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310A - 프리-발라스트 선박 - Google Patents
프리-발라스트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62310A KR20150062310A KR1020130146818A KR20130146818A KR20150062310A KR 20150062310 A KR20150062310 A KR 20150062310A KR 1020130146818 A KR1020130146818 A KR 1020130146818A KR 20130146818 A KR20130146818 A KR 20130146818A KR 20150062310 A KR20150062310 A KR 201500623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cargo
- ballast
- ship
- cargo tank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프리-발라스트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문풀을 구비하는 선체부; 및 각 문풀 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고탱크;를 포함하되, 선체부는, 일정한 흘수를 가지며, 각 카고탱크는, 각 문풀 내에서 부유되어 선체부와 독립된 흘수를 가지는 프리-발라스트 선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발라스트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흘수선(draft line) 등을 조절하기 위해 발라스트 시스템(ballast system)을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발라스트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해수를 선내외로 유출입시켜 발라스트 탱크 등에 저장함으로써 선박의 흘수나 균형을 조절하고 있다. 발라스트 시스템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만재 또는 공선 운항시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적정 흘수를 유지하는 것이다. 예컨대, 공선 운항시에는 발라스트 탱크 내 해수를 충분히 유입 및 저장하여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최소 흘수(예컨대, 추진기가 해수 중에 잠길 수 있는)를 유지하게 되며, 화물이 충분히 적재된 만재 운항시에는 발라스트 탱크 등에 저장된 해수를 다시 선외로 배출시켜 최소한의 건현(freeboard)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화물의 운반 또는 저장을 위한 선박은 운항 중 상기와 같은 해수의 유출입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원거리의 각 해역 간을 운항하는 선박의 특성상 상기와 같은 해수의 유출입은 해상 환경 오염이나 생태계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국제해사기구 등에서는 발라스트수 처리 시스템(BWT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 등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발라스트수 처리 시스템의 도입 이후에도 발라스트수와 관련된 환경 오염 등의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으며, 발라스트수 처리 시스템 또한 고가의 장비로 충분한 설치 공간이 요구된다는 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발라스트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며, 일 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0834289호 등에서는 이동 가능한 대차를 통해 기존의 발라스트 시스템을 대체하는 무 발라스트 선박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발라스트 시스템을 생략 또는 대체 가능한 프리-발라스트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문풀(moonpool)을 구비하는 선체부; 및 상기 각 문풀 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고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부는, 일정한 흘수(draft)를 가지며, 상기 각 카고탱크는, 상기 각 문풀 내에서 부유되어 상기 선체부와 독립된 흘수를 가지는, 프리-발라스트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은, 선체부와 각 카고탱크 간의 흘수가 독립적으로 분리되는바, 화물의 적재 등에 영향 받지 않고 선체부의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은, 종래 발라스트 시스템이나 발라스트수 처리 시스템 등을 생략 또는 대체할 수 있으며, 해수의 유출입이 요구되지 않는바, 해상 환경 오염이나 생태계 교란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에서 각 카고탱크를 분리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에서 각 카고탱크를 분리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에서 각 카고탱크를 분리한 분해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선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부(110)는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의 기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체부(110)의 내외측에는 엔진룸, 조타실, 데크하우스 등 선박의 운항이나 목적을 위한 각종 전계장 설비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통상적인 선박과 유사하다.
선체부(110)는 하나 이상의 문풀(111, moonpool)을 구비할 수 있다.
문풀(111)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문풀(111)은 선체부(11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선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총 4개의 문풀(111)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문풀(111)의 개수 또는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문풀(111)은 선체부(110)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행(column) 및/또는 열(row)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문풀(111)은 상호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문풀(111)은 선체부(1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문풀(111)은 선체부(110)의 상면부(112)에서 저면부(113)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문풀(111)은 상면 및 하면이 개구(opening)될 수 있으며, 측면 둘레가 측벽부(114)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문풀(111)은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고 선체부(1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문풀(111)은 대략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선체부(1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카고탱크(120)가 문풀(11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율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문풀(111)의 횡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예시한 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시되지 않았으나 문풀(111)은 원형, 다각 형상 등의 횡단면을 가지고 선체부(1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문풀(111)은 상하방향을 따라 동일 또는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고, 이에 배치된 카고탱크(120)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것이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선체부(110)는 하나 이상의 중량물(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중량물은 선체부(110)가 소정정도의 흘수(draft)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중량물은 선체부(110)의 내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중량물은 선체부(110)의 내부 공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중량물은 소정정도의 부피 및 질량을 가지고 선체부(110)의 흘수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특정 종류나 형태의 중량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중량물은 시멘트, 콘크리트, 금속, 특수 고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중량물은 선체부(110) 내외측에 저장되는 해수, 담수 등의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 저장된 유체는 선체부(110) 내외로 유출입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의 발라스트 탱크(ballast tank) 등과 구별될 수 있다.
중량물은 선체부(110)의 정상적인 운항 또는 운용을 위한 흘수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중량물은 선체부(110)의 추진장치(미도시)가 해수 중에 잠길 수 있는 최소 흘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량물은 기능상 종래의 발라스트 탱크와 대응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중량물은 선체부(110) 등에 반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해수의 유출입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의 발라스트 탱크와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은 후술할 바와 같이 선체부(110)를 일정한 흘수로 유지시키게 되며, 화물의 적재 정도 등에 따라 선체부(110)의 흘수를 조절하는바 없다는 점에서도, 종래의 발라스트 탱크와 구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하나 이상의 카고탱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고탱크(12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카고탱크(120)는 선체부(110)에 구비된 각 문풀(1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은 경우, 선체부(110)에 구비된 4개의 문풀(111)에 대응되도록 총 4개의 카고탱크(1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카고탱크(120)의 개수나 배치는 전술한 문풀(111)의 개수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나의 문풀(111)에 복수개의 카고탱크(120)를 배치하거나, 하나의 카고탱크(120)를 복수개의 문풀(111)을 통해 선체부(110) 등에 배치시키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카고탱크(120)는 화물의 적재를 위한 적재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카고탱크(120)의 내부에는 선박의 용도나 목적에 따른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의 화물은 특정 종류의 화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의 화물은 오일(oil), 액화천연가스(LNG), 천연가스액(NGL) 등의 유체물, 곡물, 토사, 벌크(bulk) 등의 입상물, 컨테이너(container), 기타 고체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고탱크(120)는 선체부(110)에 구비된 문풀(1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고탱크(120)는 문풀(111)의 측벽부(114)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문풀(111) 내 수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카고탱크(120)는 측면 둘레가 문풀(111)의 측벽부(114)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배치되나, 상면 및 하면은 특별히 구속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문풀(111) 내 배치된 카고탱크(120)는 문풀(11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율 이동될 수 있다. 즉, 문풀(111)은 상면 및 하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카고탱크(120) 또한 상면 및 하면이 구속되지 않는바, 카고탱크(120)는 문풀(111)의 측벽부(114)에 둘러싸인 상태로 문풀(111) 내에서 상하로 자율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카고탱크(120)의 상하방향 이동 또는 상하방향 위치는, 카고탱크(120)에 적재된 화물의 용량이나 비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카고탱크(120)는 문풀(111) 내 유입된 해수 중에 부유되어, 부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연키로 한다.
상기와 같은 카고탱크(120)의 상하방향 이동을 위해, 카고탱크(120)의 횡단면은 문풀(111)과 동일 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문풀(111)이 대략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경우, 카고탱크(120)는 이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카고탱크(120)의 횡단면 형상 등은 문풀(111)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카고탱크(120)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및 2의 경우,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상기와 같은 가이드(130)를 생략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가이드(130)는 문풀(111)의 측벽부(114)와 카고탱크(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가이드(130)는 카고탱크(120)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하고, 카고탱크(120)와 측벽부(114) 간 직접적인 충돌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예컨대, 가이드(130)는 측벽부(114)와 카고탱크(120)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롤러(131)를 구비하고, 롤러(131)의 구름 운동을 통해 카고탱크(120)의 상하방향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이드(130)는 측벽부(114)와 카고탱크(120) 사이에 배치된 슬라이딩 패드(sliding pad) 등을 구비하고, 카고탱크(120)의 측면에 접촉 슬라이딩되거나 카고탱크(120)의 측벽부(114)로의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가이드(130)는 선체부(110)에 구비된 각 문풀(111)과 각 문풀(111) 내 배치된 각 카고탱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개구된 문풀(111) 하면으로 인한 와류(vortex)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플랩(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및 2의 경우,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상기와 같은 플랩(140)이 생략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복수개의 문풀(111)로 인해 선저부에 복수개의 개구(opening)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구는 선박의 운항시 와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거나, 선체 저항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플랩(140)을 통해 이와 같은 와류 발생이나 선체 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랩(140)은 문풀(111)의 측벽부(114)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랩(140)은 선수부 측의 측벽부(114)를 기점으로 하여 반대편(즉, 선미부 측) 측벽부(114)를 향해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플랩(140)은 문풀(111)을 둘러싸는 측벽부(114) 중 선수부 측에 배치된 측벽부(114)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랩(140)은 선폭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플레이트(plate) 또는 곡판(curved plat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플랩(140)의 저면부(141)는 선저부(115)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선저부(115)를 따라 흐르는 유동 흐름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저면부(141)는 유선형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랩(140)은 측벽부(1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선체부(110)의 일부를 이루거나, 측벽부(114) 또는 선체부(110)로 분리된 별개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플랩(140)은 선폭 방향의 회동축(142)을 통해 측벽부(114)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측벽부(114)에 대해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해상 조건이나 선박의 운항 상태 등에 따라 플랩(140)을 적정 각도로 회동시켜 와류 방지나 저항 감소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덧붙여, 플랩(140)은 문풀(111) 내 배치된 카고탱크(120)의 이탈을 제한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즉, 문풀(111) 내 배치된 카고탱크(120)는 문풀(111) 하단의 플랩(140)에 의해 하부 측으로의 이탈이 소정정도 방지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카고탱크(120)는 문풀(111) 내에서 부유된 상태로 운용될 수 있는바, 정상적인 운용이나 사용 과정에서 카고탱크(120)는 플랩(140)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간섭되지 않음을 알려둔다.
또한, 플랩(14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플랩(140)은 선체부(110)에 마련된 각 문풀(111)의 측벽부(114)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3의 경우, 전형적인 선박형(ship type) 형상의 선체부(110)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해상에 부유되는 다양한 종류의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형적인 선박형 구조물에 한정하여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라 함은 탱커(tanker), 엘엔지선(LNG) 등 전형적인 선박형 구조물뿐만 아니라,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시추선(drill ship), 부유식 해상 플랫폼 등 해상에 부유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의미임을 알려둔다. 특히, 해상의 소정위치에서 계류(mooring) 성능이 요구되는 FPSO, 부유식 해상 터미널 등의 경우, 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의 적용을 통해 흘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바, 계류 성능 향상이나 계류에 필요한 설비 및 시스템을 축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프리-발라스트 선박의 작동상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전술한 문풀(111) 및 카고탱크(120)를 각각 제 1 내지 4 문풀(111a, 111b, 111c, 111d) 및 제 1 내지 4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로 구분하여 지칭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다만, 각각의 제 1 내지 4 문풀(111a, 111b, 111c, 111d) 및 제 1 내지 4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문풀(111) 및 카고탱크(120)와 동일 유사하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에서 선체부(110)는 일정한 흘수(d0)를 유지하며 운용되게 된다. 선체부(110)의 흘수(d0)는 선체부(110)에 반영구적으로 설치된 중량물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화물의 적재 등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은 선체부(110)의 흘수(d0)를 기본 흘수(d0)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제 1 내지 4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는 각각 선체부(110)에 마련된 제 1 내지 4 문풀(111a, 111b, 111c, 111d)에 수납 배치될 수 있다. 각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는 문풀(111a, 111b, 111c, 111d) 내 유입된 해수 중에 부유되며, 부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각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는 문풀(111a, 111b, 111c, 111d) 내에서 특별한 구속 없이 상하방향으로 자율 이동 가능한 바, 독립된 흘수(d1, d2, d3, d4)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는 다른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나 선체부(110)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제 1 카고탱크(120a)를 예로 설명하면, 제 1 카고탱크(120a)는 적재된 화물의 용량이나 비중에 따라 제 1 문풀(111a) 내에서 부유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카고탱크(120a)는 독립적인 제 1 흘수(d1)를 가지고 제 1 문풀(111a) 내 부유될 수 있다. 제 1 흘수(d1)는 전술한 선체부(110)의 기본 흘수(d0)와 독립적이며, 선체부(110)의 기본 흘수(d0)와 관계없이 제 1 카고탱크(120a)의 중량이나 비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 내지 4 카고탱크(120b, 120c, 120d) 또한 상기와 유사하게 각각 제 2 내지 4 흘수(d2, d3, d4)를 가지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 2 내지 4 문풀(111b, 111c, 111d) 내에 부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내지 4 흘수(d1, d2, d3, d4)는 상호 독립적이며, 각각 제 1 내지 4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의 중량이나 비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각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가 상호 독립적인 흘수(d1, d2, d3, d4)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각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의 흘수(d1, d2, d3, d4)는 선체부(110)의 기본 흘수(d0)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각 카고탱크(120a, 120b, 120c, 120d)는 적재되는 화물의 용량이나 비중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율 이동되어 흘수(d1, d2, d3, d4)가 조절될 수 있으며, 선체부(110)의 기본 흘수(d0)는 화물의 적재 등에 영향 받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화물의 적재 등에 따라 선박의 흘수를 조절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발라스트 시스템을 생략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발라스트 선박(100)은 해수의 유출입을 통한 흘수 조절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발라스트 탱크, 펌프, 각종 배관 라인 등으로 구성된 종래의 발라스트 시스템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발라스트 시스템의 생략은 선내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발라스트 탱크, 펌프, 각종 배관 등이 배치된 선내 공간을 다른 목적이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해수의 유출입이 이뤄지지 않는바 해상 환경 오염이나 교란이 저감될 수 있으며, 발라스트수(ballast water) 중의 미생물 제거 등을 위한 발라스트수 처리 시스템(BWT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또한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프리-발라스트 선박
110: 선체부
120: 카고탱크 130: 가이드
140: 플랩
120: 카고탱크 130: 가이드
140: 플랩
Claims (6)
- 하나 이상의 문풀(moonpool)을 구비하는 선체부; 및
상기 각 문풀 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카고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선체부는, 일정한 흘수(draft)를 가지며,
상기 각 카고탱크는, 상기 각 문풀 내에서 부유되어 상기 선체부와 독립된 흘수를 가지는, 프리-발라스트 선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문풀은, 상기 선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카고탱크는, 상기 각 문풀 내에서 부유되어 화물의 적재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율 이동 가능한, 프리-발라스트 선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체부는, 흘수를 유지하기 위한 중량물(weight)을 구비하는, 프리-발라스트 선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풀은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문풀은 상기 선체부에 복수개의 행(column) 또는 열(row)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카고탱크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각 카고탱크는 상기 각 문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프리-발라스트 선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문풀의 측벽부와 상기 각 카고탱크 사이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가이드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각 카고탱크 사이에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 또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각 카고탱크 사이에 개재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리-발라스트 선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문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동 가능한 플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각 플랩은,
상기 각 문풀의 측벽부 하단에 배치되며, 선수부 측을 향하는 상기 측벽부를 기점으로 선미부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저면부가 선저부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면을 형성하는, 프리-발라스트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818A KR20150062310A (ko) | 2013-11-29 | 2013-11-29 | 프리-발라스트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6818A KR20150062310A (ko) | 2013-11-29 | 2013-11-29 | 프리-발라스트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2310A true KR20150062310A (ko) | 2015-06-08 |
Family
ID=5350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6818A KR20150062310A (ko) | 2013-11-29 | 2013-11-29 | 프리-발라스트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6231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2184A (ko) * | 2016-11-10 | 2018-05-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시추선 |
-
2013
- 2013-11-29 KR KR1020130146818A patent/KR201500623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2184A (ko) * | 2016-11-10 | 2018-05-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시추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5888B1 (ko) | 선박의 능동적 및 수동적 안정화 시스템 및 방법 | |
KR101173364B1 (ko) | 논-밸러스트선 | |
KR20140029880A (ko) | 에어백 폰툰 | |
CN110869274B (zh) | 用于生产和储存碳氢化合物产品的近海船舶 | |
US9828072B2 (en) | Compact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acility | |
KR20180034998A (ko) | 밸러스트수 조절 장치 | |
BRPI1101728B1 (pt) | casco de spar que tem um poço central | |
KR102627020B1 (ko) | 해수 밸러스트가 없는 운송 선박의 트림을 제어하는 방법 | |
CN103228531A (zh) | 载货船舶以及装载和卸载这种载货船舶的方法 | |
KR20150076746A (ko) | 슬로싱 하중 저감 장치 | |
KR20100136766A (ko) |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 |
CN205770082U (zh) | 一种水下垂直运输设备 | |
KR101139129B1 (ko) | 선박의 전복 방지 시스템 | |
KR20150062310A (ko) | 프리-발라스트 선박 | |
KR101170388B1 (ko) | 문풀의 조파저항 저감 및 쇄파 장치 | |
US9132892B2 (en) | Floating vessel with tunnel | |
KR101334325B1 (ko) | 화물창을 구비하는 선박 | |
KR101938913B1 (ko) |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 |
KR101411494B1 (ko) | 횡동요 저감형 선박 | |
CN105923590A (zh) | 一种水下垂直运输设备及方法 | |
CN107531316A (zh) | 漂浮单元和稳定该漂浮单元的方法 | |
KR102594823B1 (ko) |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 |
US3368515A (en) | Submersible barge | |
WO2015082628A1 (en) | Floating vessel with trough deck | |
KR101536015B1 (ko) | 부력 조절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