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201A -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 Google Patents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201A
KR20210032201A KR1020190113677A KR20190113677A KR20210032201A KR 20210032201 A KR20210032201 A KR 20210032201A KR 1020190113677 A KR1020190113677 A KR 1020190113677A KR 20190113677 A KR20190113677 A KR 20190113677A KR 20210032201 A KR20210032201 A KR 2021003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friendly
eco
manufacturing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윤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화학
강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화학, 강정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화학
Priority to KR102019011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201A/ko
Publication of KR202100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08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several expanding or moulding ste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29C44/5663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by perforating the foam, e.g. to open th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답대와 결합하되, 부력을 제공하는 부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자 제조방법은 (1) 평판 시트형의 두께 5T 내지 20T, 폭 200mm 내지 1000mm인 PE 판을 준비하는 PE 판 재료 준비단계; (2) 상기 PE 판을 합지기를 이용하여 와인딩하여 원기둥형의 PE 롤을 형성하는 PE 롤 형성단계; (3) 상기 PE 롤을 융착기에 의해 표면을 융착처리하여 2차 발포시켜 PE 융착폼을 형성시키는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 (4) PE 융착폼의 옆면의 중앙부에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하는 천공홀 보오링 단계; 및 (5) 상기 천공홀에 간답대가 관통되거나 부착되는 가이드 홀 조립체를 끼워 조립하는 가이드 홀 조립체 조립 단계;로 구성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Eco-friendly PE Welding Float Manufacturing Method and Thereby Eco-friendly PE Welding Float}
본 발명은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답대와 결합하되, 부력을 제공하는 부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자 제조방법은 (1) 평판 시트형의 두께 5T 내지 20T, 폭 200mm 내지 1000mm인 PE 판을 준비하는 PE 판 재료 준비단계; (2) 상기 PE 판을 합지기를 이용하여 와인딩하여 원기둥형의 PE 롤을 형성하는 PE 롤 형성단계; (3) 상기 PE 롤을 융착기에 의해 표면을 융착처리하여 2차 발포하여 PE 융착폼을 형성시키는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 (4) PE 융착폼의 옆면의 중앙부에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하는 천공홀 보오링 단계; 및 (5) 상기 천공홀에 간답대가 관통하거나 부착되는 가이드 홀 조립체를 끼워 조립하는 가이드 홀 조립체 조립 단계;로 구성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수산양식용 망이 바닷속에 늘어뜨려져 최적의 해조류 생육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양식장치를 이루는 장치 중에는 간답대와 결합하는 부자라는 것이 있고, 이러한 부자는 바닷물에 부유하도록 하는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산양식용 부자는 특히 김 양식장치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단순히 일정 크기의 스티로폼 덩어리로 되는 복수의 부자에 간답대를 끈으로 묶어 고정되게 한 상태에서, 이 간답대에 다수의 김 양식망 상단을 걸어 바닷속에 김 양식망(이하 '김발'이라 함)이 늘어뜨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김의 원료가 되는 해조류가 김발에 달라붙어 정상적으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물속에 잠겨 있다가 주간에 일정시간 동안 김발을 해수면 위로 노출시켜 해조류가 햇볕에 건조되는 과정을 반복시켜주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부자는 가볍고 부력을 확보하기 쉽다는 이유로 스티로폼 재질의 부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티로폼 부자는 밀도가 낮고 부스러져 해양쓰레기의 발생 주원인이며, 더 나아가 해양 생물의 생존과 해양생태계의 존립을 위협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스티로폼 재질의 부자를 대체할 친환경 소재의 부자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과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1) 본 발명의 목적은 PE 재질로서 해양 쓰레기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2)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쉽게 부스러지거나 깨지지 않아 해양에 쓰레기의 배출량을 감소시키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를 제공함에 있다.
(3)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어민들이 쉽게 설치 및 회수가 수월하도록 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를 제공함에 있다.
(4)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충격에 강하되,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파손되지 않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를 제공함에 있다.
(5)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방법이 간편하여 제조비 절감 및 내구성 강화에 따른 인건비 및 유지비를 저감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은
(1) 평판 시트형의 두께 5T 내지 20T, 폭 200mm 내지 1000mm인 PE 판 재료(PEF)를 준비하는 PE 판 재료 준비단계(S100);
(2) 상기 PE 판 재료(PEF)을 합지기를 이용하여 와인딩하여 원기둥형의 PE 롤(PER)을 형성하는 PE 롤 형성단계(S200);
(3) 상기 PE 롤(PER)을 융착기에 의해 표면을 융착처리하여 2차 발포시켜 PE 융착폼(PEW)을 형성시키는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S300);
(4) PE 융착폼(PEW)의 옆면 중앙부에 천공홀(BH)을 형성하도록 하는 천공홀 보오링 단계(S400); 및
(5) 상기 천공홀(BH)에 간답대가 관통되거나 부착되는 가이드 홀 조립체(GH)를 끼워 조립하는 가이드 홀 조립체 조립 단계(S500);로 구성된다.
상기 PE 롤(PER)은 압착되어 직경 300mm 내지 900mm이고, 높이는 180mm 내지 980mm 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PE 판 재료(PEF)는 저밀도 PE(LDPE) 또는 선형 저밀도 PE(LLDPE)로서 발포 성형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융착기는 열판 융착,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PE 롤(PER)의 표면을 용융시키되, 1mm 내지 30mm의 용융층을 형성시켜 수밀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홀 조립체(GH)는 상기 천공홀(BH)에 관통되어 조립되는 좌우 대칭형으로서 나사 결합되며, 상기 PE 융착폼(PEW)의 옆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양 말단에 링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S300)에서 옆면에 단면이 사각형인 띠 형태로 오목한 오목 가이드홈(CG)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친환경 PE 융착 부자는 상기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PE 재질로서 해양 쓰레기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2)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PE 융착 부자는 쉽게 부스러지거나 깨지지 않아 해양에 쓰레기의 배출량을 감소시킨다.
(3)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PE 융착 부자는 통통 튀지 않아 어민들이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회수가 수월하다.
(4)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PE 융착 부자는 충격에 강하되,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5) 본 발명은 PE 융착 부자의 제조방법이 간편하여 제조비 절감 및 내구성 강화에 따른 인건비 및 유지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6) 용융층에 의해 PE 판 재료 자체가 가지는 에어셀과 PE 판 재료가 와인딩되면서 판이 겹치면서 생기는 에어포켓에 의해 PE 융착폼은 부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PE 판 재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PE 판 재료를 와인딩하여 PE 롤로 성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PE 롤을 융착기를 사용하여 표면에 융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융착기를 사용하여 표면에 융착층이 형성된 PE 융착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PE 융착폼에 천공홀을 형성시킨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천공홀에 조립될 가이드 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PE 융착폼의 천공홀에 가이드홀 조립체를 조립하여 완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PE 융착 부자의 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2는 PE 판 재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PE 판 재료를 와인딩하여 PE 롤로 성형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상기 PE 롤을 융착기를 사용하여 표면에 융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융착기를 사용하여 표면에 융착층이 형성된 PE 융착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PE 융착폼에 천공홀을 형성시킨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천공홀에 조립될 가이드 홀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PE 융착폼의 천공홀에 가이드홀 조립체를 조립하여 완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의 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은
(1) 평판 시트형의 두께 5T 내지 20T, 폭 200mm 내지 1000mm인 PE 판 재료(PEF)를 준비하는 PE 판 재료 준비단계(S100);
(2) 상기 PE 판 재료(PEF)을 합지기를 이용하여 와인딩하여 원기둥형의 PE 롤(PER)을 형성하는 PE 롤 형성단계(S200);
(3) 상기 PE 롤(PER)을 융착기에 의해 표면을 융착처리하여 2차 발포시켜 PE 융착폼(PEW)을 형성시키는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S300);
(4) PE 융착폼(PEW)의 옆면 중앙부에 천공홀(BH)을 형성하도록 하는 천공홀 보오링 단계(S400); 및
(5) 상기 천공홀(BH)에 간답대가 관통되거나 부착되는 가이드 홀 조립체(GH)를 끼워 조립하는 가이드 홀 조립체 조립 단계(S500);로 구성된다.
PE 판 재료에서 PE는 폴리에틸렌을 말하며, PE 판 재료는 발포성형된 것을 사용하되, 앞뒤 표면은 PE 필름으로 코팅되거나, 후술하는 융착기에 의해 1mm 정도의 융착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PE 롤(PER)은 압착되어 직경 300mm 내지 900mm이고, 높이는 180mm 내지 980mm 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PE 판 재료(PEF)는 저밀도 PE(LDPE) 또는 선형 저밀도 PE(LLDPE)로서 발포 성형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는 유백색 반투명의 결정성 수지로서 융점 105~120℃, 비중 0.915~0.930인바, 비교적 비중이 커, 부표 내지 부자 재료로 활용하기에 난맥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표성형한 PE를 재료로 하고, 융착기에 의해 표면을 융착하여 수밀성을 극대화하여 내부의 에어셀과 에어포켓에 의해 부자가 부력을 갖게 하여 해양쓰레기의 주범인 스티로폼으로 된 부자를 대체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나아가 유연하고 탄력이 있으며 온도에 강하고, 무극성이므로 물, 산, 알카리, 화학약품에 강하고,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형 저밀도 PE(LLDPE)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해 충격강도, 인장강도, 파열강도, 경도가 높고, 스트레스에 강하며, 고온특성과 저온특성이 더 좋다는 장점이 있어 본 발명인 친환경 부자의 재료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E의 특징은 통상 부표의 재료로 활용되는 스티로폼에 비해 강도 및 내약품성, 온도특성, 내화학성, 내산 및 내알카리성이 훨씬 크므로 쉽게 부스러지지 않아 해양의 표층에 밀집해 있는 스티로폼과 같은 부스러진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아 해양의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다.
상기 PE 판 재료는 발포 성형된 것으로서 내부 격벽으로 갇혀있는 수많은 에어셀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융착기는 열판 융착,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PE 롤(PER)의 표면을 용융시켜 1mm 내지 30mm의 용융층을 형성시켜 수밀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융층은 표면에 애초에 PE 필름으로 감싼 후 융착처리하여 성형시킴이 바람직하다.
표면에서의 융착온도는 146도 내지 172도의 가열온도를 유지하면서, 융착층의 두께는 유지 시간에 의해 조절하는바, 20초에서 300초 사이에서 융착을 하면 된다.
수밀성은 융착층이 클수록 좋은것이 당연하나,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무엇보다도 용융층이 클수록 에어포켓과 에어셀이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어 부력이 감소하므로, 이에 대한 정밀한 실험이 수반되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한 융착층의 두께는 4-6mm 정도이고, 이때의 융착온도는 152 내지 155도 범위이되, 융착 시간은 30초에서 50초 사이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융층에 의해 PE 판 재료 자체가 가지는 에어셀(AC)과 PE 판 재료가 와인딩되어 판이 겹치면서 생기는 내부의 에어포켓(AP)에 의해 PE 융착폼은 부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저밀도 PE(LDPE) 또는 선형 저밀도 PE(LLDPE)을 사용한 PE 융착폼은 충격에 강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파손되지 않는(바스러지지 않는) 특징이 있고, 이러한 성질은 상기 저밀도 PE(LDPE) 또는 선형 저밀도 PE(LLDPE) 플라스틱의 일반적이면서 상대적인 물성인 바 이에 대한 것은 따로 본 명세서상 기재하지 않는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홀 조립체(GH)는 상기 천공홀(BH)에 관통되어 조립되는 좌우 대칭형으로서 나사 결합되며, 상기 PE 융착폼(PEW)의 옆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양 말단이 링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답대가 설치되거나 관통되도록 하는 중앙부의 천공홀과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홈 조립체는 2개이상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S300)에서 옆면에 단면이 사각형 내지 사다리콜의 띠 형태로 오목한 오목 가이드홈(CG)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오목 가이드홈은 밧줄에 의한 체결이나 어떠한 다른 물체와 고정함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PE 융착 부자는 상기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PE 재질로서 해양 쓰레기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2)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PE 융착 부자는 쉽게 부스러지거나 깨지지 않아 해양에 쓰레기의 배출량을 감소시킨다.
(3)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PE 융착 부자는 통통 튀지 않아 어민들이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회수가 수월하다.
(4)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PE 융착 부자는 충격에 강하되,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5) 본 발명은 PE 융착 부자의 제조방법이 간편하여 제조비 절감 및 내구성 강화에 따른 인건비 및 유지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6) 용융층에 의해 PE 판 재료 자체가 가지는 에어셀과 PE 판 재료가 와인딩되면서 판이 겹치면서 생기는 에어포켓에 의해 PE 융착폼은 부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PEF : PE 판 재료 PER : PE 롤
WM : 융착기 PEW : PE 융착폼
BH : 천공홀 GH : 가이드홀 조립체
CG : 오목 가이드홈 AP : 에어포켓
AC : 에어셀
S100 : PE 판 재료 준비단계 S200 : PE 롤 형성단계
S300 : PE 융착폼 형성단계 S400 : 천공홀 보오링 단계
S500 : 가이드 홀 조립체 조립단계

Claims (7)

  1. 간답대와 결합하되, 부력을 제공하는 부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자 제조방법은
    (1) 평판 시트형의 두께 5T 내지 20T, 폭 200mm 내지 1000mm인 PE 판을 준비하는 PE 판 재료 준비단계;
    (2) 상기 PE 판을 합지기를 이용하여 와인딩하여 원기둥형의 PE 롤을 형성하는 PE 롤 형성단계;
    (3) 상기 PE 롤을 융착기에 의해 표면을 융착처리하여 2차 발포시켜 PE 융착폼을 형성시키는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
    (4) PE 융착폼의 옆면 중앙부에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하는 천공홀 보오링 단계; 및
    (5) 상기 천공홀에 간답대가 관통되거나 부착되는 가이드 홀 조립체를 끼워 조립하는 가이드홀 조립체 조립 단계;
    로 구성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E 롤은 압착되어 직경 300mm 내지 900mm이고, 높이는 180mm 내지 980m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E 판은 저밀도 PE(LDPE) 또는 선형 저밀도 PE(LLDPE)로서 발포 성형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기는 열판 융착, 초음파 융착, 레이저 융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PE 롤의 표면을 용융시키되 1mm 내지 30mm의 용융층을 형성시켜 수밀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 조립체는 상기 천공홀에 관통되어 조립되는 좌우 대칭형으로서 나사 결합되며, 상기 PE 융착폼의 옆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양 말단에 링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융착폼 형성단계에서 옆면에 단면이 사각형인 띠 형태로 오목한 오목 가이드홈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KR1020190113677A 2019-09-16 2019-09-16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KR20210032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77A KR20210032201A (ko) 2019-09-16 2019-09-16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677A KR20210032201A (ko) 2019-09-16 2019-09-16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201A true KR20210032201A (ko) 2021-03-24

Family

ID=7525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677A KR20210032201A (ko) 2019-09-16 2019-09-16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2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235B1 (ko) * 2021-11-04 2022-08-05 이재용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230090950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무등해양수산 Eva 및 pe를 이용하여 한번에 발포된 부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235B1 (ko) * 2021-11-04 2022-08-05 이재용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230090950A (ko)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무등해양수산 Eva 및 pe를 이용하여 한번에 발포된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5608B2 (en) Eco-friendly buoy
KR20210032201A (ko)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US4441453A (en) Artificial fish habitat
CN101346515B (zh) 水上漂浮体及其连接体
JP2015536679A (ja) 容器を用いた浮上組立体
KR101646095B1 (ko) 양식장 부표
KR101965130B1 (ko) 부표
KR101167489B1 (ko) 복합형 인공어초
KR101238200B1 (ko) 해상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KR101829898B1 (ko)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CN101588961B (zh) 抗上浮性水上浮子
KR20210032202A (ko) 표면 융착형 pe 부자
KR20120058475A (ko)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KR102144957B1 (ko) 부표
KR102111478B1 (ko) 이종배율 부표
KR20210056034A (ko) 폴리에틸렌 발포체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KR20230090950A (ko) Eva 및 pe를 이용하여 한번에 발포된 부자
JP2007000039A (ja) 牡蠣筏
KR100494636B1 (ko)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20220079136A (ko)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수산부자
KR102215007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JP2008154466A (ja) かき筏
TWM544780U (zh) 沉浮式蚵棚結構
KR102095258B1 (ko) 친환경 부표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