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054A -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054A
KR20130141054A KR1020120064137A KR20120064137A KR20130141054A KR 20130141054 A KR20130141054 A KR 20130141054A KR 1020120064137 A KR1020120064137 A KR 1020120064137A KR 20120064137 A KR20120064137 A KR 20120064137A KR 20130141054 A KR20130141054 A KR 20130141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ipeline
overboard
overboard pipelin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후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1054A/ko
Publication of KR20130141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러스트 탱크에 있는 물을 배 밖으로 배출시키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이 안벽이 아닌 바다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있는 물을 배 밖으로 배출시키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구조에 있어서,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를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 밖으로 배출되는 물이 안벽이 아닌 바다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보호하고, 안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OVERBOARD PIPE LINE STRUCTUR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밸러스트 탱크에 있는 물을 배 밖으로 배출시키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이 안벽이 아닌 바다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는 선박의 저부 양측에 형성되어 화물의 선적 및 하역에 의해 선박의 무게 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다.
즉, 선박이 싣고 온 화물을 하역하는 경우에는 선박의 일정부분이 해수면 아래 위치하게 할 수 있도록 밸러스트 탱크에 물(담수 또는 해수)을 유입시켜 운항하도록 하고, 선박에 다시 화물을 선적하는 경우에는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채우지 않아도 선박의 무게중심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파도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으므로,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배 밖으로 방류한다.
한편, 안벽(Quay)은 화물의 선적 및 하역을 위해 만들어진 벽면을 가진 선박 계류 시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물은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Overboard Pipe Line)을 통해 배 밖으로 배출되는 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을 통해 밸러스트 탱크에서 배 밖으로 배출되는 물이 안벽(육지)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안벽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고, 안벽에서 작업하고 있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9436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배 밖으로 배출되는 물이 안벽이 아닌 바다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는,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있는 물을 배 밖으로 배출시키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가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에 따르면,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 밖으로 배출되는 물이 안벽이 아닌 바다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보호하고, 안벽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를 갖는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를 갖는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선박은 엔진룸(Engine Room)(10), 선실(Deck House)(20), 씨 체스트(Sea Chest)(30), 밸러스트 펌프(Ballast Pump)(40), 펌프룸(Pump Room)(50),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엔진룸(10)은 엔진이 설치된 곳으로, 엔진룸(10)에는 엔진뿐만 아니라 엔진의 작동을 위해 그 주위에 배치되는 각종 스토리지 탱크, 서비스 탱크, 전장 판넬실 및 통로 등이 모두 설치된다.
선실(20)은 선박의 갑판 위에 설치되는 선원들의 근무 및 주거 공간으로 엔진룸(10)과 연결되어 마련된다.
씨 체스트(30)는 기관계통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선체 하면에 설치되는 해수 출입구를 말하는 것으로, 선박에는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분의 선수부터 선미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씨 체스트(30)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씨 체스트(30)에는 제1 파이프 라인(65)이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씨 체스트(30)로부터 연장된 제1 파이프 라인(65)에는 밸러스트 펌프(40)가 설치된다.
또한, 제1 파이프 라인(65)에는 밸러스트 탱크(60)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파이프 라인(70)이 설치되어 있고, 밸러스트 펌프(40)의 토출측에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과 연결되는 제3 파이프 라인(75)이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제3 파이프 라인(75)에는 밸러스트 탱크(60)에 연결되어 있는 제4 파이프 라인(80)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러스트 펌프(40)의 토출측에 연장 설치되는 제3 파이프 라인(75)과 연결되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되는 데,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의 출구단 일정 부분을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의 출구단 일정 부분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배 밖으로 배출되는 물이 안벽이 아닌 바다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일정 각도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출구단 일부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의 메인 라인과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의 메인 라인과 별도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밸러스트 펌프(40)는 펌프룸(50)에 설치되며, 씨 체스트(30)로부터 유입된 해수를 밸러스트 탱크(60)로 급수하거나, 밸러스트 탱크(60)에 저장되어 있는 해수를 배 밖으로 배수한다.
밸러스트 탱크(60)는 화물의 선적 및 하역에 의해 선박의 무게 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밸러스트 물을 저장하는 탱크이다.
밸러스트 탱크(60)에 밸러스트 물을 유입시키고자 하는 경우, 씨 체스트(30)로부터 유입된 해수는 제1 파이프 라인(65)에 설치된 밸러스트 펌프(40)에 의해 제1 파이프 라인(65) -> 밸러스트 펌프(40) -> 제4 파이프 라인(80)을 통해 밸러스트 탱크(60)로 유입된다.
그리고, 밸러스트 탱크(60)에 저장되어 있는 밸러스트 물을 배 밖으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밸러스트 탱크(60)에 저장되어 있는 밸러스트 물이 밸러스트 펌프(40)에 의해 제2 파이프 라인(70) -> 밸러스트 펌프(40) -> 제3 파이프 라인(75) ->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을 통해 배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을 통해 배 밖으로 배출되는 물은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90)의 출구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벽이 아닌 바다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엔진룸, 20. 선실,
30. 씨 체스트, 40. 밸러스트 펌프,
50. 펌프룸, 60. 밸러스트 탱크,
65. 제1 파이프 라인, 70. 제2 파이프 라인,
75. 제3 파이프 라인, 80. 제4 파이프 라인,
90.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Claims (3)

  1.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에 있는 물을 배 밖으로 배출시키는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출구단 일부가 수평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출구단 일부는 상기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메인 라인과 단일체로 형성되는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각도 아래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출구단 일부는 상기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의 메인 라인과 별도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KR1020120064137A 2012-06-15 2012-06-15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KR20130141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137A KR20130141054A (ko) 2012-06-15 2012-06-15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137A KR20130141054A (ko) 2012-06-15 2012-06-15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054A true KR20130141054A (ko) 2013-12-26

Family

ID=4998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137A KR20130141054A (ko) 2012-06-15 2012-06-15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1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334A (ko) 2017-08-17 2019-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수 오버보드 방법 및 그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334A (ko) 2017-08-17 2019-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냉각수 오버보드 방법 및 그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1861B2 (en) Semi-submersible floating production facility
ES2748375T3 (es) Aparato de caja fría y sistema de caja fría
JP2015181546A (ja) 船舶
KR20130141054A (ko)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KR20140021131A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밸러스트 운용 방법
RU2332326C1 (ru) Танкер-химовоз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KR20160003411A (ko) 하강 철회식 밸러스트 탱크
KR20110069241A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KR20160073096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CN110662694A (zh) 海上浮体结构物
KR200434344Y1 (ko) 선박의 라이저 파이프 설치구조
JP7074276B2 (ja) 船舶
KR102659721B1 (ko) 문풀을 이용한 해수활용시스템
KR101411494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KR20120003757U (ko) 터릿 문풀로부터 탈출 경로를 가지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1559412B1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102628425B1 (ko) 셔틀탱커의 측심기와 선속지시기의 배치구조 및 동 배치구조를 포함하는 셔틀탱커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WO2017110410A1 (ja) 浮体式生産貯蔵積出設備
WO2016098520A1 (ja) フェアリングカバー
KR20170001264U (ko) 헬리데크 구조물
KR101993422B1 (ko) 프리 발라스트 액체운반용 선박
KR20130141055A (ko)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KR101605118B1 (ko) 부유식 화물적재구조를 가진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