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665A - 오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665A
KR20200084665A KR1020190000810A KR20190000810A KR20200084665A KR 20200084665 A KR20200084665 A KR 20200084665A KR 1020190000810 A KR1020190000810 A KR 1020190000810A KR 20190000810 A KR20190000810 A KR 20190000810A KR 20200084665 A KR20200084665 A KR 2020008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water
separato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3640B1 (ko
Inventor
방재영
Original Assignee
방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재영 filed Critical 방재영
Priority to KR102019000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6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animals, e.g. poultry, fish,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는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분리통과, 상기 제 1 분리통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제 2 분리통과, 상기 제 1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분리통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토출관과, 상기 제 2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토출관 및 상기 제 2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름과 물을 분리하여 물은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배출하고, 기름은 수거하여 수지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수 처리 장치{OIL SEPARATOR}
본 개시내용은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 등을 조리한 후 발생되는 기름, 슬러지, 오수 등을 분리하여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는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급식소, 군부대, 식당, 부산물 가공공장, 치킨집 등에서 음식물을 삶거나 튀기면 배수를 통하여 기름, 슬러지를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음식물을 조리하고 남은 부산물이 하수구로 버려지는 경우 기름과 슬러지 혼합물이 돌덩어리처럼 굳어져 하수구를 막게 된다.
따라서 하수구 수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환경적으로나 사회적 비용이 너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수년간 부산물 가공업체의 슬러지 및 기름 유출로 정화조가 막혀 제 기능을 못하여 많은 비용이 지출되었고, 지금도 당국 모르게 하수구를 통하여 기름진 슬러지를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10-1475696호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순대 등의 육류 부산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지방, 슬러지, 오수 등의 도축 부산물을 각기 분리하여 물과 지방 및 슬러지를 각각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는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분리통과, 상기 제 1 분리통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제 2 분리통과, 상기 제 1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분리통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토출관과, 상기 제 2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토출관 및 상기 제 2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름망은 상기 제 1 분리통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는 슬러지 등이 걸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토출관은 상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1 흡입관과, 상기 제 1 흡입관의 측면에 통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분리통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 1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토출관은 상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2 흡입관과, 상기 제 2 흡입관의 측면에 통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배출관은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리통 내로 오수가 유입되면 제 1 배출관에서 흡입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배출관을 따라 제 2 분리통 내부로 물이 배출되며,상기 제 1 절곡부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면 상기 제 1 배출관을 통한 물의 배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배출관은 제 3 절곡부와 제 4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분리통 내로 상기 제 1 분리통으로부터 걸러진 물이 유입되면 제 2 배출관에서 흡입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배출관을 따라 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3 절곡부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면 상기 제 2 배출관을 통한 물의 배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토출관은 절곡지게 형성되고 일측에 잠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밸브 개방시 상기 제 3 토출관을 따라 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3 토출관의 상단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면, 물의 배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리통과 제 2 분리통 양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분리통은 하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제 2 분리통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분리통 외부 하단에는 복수 개의 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부산물, 순대 가공 및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지방, 슬러지, 물 등을 각기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어 하수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경적으로도 종말 하수처리장에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수분리장치는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재활용하여 비누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더불어 물은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배출할 수 있고, 3단계의 오수 처리과정을 거쳐 물과 기름을 완벽히 분리할 수 있으며, 기름은 수거하여 수지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 1 물 배출과정의 상세도
도 3은 제 2 물 배출과정의 상세도
도 4는 제 3 물 배출과정의 상세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개시내용에 따른 권리 범위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개시내용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성되는", "형성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편의상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제 1 물 배출과정의 상세도이고, 도 3은 제 2 물 배출과정의 상세도이며, 도 4는 제 3 물 배출과정의 상세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오수 처리 장치(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개시된다.
먼저,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거름망(60)이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분리통(10)이 개시된다.
오수는 순대나 족발 등을 삶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과 기름, 슬러지 및 기타 찌꺼기(털, 발톱) 등을 의미하며, 제 1 분리통(10)은 오수가 유입된 후 슬러지 등을 거름망(60)을 통해 걸러내고 남은 기름과 물 혼합물을 수용하게 된다.
이 때, 거름망(60)은 제 1 분리통(10)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분리통(10)은 제 2 분리통(20) 내부에 수용되는데, 제 2 분리통(20)에는 제 1 분리통(10)에서 1차적으로 걸러진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를 수용하는 저수공간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제 1 분리통(10)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제 1 분리통(10)을 관통하여 제 2 분리통(2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토출관(30)을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진 오수가 제 2 분리통(20) 내부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제 2 분리통(20)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제 2 분리통(2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토출관(40)을 통해 2차적으로 기름과 층 분리된 순수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 2 분리통(20)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제 2 분리통(2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토출관(50)이 있어, 제 2 토출관(40)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제 1 분리통(10)과 제 2 분리통(20) 양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제 1 분리통(10) 하단에는 다수의 지지부(80)가 형성되고, 제 2 분리통(20) 내부 바닥면에 끼움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1차적인 오수 분리과정의 상세도가 개시된다. 제 1 토출관(30)은 상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제 1 분리통(10)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1 흡입관(31)과, 제 1 흡입관(31)의 측면에 통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 1 분리통(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 2 분리통(20)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 1 배출관(32)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배출관(32)은 제 1 절곡부(33)와 제 2 절곡부(34)를 포함하며, 제 1 분리통(10) 상부로 오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되면 도 2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기름(O)은 물(W)보다 밀도가 낮아 물 위에 뜨게 되어 도 2a와 같이 기름(O), 물(W) 사이의 층 분리가 일어나게 되며,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제 1 배출관(32)에서 흡입력을 형성하게 되고, 자연적으로 물(W)이 계속 흡입되어 제 1 배출관(32)을 따라 물(W)이 제 2 분리통(20)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물(W)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도 2b와 같이 제 1 절곡부(33) 부근에 수위가도달하게 되면 기름(0)은 물(W)층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제 1 흡입관(31)의 상부 개구부와 제 1 절곡부(33)의 기압차가 없어지게 되어 제 1 배출관(32) 내부로 공기(A)가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공기(A)가 물(W)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배출관(32)을 통한 물(W)의 배출이 정지되게 된다.
이 때, 제 1 배출관(32)을 통해 제 2 분리통(20)으로 배출된 물은 도 2와 같이 제 2 배출관(42)을 통해 사이펀 원리에 따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1차적인 오수 처리과정을 통해 제 2 분리통(20) 내부로 유입된 물(W)은 완벽하게 정제된 상태가 아니며 약간의 기름(O)이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적인 오수 처리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제 2 토출관(40)은 상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2 흡입관(41)과, 상기 제 2 흡입관(41)의 측면에 통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리통(2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배출관(42)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배출관(42)은 제 3 절곡부(43)와 제 4 절곡부(44)를 포함하고,
제 2 분리통(20) 내로 상기 제 1 분리통(10)으로부터 1차적으로 걸러진 물(W)이 유입되면 제 2 흡입관(41)의 상측 개구부가 도 3a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1차 오수 처리과정과 마찬가지로, 기름(O)은 물(W)보다 밀도가 낮아 물 위에 뜨게 되어 도 3a와 같이 기름(O), 물(W) 사이의 층 분리가 일어나게 되며,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제 2 배출관(42)에서 흡입력을 형성하게 되고, 자연적으로 물(W)이 계속 흡입되어 제 2 배출관(42)을 따라 순수한 물(W)이 제 2 분리통(2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1차 오수 처리과정과 마찬가지로 물(W)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도 3b와 같이 제 3 절곡부(43)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게 되면 기름(0)은 물(W)층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제 2 흡입관(41)의 상부 개구부와 제 3 절곡부(43)의 기압차가 없어지게 되어 제 2 배출관(42) 내부로 공기(A)가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공기(A)가 물(W)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2 배출관(42)을 통한 물(W)의 배출이 정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2차 오수 처리과정을 통해 물(W)이 어느정도 배출되게 되면, 3차 오수 처리과정을 거쳐 물(W)을 외부로 최대한 배출할 수 있다.
제 3 토출관(50)은 절곡지게 형성되고 제 2 분리통(20)을 관통하며 일측에 잠금밸브(51)가 형성되는데,
도 4a와 같이 상기 2차 오수 처리과정에서 제 2 배출관(42)을 통한 물의 배출이 정지되게 되면 제 1 분리통(10)을 들어 내부에 담긴 물(W)과 기름(0)을 제 2 분리통(20)으로 붓게 된다.
그 후, 잠금밸브(51)를 개방시켜 주게 되면, 잠금밸브(51) 개방시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제 3 토출관(50)에서 흡입력을 형성하게 되므로, 자연적으로 물(W)이 제 3 토출관(50) 외부 쪽으로 계속 흡입되며, 이에 따라 제 3 토출관(50)을 통해 제 2 분리통(20) 외부로 물(W)이 배출되게 된다.
1, 2차 오수 처리과정과 마찬가지로 물(W)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도 4b와 같이 제 3 토출관(50)의 상단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게 되면 기름(0)은 물(W)층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제 3 토출관(50)의 내측 개구부와 외측 개구부 간의 기압차가 없어지게 되어 제 3 토출관(50) 외측 개구부 내부로 공기(A)가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공기(A)가 물(W)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3 토출관(50)을 통한 물(W)의 배출이 정지되게 된다.
위와 같은 일련의 오수 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면, 제 2 분리통(20) 내부에는 오수로부터 층 분리된 기름(O)이 물(W) 위에 떠 있게 된다.
제 3 토출관(50)을 통한 물(W)의 배출이 정지되면 잠금밸브(51)를 폐쇄하고, 제 2 분리통(20)을 들어 제 2 분리통(20) 내부에 있는 기름(0)을 다른 통으로 분리 배출시킨다.
부가적으로 제 2 분리통(20) 외부 하단에는 복수개의 휠(90)이 형성되어 오수 처리 장치(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부산물, 순대 가공 및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지방, 슬러지, 물 등을 각기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어 하수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환경적으로도 종말 하수처리장에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수분리장치는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바이오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더불어 물은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무동력으로 배출할 수 있고, 3단계의 오수 처리과정을 거쳐 물과 기름을 완벽히 분리할 수 있으며, 기름은 수거하여 수지원료로 재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내용의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오수 처리 장치 10 : 제 1 분리통
20 : 제 2 분리통 30 : 제 1 토출관
31 : 제 1 흡입관 32 : 제 1 배출관
33 : 제 1 절곡부 34 : 제 2 절곡부
40 : 제 2 토출관 41 : 제 2 흡입관
42 : 제 2 배출관 43 : 제 3 절곡부
44 : 제 4 절곡부 50 : 제 3 토출관
51 : 잠금밸브 60 : 거름망
70 : 손잡이 80 : 지지부
90 : 휠 O : 기름
W : 물 A : 공기

Claims (10)

  1.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는 거름망이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분리통;
    상기 제 1 분리통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수용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제 2 분리통;
    상기 제 1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분리통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토출관;
    상기 제 2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토출관; 및
    상기 제 2 분리통의 내부 하단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3 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제 1 분리통으로부터 탈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거름망의 상부에는 슬러지가 걸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관은 상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1 흡입관과, 상기 제 1 흡입관의 측면에 통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분리통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분리통의 하부로 연장되는 제 1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관은 상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2 흡입관과, 상기 제 2 흡입관의 측면에 통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분리통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출관은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분리통 내로 오수가 유입되면 제 1 배출관에서 흡입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배출관을 따라 제 2 분리통 내부로 물이 배출되며,
    상기 제 1 절곡부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면 상기 제 1 배출관을 통한 물의 배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출관은 제 3 절곡부와 제 4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분리통 내로 상기 제 1 분리통으로부터 걸러진 물이 유입되면 제 2 배출관에서 흡입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배출관을 따라 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3 절곡부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면 상기 제 2 배출관을 통한 물의 배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토출관은 절곡지게 형성되고 일측에 잠금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밸브 개방시 상기 제 3 토출관을 따라 물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3 토출관의 상단 부근에 수위가 도달하면, 물의 배출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통과 제 2 분리통 양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통은 하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제 2 분리통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리통의 외부 하단에는 복수 개의 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처리 장치.





KR1020190000810A 2019-01-03 2019-01-03 오수 처리 장치 KR102193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10A KR102193640B1 (ko) 2019-01-03 2019-01-03 오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10A KR102193640B1 (ko) 2019-01-03 2019-01-03 오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665A true KR20200084665A (ko) 2020-07-13
KR102193640B1 KR102193640B1 (ko) 2020-12-21

Family

ID=7157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810A KR102193640B1 (ko) 2019-01-03 2019-01-03 오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4038A (zh) * 2020-08-07 2020-10-23 齐鲁工业大学 一种油水泥分离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049A (ko) * 2012-12-06 2014-06-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소각용 폐오일 분리시스템
KR101475696B1 (ko) 2014-09-17 2014-12-24 (주)우리비앤비 도축 부산물 처리 장치
KR101876569B1 (ko) * 2011-09-08 2018-08-02 이종선 폐식용유 정제장치
KR101893020B1 (ko) * 2018-03-21 2018-08-30 방재영 육류 조리 부산물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22946T2 (de) * 1992-11-03 1999-08-12 Ibm Photolackzusammensetz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69B1 (ko) * 2011-09-08 2018-08-02 이종선 폐식용유 정제장치
KR20140073049A (ko) * 2012-12-06 2014-06-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소각용 폐오일 분리시스템
KR101475696B1 (ko) 2014-09-17 2014-12-24 (주)우리비앤비 도축 부산물 처리 장치
KR101893020B1 (ko) * 2018-03-21 2018-08-30 방재영 육류 조리 부산물의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4038A (zh) * 2020-08-07 2020-10-23 齐鲁工业大学 一种油水泥分离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640B1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224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storm water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GB2423264A (en) A sludge separator
WO2010050795A1 (en) Kitch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US9561453B2 (en) Contaminated water treat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U2018288385B2 (en)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CN102030380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过滤装置
JP3804004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20200084665A (ko) 오수 처리 장치
KR100874477B1 (ko) 수처리용 침전조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CN203890202U (zh) 一种带有除渣装置的多级处理油水分离净化装置
KR101213396B1 (ko) 폐수 정화장치
CN211357991U (zh) 一种瓦楞纸废水处理装置
KR101893020B1 (ko) 육류 조리 부산물의 처리장치
EP0577948A2 (de) Abscheideranlage für mit Sink- und/oder Schwimmstoffen beladene Abwässer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2003401B1 (ko) 유수 분리시스템 및 그 유수 분리시스템의 전처리장치
JP2014008487A (ja) 沈砂分離装置
CN205821021U (zh) 生活污水油水分离一体化处理装置
KR100979530B1 (ko) 하수 처리 장치
CN210595741U (zh) 罐底油泥处理系统
JP3198327U (ja) 阻集器用バスケットおよび阻集器
KR101748232B1 (ko) 사이클론을 이용한 슬러지 제거 장치
CN208843912U (zh) 撬装式含油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