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121B1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121B1
KR101860121B1 KR1020160022062A KR20160022062A KR101860121B1 KR 101860121 B1 KR101860121 B1 KR 101860121B1 KR 1020160022062 A KR1020160022062 A KR 1020160022062A KR 20160022062 A KR20160022062 A KR 20160022062A KR 101860121 B1 KR101860121 B1 KR 101860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separating
spa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682A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도 filed Critical (주)거도
Priority to KR102016002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는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1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2유입구가 마련된 제2분리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기름과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물과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물에 대한 기름의 분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수분리기{Oil separ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기름의 밀도 차이를 이용해 강이나 저수지 또는 바다의 유출기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현장에서의 기름유출, 유조차나 유조선의 사고, 선박의 좌초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름 유출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 즉, 예를 들어 약품 처리방법, 기름 흡착포를 이용하는 방법 및 수작업에 의한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방법들보다 기름 수거 효과가 우수한 웨어형 기름 분리 장치(weir type oil simmer)가 이용되고 있다. 웨어형 기름 분리 장치는 크게 부력체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수면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우징, 유수 분리기 및 하우징 내로 유입된 물(기름이 섞여진 상태임)을 유수 분리기로 송출하기 위한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름 분리 장치에서는 하우징 내에 기름이 혼합된 물(이하, 편의상 "오염수"라 칭한다.)이 유입되면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오염수는 유수 분리기로 강제 송출된다. 유수 분리기 내에서 기름과 물의 분리 공정이 진행된 후, 물은 외부로 배출되며, 물과 분리된 기름은 저장 탱크로 유입된다.
이러한 웨어형 기름 분리 장치는 전술한 일반적인 방법보다는 기름 분리 성능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기름은 물에 접촉하면 수면에 엷게 퍼져 버리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기름의 양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전체 오염수의 70% 내지 90%를 차지함)이 하우징 내에 유입된다. 펌프를 이용하여 이러한 오염수를 유수 분리기로 송출하는 과정에서, 펌프 내부의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기름 방울이 물과 혼합됨에 따라 물과 기름의 분리가 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태의 유수분리기가 개발되고는 있지만 유수의 분리 효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바다의 경우에는 유조선이나 선박의 사고로 인해 다량의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여전히 기름띠를 설치하고 부직포로 수면의 기름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나 트롤과 같은 고가의 장비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417337호 :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등록특허 제10-1139933호 : 유수 분리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물과 기름의 비중 차이에 의해 기름이 유출되어 오염된 오염수로부터 물과 기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유수분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본체의 전단부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리부재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는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1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2유입구가 마련되되,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분리부재를 더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측 하부에 형성된 제1물배출구에 연통되게 내부에 배수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제2물배출구가 형성된 배수탱크와, 상기 제2물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탱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공간 내부로 인입되게 연장되며, 상기 배수탱크 내부에 유입된 물을 상기 제2물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제4유입구가 형성되되, 상면이 상기 제2분리부재의 상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 제4분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분리본체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입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하부에 각각 배수구들이 형성되며, 최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상부에 각각 유입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들과 유입구들에 연통되는 연통공간이 마련된 보조본체와, 상기 연통공간을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보조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보조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유동구가 형성된 다수의 보조격벽과, 상기 유동구를 통해 상기 보조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에 유입되되, 상기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대향된 상기 유입구 및 배수구 사이의 상기 보조공간 내에 설치된 다수의 차단벽과,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보조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3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3분리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3분리부재들은 전방으로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격벽들은 상기 유동구가 전방측에 인접된 상기 차단벽보다 하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본체는 상기 단위공간에 잔류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분리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단위공간들 중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본체의 내벽면에, 상기 제2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보조 기름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에 연결된 보조 배출관과, 상기 보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2분리부재가 설치된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측 분리공간에 구비되어 분리공간에 포집된 기름의 유동성을 활성화시키거나 기름을 상기 제2분리부재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이동보조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는 기름과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물과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물에 대한 기름의 분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유수분리기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유수분리기의 4번째 단위공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유수분리기의 유수분리팩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유수분리팩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유수분리기의 물배출부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유수분리기의 전후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수분리기(100)는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111)가 형성된 분리본체(110)와,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121)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110)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122)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120)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122)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1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120)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121)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121)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122)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131)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130)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111)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110)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름배출구(111)에 연통되는 상기 단위공간(121)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1기름배출구(111)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2유입구(141)가 마련된 제2분리부재(140)와, 상기 분리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단위공간(121)들 사이로 유입수를 유동시키는 유동부(150)와, 상기 분리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121)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분리본체(110)는 내부에 분리공간의 마련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로 유입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본체(110)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입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121)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121)들에 대응되는 좌측면 하단부에 각각 배수구(11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리본체(110)는 최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121)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121)들에 대응되는 좌측면 상부에 각각 인입구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인입구들은 후방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기름배출구(111)는 최후방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에 대응되는 위치의 분리본체(110) 우측면에 형성되되, 최후방에 위치한 인입구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본체(110)는 제1기름배출구(111) 상측의 내측면에는 보조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본체(110)는 인입구들 상측의 좌측면에 각각 제1보조배출구(113)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분리본체(110)는 우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1기름배출구(111) 및 보조구에 연통되는 공간부가 마련된 수집탱크(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집탱크(118)에는 수집탱크(118) 내부로 유입된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리본체(110)는 최후방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후면 하단부에 제1물배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본체(110)는 단위공간(121)들에 대응되는 우측면 하부에 단위공간(121)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드레인관(117)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관(117)에는 상기 드레인관(117)의 내부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분리본체(110)는 상기 단위공간(121)에 잔류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분리격벽(120)에 의해 구획된 상기 단위공간(121)들 중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121)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본체(110)의 내벽면에 보조 기름배출구(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기름배출구(119)는 제1기름배출구(111)에 인접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2분리부재(140)의 상면보다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분리본체(110)에는 상기 보조 기름배출구(119)에 연통되게 보조 배출관(125)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 배출관(125)에는 내부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 기름배출구(119)를 통해 제2분리부재(140)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한 기름이 배출되므로 단위공간(121)에 잔류하는 기름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분리격벽(120)은 3개가 분리본체(110)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분리격벽(120)은 분리본체(110)의 분리공간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폭을 갖고, 분리공간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분리격벽(120)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기름배출구(122)는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이때, 분리격벽(120)은 전방으로 인접된 분리격벽(120)의 제2기름배출구(122)보다 하측에 제2기름배출구(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리격벽(120)은 제2기름배출구(122)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보조배출구(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조배출구(123)는 제2기름배출구(122)에 대응되게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제1분리부재(130)는 제2기름배출구(122)를 덮도록 상기 분리격벽(120)의 전면에 설치되며, 분리격벽(120)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기름배출구(122)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1분리부재(130)는 내부에 상기 분리격벽(120)의 제2기름배출구(122)에 연통되는 제1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분리부재(130)는 상면에 다수의 제1유입구(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최전방에 위치한 제1분리부재(130)를 제외한 제1분리부재(130)들은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전방에 위치한 제1분리부재(130)에 대해 상측의 분리본체(110) 내벽면에는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제1분리부재(130) 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유도부재(1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도부재(115)는 분리본체(110)의 전단부 내측면에 설치되며,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유도부재(115)는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분리본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하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분리부재(140)는 제1기름배출구(111)를 덮도록 상기 분리본체(110)의 후방측 내벽면에 설치되며, 분리본체(110)의 내벽면에 대해 단위공간(121)의 중심방향으로 인입되게 돌출형성된다.
제2분리부재(140)는 내부에 제1기름배출구(111)에 연통되는 제2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분리부재(140)는 상면에 다수의 제2유입구(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분리부재(140)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110)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분리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는 분리본체(110)의 후방측 분리공간에는 분리공간에 포집된 기름의 유동성을 활성화시키거나 기름을 상기 제2분리부재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이동보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보조부는 분리공간에 포집된 기름이 제2분리부재(140)로 용이하게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기름에 열풍을 제공하여 기름의 유동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풍공급부(송풍기 등) 또는 기름을 가열하여 기름의 유동성을 활성화시키는 히터부(열선 등)를 적용하거나, 기름을 제2분리부재(140)측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오일스키머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부(150)는 상기 분리본체(110)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112)들과 인입구들에 연통되는 연통공간이 마련된 보조본체(151)와, 상기 연통공간을 상기 단위공간(121)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보조공간(155)들로 구획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보조본체(151) 내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유동구(156)가 형성된 다수의 보조격벽(152)과, 상기 유동구(156)를 통해 상기 보조공간(155)으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121)에 유입되되, 상기 배수구(11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대향된 상기 인입구 및 배수구(112) 사이의 상기 보조공간(155) 내에 설치된 다수의 차단벽(153)과, 상기 인입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공간(155)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보조공간(155)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인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121)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3유입구(157)가 마련된 다수의 제3분리부재(154)를 구비한다.
보조본체(151)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보조격벽(152)은 보조본체(151)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며, 보조본체(151)의 연통공간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폭을 갖고, 상기 연통공간의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조격벽(152)은 분리격벽(120)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격벽(152)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유동구(156)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동구(156)는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상기 유동구(156)는 보조격벽(152)에 대해 후방으로 인접되게 위치하는 인입구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유동구(156)는 보조격벽(152)의 전방에 인접된 상기 차단벽(153)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벽(153)은 최전방에 위치한 보조공간(155)을 제외한 보조공간(155)들에 설치되며, 보조공간(155)의 전후 폭에 대응되는 전후 폭을 갖고, 보조공간(155)의 좌우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공간(155)을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때, 차단벽(153)은 상하방향으로 대향된 인입구와 배수구(112) 사이에 설치되되, 전방에 인접된 보조격벽(152)의 유동구(156)보다 낮고, 후방에 인접된 보조격벽(152)의 유동구(156)보다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벽(153)에 의해 유동구(156)를 통해 후방의 보조공간(155)으로 유입된 유입수는 배수구(11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인입구를 통해 분리본체(110)의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다. 즉, 차단벽(153)에 의해 유입수는 단위공간(121)들과 보조공간(155)들을 교차로 통과하며 후방으로 유동된다.
제3분리부재(154)는 인입구를 덮도록 다수개가 상기 인입구들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분리본체(110)의 좌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분리본체(110)에 대해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제3분리부재(154)는 내부에 인입구에 연통되는 제3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면은 평편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3분리부재(154)는 상면에 다수의 제3유입구(1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분리부재(154)들은 전방으로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배출부(160)는 상기 분리본체(1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121)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킨다. 상기 물배출부(160)는 상기 분리본체(110)의 후방측 하부에 형성된 제1물배출구(114)에 연통되게 내부에 배수공간(164)이 마련되고, 일측에 제2물배출구(163)가 형성된 배수탱크(161)와, 상기 제2물배출구(163)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탱크(16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공간(164) 내부로 인입되게 연장되며, 상기 배수탱크(161) 내부에 유입된 물을 상기 제2물배출구(163)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제4유입구(166)가 형성된 제4분리부재(162)를 구비한다.
배수탱크(161)는 분리본체(11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좌우폭을 갖는 구조물로 형성되며, 배수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탱크(161)는 후단부에 바닥면이 상측으로 돌출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에 상기 제2물배출구(1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물배출구(163)에는 배수관(165)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제4분리부재(162)는 제2물배출구(163)를 덮도록 배수탱크(161)의 단차부에 설치되며, 단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제4분리부재(162)는 내부에 제2물배출구(163)에 연통되는 제4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면에 다수의 제4유입구(16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4분리부재(162)는 최후방에 위치된 단위공간(121) 내의 수위가 제2분리부재(140)에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상면이 상기 제2분리부재(140)의 상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상기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12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을 포집하는 다수의 유수분리팩(170)과, 상기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12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수분리팩(170)들을 상기 분리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이격지지부(1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수분리팩(170)은 내부에 물과 유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74)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174)으로 상기 유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수구(175)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174)에 수용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176)가 마련되는 분리용기(171)와, 상기 유출구(17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74)의 상부에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분이 포집되는 포집공간(178)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17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분리판재(172)와, 상기 분리용기(17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수구(17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74)으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를 상기 포집공간(178)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73)를 구비한다.
분리용기(171)는 내부에 수용공간(174)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다수의 유수구(175)가 형성된다. 또한, 분리용기(171)는 상면 중앙부에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176)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분리용기(171)는 수용공간(174)의 유입수 흐름에 와류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천장면과 내측면이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용기(171)는 유출구(176)를 중심으로 환형의 상면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유입수 내의 와류발생을 최소화한다.
또한, 분리용기(171)는 유출구(176)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면에 포집공간(178)에 포집된 유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분 배출구(177)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판재(172)는 유출구(176)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분리용기(171)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분리판재(172)는 유입수의 흐름에 와류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분리용기(171)의 천장면과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173)는 분리판재(172)의 하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분리용기(171) 내부에 이격부재(미도시)에 지지된다. 이격부재는 일단이 분리판재(172)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용기(171)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다수개가 가이드부재(173)에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73)는 유수구(175)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유출구(176)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73)는 유수구(175)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를 포집공간(178)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팩(17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용기(171)의 유수구(175)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는 가이드부재(173)의 하면을 따라 분리용기(171)의 내측면으로 유도되고, 분리용기(171)의 내측면을 따라 포집공간(178)으로 유동된다. 포집공간(178)을 통과한 유입수는 분리판재(172)를 따라 유동하며, 유출구(17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유입수가 분리용기(171) 내에서 유동하는 동안 유입수에 포함된 유분은 밀도차에 의해 분리되어 포집공간(178)으로 포집되는데, 인접된 유분들은 상호 응집되고, 응집된 유분은 부피가 증가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수에 분리되어 포집공간(178)으로 부상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73)는 유입수의 흐름은 분리용기(171)의 내측면으로 유동하여 분리용기(171) 내부에서 유입수의 유동경로를 확장하므로 유분이 상호 응집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유분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킨다.
이격지지부(180)는 최후방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에 대응되는 분리본체(110)의 바닥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유수분리팩(170)들이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181)와, 지지플레이트(181)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유수분리팩(170)들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18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81)는 최후방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의 좌우길이 및 전후 폭에 대응되는 좌우길이 및 전후 폭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81)는 단위공간(121)에 유입된 유입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제1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차단플레이트(182)는 최후방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의 좌우길이 및 전후 폭에 대응되는 좌우 길이 및 전후 폭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182)는 유수분리팩(170)들을 통과한 기름이 통과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다수의 제2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차단플레이트(182)는 제2단위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우측단부에 상기 제2단위부재가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최전방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에 기름과 물이 혼합된 유입수가 유입시킨다. 단위공간(121)에 주입된 유입수는 밀도차에 의해 물의 수면으로 기름층이 형성된다. 이때, 최전방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의 수위가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 위까지 올라오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이 제1분리부재(130)의 제1유입구(131)에 유입되어 후방의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다.
한편,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 유입수 중 일부는 배수구(112)를 통해 유동부(150)의 보조공간(155)으로 유입되고, 보조격벽(152)의 유동구(156)를 통해 후방측 보조공간(155)으로 유입된다. 이때, 최전방에 위치한 보조공간(155)의 수위가 제3분리부재(154)의 상면 위까지 올라오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이 제3분리부재(154)의 제3유입구(157)를 통해 분리본체(110)의 2번째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다.
이때, 2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에는 기름과 함께 일부 물이 유입되는데, 2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물의 수면에 기름이 부유하고, 상기 수위가 2번째 단위공간(121) 내에 위치한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에 형성된 제1유입구(131)를 통해 후방의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다.
한편, 2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 물과 기름 중 일부는 배수구(112)를 통해 유동부(150)의 전방으로부터 2번째 보조공간(155)에 유입되고, 보조격벽(152)의 유동구(156)를 통해 후방의 보조공간(155)으로 유입된다. 이때, 3번째 보조공간(155)의 수위가 3번째 보조공간(155)에 설치된 제3분리부재(154)의 상면 위까지 올라오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이 제3분리부재(154)의 제3유입구(157)를 통해 3번째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다.
이때, 3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에는 기름과 함께 일부 물이 유입되는데, 3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물의 수면에 기름이 부유하고, 상기 수위가 3번째 단위공간(121) 내에 위치한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에 형성된 제1유입구(131)를 통해 후방의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다.
한편, 3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 물과 기름 중 일부는 배수구(112)를 통해 유동부(150)의 전방으로부터 3번째 보조공간(155)에 유입되고, 보조격벽(152)의 유동구(156)를 통해 후방의 보조공간(155)으로 유입된다. 이때, 4번째 보조공간(155)의 수위가 4번째 보조공간(155)에 설치된 제3분리부재(154)의 상면 위까지 올라오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이 제2분리부재(140)의 제3유입구(157)를 통해 4번째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다.
이때, 4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에는 기름과 함께 일부 물이 유입되는데, 4번째 단위공간(121)에 위치한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상기 물은 다수의 유수분리팩(170)을 통과하고, 상기 유수분리팩(170)을 통과하면서 물에 포함된 유분이 포집되어 물의 수면에 부유한다. 4번째 단위공간(121)의 수위가 제2분리부재(140)의 상면 위까지 올라오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은 제2분리부재(140)의 제2유입구(141)를 통해 수집탱크(118)로 유입된다.
한편, 4번째에 위치한 단위공간(121)으로 유입된 물은 제1물배출구(114)를 통해 배수탱크(161) 내부로 유입되고, 배수탱크(161) 내부의 수위가 올라가면서 제4분리부재(162)를 통해 배수관(165)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분리부재(130)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제3분리부재(154)들은 전방으로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130)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이 다단으로 분리되어 유입수에 대한 기름의 분리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기(100)는 기름과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물과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물에 대한 기름의 분리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유수분리기
110: 분리본체
111: 제1기름배출구
112: 배수구
113: 제1보조배출구
114: 제1물배출구
115: 유도부재
117: 드레인관
118: 수집탱크
120: 분리격벽
121: 단위공간
122: 제2기름배출구
123: 제2보조배출구
130: 제1분리부재
131: 제1유입구
140: 제2분리부재
141: 제2유입구
150: 유동부
151: 보조본체
152: 보조격벽
153: 차단벽
154: 제3분리부재
160: 물배출부
161: 배수탱크
162: 제4분리부재
170: 유수분리팩
171: 분리용기
172: 분리판재
173: 가이드부재
180: 이격지지부
181: 지지플레이트
182: 차단플레이트

Claims (6)

  1.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본체의 전단부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리부재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는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1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2유입구가 마련되되,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분리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배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배출부는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측 하부에 형성된 제1물배출구에 연통되게 내부에 배수공간이 마련되고, 일측에 제2물배출구가 형성된 배수탱크와,
    상기 제2물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배수탱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공간 내부로 인입되게 연장되며, 상기 배수탱크 내부에 유입된 물을 상기 제2물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제4유입구가 형성되되, 상면이 상기 제2분리부재의 상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 제4분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2. 삭제
  3. 삭제
  4.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본체의 전단부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리부재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본체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입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하부에 각각 배수구들이 형성되며, 최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을 제외한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상부에 각각 유입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구들과 유입구들에 연통되는 연통공간이 마련된 보조본체와;
    상기 연통공간을 상기 단위공간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보조공간들로 구획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상기 보조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유동구가 형성된 다수의 보조격벽과;
    상기 유동구를 통해 상기 보조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유입수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에 유입되되, 상기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대향된 상기 유입구 및 배수구 사이의 상기 보조공간 내에 설치된 다수의 차단벽과;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보조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단위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3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3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분리부재들은 전방으로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에 대응되는 높이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격벽들은 상기 유동구가 전방측에 인접된 상기 차단벽보다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5.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에 제1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본체의 전단부와 상기 제1기름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공간을 전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기름배출구가 형성된 다수의 분리격벽과;
    상기 제2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각 상기 분리격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격벽에 대해 전방측 상기 단위공간으로 인입되게 연장되되,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2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1유입구가 마련된 다수의 제1분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리부재는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상기 기름을 다단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전방에 인접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상면이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는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기름배출구에 연통되는 상기 단위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의 수면에 부유하는 기름을 상기 제1기름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해 상면에 상기 기름이 유입되기 위한 다수의 제2유입구가 마련되되,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에 상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분리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분리본체는 상기 단위공간에 잔류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분리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기 단위공간들 중 최후방에 위치한 상기 단위공간에 대응되는 상기 분리본체의 내벽면에, 상기 제2분리부재의 상면보다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보조 기름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기름배출구에 연통되게 상기 분리본체에 연결된 보조 배출관과;
    상기 보조 배출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배출관의 내부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6. 삭제
KR1020160022062A 2016-02-24 2016-02-24 유수분리기 KR101860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62A KR101860121B1 (ko) 2016-02-24 2016-02-24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062A KR101860121B1 (ko) 2016-02-24 2016-02-24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82A KR20170099682A (ko) 2017-09-01
KR101860121B1 true KR101860121B1 (ko) 2018-05-21

Family

ID=5992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062A KR101860121B1 (ko) 2016-02-24 2016-02-24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548A (ko) 2022-10-19 2024-04-26 문명곤 용제 유수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5336B (zh) * 2019-11-27 2021-10-26 安徽天健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泔水分离用的油水混合物隔油箱及其隔油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548A (ko) 2022-10-19 2024-04-26 문명곤 용제 유수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682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6508A (en) Separator for multi-phase liquids
CA2624643C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light fluid from a heavy one and/or removing sediment from a fluid stream
MXPA01008908A (es) Separador de tres fases.
US3890234A (en) Oil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KR101390821B1 (ko)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JP3546359B2 (ja) 油水分離装置
KR101860121B1 (ko) 유수분리기
KR101270222B1 (ko) 유수분리장치
US4213865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ludge, oil and the like from contaminated water
JP4786410B2 (ja) 沈砂分離設備
CN103274499A (zh) 油水分离装置
JP2017190655A5 (ko)
CA2636016C (en) Continuous flow oil water separator
JP5944682B2 (ja) 油分離槽
JP2006118342A (ja) 油水分離装置
JP2021041366A (ja) 沈砂槽及び洗車機用排水設備
KR101455105B1 (ko) 오일제거장치
KR0119390B1 (ko)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US7357860B1 (en) Skimmer system
JP2008264745A (ja) 油水分離装置
JP3042771U (ja) 含油水の油水分離装置
JP2537742B2 (ja) 油水分離装置
JP2008055361A (ja) 油水分離装置
JP7448269B1 (ja) 油水分離装置及び油水分離方法
JP2008025309A (ja) 曳航集油フロート搭載型油分濃縮式油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