노출되게 하는 수개의 거품소멸구멍(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0473A KR100918317B1 (ko) | 2009-04-08 | 2009-04-08 | 유수분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0473A KR100918317B1 (ko) | 2009-04-08 | 2009-04-08 | 유수분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18317B1 true KR100918317B1 (ko) | 2009-09-18 |
Family
ID=4135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0473A KR100918317B1 (ko) | 2009-04-08 | 2009-04-08 | 유수분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831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15507A (zh) * | 2016-08-30 | 2016-12-14 | 陈建秋 | 一种油水分离器 |
KR101806446B1 (ko) * | 2015-11-26 | 2017-12-14 | (주)한스이엔지 | 케이스 모듈 |
KR20190050511A (ko)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 오일 스키머 |
WO2021080387A1 (ko) * | 2019-10-23 | 2021-04-29 | 주식회사 쉐코 |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41577U (ko) * | 1975-09-18 | 1977-03-24 | ||
KR200225625Y1 (ko) | 2000-12-20 | 2001-06-01 | 주식회사대진환경산업 | 오수 여과장치 |
JP2001252503A (ja) * | 2000-03-13 | 2001-09-18 | Takehisa Osugi | 油水分離装置 |
KR20050100503A (ko) * | 2004-04-14 | 2005-10-19 |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 유수분리기 |
-
2009
- 2009-04-08 KR KR1020090030473A patent/KR1009183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41577U (ko) * | 1975-09-18 | 1977-03-24 | ||
JP2001252503A (ja) * | 2000-03-13 | 2001-09-18 | Takehisa Osugi | 油水分離装置 |
KR200225625Y1 (ko) | 2000-12-20 | 2001-06-01 | 주식회사대진환경산업 | 오수 여과장치 |
KR20050100503A (ko) * | 2004-04-14 | 2005-10-19 |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 유수분리기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6446B1 (ko) * | 2015-11-26 | 2017-12-14 | (주)한스이엔지 | 케이스 모듈 |
CN106215507A (zh) * | 2016-08-30 | 2016-12-14 | 陈建秋 | 一种油水分离器 |
KR20190050511A (ko)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 오일 스키머 |
WO2021080387A1 (ko) * | 2019-10-23 | 2021-04-29 | 주식회사 쉐코 |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
KR20220054142A (ko) * | 2019-10-23 | 2022-05-02 | 주식회사 쉐코 |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
KR102457561B1 (ko) * | 2019-10-23 | 2022-10-21 | 주식회사 쉐코 |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68087B1 (ja) | 流水分派装置及び流水分派方法 | |
JP3138478B2 (ja) | 液体、気体及び粒子材料を含む液体のための沈降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洗浄装置及び排水を洗浄するための方法 | |
KR100918317B1 (ko) | 유수분리기 | |
CN107349637B (zh) | 气体浮选罐 | |
JP3546359B2 (ja) | 油水分離装置 | |
CN203159349U (zh) | 一种新型多级含油废水处理装置 | |
KR101353039B1 (ko) |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 |
US9260853B2 (en) | Self cleaning debris screen for runoff water separation apparatus | |
JP2016204832A (ja) | 流水分派装置及び流水分派装置の製造方法 | |
US9695584B2 (en) | Inclined plates for CSO | |
JP5944682B2 (ja) | 油分離槽 | |
KR20150001964U (ko) | 배수 및 순환 장치를 구비한 어항 | |
CN203794669U (zh) | 无动力油水分离装置 | |
KR0119390B1 (ko) |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 |
KR100230914B1 (ko) | 수면접촉식 유수분리장치 | |
KR101365028B1 (ko) | 필터 암거수로 내의 역세정 중에 이중분리를 이용하여 기체 및 액체를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 |
CN111569476B (zh) | 一种非均相混合物重力沉降分离器 | |
CN203048636U (zh) | 吸油板式隔油池 | |
CN202006041U (zh) | 油水分离器 | |
JP2009165906A (ja) | 重力分離装置 | |
CN221166112U (zh) | 路桥施工用污水处理装置 | |
CN2651233Y (zh) | 隔油池 | |
JP7072776B2 (ja) | 分離装置 | |
CN217015426U (zh) | 油水分离水箱 | |
KR20170024624A (ko) |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