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518B1 -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518B1
KR101485518B1 KR20130084529A KR20130084529A KR101485518B1 KR 101485518 B1 KR101485518 B1 KR 101485518B1 KR 20130084529 A KR20130084529 A KR 20130084529A KR 20130084529 A KR20130084529 A KR 20130084529A KR 101485518 B1 KR101485518 B1 KR 10148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engagement position
vehicle
storage device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645A (ko
Inventor
신지 세토
마사키 가나이
와타루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2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of a clutch system with a plurality of fluid 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8Regulating clutch take-up on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10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6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F16D2500/3109Vehicle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08Vehicle speed
    • F16D2500/3112Vehicle acceleration change 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Signal inputs from the vehicle
    • F16D2500/3114Vehicle wheels
    • F16D2500/3115Vehicle wheel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2External to the vehicle
    • F16D2500/3125Driving resistance, i.e. external factors having an influence in the traction force, e.g. road friction, air resistance, road slope
    • F16D2500/3127Road slo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1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1Position
    • F16D2500/70414Quick displacement to clutch touch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동력을 계탈(係脫)하는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2b)로서,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변화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그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클러치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1)은, 구동 장치(3, 4)에 의해 추진 부재(5a)를 구동시켜 차량의 차륜을 거는 차륜 걸림 기구(5)와,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2b)에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차륜 걸림 기구(5)의 추진 부재(5a)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ENGAGING POSITION MEMORIZING DEVICE AND BRAK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액압식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가 알려져 있다.
이 디스크 브레이크는, 상용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때에는, 액압에 의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추진시켜, 디스크 로터에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때에는, 전동 모터에 의해, 감속 기구를 통해 볼-램프 기구(회전-직동 변환 기구)의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고, 직동 부재를 직동시켜 피스톤을 전진시켜서, 디스크 로터에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이와 같은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한 액압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을 신속하게 해제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발진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 해제 요구의 유무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밟음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 해제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여, 주차 브레이크 해제 요구가 있을 경우나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일정 이상의 밟음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전동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 부재를 주차 브레이크 작동시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볼을 경사 홈의 최천부(最淺部)로부터 인접하는 경사 홈의 최심부(最深部)로 직접 이동시킴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신속하게 해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운전자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작동과 같은 발진 동작의 확인에 응답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 해제할 경우, 특히, 수동 변속기를 구비하는 차량이 급속한 발진 동작을 행할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가 해제를 개시하고 나서 브레이크력을 완전히 제거할 때까지 시간을 요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발진시키는 충분한 속도로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는,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한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를 발진 동작의 확인에 응답하여 해제할 때, 그 해제 시점을 클러치의 걸어맞춤 동작 중 적어도 1개의 측정된 파라미터에 의존하여 정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11-214647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6-528581호 공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의하면, 클러치의 동작 시점을 엔진 속도 또는 엔진 토크의 변화의 검출이나 차량의 가속도의 변화의 검출에 의해 확인 함으로써, 수동 변속기를 구비하는 차량을 급속하게 발진시킬 경우에도,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해제를 정밀하게 조정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발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가속도는, 당해 차량의 내외부로부터 유발되는 진동이나 노면의 경사 등과 같은,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에 의한 차량의 발진 이외의 요인에 의해 변화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의하면,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에 의한 차량의 발진 이외의 요인에 의해 가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클러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라고 판단해버려, 당해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이용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직전에 브레이크 제동력을 자동 해제할 경우, 실제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괴리한 위치에서 브레이크 제동력이 해제되어, 차량을 원활하게 발진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의 동력을 계탈(係脫)하는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로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변화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클러치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은, 구동 장치에 의해 추진 부재를 구동시켜 차량의 차륜을 거는 차륜 걸림 기구와,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차륜 걸림 기구의 추진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가속도가 변화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당해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클러치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에 의한 차량의 발진에 기인하는 가속도의 변화를 추출하고,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여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기억된 고(高)정밀도의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실제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직전에 브레이크 제동력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차량을 원활하게 발진시킬 수 있다.
상기한 것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의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기억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각종 센서의 검출치의 일례를 시계열(時系列)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클러치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c)는 차속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 가능 상태의 판정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차량이 주행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이행할 때의 도 1에 나타내는 각종 센서의 검출치의 일례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브레이크 액압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c)는 차속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내리막길에서 차량이 주행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이행할 때의 도 1에 나타내는 각종 센서의 검출치의 일례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브레이크 액압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b)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c)는 차속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를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하는 브레이크 시스템(1)은, 주로, 마스터 실린더(구동 장치)(4)와, 주차 브레이크용 전동 모터(구동 장치)(3)와, 휠 실린더 액압(예를 들면, 마스터 실린더(4)에 의해 발생시킨 액압에 의해 제어되는 액압)이나 전동 모터(3)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차륜 걸림 기구(5)와, 전동 모터(3)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륜 걸림 기구(5)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제어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브레이크 시스템(1)은, 마스터 실린더(4)에 의한 액압을 제어하기 위해 브레이크 제어 장치(1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1)이 브레이크 제어 장치(12)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휠 실린더 액압은, 브레이크 제어 장치(12)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륜 걸림 기구(5)는, 휠 실린더 액압이나 전동 모터(3)의 구동력(추력)에 의해 구동하는 피스톤(추진 부재)(5a)과, 이 피스톤(5a)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 로터(도시 생략)를 협지(挾持)해서 가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5b)를 갖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시스템(1)은,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6)나,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7),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 등을 검출하는 클러치 센서(8) 등을 구비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의 제동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액압 센서(9)나, 기어 포지션 센서(10),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1), 엔진 회전수 센서(13) 등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속 센서(7)는, 예를 들면 차량의 차축부에 부착되어 있어, 차축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 신호 등을 검출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함으로써 차량의 차속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클러치 센서(8)는, 예를 들면 클러치 페달의 변위를 직접 계측하거나, 클러치 페달의 회전각을 계측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액압 센서(9)는, 예를 들면 휠 실린더나 마스터 실린더의 액압을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기어 포지션 센서(10)는, 기어가 전진의 각 기어 포지션(1단, 2단, …)이나 후퇴, 뉴트럴 중 어느 포지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기어가 후퇴나 뉴트럴에 있는 것만을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브레이크 시스템(1)의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2)는, 상기하는 각종 센서(6∼8, 10, 13)의 검출치나,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1)의 주차 스위치 조작 상태, 브레이크 액압 센서(9)에 의한 브레이크 제동 상태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2a)와, 전동 모터(3)를 제어하기 위한 지령치를 연산하는 연산부(2c)와,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2b)와, 연산부(2c)에 의한 연산 결과를 전동 모터(3)에 출력하는 출력부(2d)를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브레이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용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때에는, 휠 실린더 액압에 의해 피스톤(5a)을 추진(구동)시켜, 브레이크 패드(5b)에 대하여 디스크 로터(도시 생략)를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때에는, 전동 모터(3)에 의해 감속기나 회전 직동 변환 기구(도시 생략) 등을 통해 피스톤(5a)을 추진(구동)시켜, 브레이크 패드(5b)에 대하여 디스크 로터를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5b)에 의해 디스크 로터를 가압하여, 차량의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차량에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미끄럼 방지 장치(도시 생략) 등을 구비한 브레이크 시스템(1)에 있어서는, 드라이버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도시 생략)의 조작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제어 장치(12)에 의해 필요한 액압을 발생시키고, 그 발생한 액압에 의해 차량에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하는 브레이크 시스템(1)을 주차 브레이크로서 사용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브레이크를 발생시킬 때에는, 드라이버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1)의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온(On) 조작 상태나 각종 센서에 의한 차량 상태 등을 검출하고,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2)로부터 전동 모터(3)에 추력 발생 지령치를 송신한다. 그리고, 그 지령치에 의거하여 전동 모터(3)를 구동시키고, 전동 모터(3)의 구동력에 의해 감속기나 회전 직동 변환 기구(도시 생략) 등을 통해 피스톤(5a)에 추력을 발생시켜, 차량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를 해제할 때에는, 드라이버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1)의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오프(Off) 조작 상태나 각종 센서에 의한 차량 상태 등을 검출하고,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2)로부터 전동 모터(3)에 추력 해제 지령치를 송신한다. 그리고, 그 지령치에 의거하여 전동 모터(3)에 의해 피스톤(5a)을 추력 발생시와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브레이크 패드(5b)에 부여되는 추력을 해제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여기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해제할 때, 차량의 발진 직전까지 브레이크를 유지하면서 그 발진 직전에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자동 브레이크 해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드라이버가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1)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해제하여, 당해 차량의 편리성을 각별히 높일 수 있다.
상기하는 자동 브레이크 해제 기능을 이용할 경우, 차량의 발진 직전의 상태를 정밀도 좋게 검지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면 매뉴얼 트랜스미션 차(車)(MT 차)에 있어서는, 차량을 발진시키고자 하는 드라이버가 클러치 페달을 절단 상태로부터 접속(걸어맞춤) 상태로 조작하기 때문에, 이 클러치 페달의 조작을 이용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 해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가 조작하는 클러치 페달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도달한 시점, 혹은 그 근방에서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가 완료되도록, 적당한 타이밍에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2)로부터 전동 모터(3)에 해제 지령치를 출력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의 해제 개시로부터 브레이크의 해제 완료까지는 소정의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의 위치가,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해제 시간)×(클러치 페달 조작 속도)에 도달한 시점, 혹은 그 근방에서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2)로부터 전동 모터(3)에 해제 지령치를 자동적으로 출력하고, 브레이크 패드(5b)에 부여하는 추력을 해제함으로써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여기에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란, 차량의 동력이 차륜측에 전달되기 시작하는 클러치 위치 또는 클러치 페달 위치이다. 또한, 해제 시간이란, 브레이크의 해제 개시로부터 브레이크의 해제 완료까지의 시간이다. 또한, 클러치 페달 조작 속도란, 클러치 페달을 절단 상태로부터 접속(걸어맞춤) 상태로 조작하는 속도이며, 예를 들면, 클러치 페달의 변위나 클러치 페달의 회전각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그런데,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는, 차량이나 부품마다 변화함과 함께, 각 차량이나 부품에 있어서도 경년(經年) 변화 등에 의해 변화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를 자동적으로 해제할 경우, 그때마다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여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의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기억 플로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각종 센서의 검출치의 일례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클러치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의 (b)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c)는 차속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3의 (a)에서는, 클러치 페달을 절단 상태로부터 접속(걸어맞춤) 상태로 조작하는 방향을 클러치 센서의 정방향으로 하고, 도 3의 (b)에서는, 차량이 전진할 때에 발생하는 가속도의 방향을 가속도 센서의 정방향으로 하고, 도 3의 (c)에서는,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을 차속 센서의 정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브레이크 액압 센서(9)나 기어 포지션 센서(10) 등의 각종 센서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0). 한편, 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 가능 상태의 판정 플로우의 상세는 후술한다.
가속도 센서(6)는 미소한 진동이나 중력 등을 검출할 수 있고, 차량의 발진과 대략 동시에 차량이 발진할 때에 발생하는 미소한 가속도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래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52), 그 검출치가 증가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한 시점에서의 클러치 위치를 검출하여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한다(S53).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가 MT 차의 차량을 발진시킬 경우, 도 3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는 클러치 페달을 절단 상태로부터 접속(걸어맞춤) 상태로 조작한다. 그리고, 클러치 페달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가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k에 도달하면, 도 3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가속도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k를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한다. 여기에서, 도 3의 (b)에서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치가 정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에서 발진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6)는, 예를 들면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의 차체 진동에 의한 가속도의 변화 등,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에 의한 차량의 발진 이외의 요인에 의한 가속도의 변화도 검출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차속 센서(7)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54),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일시적으로 기억한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한다(S55).
그리고, 미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미리 기억되어 있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갱신해서 기억한다(S56). 구체적으로는,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대하여 후술하는 평균화 처리나 필터링 처리 등을 실시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갱신하고, 새로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한다. 한편, 차체의 상황 등에 따라,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서 미리 기억되어 있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갱신해서 기억해도 된다.
여기에서, 차속 센서(7)의 검출치는,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증가하지만, 일반적으로, 차량의 속도는 펄스 신호 등을 검출하여 산출된다. 그 때문에, 차량이 발진할 때의 저속시에는, 순시에 펄스 신호를 검출할 수 없고, 차량이 발진한 직후에는 차속 센서(7)의 검출치가 증가하지 않아, 차량의 차축이 어느 정도 회전하고 나서 차속 센서(7)의 검출치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차속 센서(7)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정할 때에는,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차속 센서(7)의 검출치가 소정치보다 증가했을 경우에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하고, 일시적으로 기억한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가속도가 발생하기 시작한 시점 T0으로부터 소정 시간 t1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차량의 속도가 v1(예를 들면 1.0㎞/h)보다 빨라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차량의 속도가 v1보다 빨라져,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의 증가가 차량의 발진에 의한 것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k를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하고, 그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한다.
한편,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차량이 주행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의 증가는,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에 의한 차량의 발진 이외의 요인에 의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미리 기억한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k를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한 시점에서의 클러치 위치를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일시적으로 기억함과 함께,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일시적으로 기억한 잠정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새로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에 의한 차량의 발진 이외의 요인에 의한 가속도의 증가에 기인하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오(誤)검출을 억제할 수 있어,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여 기억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후퇴할 때의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여 기억할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의 감소를 차량의 발진의 판단 기준으로 하면 된다.
또한, 차량이 발진한 후에 클러치가 완전히 접속(걸어맞춤) 상태가 되었을 경우, 엔진의 회전수와 차량의 속도의 관계는 기어비의 관계로 규정된다. 그래서,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엔진 회전수 센서(13)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의 회전수와 차량의 속도 또는 차륜의 회전 속도의 비가 기어비와 일치했을 경우에,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해도 된다.
상기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여 기억하기 위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만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고 있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 가능 상태의 판정 플로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어 포지션 센서(10)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기어 포지션이 전진인지 후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31), 예를 들면 클러치 센서(8)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클러치가 걸어맞춤 조작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32), 클러치의 조작 속도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33), 예를 들면 차속 센서(7)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34), 예를 들면 브레이크 액압 센서(9)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차량이 비제동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35),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가속도가 안정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6). 그리고, 이들 판정 결과로부터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만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여 새로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한다. 한편, 이들 판정은, 반드시 모두를 행할 필요는 없고, 시스템이나 이용 가능한 각종 센서 등의 상황 등에 따라 필요한 판정만을 행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기어 포지션이 전진의 각 기어 포지션(1단, 2단, …)이나 후퇴의 기어 포지션인 것(뉴트럴 이외의 기어 포지션인 것)을 판정하고(S31), 드라이버가 클러치를 접속하여 차량을 발진시키고자 하고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따라, 중력이나 그 밖의 진동 등에 의해 가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클러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라고 판단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어 포지션이 전진의 각 기어 포지션인 것만(뉴트럴이나 후퇴 이외의 기어 포지션인 것)을 판정하도록 하면, 기어 포지션과 같은 방향인 증가 방향의 가속도의 변화만을 검출하면 되기 때문에, 기어 포지션과 역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의 변화에 기인하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어, 차량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클러치 페달이 동력 비전달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상태로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나, 클러치 페달의 위치가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클러치가 걸어맞춤 조작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2).
예를 들면 클러치 페달이 동력 비전달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상태로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클러치가 동력 비전달 상태로부터 동력 전달 상태를 향하여 조작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이나 클러치의 조작에 의해 차량이 발진하고자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 이외의 요인에 의해 가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클러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라고 판단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페달의 위치가 소정의 범위 내, 특히 클러치의 위치가 동력 비전달측보다 동력 전달측인지를 판정할 경우에는, 차량이 발진하기 위한 준비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클러치 걸어맞춤 동작 이외의 요인에 의해 가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클러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라고 판단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클러치는 경시(經時) 변화에 의해 마모하기 때문에, 클러치의 위치가 미리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보다 동력 비전달측일 경우에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라고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러치 페달의 조작 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차량에의 동력 전달이 완만해지고, 차량이 발진했을 때의 가속도의 변화가 작아져, 가속도 변화의 검출 속도가 지연되는 것이 생각된다. 한편으로, 클러치 페달의 조작 속도가 빠를 경우에도, 클러치가 동력 전달 상태에 도달하고 나서 차량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까지 시간을 요하여, 차량에의 동력 전달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만일 동일한 시간만큼 동력 전달의 지연이 발생할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의 조작 속도가 빠를수록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오차가 커진다.
그래서, 클러치 페달의 조작 속도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 특히 클러치 페달의 조작 속도가 소정치보다 빠른지의 여부, 즉 클러치의 조작 속도가 소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3). 이에 따라, 클러치 페달의 조작 속도가 소정치보다 빨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오차가 커질 경우에만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고,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 정밀도가 낮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이 정지 상태, 예를 들면 속도 센서(7)의 절대치가 소정치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4). 이에 따라, 차량의 정지 상태로부터의 발진 이외의 요인에 의해 가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클러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라고 판단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제동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클러치 접속(걸어맞춤) 조작을 행하면, 클러치가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도달해도 상기 제동력에 의해 차량은 발진할 수 없는, 혹은, 차량이 발진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어, 예를 들면 클러치 페달이 보다 동력 전달측(클러치의 접속측)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차량이 발진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차량이 비제동 상태, 즉 차량에 제동력이 부여되고 있지 않은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5).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2)에 의해 추력 발생 지령치가 전동 모터(3)에 송신되어 있지 않은지의 여부(차륜 걸림 기구(5)가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을 경우에는 마스터 실린더(4)의 액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그 액압이 소정치보다 상승해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미끄럼 방지 장치 등의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마스터 실린더(4)의 액압이 상승하지 않아도 휠 실린더 액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차륜 걸림 기구(5)가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되어 있어 차량이 비제동 상태인지의 여부, 또한 휠 실린더의 액압이 소정치보다 상승해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에 따라, 실제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와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에 로우 패스 필터 등을 실시한 값을 비교하여, 소정 시간 동안에 차이가 없는 혹은 그 차이가 소정 범위 내인 것이나,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에 필터링 처리를 실시한 값의 변동량이 소정 시간 동안에 소정의 변동 임계치의 범위 내인 것 등을 판정하여, 차량의 가속도가 안정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36).
도 5는 차량이 주행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이행할 때의 도 1에 나타내는 각종 센서의 검출치의 일례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의 (a)는 브레이크 액압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b)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도 5의 (c)는 차속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5의 (b) 중, 실선 L은,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파선 Lf는,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에 로우 패스 필터를 실시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터 실린더(4) 등의 액압을 변화시켜 차량을 제동하고,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속이 0이 되어 차량의 차륜 자체가 정지했다(시간 T1)고 해도,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자체에는 잠시 진동이 남아 있어 가속도가 변동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을 행하면, 클러치의 위치에 상관없이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 클러치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 검출해버린다.
그래서, 예를 들면 차량의 제동을 해제하여, 브레이크 액압 센서(9)의 검출치가 0이 되고 나서(시간 T2), 소정 시간 t2 동안,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그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에 필터링 처리를 실시한 값과의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혹은 그 차이가 소정 범위 내인 것을 판정하여, 차량의 가속도가 안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후에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을 행한다. 이에 따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의 비교 대상으로서 필터링 처리를 실시한 값을 이용하는 것은,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노면의 경사나 차체의 중량의 밸런스, 센서 자체의 개체차 등에 의해 오프셋할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6은 내리막길에서 차량이 주행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이행할 때의 도 1에 나타내는 각종 센서의 검출치의 일례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의 (a)는 브레이크 액압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의 (b)는 가속도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의 (c)는 차속 센서의 검출치를 시계열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이 내리막길(내리막 구배(勾配)를 갖는 노면)에서 정지할 때에, 차량이 정지하여(시간 T3) 가속도가 안정된(시간 T4) 후, 차량의 제동을 해제하면(시간 T5), 중력에 의해 차량이 전진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 L과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 L에 로우 패스 필터를 실시한 값 Lf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액압 센서(9)의 검출치가 0이 되고 나서(시간 T2), 소정 시간 t2 동안,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가 그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에 필터링 처리를 실시한 값과의 사이에서 차이가 없는 혹은 그 차이가 소정 범위 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차량이 위치하는 노면의 경사각을 측정 혹은 추정할 수 있을 경우에는, 그 경사각이 소정의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경사각이 소정의 범위 외, 특히 차량이 위치하는 노면의 경사각이 클 경우에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이 위치하는 노면의 경사각에 의해 차량이 발진할 때의 클러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라고 판단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 L에 하이 패스 필터를 실시한 값의 변동량이 소정 시간 동안에 소정의 변동 임계치의 범위 내인 것을 판정하여, 차량의 가속도가 안정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즉,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 L에 하이 패스 필터를 실시하여 진동분만을 추출하고, 이 진동분이 소정의 변동 임계치의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차량의 가속도가 안정되어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상기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새로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함으로써, 정밀도가 좋은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하는 검출 가능 상태에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지만, 상기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는, 일반적으로, 차체의 상황이나 클러치의 접속의 방법 등에 의해 편차가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2)의 기억부(2b)에 새로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서 기억할 때, 기억부(2b)에 미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새롭게 검출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와 미리 기억되어 있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평균화하고, 기억부(2b)에 기억되어 있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그 평균화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서 갱신해서 기억한다.
그때, 기억부(2b)에 기억되어 있는 수 회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단순히 평균화해도 되고, 경년 변화의 영향을 생각하면 직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보다 실제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가깝다고 생각되므로, 새로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만큼 가중을 부여하여 평균화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식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롭게 검출된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등에 로우 패스 필터의 필터링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한편, 식 (1) 중, r은 가중치에 이용하는 정수이다.
(갱신 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r×(새롭게 검출된 검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1-r)×(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1)
이와 같은 로우 패스 필터의 필터링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평균화 처리와 마찬가지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만을 이용함으로써 당해 기억부(2b)의 기억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검출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의 판정은, 시스템이나 각종 센서 등의 상황 등에 의해 반드시 모두를 행할 수 없을 경우가 있어, 필요한 판정을 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검출하면 실제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와 크게 다른 클러치 위치를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라고 판단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새롭게 검출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와 미리 기억된 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 특히 그 차이가 소정치보다 작을 경우에만, 미리 기억된 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새롭게 검출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갱신해서 기억해도 된다.
또한, 구배가 있는 노면상에 차량이 위치하여, 클러치를 걸어맞춘 상태에서 엔진의 구동력과 노면의 경사에 의한 중력이 균형을 이루어, 차량이 당해 노면에서 정지해 있는 상황 하에서는, 차량에 제동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속도나 가속도도 변화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오르막 구배를 갖는 노면상에 차량이 위치하여, 당해 차량이 전진하기 위해 클러치를 걸어맞춘 상태에서 엔진의 구동력과 노면의 경사에 의한 중력이 균형을 이루어, 차량이 당해 노면에서 정지해 있는 상황이나, 내리막 구배를 갖는 노면상에 차량이 위치하여, 당해 차량이 후퇴하기 위해 클러치를 걸어맞춘 상태에서 엔진의 구동력과 노면의 경사에 의한 중력이 균형을 이루어, 차량이 당해 노면에서 정지해 있는 상황 하에서는, 차량에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또한 속도나 가속도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클러치를 접속 상태의 방향(동력 전달측)으로 더 동작시켜 차량을 발진시켰을 경우,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실제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보다 접속측이라고 판단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차량이 위치해 있는 노면의 경사각이 소정의 범위 내일 경우만, 미리 기억된 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새롭게 검출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갱신해서 기억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노면의 경사각은,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6)의 검출치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면 클러치의 부품 교환시에는, 새롭게 검출되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크게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새롭게 검출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와 미리 기억된 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차이가 소정치보다 작을 경우나, 차량이 위치해 있는 노면의 경사각이 소정의 범위 내일 경우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켰을 경우에, 미리 기억된 갱신 전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새롭게 검출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갱신해서 기억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차량의 동력을 계탈하는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여 기억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차량의 발진 직전에 확실히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당해 차량을 원활하게 발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 시스템(1)으로서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드럼식 브레이크 시스템을 적용해도 된다.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할 경우에는, 마스터 실린더(4)나 브레이크 제어 장치(12) 등에 의한 휠 실린더 액압이나 전동 모터(3)의 구동력에 의해 피스톤(5a)으로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으로, 드럼식 브레이크를 적용할 경우에는, 휠 실린더 액압이나 전동 모터(3)의 구동력 등에 의해 차륜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드럼 내측의 브레이크슈를 차륜에 밀어붙여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기억부)(2b)를 브레이크 시스템(1)에 의한 제동력의 해제에 적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장치(2b)를 클러치의 마모의 진행 상황을 검출하여 드라이버에게 경고를 행하는 시스템 등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하는 실시형태에서는, MT 차에 브레이크 시스템(1)이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기억부)(2b)를 적용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클러치를 자동적으로 계탈하는 오토 클러치 기능을 구비한 차량에 이 브레이크 시스템(1)이나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2b)를 적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이 배설(配設)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액추에이터부에서의 클러치의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해지지만,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하는 형태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 형태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어느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서,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선이나 정보선은 설명상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품상 반드시 모든 제어선이나 정보선을 나타내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실제로는 거의 모든 구성이 상호 접속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된다.
1: 브레이크 시스템
2: 주차 브레이크 컨트롤러(제어 장치)
2a: 입력부
2b: 기억부(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2c: 연산부
2d: 출력부
3: 전동 모터(구동 장치)
4: 마스터 실린더(구동 장치)
5: 차륜 걸림 기구
5a: 피스톤(추진 부재)
5b: 브레이크 디스크
6: 가속도 센서
7: 차속 센서
8: 클러치 센서
9: 브레이크 액압 센서
10: 기어 포지션 센서
11: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
12: 브레이크 제어 장치
13: 엔진 회전수 센서

Claims (15)

  1. 차량의 동력을 계탈(係脫)하는 클러치의, 상기 차량의 동력이 차륜 측에 전달되기 시작하는 상기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로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상기 클러치의 위치를 기억하고,
    상기 가속도가 변화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차량이 주행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상기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상기 클러치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가속도가 안정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클러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이 비제동 상태일 경우에 상기 클러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클러치의 위치가 당해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보다 동력 비전달측일 경우에 상기 클러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클러치가 동력 비전달측으로부터 동력 전달측을 향하여 조작되며, 또한, 그 조작 속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일 경우에 상기 클러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의 기어 포지션이 전진 또는 후퇴일 경우에 상기 클러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이 위치하는 노면의 경사각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일 경우에 상기 클러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미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 이 미리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상기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상기 클러치 위치에 의거하여 갱신해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의 속도 및 엔진의 회전수와 차륜의 회전 속도의 관계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상기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상기 클러치 위치와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된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에 평균화 처리를 실시하고, 평균화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상기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상기 클러치 위치와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된 클러치의 걸어맞춤 위치에 필터링 처리를 실시하고, 필터링 처리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차량이 위치하는 노면의 경사각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일 경우에, 상기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상기 클러치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는, 상기 가속도가 변화한 시점에서 검출된 상기 클러치 위치와 상기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일 경우에, 상기 클러치 위치에 의거하여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14. 구동 장치에 의해 추진 부재를 구동시켜 차량의 차륜을 거는 차륜 걸림 기구와,
    제1항에 기재된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에 기억된 클러치 걸어맞춤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차륜 걸림 기구의 추진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륜 걸림 기구의 추진 부재의 구동 시간에 따른 타이밍에 상기 구동 장치에 대하여 추진 부재에 의한 차륜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지령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KR20130084529A 2012-09-28 2013-07-18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KR101485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5952A JP5976482B2 (ja) 2012-09-28 2012-09-28 ブレーキシステム
JPJP-P-2012-215952 2012-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645A KR20140042645A (ko) 2014-04-07
KR101485518B1 true KR101485518B1 (ko) 2015-01-22

Family

ID=5027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529A KR101485518B1 (ko) 2012-09-28 2013-07-18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4626B2 (ko)
JP (1) JP5976482B2 (ko)
KR (1) KR101485518B1 (ko)
CN (1) CN103707872B (ko)
DE (1) DE102013216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9275B2 (en) * 2014-12-10 2017-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onic control of manual transmission clutch
US11078978B2 (en) 2017-09-29 2021-08-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otor brake system
US10520054B2 (en) * 2017-09-29 2019-12-3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otor brake system
KR102079948B1 (ko) * 2018-01-05 2020-02-21 주식회사 만도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N110077391B (zh) * 2018-01-25 2020-12-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的控制方法、控制系统和车辆
CN114738396B (zh) * 2022-04-22 2023-11-03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离合器开关信号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604B1 (ko) * 1993-06-10 2002-04-06 존 씨. 메티유 클러치분리논리
JP2012072914A (ja) * 2012-01-12 2012-04-12 Yamaha Motor Co Ltd クラッチ制御装置およ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332U (ja) * 1993-12-28 1995-07-18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停止保持装置
DE4424270A1 (de) 1994-07-09 1996-01-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Anlegedrucks einer Bremseinrichtung für Fahrzeuge
JPH0848225A (ja) * 1994-08-08 1996-02-20 Akebono Brake Ind Co Ltd 車両用発進補助装置
DE10324446B3 (de) * 2003-05-28 2004-12-16 Lucas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Steuerung eines mit einer elektrischen Parkbremse ausgestatteten Bremssystems
DE102005052629B4 (de) * 2005-11-04 2016-08-0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utomatischen Lösen der Bremsen eines Fahrzeugs im optimalen Lösezeitpunkt
JP4931464B2 (ja) 2006-04-18 2012-05-1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および車両
JP5043717B2 (ja) * 2008-02-26 2012-10-10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圧保持制御装置
US8024098B2 (en) * 2008-09-10 2011-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ngagement point of a clutch
JP5614528B2 (ja) * 2010-03-31 2014-10-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11121309A1 (de) * 2011-12-15 2013-06-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Steuersystem fürein manuelles Schaltgetriebe, Computerprogrammprodukt, Computerprogramm sowie Signalfol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604B1 (ko) * 1993-06-10 2002-04-06 존 씨. 메티유 클러치분리논리
JP2012072914A (ja) * 2012-01-12 2012-04-12 Yamaha Motor Co Ltd クラッチ制御装置および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07872A (zh) 2014-04-09
JP2014069644A (ja) 2014-04-21
CN103707872B (zh) 2017-08-22
JP5976482B2 (ja) 2016-08-23
KR20140042645A (ko) 2014-04-07
US20140095037A1 (en) 2014-04-03
US9934626B2 (en) 2018-04-03
DE102013216990A1 (de)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518B1 (ko) 걸어맞춤 위치 기억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US7140697B2 (en) Electric parking brake apparatus
KR101475687B1 (ko) 자동차를 위한 경사로 출발 보조 방법
KR20130061728A (ko) 차량을 위한 전자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것의 보조 시동 방법
KR101571386B1 (ko) 보조 장치와 같이 경사면상에서 출발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브레이크 해제 방법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자동차
US10801620B2 (en) Vehicle brake control apparatus
CN100482505C (zh) 用于操作机动车用制动器的方法
KR20140033071A (ko) 유압 및 기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차량 브레이크에 적용되는 작동력 결정 방법
JP2010537870A (ja) 自動駐車ブレーキ装置の解除を制御する車載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031586A (zh) 用于操作机动车辆的制动系统的方法和用于机动车辆的制动系统
JP2019534197A (ja) 自転車のサイクリストのためのブレーキアシストシステム
KR20100106405A (ko) 언덕 기동을 보조하는 방법
JP6683581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10080791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사도 검출방법
CN110667549B (zh) 一种电控制动方法和电控制动装置
WO2020179267A1 (ja) 駆動制御装置
JP4792763B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
JP6515950B2 (ja) 車両制動制御装置
KR10141785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009269507A (ja) 車両用制御装置及び車両
JP2021078165A (ja) 駆動制御装置
JP7266109B2 (ja) ブレーキ装置
JP5036622B2 (ja) 車両用制御装置及び車両
JP6579158B2 (ja) 車両制動制御装置
JP2005313755A (ja) ブレー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