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548A - 용제 유수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용제 유수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4548A
KR20240054548A KR1020220134647A KR20220134647A KR20240054548A KR 20240054548 A KR20240054548 A KR 20240054548A KR 1020220134647 A KR1020220134647 A KR 1020220134647A KR 20220134647 A KR20220134647 A KR 20220134647A KR 20240054548 A KR20240054548 A KR 20240054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tank
water
plat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명곤
Original Assignee
문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명곤 filed Critical 문명곤
Priority to KR102022013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4548A/ko
Publication of KR2024005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4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과 용제 및 물이 혼합되어 고온, 고압으로 유입되는 용제혼합수를 1차적으로 유입조에서 스팀을 응축수에 와류 분사시켜 응축시키면서 압력 및 온도를 감소시키고, 2차적으로 안정화조에서 와류상태의 용제혼합수를 수면이 고요한 정류 상태로 안정화 시키며, 3차적으로 분리회수조에서 용제혼합수를 비중차에 의해 용제와 물이 층 분리되도록 유도한 후 분리된 용제와 물을 각각 수거하여 재사용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용제 유수분리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의 일측에는 중앙에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되는 분산 억제판이 구비된 제1 구획판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된 정류판이 구비된 제2 구획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인 제1 구획판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에는 하부로 스팀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부와 내부에는 상부가 상판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유입조의 내부로 용제혼합수를 분사 공급하는 용제혼합수 공급부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벤트관이 설치된 유입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중앙인 제1,2 구획판의 사이에 구비된 안정화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타측인 제2 구획판의 타측에 구비되고, 타측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가라앉는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관이 구비되며, 타측판의 상부에는 분리 회수조의 상부로 부상된 용제를 배출시키는 용제 배출관이 구비된 분리 회수조와; 상기 벤트관과 안정화조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유입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용제 휘발가스를 흡착 처리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포집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제 유수분리장치{Solvent Oily Water Separator}
본 발명은 용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과 용제 및 물이 혼합되어 고온, 고압으로 유입되는 용제혼합수를 1차적으로 유입조에서 스팀을 응축수에 와류 분사시켜 응축시키면서 압력 및 온도를 감소시키고, 2차적으로 안정화조에서 와류상태의 용제혼합수를 수면이 고요한 정류 상태로 안정화 시키며, 3차적으로 분리회수조에서 용제혼합수를 비중차에 의해 용제와 물이 층 분리되도록 유도한 후 분리된 용제와 물을 각각 수거하여 재사용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제조공정, 도장 공정, 섬유제조공정, 유기용제 제조공정 등에는 솔벤트나 신너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용제를 원료물질을 녹이거나 오염물질을 세척하는 등의 용매로 사용한 후 대부분 회수하지 않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형태로 휘발시켜 배출하거나, 오염물질을 세척수에 혼합시켜 용제 함유폐수로 배출하여 대기 및 수질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환경오염문제를 해소하고 휘발되는 용제를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으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VOCs 물질은 활성탄, 제오라이트 등과 같은 흡착제에 흡착 포집한 후 고온, 고압의 스팀을 흡착제에 분사시켜 흡착된 용제를 탈착시키고 탈착 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이 포함된 용제혼합수를 일반적인 유수분리장치에서 비중차로 용제와 물을 분리시켜 회수한 후 재사용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용제가 함유된 용제 함유폐수도 유수분리장치에서 용제와 물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상술한 일반적인 유수분리장치는 길이를 길게 하여 용제혼합수가 천천히 흐르면서 용제와 물이 비중차이로 층 분리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스팀이 포함된 고온 고압의 용제혼합수가 밀폐된 유수분리기 유입조에 그대로 유입되면 고온의 스팀압력에 의하여 큰 폭발이 발생할 수가 있고, 유입조에 응축수를 채운 후 응축수 내로 용제혼합수를 밀어 넣으면 응축수가 스팀 압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끓어올라 유수분리기 전체의 수면이 안정되지 않아서 용제와 물의 층 분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유수분리기에 여러단의 격벽을 두고 유입조에서 응축수와 함께 끓어오른 용제혼합수를 월류시켜 안정화시키는 안정화조를 2 내지 4단으로 구성하여 운영하는 기술도 사용하고 있지만 안정화조가 많을수록 유수분리장치가 커지고 안정화조에서 휘발되는 용제가스 발생량이 많아져서 대기오염문제와 용제 회수량이 적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온 고압의 스팀이 포함된 용제혼합수가 발생하는 현장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단일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유수 분리효율이 높은 용제 유수분리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62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0121호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제 유수분리장치에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이 포함된 용제혼합수가 유수분리장치에 유입되면 1차적으로 유입조에서 용제혼합수를 응축수내에 와류 분사시켜 스팀을 응축제거하면서 저온, 저압의 와류 용제혼합수로 변환시키고, 2차적으로 안정화조에서 와류 용제혼합수를 와류억제 챔버를 통해 고요한 수면상태로 안정화시키고, 3차적으로 용제 분리챔버를 이용해 용제와 물을 층 분리시킨 후 각각의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 회수하여 용제는 재활용하고 물은 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용제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제 유수분리장치”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의 일측에는 중앙에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되는 분산 억제판이 구비된 제1 구획판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된 정류판이 구비된 제2 구획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인 제1 구획판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에는 하부로 스팀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부와 내부에는 상부가 상판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유입조의 내부로 용제혼합수를 분사 공급하는 용제혼합수 공급부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벤트관이 설치된 유입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중앙인 제1,2 구획판의 사이에 구비된 안정화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타측인 제2 구획판의 타측에 구비되고, 타측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가라앉는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관이 구비되며, 타측판의 상부에는 분리 회수조의 상부로 부상된 용제를 배출시키는 용제 배출관이 구비된 분리 회수조와; 상기 벤트관과 안정화조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유입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용제 휘발가스를 흡착 처리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포집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유입조는 상기 유입조의 내부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용제혼합수가 응축수내에 분사되면서 용제혼합수에 함유된 고온, 고압의 스팀이 끓어올라 발생된 수증기와 유증기화 된 용제증기가 유입조 상부에 구비된 벤트관을 통하여 유입조 외부로 배출될 때 수증기 및 용제증기 배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비산을 방지하는 용제증기 통과 충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안정화조는 상기 분산 억제판의 타측에 원형홀들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하,전,후와 타측이 막혀 있으며 하부에는 하부 배출관이 구비된 직사각통 형태의 와류억제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분리 회수조는
상기 정류판의 타측에 원형홀들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하,전,후와 타측이 막혀 있으며 타측판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배출관이 구비된 직사각통 형태의 용제 분리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스팀이 포함된 용제혼합수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유입 압력을 빠르게 해소시키고 와류를 조기 안정화시켜 유수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층 분리된 용제는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으며 용제가 분리 제거된 물은 정화된 물이므로 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수분리 시 발생하는 용제 휘발가스는 흡착제로 흡착한 후 배출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용제 유수분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내부를 실선으로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d는 도 1c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c의 C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D-D선 단면도.
도 4는 도 1c의 E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용제 유수분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용제 유수분리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c의 C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의 D-D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c의 E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용제 유수분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제 유수분리장치는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이 함유된 용제혼합수를 저장하면서 스팀의 유입압력을 감소시키고 고온의 스팀을 응축시켜 물로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처리조(1), 유입조(2), 안정화조(3), 분리 회수조(4), 포집수단(5)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조(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처리조(1)의 내부의 일측에는 제1 구획판(11)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제2 구획판(12)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구획판(11)의 중앙에는 다수의 원형홀(112)이 형성되는 분산 억제판(111)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 구획판(12)의 중앙에는 다수의 원형홀(122)이 형성된 정류판(121)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조(2)는 처리조(1)의 내부 일측인 제1 구획판(11)의 일측에 직사각통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이 함유된 용제혼합수를 저장하면서 스팀의 유입압력을 감소시키고 고온의 스팀을 응축시켜 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유입조(2)의 일측에는 하부로 스팀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21)이 구비되며, 상부와 내부에는 상부가 상판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유입조(2)의 내부로 용제혼합수를 분사 공급하는 용제혼합수 공급부(22)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벤트관(23)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응축수 공급관(21)은 유입조(2)의 하부로 스팀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입조(2)의 일측판을 관통하는 수평관과 수평관의 타측에서 수직으로 절곡되게 연결되는 수직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혼합수 공급부(22)는 응측수를 유입조(2)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조(2)의 상판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하부가 막혀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수직 공급관(221)과, 상기 수직 공급관(221)의 둘레에 다수가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사홀(2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홀(222)들을 통해 유입되는 용제혼합수가 유입조(2)내에서 오랜 시간 접촉할 수 있도록 용제혼합수를 와류되게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분사홀(222)은 분사홀(222)들에서 응측수를 강력한 와류가 형성되게 분사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입조(2)는 유입조(2)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용제증기 통과 충돌판(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제증기 통과 충돌판(24)은 유입조(2)의 내부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용제혼합수가 유입조(2)내에 분사되면서 용제혼합수에 함유된 고온, 고압의 스팀이 끓어올라 발생된 수증기와 유증기화 된 용제증기가 유입조(2)의 상부에 구비된 벤트관(23)을 통하여 유입조(2)의 외부로 배출될 때, 수증기 및 용제증기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용제증기 통과 충돌판(24)은 굴곡판(꺽임판)을 2겹 내지 4겹으로 상하로 배열시켜 제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부직포 필터나 금속성 데미스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안정화조(3)는 처리조(1)의 내부 중앙인 제1,2 구획판(11)(12)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유입조(2)에서 와류 상태로 유입되는 용제혼합수를 고요한 상태로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안정화조(3)는 상기 제1 구획판(11)의 중앙에 구비된 분산 억제판(111)의 타측에 원형홀(112)들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하,전,후와 타측이 막혀 있으며 하부에는 하부 배출관(312)이 구비된 직사각통 형태의 와류억제 챔버(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회수조(4)는 처리조(1)의 내부 타측인 제2 구획판(12)의 타측에 용제와 물의 충분한 분리시간을 가질 수 있는 크기의 밀폐된 직사각통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안정화조(3)에서 안정된 상태로 일부는 용제와 물이 층 분리된 상태가 되어 유입되는 용제혼합수를 비중차로 용제와 물을 층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분리 회수조(4)의 타측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가라앉는 물을 배출하여 물 취합부(미도시)로 배출시키는 물 배출관(41)이 구비되고, 타측판의 상부에는 분리 회수조(4)의 상부로 부상된 용제를 용제 취합부(미도시)로 배출시키는 용제 배출관(42)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 회수조(4)는 용제와 물이 효율 높게 층 분리가 될 수 있도록, 제2 구획판(12)의 중앙에 설치된 정류판(121)의 타측에 원형홀(122)들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직사각통 형태의 용제 분리챔버(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제 분리챔버(43)는 상,하,전,후와 타측이 막혀 있으며 타측판(431)에는 사각형 형상의 배출구(43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배출관(433)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리 회수조(4)는 분리 회수조(4)의 내부 타측의 상부에 구비되어 부상된 용제를 월류시켜 상기 용제 배출관(42)으로 배출시키는 용제 월류수단(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제 월류수단(44)은 분리 회수조(4)의 타측판의 상부와 전,후판의 타측 상부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용제 배출관(42)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441)과, 상기 수평판(441)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어 전,후방이 분리 회수조(4)의 타측 상부의 전,후판에 연결되는 월류 수직판(4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분리 회수조(4)의 내부 타측의 상부에 수평판(441)과 월류 수직판(442)으로 구성된 용제 월류수단(44)을 구비함에 따라, 분리 회수조(4)의 상부에 부상된 용제를 월류 수직판(442)의 타측으로 월류되게 선별 취합함으로써 용제의 분리 효과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수단(5)는 유입조(2)의 상부에 설치된 벤트관(23)과 안정화조(3)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유입조(2)와 안정화조(3)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용제 휘발가스를 흡착 처리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포집수단(5)은 유입조(2)와 안정화조(3)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용제 휘발가스를 흡착 처리할 수 있도록, 포집통(51)과 이송관(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집통(51)은 내부에 상,하부 공간을 두고 가스나 액적을 흡착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511)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부의 일측에는 상기 벤트관(23)과 연결된 제1 연결관(512)이 설치되며, 하부의 타측에는 상기 안정화조(3)의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된 제2 연결관(513)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대기 배출관(514)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제(511)는 활성탄과 같은 흡착제가 장착되어야 하며, 용제 휘발가스를 흡착하고 수증기를 포집할 수 있으면 제올라이트, 데미스터, 탄소필터 등 어떠한 흡착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2 연결관(513)은 안정화조(3)에서 일부 잔여 수증기나 용제가 휘발하여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통(51)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관(52)은 포집통(51)의 하부와 안정화조(3)의 상부에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고 중간에는 개폐밸브(521)가 설치되는 것으로, 포집통(51)의 하부에 포집된 액적을 안정화조(3)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조(2)의 상부에 설치된 벤트관(23)과 안정화조(3)의 상부에 설치된 제2 연결관(513)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및 용제 휘발가스는 상기 포집통(51)의 내부에 설치된 흡착제(511)를 통해 포집됨에 따라, 정화된 배기가스는 대기 배출관(514)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포집통(51)의 하부에 포집된 액적은 상기 이송관(52)을 통해 안정화조(3)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제 유수분리장치를 통해 유수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제 유수분리장치의 유수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유입조(2)에 구비된 응축수 공급관(21)을 통해 스팀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수를 공급하고, 용제혼합수 공급부(22)를 통해 유입조(2)의 내부로 용제혼합수를 강한 와류를 일으키게 공급한다.
그러면 용제혼합수가 응축수내에 분사되면서 용제혼합수에 함유된 고온,고압의 스팀이 끓어올라 발생된 수증기와 유증기화 된 용제증기가 유입조(2) 상부에 부착된 벤트관(23)을 통하여 포집통(51)으로 배출되고, 와류 형태의 저온, 저압으로 변한 용제혼합수는 제1 구획판(11)에 구비된 분산 억제판(111)에 형성된 원형홀(112)들을 통과하여 안정화조(3)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조(2)에서 와류 형태의 저온, 저압으로 변한 용제혼합수가 안정화조(3)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 구획판(11)에 구비된 분산 억제판(111)에 형성된 원형홀(112)들을 통과하면서 안정되게 흐르는 수류가 된다.
그리고 수류는 다시 와류억제 챔버(31)의 타측판(311)에 부딪친 후 하부로 내려와서 하부 배출관(312)을 통과하여 안정화조(3)의 하부에서 상부로 서서히 상승하면서 빠르게 안정화되고 안정화조(3) 내의 상부 수위 일부에서는 비중차에 의한 용제와 물의 층 분리가 진행되기도 하며, 상기 안정화조(3)에서 일부 층 분리가 시작된 용제혼합수는 상기 제2 구획판(12)에 구비된 정류판(121)의 원형홀(122)들을 통과하여 분리 회수조(4)로 이동된다.
다음 상기 안정화조(3)에서 일부 층 분리가 시작된 용제혼합수가 분리 회수조(4)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2 구획판(12)에 구비된 정류판(121)의 원형홀(122)들을 통과하면서 좁은 구멍을 통과할 때 높아진 통과 압력이 통과 후 낮아지면서 확산에 의한 층 분리현상이 더욱 가속되고, 이 상태에서 용제 분리챔버(43)의 배출구(432)가 형성된 타측판(431)에 충돌하면 가벼운 용제는 위로 뜨면서 타측판(431)의 배출구(432)로 배출되고 물은 밑으로 가라앉으면서 하부 배출관(433)을 통하여 배출되어 효율 높은 층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다음 상기 분리 회수조(4)에서 상부로 부상된 용제는 월류 수직판(442)의 타측으로 월류되어 선별된 후 용제 배출관(42)을 통해 배출되어 선별 회수되고, 분리 회수조(4)에서 하부로 가라앉는 선별된 응축수인 물은 물 배출관(41)을 통해 회수되어 재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스팀이 포함된 용제혼합수가 유입되면서 발생되는 유입압력을 빠르게 해소시키고 와류를 조기 안정화시켜 유수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층 분리된 용제는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가 있으며 용제가 분리 제거된 정화된 물은 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유수분리 시 발생하는 용제 휘발가스는 흡착제(511)로 흡착한 후 배출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 : 처리조
11 : 제1 구획판
12 : 제2 구획판
2 : 유입조
21 : 응축수 공급관
22 : 용제혼합수 공급부
23 : 벤트관
24 : 용제증기 통과 충돌판
3 : 안정화조
31 : 와류억제 챔버
4 : 분리 회수조
41 : 물 배출관
42 : 용제 배출관
43 : 용제 분리챔버
44 : 용제 월류수단
5 : 포집수단
51 : 포집통
52 : 이송관

Claims (8)

  1.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의 일측에는 중앙에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되는 분산 억제판이 구비된 제1 구획판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다수의 원형홀이 형성된 정류판이 구비된 제2 구획판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일측인 제1 구획판의 일측에 구비되고, 일측에는 하부로 스팀을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수를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관이 구비되며, 상부와 내부에는 상부가 상판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유입조의 내부로 용제혼합수를 분사 공급하는 용제혼합수 공급부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벤트관이 설치된 유입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중앙인 제1,2 구획판의 사이에 구비된 안정화조와;
    상기 처리조의 내부 타측인 제2 구획판의 타측에 구비되고, 타측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가라앉는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관이 구비되며, 타측판의 상부에는 분리 회수조의 상부로 부상된 용제를 배출시키는 용제 배출관이 구비된 분리 회수조와;
    상기 벤트관과 안정화조의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유입조와 상기 안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용제 휘발가스를 흡착 처리하여 정화된 공기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포집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조는
    상기 유입조의 내부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용제혼합수가 응축수내에 분사되면서 용제혼합수에 함유된 고온, 고압의 스팀이 끓어올라 발생된 수증기와 유증기화 된 용제증기가 유입조 상부에 구비된 벤트관을 통하여 유입조 외부로 배출될 때 수증기 및 용제증기 배출을 억제할 수 있도록 비산을 방지하는 용제증기 통과 충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조는
    상기 분산 억제판의 타측에 원형홀들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하,전,후와 타측이 막혀 있으며 하부에는 하부 배출관이 구비된 직사각통 형태의 와류억제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회수조는
    상기 정류판의 타측에 원형홀들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하,전,후와 타측이 막혀 있으며 타측판에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배출관이 구비된 직사각통 형태의 용제 분리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회수조는
    상기 분리 회수조의 내부 타측의 상부에 부상된 용제를 월류시켜 상기 용제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용제 월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 월류수단은
    상기 분리 회수조의 타측판의 상부와 전,후판의 타측 상부에 연결되게 구비되어 상기 용제 배출관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어 전,후방이 분리 회수조의 타측 상부의 전,후판에 연결되는 월류 수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혼합수 공급부는
    상기 유입조의 상판에 관통되게 구비되어 하부가 막혀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수직 공급관과, 상기 수직 공급관의 둘레에 다수가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사홀을 포함하고, 각각의 분사홀은 분사홀들에서 응측수가 와류가 형성되게 분사될 수 있도록 내측에서 외측의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수단은
    내부에는 상,하부 공간을 두고 흡착제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부의 일측에는 상기 벤트관과 연결된 제1 연결관이 설치되고 하부의 타측에는 상기 안정화조의 상부와 연통되게 연결된 제2 베트관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대기 배출관이 구비된 포집통과, 상기 포집통의 하부와 안정화조의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포집통의 하부에 포집된 액적을 안정화조로 유입시키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제 유수분리장치.
KR1020220134647A 2022-10-19 2022-10-19 용제 유수분리장치 KR20240054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47A KR20240054548A (ko) 2022-10-19 2022-10-19 용제 유수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647A KR20240054548A (ko) 2022-10-19 2022-10-19 용제 유수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4548A true KR20240054548A (ko) 2024-04-26

Family

ID=90883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647A KR20240054548A (ko) 2022-10-19 2022-10-19 용제 유수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454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72B1 (ko)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KR101860121B1 (ko) 2016-02-24 2018-05-21 (주)거도 유수분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272B1 (ko)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KR101860121B1 (ko) 2016-02-24 2018-05-21 (주)거도 유수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7864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ы удаления захваченной жидкости
US4511376A (en) Method of separating a noncondensable gas from a condensable vapor
US4659347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urging water from certain contaminants
US4086705A (en) Dry cleaning system with solvent recovery
KR102274819B1 (ko) 2단 분리복합형 약액세정탑
KR102192505B1 (ko) 열분해유 인화점 조절시스템
NO154334B (no) Kolonne for behandling av gasser.
RU200713380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лучения этиленоксида
US4330307A (en) Method of separating a noncondensable gas from a condensable vapor
KR20070037471A (ko) 휘발성유기화합물 회수 제거기
KR20240054548A (ko) 용제 유수분리장치
KR100292723B1 (ko) 연료증발가스의처리용캐니스터
US5584911A (en) Vapor recovery system with cyclonic separator
CN207745678U (zh) 一种撬装式强化吸收法治理含voc有机废气的装置
JP2009066530A (ja) Vocの回収装置
CN211799817U (zh) 一种有机废气净化回收装置
US7744767B2 (en) Fluid separation system
RU2452556C1 (ru) Установка улавлива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ных паров
RU2094070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вакуума в промышленных аппаратах
JPH07328380A (ja) 溶剤回収装置
KR100465680B1 (ko) 유기용제회수설비용 유수분리장치
US6607663B1 (en) Portable and multi-stage filtration device for removal of perchlorethylene from dry cleaning wastewater
US116336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drill mud plant
CN107281868A (zh) 沥青烟气处理方法及设备
JP3809921B2 (ja) 水溶液中の微量成分を蒸発除去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