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406A - 와이어 로프 슬링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406A
KR20110074406A KR1020100027317A KR20100027317A KR20110074406A KR 20110074406 A KR20110074406 A KR 20110074406A KR 1020100027317 A KR1020100027317 A KR 1020100027317A KR 20100027317 A KR20100027317 A KR 20100027317A KR 20110074406 A KR20110074406 A KR 2011007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fitting
rope
jig
rope s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갑식
Original Assignee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4406A/ko
Publication of KR2011007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8Grommets
    • D07B1/185Grommets characterised by the ey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7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rope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D07B1/167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04General structure or appearanc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95Auxiliary components, e.g. electric conductors or light guid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64Polyurethane re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성형할 때,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으로 일일이 들어 올리고 내리는 운반작업없이 현장에서 직접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로프 슬링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와이어 로프의 양쪽 로프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굽힌 후에 로프의 본선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를 형성하고,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의 본선과 로프단부를 금속재질의 이음쇠로 압착 고정하며,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일측단부에 이음쇠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우레탄수지의 보강재를 지그 및 밴드히터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은 물론 작업성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해 제조원가 절감에 따른 경제성 확보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와이어 로프 슬링{Wire rope sling}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슬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성형할 때,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으로 일일이 들어 올리고 내리는 운반작업없이 현장에서 직접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로프 슬링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 슬링은 크레인 하역 작업시 화물등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 후크 등에 걸릴 수 있도록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에 아이(eye) 즉, 고리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종래의 와이어 로프 슬링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는 등록특허 제0854654호(2008.08.27 공고)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와이어 로프(100)의 적어도 일단부에 고리부(100c)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100c)를 형성하면서 상호 겹쳐진 와이어 로프(100)를 고정하기 위해 금속으로 된 이음쇠(110)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100)에서 상기 이음쇠(110)의 양쪽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부분에 보강부재(120)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부재(120)는, 상호 겹쳐진 와이어 로프(100)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되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이음쇠(110)와 와이어 로프(100) 사이의 단차를 완만한 경사를 통해 해소할 수 있도록 테이퍼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와이어 로프 슬링은 와이어 로프(100)를 설정 길이로 준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와이어 로프(100)의 양쪽 끝단부를 링 구조로 굽힌 후에 상호 겹쳐진 부분을 이음쇠(110)을 이용하여 각각 고정하여 고리부(100c)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에, 금형부에 와이어 로프(100)에서 보강부재(120)를 성형할 부분이 위치되도록 와이어 로프(100)를 고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후에, 상기 금형부 내로 보강부재(120)를 성형할 소재를 와이어 로프와 로프 사이에 스며들도록 압출하여 주입한 다음, 냉각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 후에, 상기 금형부에서 이음쇠(110) 옆에 보강부재(120)가 성형된 와이어 로프(100)를 분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120)를 테이퍼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은 주변 물체와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테이퍼형 구조는 일본실용신안등록(JU 3,054,614)(1998.09.24 등록) 및 일본공개특허 (JP 1994-115853)(1994.04.26 공개) 등에 의해 이미 상기 종래의 와이어 로프 슬링, 그 제조장치 및 방법의 출원일 이전에 공지된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이음쇠 압착 작업후 중량의 와이어 로프를 일일이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사출성형기측으로 옮긴 후 사출성형기에 세팅한 다음 인서트 사출성형하고, 다시 인서트 사출성형된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옮겨야만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작업성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함은 물론 부피가 큰 고가의 사출성형기의 구입 및 사용에 따른 원가 상승으로 경제성이 떨어져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불리해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기의 설치에 따른 공간확보가 필수적이므로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로프 슬링, 그것의 제조장치 및 방법은 이종재질인 금속 재질의 이음쇠와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가 서로 맞대기 접합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있어 상호 결합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가 이음쇠로부터 분리되어 이음쇠와 보강부재의 사이가 벌어지게 됨으로써 시각적인 하역 작업의 불안전성을 초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벌어진 이음쇠와 보강부재 사이의 공간에 주변 다른 물체가 걸릴 수 있어 하역 작업의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하역 작업시 이음쇠와 보강부재가 벌어지게 되는 것은 와이어 로프가 중량물에 의해 힘을 받으면 와이어 로프의 외경이 가늘어지면서 늘어나게 되어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가 금속 재질의 이음쇠로부터 분리 및 벌어지게 되는데 기인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성형할 때,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으로 일일이 들어 올리고 내리는 운반작업없이 현장에서 직접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로프 슬링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의 한 형태는, 와이어 로프의 양쪽 로프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굽힌 후에 로프의 본선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를 형성하고,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의 본선과 로프단부를 금속재질의 이음쇠로 압착 고정하며,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일측단부에 이음쇠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우레탄수지의 보강재를 지그 및 밴드히터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재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테이퍼 및 경사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 로프의 양쪽 로프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굽힌 후에 로프의 본선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로 겹쳐진 부분 와이어 로프의 본선 및 로프단부 외측에 금속 재질의 이음쇠를 압착 고정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에서 로프단부가 노출된 일측단부에 지그 및, 상기 지그의 외측면에 밴드히터를 설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밴드히터에 의해 예열된 지그의 내부에 원료 혼합액을 주입하여 이음쇠의 일측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우레탄수지의 보강재를 성형한 뒤, 와이어 로프로부터 지그 및 밴드히터를 분리 및 해체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는 상.하로 분리 및 결합되는 상.하부 성형틀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성형틀은 주입구를 포함하며, 상.하부 성형틀의 결합에 의해 일측은 이음쇠에 밀착 고정됨과 동시에 내측에 경사단부 성형턱을 갖는 이음쇠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부는 와이어 로프에 밀착 고정되는 로프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성형틀은 상.하부 성형틀의 외측면 전.후에 일체로 성형되고 중앙부에 체결공을 갖는 상.하부고정편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성형할 때,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으로 일일이 들어 올리고 내리는 운반작업없이 현장에서 직접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은 물론 작업성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저렴해 제조원가 절감에 따른 경제성 확보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보다 유리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가 이음쇠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시각적인 하역작업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기존에 주변 물체가 벌어진 공간부에 걸릴 수 있는 방해 요인이 제거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전체 단면도.
도 1b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지그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지그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밴드히터가 설치된 지그에 원료 혼합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와이어 로프 슬링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제조방법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전체 단면도이고, 도 1b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에서와 같이 와이어 로프(100)의 양쪽 로프단부(100b)를 고리 모양으로 굽힌 후에 로프의 본선(100a)에 겹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호 겹쳐진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와이어 로프(100)의 양단부에 고리부(100c)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과 로프단부(100b)에 압착 고정되는 이음쇠(1)와, 상기 이음쇠(1)의 일측단부 즉,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부분에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우레탄수지가 감싸도록 보강재(2)를 일체로 성형하여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과 로프단부(100b)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재(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3)와 밴드히터(40)를 이용해 성형되고, 걸림 방지를 위해 전방측에 테이퍼(2a)가 형성되며, 후방측에 경사단부(2b)가 형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강재(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3)와, 지그(3)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밴드히터(40)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지그(3)는 상하로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상하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상부 성형틀(3a)과 하부 성형틀(3b)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 성형틀(3a)은 상측 중간에 우레탄수지를 형성하는 원료 혼합액을 밴드히터(40)에 의해 예열된 지그(3) 내부의 주입공간부(35)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주입구(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 성형틀(3a)(3b)은 결합시 전체적으로 환봉 형태를 이루고 일측에는 단부측에 로프 관통홀(30)을 갖는 원추형으로 테이퍼 성형부(36)가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 성형부(36)의 타측부에는 이음쇠 관통홀(30a)이 형성되고, 상기 이음쇠 관통홀(30a)의 내측으로 경사단부 성형턱(37)이 형성되며, 내부에 주입공간부(35)가 형성된다.
또한, 상.하부 성형틀(3a)(3b)을 서로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상.하부 성형틀(3a)(3b)의 외측면 전.후방측에 체결공(33)을 갖는 복수개의 상부고정편(31) 및 하부고정편(32)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상부고정편(31) 및 하부고정편(32)의 체결공(33)을 통하여 볼트(38) 및 너트(39)를 체결함으로써 상.하부 성형틀(3a)(3b)을 서로 결합하거나 풀어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때 상기 상.하부 성형틀(3a)(3b)은 결합시 이음쇠 관통홀(30a)에 삽입된 이음쇠(1)와 로프 관통홀(30)을 관통한 와이어 로프(100)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부 성형틀(3a)의 주입구(34)를 통하여 원료 혼합액을 주입시 상.하부 성형틀(3a)(3b)의 외부로 원료 혼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밴드히터(40)는 통상에서와 같이 발열선을 운모로 절연하고 외부를 내열금속으로 아연도강판, 스텐판등으로 제작한 것이며, 열용량이 적기 때문에 온도제어에 대하여 예민하게 반응할 뿐 아니라 가열시간이 극히 짧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출성형기 및 압출성형기 등 외면에 밀착시켜 실린더의 온도를 350도씨까지 높이는데 사용하는 히터로서, 형태로는 원통형 히터와 판(Plate)히타가 있으며 전원 부분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리드형, 볼트형등으로 분리되며 어느 것이나 표준품은 밴드로 둘러쌓인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밴드히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표시되는 온도조절 콘트롤러(41)에 전원선(42)(42a)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 콘트롤러(41)는 온도감지센서(43)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우레탄수지(urethan rubber)는 통상, 우레탄 엘라스토머라고도 한다. 분자량이 수천이고, 양끝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터를 출발원료로 한다. 전자는 산화에틸렌, 산화프로필렌에서 얻을 수 있으며, 후자는 아디프산 등의 2염기산과 에틸렌글리콜이나 프로필렌글리콜과의 반응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터와 아이소사이안산염, 예를 들면 톨루이렌다이아이소사이안산염 등을 반응시키면 양끝에 아이소사이안산염기(其) 또는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프레폴리머가 합성된다. 이것을 형(型)에 넣으면서 아이소사이안산염기가 과잉일 때는 글리콘, 다이아민, 하이드록시기가 과잉일 때는 다이아이소사이안염, 산화물, 황 등을 가교제(架僑劑)로서 가하면 망상구조가 생겨서 합성고무 제품이 되는 것이다. 성형(成型)은 일반적으로 가압 및 가열하에서 이루어진다. 이중결합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내후성(耐侯性), 내산화성이고, 우레탄결합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에서 우수하다. 여기서 우레탄수지를 성형하기 위한 액상의 원료 즉,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터, 다이아이소사이안산염, 가교제와 촉매를 혼합한 것을 원료 혼합액이라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에 로프단부(100b)를 서로 겹치게 하는 제1 단계와, 그 겹쳐진 부분에 이음쇠(1)를 압착 고정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1)의 일측에 지그(3) 및, 지그(3)의 외측면에 밴드히터(40)를 설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밴드히터(40)에 의해 예열된 지그(3)의 내부에 원료 혼합액을 주입하여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우레탄수지의 보강재(2)를 성형하고 와이어 로프(100)로부터 상기 지그(3)와 밴드히터(40)를 분리 및 해체하는 제4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는 통상에서와 같이 와이어 로프(100)의 로프단부(100b)를 굽혀 본선(100a)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100c)의 형태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상의 이음쇠(1)를 그 겹친 부분에 위치시킨 후, 통상의 이음쇠 압착장치(미도시됨)을 이용해 이음쇠(1)를 압착시켜 고정하는 제2 단계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쇠(1)의 양측에 지그(3)를 설치하는 제3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먼저 하부 성형틀(3b)을 와이어 로프(100) 및 이음쇠(1)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결합시 로프 관통홀(30) 및 이음쇠 관통홀(30a)을 형성하는 반원형의 홈에 각 와이어 로프(100)를 통과시키고 이음쇠(1)의 단부측을 끼워 삽입한다.
그 후, 하부 성형틀(3b)과 대칭을 이루는 상부 성형틀(3a)을 하부 성형틀(3b)의 상측에 마찬가지로 와이어 로프(100) 및 이음쇠(1)에 끼워 맞추어 올려 놓은 다음 상.하부 성형틀(3a)(3b)의 외측 전후방에 일체로 다수 구비된 상.하부고정편(31)(32)의 체결공(33)에 볼트(38) 및 너트(39)를 체결하여 상기 상.하부 성형틀(3a)(3b)이 와이어 로프(100) 및 이음쇠(1)에 밀착 고정되게 함으로써 일련의 지그(3)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통상의 밴드히터(40)를 지그(3)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밴드히터(40)는 지그(3)의 전.후방에 설치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온도조절 콘트롤러(41)에 전원선(42)(42a)으로 연결되고, 지그(3)의 외측면에 온도조절 콘트롤러(41)의 온도센서(43)도 함께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4b)에 담겨진 원료 혼합액(4)을 상부 성형틀(3a)의 주입구(34)에 삽입된 깔대기(4a)에 부어 밴드히터(40)에 의해 예열된 지그(3)의 내부로 원료 혼합액(4)을 주입하는 제4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원료 혼합액(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우레탄수지를 형성하는 액상의 원료들을 혼합한 것으로, 지그(3)의 내부로 주입된 원료 혼합액(4)은 지그(3)의 주입공간부(35) 및 테이퍼 성형부(36)의 내부를 채우게 됨은 물론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과 로프단부(100b)의 내부까지 침투하게 된다. 또한 지그(3)의 경사단부 성형턱(37)에 의해서 형성된 지그(3)와 이음쇠(1) 사이의 이격된 공간 내부, 즉 이음쇠(1)의 단부 외측 둘레까지 채우게 된다.
이렇게 지그(3)에 원료 혼합액(4)을 주입하게 되면, 100 ~ 110도씨까지 예열된 지그(3)의 열에 의해 원료 혼합액(4)이 반응하면서 경화 즉, 굳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주입후 15분 정도 80 ~ 100도씨의 온도로 열을 가해 경화시킨 후, 지그(3) 및 밴드히터(40)를 와이어 로프(100)로부터 분리 및 해체하게 되는 것으로, 경도를 더 높이는 경우에는 밴드히터(4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그(3)를 해체하지 않고 80 ~ 100도씨에서 4시간 동안 유지시키게 되면 완전 경화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이음쇠(1)의 일측 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우레탄수지의 보강재(2)를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우레탄수지의 보강재(2)가 성형된 후에는 다시 지그(3)를 이음쇠(1)의 양측으로부터 분리 및 해체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상.하부 성형틀(3a)(3b)의 상.하부고정편(31)(32)에 체결된 볼트(38) 및 너트(39)를 풀고 하부 성형틀(3b)으로부터 상부 성형틀(3a)을 분리한 후, 다시 하부 성형틀(3b)으로부터 와이어 로프(100) 및, 경화된 우레탄수지의 보강재(2)를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성형할 때, 와이어 로프를 크레인으로 일일이 들어 올리고 내리는 운반작업없이 현장에서 직접 금속재질로 된 이음쇠에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재를 이음쇠의 일측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중량물 하역 작업시 이종재질인 상기 이음쇠와 보강재가 서로 쉽게 벌어지거나 분리됨이 없이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모방을 행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이음쇠 2: 보강재
2a: 테이퍼 2b: 경사단부
3: 지그 3a,3b: 상.하부 성형틀
4: 원료 혼합액 4a: 깔대기
4b: 바스켓 30: 로프 관통홀
30a: 이음쇠 관통홀 31: 상부고정편
32: 하부고정편 33: 체결공
34: 주입구 35: 주입공간부
36: 테이퍼 성형부 37: 경사단부 성형턱
38: 체결볼트 39: 고정너트
40: 밴드히터(band heater)

Claims (2)

  1. 와이어 로프(100)의 양쪽 로프단부(100b)를 고리 모양으로 굽힌 후에 로프의 본선(100a)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100c)를 형성하고,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과 로프단부(100b)를 금속재질의 이음쇠(1)로 압착 고정하며,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일측단부에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우레탄수지의 보강재(2)를 지그(3) 및 밴드히터(40)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슬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테이퍼(2a) 및 경사단부(2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이어 로프 슬링.
KR1020100027317A 2010-03-26 2010-03-26 와이어 로프 슬링 KR20110074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17A KR20110074406A (ko) 2010-03-26 2010-03-26 와이어 로프 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17A KR20110074406A (ko) 2010-03-26 2010-03-26 와이어 로프 슬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629A Division KR100961995B1 (ko) 2009-11-25 2009-12-24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406A true KR20110074406A (ko) 2011-06-30

Family

ID=4454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17A KR20110074406A (ko) 2010-03-26 2010-03-26 와이어 로프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44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71B1 (ko) * 2013-07-23 2014-10-15 전성숙 와이어 로프의 고리 이음부에 보호튜브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고리 이음부에 장착된 보호튜브
CN105088944A (zh) * 2014-05-13 2015-11-25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带聚脲防护涂层的钢丝拉索的制作方法
CN105970706A (zh) * 2016-07-06 2016-09-28 巨力索具股份有限公司 一种纤维绳快速连接件及连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971B1 (ko) * 2013-07-23 2014-10-15 전성숙 와이어 로프의 고리 이음부에 보호튜브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고리 이음부에 장착된 보호튜브
CN105088944A (zh) * 2014-05-13 2015-11-25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带聚脲防护涂层的钢丝拉索的制作方法
CN105970706A (zh) * 2016-07-06 2016-09-28 巨力索具股份有限公司 一种纤维绳快速连接件及连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995B1 (ko)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방법
KR100953381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방법
KR20110074406A (ko) 와이어 로프 슬링
CA1143263A (en) Tire and method of reinforcement
KR101180252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US4295513A (en) Tire and method of reinforcement
KR100961999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723B1 (ko) 압착방식을 이용한 와이어로프슬링 제조장치
KR200454923Y1 (ko) 와이어로프 슬링의 이음쇠 보강부재
KR100961997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058400B1 (ko)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로프에 고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962000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US4313482A (en) Pneumatic tire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100823546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10058627A (ko) 와이어 로프 슬링
CN102070070A (zh) 钢丝吊绳及其制造方法
KR100974304B1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80183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의 제조 방법
US7347236B2 (en) Support for a tire tread
KR101180186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3518B1 (ko) 투명 보강부를 갖는 와이어 로프 슬링의 제조 방법
KR101447971B1 (ko) 와이어 로프의 고리 이음부에 보호튜브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고리 이음부에 장착된 보호튜브
CN103502686B (zh) 用于带接合器的拉杆
KR101341467B1 (ko) 와이어 로프 단말고리의 고정용 알루미늄 페룰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알루미늄 페룰을 이용한 와이어 로프와 그 제조방법
KR20110058637A (ko) 중량물 하역 작업용 와이어 로프 고리 및 그것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