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142A -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142A
KR20220054142A KR1020200152562A KR20200152562A KR20220054142A KR 20220054142 A KR20220054142 A KR 20220054142A KR 1020200152562 A KR1020200152562 A KR 1020200152562A KR 20200152562 A KR20200152562 A KR 20200152562A KR 20220054142 A KR20220054142 A KR 20220054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storage unit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561B1 (ko
Inventor
권기성
한상훈
김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코
Publication of KR2022005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1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수면 등에 있어 오염이 발생하면 오염지역의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신속하게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한 선박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면에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선체로서, 상기 선체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통해 흡입된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결해 주어 상기 오염수가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 하단에 배치되어 밀도차에 의해 아래로 분리되는 물을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부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는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수평에서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오염수 이송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상기 배출부까지 흐름 시간을 늘리기 위한 방해판이 배치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Apparatus for skimming a floatable layer from a water surface containing oil separator}
본 발명은 유출된 기름과 같은 수면 부유층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염된 해수역을 부유하여 다니면서 오염된 물을 흡입한 후 기름 등과 같은 부유 오염물과 물을 분리시켜 물만을 배출시키는 선박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름 유출은 액체 석유 탄화수소를 고의가 아닌 인간의 활동의 결과로 주변 환경에 유출하는 것을 말한다. '기름'은 원유를 포함하여 정제된 기름, 정제된 석유 제품(가솔린, 디젤 등), 또는 부산물, 배의 벙커유, 유성의 폐기물이 될 수도 있다. 유출된 기름은 정화에 여러 달에서 여러 해가 걸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유화제나 흡습제가 해상에 투입되거나, 흡착포를 이용한 제거 또는 자동화된 유수기를 이용한 제거 방법 등이 사용된다.
자동화된 유수기는 위어식 유회수기(Weir Skimmer), 흡착식 유회수기(Oleophilic Skimmer), 컨베이어식 유회수기(Conveyor Skimmer), 원심력식 유회수기(Hydro-Dynamic Skimmer), 이동식 & 고정식(선박 장착형) 유회수기, 진공식 유회수기(Vacuum Skimmer) 등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장치는 모두 대형 선박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국내에서의 기름 유출 사고는 연 평균 270여회 발생하고 유출되는 기름의 양은 70만L에 달한다. 대부분의 기름 유출은 100L 이하 작은 규모 사고이며, 이는 전체 사고의 빈도 수의 70%를 차지한다. 문제는 기존의 자동화 장비들은 모두 고가의 대형 장비로 기름 유종에 따라 다른 장비를 써야한다는 이유로 대형 기름 유출 사고에 주로 사용되고 작은 규모의 사고는 모두 재래식 노동집약형 작업의 흡착포 작업이 다수를 이룬다.
그 과정에서 방제자들에게 기름냄새, 두통, 허리 통증등의 산업재해가 발생되며 자연스럽게 노동시간은 늘어나 초동대치가 힘들어지며 폐기물의 양은 늘어나게 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 기름 유출 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동화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수면 등에 있어 오염이 발생하면 오염지역의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신속하게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한 선박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면에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선체로서, 상기 선체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통해 흡입된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결해 주어 상기 오염수가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 하단에 배치되어 밀도차에 의해 아래로 분리되는 물을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부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는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수평에서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오염수 이송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상기 배출부까지 흐름 시간을 늘리기 위한 방해판이 배치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에는 고형물의 인입을 막기 위한 여과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수 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형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원통형 튜브이고, 일단부는 상기 저장부의 수면 아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해판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 또는 상단과 하단 모두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해판은 상기 유입구 방향을 향하는 쐐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해판은 상기 저장부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간에 상기 오염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는 무인으로 작동되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에는 수면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탑재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오염된 수면에 배치된 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가 수면의 오염 여부를 파악하고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오염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방향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수면의 투과율을 판단할 수 있는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통해 기름 유출 사고에 대해 빠른 대응과 효율적인 정화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력장치를 제외한 선체의 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력장치를 제외한 선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력장치를 제외한 선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력장치를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부력장치를 제외한 선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부력장치를 제외한 선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부력장치를 제외한 선체의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해수면 등에 있어 오염이 발생하면 오염지역의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신속하게 오염수를 정화하기 위한 선박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면에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선체로서, 상기 선체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통해 흡입된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결해 주어 상기 오염수가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 하단에 배치되어 밀도차에 의해 아래로 분리되는 물을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부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는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수평에서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오염수 이송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상기 배출부까지 흐름 시간을 늘리기 위한 방해판이 배치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는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선체로서, 선체 내에는 구동을 위한 스크류 장치와 모터 또는 엔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체는 수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유입구를 포함하여 오염수역을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오염수를 받아들이게 된다.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유입구에는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큰 고형물을 유입을 막기 위해 여과수단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과수단은 여과를 위해 유입구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형태일 수 있고, 메쉬와 같은 망 형태일 수도 있다.
이렇게 유입되는 오염수는 튜브 형태일 수 있는 연결부를 통해 저장부로 이송되는데, 원활한 오염수의 이송을 위해서 연결부는 수평에서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오염수 이송수단이 배치된다. 오염수 이송수단으로는 모터가 연결되어 회전하는 나선형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는 장치 외부로 역류하지 않고 원활하게 저장부에 도달할 수 있고 저장부에 도달한 이후에도 저장부 뒤쪽에 배치되는 배출부까지 쉽게 이송되어 이송 중에 정화된 물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면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수면과 같은 높이에서 유입되는 오염수가 원활하게 저장부로 유입되는 것을 도울 수 있는데, 오염수를 저장부로 배출하는 연결부의 단부는 이러한 저장부의 수면 아래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오염수의 저장부로의 흐름을 도울 수 있다.
이렇게 저장부로 이송된 오염수는 저장된 상태에서 기름 등으로 오염된 부분과 오염되지 않은 부분이 밀도차에 의해 각각 위와 아래로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분리된 오염되지 않은 부분의 물은 저장부의 뒤편 아래에 배치될 수 있는 배출부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정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위에 떠 있는 오염된 부분은 장치가 돌아온 후 제거된다. 배출부는 단순히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 형상일 수 있고, 주기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이렇게 저장부는 배출부로 인해 지속적 또는 일시적 개방 상태이어서 선체에 부력을 유지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에 선체에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력 장치가 저장부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부력장치는 속이 비어서 밀폐되어 있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관 또는 튜브 형태일 수 있는데, 선체의 좌우에 배치되어 선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선체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 내에는 오염수가 연결부로부터 들어온 후 저장부의 뒤쪽 하단에 배치되는 배출부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그 이동 시간을 늘려주기 위한 방해판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방해판에 의해 연결부를 통해 저장부로 유입된 오염수는 배출부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방해판이 없을 때보다 증가하여 밀도차에 의해 오염된 부분과 오염되지 않은 부분으로 분리가 좀 더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해판은 상단과 하단에 모두 고정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오염수는 방해판의 측면을 통해 돌아 흐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배출부까지의 이동시간이 더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방해판은 상단에만 고정될 수도 있다. 기름 등으로 오염된 오염수는 오염된 부분이 밀도가 낮기 때문에 위로 뜨게 된다. 따라서, 위로 뜨는 오염수가 방해판을 넘어서 바로 흐르지 않도록 방해판은 상단에 고정되어 오염수의 이동 시간을 늘려줄 수 있다. 한편, 오염되지 않은 오염수는 저장부의 아래에서 격벽 역할 을 하는 방해판 없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오염되지 않은 물은 격벽없이 선체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선체의 평형을 잡아줄 수 있는 평형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해판은 원활한 흐름을 위해 유입구 방향을 향하는 쐐기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구를 통해 저장부로 들어온 오염수는 배출부까지 이동하는 동안 통과하는 방해판이 쐐기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원활한 이동이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해판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저장부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간에 오염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오염수가 구멍을 통해 이동하기 때문에 그만큼 이동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충분히 오염수가 오염된 부분과 오염되지 않은 부분으로 분리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는 특히 무인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사람이 탈 수 있는 공간이 필요없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오염 지역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배치시킴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무인으로 작동하기 위한 제어는 유선 또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 가능하다.
또한, 선체 내부에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탑재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기름이 유출된 지역에 배치된 후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영상을 통해 컨트롤러가 자체적으로 판단해서 기름이 있는 부분을 파악하여 기름이 있는 부분으로 이동하면서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여 정화 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영상 인식을 위해서는 HSV 알고리즘과 시멘틱 세그멘테이션(sementic segmentation)을 채택하여 물 위에 기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머신 러닝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해수면의 햇빛이나 그림자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에는 추가적으로 수면의 투과율을 판단할 수 있는 광센서를 부착하여 투과율을 판단한 후 진행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를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에서 이동가능한 선체(10)의 전면에는 오염수 유입부(20)가 배치된다. 오염수 유입부(20) 보다 뒤에는 유입된 오염수가 저장되는 저장부(40)가 있게 되고, 연결부(30)는 선체(10)의 오염수 유입부(20)와 저장부(40)를 연결해 준다.
선체(10)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수면은 유입구(21)의 높이 범위 내에 있게 되어 선체(10)의 전진에 따라 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유입구(21)에는 오염수에 부유할 수 있는 큰 크기의 고형물의 유입을 막기 위해 여과수단(22)이 포함된다.
저장부는 선체(10)가 수면에서 부유할 때 수면보다 아래에 있게 되는 하부영역(41)이 있게 된다. 연결부(30)는 수평에서 아래를 향해서 오염수가 원활하게 아래로 흐를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해 연결부(30)가 저장부(40)와 소통하는 단부는 저장부(40)의 하부영역(41)에 배치된다.
또한 연결부(30)에는 튜브(33)와 튜브(33) 내부에 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형 스크류(32)가 배치된다.
선체(10)가 전진함에 따라 오염수 유입부(20)로부터 오염수가 유입되고 이를 연결부(30)의 나선형 스크류(32)를 통해 저장부(40)의 하부영역(41)으로 강제 이송시킴으로써 오염수가 배출부(50)가 있는 저장부(40)의 뒷부분까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오염수는 저장부(40)의 뒷부분까지 이동하면서 밀도차에 의해 기름에 의해 오염된 밀도가 낮은 부분과 오염되지 않은 밀도가 높은 부분으로 분리되는데 밀도가 높은 오염되지 않은 부분은 저장부의 뒤쪽 하단에 배치되는 배출부(50)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오염수의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오염수가 저장부(40) 내에서 이동할 때 이동 시간이 길어질 수록 오염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의 분리가 좀 더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저장부(40)의 용적 내에서 이동 시간을 최대한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저장부(40) 내에는 오염수의 이동 시간을 늘려주기 위한 방해판(43-1)이 배치된다. 방해판(43-1)은 저장부(40)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고정되고 연결부(30)를 향하는 쐐기 형상이 된다. 오염수는 이러한 방해판(43-1)을 통과하면서 결과적으로 이동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이동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된 부분과 오염되지 않은 부분으로 밀도차에 의한 분리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방해판(43-1)이 저장부의 측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관통홀(44)을 배치하여 효과적으로 오염수가 정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선체(10)의 좌우에는 부력장치(60)가 배치되는데, 이는 속이 비어서 수밀된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튜브가 될 수 있다. 저장부(40)는 하단에 배출부(50)가 배치되어 선체(10)에 부력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선체(10)에 부력을 주기 위해 추가적인 부력장치(60)가 필요하다. 이러한 부력장치(60)는 선체(10)의 전후진 방향에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좌우에 배치하였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방해판(43-2)은 저장부(40)의 상단에 고정되고 저장부(40)의 횡방향으로 배치되었다. 방해판(43-2)는 오염수가 소통할 수 있는 통과 구멍(45)이 배치되어 이를 통해 오염수가 흐를 수 있게 되었다.
오염수에서 기름 등의 오염물질은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위로 뜨게 된다. 따라서 방해판(43-2)은 하단보다 상단에서 흐름을 느리게할 필요가 있는데, 아래에서는 오염되지 않은 물이 격벽 역할을 하는 방해판 없이 위치함으로써 선체(10)의 평형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방해판(43-2)이 저장부(40)의 상단에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부(40)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향 흐름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부(30)의 출구(34) 쪽의 저장부(40) 바닥에는 유입되는 오염수의 흐름을 상향 유도할 수 있는 유도판(46)이 배치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판(46)은 평판으로 저장부(40)의 하단에 비스듬히 배치되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방해판(43-3)은 저장부(40)의 상단에 고정되고 선체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면서 배출부(50)를 향해 기울어져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저장부(40)로 유입된 오염수는 방해판(43-3)을 통과하면서 원활하게 배출부(50)로 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유도판(46)은 저장부(40)의 하단에 배치되고 유입되는 오염수에 대해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만들어졌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수면에서 부유하면서 이동가능한 선체로서,
    상기 선체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오염수를 받아들이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결해 주어 상기 오염수가 이동할 수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오염수 유입부의 반대측 하단에 배치되어 밀도차에 의해 아래로 분리되는 물을 장치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상기 저장부에 연결되는 부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는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여 상기 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수평에서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저장부로 이송시킬 수 있는 오염수 이송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선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유입된 상기 오염수의 상기 배출부까지 흐름 시간을 늘리기 위한 방해판이 배치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는 고형물의 인입을 막기 위한 여과수단이 배치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이송수단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형 스크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원통형 튜브이고, 일단부는 상기 저장부의 수면 아래 부분에 배치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판은 상기 저장부의 상단에 또는 상단과 하단 모두에 고정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판은 상기 유입구 방향을 향하는 쐐기형상을 가지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판은 상기 저장부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간에 상기 오염수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 구멍을 가지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무인으로 작동되고,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될 수 있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수면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탑재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오염된 수면에 배치된 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상기 컨트롤러가 수면의 오염 여부를 파악하고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오염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방향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수면의 투과율을 판단할 수 있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KR1020200152562A 2019-10-23 2020-11-16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KR102457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2071 2019-10-23
KRPCT/KR2020/014612 2020-10-23
PCT/KR2020/014612 WO2021080387A1 (ko) 2019-10-23 2020-10-23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142A true KR20220054142A (ko) 2022-05-02
KR102457561B1 KR102457561B1 (ko) 2022-10-21

Family

ID=7561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562A KR102457561B1 (ko) 2019-10-23 2020-11-16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7561B1 (ko)
WO (1) WO202108038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712U (ko) * 1995-11-13 1997-06-20 이복환 유출유 회수장치
KR200323120Y1 (ko) * 2003-05-19 2003-08-14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항만용 해수면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18317B1 (ko) * 2009-04-08 2009-09-18 김점수 유수분리기
KR20150098746A (ko) * 2014-02-21 2015-08-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착포 살포장치가 구비된 무인쌍동선 및 그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8793A (ja) * 1997-03-18 1998-09-29 Daiwa Kogyo Kk 流出油回収装置
KR100975068B1 (ko) * 2008-03-31 2010-08-11 박강원 기름 수거용 선박
KR20140025875A (ko) * 2012-08-23 2014-03-05 이근섭 유수 분리기능의 선박
KR101818713B1 (ko) * 2015-11-19 2018-01-23 (주)오토켐코리아 기름 포집 로봇 군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712U (ko) * 1995-11-13 1997-06-20 이복환 유출유 회수장치
KR200323120Y1 (ko) * 2003-05-19 2003-08-14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항만용 해수면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18317B1 (ko) * 2009-04-08 2009-09-18 김점수 유수분리기
KR20150098746A (ko) * 2014-02-21 2015-08-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착포 살포장치가 구비된 무인쌍동선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387A1 (ko) 2021-04-29
KR102457561B1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US3700107A (en) Apparatus for recovery of floating substances
US5066407A (en) Petrochemical recovery machine
KR100239829B1 (ko) 해상 유출기름 수거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03649416B (zh) 抽吸式浮子和收集装置以及收集船
KR101511949B1 (ko) 해상 유출유류의 오염방지를 위한 유류 처리장치
KR102457561B1 (ko) 유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JPH10258793A (ja) 流出油回収装置
KR102457560B1 (ko)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KR20180132480A (ko) 이동식 선박 폐유수 처리 시스템
KR20180132481A (ko) 선박 폐유수 이동식 처리 시스템
KR100542338B1 (ko) 눈금판 필터 모듈이 구비된 유수분리장치
JP2007084010A (ja) 含油廃水処理船
KR102204377B1 (ko) 유수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제시스템
KR20190061685A (ko)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US4470905A (en) Mechanism for extraction of immiscible, less dense material from a fluid
KR100371616B1 (ko) 수상 부유물 수거처리장치
KR20020089937A (ko) 해저 폐기물 수거장치 및 그 예인선
CA1168991A (en) Topological separator
CN111719521A (zh) 船载内置式dip动态斜面水面溢油回收系统
JPS587325B2 (ja) ユスイブンリソウチ
KR101728209B1 (ko) 기름 방재 및 기름 회수용 선박
CN214167425U (zh) 一种可自动出油除渣的隔油池水油分离装置
RU20715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плавающих жидких загрязнений
KR102573240B1 (ko) 녹조 흡입기 및 이를 활용한 녹조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