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235B1 -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235B1
KR102427235B1 KR1020210150795A KR20210150795A KR102427235B1 KR 102427235 B1 KR102427235 B1 KR 102427235B1 KR 1020210150795 A KR1020210150795 A KR 1020210150795A KR 20210150795 A KR20210150795 A KR 20210150795A KR 102427235 B1 KR102427235 B1 KR 10242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
foam
degrees celsius
les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지
Original Assignee
이재용
김민채
이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김민채, 이윤지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21015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235B1/ko
Priority to PCT/KR2022/017060 priority patent/WO20230806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2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82Testing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은 PE폼을 가공하여 PE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E롤과 본드-캡을 결합하여 결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은 본드 스프레이, 오븐, 롤러를 포함한다. 본드스프레이는 PE폼의 일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PE폼을 형성하고, 캡의 측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을 형성한다. 오븐은 본드-PE폼 및 본드-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열을 인가한다. 오븐에 의해 본드가 활성화된다. 롤러는 열이 인가된 본드-PE폼을 둥글게 말아서 PE롤을 형성한다. PE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성분으로 구성되고, 판상형이다.

Description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ECO-FRIENDLY BUOY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소재를 이용하는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양식장의 스티로폼 부표 사용으로 인한 해양오염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던 양식장의 스티로폼 부표는 파도 등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부스러지며, 미세한 알갱이로 분리되므로 수거나 제거가 매우 어렵다. 이렇게 발생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오염을 유발하고, 해양생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부표 제작 기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10-2194091 (주)케이엔씨(K&C Co., Ltd), 김성호(KIM, Sung Ho), 지영준, 이기열 20.12.16 친환경 부력부표와 그 제조방법
(특허문헌 2) 10-2021-0032201 주식회사 국제화학(KUK JE CHEMICAL INC), 강정윤(GANG, Jeong Yun) 21.03.24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스티로폼 대신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되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직사광선에 노출되어도 사용이 용이한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은 재료 준비단계, 본드 분사단계, 베이킹단계, 롤링단계, 캡 준비단계, 캡 결합단계, 및 경화대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준비단계는 소정의 폭,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밀도를 갖는 PE폼을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드 분사단계는 상기 PE폼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본드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분사량으로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상기 PE폼에 분사하여 본드-PE폼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베이킹단계는 내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와 다른 제2 온도로 유지되는 오븐이 상기 본드-PE폼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롤링단계는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PE폼을 둥글게 말아서 PE롤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캡 준비단계 상기 본드 스프레이가 캡의 측면에 상기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을 형성하고, 내부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로 유지되는 상기 오븐이 상기 본드-캡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캡 결합단계는 상기 캡 준비단계가 완료된 후 제1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캡을 상기 PE롤과 결합하여 결합체를 이루는 단계일 수 있다.
경화대기단계는 상기 제1 시간과는 다른 제2 시간 동안, 상기 결합체의 본드가 경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상기 소정의 폭은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이고, 상기 소정의 두께는 5mm 이상 10mm 이하이며, 상기 소정의 밀도는 15g/L 이상 40g/L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10cm 이상 20cm 이하이고, 상기 소정의 분사량은 상기 PE폼의 일면에 매초 1.6cm 높이의 본드층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온도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2: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이고,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미만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3: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 온도는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48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에서, 내부가 섭씨 50도로 유지되는 에징룸에 상기 결합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12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은 접착력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력확인단계는 상기 결합체를 수조에 넣어, 1시간 동안 대기시킨 후 상기 결합체를 수조에서 꺼내고, 상기 결합체의 결합상태를 확인하여 본드에 의한 접착력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은 상기 캡 결합단계 및 상기 경화대기단계 사이에, 캡 고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 고정단계는 상기 PE롤의 일부분과 상기 캡의 일부분을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시스템은 본드 스프레이, 오븐, 롤러, 및 조립기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드 스프레이는 소정의 폭,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밀도를 갖는 PE폼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드 스프레이는 소정의 분사량으로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상기 PE폼에 분사하여 본드-PE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븐은 내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와 다른 제2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오븐은 상기 본드-PE폼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PE폼을 둥글게 말아서 PE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드 스프레이가 캡의 측면에 상기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로 유지되는 상기 오븐이 상기 본드-캡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본드-캡에 열 인가가 완료되고나서 제1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조립기계가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캡을 상기 PE롤과 결합시켜 결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과는 다른 제2 시간 동안, 상기 결합체의 본드를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시스템에서, 상기 소정의 폭은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두께는 5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밀도는 15g/L 이상 40g/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거리는 10cm 이상 20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분사량은 상기 PE폼의 일면에 매초 1.6cm 높이의 본드층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일 수 있다.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2: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일 수 있다.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미만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3: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는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상기 결합체의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결합체가 내부가 섭씨 50도로 유지되는 에징룸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12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시스템은 본드 스프레이, 오븐, 및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드 스프레이는 PE폼의 일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PE폼을 형성하고, 캡의 측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을 형성할 수 있다.
오븐은 내부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로 유지되며, 상기 본드-PE폼 및 상기 본드-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롤러는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PE폼을 둥글게 말아서 PE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PE폼의 폭은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이며, 두께는 5mm 이상 10mm 이하이고, 밀도는 15g/L 이상 40g/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본드 스프레이는 상기 PE폼에서 10cm 이상 20cm 이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본드 스프레이의 본드 분사량은 상기 PE폼의 일면에 매초 1.6cm 높이의 본드층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본드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는 기존의 스티로폼 대신 폴리에틸렌(PE) 재질로 구성되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직사광선에 노출되어도 손상되지 않으므로 해상에서 사용이 용이하다.
도 1은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드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본드를 PE폼에 분사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은 PE롤과 본드-캡을 결합하여, 결합체가 형성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PE롤의 일부분과 본드-캡의 일부분을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의 동작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BMS)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드 스프레이(BDS)를 이용하여 본드를 PE폼(PEF)에 분사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은 PE롤(PER)과 본드-캡(BCP)을 결합하여, 결합체(CB)가 형성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PE롤(PER)의 일부분과 본드-캡(BCP)의 일부분을 접착부재(ST)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BMS)은 PE폼(PEF)을 가공하여 부표를 제조할 수 있다. PE폼(PEF)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성분으로 구성된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은 유연하여 파도 등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하므로, 해상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은 장기간 직사광선에 노출되어도 손상되지 않으므로 해상에서 장기간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은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부표는 종래의 폴리스티렌(polystyrene) 부표보다 친환경적이다. PE폼(PEF)은 말려져 있는 상태로 준비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일부를 풀어서 친환경부표 제조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 참고) PE폼(PEF)의 폭(WD)은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일 수 있다. PE폼(PEF)의 두께(TH)는 5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 PE폼(PEF)의 밀도는 15g/L 이상 40g/L 이하일 수 있다.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BMS)은 본드 스프레이(BDS), 오븐(OV), 롤러(RL), 및 조립기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드 스프레이(BDS)는 PE폼(PEF)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T, 도 2)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정의 거리(DT)는 10cm 이상 20cm 이하 일 수 있다. 본드 스프레이(BDS)는 PE폼(PEF) 일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PE폼(BPE)을 형성할 수 있다. 본드-PE폼(BPE)은 PE폼(PEF)과 도포된 본드가 이루는 본드층(BDL)이 결합한 것으로 정의된다. 본드 스프레이(BDS)는 캡(미도시)의 측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BCP, 도 3a)을 형성할 수 있다. 본드-캡(BCP)은 캡과 캡의 측면에 도포된 본드가 결합한 것으로 정의된다.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접착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일 수 있다. 경화제는 경화를 촉진시키는 물질로 무수프탈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무수말레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메틸나딕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및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주변 온도가 섭씨 15도 이상일 때,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의 중량비가 8:2:1인 혼합물일 수 있다. 주변 온도가 섭씨 15도 이하일 때,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의 중량비가 8:3:1인 혼합물일 수 있다. 본드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드는 섭씨 25도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오븐(OV)의 내부 온도는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오븐(OV)의 내부 온도는 섭씨 60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오븐(OV)은 본드-PE폼(BPE, 도 2) 및 본드-캡(BCP, 도 3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롤러(RL)는 열이 인가된 본드-PE폼(BPE)을 둥글게 말아서 PE롤(PER)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립기계는 열이 인가된 본드-캡(BCP)을 PE롤(PER)과 결합시켜 결합체(CB, 도 3a)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BMS)의 동작단계(S10)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BMS)의 동작단계(S10)는 재료 준비단계(S100), 본드 분사단계(S200), 베이킹단계(S300), 롤링단계(S400), 캡 준비단계(S500), 캡 결합단계(S600), 캡 고정단계(S700), 경화대기단계(S800), 및 접착력확인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준비단계(S100)는 폭(WD)이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이고, 두께(TH)는 5mm 이상 10mm 이하이며, 밀도는 15g/L 이상 40g/L이하인 PE폼(PEF)을 준비하는 단계일 수 있다.
폭(WD)이 1000mm 미만인 경우, 부표가 부피가 너무 작아서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다. 폭(WD)이 1500mm를 초과하는 경우, 부표가 너무 커져서 운반 및 보관 등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PE폼(PEF)의 두께(TH)가 5mm 미만인 경우, 롤러(RL)로 PE폼(PEF)을 둥글게 말아서 적정한 부피를 형성하는데 지나치게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반면, PE폼(PEF)의 두께(TH)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 PE폼(PEF) 자체의 복원력으로 인해 본드가 경화되더라도 PE롤(PER)을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E폼(PEF)이 약 15g/L 미만의 밀도를 갖는 경우, 부표로 제작되었을 때 지나치게 가벼워 바람 등의 기상요인에 의해 수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E폼(PEF)이 약 40g/L를 초과하는 밀도를 갖는 경우, 부력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드 분사단계(S200)는 본드 스프레이(BDS)를 이용하여 본드를 PE폼에(PEF) 분사하여 본드-PE폼(BPE)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드 스프레이(BDS)는 PE폼(PEF)에서 10cm 이상 20cm 이하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폭(WD)이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인 PE폼(PEF)에서 본드 스프레이(BDS)까지의 거리가 10cm 미만인 경우, PE폼(PEF) 일면 전체에 본드가 골고루 분사되지 못하여 PE롤(PER) 형성되더라도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폭(WD)이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인 PE폼(PEF)에서 본드 스프레이(BDS)까지의 거리가 20cm를 초과하는 경우, PE폼(PEF) 밖으로 분사되는 본드가 많아, 본드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드 스프레이(BDS)가 분사하는 본드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드의 온도가 섭씨 15도 미만인 경우, 본드의 점도가 높아져 본드 스프레이(BDS)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드의 온도가 섭씨 35도를 초과하는 경우, 분사되기 전에 접착성이 발현되거나, 경화가 진행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드 스프레이(BDS)의 본드 분사량은 PE폼(PEF)의 일면에 매초 1.5cm 이상 1.7cm이하의 높이를 갖는 본드층(BDL, 도2)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드 스프레이(BDS)의 본드 분사량은 PE폼(PEF)의 일면에 매초 1.6cm 높이의 본드층(BDL, 도2)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베이킹단계(S300)는 내부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로 유지되는 오븐(OV)이 본드-PE폼(BPE)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오븐(OV)의 내부 온도가 50도 미만인 경우, 수용성접착제가 활성화되지 않아 본드의 접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오븐(OV)의 내부 온도가 70도를 초과하는 경우, PE폼(PEF)이 변성되어 상품성이 떨어질 수 있다.
롤링단계(S400)는 롤러(RL)가 열이 인가된 본드-PE폼(BPE)을 둥글게 말아서 PE롤(PER)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캡 준비단계(S500)는 본드 스프레이(BDS)가 캡의 측면에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의 온도를 갖는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BCP)을 형성하고, 내부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로 유지되는 오븐(OV)이 본드-캡(BCP)에 열을 인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캡 결합단계(S600)는 열이 인가된 본드-캡(BCP)이 PE롤(PER)과 결합되어 결합체(CB)를 이루는 단계일 수 있다. 캡 결합단계(S600)에서, 조립기계는 본드-캡(BCP)에 열 인가가 완료되고나서 제1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열이 인가된 본드-캡(BCP)을 PE롤(PER)과 결합시켜 결합체(CB, 도 3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시간은 30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조립기계는 본드-캡(BCP)에 열 인가가 완료되고나서 1초 이후 30초 이전에 열이 인가된 본드-캡(BCP)을 PE롤(PER)과 결합시켜 결합체(CB)를 형성할 수 있다. 본드-캡(BCP)에 열 인가가 완료된 시점부터 조립기계가 열이 인가된 본드-캡(BCP)을 PE롤(PER)과 결합시켜 결합체(CB)를 형성하기까지 30초를 초과하는 시간이 경과되면, 본드-캡(BCP)의 본드가 먼저 경화되기 시작하여 본드-캡(BCP) 및 PE롤(PER)간의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캡 고정단계(S700)는 PE롤(PER)의 일부분과 상기 본드-캡(BCP)의 일부분을 접착부재(ST, 도 3b)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캡 고정단계(S700)는 본드-캡(BCP)의 측면에 분사된 본드의 경화가 완료되기 전에, 본드-캡(BCP)이 PE롤(PER)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경화대기단계(S800)는 결합체(CB)의 본드가 경화될 때까지 제2 시간 동안 기다리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체(CB)의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인 경우, 제2 시간은 48시간일 수 있다. 즉, 결합체(CB)의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인 경우, 결합체(CB)의 본드가 경화되기까지 48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제2 시간이 48시간 미만인 경우, 본드경화가 완료되지 않아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제2 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가 섭씨 50도로 유지되는 에징룸(미도시)의 내부에 결합체(CB)가 배치되는 경우, 제2 시간은 12시간일 수 있다. 제2 시간이 12시간 미만인 경우, 본드경화가 완료되지 않아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제2 시간이 1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조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소요될 수 있다.
접착력확인단계(S900)는 결합체(CB)의 결합체(CB)의 결합상태를 확인하여 본드에 의한 접착력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결합체(CB)를 수조에 넣어, 1시간 동안 대기시킨다. 이후, 결합체(CB)를 수조에서 꺼내고 결합체(CB)의 결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결합체(CB)의 일부분에 힘을 가하여, 본드에 의한 접착력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MS: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 OV: 오븐
BDS: 본드 스프레이 RL: 롤러
PEF: PE폼 PER: PE롤

Claims (14)

  1. 소정의 폭,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밀도를 갖는 PE폼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단계;
    상기 PE폼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본드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분사량으로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상기 PE폼에 분사하여 본드-PE폼을 형성하는 본드 분사단계;
    내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와 다른 제2 온도로 유지되는 오븐이 상기 본드-PE폼에 열을 인가하는 베이킹단계;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PE폼을 둥글게 말아서 PE롤을 형성하는 롤링단계;
    상기 본드 스프레이가 캡의 측면에 상기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을 형성하고, 내부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로 유지되는 상기 오븐이 상기 본드-캡에 열을 인가하는 캡 준비단계;
    상기 캡 준비단계가 완료된 후 제1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캡을 상기 PE롤과 결합하여 결합체를 이루는 캡 결합단계; 및
    상기 제1 시간과는 다른 제2 시간 동안, 상기 결합체의 본드가 경화될 때까지 기다리는 경화대기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온도는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폭은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이고,
    상기 소정의 두께는 5mm 이상 10mm 이하이며,
    상기 소정의 밀도는 15g/L 이상 40g/L 이하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10cm 이상 20cm 이하이고,
    상기 소정의 분사량은 상기 PE폼의 일면에 매초 1.6cm 높이의 본드층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되는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2:1의 중량비를 갖는 혼합물이고,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미만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3: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30초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48시간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내부가 섭씨 50도로 유지되는 에징룸에 상기 결합체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12시간인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를 수조에 넣어, 1시간 동안 대기시킨 후 상기 결합체를 수조에서 꺼내고, 상기 결합체의 결합상태를 확인하여 본드에 의한 접착력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접착력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결합단계 및 상기 경화대기단계 사이에, 상기 PE롤의 일부분과 상기 캡의 일부분을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고정시키는 캡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친환경부표 제조방법.
  12. 본드 스프레이, 오븐, 롤러, 및 조립기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드 스프레이는 소정의 폭, 소정의 두께, 및 소정의 밀도를 갖는 PE폼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본드 스프레이는 소정의 분사량으로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상기 PE폼에 분사하여 본드-PE폼을 형성하고,
    상기 오븐은 내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와 다른 제2 온도로 유지되며,
    상기 오븐은 상기 본드-PE폼에 열을 인가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PE폼을 둥글게 말아서 PE롤을 형성하고,
    상기 본드 스프레이가 캡의 측면에 상기 제1 온도를 가지는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을 형성하고, 내부 온도가 상기 제2 온도로 유지되는 상기 오븐이 상기 본드-캡에 열을 인가하며,
    상기 본드-캡에 열 인가가 완료되고나서 제1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상기 조립기계가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캡을 상기 PE롤과 결합시켜 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시간과는 다른 제2 시간 동안, 상기 결합체의 본드를 경화시키고,
    상기 제2 온도는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인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폭은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이고,
    상기 소정의 두께는 5mm 이상 10mm 이하이며,
    상기 소정의 밀도는 15g/L 이상 40g/L 이하이고,
    상기 소정의 거리는 10cm 이상 20cm 이하이고,
    상기 소정의 분사량은 상기 PE폼의 일면에 매초 1.6cm 높이의 본드층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되며,
    상기 제1 온도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이고,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2: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이고,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미만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3: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이며,
    상기 제1 시간은 30초이고,
    상기 결합체의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48시간이며,
    상기 결합체가 내부가 섭씨 50도로 유지되는 에징룸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시간은 12시간인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
  14. PE폼의 일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PE폼을 형성하고, 캡의 측면에 본드를 분사하여 본드-캡을 형성하는 본드 스프레이;
    내부 온도가 섭씨 50도 이상 섭씨 70도 이하로 유지되며, 상기 본드-PE폼 및 상기 본드-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열을 인가하는 오븐; 및
    상기 열이 인가된 본드-PE폼을 둥글게 말아서 PE롤을 형성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PE폼의 폭은 1000mm 이상 1500mm 이하이며, 두께는 5mm 이상 10mm 이하이고, 밀도는 15g/L 이상 40g/L 이하이며,
    상기 본드 스프레이는 상기 PE폼에서 10cm 이상 20cm 이하만큼 이격되고, 상기 본드 스프레이의 본드 분사량은 상기 PE폼의 일면에 매초 1.6cm 높이의 본드층을 형성하는 본드양에 대응되며,
    상기 본드는 섭씨 15도 이상 섭씨 35도 이하의 온도를 갖고,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2: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이고, 주변온도가 섭씨 15도 미만인 경우, 상기 본드는 수용성접착제, 경화제, 및 용제가 8:3:1의 중량비를 가지는 혼합물인 친환경부표 제조시스템.
KR1020210150795A 2021-11-04 2021-11-04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10242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795A KR102427235B1 (ko) 2021-11-04 2021-11-04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PCT/KR2022/017060 WO2023080642A1 (ko) 2021-11-04 2022-11-02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795A KR102427235B1 (ko) 2021-11-04 2021-11-04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235B1 true KR102427235B1 (ko) 2022-08-05

Family

ID=8282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795A KR102427235B1 (ko) 2021-11-04 2021-11-04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7235B1 (ko)
WO (1) WO20230806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42A1 (ko) * 2021-11-04 2023-05-11 이윤지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19B1 (ko) * 2017-08-09 2017-12-20 (주)젠 부이 제조방법
KR20180043524A (ko) * 2016-10-20 2018-04-30 최지현 에어캡을 파이프 형태의 원통에 넣어 밀봉한 친환경 양식장용 부이
KR101882011B1 (ko) * 2017-12-08 2018-07-25 주식회사 국제화학 부구
KR101933490B1 (ko) * 2018-03-07 2018-12-31 주식회사 국제화학 내경을 보강한 중공형 발포몸체 코팅 양식용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210032201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국제화학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61B1 (ko) * 2017-08-01 2018-04-24 문성철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6876B1 (ko) * 2018-03-09 2019-02-13 세인스틸 주식회사 열수축 케이싱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KR102261842B1 (ko) * 2019-11-08 2021-06-07 영보화학 주식회사 폴리에틸렌 발포체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2427235B1 (ko) * 2021-11-04 2022-08-05 이재용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524A (ko) * 2016-10-20 2018-04-30 최지현 에어캡을 파이프 형태의 원통에 넣어 밀봉한 친환경 양식장용 부이
KR101809419B1 (ko) * 2017-08-09 2017-12-20 (주)젠 부이 제조방법
KR101882011B1 (ko) * 2017-12-08 2018-07-25 주식회사 국제화학 부구
KR101933490B1 (ko) * 2018-03-07 2018-12-31 주식회사 국제화학 내경을 보강한 중공형 발포몸체 코팅 양식용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20210032201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국제화학 친환경 pe 융착 부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pe 융착 부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642A1 (ko) * 2021-11-04 2023-05-11 이윤지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642A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235B1 (ko)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N103702827B (zh) 用于制造夹层板的方法
EP1072396A3 (en) Sandwich structure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KR101274852B1 (ko) 점착제 처리된 시트지를 갖는 바닥재
JP201406604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養生用フィルム
WO2016059193A1 (fr) Feuille pour la protection d'une surface de coffrage, installation de coffrage, procédé de fabrication et procédé de mise en oeuvre
JP201520621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EP0010408A1 (en) Method of preparing abrasive foam material
US994403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ndless belt and endless belt
US638332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knockdown board material
JP5749830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EP3743254B1 (fr) Feuille pour appliquer un motif prédéfini en surface d'un élément en béton lors de sa fabrication, système et méthode utilisant cette feuille pour la fabrication d'un élément en béton
EP2851183B1 (en) A method for applying fibre material on a vertical surface
US20070190301A1 (en) Upholstery part, in particular equipment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for producing said part and seat
TW202343888A (zh) 毫米波反射建築材料及其施工方法
KR102479993B1 (ko) 강도 및 탈형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거푸집용 폴리프로필렌 복합 이형 시트
KR101642337B1 (ko) 단열점착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10195841B2 (en) Method for producing cylindrical relief printing original plate
JPH0435164Y2 (ko)
JP3777808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法
CN102189731A (zh) 发泡合成皮料的制造方法
JP2019051672A (ja) コンクリート養生シート
FR3026049A1 (fr) Structure en materiau composite multicouche, son procede de mise en œuvre et article sanitaire ainsi realise
JPS59186668A (ja) 物体表面を一時的に保護する方法
TW200700582A (en) A method of fabricating a green cladd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