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368B1 -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368B1
KR101475368B1 KR1020137007150A KR20137007150A KR101475368B1 KR 101475368 B1 KR101475368 B1 KR 101475368B1 KR 1020137007150 A KR1020137007150 A KR 1020137007150A KR 20137007150 A KR20137007150 A KR 20137007150A KR 101475368 B1 KR101475368 B1 KR 10147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er
state
upper mold
mol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8784A (ko
Inventor
시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Publication of KR2013004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21D5/0236Tool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upper tool holder)는,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의 교환 시에 개폐 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한 상형 클램퍼(upper tool clamper)와, 상기 상형 클램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에 형성된 낙하 방지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낙하 방지편과, 상기 상형 클램퍼의 상부 또는 상기 홀더 본체의 한쪽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와, 상기 상형 클램퍼의 상부 또는 상기 홀더 본체의 다른 쪽에 형성된, 상기 걸림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 부재와, 상기 상형을 아래쪽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형 클램퍼를 더 개방할 때는 저항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더 개방된 상태로부터 상기 상형 클램퍼를 폐쇄할 때는 폐쇄 작동을 보조하는 보조 가압 기구와, 상기 보조 가압 기구에 설치되고, 보통 상태(常態)에 있어서는 상기 상형 클램퍼의 개폐 작동에 의하지 않고 정위치(定位置)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상형 클램퍼의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압압 부재(pusher)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형 홀더에 의하면, 상형 클램퍼가 뜻하지 않게 개방되어 상형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UPPER TOOL HOLDER FOR PRESS BRAKE}
본 발명은,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upper tool)을 교환 가능하게 유지하는 상형 홀더 장치(upper tool hold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형을 클램핑(clamping)하는 상형 클램퍼(upper tool clamper)가 뜻하지 않게 개방되어 상형이 낙하하는 경우가 없어, 보다 안정성이 높은 상형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레스 브레이크(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는, 상형의 교환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상형이 장착되는 상부 테이블의 하부에, 도 7~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형 홀더 장치(121)를 복수 개 구비하고 있다.
상형 홀더 장치(121)의 홀더 본체(123)에는, 상형(125)을 클램핑하는 상형 클램퍼(127)가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형 클램퍼(127)의 하부에는, 상형(125)의 낙하 방지홈(drop prevention groove)(125G)과 걸어맞추어지는 낙하 방지편(drop prevention piece)(129)이 장착되어 있다.
홀더 본체(123)의 하부는 상형 지지부(upper tool holding portion)(131)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형 클램퍼(127)와 상형 지지부(131)에 의해 상형(125)을 클램핑, 언클램핑(unclamping)한다. 상형 클램퍼(127)의 상부에는 압압 나사(pusher screw)(133)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압압 나사(133)의 선단은, 홀더 본체(123)에 내장된 가압 요소(urging elements)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고 있는 푸셔(pusher)(135)와 맞닿아 있다. 압압 나사(133)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압압 나사(133)에는 조작 레버(137)가 장착되어 있다.
홀더 본체(123)의 전면(前面)에는, 조작 레버(137)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139A, 139B)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스토퍼(139A, 139B)는, 조작 레버(137)의 회전 궤적 상에 배치(회전 규제) 또는 회전 궤적 상으로부터 대피(회전 허용)된다. 또한, 홀더 본체(123)와 상형 클램퍼(127)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상형 클램퍼(127)를 항상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볍게 가압하는 가압 부재(urging members)(1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형 클램퍼(127)의 상부 에지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engagement recess)(143)와 걸어맞추어지는 볼 플런저(ball plunger)(145)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상형 홀더 장치(121)에 의하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37)가 스토퍼(139A)와 맞닿는 상태에서는, 상형 클램퍼(127)에 의해 상형(125)은 상형 지지 부재(131)에 견고하게 압압되고, 상형(125)이 클램핑되어 있다. 이 때, 낙하 방지홈(125G)은 낙하 방지편(129)과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37)가 스토퍼(139B)와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형 클램퍼(127)는 언클램핑되어 있다. 이 때, 낙하 방지홈(125G)은 걸어맞춤 돌기(127P)와 걸어맞추어져 있고, 상형(125)의 낙하는 방지되어 있다. 또한, 상형(125)은 가로 방향[상형(125)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37)를 스토퍼(139B)를 넘어 수직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상형(125)을 R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상형 클램퍼(127)의 하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다. 상형 클램퍼(127)를 개방한 후, 상형(125)을 아래쪽으로 분리해 낼 수 있다. 상형 클램퍼(127)의 하부를 개방하면, 상형 클램퍼(127)의 상부의 걸림 오목부(143)와 볼 플런저(145)가 걸어맞추어져,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일본공개특허 1996―57542호 공보
전술한 상형 홀더 장치(121)에 의하면 상형(125)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언클램핑 상태(도 9 및 도 10)에서는, 가압 부재(141)에 의해 상형 클램퍼(127)가 상형(125)을 클램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형(125)을 길이 방향(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형(125)의 이동 시에 상형 클램퍼(127)가 뜻하지 않게 개방되어, 상형(125)이 낙하할 우려가 있어, 새로운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여기서, 상형(125)의 이동 시에, 상형 클램퍼(127)가 뜻하지 않게 개방되지 않도록 가압 부재(141)의 가압력을 강하게 하면, 상형(125)의 이동 시의 마찰이 커져, 이동시키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전술한 상형(125)에서는 상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낙하 방지홈(125G)과 낙하 방지편(129)과의 걸어맞춤이 벗어나 상형(125)이 약간 하강하고, 낙하 방지홈(125G)과 걸림 돌기(127P)가 걸린 상태(도 10)에서는, 상형 클램퍼(127)와 상형(125)과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間隙)이 생긴다. 이와 같은 간극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가압 부재(141)에 의해 상형 클램퍼(127)의 상부를 항상 가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압 부재(141)의 압압력을 강력하게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문제의 발생으로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을 유지하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an upper tool holder for a press brake)로서, 홀더 본체와, 상기 홀더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의 교환 시에 개폐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상형 클램퍼와, 상기 상형 클램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에 형성된 낙하 방지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낙하 방지편과, 상기 상형 클램퍼의 상부 또는 상기 홀더 본체의 한쪽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와, 상기 상형 클램퍼의 상기 상부 또는 상기 홀더 본체의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 볼록부와, 상기 상형을 아래쪽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형 클램퍼를 더 개방할 때는 저항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더 개방된 상태로부터 상기 상형 클램퍼를 폐쇄시킬 때는 폐쇄 작동을 보조하는 보조 가압 기구(機構)와, 상기 보조 가압 기구에 설치되고, 보통 상태(常態)에 있어서는 상기 상형 클램퍼의 개폐 작동에 의하지 않고 정위치(定位置)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상형 클램퍼의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상형 홀더 장치로부터 상형을 아래쪽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형 클램퍼을 크게 개방할 때, 보조 가압 기구의 가압 부재가 상형 클램퍼와 맞닿아 개방 동작의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즉, 상형의 고정이 해제된 언클램핑 상태에서, 상형을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을 때는, 상형 클램퍼가 뜻하지 않게 열리도록 하면 개방 동작에 저항이 작용하여 상형 클램퍼가 뜻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관한 상형 홀더 장치의 정면도(조작 레버: 클램핑 위치)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상형 홀더 장치의 정면도(조작 레버: 언클램핑 위치)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상형 홀더 장치의 정면도(조작 레버: 수직 교환 위치)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상형 홀더 장치의 정면도(조작 레버: 클램핑 위치)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상형 홀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상형 홀더 장치의 정면도(조작 레버: 언클램핑 위치)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상형 홀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상형 홀더 장치의 정면도(조작 레버: 수직 교환 위치)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상형 홀더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1~도 6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관한 상형 홀더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의 (클램핑 상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형 홀더 장치(1)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부 테이블(3)의 하부에 장착된다. 복수의 상형 홀더 장치(1)가, 상부 테이블(3)의 하부에 가로 방향(도 1의 가로 방향, 도 2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 장착된다. 그리고, 상형 홀더 장치(1)의 상부 테이블(3)에 대한 장착에 관하여는 주지이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형 홀더 장치(1)는, 홀더 본체(holder body)(5)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5)의 상부 전면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장착판(mounting plate)(7)이, 고정핀(9)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장착판(7)은, 홀더 본체(5)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홀더 본체(5)의 상면에는, 쐐기 부재(wedge member)(11)가, 전후 방향(도 2의 가로 방향)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장착판(7)은, 쐐기 부재(11)를 위치 조절하기 위한 푸시풀 볼트(push/pull bolts) 등의 조절 나사(adjustment screws)(13)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 본체(5)의 전면에는, 장착 볼트(mounting bolts)(15)가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다. 장착 볼트(15)의 헤드부(heads)(15H)에 의해, 상형 클램퍼(17)가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홀더 본체(5)의 하부에 형성된 상형 지지부(19)와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에 의해 상형 P가 클램핑된다. 상형 P의 클램핑을 조절하기 위해, 상형 클램퍼(17)의 상부(17U)에, 압압 나사(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다. 압압 나사(21)의 후단은, 홀더 본체(5)의 전면과 맞닿아 있다. 압압 나사(21)의 전단에는, 압압 나사(21)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2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 본체(5)와 상형 클램퍼(17)와의 사이에는, 헤드부(15H)에 상형 클램퍼(17)를 압압하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2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코일 스프링(25)은, 장착 볼트(15)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도 2에서는 압축 상태).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에는, 상형 P의 낙하 방지홈(27)과 걸어맞추어지는 낙하 방지편(29)이 장착되어 있다. 낙하 방지편(29)은,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31)에 의해 항상 돌출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형 클램퍼(17)의 상부 에지에는 걸림 오목부(33)(홈이나 구멍 등)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본체(5)의 일부로서의 장착판(7)에는, 걸림 오목부(33)와 걸어맞춤 가능한 볼 플런저(걸림 볼록부)(3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낙하 방지편(29), 걸림 오목부(33), 볼 플런저(35) 등은,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걸림 오목부(33)와 볼 플런저(35)와의 위치는 상대적인 것이므로, 상형 클램퍼(17)의 상부 에지에 볼 플런저(35)가 설치되고, 장착판(7)에 걸림 오목부(33)가 형성되어도 된다.
조작 레버(23)는, 클램핑 위치(clamp position)(37A)(도 1 및 도 2), 언클램핑 위치(unclamp position)(37B)(도 3 및 도 4), 및 상형 P를 하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해, 수직 교환 위치(vertically―replacing position)(37C)(도 5 및 도 6)로 회전 가능하다. 클램핑 위치(37A)에서는, 상형 P는, 상형 클램퍼(17)에 의해 상형 지지부(19)에 압압되어 고정된다. 언클램핑 위치(37B)에서는, 상형 P의 클램핑이 해제된다(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수직 교환 위치(37C)에서는, 상형 P를 아래쪽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가 크게 개방되고. 그리고, 언클램핑 위치(37B)에는, 수직 교환 위치(37C)에 대한 조작 레버(23)의 회전을 규제 가능한 스토퍼(39)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39)는, 종래의 구성[도 7~도 12의 스토퍼(139A, 139B) 참조]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23)가 클램핑 위치(37A)(상형 P의 클램핑 상태)로부터 언클램핑 위치(37B)로 회전되면, 상형 P는 가로 방향(상형 P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작 레버(23)가 수직 교환 위치(37C)로 회전되면,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를 크게 개방시켜, 상형 P를 아래쪽으로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런데, 조작 레버(23)가 언클램핑 위치(37B)로 회전되어 상형 P가 언클램핑 상태로 되면 상형 P를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교환할 수 있다. 이 때,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가 뜻하지 않게 더 개방되면, 상형 P가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형 P의 언클램핑 상태(도 3 및 도 4)에서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가 뜻하지 않게 더 개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opening operation restriction safety mechanism)(41)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41)가 도시되어 있고,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41)에서는, 홀더 본체(5)에 형성된 관통공(43) 내에, 하부(17L)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형 클램퍼(17)의 상부(17U)를 압압하는 압압 부재(pusher)(45)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41)가, 압압 나사(21)[조작 레버(23)의 회전 중심]을 협지(sandwich)하여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45)는 관통공(43)으로부터 전방(도 6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압 부재(45)의 기부(基部)에 형성된 플랜지(45F)가 관통공(43)의 단차(段差)(47)와 맞닿음으로써, 압압 부재(45)의 전방으로의 돌출이 제한되어 있다. 압압 부재(45)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51)이, 관통공(43)에 나사결합된 멈춤 나사(stopper screw)(49)와 압압 부재(45)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압압 부재(45)는 코일 스프링(51)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그 전방으로의 돌출은, 플랜지(45F)와 단차(47)와의 접촉에 의해 제한되어 있다.
상형 P의 언클램핑 상태에서는, 플랜지(45F)가 단차(47)와 맞닿아, 압압 부재(45)의 전방으로의 돌출이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압압 부재(45)의 전방으로의 돌출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압압 부재(45)의 전단은, 상형 클램퍼(17)의 상부(17U)에 가볍게 접촉되어 있다[상형 P의 클램핑 상태에서는, 플랜지(45F)가 단차(47)와 맞닿고, 또한 압압 부재(45)의 전단은 상부(17U)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상형 클램퍼(17)가 클램핑 상태 또는 언클램핑 상태에 위치할 때[=상태(常態)]에는, 압압 부재(45)는, 항상 플랜지(45F)와 단차(47)가 맞닿은 상태의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언클램핑 상태로부터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가 더 개방되려고 하면, 압압 부재(45)는, 상형 클램퍼(17)의 상부(17U)를 전방으로 압압하여, 개방 동작의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언클램핑 상태에서 상형 P를 가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가 뜻하지 않게 더 개방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형 P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17L)를 더 개방시켜 걸림 오목부(33)와 볼 플런저(35)를 걸어맞추기 위해서는,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41)의 탄성 부재(5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형 클램퍼(17)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상형 클램퍼(17)를 더 개방시켜 상형 P를 수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힘을 필요로 하므로, 상형 클램퍼(17)를 더 개방하기 위해서는 주의를 끈다. 따라서, 상형 P의 낙하에 유의(留意)하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걸림 오목부(33)와 볼 플런저(35)를 걸어맞추어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를 크게 개방한 상태에서 상형 클램퍼(17)와 상형 지지부(19)와의 사이에 상형 P를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고,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를 폐쇄시킬 때는, 탄성 부재(51)의 가압력이 상형 클램퍼(17)의 폐쇄 작동을 보조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형 클램퍼(17)의 폐쇄 작동을 행하기 용이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41)는, 언클램핑 상태로부터 상형 클램퍼(17)의 하부(17L)를 더 개방할 때는 개방 동작의 저항으로서 작용하고, 상형 클램퍼(17)가 크게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될 때는 폐쇄 작동을 보조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41)는, 상형 클램퍼(17)의 개방 동작을 보조하는 일종의 보조 가압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조작 레버(2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형 클램퍼(17)는, 클램핑 상태, 언클램핑 상태, 또는 수직 교환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언클램핑 상태에서는, 상형 P의 가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면서도, 개방 동작 규제 안전 기구(보조 가압 기구)(41)에 의해 상형 클램퍼(17)의 불의의 개방 동작이 방지되어 상형 P의 낙하가 방지될 수 있다. 즉,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5)

  1.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upper tool)을 유지하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로서,
    홀더 본체;
    상기 홀더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의 교환 시에 개폐 방향으로 요동(搖動) 가능한 상형 클램퍼(upper tool clamper);
    상기 상형 클램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형에 형성된 낙하 방지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낙하 방지편;
    상기 상형 클램퍼의 상부 또는 상기 홀더 본체의 한쪽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상기 상형 클램퍼의 상기 상부 또는 상기 홀더 본체의 다른 쪽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 볼록부;
    상기 상형을 아래쪽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상형 클램퍼를 더 개방할 때는 저항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더 개방된 상태로부터 상기 상형 클램퍼를 폐쇄할 때는 폐쇄 작동을 보조하는 보조 가압 기구; 및
    상기 보조 가압 기구에 설치되고, 보통 상태(常態)에 있어서는 상기 상형 클램퍼의 개폐 작동에 의하지 않고 정위치(定位置)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상형 클램퍼의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압압(押壓) 부재;
    를 포함하고 있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가압 기구가, 상기 압압 부재와, 상기 압압 부재를 상기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가지고 있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 클램퍼는, 완전히 폐쇄되어 상기 상형을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클램핑 상태, 상기 클램핑 상태로부터 개방되어 상기 상형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하는 언클램핑 상태, 및 상기 언클램핑 상태로부터 더 개방되어 상기 상형을 수직으로 교환 가능한 수직 교환 상태로 개방 동작 가능하며,
    상기 보통 상태(常態)는, 상기 상형 클램퍼가 상기 클램핑 상태 또는 상기 언클램핑 상태에 위치하는 상태인,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상형 클램퍼가 상기 클램핑 상태 또는 상기 언클램핑 상태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가압된 상태 하에서 상기 정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상형 클램퍼가 상기 수직 교환 상태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정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형 클램퍼를 상기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 클램퍼가 상기 수직 교환 상태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 오목부와 상기 걸림 볼록부가 걸어맞추어져 상기 상형 클램퍼를 상기 수직 교환 상태로 유지하는,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KR1020137007150A 2010-10-19 2011-10-14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KR101475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4443 2010-10-19
JP2010234443A JP5588819B2 (ja) 2010-10-19 2010-10-19 上型ホルダ装置
PCT/JP2011/073693 WO2012053450A1 (ja) 2010-10-19 2011-10-14 プレスブレーキの上型ホル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784A KR20130048784A (ko) 2013-05-10
KR101475368B1 true KR101475368B1 (ko) 2014-12-22

Family

ID=4597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150A KR101475368B1 (ko) 2010-10-19 2011-10-14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93605B2 (ko)
EP (1) EP2631020B1 (ko)
JP (1) JP5588819B2 (ko)
KR (1) KR101475368B1 (ko)
CN (1) CN103180064B (ko)
TW (1) TWI490058B (ko)
WO (1) WO2012053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05555B (zh) * 2012-04-27 2016-02-24 村田机械株式会社 弯板机的模具支架
WO2015186706A1 (ja) * 2014-06-03 2015-12-10 株式会社アイ・ケイ・ディー クランプ装置
CN104190788A (zh) * 2014-07-14 2014-12-10 上海爱葛尼机床有限公司 能够用于折弯机快速换模的快夹装置
JP2016215218A (ja) * 2015-05-18 2016-12-22 村田機械株式会社 上型ホルダ、プレス機械、及び上型保持方法
CN105921624B (zh) * 2016-06-18 2019-02-05 安徽联盟模具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带补偿折弯机上模快速机械夹紧装置
JP6385415B2 (ja) * 2016-12-09 2018-09-05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上型クランプ装置
JP6457677B1 (ja) * 2017-09-05 2019-01-23 フジ・プロダクト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6522080B1 (ja) * 2017-11-02 2019-05-29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プレスブレーキの中間板取付装置
US20210323046A1 (en) * 2018-07-17 2021-10-21 Amada Co., Ltd. Tool chang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535A (ja) * 1997-09-25 1999-04-06 Amada Metrecs Co Ltd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JP2003340522A (ja) * 2003-05-23 2003-12-02 Amada Co Ltd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0125B2 (ja) 1994-08-19 1998-04-15 株式会社アマダメトレックス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US5513514A (en) * 1994-05-06 1996-05-07 Amada Metrecs Company, Limited Upper tool and upper tool holding device for press brake
TW249765B (ko) * 1993-05-18 1995-06-21 Amatamedory Kk
TW365857U (en) * 1994-05-17 1999-08-01 Amada Metrecs Co Upper tool and upper tool holder apparatus for press brake
JP2921741B2 (ja) * 1995-10-02 1999-07-19 株式会社アマダメトレックス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IT1309746B1 (it) 1999-04-07 2002-01-30 Toolspress S R L Elemento modulare di supporto dell'utensile nelle presse piegatrici di lami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535A (ja) * 1997-09-25 1999-04-06 Amada Metrecs Co Ltd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JP2003340522A (ja) * 2003-05-23 2003-12-02 Amada Co Ltd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1020B1 (en) 2016-09-21
CN103180064B (zh) 2015-05-20
CN103180064A (zh) 2013-06-26
EP2631020A4 (en) 2015-08-26
EP2631020A1 (en) 2013-08-28
US9393605B2 (en) 2016-07-19
TW201223656A (en) 2012-06-16
TWI490058B (zh) 2015-07-01
WO2012053450A1 (ja) 2012-04-26
JP5588819B2 (ja) 2014-09-10
KR20130048784A (ko) 2013-05-10
US20130180311A1 (en) 2013-07-18
JP2012086240A (ja)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368B1 (ko) 프레스 브레이크의 상형 홀더 장치
JP2921741B2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TWI499501B (zh) The upper mold holder of the press brake
US9895753B2 (en) Manual clamp for key making machine
JP2008532764A (ja) プレスマウントカム
KR100546022B1 (ko) 상형 홀더 장치
JPS586575B2 (ja) 金型着脱装置
JP2006130214A (ja) 遊技盤の固定装置
KR19980042597A (ko) 프레스브레이크의 상형장착장치
JPH0857542A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JP3470046B2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JPH0732043A (ja) プレスブレーキ用上型
JPH0474097B2 (ko)
JP4094881B2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CN107639164B (zh) 工件弯曲模及工件弯曲加工组件
JP3019725U (ja) 曲げ加工機の上金型クランプ装置
WO2019230909A1 (ja) 中間板装置
JPH0833922A (ja) プレスブレーキ用上型
CN219493593U (zh) 一种拍摄模式切换结构、云台及其拍摄系统
CN108236165B (zh) 后止部安装装置
CN220028337U (zh) 一种可移动定位的负角翻边机构
JP3793175B2 (ja) プレスブレーキにおける上型ホルダ装置
CN110270819B (zh) 机箱上盖手拧螺丝侧向铆合的装置及其使用方法
JPS601911Y2 (ja) 溶接ガン装置
JP3936926B2 (ja) 鋳型造型用模型定盤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