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98B1 -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9898B1 KR101829898B1 KR1020170046061A KR20170046061A KR101829898B1 KR 101829898 B1 KR101829898 B1 KR 101829898B1 KR 1020170046061 A KR1020170046061 A KR 1020170046061A KR 20170046061 A KR20170046061 A KR 20170046061A KR 101829898 B1 KR101829898 B1 KR 101829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ition wall
- side cover
- wall member
- cover
- cover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06 polyprop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891 Haliot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중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는, 대칭구조를 갖으며, 대향면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일, 타측커버(110, 120); 및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 각각의 내부에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구획 형성되며, 대칭구조를 가져 대향면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균열 발생시 부력 유지를 위해 내부 구조를 개선한 부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바다 등에서는 김, 굴, 전복 또는 다양한 어류나 패류 등을 가두어 양식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수산물을 양식하거나 일시적으로 가두고자 하는 경우에 이들 어구를 수중에 고정하여 지지하거나 다양한 어구를 수면으로 띄우기 위한 부자가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부자는 수중에 위치하게 되는 그물이나 양식용 로프 등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가두리 양식장의 경우 작업자의 통로나 경계벽 등을 수면 위로 띄우기 수단으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자는 통상적으로 장방형의 원형 스티로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상기와 같이 스티로폼으로 된 부자의 경우 태양광이나 해수에 의해 쉽게 부식되고 파손되므로 부력 상실에 따라 부자의 사용 수명이 극히 짧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었으며, 잡물이 제품에 붙어 파손되거나 분리된 스티로폼 조각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으로 지적되므로 근래에 들어서는 Polypropylene(PP, 폴리프로필렌) 및 Polyethylene(PE, 폴리에틸렌) 등으로 된 부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부자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5806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693443호에 제안된 바 있다.
종래기술 1은 반구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접촉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끼워맞춤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를 구 형상으로 밀착시킬 경우 결합되는 끼워맞춤부를 초음파 접합 등에 의해 고정한 부표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선박이 어장에 근접하는 과정에서 부표와 충돌하여 부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서 부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는 양측에 끈의 고정과 파지가 가능하게 파지대를 구비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반구와, 한 쌍의 반구가 서로 부착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 상에 한 쌍의 반구가 열에 의해 서로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열에 의해 용융되어 서로 부착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용융대를 구비하는 융착부; 및 상기 본체의 반구 내부에 해저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계단형지지대와, 수직형상과 절곡형상으로 돌출되는 수직형지지대와 절곡형지지대를 구비하되, 계단형지지대와 수직형지지대와 절곡형지지대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교차부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 양식용 부표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이 역시 내부가 중공 형성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 부위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부표 제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부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기 주입식으로 제조되는데 이 경우 외벽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므로 내충격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대칭된 일, 타측커버의 내부에 열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되도록 대칭된 일, 타측 격벽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일, 타측 격벽부재의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된 공간마다 부력이 형성되게 하여 구획 공간 중 일부 공간에서 부력이 상실되어도 나머지 공간에서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열융착 전인 일, 타측커버의 대향면 두께를 적절하게 형성하여 열융착시 융착면에 부풀어올라 형성된 돌출부를 최소화시키는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는, 대칭구조를 갖으며, 대향면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일, 타측커버(110, 120); 및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 각각의 내부에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구획 형성되며, 대칭구조를 가져 대향면이 열융착에 의해 밀봉되는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는 외형이 반원통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식용 부자는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 결합시 원통형 또는 구형 형상을 갖는 격벽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의 열융착 후 융착면 두께가 10㎜ 이상 13㎜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부자의 제조방법은, 대칭구조를 갖으며, 내부에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구획 형성된 일, 타측커버(110, 12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와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대향면을 열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설치된 일, 타측커버(110, 120) 사출 성형 단계는,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설치된 일, 타측커버(110, 120) 사출 성형 단계 수행시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의 열융착 후 융착면 두께가 10㎜ 이상 13㎜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와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대향면 열 융착 단계 수행시 가열 온도가 210℃ 이상 220℃ 이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자의 제조 과정에서 일, 타측커버의 내부에 다수의 구획 공간이 형성되도록 일, 타측 격벽부재를 설치하므로 선박 등의 충돌에 의해 커버의 특정 부분에 균열 등이 발생하여 부력이 일부 상실되어도 나머지 구획 공간 내에서 부자가 부유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 가능하며, 열융착 전인 일, 타측커버의 대향면 두께를 열융착 후인 융착면 두께의 변형 면적을 고려하여 설계하므로 열융착시 융착면에 부풀어올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최소화하여 업무 능률 향상, 제품의 우수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에서 일측커버 및 일측 격벽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에서 일측커버 및 일측 격벽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에서 일측커버 및 일측 격벽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에서 일측커버 및 일측 격벽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100)는 외형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부자의 외형 몸체를 형성하는 일측커버(110) 및 타측커버(120)와, 일, 타측커버(110, 120) 각각에 설치되는 일측 격벽부재(130) 및 타측 격벽부재(140)를 포함한다.
일측커버(110)는 단면 형상이 반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면서 양식용 부자(100)의 일측을 구성하여 타측커버(120)와의 결합시 양식용 부자(100)가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하며, 수용부(112), 접합부(114) 및 고정끈 연결홀(116)을 포함한다.
수용부(112)는 내부에 일측 격벽부재(130)가 수용되도록 타측커버(120)와의 대향면이 개구 형성된다.
접합부(114)는 접합 면적을 넓힐 수 있게 수용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커버(110)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되어 타측커버(120)의 접합부(122)와 가열 용융에 의해 서로 융착된다.
이때, 접합부(114)는 융착되는 면을 말하며, 이하에서는 접합부(114)가 융착되기 전을 대향면이라 칭하고, 접합부(114)가 융착된 후를 융착면이라 칭한다.
한편, 접합부(114)가 융착되기 전인 대향면의 두께는 8㎜ 이상 1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합부(114)가 융착된 후의 융착면의 두께는 10㎜ 이상 13㎜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접합부(114)는 열융착 전의 대향면 두께를 기준으로 열융착 후 융착면의 두께가 약 2㎜~3㎜ 정도 연신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접합부(114)가 융착되기 후인 융착면 두께가 10㎜ 미만이면 접합 면적 감소에 따른 내충격성이 약하게 된다. 반면, 접합부(114)가 융착되기 후인 융착면 두께가 13㎜를 초과하면 접합부(114)가 녹으면서 돌출부의 높이 및 면적이 커지게 된다.
이때, 돌출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열융착시 접합부(114)와 타측커버(120)의 접합부(124)가 열융착되면서 접합부(114, 124)의 융착면 가장자리가 상하 방향으로 부풀어올라 라운딩 형태로 형성되는 부위를 말한다.
이렇게, 돌출부의 높이 및 면적이 커지면 어망을 선박에 끌어올릴 때 과대하게 형성된 돌출부가 선박에 간섭이 생기도록 하므로 작업자(어민)들에게 과도한 에너지 소모를 발생시켜 작업에 어려움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접합부(114)의 융착면 두께가 10㎜ 이상 13㎜ 이하 일 때 접합부(114)의 융착면에서 최적의 녹는점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돌출부가 과대하게 형성됨을 방지하여 작업시 최소의 간섭만이 발생하게 하므로 업무 능률 향상, 제품의 우수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끈 연결홀(116)은 일측커버(110)의 외주면에 설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돌출 부분에 관통 형성되어 이웃한 부자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끈이 고정된다.
타측커버(120)는 단면 형상이 반원통형 형태로 형성되면서 양식용 부자(100)의 타측을 구성하여 일측커버(110)와의 결합시 양식용 부자(100)가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하며, 수용부(122), 접합부(124) 및 고정끈 연결홀(126)을 포함한다.
더욱이, 타측커버(120)는 일측커버(110)와 동일한 재질이면서 대칭 형태의 구조로 제작된다.
수용부(122)는 내부에 일측 격벽부재(130)가 수용되도록 타측커버(120)와의 대향면이 개구 형성된다.
접합부(124)는 접합 면적을 넓힐 수 있게 수용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타측커버(120)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형성되어 일측커버(110)의 접합부(112)와 가열 용융에 의해 서로 융착된다.
이때, 접합부(124)는 일측커버(110)의 접합부(114)와 동일하게 융착되기 전인 대향면의 두께가 8㎜ 이상 1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24)가 접합부(114)와 융착된 후의 융착면의 두께는 10㎜ 이상 13㎜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접합부(124)는 가장자리 중 상호 대각선 위치에 테두리를 따라 절곡 형상의 가이드(도면에 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대향된 일측커버(110)의 접합부(114)와의 접합 위치가 어긋남 없이 일치하게 할 수 있으며, 일측커버(110)의 접합부(114)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끈 연결홀(126)은 타측커버(120)의 외주면에 설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돌출 부분에 관통 형성되어 이웃한 부자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끈이 고정된다.
일측 격벽부재(130)는 일측커버(110)의 수용부(112)에 수용되어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수용부(112)의 내부를 구획 형성하며, 수평부(132) 및 수직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일측 격벽부재(130)는 일측커버(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한편, 일측 격벽부재(130)는 일측커버(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측커버(110)와 별도로 제작한 후 일측커버(110)의 내벽면에 열 융착에 의해 접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일측커버(110)와 별도로 제작한 후 열 융착에 의해 일측커버(110)에 접합하는 경우 공정수가 증가하므로 일측커버(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132)는 도 1을 기준으로 일측커버(110)의 수용부(112)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하에 개별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수직부(134)는 수평부(132)와 직교 방향으로 설정 간격마다 복수개 형성되어 좌우에 다수의 개별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수평부(132)는 1개 구비되고, 수직부(134)는 2개가 수평부(132)와 직교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격벽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타측 격벽부재(140)는 타측커버(120)의 수용부(122)에 일측 격벽부재(130)와 대칭 형태로 수용되어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수용부(122)의 내부를 구획 형성하며, 수평부(142) 및 수직부(144)를 포함한다.
이때, 타측 격벽부재(140)는 타측커버(1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한편, 타측 격벽부재(140)도 앞서 설명한 일측 격벽부재(130)와 마찬가지로 타측커버(120)에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142)는 도 1을 기준으로 타측커버(120)의 수용부(122)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하에 개별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수직부(144)는 수평부(142)와 직교 방향으로 설정 간격마다 복수개 형성되어 좌우에 다수의 개별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수평부(142)는 1개 구비되고, 수직부(144)는 2개가 수평부(142)와 직교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격벽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일측 격벽부재(130)와 타측 격벽부재(140)는 일측커버(110)의 수용부(112)와 타측커버(120)의 수용부(122) 각각이 양식용 부자(100)가 소형일 때는 2개, 대형일 때는 8개의 공간으로 분할 형성되며, 분할 공간 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결국, 어장에 설치된 부자(100)가 이동하는 선박 등과 충돌하여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고, 균열에 의한 틈을 통해 물이 유입되어도 나머지 정상적인 구획 공간 내에서 부자(100)가 부유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일측 격벽부재(130)와 타측 격벽부재(140)는 분할 공간 중 수평부(132, 142) 또는 수직부(134, 144)의 전체 외벽면 또는 일부 외벽면에 보조 부표를 구비하여 일, 타측커버(110, 120)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내부의 보조부표를 작동시켜 파손 부위에 대한 부력을 보조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부표는 내부가 밀폐된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면이 수평부(132, 142) 또는 수직부(134, 144)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부표부와, 부표부의 신장되는 부위인 전면에 고정되며 일, 타측커버(110, 120)의 손상시 틈을 통해 노출된 단부를 잡아당겨 부표부를 인위적으로 신장시키는 당김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자바라는 표면에 주름이 다수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피 감소를 위해 접어 압축시킨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부피 증가를 위해 펼쳐 신장시키는 구조물을 말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100)는 외형이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커버(110), 타측커버(120), 일측 격벽부재(130) 및 타측 격벽부재(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100)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 각각이 반구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점만 상이하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결국,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측 격벽부재(130)와 타측 격벽부재(140) 역시 반구형의 격벽인 수평부(132, 142)와 수직부(134, 144)를 각각 직교 방향으로 교차시킨 형태로 내부에 설치하여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의 결합시 일측 격벽부재(130)와 타측 격벽부재(140)에 의해 양식용 부자(100)의 내부가 다수개의 공간으로 분할 형성된다. 한편, 양식용 부자(100)의 내부는 양식용 부자(100)의 크기에 따라 2 내지 8개의 공간으로 분할 형성되며, 분할 공간 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12, 122는 수용부이고, 114, 124는 접합부이며, 116, 126은 고정끈 연결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의 제조방법은 원료 투입 단계(S200), 일, 타측 격벽부재가 설치된 일, 타측커버 사출 성형 단계(S210), 일, 타측커버와 일, 타측 격벽부재의 대향면 열 융착 단계(S220) 및 검사 단계(S230)를 포함한다.
원료 투입 단계(S200)는 일, 타측커버(110, 120)와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원료를 사출기(도면에 미도시)로 투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일, 타측커버(110, 120) 및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원료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PC : Poly propylen-Copolymer) 등이 사용된다.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설치된 일, 타측커버 사출 성형 단계(S210)는 외형이 반원통형 형상 또는 반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된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의 내부에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구획 형성된 일측 격벽부재(130)와 타측 격벽부재(140)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설치된 일, 타측커버 사출 성형 단계(S210)는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를 일, 타측커버(110, 120)와 일체로 성형한다.
이때,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설치된 일, 타측커버 사출 성형 단계(S210)는 일, 타측커버(110, 120)가 수용부(112, 122), 접합부(114, 124) 및 고정끈 연결홀(116, 126)을 포함하도록 사출 성형한다.
일, 타측커버(110, 120)와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대향면 열 융착 단계(S230)는 일, 타측커버(110, 120)와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대향면이 접합되도록 열 융착하여 융착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일측 격벽부재(130)가 설치된 일측커버(110)의 접합부(114)와 일측 격벽부재(130)의 후면 그리고 타측 격벽부재(140)가 설치된 타측커버(120)의 접합부(124)와 타측 격벽부재(140)의 후면을 서로 맞댄 상태로 융착기에서 열 용착시키게 된다.
이때, 접합부(114, 124)는 열융착면을 말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114, 124)가 융착되기 전인 대향면의 두께는 8㎜ 이상 1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합부(114, 124)가 융착된 후의 융착면 두께는 10㎜ 이상 13㎜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접합부(114)는 열융착 전의 대향면 두께를 기준으로 열융착 후 융착면이 약 2㎜~3㎜ 정도 연신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열 융착에 의해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를 접합시키면 일측커버(110)의 접합부(114)와 타측커버(120)의 접합부(124) 그리고 내부의 일측 격벽부재(130)와 타측 격벽부재(140)의 대향면 역시 접합되면서 수평부(132, 142)와 수직부(134, 144)에 의해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게 된다.
이때, 양식용 부자(100)의 내부는 양식용 부자(100)의 크기에 따라 2 내지 8개의 공간으로 분할 형성되며, 분할 공간 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증감이 가능하다.
결국,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는 단면 형상이 반원통형 또는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므로 양식용 부자(100)를 구성하기 위해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를 접합시키면 원통형 또는 구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일, 타측커버(110, 120)와 일, 타측 격벽부재의 대향면 열 융착 단계(S230)는 설정온도에서 설정시간 동안 가열하여 일측커버(110)의 접합부(114)와 타측커버(120)의 접합부(124) 그리고 내부의 일측 격벽부재(130)와 타측 격벽부재(140)의 대향면을 융착하게 된다.
한편, 일, 타측커버(110, 120)와 일, 타측 격벽부재의 대향면 열 융착 단계(S230) 수행시 가열 온도는 210℃ 이상 2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열 온도가 210℃ 미만인 경우 접합부(114, 124)의 온도가 낮아 열융착에 의한 결합이 어렵고, 녹는 부위가 불균형에 따른 제품의 불량 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가열 온도가 220℃를 초과한 경우 접합부(114, 124)가 너무 빨리 녹아 서로 붙일 때 융착 시간이 너무 짧아져 불량이 발생한다.
검사 단계(S240)는 일측커버(110)와 타측커버(120)가 접합 부위에 대한 접합 양불을 판단하기 위해 물 등에 침수시켜 검사하는 단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양식용 친환경 부자 110, 120: 일, 타측커버
112, 122: 수용부 114, 124: 접합부
116, 126: 고정끈 연결홀 130, 140: 일, 타측 격벽부재
132, 142: 수평부 134, 144: 수직부
112, 122: 수용부 114, 124: 접합부
116, 126: 고정끈 연결홀 130, 140: 일, 타측 격벽부재
132, 142: 수평부 134, 144: 수직부
Claims (7)
- 삭제
- 삭제
- 삭제
- 대칭구조를 갖으며, 내부에 다수의 분할 공간을 갖도록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구획 형성된 일, 타측커버(110, 12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와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대향면을 열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설치된 일, 타측커버(110, 120) 사출 성형 단계는,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가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단계로,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의 열융착 후 융착면 두께가 10㎜ 이상 13㎜ 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열 융착 단계는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가 밀봉될 때 상기 일측 격벽부재(130)의 수평부(132) 및 수직부(134)와, 상기 타측 격벽부재(140)의 수평부(142) 및 수직부(144)의 대향면이 서로 접합되어, 상기 일측커버(110)의 수용부(112)에 형성된 분할 공간과 상기 타측커버(120)의 수용부(122)에 형성된 분할 공간이 서로 연결되어 통하게 되고,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의 접합부(114, 124) 중 어느 하나의 상호 대각선 위치에 테두리를 따라 절곡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접합부(114, 124)의 접합 위치가 어긋남 없이 일치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 타측커버(110, 120)와 상기 일, 타측 격벽부재(130, 140)의 대향면 열 융착 단계 수행시 가열 온도가 210℃ 이상 220℃ 이하로 구현되는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6061A KR101829898B1 (ko) | 2017-04-10 | 2017-04-10 |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6061A KR101829898B1 (ko) | 2017-04-10 | 2017-04-10 |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9898B1 true KR101829898B1 (ko) | 2018-02-19 |
Family
ID=61387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6061A KR101829898B1 (ko) | 2017-04-10 | 2017-04-10 |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989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5292A (ko) | 2018-11-30 | 2020-06-09 | 백정호 | 열융착 고정 부표 |
KR20200131079A (ko) | 2019-05-13 | 2020-11-23 | 백정호 | 열융착 고정 부표 |
KR20220028225A (ko) | 2020-08-28 | 2022-03-08 | 최정화 | 볼 탑재가 용이하고 고경량·고강도의 강화틀을 포함하는 양식용부자 및 이에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201B1 (ko) * | 2015-04-09 | 2015-07-28 | 박영숙 | 친환경 어구용 부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2017
- 2017-04-10 KR KR1020170046061A patent/KR1018298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201B1 (ko) * | 2015-04-09 | 2015-07-28 | 박영숙 | 친환경 어구용 부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5292A (ko) | 2018-11-30 | 2020-06-09 | 백정호 | 열융착 고정 부표 |
KR102196311B1 (ko) * | 2018-11-30 | 2021-01-15 | 주식회사 부선 | 열융착 고정 부표 |
KR20200131079A (ko) | 2019-05-13 | 2020-11-23 | 백정호 | 열융착 고정 부표 |
KR20220028225A (ko) | 2020-08-28 | 2022-03-08 | 최정화 | 볼 탑재가 용이하고 고경량·고강도의 강화틀을 포함하는 양식용부자 및 이에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54781A (ko) | 격벽을 구비하는 친환경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29898B1 (ko) | 격벽부재를 구비하는 양식용 부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40201B1 (ko) | 친환경 어구용 부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KR100903073B1 (ko) | 합리적인 제작을 위한 개선된 구조의 밀봉식 부자 | |
WO2018124541A1 (ko) |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 |
US20150296753A1 (en) |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 |
KR101861759B1 (ko) | 어업용 부구 | |
CN101346515B (zh) | 水上漂浮体及其连接体 | |
KR101792551B1 (ko) | 내부압을 가지는 어구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
CN107148930A (zh) | 沉浮式网箱 | |
KR102392219B1 (ko) | 부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70063467A (ko) | 양식용 해수부자 | |
KR101357833B1 (ko) |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 |
KR101743741B1 (ko) |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 |
KR101693443B1 (ko) | 해저 양식용 부표 | |
KR102325761B1 (ko) |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결합형 친환경 부표 | |
KR101980836B1 (ko) | 어로용 부구 및 그 제조용 간접가열 방식 접합장치 | |
KR20150048539A (ko) | 조립식 부력체 | |
KR20120058475A (ko) | 중공 다중셀 부구 제조방법 | |
KR20210032201A (ko) |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 |
KR20170002519U (ko) | 포켓을 갖는 부력체 | |
KR100646744B1 (ko) | 수상구조물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200119645A (ko) | 이중 부력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00088660A (ko) | 중공 다중셀 부구 | |
CN207911836U (zh) | 一种具有多腔室的渔网浮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