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502B1 -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502B1
KR101807502B1 KR1020170098986A KR20170098986A KR101807502B1 KR 101807502 B1 KR101807502 B1 KR 101807502B1 KR 1020170098986 A KR1020170098986 A KR 1020170098986A KR 20170098986 A KR20170098986 A KR 20170098986A KR 101807502 B1 KR101807502 B1 KR 10180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rib
rail groove
buoyan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정공마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63B2231/06Stainless st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단순한 구성과 간편한 조립으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리브가 구비된 복수개의 부력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결합되도록 하부에 상기 제1리브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레일홈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통합결합부;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제2리브가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2레일홈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합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가 결속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aluminum floating structure for assembling type}
본 발명은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과 간편한 조립으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역이나 호수 등의 수역(水域)에 설치되는 부력구조물은 부두선착장, 요트계류장, 해상공원, 선착장, 계류장, 접안 시설물, 부잔교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상세히, 종래의 부력구조물은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부구를 상호 밀차되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부구 조립체로서 형성되도록 조립식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구는 박스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부구를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다단 배열하여 상부에 보강재를 이용해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의 상부에는 마감재를 얹은 상태로 양단을 고정하여 상기 부구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서 종래의 부력구조물이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의 부력구조물은 상기 부구 조립체에 보강재로 인해 전체적으로 하중이 균일하게 작용됨에 따라 파도 등에 의한 요동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부유 상태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재를 통해 미끄럼 등이 방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부력구조물은 상기 부구에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보강재가 접하도록 배치하여 볼트부재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부구를 개별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부력구조물은
또한, 상기 복수개의 부구는 상기 볼트부재에 의한 결합력만으로 결합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파랑 등에 의한 전후 내지 좌우 방향의 요동 즉, 롤링(rolling)과 피칭(pitching)이 심하게 발생하는 경우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볼트부재가 금속 재질인 경우에는 수분이나 염분에 노출됨에 따라 부식이 발생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해체 및 재조립 작업이 실질적으로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996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과 간편한 조립으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리브가 구비된 복수개의 부력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결합되도록 하부에 상기 제1리브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레일홈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통합결합부;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제2리브가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2레일홈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합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가 결속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리브 및 상기 제2리브의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각각 연장부가 돌출되며, 상기 통합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에는 상기 연장부가 걸림되도록 상기 제1레일홈부 및 상기 제2레일홈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걸림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장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차부의 내벽면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완충보강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부력체는 평형수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부력공간에 평형수가 공급 또는 배출되도록 외벽을 관통하여 단부가 바닥부에 인접 배치되는 평형수공급라인과, 상기 부력공간에 외기가 유통되도록 상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에어드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평형수공급수단은 상기 평형수공급라인을 통해 기설정된 배열영역에 독립적으로 상기 평형수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력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상기 통합결합부에 결합시 상호 형합되는 단차돌출부 및 단차형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전체 중량이 경량화되면서도 단순한 슬라이드 삽입만으로도 각 구성부품의 용이한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인원 소모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통합결합부에는 부력체의 상부에 구비된 제1리브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제1레일홈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걸림단차부가 형성됨에 따라 제1리브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연장부가 견고하게 걸림 지지되어 부력체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완충보강층은 상기 제1리브가 상기 제1레일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브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의 테두리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므로 파랑에 의한 상하요동 내지 좌우요동 발생시 작용하는 충격 등을 감쇄시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평형수공급수단은 평형수공급라인을 통해 기설정된 배열영역에 독립적으로 평형수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제어됨에 따라 구조물의 어느 일측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각 배열영역마다 평형수 저수량을 조절하여 평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부유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에서 결속수단을 제외한 구성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에서 결속수단을 제외한 구성부품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에서 결속수단을 제외한 구성부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B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은 부력체(10), 통합결합부(20), 보강결합부(30) 및 결속수단(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은 보트나 요트 등의 선박 계류장, 해상공원의 접안시설 및 해수면에 부유하여 다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교와 같은 각종 부양시설물의 설치에 사용된다.
이때,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은 각 구성부품이 경량성, 내식성, 내염성 및 내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은 중량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특히, 해양과 같이 염분이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되어도 부식이 방지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체(10)는 단면 프로파일이 다각형 내지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외기가 충진될 수 있는 부력공간(10d)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10)는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이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 상부에는 제1리브(11)가 돌설된다. 상세히, 상기 제1리브(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양면이 각각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리브(11)는 하부 테두리가 상기 부력체(10)의 외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에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리브(11)는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리브(11)는 상기 부력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10)는 상기 제1리브(11)가 후술되는 제1레일홈부(22)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통합결합부(2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부력체(10)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파도 등의 외력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므로 상기 제1리브(11)에 의해 분산 지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리브(11)에는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에 결합되는 리브몸체부(11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외측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된 연장부(11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1b)는 상기 리브몸체부(11a)의 테두리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폭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리브(11)는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슬라이드 삽입된 후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1b)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외측을 향해 확장날개부(11c)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11b)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확장날개부(11c)가 돌출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11b)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된 한쌍의 상기 확장날개부(11c)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장날개부(11c)는 상기 연장부(11b)의 폭방향 중앙선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날개부(11c)는 상기 연장부(11b)의 단부측 테두리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날개부(11c)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일측 테두리는 상기 연장부(11b)의 측단부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1b)의 상부에 돌출된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경우,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타측 테두리는 상기 연장부(11b)의 상단부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일측 테두리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b)의 하부에 돌출된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경우,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타측 테두리는 상기 연장부(11b)의 하단부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되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일측 테두리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타측 테두리 및 상기 연장부(11b)의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각(θ)은 130~14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각(θ)이 130°미만인 경우,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최대폭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절곡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사이각(θ)이 14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확장날개부(11c)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내면에 원활하게 걸림 지지되지 않아 상기 부력체(10)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날개부(11c)는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가 연결되는 끝단부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날개부(11c)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슬라이드 삽입되면 끝단부 및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내면 간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부드럽게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로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체(10)에는 평형수공급라인(12)과 에어드레인(13)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은 내부에 평형수가 유동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은 평형수가 공급되는 펌프 등의 평형수공급수단(60)과 연결되어 상기 부력공간(10d)에 평형수를 공급 또는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은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을 관통하여 상기 부력공간(10d)의 내부에 배치되되 단부(12d)가 바닥부에 인접 배치된다. 즉,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의 단부(12d)는 상기 부력공간(10d) 내부의 바닥부로부터 기설정된 간격(h)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의 단부(12d)는 상기 부력공간(10d) 내부의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평형수가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을 통해 흡입되어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공간(10d) 내부에 공급된 평형수가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을 통해 흡입되어 배출되면 상기 기설정된 간격(h) 사이 구간에서는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의 단부(12d)로부터 잔존하는 평형수가 흡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부력공간(10d)에는 상기 평형수가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기설정된 간격(h)에 대응되도록 상기 평형수의 최소 수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드레인(13)은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을 통해 공급 또는 배출되는 평형수의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부력공간(10d)에 외기가 유통되도록 상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에어드레인(13)은 외기가 상기 부력공간(10d)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드레인(13)의 일단부는 상기 부력체(10)의 상단부 즉,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을 관통하여 상기 부력공간(10d)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드레인(13)은 일단부가 상기 부력공간(10d)에 공급되는 평형수의 기설정된 최대 수위를 초과하는 높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기설정된 최대 수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을 통해 상기 평형수가 공급되어도 상기 에어드레인(13) 내부의 중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평형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드레인(13)의 타단부는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된다. 이때, 상기 에어드레인(13)의 타단부는 상기 부력체(10)의 외벽(10c)이 관통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연장된 방향이 전환되도록 라운드지게 절곡된다. 즉, 상기 에어드레인(13)의 타단부는 끝단에 개구된 부분이 실질적으로 하측을 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에어드레인(13) 내부의 중공 테두리가 라운드지게 절곡됨에 따라 파랑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물이 상기 부력체(10)의 외부로부터 상기 에어드레인(13)의 타단부를 통해 상기 부력공간(10d)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의 부유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형수공급수단(60)은 상기 평형수공급라인(12)을 통해 기설정된 배열영역(C1,C2,C3)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평형수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배열영역(C1,C2,C3)이라 함은 상기 통합결합부(20)에 결합된 복수개의 부력체(10) 중 어느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력체(10)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 통합결합부(20)가 각각 배열영역이 설정되면 일측 통합결합부에 결합된 각 부력체(10)는 제1배열영역(C1)으로 설정되고, 상기 일측 통합결합부로부터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타측 통합결합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각 부력체(10)는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2배열영역(C2) 및 제3배열영역(C3)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설정된 배열영역(C1,C2,C3)에는 상기 평형수가 공급되도록 각각 평형수공급라인(12A,12B,12C)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평형수공급라인(12A,12B,12C)은 상기 평형수공급수단(60)과 연결되어 상기 기설정된 배열영역(C1,C2,C3) 상의 각 부력체(10)와 각각 연결되도록 분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배열영역(C1,C2,C3)에 포함된 각 부력체(10)는 상기 각 평형수공급라인(12A,12B,12C)을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평형수 저수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평형수공급수단(60)과 연결된 상기 각 평형수공급라인(12A,12B,12C)에 공급되는 평형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각 배열영역(C1,C2,C3)마다 저수되는 평형수 저수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기설정된 배열영역(C1,C2,C3) 중 어느 일측의 상부에 집중적으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타측의 배열영역에 평형수의 저수량을 조절하여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의 평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배열영역(C1)측의 상부에 수하물 등이 적재되어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상기 평형수공급수단(60)은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상기 제1배열영역(C1)에 포함된 부력체(10)에 저수된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3배열영역(C3)에 포함된 부력체(10)에는 평형수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은 어느 일측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기설정된 배열영역(C1,C2,C3)의 각 부력체(10)에 독립적으로 평형수가 공급되어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의 평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부유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체(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단차돌출부(14) 및 단차형합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차돌출부(14)는 상기 부력체(10)의 일단부측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된다. 이때, 상기 단차돌출부(14)는 원형 내지 다각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형합홈(15)은 상기 단차돌출부(14)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부력체(10)의 타단부측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단차돌출부(14)는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10)가 상기 통합결합부(20)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결합되면 상기 단차형합홈(15)에 형합될 수 있다. 즉, 일측 부력체(10A)가 상기 통합결합부(20)에 결합된 후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타측 부력체(10B)가 결합되면 상기 일측 부력체(10A)의 타단부에 함몰 형성된 단차형합홈(15A)에는 상기 타측 부력체(10B)의 일단부에 돌출된 단차돌출부(14B)가 형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각 부력체(10)는 상기 단차돌출부(14) 및 상기 단차형합홈(15)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부력체(1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집중적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각 부력체(10)가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외력이 분산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리브(11)의 파손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단차돌출부(14)에는 외면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보강돌기가 돌설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단차돌출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형합홈(15)은 상기 보강돌기가 돌설된 단차돌출부(14)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호 형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부력체(10)는 상기 단차돌출부(14)가 상기 단차형합홈(15)에 형합되는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보강돌기에 의해 임의로 분리됨이 방지되어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력체(10)에 상기 단차돌출부(14) 및 상기 단차형합홈(15)이 형성된 구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10)는 상기 단차돌출부(14) 및 상기 단차형합홈(15)이 형성되지 않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각 단부의 상호 대향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통합결합부(2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통합결합부(20)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결합부(20)가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이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 물의 흐름이 상기 각 통합결합부(20) 사이로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어 유속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결합부(20)에는 복수개의 부력체(10)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결합되도록 하부에 상기 제1레일홈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홈부(22)는 상기 통합결합부(20)의 하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레일홈부(22)는 상기 통합결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브(11)가 상기 제1레일홈부(22) 내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레일홈부(22)는 상기 제1리브(11)가 형합되도록 상기 제1리브(11)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상기 제1리브(11)가 슬라이드 삽입되면 상기 연장부(11b)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내면에 형합되어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리브(11)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슬라이드 삽입되면 상호 형합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부력체(10)의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결합부(20)에는 상기 연장부(11b)가 걸림되도록 내측을 향해 걸림단차부(2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걸림단차부(23)는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내면으로부터 일체로 연결되어 내측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차부(23)는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폭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면에 각각 돌출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걸림단차부(23)는 상호 대면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걸림단차부(23)의 대향면 사이 간격이 상기 리브몸체부(11a)의 장폭을 초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리브(11)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슬라이드 삽입되면 상기 각 걸림단차부(23) 사이에 상기 리브몸체부(11a)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단차부(23)는 상기 통합결합부(20)의 하측 테두리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11b)의 하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차부(23)의 상기 확장날개부(11c)와 대향되는 내면에는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날개삽입홈(23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날개삽입홈(23a)은 상기 확장날개부(11c)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측면 테두리로부터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리브(11)의 슬라이드 삽입시 상기 확장날개부(11c)가 상기 날개삽입홈(23a)에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단차부(23)는 상기 리브몸체부(11a) 및 상기 연장부(11b)가 연결된 부분과, 상기 연장부(11b)의 하부 테두리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날개삽입홈(23a)은 상기 연장부(11b)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확장날개부(11c)에 대응되도록 일측 테두리부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와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수직하게 형성되되 타측 테두리부가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단차부(23)는 상기 연장부(11b)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확장날개부(11c)와 상기 리브몸체부(1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통합결합부(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레일홈부(22) 및 상기 걸림단차부(23)의 테두리가 상기 연장부(11b)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은 수상에 부유하는 도중 상하요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레일홈부(22) 및 상기 걸림단차부(23)의 테두리에 의해 상기 연장부(11b)가 견고하게 걸림 지지되므로 상기 부력체(1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걸림단차부(23)는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경사진 외면에 상호 형합되도록 상기 확장날개부(11c) 및 상기 리브몸체부(11a) 사이에 걸림되도록 배치되므로 좌우요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연장부(11b)는 상기 확장날개부(11c)가 상기 걸림단차부(23)에 걸림 지지되므로 상기 부력체(1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단차부(23)의 내벽면에는 완충보강층(23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차부(23)의 내벽면이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리브몸체부(11a)의 테두리와, 상기 리브몸체부(11a) 및 상기 연장부(11b)가 연결되는 부분의 테두리에 대향되는 내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완충보강층(23b)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되, 우수한 강도 및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테인리스(sus)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보강층(23b)은 상기 걸림단차부(23)의 상기 리브몸체부(11a)와 대향되는 내면과 상기 걸림단차부(23)의 상단 모서리부가 커버되도록 일측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차부(23)의 내벽면에 용접 내지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보강층(23b)은 상기 제1리브(11)의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완충보강층(23b)은 상기 각 걸림단차부(23)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한쌍으로 구비된다. 이때, 각 완충보강층(23b)의 대향되는 내면 사이 간격은 실질적으로 상기 리브몸체부(11a)의 장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완충보강층(23b)의 두께가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리브몸체부(11a)는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슬라이드 삽입되면 상기 완충보강층(23b)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좌우요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리브(11)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b)의 하부에는 상기 완충보강층(23b)이 삽입되도록 상측을 향해 단차지게 보강단차홈(11d)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단차홈(11d)에는 상기 걸림단차부(23)의 상단 모서리부가 커버되도록 절곡 형성된 상기 완충보강층(23b)의 일측이 형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단차홈(11d)의 높이는 상기 완충보강층(23b)의 두께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단차홈(11d)에 상기 완충보강층(23b)이 삽입되면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테두리와 상기 날개삽입홈(23a)의 내면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완충보강층(23b)의 상기 보강단차홈(11d)에 삽입되는 일측은 상기 부력체(10)의 상하방향으로 요동시에도 상기 연장부(11b) 및 상기 걸림단차부(23) 사이를 탄발 지지하여 완충 작용을 수행하므로 외력에 의한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절곡 내지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완충보강층(23b)은 상기 제1리브(11)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브몸체부(11a) 및 상기 연장부(11b)의 테두리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므로 파랑에 의한 상하요동 내지 좌우요동 발생시 작용하는 충격 등을 감쇄시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리브(11)는 상기 완충보강층(23b)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파랑에 의한 충격에도 상기 제1레일홈부(22) 및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결합부(20)의 길이는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10)가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각 부력체(10)가 합산된 길이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통합결합부(20)의 길이는 상기 각 부력체(10)가 상기 단차돌출부(14)가 상기 단차형합홈(15)에 형합되어 결합되면, 길이방향 측부에 배치되는 부력체(10)의 단부로부터 대향되는 측부에 배치된 부력체(10)측 단부 사이 길이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양단부에는 스토퍼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10)의 상기 제1리브(11)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된 후 상기 제1레일홈부(22)의 양단에 각각 억지 끼움 내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각 통합결합부(20)의 양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10)는 상기 제1리브(11)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통합결합부(20)에 슬라이드 삽입만으로도 손쉽게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10)는 상기 통합결합부(2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각 부력체(10)마다 개별적으로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 등을 이용해 결합하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 부력체(10)마다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삽입되는 형상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홈부(22)를 차폐하는 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제1리브(11)가 상기 레일홈부(22)를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부력체(10)가 상기 통합결합부(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리브(21)는 하부 테두리가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외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도록 형성되어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리브(21)는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리브(21)는 실질적으로 상술된 상기 제1리브(11)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제2리브(21)는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상부에 양단부가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리브(21)는 상기 통합결합부(2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단 배열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리브(21)는 상기 보강결합부(30)에 형성된 제2레일홈부(32)에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결합부(30)는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강결합부(30)의 하부에는 상기 제2리브(21)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제2레일홈부(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레일홈부(32)는 실질적으로 상술된 상기 제1레일홈부(22)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보강결합부(30)는 상기 제2리브(21)를 제외한 상기 통합결합부(20)의 형상 및 구조와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결합부(30)는 상기 제2리브(21)가 상기 제2레일홈부(22)에 형합되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보강결합부(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통합결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20)에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결합부(30)의 양단에는 상기 스토퍼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2리브(2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이 수면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유속의 영향을 받는 경우, 상기 통합결합부(20) 및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보강결합부(30)에 의해 변형이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결합부(30)는 상술된 상기 부력체(10) 및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조립 방법에 대응되도록 각 보강결합부(30)마다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손쉽게 슬라이드 삽입만으로도 조립되므로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보강결합부(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합결합부(20) 및 상기 보강결합부(30)가 결속된다. 이때,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통합결합부(20)의 단부가 결속되는 제1결속부(40a)와 상기 보강결합부(30)의 단부가 결속되는 제2결속부(40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결속부(40a)는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20)의 단부측 상면에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속부(40a) 및 상기 통합결합부(20) 사이에는 상기 보강결합부(30)의 높이에 대응되는 별도의 끼움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재는 상하방향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결속부(40a) 및 상기 통합결합부(2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보강결합부(30)의 상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결속부(40a)는 상기 보강결합부(30)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재의 삽입없이 상기 통합결합부(20)의 단부측 상면에 안착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속부(40b)는 복수개의 보강결합부(30)의 단부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각 보강결합부(30)의 단부측 상면에 상기 제2결속부(40b)가 안착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속부(40a) 및 상기 제2결속부(40b)는 상호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어 상호간의 양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제1결속부(40a) 및 상기 제2결속부(40b)가 상호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20) 및 상기 복수개의 보강결합부(30)는 상기 결속수단(40)에 의해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각 통합결합부(20) 및 상기 각 보강결합부(30)의 단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레일홈부(22) 및 상기 제2레일홈부(32)에 삽입되도록 내측을 향해 복수개의 돌기가 돌설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결속수단(40)은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20) 및 상기 복수개의 보강결합부(30)의 배치 상태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40)의 내측 또는 상부에는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20) 및 상기 복수개의 보강결합부(3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수상 자전거 도로, 수상 공연장, 수상 해안 산책길, 수상 가옥, 해양 낚시터 등의 추가적인 다양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전체 중량이 경량화되면서도 단순한 슬라이드 삽입만으로도 각 구성부품의 용이한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 인원 소모 및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에서 결속수단을 제외한 구성부품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통합결합부 및 보강결합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합결합부(120)는 부력체(10)의 상단에 돌설된 제1리브(11)의 양단에 돌출된 한쌍의 연장부(11b)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각 통합결합부(120a,120b)에는 상기 연장부(11b)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각각 제1레일홈부(122a,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 통합결합부(120a)에는 일측 제1레일홈부(122a)가 형성되고, 타측 통합결합부(120b)에는 타측 제1레일홈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제1레일홈부(122a,122b)는 상기 각 통합결합부(120a,120b)의 대향되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제1레일홈부(122a,122b)는 상기 각 연장부(11b)가 슬라이드 삽입되면 상호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1레일홈부(122a,122b)는 상기 연장부(11b)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11b)에는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외측을 향해 확장날개부(11c)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각 통합결합부(120a,120b)에는 상술된 걸림단차부(도 4의 23 참조)가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확장날개부(11c)가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1레일홈부(122a,122b)는 실질적으로 상기 연장부(11b) 및 상기 확장날개부(11c)의 테두리를 감싸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통합결합부(120a,120b)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121a,121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일측 통합결합부(120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 제2리브(121a)가 구비되고, 타측 통합결합부(120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측 제2리브(121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는 하부 테두리가 상기 각 통합결합부(120a,120b)의 외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도록 형성되어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리브(11)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는 상기 통합결합부(20)의 상부에 양단부가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는 상기 각 통합결합부(120a,1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는 보강결합부(130)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한편, 상기 보강결합부(130)는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의 양측으로 돌출된 연장부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보강결합부(130a,130b)에는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의 연장부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2레일홈부(132a,132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결합부(130)는 실질적으로 상기 각 제2리브(121a,121b)를 제외한 상기 통합결합부(120)에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통합결합부(120) 및 상기 보강결합부(130)는 상기 각 리브(11,121a,121b)의 양단에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각 리브(11,121a,121b)의 상부 테두리를 커버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조시 사용되는 재료가 절감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일측 보강결합부(130a)는 타측 보강결합부(130b)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측 통합결합부(120a)는 상기 일측 제2리브(121a)가 결합되기 전에 축을 중심으로 180° 회전된 상태로 상부에 제2리브가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타측 통합결합부(120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통합결합부(120a,120b) 및 상기 각 보강결합부(130a,130b)는 실질적으로 일측 및 타측 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제조하더라도 호환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조 편의성 및 호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부력체 11: 제1리브
11b: 연장부 11c : 확장날개부
12: 평형수공급라인 13: 에어드레인
14: 단차돌출부 15: 단차형합홈
20,120: 통합결합부 21: 제2리브
22: 제1레일홈부 23: 걸림단차부
23b: 완충보강층 30,130: 보강결합부
32: 제2레일홈부 40: 결속수단
100: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Claims (5)

  1. 내부에 부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리브가 구비된 복수개의 부력체;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결합되도록 하부에 상기 제1리브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1레일홈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통합결합부;
    상기 복수개의 통합결합부와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하부에 상기 제2리브가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제2레일홈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보강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통합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가 결속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리브 및 상기 제2리브의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각각 연장부가 돌출되며, 상기 통합결합부 및 상기 보강결합부에는 상기 연장부가 걸림되도록 상기 제1레일홈부 및 상기 제2레일홈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걸림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확장날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차부의 내벽면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완충보강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평형수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부력공간에 평형수가 공급 또는 배출되도록 외벽을 관통하여 단부가 바닥부에 인접 배치되는 평형수공급라인과,
    상기 부력공간에 외기가 유통되도록 상단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에어드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평형수공급수단은 상기 평형수공급라인을 통해 기설정된 배열영역에 독립적으로 상기 평형수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상기 통합결합부에 결합시 상호 형합되는 단차돌출부 및 단차형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KR1020170098986A 2017-08-04 2017-08-04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KR10180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86A KR101807502B1 (ko) 2017-08-04 2017-08-04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986A KR101807502B1 (ko) 2017-08-04 2017-08-04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502B1 true KR101807502B1 (ko) 2017-12-11

Family

ID=6094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986A KR101807502B1 (ko) 2017-08-04 2017-08-04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14Y1 (ko) 2003-10-28 2004-02-11 장윤정 조립식 부선
KR100575877B1 (ko) * 2005-08-02 2006-05-02 주식회사 에코인조목재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1211865B1 (ko) 2011-04-06 2012-12-12 (주) 대 홍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314Y1 (ko) 2003-10-28 2004-02-11 장윤정 조립식 부선
KR100575877B1 (ko) * 2005-08-02 2006-05-02 주식회사 에코인조목재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KR101026543B1 (ko) * 2010-10-20 2011-04-01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1211865B1 (ko) 2011-04-06 2012-12-12 (주) 대 홍 선착장의 부잔교용 분해조립식 부상(浮上)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78B1 (ko)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US8166901B2 (en) Dock system
US7640881B1 (en) Dock system
KR101083025B1 (ko)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KR101371080B1 (ko) 부유식 수상 구조물용 강 콘크리트 합성 폰툰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1545729B1 (ko) 충격완충기능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브라켓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101986978B1 (ko) 해상부유구조물
KR102166382B1 (ko) 부력체가 연결된 부잔교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KR101273537B1 (ko) 부력보강부재가 구비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101254488B1 (ko) 케이슨
KR101807502B1 (ko) 조립식 알루미늄 수상 구조물
KR20150043668A (ko) 푼툰을 이용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90045464A (ko) 바지선의 확장 구조 및 그 방법
KR102224206B1 (ko) 해상 부유 구조물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20190138955A (ko) 부유체
KR101311166B1 (ko) 단위 부유블럭을 이용한 부유 조립체
KR101444283B1 (ko) 횡동요 저감탱크
KR100619738B1 (ko) 수상 정박장치
KR101830963B1 (ko) 부잔교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KR20090017001A (ko)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