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932B1 -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932B1
KR101477932B1 KR20130146852A KR20130146852A KR101477932B1 KR 101477932 B1 KR101477932 B1 KR 101477932B1 KR 20130146852 A KR20130146852 A KR 20130146852A KR 20130146852 A KR20130146852 A KR 20130146852A KR 101477932 B1 KR101477932 B1 KR 10147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gear
manual
gear shift
shift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일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4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8Selector apparatus with means for suppression of vibrations or reduction of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차량의 시동이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를 통해 운전자로 전해지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해 매스 댐퍼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에 구비하였으나, 매스 댐퍼만으로 진동을 저감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중 다이렉트 타입(direct type) 또는 세미 리모트 타입(semi remote)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단은 자동차의 트랜스미션과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단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이 일정간격만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 하부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120)가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120) 상부에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유동부(320)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부츠링(300);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 상단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이 하부에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의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상부 유동부(320)가 탄발스프링(200)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유동부(420)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400);와 하단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 둘레의 콘솔판넬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은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Manual gear lever shaf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중 다이렉트 타입(direct type) 또는 세미 리모트 타입(semi remote)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를 감싸는 수동기어 부츠를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형성하되 수동기어 부츠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하부에는 탄발스프링을 구비하여, 차량의 시동이나 주행 중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R(Front Engine / Rear Drive) 타입의 차량은 파워 트레인(Power Train)의 진동이 TGS(Transmission Gear Shift) 레버를 통해서 운전자에게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감이 증가되며 감성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TGS 레버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매스 댐퍼(Mass Damper)가 적용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작동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즉, 운전자가 수동기어 차량의 기어 포지션을 변경하기 위해서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40)를 조작하면,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40)와 트랜스미션(50)을 연결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가 트랜스미션(50)을 조작해 차량의 기어 포지션을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12)가 트랜스미션(50)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현상을 저감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에 매스 댐퍼를 설치할 경우,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에 매스 댐퍼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차량의 설계단계에서 진동을 저감시킬 만큼의 매스 댐퍼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매스 댐퍼만으로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시동이나 주행중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를 감싸는 수동기어 부츠를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형성하되 수동기어 부츠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하부에는 탄발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에 매스 댐퍼를 설치할 경우,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에 매스 댐퍼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차량의 설계단계에서 진동을 저감시킬 만큼의 매스 댐퍼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매스 댐퍼만으로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중 다이렉트 타입(direct type) 또는 세미 리모트 타입(semi remote)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단은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와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단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이 일정간격만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 하부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드 댐퍼가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 상부에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유동부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부츠링;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 상단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이 하부에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의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링의 상부 유동부가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유동부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와 하단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둘레의 콘솔판넬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은 수동기어 부츠링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 상부에 구비는 수동기어 부츠링을 일정무게를 가지는 수동기어 부츠링 매스 댐퍼로 형성하여,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며,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둘레의 콘솔판넬과 수동기어 부츠링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를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형성하여,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탄발스프링에 의해 저감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중 다이렉트 타입(direct type) 또는 세미 리모트 타입(semi remote)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를 감싸는 수동기어 부츠를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형성하되 수동기어 부츠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하부에는 탄발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이나 주행중 트랜스 미션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탄발스프링으로 차량의 시동이나 주행중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켜줌으로써, 운전자의 감성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작동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중 다이렉트 타입(direct type) 또는 세미 리모트 타입(semi remote)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단은 자동차의 트랜스미션과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단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이 일정간격만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 하부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120)가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120) 상부에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유동부(320)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부츠링(300);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 상단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이 하부에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의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상부 유동부(320)가 탄발스프링(200)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유동부(420)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하단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 둘레의 콘솔판넬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은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500);로 이루어지며,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 상부에 구비는 수동기어 부츠링(300)을 일정무게를 가지는 수동기어 부츠링 매스 댐퍼로 형성하여,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 둘레의 콘솔판넬과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500)를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형성하여,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탄발스프링(200)에 의해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탄발스프링(200)과 수동기어 부츠링(300)을 차례로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동기어 부츠링(300)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유동부(32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 상단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이 하부에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의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상부 유동부(320)가 탄발스프링(200)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유동부(420)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400)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봉(110)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단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 둘레의 콘솔판넬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은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50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 둘레의 콘솔판넬과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500)를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형성함으로써,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탄발스프링(200)에 의해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기어를 변속하기 위해서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400)를 조작하면, 탄발스프링(200)이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과 콘솔판넬 사이에서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결합되어있기 때문에 탄발스프링(200)이 수축되면서 수동기어 부츠(500)의 형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 상부에 구비는 수동기어 부츠링(300)을 일정무게를 가지는 수동기어 부츠링 매스 댐퍼로 형성함으로써,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수동기어 부츠링(300)을 매스 댐퍼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차량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100 :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110 :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
120 :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 200 : 탄발스프링
300 : 수동기어 부츠링 310 :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
320 : 상부 유동부 400 :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410 :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 420 : 수동기어 부츠링 유동부
500 : 수동기어 부츠

Claims (3)

  1. 자동차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중 다이렉트 타입(direct type) 또는 세미 리모트 타입(semi remote)에 사용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단은 자동차의 트랜스미션과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단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이 일정간격만큼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 하부에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120)가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매스 댐퍼(120) 상부에 구비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유동부(320)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부츠링(300);과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 상단이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이 하부에 형성되고,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 결합공(410)의 둘레에는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상부 유동부(320)가 탄발스프링(200)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링 유동부(420)가 형성되는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400);와
    하단은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 둘레의 콘솔판넬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은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의 수동기어 쉬프트 노브 결합봉(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탄발스프링(200) 상부에 구비는 수동기어 부츠링(300)을 일정무게를 가지는 수동기어 부츠링 매스 댐퍼로 형성하여,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100) 둘레의 콘솔판넬과 수동기어 부츠링(300)의 수동기어 부츠 결합홈(310)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수동기어 부츠(500)를 유격이 없도록 팽팽하게 형성하여,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을 탄발스프링(200)에 의해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KR20130146852A 2013-11-29 2013-11-29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KR10147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852A KR101477932B1 (ko) 2013-11-29 2013-11-29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6852A KR101477932B1 (ko) 2013-11-29 2013-11-29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932B1 true KR101477932B1 (ko) 2015-01-06

Family

ID=5258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6852A KR101477932B1 (ko) 2013-11-29 2013-11-29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9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109A (ja) 1998-07-01 2000-01-1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変速機用操作レバー装置
JP2001055056A (ja) 1999-08-17 2001-02-27 Suzuki Motor Corp シフトレバーのブーツ取付構造
KR20030088197A (ko) * 2002-05-13 2003-11-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 부츠 고정 장치
KR20070065019A (ko) * 2005-12-19 200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109A (ja) 1998-07-01 2000-01-18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変速機用操作レバー装置
JP2001055056A (ja) 1999-08-17 2001-02-27 Suzuki Motor Corp シフトレバーのブーツ取付構造
KR20030088197A (ko) * 2002-05-13 2003-11-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 부츠 고정 장치
KR20070065019A (ko) * 2005-12-19 200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568B1 (ko) 엔진마운트 구조
CN106741140A (zh) 一种电动助力驱动单元的减震降噪结构
KR101477932B1 (ko) 자동차용 수동기어 쉬프트 레버의 진동 저감장치
KR10146877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로워 샤프트의 소음 및 진동 차단구조
KR101818344B1 (ko) 차량의 트랜스미션 케이블을 위한 그로멧 어셈블리
CN102207192B (zh) 一种汽车变速器换档减振减噪结构
KR101327061B1 (ko) 변속기어 시프트 레버 케이블 고정장치
KR100836100B1 (ko) 쉬프트 케이블 매스댐퍼
KR100412376B1 (ko) 수동 변속기용 동기장치
KR101157452B1 (ko)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KR101196341B1 (ko) 앤드 아이 어셈블리의 특성곡선을 만족하는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변속기용 앤드 아이 어셈블리
KR20060116466A (ko) 드라이브 플레이트 체결장치
KR100466118B1 (ko) 차량용 변속레버
KR100834230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오일실 일체형 슬리브 가이드 장치
KR200449808Y1 (ko) 자동차용 케이블 연결장치
KR102375152B1 (ko) 변속레버 조립체
KR101734825B1 (ko) 차량용 파킹장치
KR100901342B1 (ko) 차량의 리어 디퍼렌셜 마운팅 장치
KR101679878B1 (ko) 케이블 구조
KR101526698B1 (ko) 진동저감을 위한 변속 케이블
KR100395063B1 (ko) 차량의 수동변속기
KR101637561B1 (ko) 그로멧 일체형 크래쉬패드
KR101304655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진동 완충구조
KR102086173B1 (ko) 스로틀 개도량 제어용 기계식 클러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로틀 개도량 제어방법
KR101123779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와 변속레버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