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948B1 -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948B1
KR102079948B1 KR1020180001565A KR20180001565A KR102079948B1 KR 102079948 B1 KR102079948 B1 KR 102079948B1 KR 1020180001565 A KR1020180001565 A KR 1020180001565A KR 20180001565 A KR20180001565 A KR 20180001565A KR 102079948 B1 KR102079948 B1 KR 10207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ransmission
braking
current
dual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752A (ko
Inventor
이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0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60W10/113Stepped gearings with two input flow paths, e.g. double clutch transmission selection of one of the torque flow paths by the corresponding input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18Start-stop drive, e.g. in a traffic j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7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두 개의 클러치를 이용해 수동 변속기의 효율성과 자동 변속기의 편리성을 모두 갖춘 장치였었다.
일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 10-1765497(2017.08.0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어열을 이용하여 변속단수의 다단화를 구현함으로써, 전장을 최소화하고, 중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가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수명을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수명을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한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 있는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 10-1765497(2017.08.01)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수명을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roll-back)되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고; 제어부는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2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2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에 제 3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4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3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3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에 제 5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6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는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더 입력받고; 판단부는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며; 제어부는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4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4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에 제 7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8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력부는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온도값을 더 입력받고; 판단부는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온도값이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며; 제어부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온도값이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이면,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9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3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3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에 제 5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6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수명을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받는다.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이후에 진술할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정체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공급받고, 판단부(104)에 판단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중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roll-back)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경사로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2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2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 3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4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4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중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을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9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9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다.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정체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공급받고, 판단부(104)에 판단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3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3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 5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6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6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중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경사로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4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4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 7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8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8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중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을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9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9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를 포함한다.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을 입력받는다.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한다.
제어부(106)는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을 공급받고, 판단부(104)에 판단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5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5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 10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6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11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6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11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중 입력부(102)는 감지 장치(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때,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일예로, 판단부(104)는 입력부(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경사로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더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어부(106)는 판단부(104)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6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6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 12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7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13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일예로, 제어부(10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제동 제어 요청에 의해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 7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 13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할 수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200 내지 900)은 제 1 입력 단계(S202 내지 S902)와 제 1 판단 단계(S204 내지 S904) 및 제 1 제어 단계(S206 내지 S906, S208 내지 S908)를 포함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 단계(S202, S302)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204, S304)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206, S306)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208, S308)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300)은 제 2 입력 단계(S310)와 제 2 판단 단계(S312) 및 제 2 제어 단계(S314, S3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입력 단계(S310)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 후, 제 2 판단 단계(S312)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roll-back)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제어 단계(S314)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2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2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3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제어 단계(S31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4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 단계(S402, S502)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제 1 판단 단계(S404, S504)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제 1 제어 단계(S406, S506)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3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3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5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제 1 제어 단계(S408, S508)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6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500)은 제 2 입력 단계(S510)와 제 2 판단 단계(S512) 및 제 2 제어 단계(S514, S5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입력 단계(S510)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 후, 제 2 판단 단계(S512)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제어 단계(S514)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4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4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7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제어 단계(S51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8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600)은 제 1 입력 단계(S602)와 제 1 판단 단계(S604) 및 제 1 제어 단계(S606, S6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입력 단계(S602)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고,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을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604)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고,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606)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고, 판단부(도1의 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608)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9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700)은 제 1 입력 단계(S702)와 제 1 판단 단계(S704) 및 제 1 제어 단계(S706, S7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입력 단계(S702)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고,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을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704)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하고,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706)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고, 판단부(도1의 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3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3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5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708)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9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입력 단계(S802, S902)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을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는다.
이 후, 제 1 판단 단계(S804, S904)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한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806, S906)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도1의 1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5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5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10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 후, 제 1 제어 단계(S808, S908)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6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11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900)은 제 2 입력 단계(S910)와 제 2 판단 단계(S912) 및 제 2 제어 단계(S914, S916)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2 입력 단계(S910)는 감지 장치(도1의 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부(도1의 102)에서 입력받을 수가 있다.
이 후, 제 2 판단 단계(S912)는 입력부(도1의 102)에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의 제어에 따라 판단부(도1의 104)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제어 단계(S914)는 판단부(도1의 104)에서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6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6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에 제 12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 후, 제 2 제어 단계(S916)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서 자동 제동 장치(도1의 30)로부터 출력되는 제 7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의 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부(도1의 106)에서 변속기 제어 장치(도1의 70)에 제 13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다른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0)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와 동일하게 입력부(1002)와 판단부(1004) 및 제어부(10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0)는 식별부(1008)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식별부(1008)는 판단부(10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10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된 상태임을 제어부(1006)의 제어에 따라 식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식별부(10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는 경보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및 발광 부재(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경보기(미도시)의 경보 동작과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 및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식별부(10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저와 기계를 인터페이스시켜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도록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과 HUD(Head-UP Display)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HMI 모듈(미도시)의 HMI 메시지 표시 동작 및 HUD 모듈(미도시)의 HUD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또 다른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0의 1000)의 차량 제어 방법(1100 내지 1300)은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6 내지 도8의 600 내지 800)과 동일하게 제 1 입력 단계(S1102 내지 S1302)와 제 1 판단 단계(S1104 내지 S1304) 및 제 1 제어 단계(S1106 내지 S1306, S1108 내지 S13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0의 1000)의 차량 제어 방법(1100 내지 13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도6 내지 도8의 600 내지 800)중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0의 1000)의 차량 제어 방법(1100 내지 1300)은 제 1 식별 단계(S1105)와 제 2 식별 단계(S1205) 및 제 3 식별 단계(S1305)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제 1 식별 단계(S1105)와 제 2 식별 단계(S1205) 및 제 3 식별 단계(S1305)는 제 1 판단 단계(S1104 내지 S1304) 이후와 제 1 제어 단계(S1106 내지 S1306) 이전에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1 식별 단계(S1105)와 제 2 식별 단계(S1205) 및 제 3 식별 단계(S1305)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제어 단계(S1106 내지 S1306)와 동기화되어 수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 식별 단계(S1105)와 제 2 식별 단계(S1205) 및 제 3 식별 단계(S1305)는 판단부(도10의 1004)에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0의 50)의 현재 온도값이 판단부(도10의 1004)에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현재 듀얼 클러치 변속기(도10의 50)가 과열된 상태임을 제어부(도10의 1006)의 제어에 따라 식별부(도10의 1008)에서 식별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는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의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입력하기 위한 통상적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통상적인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일 수가 있다.
또한, 입력부(102)와 판단부(104) 및 제어부(106)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수단과 판단 수단 및 입력 수단이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와 연결된 감지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주행 정보의 현재 휠 속도값을 감지하기 위한 휠 속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고, 현재 주행 정보의 현재 가속 페달값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 페달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와 연결된 감지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제동 정보의 현재 브레이크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 센서(미도시)와 브레이크 램프 센서(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와 연결된 감지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을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와 연결된 감지 장치(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클러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클러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와 연결된 자동 제동 장치(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미도시), 및 부스팅력과 제동력을 하나의 모터로 발생시키는 IDB(Integrated Dynamic Brake) 장치(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와 연결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미도시)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 내지 500)은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정차에 필요한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 내지 500)은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일 때에, 제동을 빠르게 수행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여 클러치 슬립의 발생 빈도를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200 내지 500)은 제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수명을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300, 500, 900)은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300, 500, 900)은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일 때에, 제동을 더욱 빠르게 수행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여 클러치 슬립의 발생 빈도를 더욱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300, 500, 900)은 제동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 및 차량 제어 방법(600, 700, 1100, 1200)은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정차에 필요한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 및 차량 제어 방법(600, 700, 1100, 1200)은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일 때에, 제동을 더욱 빠르게 수행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여 클러치 슬립의 발생 빈도를 더욱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 및 차량 제어 방법(600, 700, 1100, 1200)은 제동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 및 차량 제어 방법(800, 900, 1300)은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30)에서 정차에 필요한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자동 제동 장치(3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변속기 제어 장치(70)에서 자동 제동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변속기 제어 장치(70)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 및 차량 제어 방법(800, 900, 1300)은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일 때에, 제동을 더욱 빠르게 수행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여 클러치 슬립의 발생 빈도를 더욱 줄일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1000) 및 차량 제어 방법(800, 900, 1300)은 제동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교통사고의 발생을 더욱 미연에 방지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켜 유지보수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0) 및 차량 제어 방법(1100 내지 1300)은 듀얼 클러치 변속기(50)의 현재 온도값이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이면, 현재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된 상태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0) 및 차량 제어 방법(1100 내지 1300)은 운전자가 현재 듀얼 클러치 변속기(50)가 과열된 상태임을 인지할 수가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주의 운전을 유도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50)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초기 대응을 빠르게 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0)

  1.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roll-back)되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이면,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2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2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 제 3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하고,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4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3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3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 제 5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6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롤백되는 상태이면,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서 현재 롤백 상태에 필요한 제 4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4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 제 7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하고,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4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8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온도값을 더 입력받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입력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온도값이 설정된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인지를 더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온도값이 상기 목표 온도값을 초과한 상태이면,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5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9 제어 명령을 더 전달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현재 주행 정보와 현재 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1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1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 제 1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2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9. 감지 장치에서 감지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현재 클러치 연결 정보와 현재 클러치 연결 해제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출발과 정차를 반복하는 상태이면, 자동 제동 장치에서 정차에 필요한 제 3 목표 압력값에 대응하는 제 3 목표 제동력값으로 정차하도록 상기 자동 제동 장치에 제 5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자동 제동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제 3 제동 제어 수행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클러치 연결을 해제하도록 상기 변속기 제어 장치에 제 6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0. 삭제
KR1020180001565A 2018-01-05 2018-01-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079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65A KR102079948B1 (ko) 2018-01-05 2018-01-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65A KR102079948B1 (ko) 2018-01-05 2018-01-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52A KR20190083752A (ko) 2019-07-15
KR102079948B1 true KR102079948B1 (ko) 2020-02-21

Family

ID=6725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65A KR102079948B1 (ko) 2018-01-05 2018-01-05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9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338A (ja) * 2004-06-16 2006-01-05 Hitachi Ltd 自動クラッチを備えた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車両
JP2010179872A (ja) 2009-02-09 2010-08-19 Mazda Motor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14069644A (ja) 2012-09-28 2014-04-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係合位置記憶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ブレーキシステム
JP5910733B2 (ja) 2012-04-09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97B1 (ko) 2015-11-30 2017-08-24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듀얼 클러치 변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338A (ja) * 2004-06-16 2006-01-05 Hitachi Ltd 自動クラッチを備えた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車両
JP2010179872A (ja) 2009-02-09 2010-08-19 Mazda Motor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5910733B2 (ja) 2012-04-09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JP2014069644A (ja) 2012-09-28 2014-04-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係合位置記憶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ブレー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52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672B1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555780B2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parking brake of vehicle having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2520005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4241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79948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US20190315321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2396540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69874A (ko) 강제 중립 원격시동 제어 방법 및 수동변속기 차량
KR101825791B1 (ko) 자동 비상등 제어 장치, 자동 전자 파킹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204083204U (zh) 用于避免离合器磨损的设备、机动车
KR102514989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6274B1 (ko) 전기 부스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349502B (zh) 机动车的驾驶员辅助装置以及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
KR2020001440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1958793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JP2008539117A (ja) 半クラッチ位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70101109A1 (en) Control method for driving of vehicle for fail-safe
KR102367777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10254884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0827B1 (ko) 압력 제어 장치 및 압력 제어 방법
KR20170114537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067829B2 (ja) 自動変速制御装置
KR20180051153A (ko) 자동 변속기 제어 방법
KR20160070330A (ko) 브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브레이크 제어 방법
KR20150117828A (ko)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