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254B1 - 스크라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라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254B1
KR101487254B1 KR20140105029A KR20140105029A KR101487254B1 KR 101487254 B1 KR101487254 B1 KR 101487254B1 KR 20140105029 A KR20140105029 A KR 20140105029A KR 20140105029 A KR20140105029 A KR 20140105029A KR 101487254 B1 KR101487254 B1 KR 10148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ne
scribing
cutter wheel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206A (ko
Inventor
키요시 다카마츠
치홍 구
아키라 모리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03B33/072Armoured glass, i.e. comprising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4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tools other than rotary type, e.g. reciprocating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가공 곤란한 강화 유리제의 유리 기판이라도, 내절(內切)로 확실하게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스크라이브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판(M)의 일단연(一端緣)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점 형상의 첨단 또는 선 형상의 첨단을 갖는 선긋기 부재(11)를, 기판(M)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하도록 하여 충돌시켜 충돌흔적을 형성함으로써 기판(M) 표면의 압축 응력층을 박리하고, 당해 충돌흔적을 스크라이브의 기점이 되는 트리거 홈(T1)으로서 형성하는 박리 공정과, 커터 휠(12)을 트리거 홈에 맞닿게 하여 압접 전동(rolling)시킴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공정에 의한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Description

스크라이브 장치{SCRIB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강화 유리제의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강화 유리」란,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의 이온 교환에 의한 화학적 처리에 의해, 유리 기판의 기판 표면층(기판 표면으로부터 깊이가 5㎛∼50㎛ 정도)에 압축 응력이 잔류하는 압축 응력층이 형성되어, 기판 내부에 인장 응력이 잔류하도록 제조된 유리를 말한다.
강화 유리의 특징은, 압축 응력층의 영향으로 외력에 대하여 깨지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반면, 일단, 기판 표면에 균열이 생겨 잔류 인장 응력이 존재하는 기판 내부까지 진행되면, 이번에는 반대로 균열이 깊게 침투하기 쉬워지는 성질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을 분단(dividing)하는 가공에서는, 우선 기판 표면에 유한 깊이의 스크라이브 라인(scribing line)을 형성하고, 그 후, 기판의 이면측으로부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서 브레이크 바나 브레이크 롤러로 압압(pushing)함으로써 브레이크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전자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기판 표면에 대하여 원반 형상의 커터 휠(스크라이빙 휠(scribing wheel)이라고도 함)을 압접 전동(rolling)시킴으로써 스크라이브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에서 개시되어 있다.
도 10은, 유리제의 기판(M)(마더 기판;mother substrate)을, 각각이 제품이 되는 단위 기판으로 분단할 때에 행해지는 크로스 스크라이브 가공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기판(M)의 표면에 대하여 커터 휠로 X방향의 스크라이브 라인(S1)을 형성하고, 이어서, X방향과 교차하는 Y방향의 스크라이브 라인(S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X-Y방향으로 교차한 복수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 후, 기판(M)은 브레이크 장치로 보내지고, 각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서 이면측으로부터 휘게 함으로써, 단위 기판으로 분단된다.
그런데, 유리 기판을 커터 휠로 스크라이브하는 방법에는, 「외절(外切)」과「내절(內切)」이 있다. 기판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외절과 내절을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크라이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전자의 외절은,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 휠의 최하단을 기판(M)의 표면(상면)보다 약간 하방까지 강하한 상태로, 기판(M)의 편측 단부(端部)의 외측 위치(스크라이브 개시 위치(P1))에 세트한다. 그리고 세트한 위치로부터 수평 이동시켜, 기판(M) 단부에 충돌시켜 올려 앉히고, 추가로 소정의 스크라이브압으로 압압하면서, 커터 휠을 수평 이동시키도록 하여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외절에서는, 기판(M) 단부에서 커터 휠이 슬립(slip)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형성되는 스크라이브 라인은 기판(M)의 단부까지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공정에서의 브레이크가 용이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행해진다. 그 한편으로, 날끝이 기판(M) 단부에 충돌하기 때문에, 기판(M) 단부에 이빠짐(chipping)이 생겨, 기판(M) 내부의 인장 응력의 영향으로 단부로부터 풀 컷(full cut)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또한, 커터 휠도 에지 부분과의 충돌로 소모되기 쉽다.
후자의 내절은,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M)의 단연(端緣)으로부터 2㎜∼10㎜ 정도 내측(스크라이브 개시 위치(Q1))에서 커터 휠을 상방으로부터 하강시켜 기판(M)에 소정의 스크라이브압으로 맞닿게 하여, 압압하면서 커터 휠을 수평 이동시키도록 하여 스크라이브를 행한다.
내절에서는, 커터 휠이 기판(M) 단부의 에지 부분과 충돌하는 바와 같은 일이 없기 때문에, 기판(M) 단부에 이빠짐이 생길 우려는 없고, 날끝의 소모에 대해서도 외절에 비해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기판(M) 단부에서 스크라이브 개시 위치(Q1)까지는,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절에 비하면 브레이크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커터 휠이 기판(M)에 맞닿은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날끝의 파고듦이 나빠 슬립되어 버려, 스크라이브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외절과 내절은, 각각 장점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판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외절과 내절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본특허 제307414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208237호
최근, 휴대 전화 등의 커버 유리 등에 사용되는 유리 제품 중에는, 소위 강화 유리(화학 강화 유리라고도 함)라고 불리는 유리의 사용이 요망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강화 유리는, 기판 표면층에 압축 응력이 잔류하도록 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리의 판두께가 얇음에도 불구하고, 깨지기 어려운 유리가 얻어진다.
따라서 강화 유리를 이용하면, 얇고 가볍고, 게다가 튼튼한 커버 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그 한편으로, 커버 유리로 하려면, 대면적의 마더 기판으로부터 소망하는 크기, 소망하는 형상의 단위 제품으로 잘라내는 가공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강화 유리에 대하여, 외절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 경우, 기판 단부에서 날끝이 충돌할 때에 표면 압축 응력층보다 깊게 스크라이브되면, 기판 내부의 잔류 인장 응력의 영향을 받아, 한번에 완전 분단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강화 유리로는, 외절보다도 내절로 스크라이브하는 쪽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내절로 스크라이브하려고 해도, 날끝을 맞닿게 했을 때에, 강화 유리이기 때문에, 기판 표면층의 잔류 압축 응력의 영향으로, 날끝이 기판 표면에 파고들기 어렵고, 기판으로의 날끝의 걸림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슬립이 생겨 버려, 스크라이브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오히려 스크라이브 가공이 곤란해진다는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강화 유리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소다 유리 기판에 대한 스크라이브 가공과는 달리, 외절에 의해서도, 또한 내절에 의해서도, 제대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 경향은, 기판 표면의 압축 응력층이 두꺼워 잔류 응력이 큰 기판일수록 현저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공 곤란한 강화 유리제의 유리 기판이라도, 내절로 확실하게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방법에서는, 기판 표면에 압축 응력층이 형성된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강화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으로서,
(a) 기판의 일단연(一端緣)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점 형상의 첨단(尖端) 또는 선 형상의 첨단을 갖는 선긋기 부재를, 기판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하강하도록 하여 충돌시켜 충돌흔적을 형성함으로써 기판 표면의 압축 응력층을 박리하고, 당해 충돌흔적을 스크라이브의 기점이 되는 트리거 홈으로서 형성하는 박리 공정과,
(b) 커터 휠을 트리거 홈에 맞닿게 하여 압접 전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방법에 의하면, 기판의 일단연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내절」을 행할 때에, 우선, 기판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선긋기 부재를 하강하도록 하여 충돌시켜 충돌흔적을 형성한다. 사용하는 선긋기 부재의 맞닿음 부분이 점 형상의 첨단이면, 점 형상의 미소한 충돌흔적이 형성되고, 선 형상의 첨단이면, 선 형상의 미소한 충돌흔적이 형성된다. 충돌시에 표면에 가하는 압력은, 미리 동일한 재질의 더미 기판으로 최적화함으로써, 충돌시의 압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갑자기 브레이크되어 버리지 않도록, 또한, 지나치게 약하여 충돌흔적을 형성할 수 없게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돌흔적을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충돌흔적의 형성에 의해, 기판 표면의 압축 응력층을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흔적의 부분을 스크라이브의 기점인 트리거(trigger) 홈으로 한다. 그리고, 형성된 트리거 홈에 커터 휠을 맞닿게 하여 소정의 스크라이브압을 가하면서 전동시킴으로서, 슬립하는 일없이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제까지 커터 휠로는 내절로의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이 곤란했던 강화 유리를, 첨단이 슬립하는 일도 없고, 기판이 브레이크되어 버리는 일도 없으며, 커터 휠을 이용하여 유한 깊이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선긋기 부재는 선단(先端)이 뾰족한 포인터(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포인터, 초경합금제 포인터 등), 또는, 선단에 곧은 날이 형성된 고정날(예를 들면 초경합금제의 곧은 날 커터 등)을 이용해도 좋고, 커터 휠과 같은 회전날이라도 좋다. 포인터에서는 점 형상의 충돌흔적을 형성할 수 있고, 고정날이면 날끝 길이에 대응한 선 형상의 충돌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터 휠에서는, 휠의 능선을 따른 선 형상의 충돌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터 휠의 경우는, 다음 공정의 스크라이브에 이용하는 커터 휠과 겸용할 수도 있다.
박리 공정에 있어서, 선긋기 부재를 충돌흔적으로부터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3㎜의 길이의 트리거 홈으로 확장, 확대하도록 해도 좋다. 선긋기 부재를 충돌흔적으로부터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트리거 홈을 확장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위치 맞춤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다음 공정에서의 스크라이브시의 트리거 홈으로서의 사용이 용이해진다.
충돌흔적의 깊이가 압축 응력층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선긋기 부재를 충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응력층의 두께(통상 5㎛에서 50㎛ 정도)의 정보는, 미리 기판 메이커로부터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예비 실험으로 충돌압과 충돌흔적의 깊이와의 관계를 구하고, 압축 응력층의 두께 정보를 참조하여, 적절한 충돌압으로 조정함으로써, 압축 응력층의 두께보다도 충돌흔적이 얕아지도록 선긋기 부재를 충돌시킨다. 이에 따라, 압축층만을 박리시킬 수 있어, 실수로 브레이크해 버리는 문제점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는, 기판 표면에 압축 응력층이 형성되어 있는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장치로서, 기판에 충돌흔적을 형성하기 위한 점 형상의 첨단 또는 선 형상의 첨단을 갖는 선긋기 부재와, 상기 충돌흔적으로부터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을 따라서 전동하기 위한 커터 휠과, 상기 선긋기 부재 및 상기 커터 휠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승강 기구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긋기 부재로 충돌흔적을 형성할 때는 당해 선긋기 부재를 강하시켜 기판에 충돌시킴과 함께 충돌 후에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승시키고, 커터 휠을 전동할 때는 당해 커터 휠을 강하하여 맞닿은 채로 압접 전동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긋기 부재는, 선단이 뾰족한 포인터, 또는, 선단에 곧은 날이 형성된 고정날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선긋기 부재로서 상기 커터 휠이 겸용되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방법에 이용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이아몬드 포인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터 휠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크라이브 장치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방법에 이용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고정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스크라이브 장치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방법에 이용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크라이브 장치에 의한 스크라이브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마더 기판의 크로스 스크라이브 가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커터 휠에 의한 종래의 스크라이브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실시 형태 1)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브 방법의 상세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스크라이브 장치(SC1)에서는, 선긋기 부재로서 다이아몬드 포인터를 이용한다.
스크라이브 장치(SC1)는, 강화 유리 기판(M)을 상면에 지지(holding)함과 함께, 수평 방향의 회전 기구를 갖는 테이블(4)과, 이 테이블(4)을 일 방향(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5)과, 테이블(4)의 상방에서 레일(5)과 직교하는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으로 걸쳐진 안내 바(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안내 바(6)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2기의 스크라이브 헤드(7a, 7b)와, 스크라이브 헤드(7a, 7b)의 하단에 승강 기구(10a, 10b)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홀더(8a, 8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한쪽의 홀더(8a)에는 충돌흔적을 형성하기 위한 선긋기 부재인 다이아몬드 포인터(11)가 부착되고, 다른 한쪽의 홀더(8b)에는 커터 휠(12)이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다이아몬드 포인터(11)의 일 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다이아몬드 포인터(11)는 편단(片端)이 원뿔 형상으로 성형된 원기둥 로드(11a)의 선단에, 선단을 뾰족하게 한 다이아몬드 편(11b)이 고정되어 있고, 이 다이아몬드 편(11b)을 강화 유리 기판(M)에 충돌시킴으로써 점 형상의 충돌흔적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커터 휠(12)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직경 2㎜∼6㎜ 정도의 초경합금제의 원반 디스크(12a)에 날끝이 되는 능선(1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능선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홈이 없는 휠(노멀 휠이라고도 함)을 사용하고 있지만, 능선에 홈이 형성된 홈부착 휠(예를 들면 미츠보시 다이아몬드 공업 주식회사제의 아피오(APIO(등록 상표)) 커터 휠)을 이용해도 좋다.
그리고 스크라이브 장치(SC1)의 동작은, 소위 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승강 기구(10a, 10b)의 승강의 제어에서는, 홀더(8a)가 다이아몬드 포인터(11)를 강하시켜 충돌흔적을 형성할 때는 빠른 동작으로 강하시킴과 함께 충돌 후에 바로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한편, 홀더(8b)가 커터 휠(12)을 강하시켜 기판 상을 압접하면서 전동시킬 때는, 충돌흔적이 남지 않도록 천천히 강하시켜 맞닿게 하면 그대로 맞닿은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다음으로, 이 스크라이브 장치(SC1)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M)에 상정한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 상에서, 기판(M)의 일단연보다 내측(예를 들면 3㎜ 내측)으로 들어간 개소에 다이아몬드 포인터(11)를, 미리 예비 실험으로 구한 충돌압으로, 위로부터 유리 기판(M)의 표면을 가볍게 부딪히도록 강하시키고, 그 후, 상승시킴으로써, 점 형상의 충돌흔적(T1)을 형성한다. 이 충돌흔적은 다음 공정에서 스크라이브의 기점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트리거 홈(T1)」이라고도 부른다. 충돌흔적(T1)을 크게 할 때는, 계속해서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포인터(11)를 충돌흔적(T1)에 재차 맞닿게 하여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켜 확장하여, 길이가 1㎜∼3㎜ 정도의 트리거 홈(T1')으로 한다. 확장된 트리거 홈(T1')을 형성함으로써, 커터 휠(12)의 날끝이 맞추기 쉬워진다.
이어서, 도 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 휠(12)을, 트리거 홈(T1')을 형성한 위치로 강하시켜 맞닿게 하고, 도 4(f)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을 따라서 압접하면서 전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한다. 즉, 전술한 내절의 수법에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한다. 커터 휠(12)은, 미리 형성되어 있는 트리거 홈(T1')에 파고들 수 있기 때문에, 슬립하는 일 없이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 방법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同) 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크라이브 장치(SC2)에서는, 선긋기 부재로서 곧은 날의 고정날(13)을 이용한다.
도 6(a)는, 고정날(13)의 정면도, 도 6(b)는 측면도이다. 고정날(13)은 초경합금의 로드(13a)의 편측단에, 곧은 날(13b)이 형성되어 있다. 곧은 날(13b)의 날끝 길이(a)는 1㎜∼3㎜로 하고 있고, 날끝을 기판(M)에 충돌시키면, 날끝 길이(a)의 직선 형상의 충돌흔적(T2)이 형성된다(도 7 참조). 또한, 곧은 날(13b)의 날끝 길이(a)를 짧게 하고, 전술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충돌 후에 곧은 날(13b)의 날끝을 맞닿게 한 상태로 수평 이동함으로써 충돌흔적을 확장하도록 하여 1㎜∼3㎜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충돌흔적(T2)은, 트리거 홈(T2)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 스크라이브 장치(SC2)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7(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M)에 상정한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 상에서, 기판(M)의 일단연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개소에 고정날(13)을, 위로부터 유리 기판(M)의 표면을 가볍게 부딪히도록 강하시키고, 그 후 상승시킴으로써, 직선 형상의 충돌흔적(T2)(트리거 홈(T2))을 형성한다. 여기에서는 길이가 2㎜ 정도의 트리거 홈(T2)이 형성된 것으로 한다.
이어서,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 휠(12)을, 트리거 홈(T2)을 형성한 위치에 커터 휠(12)을 강하시켜 맞닿게 하고, 도 7(e)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을 따라서 압접하면서 전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한다. 즉, 전술한 내절의 수법에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한다. 커터 휠(12)은, 미리 형성되어 있는 트리거 홈(T2)에 파고들 수 있기 때문에, 슬립하는 일 없이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할 때에 이용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또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부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크라이브 장치(SC3)에서는, 선긋기 부재로서, 도 3에서 나타낸 커터 휠(12)을 이용한다. 즉, 충돌흔적을 형성하는 선긋기 부재로서, 커터 휠(12)을 겸용한다.
그 때문에, 안내 바(6)에는, 도 1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 헤드(7b)만이 이용되고, 도 1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 헤드(7a) 및, 이것에 장착되는 승강 기구(10a), 홀더(8a), 선긋기 부재(11, 13)(도 1, 5 참조)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이 스크라이브 장치(SC3)를 이용한 스크라이브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9(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M)에 상정한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 상에서, 기판(M)의 일단연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개소에 커터 휠(12)을, 위로부터 유리 기판(M)의 표면을 가볍게 부딪히도록 강하시키고, 그 후 상승시킴으로써, 능선에 대응한 선 형상의 충돌흔적(T3)(트리거 홈(T3))을 형성한다. 여기에서는 길이가 2㎜ 정도의 트리거 홈(T3)이 형성된 것으로 한다.
이어서,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 휠(12)을, 트리거 홈(T3)을 형성한 위치에 재차 강하시켜 맞닿게 하고, 도 9(e)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을 따라서 압접하면서 전동시킴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한다. 즉, 전술한 내절의 수법에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한다. 커터 휠(12)은, 미리 형성되어 있는 트리거 홈(T3)에 파고들 수 있기 때문에, 슬립하는 일 없이 스크라이브 라인(S)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1개 형성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평행하게 복수개 형성하거나, XY방향으로 교차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거나 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 휠(12)에 홈이 없는 휠을 이용했지만, 홈부착 휠로 해도 좋다. 홈부착 휠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달라붙음이 좋아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충돌흔적인 트리거 홈을 형성했지만, 충돌흔적을 형성한 위치는 기판의 단연 근방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단재(端材) 영역으로 해두고, 최종적으로는 단재로서 폐기하도록 하면, 제품에는 충돌흔적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충돌흔적에 의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 외 본 발명에서는, 그 목적을 달성하고, 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수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방법은, 강화 유리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M : 기판
S : 스크라이브 라인
T1, T2, T3 : 충돌흔적(트리거 홈)
10a, 10b : 승강 기구
11 : 다이아몬드 포인터
12 : 커터 휠
13 : 고정날
20 : 제어부

Claims (3)

  1. 기판 표면에 압축 응력층이 형성되어 있는 강화 유리 기판에 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장치로서,
    기판에 충돌흔적을 형성하기 위한 점 형상의 첨단 또는 선 형상의 첨단을 갖는 선긋기 부재와,
    상기 충돌흔적으로부터 스크라이브 예정 라인을 따라서 전동하기 위한 커터 휠과,
    상기 선긋기 부재 및 상기 커터 휠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승강 기구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의 일단연(一端緣)보다 내측으로 들어간 위치에서, 상기 선긋기 부재로 충돌흔적을 스크라이브의 기점이 되는 트리거 홈으로서 형성할 때는 당해 선긋기 부재를 강하시켜 기판에 충돌시킴과 함께 충돌 후에 기판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승시켜 압축 응력층을 박리하고, 커터 휠을 전동할 때는 당해 커터 휠을 강하하여 상기 트리거 홈에 맞닿은 채로 압접 전동을 행하도록 그리고, 충돌흔적의 깊이가 압축 응력층의 두께보다 작아지도록 선긋기 부재를 기판에 충돌시키도록,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긋기 부재는, 선단이 뾰족한 포인터, 또는, 선단에 곧은 날이 형성된 고정날인 스크라이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긋기 부재로서 상기 커터 휠이 겸용되는 스크라이브 장치.
KR20140105029A 2011-11-02 2014-08-13 스크라이브 장치 KR101487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41128A JP5779074B2 (ja) 2011-11-02 2011-11-02 強化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JP-P-2011-241128 2011-11-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84A Division KR101445320B1 (ko) 2011-11-02 2012-09-05 강화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206A KR20140108206A (ko) 2014-09-05
KR101487254B1 true KR101487254B1 (ko) 2015-01-28

Family

ID=481997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84A KR101445320B1 (ko) 2011-11-02 2012-09-05 강화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KR20140105029A KR101487254B1 (ko) 2011-11-02 2014-08-13 스크라이브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84A KR101445320B1 (ko) 2011-11-02 2012-09-05 강화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79074B2 (ko)
KR (2) KR101445320B1 (ko)
CN (1) CN103086594B (ko)
TW (1) TWI4888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1474B2 (ja) * 2012-11-13 2016-08-1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化学強化ガラスの割断方法
KR101479975B1 (ko) * 2013-09-06 2015-01-08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강화 유리 커팅 방법
KR101641916B1 (ko) * 2014-11-19 2016-07-22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합착 기판의 스크라이브 헤드 장치
CN106994677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市科卡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玻璃画线装置
CN106994675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市科卡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玻璃画线装置
CN106994676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市科卡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画线装置
CN106994678A (zh) * 2016-09-23 2017-08-01 广州市科卡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玻璃画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59B1 (ko) * 1999-03-18 2006-12-08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스크라이브 방법 및 장치
US20110226832A1 (en) * 2010-03-19 2011-09-22 John Frederick Bayne Mechanical scoring and separation of strengthened glas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7060A (ja) * 1992-11-18 1994-06-03 Fuji Xerox Co Ltd 脆性板用スクライブ装置
JPH07164400A (ja) * 1993-12-15 1995-06-27 Nec Corp ガラス基板の切断装置
JPH10338534A (ja) * 1997-06-03 1998-12-22 Toshiba Corp スクライブ装置、ブレーク装置、ガラス切断装置およびスクライブ方法
JP2002338285A (ja) * 2001-05-22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切断装置、及びガラス切断方法
CN102026926B (zh) * 2008-04-14 2013-06-05 三星钻石工业股份有限公司 脆性材料基板的加工方法
JP5303238B2 (ja) * 2008-10-10 2013-10-02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基板の割断方法
TWI580652B (zh) * 2009-11-30 2017-05-01 康寧公司 用以在包括壓縮表面層及內部張力層之強化玻璃基板中形成相交刻劃孔口的方法
JP2011251879A (ja) * 2010-06-02 2011-12-15 Asahi Glass Co Ltd 化学強化ガラスの切断方法および切断装置
JP5292420B2 (ja) * 2011-02-17 2013-09-1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5373856B2 (ja) * 2011-06-22 2013-12-1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2013060331A (ja) * 2011-09-14 2013-04-04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59B1 (ko) * 1999-03-18 2006-12-08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스크라이브 방법 및 장치
US20110226832A1 (en) * 2010-03-19 2011-09-22 John Frederick Bayne Mechanical scoring and separation of strengthened g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206A (ko) 2014-09-05
KR101445320B1 (ko) 2014-09-26
KR20130048685A (ko) 2013-05-10
JP2013095642A (ja) 2013-05-20
CN103086594B (zh) 2016-03-09
TWI488821B (zh) 2015-06-21
TW201318985A (zh) 2013-05-16
JP5779074B2 (ja) 2015-09-16
CN103086594A (zh)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7254B1 (ko) 스크라이브 장치
US11084752B2 (en) Method for breaking out a sheet of glass
EP2314548A2 (en) Breaking apparatus and breaking method
KR101462524B1 (ko) 강화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JP5331078B2 (ja)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6248097B2 (ja) 機械罫書きによる強化ガラス板の分割方法
JP6332618B2 (ja) スクライブ用カッターホイール並びにスクライブ装置
KR20130092603A (ko) 탄화 규소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JP5514282B2 (ja) 強化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TWI677475B (zh) 脆性材料基板中之垂直裂痕之形成方法及脆性材料基板之切斷方法
CN106182467B (zh) 脆性材料基板中垂直裂纹的形成方法及基板断开方法
CN105645752B (zh) 脆性材料基板的切断方法
JP5576516B2 (ja) 強化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KR20180092928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6680370B2 (ja) 強化ガラスカッティング方法
KR20130110054A (ko) 강화 유리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및 스크라이브 장치
TWI774883B (zh) 黏合基板的劃線方法以及劃線裝置
JP2014152068A (ja) 強化ガラス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並びにスクライブ装置
EP33302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glass laminate
JP6302664B2 (ja) トリガ溝の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