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841B1 -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841B1
KR101475841B1 KR1020110024510A KR20110024510A KR101475841B1 KR 101475841 B1 KR101475841 B1 KR 101475841B1 KR 1020110024510 A KR1020110024510 A KR 1020110024510A KR 20110024510 A KR20110024510 A KR 20110024510A KR 101475841 B1 KR101475841 B1 KR 10147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layer
metal deposition
deposi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413A (ko
Inventor
김동진
김시민
김윤조
권일천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841B1/ko
Priority to PCT/KR2012/001940 priority patent/WO2012128517A2/ko
Priority to US14/005,744 priority patent/US9418577B2/en
Priority to JP2014500987A priority patent/JP5872020B2/ja
Priority to EP12760541.8A priority patent/EP2687369B1/en
Priority to CN201280024003.8A priority patent/CN103534087B/zh
Publication of KR2012010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2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 B65D23/14Means for the attachment of smaller articles of tags, labels, cards, coupons, decorati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축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층을 포함하는 증착필름과 이를 유리 병에 부착되는 종이재의 라벨을 대체할 수 있는 필름재의 라벨로 적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 기재의 양면에 금속증착층을 포함하며 특정의 휨특성치를 만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라벨이 부착된 병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Polyester-based metallized film}
본 발명은 열수축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층을 포함하는 증착필름과 이를 유리 병에 부착되는 종이재의 라벨을 대체할 수 있는 필름재의 라벨로 적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환경적 요구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PET 병이나 유리 병은 수거하여 다시 사용해오고 있다. 재활용시 PET 병이나 유리 병 본체 이외에, 제품명, 성분명 및 기타 문양 등이 인쇄되어 부착된 라벨은 분리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어온 종이 재질의 라벨의 경우 공업용수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수거해온 PET 병이나 유리 병을 가성소다를 함유하는 80℃ 정도의 공업용수에 담가 라벨을 떼어낸다. 이로 인해 공병을 재활용하는데 있어서 환경폐수가 발생되며, 이에 환경적 규제가 본격화되고 있다.
따라서 종이 라벨이 아닌 필름 재질의 라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라벨로서 활용할 수 있는 필름의 일예로는 폴리염화비닐계 필름을 들 수 있으나, 이는 소각시에 다이옥신을 발생하는 등 환경적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따라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필름이 종이 재질의 라벨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필름을 라벨로 적용하는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스티커 형태 또는 종래의 종이 라벨처럼 필름에 인쇄를 행하고 이를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이는 방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종이 라벨처럼 라벨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흡착 방식으로 라벨러에 장착되어 있는 라벨들을 한 장씩 분리, 이송한 후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라벨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에 라벨을 접착시키는 방법이 통상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인쇄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성 필름 라벨의 경우 라벨 자체의 말림 현상이 심해 종래의 종이 라벨을 부착하던 공정을 용이하게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맥주 병 등과 같이 자외선 차단 등을 위한 목적으로 착색된 유리병에서는 일반적인 라벨로는 그 인쇄효과가 미비하고, 더욱이 라벨이 필름 재질인 경우 라벨을 이용한 광고효과의 부각에 있어서 부족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수축성을 유지하면서 라벨 용도로 적용시 선명한 증착색을 구현할 수 있고 광고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온라인 접착공정에서의 공정용이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이 부착되어, 광고효과를 배가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할 때 열수만을 사용하여 라벨을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폐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인 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재질의 라벨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라벨지의 이송과 라벨에의 접착제 도포가 하나의 공정상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라벨이 부착된 병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 및 기재의 양면에, 금속증착층을 포함하고, 상세한 설명에 정의된 바와 같은 휨특성치가 5mm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기재의 일면 상의, 광학밀도 1.0 내지 3.0 되는 두께의 표면 금속증착층; 및 기재의 다른 일면 상의, 광학밀도 0.2 내지 0.8 되는 두께의 후면 금속증착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휨특성치가 5m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기재 일면 금속증착층 상의,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면 금속증착층과 인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호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공중합체, 스티렌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알킬아크릴레이트,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에폭시화 대두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우지계 올레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폴리올레핀계 공중합물, 우레탄 및 비닐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에 있어서, 후면 금속증착층의 표면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형성된 요철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에 있어서, 후면 금속증착층의 표면은 백색 안료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과 같은 디올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수득되는 코폴리에스테르 중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에 있어서, 코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체 중 테레프탈산 단위체가 80몰% 이상 포함되고, 디올 단위체 중 에틸렌 글리콜 이외의 단위체가 12 내지 24 몰%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는 일축배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또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90℃의 온수 중에서 10초간에 걸쳐서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최대수축방향에 대한 수축율이 40 내지 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최대수축방향의 수축개시온도가 68 내지 94℃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최대수축방향의 최대수축발현온도가 80 내지 110℃이고, 최대수축응력이 0.60 내지 1.80kg/㎟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전광선투과율이 0.01 내지 5.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는 헤이즈가 0.3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일 구현예들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이 부착된 병을 제공한다.
이러한 라벨이 부착된 병은 열수 중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일 구현예들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의 코팅층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 및 접착제가 도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증착필름을 용기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라벨이 부착된 병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수축성을 유지하면서, 선명한 증착색을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광고효과를 배가할 수 있고, 적정의 불투명도를 가져 최종 완제품인 인쇄라벨이 유색병에 적용되 되더라도 병의 색깔이 투영되지 않아 인쇄효과가 우수하며, 인쇄문양의 시인성이 상승하여 광고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기존의 종이 라벨을 대체하는 용도로 적용시에 라벨지의 이송과 병에의 접착제 도포가 하나의 공정 라인 상에서 수행될 수 있어 기존의 종이 라벨 라인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할 때 열수만을 사용하여 라벨을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폐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환경 친화적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열응력측정기를 이용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최대수축방향의 수축응력값의 변화를 관찰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 기재의 양면에, 금속증착층을 포함하고 하기에서 상술하는 휨특성치가 5mm 이하인 것이다.
여기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라는 용어는 필름을 이루는 주요한 매트릭스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며, 저온 일축 혹은 이축 연신을 통하여 극대의 일축 혹은 이축 배향을 이루고 또한 열처리를 통한 잔류응력의 해소부분을 배제하여 배향된 분자쇄가 그대로 그 잔류응력을 머금고 있다가 최종 수축공정에서 그 잔류 응력의 힘으로 수축이 이루어지는 원리로 제조된 필름 기재, 즉 일축배향의 수축필름 뿐 아니라 양방향 수축필름을 모두 일컫는다.
이러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는 그 조성에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그 일예로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공지의 디카르복실산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등과 같은 공지의 디올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수득되는 코폴리에스테르 중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호모폴리에스테르와 코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 자체는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디카르복실산에 대하여 디올을 직접 반응시키는 직접 에스테르화법, 디카르복실산의 디메틸에스테르에 디올을 작용시키는 에스테르교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코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단위체가 디카르복실산 단위체의 80몰% 이상을 구성하고, 디올 단위체중 에틸렌 글리콜 이외의 단위체가 12 내지 24 몰% 이상을 구성하는 코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 중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 이외의 단위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의 결정성을 저하시킴으로 인해 수축율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해당 단위체의 비율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것이 필름 제조공정시 건조공정 제어, 필름가공성, 용융특성 및 물성을 제어하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자체는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디카르복실산에 대하여 디올을 직접 반응시키는 직접 에스테르화법, 디카르복실산의 디메틸에스테르디올을 작용시키는 에스테르교환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코폴리에스테르의 융점(Melting Point; ℃)은 190~220℃이고, 고유점도는 0.60~0.75 dl/g이다. 이때 융점(Melting Point; ℃)은 중합체 제조에 사용된 단량체의 조성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고유점도는 중합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조절을 통해 융점(Melting Point; ℃)과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코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호모폴리에스테르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대신에, 또는 함께 폴리트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미끄럼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실리카분말, 탄산칼슘 등의 활제를 첨가하여도 좋고, 필요에 따라 대전방지제, 노화방지제, 자외선방지제, 안료와 같은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한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는 제막 공정이나 후가공 공정에 있어서 생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긴 필름을 고속으로 주행시키거나 고속으로 권취하여 필름 롤로 만들어질 것을 요구하고 있는 바, 표층에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인라인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라인 코팅층'이라 함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압출하여 제막하는 공정 중 어느 한 공정 내에서 코팅 공정이 이루어져 형성된 층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필름의 표층에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인라인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완화시켜 줌으로써 필름 롤을 권취하는 공정 중에 필름이 서로 달라 붙는 현상을 제거하여 주어 결과적으로 필름 롤을 권취하는 공정에서 유입된 공기를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인쇄공정시 인쇄롤과 필름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한 인쇄불량을 방지하고, 후가공 공정시 정전기에 의해 필름이 달라 붙는 현상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피딩성(Feeding)불량을 제어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각별히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예로 4급 암모늄 화합물, RSO3Na로 대별되는 알킬 술포네이트 화합물, ROSO3Na로 대별되는 알킬 설페이트 화합물, 알킬 포스페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함량은 인라인 코팅층 형성용 조액 중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5중량%인 것이 인쇄공정, 튜빙공정 및 열수축공정시 마찰에 의한 발생되는 이물의 발생량을 최소화하여 공정성 및 대전방지성능이 우수한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인라인 코팅층 중에는 결속력을 고려하고 접착력을 고려하여 바인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이때 바인더 수지는 각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빙공정시 용매에 의한 용해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고려될 수 있는 바인더 수지의 일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폴리에스테르 공중합물,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는 금속증착층 형성시 선명한 증착색을 구현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기로는 헤이즈가 0.3 내지 10.0%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의 두께는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통상 35 내지 65um,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60㎛인 것이 강성을 만족하고 증착 및 인쇄가 완료가 최종 완제품을 병에 부착 시 라벨의 피딩(Feeding) 안정성 및 병에 대한 라벨의 부착 균일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일축배향 열수축 필름 뿐만 아니라 양방향 수축필름도 포함하며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라벨로 제조하여 병 등에 부착한 후 떼어내는 공정에서 말림 현상을 보다 줄일 수 있는 측면에서는 양방향 수축필름인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상기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 상의, 금속증착층을 포함한다. 다만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의 양면에 금속증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증착필름에서 표면상에 위치하는 금속증착층은 인쇄층 형성시 그 광고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기능을 하기 위한 층이며, 나머지 다른 하나의 금속증착층은 증착필름의 휨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기재의 양면에 금속증착층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휨특성치가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후면층이 백색 안료 코팅층과 같은 용매를 포함하는 코팅층인 경우라면 이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휨특성치가 5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휨특성치:
제반의 가공을 완료한 열수축 폴리에스테르 증착필름에 대해 이를 편평한 유리판위에 놓고, 증착필름 상에 자를 대고 칼을 이용하여 손상없이 필름을 가로 방향으로 20cm만큼 잘라 제1 절개선을 형성하고, 제1 절개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자를 이용하여 칼로 손상없이 필름을 세로 방향(제1 절개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20cm 만큼 되도록 잘라 제2 절개선을 형성하여,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거리가 각각 10cm 되는 4개의 절개선을 형성하였다. 내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전개된 4개의 절개선을 갖는 증착필름에 대하여, 절개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증착필름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서 절개 상태를 확인한다. 이를 다시 편평한 유리판 위에 올려 놓고, 절개선의 교차점 부위에 해당되는 네 개의 모서리에 대하여 모서리 부분이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융기하여 휘어져 올라오는 수직 높이를 측정한다. 이때 증착층을 상면을 하는 경우와 증착층을 하면으로 하는 두 가지 경우를 각각 측정하여 최고 높이를 나타내는 값을 "휨특성치"라 명명한다. 휨특성치에 있어서 음의 값은 휘어져 올라오는 수직 높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수직 높이로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휨특성치가 5mm 이하인 경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증착필름을 라벨로 적용시 접착공정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휨특성치가 2mm를 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휨특성치를 만족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는 양면의 금속증착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일예로 기재의 일면 상에 광학밀도 1.0 내지 3.0되는 두께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는바, 이는 표면에 위치되는 금속증착층으로 이하에서는 "표면 금속증착층"이라 칭한다. 표면 금속증착층의 막두께는 20 내지 90nm,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70nm인 것이 증착공정 안정성 및 차폐효과 구현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기재의 나머지 일면 상에는 광학밀도 0.2 내지 0.8되는 두께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는바, 이는 기재의 후면에 위치되는 금속증착층으로 이하에서는 "후면 금속증착층"이라 칭한다. 후면 금속증착층의 막두께는 5내지 25nm,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nm인 것이 라벨의 평탄성을 유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표면 금속증착층 내지 후면 금속증착층에 사용할 수 있는 금속의 일예로는 Al, Zn, Mg, Sn, Ti, In, Cr, Ni, Cu, Pb, Fe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Al, Zn, Mg이며, 특히 Al이 생산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금속증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도금법 등의 물리적 증착법 또는 CVD 등의 화학증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표면 금속증착층 상에,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은 문자나 도형이 인쇄되어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관한 사항, 광고 및 경고 문구 등이 인쇄되어 제품을 홍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쇄층 형성의 방법으로서는 공지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 등을 들 수 있다. 인쇄층은 두께가 0.3 내지 20u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um인 것이 인쇄층으로 충분하고 또한 인쇄층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표면 금속증착층과 인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표면 금속증착층과 인쇄층 사이의 밀착강도를 높여줄 수 있어 인쇄층에 대한 내스크래치 특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병에서 라벨을 제거하는 세병공정에서 인쇄층의 박리에 의한 오염발생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은 인쇄층을 고려하여 적의 선택될 수 있으며 그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그 외에도 밀착강도를 얻기 위해 금속 증착층 형성 전에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의 표면에 코로나처리, 화염처리, 플라즈마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조면화 처리 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인쇄층 상에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뿐만 아니라 금속증착층의 내후성 내지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보호층은 그 조성에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 보호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공중합체, 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알킬아크릴레이트,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에폭시화 대두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우지계 올레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폴리올레핀계 공중합물 및 우레탄 및 비닐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층일 수 있다.
보호층은 그 두께가 0.1 내지 5.0㎛, 바람직하기로는 0.3 내지 1.0㎛인 것이 보호층의 코팅안정성 및 건조공정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라벨 용도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라벨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용기에 접착하게 되는데 접착 공정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라벨이 평탄해야하고 접착한 후 접착제 건조가 용이해야 하며 적정의 은폐성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증착필름의 후면 금속증착층의 표면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요철층을 형성하거나 후면 금속증착층의 표면에 백색 안료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 금속증착층은 실질적으로 라벨로 적용시 병에 접착되는 부위인바, 후면 금속증착층의 표면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경우, 증착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병에 증착필름을 접착시킨 다음 건조시키면 요철층에 형성된 공기층으로 인해 건조 효율이 향상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후면 금속증착층에 백색 안료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은폐성을 더 부여할 수 있다. 백색 안료 코팅층은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며, 아크릴계, 폴리우레탄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비닐계와 같은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아세테이트계 및 염소계 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 및 백색안료와 침전방지제, 증점제, 색분리방지제 및 안료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으로부터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으로 기재 필름의 나머지 일면에 백색 안료 코팅층을 형성하면 적정의 은폐성을 나타내면서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의 휨 현상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백색 안료 코팅층은 그 두께가 0.1 내지 5.0um, 바람직하게로는 0.4 내지 2.0um인 것이 코팅층의 코팅 안정성, 건조공정 안정성 및 용매에 의한 라벨의 휨현상 방지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들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90℃의 온수 중에서 10초간에 걸쳐서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최대수축방향에 대한 수축율이 40 내지 80%인 것이다.
이와 같은 열수 수축율 범위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열수축성 필름을 병 등에 라벨로 부착시킨 후 공병을 회수하여 재활용시에 열수를 이용하여 라벨을 박리시키는 공정에서도 박리를 용이하게 하면서 공병 내부로 박리된 수축필름이 말려들어간 다음 용이하게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90℃의 온수 중에서 10초간에 걸쳐서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최대수축방향에 대한 수축율이 40% 미만이면 수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수축할 때 발생하는 수축 응력이 약해져 용기에서 라벨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어 이를 라벨로 적용시에 병의 재사용을 위한 라벨의 제거에 있어서 박리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박리되지 않은 라벨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반면에 최대수축방향에 대한 수축율이 80% 초과하면 기재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수축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폭방향의 연신비를 상향시켜야 함에 따라 파단 발생이 빈번해져 기재 필름 제막 수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경제성을 유지하기 매우 어려우며 기재 필름의 지나치게 높은 수축속도로 인해 필름의 말림현상이 심하여 세병공정 중에 병에서 분리된 라벨을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라벨이 공병안으로 들어가 빠져나오기 어려워 분리 제거 공정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최대수축방향의 수축개시온도가 68 내지 94℃인 것이 라벨로 적용시에 병의 재사용을 위한 라벨의 제거에 있어서 빠른 시간 내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수축개시온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것일 수 있다.
수축개시온도: 상온 및 일정 초기 하중 하에서 필름을 고정한 후 일정한 승온속도로 열을 가하면서 필름을 수축시킬 때의 응력을 측정하여 온도에 따른 수축응력에 대해 그래프화하였을 때 초기 하중과 동일한 값의 수축응력을 나타내는 최초의 온도.
이와 같은 그래프를 구현할 수 있는 측정기기의 일예로는 열수축응력시험기(Thermal Stress Tester)를 들 수 있다.
일예로, 열수축응력시험기에서 증착필름이 갖는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정의 하중으로 필름을 고정시킨 다음, 일정 승온속도로 열을 가하면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에 의한 응력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측정 그래프의 일예를 도 1로 도시하였는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래프 상의 최초 시점은 초기에 설정된 하중값(Ls)이고, 승온하면 초기에는 필름이 연화되어 응력값이 초기 하중(Ls)에 비하여 감소되다가 일정 온도에 이르면 필름이 팽팽해지면서 수축이 시작된다. 이때는 초기 하중(Ls)과 같은 값의 수축응력값이 관찰되는데, 이 시점을 수축개시온도(Ts)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이와 같은 최대수축방향의 수축개시온도가 68 내지 94℃인 것이다. 상기 수축개시온도가 68℃보다 낮으면 하절기의 경우 완제품을 유통 및 보관하는 과정중에 라벨이 병에서 일부 탈리되어 완제품의 미관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수축개시온도가 94℃보다 높으면 열수에 의한 라벨 제거 공정에서 고온 장시간의 처리가 필요하므로 공정비용이 높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최대수축방향의 최대수축 발현온도가 80 내지 110℃ 범위 내에서 관찰되는바, 여기서 최대수축 발현온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온 및 일정 초기 하중 하에서 필름을 고정한 후 일정한 승온속도로 열을 가하면서 필름을 수축시킬 때의 응력을 측정하여 온도에 따른 수축응력에 대해 그래프화하였을 때 최대의 수축응력값을 나타내는 최초의 온도.
또한 이때의 수축응력값을 최대수축응력으로 정의하며 그 값은 0.60 내지 1.80kg/㎟일 수 있다.
이를 도 1로 도시한 열수축응력시험기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응력값의 변화 그래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축성 필름의 수축이 개시되기 시작하면 일정 온도까지는 수축응력이 상승하는 곡선을 그리며, 최대의 수축응력값(Smax)을 나타내는 온도(T(Smax)) 이후로는 그 값이 하향 곡선을 그리게 된다.
여기서 최대수축응력값(Smax)이 발현되는 온도(T(Smax)) 가 높으면 라벨을 제거하기 위한 열수 처리에 있어서 고온 혹은 장시간의 열처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최대수축방향의 최대수축응력 발현온도가 80 내지 110℃로 낮은 것이 유리하고, 용기에 대한 라벨의 박리력 측면에서 최대수축응력은 0.60 내지 1.80kg/㎟인 것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용기 내부의 물질을 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기로는 전광선투과율이 0.01 내지 3.0%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들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각별히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그 일예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일면 및 나머지 일면에 알루미늄 등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금속증착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금속증착층 상에 인쇄층을 형성하는데, 일예로 그라비아 방식의 인쇄기에서 5도로 인쇄를 행하여 인쇄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인쇄층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고, 인쇄층이 금속증착층에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추가적으로 인쇄층 위에 일예로 그라비아 방식의 인쇄기를 이용하여 상술한 보호층 형성용 조성을 코팅하거나 금속증착층에 보호층을 형성시킨 후, 인쇄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의 다른 일면에, 상기 기술한 코팅층용 조액을 적용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열수축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에 금속 증착을 하는 데 있어서 통상 증착 온도는 금속이 기화될 수 있는 1200℃ 이상에서 실시하며 증착이 이루어지는 쳄버는 10-2torr 이상의 진공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증착방법으로는 통상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도가니 방식, 보트방식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장치로는 통상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들에 의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은 종이라벨을 대체하는 라벨로 유용한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이 부착된 병을 제공한다.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을 유리 병 등에 부착하는 방법은 종래의 종이재 라벨을 부착해오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접착제로서 필름 재질을 고려하고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수용성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고, 낱장 라벨 형태로 이송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라벨의 백색 안료 코팅면에 이와 같은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에 부착하면 낱장 라벨 형태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이 부착된 병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라벨이 부착된 병을 회수하여 재생하는 데 있어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의 제거는 병을 열수 중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되며, 이때 열수의 온도는 70 내지 90℃ 정도이면 충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평가법은 하기와 같다.
(1) 열수축율
필름기재 및 증착필름에 대해 최대수축방향(TD; 폭방향)과 이에 대한 직각방향(MD; 길이방향)에 대해 15mm(MD)× 400mm(TD)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TD 방향 양 끝단 50mm지점에서 MD 방향으로 실선을 그어 유효측정길이가 300mm인 시편을 제작한 후, 핀셋 등을 이용하여 좌우 구분없이 시료의 한쪽 끝단에서 50mm이내의 지점을 잡아 전체 시료를 90℃± 0.5℃의 온수 중에 무하중 상태로 하여 완전히 담근 상태에서 10초간 열수축시킨 후, 상온에서 1분간 방치한 후, 초기의 실선으로 표시된 TD방향의 300mm 간격의 줄어든 길이를 측정하여 필름 최대수축방향(TD; 폭방향)의 열수축율을 하기 식 1에 따라 구하였다.
<식 1>
Figure 112011020138347-pat00001

(2) 두께 측정
필름 시편을 액체질소에 담가 급냉시킨 직후, 액체질소 내에서 필름 시편을 부러뜨려 이의 단면을 SEM(Jeol社, 6700F)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서는 배율을 조정하여 스케일 바를 이용하여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필름기재 및 증착필름의 두께는 두께측정기를 이용하여 전체 폭에 대해 5cm간격으로 두께를 측정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값의 평균치를 구하여 두께를 산출하였다.
(3) 헤이즈
측정방법은 ASTM D-1003 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변부 2개소, 중심부 1개소에서 무작위로 7 개 부분을 추출한 후 각 5cm× 5cm 크기로 절편하여 헤이즈 측정기(니혼덴쇼쿠 NDH 5000)에 넣고 측정방법을 ASTM으로 설정한 후, 빛을 투과시켜 헤이즈(Haze; %)를 측정하여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5개 값에 대한 평균치를 구하여 헤이즈를 산출하였다.
(4) 전광선투과율
측정방법은 ASTM D-1003 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으며, 폴리에스테르 증착필름을 변부 2개소, 중심부 1개소에서 무작위로 7 개 부분을 추출한 후 각 5cm× 5cm 크기로 절편하여 헤이즈 측정기(니혼덴쇼쿠 NDH 5000)에 넣고 측정방법을 ASTM으로 설정한 후, 금속증착층이 있는 방향으로 빛을 입사시키고 후면층으로 빛을 투과시키도록 시료를 장착시켜 전광선 투과율 (Total Transmittance; %)를 측정하여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5개 값에 대한 평균치를 구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산출하였다.
(5) 수축개시온도, 최대수축발현온도, 최대수축응력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의 최대수축방향의 수축개시온도, 최대수축발현온도 및 최대수축응력 분석에 적용된 원리와 이로부터 도출되는 수축개시온도, 최대수축발현온도 및 최대수축응력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원리
고분자쇄는 연신공정을 거치면서 배향 및 결정화가 일어나며, 결정영역(Crystalline Region)과 비정영역(Amorphous Region)으로 대별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연신된 고분자에 열을 가하면 고분자쇄에 잔존하는 응력의 이완현상이 나타나며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수축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수축을 방해하는 힘을 수축응력이라 하고, 수축응력이 높을수록 동일한 조건하에서 온도에 따른 수축력은 높게 된다.
상온 및 일정 초기 하중 하에서 필름을 고정한 후 일정한 승온속도로 열을 가하면 온도 변화에 따른 시료의 팽창과 수축에 의한 응력변화(Stress changes)를 변위측정자기센서(LVDT;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에 의해 도출된다. 상기의 원리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필름이 갖는 수축응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승온속도는 고분자쇄의 잔존응력 이완 속도에 의존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2.5℃/sec의 승온속도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응력값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그래프는 도 1로 도시한 것과 같은 패턴을 보이며, 초기 하중값(Ls)과 같은 수축응력값이 최초로 관찰되는 시점의 온도를 수축개시온도(Ts), 그래프의 피크에 해당하는 값이 나타날 때의 온도를 최대수축발현 온도(T(Smax)), 그리고 이때의 응력값을 최대수축응력(Smax)으로 정의한다. 이상과 같은 원리를 구현하는 기기의 일예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열수축응력시험기(Thermal Stress
Tester, KE-2, Kanebo Eng.社)를 사용하였다.
열수축응력시험기(Thermal Stress Tester, KE-2, Kanebo Eng.社)를 이용하여 폭 4mm(MD방향), 길이 50mm(TD방향)인 필름 시편을 초기 하중 0.125kg/㎟으로 고정한 후, 승온속도 2.5℃/sec로 승온하면서 온도에 따른 수축응력을 측정하여 그래프를 얻었다.
이 그래프에 있어서 초기 하중 0.125kg/㎟과 동일한 수축응력값이 최초로 나오는 시점에서의 온도를 수축개시온도(Ts)로, 그리고 최대 수축응력값이 최초로 나오는 시점에서의 온도를 최대수축발현 온도(T(Smax)), 그리고 이때의 응력값을 최대수축응력(Smax)으로 정의하였다.
(6) 휨특성치
제반의 가공을 완료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에 대해 이를 굴절율 1.567을 갖는 연마된 유리판 위에 놓고, 증착필름 상에 자를 대고 칼을 이용하여 손상없이 필름을 가로 방향으로 20cm만큼 잘라 제1 절개선을 형성하고, 제1 절개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자를 이용하여 칼로 손상없이 필름을 세로 방향(제1 절개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20cm 만큼 되도록 잘라 제2 절개선을 형성하여,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거리가 각각 10cm 되는 4개의 절개선을 형성하였다. 내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전개된 4개의 절개선을 갖는 증착필름에 대하여, 절개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증착필름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서 절개 상태를 확인한다. 이를 다시 편평한 유리판 위에 올려 놓고, 절개선의 교차점 부위에 해당되는 네 개의 모서리에 대하여 모서리 부분이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융기하여 휘어져 올라오는 수직 높이를 측정한다. 이때 증착층을 상면을 하는 경우와 증착층을 하면으로 하는 두 가지 경우를 각각 측정하여 최고 높이를 나타내는 값을 휨특성치라 명명한다. 휨특성치에 있어서 음의 값은 휘어져 올라오는 수직 높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의 수직 높이로 정의한다.
(8) 병제조 공정 중의 라벨 접착성 평가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라벨을 최대수축방향과 이에 대한 직각방향에 대해 80mm× 80mm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재단한 후, 그라비아 인쇄 방법을 이용하여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라텍스 45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40 중량부, 에틸렌-비닐 에멀젼 1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8 중량부, 살균제 0.1 중량부, 물 4.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용성 접착제를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라벨의 후면층에 두께 5㎛로 도포하고 라벨러(Labeler)를 이용하여 1,000개의 유리병(소주병)에 라벨링(Labeling)을 실시한다. 라벨링된 1,000개의 유리병을 상온에서 2일간 방치한 후, 라벨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모서리가 박리된 병의 개수를 측정하여 하기 식 2에 의한 접착불량률로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식 2>
Figure 112011020138347-pat00002
접착성(%) = 100 - 접착불량률(%)
(9) 병에 라벨로 접착 후 박리성 평가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라텍스 45 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40 중량부, 에틸렌-비닐 에멀젼 1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8 중량부, 살균제 0.1 중량부, 물 4.1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용성 접착제를 병에 두께 5μm로 도포한 후, 접착제가 도포된 유리병에 라벨의 인쇄층이 최표면에 위치하도록 라벨을 붙이고 고무롤러를 이용하여 라벨이 유리병에 단단히 붙도록 라벨 전체 면적에 대해 3Kg/cm2의 압력으로 10회 왕복하여 문질러 주고 상온에서 2일간 방치하여 접착제를 고화시켜 라벨을 유리병에 단단히 고정시켰다.
라벨 접착 불량분을 제외한 라벨 접착 정상 제품에 대하여 80℃ 온수에서 2분간 방치한 후, 유리병에서라벨이 완전히 박리되지 않은 병의 개수를 측정하여 하기 식 3에 의한 박리불량률을 구하여 박리성을 평가하였다.
<식 3>
Figure 112011020138347-pat00003
박리성(%) = 100 - 박리불량률(%)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염기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몰%, 글리콜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100몰%와 네오펜틸글리콜 24몰%를 사용하고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 0.05몰(산성분에 대하여)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중축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중합물에 평균입경이 2.7㎛인 이산화규소 분말 500ppm을 함유시켜 종래 방법으로 건조하여 고유점도가 0.71㎗/g이며, 융점이 203℃인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한편 테레프탈산 100몰%, 1,4-부탄디올 100몰%를 사용하여 촉매로서는 테트라 부틸티타네이트 0.015중량부를 투입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얻었다(고유점도 0.97㎗/g, 융점 220℃).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 90wt%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wt%를 블렌드 하여 270℃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속냉각시켰고, 고형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기계적 방향으로 이송되는 롤러를 거쳐 온도 85℃의 예열구간을 거쳐 72℃에서 폭에 대하여 4.2배 연신시킨 다음 상온의 열처리구간을 거쳐 두께가 50um인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두께가 50㎛이고, 상기한 방법으로 측정된 열수축율은 77.3%(TD 방향)이고, 헤이즈는 5.2%이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도가니 증발 방식의 증착기를 이용하여 순도 99.9%의 알루미늄을 증착기의 상부 진공도 1.08× 10-4mbar, 하부 진공도 2.18 × 10-2mbar, 도가니 온도 1400℃에서 증발시키고, 쿨링롤 온도 -16℃, 증착속도 400m/min로 하여 광학 밀도가 2.1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52nm)
그리고 기재 필름의 나머지 일면에 증착속도를 600m/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밀도가 0.5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후면 금속증착층이라 한다. 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15nm)
금속증착층 상에 아크릴수지(BPS-5698, 삼영도요) 10중량%, 케톤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MEK, 대신화공약품) 80중량% 및 황색안료(Yellow 10G, 현대케미칼), 적색안료(Red-FRN, 현대케미칼), 녹색안료(Green 735, 현대케미칼), 흑색안료(Black #30, 현대케미칼) 및 백색안료(R-100, 케이피아이) 중에 선택되는 각각의 착색제, 및 침전 방지제, 증점제, 색분리방지제, 안료분산제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5종의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5도로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였다(인쇄층 두께 2.0㎛).
인쇄층 상에 Alcohol(E'Vanol 70-75, Dupont), 폴리아미드(MO-5336, Motochem)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의 심도를 조절한 후 1도로 인쇄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보호층 두께 0.4㎛).
한편 아크릴수지(BPS-5698, 삼영도요) 10중량%, 케톤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MEK, 대신화공약품) 89중량%, 백색안료(R-100, 케이피아이) 및 침전방지제, 증점제, 색분리방지제, 안료분산제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조액을 적용하여 그라비아 롤의 심도를 조절한 후 2도로 인쇄하여 두께가 1.0㎛인 코팅층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기재필름 제조 시 2염기산성분으로써 테레프탈산 100몰%, 글리콜성분으로써 에틸렌글리콜 106몰%과 네오펜틸글리콜 함량을 18몰%를 사용하고 촉매로써 3산화안티몬 0.05몰(산성분에 대하여)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중축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중합물에 평균 입경이 2.7um인 이산화규소 분말 500ppm을 함유시켜 종래 방법으로 건조하여 고유점도가 0.63㎗/g이고 융점이 218℃인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 90wt%와 상기 실시예1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wt%를 블렌드하여 270℃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속냉각시켜 고형화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기계적 방향으로 이송되는 롤러를 거쳐 온도 92℃의 예열 구간을 거쳐 72℃에서 폭에 대하여 3.9배 연신시킨 다음 90℃의 열처리구간을 거쳐 두께가 60um인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기재필름 제조 시 2염기산성분으로써 테레프탈산 100몰%, 글리콜성분으로써 에틸렌글리콜 96몰%과 네오펜틸글리콜 함량을 28몰%를 사용하고 촉매로써 3산화안티몬 0.05몰(산성분에 대하여)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중축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중합물에 평균 입경이 2.7um인 이산화규소 분말 50ppm을 함유시켜 종래 방법으로 건조하여 고유점도가 0.73㎗/g이고 융점이 193℃인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 90wt%와 상기 실시예1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wt%를 블렌드하여 270℃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속냉각시켜 고형화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기계적 방향으로 이송되는 롤러를 거쳐 온도 82℃의 예열 구간을 거쳐 75℃에서 폭에 대하여 3.5배 연신시킨 다음 상온의 열처리구간을 거쳐 두께가 40um인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기재필름 제조 시 2염기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몰%, 글리콜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80몰%와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20몰%를 사용하고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 0.05몰(산성분에 대하여)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중축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중합물에 평균입경이 2.7㎛인 이산화규소 분말 500ppm을 함유하여 종래 방법으로 건조시켜 고유점도가 0.68㎗/g이며, 융점이 205℃인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를 270℃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속냉각시켰고, 고형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기계적 방향으로 이송되는 롤러를 거쳐 온도 85℃의 예열구간을 거쳐 72℃에서 폭에 대하여 4.2배 연신시킨 다음 상온의 열처리구간을 거쳐 두께 50㎛의 열수축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기재 상에, 도가니 증발 방식의 증착기를 이용하여 순도 99.9%의 알루미늄을 증착기의 상부 진공도 1.67× 10-4mbar, 하부 진공도 2.38 × 10-2mbar, 도가니 온도 1400℃에서 증발시키고, 쿨링롤 온도 -16℃, 증착속도 450m/min로 하여 광학 밀도가 2.0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44nm)
그리고 기재 필름의 나머지 일면에 증착속도를 550m/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밀도가 0.7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후면 금속증착층이라 한다. 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19nm)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44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9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기재 상에, 도가니 증발 방식의 증착기를 이용하여 순도 99.9%의 알루미늄을 증착기의 상부 진공도 1.74× 10-4mbar, 하부 진공도 2.22 × 10-2mbar, 도가니 온도 1400℃에서 증발시키고, 쿨링롤 온도 -20℃, 증착속도 330m/min로 하여 광학 밀도가 2.5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65nm)
그리고 기재 필름의 나머지 일면에 증착속도를 630m/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밀도가 0.4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후면 금속증착층이라 한다. 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10nm)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41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20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인쇄층을 형성하기 전에 금속증착층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시켜다.
구체적으로 금속증착층상에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실란커플링제를 메틸케톤(MEK)에 희석시켜 두께 0.4u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시켜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인쇄층을 형성하기 전에 금속증착층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시켜다.
구체적으로 금속증착층상에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우레탄과 비닐클로라이드의 혼합수지를 메틸케톤(MEK)에 희석시켜 두께 0.4um의 프라이머층을 형성시켜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금속증착층 상에 아크릴수지(BPS-5698, 삼영도요) 10중량%, 케톤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MEK, 대신화공약품) 80중량% 및 황색안료(Yellow 10G, 현대케미칼), 적색안료(Red-FRN, 현대케미칼), 녹색안료(Green 735, 현대케미칼), 흑색안료(Black #30, 현대케미칼) 및 백색안료(R-100, 케이피아이) 중에 선택되는 각각의 착색제, 및 침전 방지제, 증점제, 색분리방지제, 안료분산제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4종의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4도로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인쇄층 두께 1.2㎛)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1.2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금속증착층 상에 아크릴수지(BPS-5698, 삼영도요) 10중량%, 케톤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MEK, 대신화공약품) 80중량% 및 황색안료(Yellow 10G, 현대케미칼), 적색안료(Red-FRN, 현대케미칼), 녹색안료(Green 735, 현대케미칼), 흑색안료(Black #30, 현대케미칼) 및 백색안료(R-100, 케이피아이) 중에 선택되는 각각의 착색제, 및 침전 방지제, 증점제, 색분리방지제, 안료분산제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7종의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7도로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인쇄층 두께 7.0㎛)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7.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인쇄층 상에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보호층을 형성(보호층 두께 0.7um)시킨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8.0um, 보호층 두께 0.7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인쇄층 상에 폴리올레핀계 공중합물을 메틸에틸케톤(MEK)에 희석시켜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보호층을 형성(보호층 두께 0.6um)시킨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8.0um, 보호층 두께 0.6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 실시예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미연신 필름에 대하여 기계적 방향으로 이송되는 롤러군에 있어서 온도 65℃의 예열 구간을 거쳐 70℃온도에서 필름의 길이방향에 대해 1.7배 연신시킨 다음, 상온의 냉각롤을 거쳐 냉각시킨 후, 연속하여 텐터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폭방향으로 연신을 행하여 필름길이 방향(MD)에 대한 수축율이 38.3%이며, 폭방향(TD)에 대한 수축율이 75.1%인 두께 50㎛의 양방향 열수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3 있어서 기계적 방향으로 이송되는 롤러군에 있어서 온도 75℃의 예열 구간을 거쳐 75℃온도에서 필름의 길이방향에 대해 2.3배 연신시킨 다음, 상온의 냉각롤을 거쳐 냉각시킨 후, 연속하여 텐터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폭방향으로 연신을 행하여 필름길이 방향(MD)에 대한 수축율이 44.1%이며, 폭방향(TD)에 대한 수축율이 71.3%인 두께 50㎛의 양방향 열수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보호층 형성을 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2염기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100몰%, 글리콜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110몰%와 네오펜틸글리콜 14몰%를 사용하고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 0.05몰(산성분에 대하여)을 사용하여 직접 에스테르화법에 의하여 중축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중합물에 평균입경이 2.7㎛인 이산화규소 분말 500ppm을 함유하여 종래 방법으로 건조시켜 고유점도가 0.71㎗/g이며, 융점이 203℃인 코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코폴리에스테르 90wt%와 실시예 1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wt%를 블렌드 하여 273℃의 압출기로부터 압출시킨 다음 급속냉각시켰고, 고형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미연신 필름을 기계적 방향으로 이송되는 롤러를 거쳐 온도 90℃의 예열구간을 거쳐 80℃에서 폭에 대하여 4.1배 연신시킨 다음 92℃의 열처리구간을 거쳐 두께 50㎛의 열수축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기재필름으로 PET Film 50um(CE series, 코오롱인더스트리(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건으로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기재 상에, 도가니 증발 방식의 증착기를 이용하여 순도 99.9%의 알루미늄을 증착기의 상부 진공도 1.93× 10-4mbar, 하부 진공도 2.22 × 10-2mbar, 도가니 온도 1400℃에서 증발시키고, 쿨링롤 온도 -20℃, 증착속도 200m/min로 하여 광학 밀도가 3.5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121nm)
그리고 기재 필름의 나머지 일면에 증착속도를 600m/min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밀도가 0.5인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였다(후면 금속증착층이라 한다. (금속: Al,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121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기재의 양면에, 도가니 증발 방식의 증착기를 이용하여 순도 99.9%의 알루미늄을 증착기의 상부 진공도 2.01× 10-4mbar, 하부 진공도 1.89 × 10-2mbar, 도가니 온도 1400℃에서 증발시키고, 쿨링롤 온도 -15℃, 증착속도 630m/min로 하여 광학 밀도가 0.4인 금속증착층을 동일하게 형성하였다.(금속: Al, 양면 금속증착층 두께 10nm)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열수축 필름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금속증착층을 형성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10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0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금속증착층 상에 아크릴수지(BPS-5698, 삼영도요) 10중량%, 케톤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MEK, 대신화공약품) 80중량% 및 황색안료(Yellow 10G, 현대케미칼), 적색안료(Red-FRN, 현대케미칼), 녹색안료(Green 735, 현대케미칼), 흑색안료(Black #30, 현대케미칼) 및 백색안료(R-100, 케이피아이) 중에 선택되는 각각의 착색제, 및 침전 방지제, 증점제, 색분리방지제, 안료분산제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6종의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6도로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인쇄층 두께 12.0㎛)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조의 증착필름을 제조하되, 금속증착층 상에 아크릴수지(BPS-5698, 삼영도요) 10중량%, 케톤계 용매인 메틸에틸케톤(MEK, 대신화공약품) 80중량% 및 황색안료(Yellow 10G, 현대케미칼), 적색안료(Red-FRN, 현대케미칼), 녹색안료(Green 735, 현대케미칼), 흑색안료(Black #30, 현대케미칼) 및 백색안료(R-100, 케이피아이) 중에 선택되는 각각의 착색제, 및 침전 방지제, 증점제, 색분리방지제, 안료분산제를 포함하여 전체 총량이 100중량%로 조절된 2종의 조액으로부터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2도로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인쇄층 두께 0.2㎛)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상부 금속증착층 두께 52nm, 하부 금속증착층 두께 15nm, 인쇄층 두께 2.0um, 보호층 두께 0.4um, 코팅층 두께 1.0um를 가지는 증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증착필름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기재필름 증착필름
열수축율
(TD 방향, %)
헤이즈
(%)
열수축응력시험기에 의한 분석 열수축율
(TD방향, %)
전광선투과율(%)
Ts
(℃)
T(Smax)
(℃)
Smax
(kg/㎟)
실시예 1 77.3 5.2 82.4 91.2 1.24 77.0 0.21
실시예 2 40.1 8.2 95.2 111.6 0.71 40.0 0.16
실시예 3 68.7 0.5 72.1 85.1 1.46 66.2 0.24
실시예 4 78.5 4.3 88.2 99.7 0.67 75.3 0.20
실시예 5 77.4 5.3 83.3 91.7 1.26 77.1 0.28
실시예 6 77.7 5.1 82.4 91.6 1.24 77.5 0.13
실시예 7 77.3 5.2 82.3 91.5 1.23 77.1 0.19
실시예 8 77.4 5.3 82.4 91.4 1.24 77.3 0.21
실시예 9 77.4 5.1 82.4 91.3 1.23 77.2 0.20
실시예 10 77.3 5.0 82.3 91.3 1.25 77.1 0.21
실시예 11 77.3 5.2 82.4 91.4 1.26 77.2 0.20
실시예 12 77.4 5.3 82.2 91.3 1.23 77.2 0.20
실시예 13 75.1 5.9 83.2 93.5 1.18 73.7 0.20
실시예 14 71.3 6.4 84.5 95.7 1.12 68.1 0.19
실시예 15 77.4 5.2 82.2 90.9 1.23 77.1 0.21
실시예 16 76.2 4.8 83.1 91.3 1.25 75.9 0.23
비교예 1 1.7 2.4 231.8 273.0 0.12 1.5 0.20
비교예 2 77.3 5.3 82.4 91.3 1.22 77.0 9.23
비교예 3 77.4 5.3 82.0 90.9 1.28 77.2 11.31
비교예 4 77.4 5.3 82.2 91.3 1.24 77.1 0.20
비교예 5 77.3 5.4 82.3 91.3 1.23 77.2 0.19
증착필름
휨정도 평가(mm)
(네 개의 모서리에서 측정한 값)
휨특성치
(mm)
인쇄
밀착성
라벨의 접착성
(%)
라벨의 박리성
(%)
실시예 1 1.4 / 0.7 / 0.8 / 1.3 1.4 99.9 99.9
실시예 2 2.1 / 2.3 / 2.2 / 0.7 2.3 100.0 100.0
실시예 3 0.8 / 0.5 / 1.4 / 0.4 1.4 100.0 100.0
실시예 4 0.7 / 1.5 / 1.2 / 0.4 1.5 99.9 100.0
실시예 5 1.2 / 1.1 / 2.2 / 1.1 2.2 100.0 99.8
실시예 6 1.5 / 1.7 / 0.5 / 0.3 1.7 99.9 100.0
실시예 7 1.4 / 1.0 / 0.4 / 0.8 1.4 100.0 100.0
실시예 8 1.4 / 1.4 / 0.7 / 0.3 1.4 100.0 99.9
실시예 9 1.5 / 1.4 / 0.7 / 1.2 1.5 100.0 99.9
실시예 10 2.2 / 0.8 / 0.7 / 1.3 2.2 99.9 100.0
실시예 11 1.3 / 1.8 / 1.2 / 0.6 1.8 100.0 100.0
실시예 12 1.1 / 1.7 / 1.5 / 1.2 1.7 100.0 99.9
실시예 13 0.8 / 1.2 / 1.8 / 1.7 1.8 99.9 99.9
실시예 14 1.7 / 1.8 / 3.2 / 1.8 3.2 100.0 100.0
실시예 15 1.5 / 2.3 / 2.1 / 0.6 2.3 100.0 100.0
실시예 16 2.4 / 2.2 / 2.8 / 4.1 4.1 99.9 84.1
비교예 1 0.7 / 2.7 / 1.8 / 0.8 2.7 99.8 2.7
비교예 2 -5.2 / -6.7 / -5.7 / -8.9 -8.9 88.2 99.8
비교예 3 5.3 / 5.2 / 4.3 / 6.1 6.1 86.3 99.9
비교예 4 7.2 / 8.2 / 5.5 / 5.3 8.2 84.7 99.5
비교예 5 -4.7 / -6.3 / -4.3 / -3.3 -6.3 83.8 99.8
상기 표 1과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수축응력, 수축성, 전광선투과율, 인쇄밀착성이 우수하고 라벨의 접착성 및 박리성이 높아 범용으로 사용되는 종이 라벨을 대체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으로 라벨을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에 대하여 모두 연신을 행한 실시예 13 및 14의 경우, 라벨의 접착성 및 박리성이 우수하여 라벨의 공정적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병에서 박리되어 분리된 라벨과 병을 분리하는 과정이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특히 세병기내에 물을 유입시켜 수압을 이용하여 라벨을 수면으로 부상시켜 세병기 상부에서 갈고리를 이용하여 분리된 라벨을 수거하는 플로팅 타입(Floating type)의 세병기에 있어서 필름의 폭방향으로만 연신을 행한 기타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필름의 최대수축방향으로의 라벨 말림 현상이 나타나 이로 인해 라벨을 세병기 상부로 부유시 물의 압력이나 유량을 높여야 하나, 실시예 13 및 14의 경우에는 병에서 라벨분리시에 양방향으로 수축현상이 발생하여 라벨말림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기에 기타 실시예들에 비하여 용이하게 라벨을 세병기의 상부로 부유시켜 라벨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물 사용량 및 에너지 절감측면에서 유리하다.
반면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1의 경우는 단순 열수에서 라벨의 박리가 실질적으로 불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3, 4, 5에서 처럼 상부, 하부 금속증착층 및 인쇄층의 두께가 제어되지 않을 경우 라벨의 접착성이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에서처럼 금속증착층의 두께가 얇을 경우 라벨의 휨 현상에 의한 라벨의 접착성 저하뿐만 아니라 열수축증착필름의 전광선투과율이 높아 최종 완제품인 인쇄라벨에 있어 유색병에 적용시 병의 색깔이 투영되어 인쇄효과가 떨어지며, 인쇄문양의 시인성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광고의 심미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보호층을 적용하지 않은 실시예 15의 경우, 접착성 및 박리특성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인쇄라벨 박리과정 중 인쇄라벨의 금속증착층과 인쇄층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인쇄박리물이 물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병의 2차 오염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병의 세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게 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체적인 공정성은 문제가 없으나, 인쇄라벨 박리후 병의 세정공정을 추가하여야 하므로 인쇄라벨 적용시 공정비용 상승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6은 시인성을 만족하면서 적정의 라벨 박리성을 나타내나, 병에서 인쇄라벨의 제거시 인쇄라벨이 병에 접착되어 있는 경우가 일부 발생하게 되어 인쇄라벨 제거작업 시 여러번의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수축개시온도가 높고 최대수축응력이 낮아서 발생되 것으로 라벨의 박리성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수축특성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1)

  1.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 및
    기재의 양면에, 금속증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증착층은 상기 필름 기재의 일면 상의 광학밀도 1.0 내지 3.0 되는 두께의 표면 금속증착층; 및
    상기 필름 기재의 다른 일면 상의, 광학밀도 0.2 내지 0.8 되는 두께의 후면 금속증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증착필름 상에 가로 방향으로 20cm만큼 잘라 제1절개선을 형성하고, 제1절개선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세로 방향으로 20cm 만큼 잘라 제2절개선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1절개선과 제2절개선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의 거리가 각각 10 cm되는 4개의 절개선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절개선들의 교차점 부위에 해당하는 네 개의 모서리에 대하여 모서리 부분이 편평한 표면으로부터 융기하여 휘어져 올라오는 수직 높이로 표현되는 휨특성치가 5.0mm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휨특성치가 2.0mm 이하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금속증착층 상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표면 금속증착층과 인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보호층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공중합체, 스티렌공중합체,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알킬아크릴레이트,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에폭시화 대두유,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우지계 올레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리덴, 폴리올레핀계 공중합물, 우레탄 및 비닐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수지층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후면 금속증착층의 표면에 형성된,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형성된 요철층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후면 금속증착층의 표면에 형성된 백색 안료 코팅층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중에서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는 디올 성분으로부터 수득되는 코폴리에스테르 중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코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단위체 중 테레프탈산 단위체가 80몰% 이상 포함되고, 디올 단위체 중 에틸렌 글리콜 이외의 단위체가 12 내지 24 몰% 포함되는 것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는 일축배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 또는 양방향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인 것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90℃의 온수 중에서 10초간에 걸쳐서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최대수축방향에 대한 수축율이 40 내지 80%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수축방향의 수축개시온도가 68 내지 94℃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최대수축방향의 최대수축발현온도가 80 내지 110℃이고, 최대수축응력이 0.60 내지 1.80kg/㎟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전광선투과율이 0.01 내지 5.0%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8. 제 1 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기재는 헤이즈가 0.3 내지 10.0%인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19. 제 1 항의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이 부착된 병.
  20. 제 19 항에 있어서, 열수 중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이 제거되는 라벨이 부착된 병.
  21. 라벨이 부착될 위치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 및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제1항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라벨이 부착된 병의 제조방법.
KR1020110024510A 2011-03-18 2011-03-18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KR10147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10A KR101475841B1 (ko) 2011-03-18 2011-03-18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PCT/KR2012/001940 WO2012128517A2 (ko) 2011-03-18 2012-03-19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US14/005,744 US9418577B2 (en) 2011-03-18 2012-03-19 Polyester-based metalizing film
JP2014500987A JP5872020B2 (ja) 2011-03-18 2012-03-19 ポリエステル系蒸着フィルム
EP12760541.8A EP2687369B1 (en) 2011-03-18 2012-03-19 Polyester-based deposited film
CN201280024003.8A CN103534087B (zh) 2011-03-18 2012-03-19 聚酯类金属化薄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10A KR101475841B1 (ko) 2011-03-18 2011-03-18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13A KR20120106413A (ko) 2012-09-26
KR101475841B1 true KR101475841B1 (ko) 2014-12-24

Family

ID=4711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10A KR101475841B1 (ko) 2011-03-18 2011-03-18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8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515U (ko) * 1984-11-20 1986-06-12
JPH08305286A (ja) * 1995-05-01 1996-11-22 Fuji Seal Co Ltd ラベル
KR20090061574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코오롱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515U (ko) * 1984-11-20 1986-06-12
JPH08305286A (ja) * 1995-05-01 1996-11-22 Fuji Seal Co Ltd ラベル
KR20090061574A (ko) * 2007-12-11 2009-06-16 주식회사 코오롱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13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7618A1 (en) Polyester film
JP577082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ラベル
JP4924381B2 (ja) 被覆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795678B2 (ja) ポリエステル系蒸着フィルム
WO2017022742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913290B1 (ko) 열수축성 적층필름 및 이를 기재로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JP3232760B2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を基材とするラベル
KR101673550B1 (ko) 슬립성이 향상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475841B1 (ko)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KR101503791B1 (ko)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KR101475842B1 (ko)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JP5872020B2 (ja) ポリエステル系蒸着フィルム
KR101475837B1 (ko)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KR20150055974A (ko) 무광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20106400A (ko) 폴리에스테르계 증착필름
JP2003034729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94114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イルム
JP2002179813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8006804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熱収縮性ラベル
JP2004216877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04516B2 (ja) 多層ポリエステルシート及び成形品
JP2005066939A (ja) 成型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ダミー容器
JP2002265763A (ja) 再生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41569A (ja) 微細気泡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ラミネート金属缶
KR20140080612A (ko) 열수축성 적층필름 및 이를 기재로 이용한 열수축성 라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