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191B1 - 벽면 패널 - Google Patents

벽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191B1
KR101472191B1 KR1020127006148A KR20127006148A KR101472191B1 KR 101472191 B1 KR101472191 B1 KR 101472191B1 KR 1020127006148 A KR1020127006148 A KR 1020127006148A KR 20127006148 A KR20127006148 A KR 20127006148A KR 101472191 B1 KR101472191 B1 KR 101472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ain body
panel main
wall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788A (ko
Inventor
신이치 유타
야스히로 유타
Original Assignee
신이치 유타
야스히로 유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치 유타, 야스히로 유타 filed Critical 신이치 유타
Publication of KR2012004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taining Wall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종래, 상하의 옹벽 블록(1)의 위치 관계가 소정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옹벽 블록(1)의 볼록부(2)와 오목부(3)의 맞물림이 불가능해져, 옹벽 블록(1)의 쌓아 올리기 작업이 행해질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 본체(21a)를 복수단 비스듬히 쌓아 올릴 때, 패널 본체(21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된 연결 부재(23), (24)에 의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상하의 패널 본체(21a)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에서 서로 떠받치게 한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21a)를 쌓아 올릴 때,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위치 관계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고려하는 일없이, 각 단마다 패널 본체(21a)를 끝에서부터 채워서 쌓아 올라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벽면 패널{WALL SURFACE PANEL}
본 발명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벽면을 구성하는 벽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벽면 패널은, 도로나 하천, 택지 조성 등의 흙막이나 제방에 사용되고 있는, 벽면에 구배(경사)가 형성된 토양쌓기 옹벽, 성토(盛土) 보강토 옹벽, 절토 보강토 공법, 건성쌓기·사춤쌓기 옹벽 등의 벽면재(옹벽 블록)에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3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 블록(1)의 상하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요철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옹벽 블록(1)을 복수단 비스듬히 자립적으로 쌓아 올리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도 1의 (a) 및 (b)는, 이 옹벽 블록(1)의 측면도 및 평면도로, 옹벽 블록(1)의 상부에 볼록부(2), 하부에 오목부(3)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2)와 오목부(3)가 맞물림으로써, 복수의 옹벽 블록(1)이 비스듬히 자립적으로 쌓여 올려진다.
특허문헌 4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옹벽 블록(4)을 쌓아 올릴 때, 옹벽 블록(4)의 무게중심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옹벽 블록(4)의 전도(轉倒)를 방지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도 2의 (a) 및 (b)는 이 옹벽 블록(4)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 옹벽 블록(4)도, 그 상하에 형성된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볼록부와 오목부가 맞물림으로써 비스듬히 자립적으로 쌓여 올려진다.
이러한 옹벽 블록(1), (4)은, 부설 연장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곡선 시공될 경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물떼새형상 쌓기에 의해 쌓여 올려지고,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줄눈 쌓기(芋積み)에 의해 쌓여 올려진다. 여기에서, 도 3 내지 도 5 및 후술하는 도 6에 있어서의 각 부분도 (a)는 곡선 시공한 옹벽 블록(1), (4)의 평면도, 각 부분도 (b)는 곡선 시공한 옹벽 블록(1), (4)의 측면도, 각 부분도 (c)는 비스듬히 쌓아 올린 옹벽 블록(1), (4)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서 전개하면 얻어지는 정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히 쌓아 올린 옹벽 블록(1), (4)을 곡선 시공할 경우, 하부에 있는 옹벽 블록(1), (4)과 상부에 있는 옹벽 블록(1), (4)이 각각 그리는 반경은 다르다. 이 때문에, 옹벽 블록(1), (4)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해서 넓어지는 간극이 옹벽 블록(1), (4) 사이에 발생한다. 따라서, 곡선 시공의 경우, 옹벽 블록(1), (4) 사이에 간극채움용 콘크리트(5)를 매울 필요가 있다. 또, 최종적으로 옹벽 블록(1), (4) 속 혹은 이면 측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일체화된다.
또한, 종래, 곡선 시공할 경우, 옹벽 블록 간에 상기와 같은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쌓는 단마다 크기가 달랐던 사다리꼴의 옹벽 블록(6)을 쌓아 올리는 구성도 있다.
또, 전술한 쌓아 올려서 콘크리트로 강고하게 일체화시키는 형식의 콘크리트 옹벽 이외에, 벽면재에 작용하는 흙 압력(즉, 토압(土壓))에 대해서, 성토 내에 부설한 보강재의 인발저항력에 의해서 균형을 유지하고, 흙막이 벽의 효과를 발휘시키는 보강토 공법이 있다. 이 보강토 공법의 대표적인 공법으로서, 성토 내에 면 형상으로 부설한 지오텍스타일과 성토재와의 마찰저항에 의한 인발저항력으로 흙막이 효과를 발휘시키는 지오텍스타일 보강토벽 공법, 성토 내에 층 형상으로 배치된 강철띠 보강재와 성토재와의 마찰력에 의한 인발저항력으로 흙막이 효과를 발휘시키는 강철띠 보강토벽 공법, 성토 내에 배치된 강제의 앵커(anchor) 보강재의 지압(支壓) 저항력에 의한 인발저항력으로 흙막이 효과를 발휘시키는 다수 앵커(anchor)식 보강토벽 공법, 성토 내에 면 형상으로 부설한 격자형상 철근보강재의 세로방향 철근의 마찰저항과 가로방향 철근의 지압저항으로 흙막이 효과를 발휘시키는 격자형상 철근보강토벽 공법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보강 메커니즘과는 다른, 흙을 포대에 담은(즉, 패킹한) 토양을 적층해서 구축한 패킹 구속 보강토 공법 등이 있다. 이들 보강토 공법은, 기초 지반의 다소의 침하에도 추종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보강토 공법에 의해 벽면이 수직으로 구축되는 벽면 패널에서는, 곡선 시공에 있어서도, 상하의 벽면 패널의 곡률반경의 차이가 생기지 않아, 간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하의 벽면 패널의 위치 관계가 규칙적으로 되어, 핀이나 플레이트 등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상하의 벽면 패널을 연결 또는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현재, 다양한 콘크리트제의 벽면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보강토 공법에 의해 벽면을 비스듬히 구축한 벽면 패널에서는, 몇 가지 과제가 있고, 현재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벽면 구조는, 식생 토양을 지오그리드로서 둘러싸서 벽면을 구성한 것이나, 격자형상 철근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expanded metal) 등에 아연 도금 등을 실시한 강제의 벽면 패널이 대부분이다.
벽면 패널을 비스듬히 구축하는 보강토 공법의 벽면 패널은, 우선,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한 벽면 패널을 쌓아 올릴 때 벽면 패널 자체를 자립시키는 것이 전제로 된다. 이 경우, 벽면 패널을 자립시키기 위하여, 벽면 패널의 두께를 자립가능한 정도로 두껍게 하고 있다. 또는, 벽면 패널을 자립시키기 위하여, 서포트(support) 등을 이용해서 벽면 패널을 배후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JP 3639084 B JP 2838485 B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79218호 JP 2984810 B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 블록(1)의 볼록부(2)와 오목부(3)를 맞물리게 해서 쌓기 위해서는, 상하의 옹벽 블록(1)의 위치 관계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하의 옹벽 블록(1)의 위치 관계가 소정의 범위에서 벗어나면, 옹벽 블록(1)의 볼록부(2)와 오목부(3)의 맞물림이 불가능해져서, 옹벽 블록(1)의 쌓아 올리기 작업이 행해질 수 없게 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 블록(4)의 무게중심 밸런스에 의해서 자립시키는 구성은, 자립가능한 범위가 옹벽 블록(4)의 높이와 두께의 비에 좌우되어, 이 치수비로부터 벗어나는 옹벽 블록(4)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 시공으로 옹벽 블록(1), (4)을 비스듬히 쌓아 올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옹벽 블록(1), (4)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간극채움용 콘크리트(5)로 매울 필요가 있어, 이 옹벽 블록(1), (4)의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간극채움용 콘크리트(5)의 박리·파손이 염려된다. 또, 이 옹벽 블록(1), (4)의 조립 시, 각 옹벽 블록(1), (4) 속 혹은 이면 쪽에 콘크리트를 유입시켜서 일체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에 손이 많이 가고, 게다가, 콘크리트 등의 원재료 비용이 증대한다. 또한, 이들 수법을 보강토 공법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옹벽 블록(1), (4)의 배면 측의 성토나 토양이 침하하거나 변형되면, 옹벽 블록(1), (4)은 콘크리트로 굳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추종해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옹벽 블록(1), (4)의 배면 측에 공동(구멍)이 형성되는 등 해서 옹벽이 약체화된다. 또, 콘크리트 등으로 일체화시킨 벽면 구조로 할 경우, 미리 보강 성토 부분을 선행해서 시공하고, 압밀침하 등이 종식된 후에, 벽면으로 되는 부분을 구축하므로, 보강 성토의 압밀침하 등이 종식될 때까지의 기간을 필요로 하며, 또한 가설 벽면재가 필요해져서, 더욱 벽면을 구축할 때 지반 등의 가설공사도 별도 필요해진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쌓아 올리는 단마다 크기가 다른 사다리꼴의 옹벽 블록(6)을 사용해서 곡선 시공할 경우, 간극이 생기지 않아, 간극채움용 콘크리트로 메울 필요가 없어, 옹벽 블록(6)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옹벽 블록(6)은 성토나 토양의 침하·변형에 추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모든 옹벽 블록(6)이 지정된 크기의 특수제품으로 되어, 고가로 되어서 실용적이지는 않다. 또, 옹벽 블록(6)의 구축 후의 초기 시나, 장기간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지진 시 등에 있어서, 성토나 토양 등의 침하·변형에 대응해서 각 옹벽 블록(6)의 위치 관계가 벗어나고, 옹벽 블록(6)끼리가 서로 부딪치는 것에 의해, 옹벽 블록(6)이 결여되거나 파손되어, 옹벽 블록(6)은 구조상의 조건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또, 보강토 공법에 있어서는, 벽면재에 작용하는 흙 압력에 대해서, 성토 내에 부설한 보강재의 인발 저항력에 의해서 균형이 유지되어, 흙막이 벽의 효과가 발휘되므로, 콘크리트 옹벽과 같이 큰 토압은 벽면 패널에 작용하지 않지만, 경사용의 벽면 패널의 두께를 자립시키기 위해서 두껍게 하면, 벽면 패널 자체의 중량이 커지고, 비용이 비교적 고가로 된다. 또한, 중량이 클수록 지진 시 관성력이 커지고, 벽면 패널과 연결된 보강재에 큰 힘이 작용하는 것으로 되어, 보강 성토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보강토 공법의 침하나 변형 등에 추종할 수 있도록, 간극 채움용·몸통 채움용 ·뒤채움용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지 않으며, 건성쌓기에 의해 자립하여 구축되고, 지진 시 관성력이 작으며, 얇고 가벼운 경량의 유연성이 우수한 벽면 패널의 개발이 요망된다.
또, 종래의 격자형상 철근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 등의 아연 도금을 실시한 벽면 패널은, 추종성은 우수하지만, 강제의 가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식 등의 염려도 있어, 내구성이 없다. 또한, 종래의 식생 토양을 지오그리드로 둘러싸서 벽면을 구성했을 경우에도, 추종성은 우수하지만, 화재에 의한 소실 등의 염려도 있어, 내구성이 없다. 따라서, 종래의 격자형상 철근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 등의 강제의 벽면 패널이나, 식생 토양을 대신하거나, 내구성이 우수하거나, 콘크리트제 등의 얇고 가벼운 경사용 벽면 패널의 개발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래쪽에 적재된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의,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위쪽에 적재된 패널 본체의 배면에 접하여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하는 동시에, 위쪽에 적재된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의,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에 접하여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해서,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벽면 배면 쪽으로 쓰러지는 힘이 각 상기 연결 부재를 개재해서 위쪽 및 아래쪽에 적재된 각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에서 입수되어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 상에 자립하여, 인접하는 위쪽 및 아래쪽에 적재된 각 상기 패널 본체가 복수단으로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벽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 본 발명은, 패널 본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인접한 패널 본체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걸어맞춤하여, 인접하는 상기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하는 상기 패널본체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가 상기 패널 본체에 설치되고,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의,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에 접하여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하는 동시에,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부가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하단부 혹은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부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상단부에 걸어맞춤하여,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벽면 배면 쪽으로 쓰러지는 힘이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걸어맞춤부를 개재해서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 및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하단부 혹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상단부에서 입수되거나,
또는,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의,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에 접하여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하는 동시에,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부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상단부 혹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부가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하단부에 걸어맞춤하여,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벽면 배면 쪽으로 쓰러지는 힘이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걸어맞춤부를 개재해서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 및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상단부 혹은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하단부에서 입수되어서,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 상에 자립하여, 인접하는 위쪽 및 아래쪽에 적재된 각 상기 패널 본체가 복수단으로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벽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들 구성에 의하면, 패널 본체를 복수단으로 비스듬히 쌓아 올릴 때, 패널 본체의 쌍방으로부터 돌출되어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의 단부가 인접한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함으로써, 또는, 패널 본체의 한쪽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연결 부재의 단부가 인접한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하여, 패널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가 인접한 패널 본체의 하단부 혹은 상단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상하의 패널 본체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에서 서로 떠받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를 쌓아 올릴 때, 상하의 패널 본체의 위치 관계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고려하는 일없이, 각 단마다 패널 본체를 끝에서부터 채워서 쌓아 올라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상하의 옹벽 블록의 부분적인 요철을 맞물리게 해서 쌓아 올리는 구성과 같이, 상하의 옹벽 블록의 위치 관계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서, 옹벽 블록의 요철을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옹벽 블록의 쌓아 올리기 작업을 행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의 쌓아 올리기 작업 효율은 향상된다.
또, 종래의, 옹벽 블록의 무게중심 밸런스에 의해서 자립시키는 구성과 같이, 자립가능한 범위가 블록의 높이와 두께의 비에 좌우되어, 이 치수비로부터 벗어나는 옹벽 블록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의 높이와 두께의 치수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 본체의 쌍방으로부터 단부가 돌출되어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에 의해, 또는, 패널 본체의 한쪽으로부터 단부가 돌출되어 설치된 연결 부재와 패널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에 의해서, 상하의 패널 본체를 원하는 위치에서 서로 떠받치게 할 수 있어, 상하의 패널 본체의 위치 관계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를 비스듬히 쌓아 올릴 경우,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의 각 패널 본체 간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부설할 수 있어, 패널 본체의 각 단의 곡률반경의 차이의 누적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의 패널 본체 간의 간극은 패널 본체 그 자체의 높이 분량의 곡률반경의 차이만의 분량으로 되어, 미소한 간극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옹벽 블록 간에 발생하는 간극을 간극채움용 콘크리트로 메울 필요가 없어져,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간극채움용 콘크리트의 박리·파손이 염려되는 일도 없다. 또, 간극이 생기지 않고, 간극채움용 콘크리트로 메울 필요가 없으며, 패널 본체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배면 측의 성토나 토양이 침하하거나 변형되어도, 추종해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벽면 구조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등으로 일체화시킨 벽면 구조의 보강토 공법과 같이, 배후에 있는 보강 성토의 압밀침하 등이 종식될 때까지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 일도 없어, 배후의 보강 성토와 동시에 벽면 패널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벽면으로 되는 부분을 구축할 때까지의 가설의 벽면재 등도 필요 없고, 게다가, 최종적으로 벽면으로 되는 부분을 구축할 때 지반 등의 가설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 기간의 단축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곡선 시공할 경우, 각 패널 본체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쌓아 올리는 단마다 크기가 다른 사다리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는 구성과 같이, 옹벽 블록이 특수제품으로 되어서, 고가로 되는 일도 없다.
또한, 각 패널 본체는, 패널 본체의 쌍방으로부터 단부가 돌출되어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에 의해, 또는, 패널 본체의 한쪽으로부터 단부가 돌출되어 설치된 연결 부재와 패널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부에 의해서, 상호가 지지되어, 자립가능하기 때문에, 패널 본체를 얇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패널 본체의 재료가 적은 만큼, 패널 본체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자립시키기 위하여 패널 본체를 두껍게 해서, 지진 시 패널 본체의 관성력이 커져, 패널 본체에 연결된 보강재에 큰 힘이 작용하여, 보강 성토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생겨버리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를 구비한 보강 성토 전체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한, 패널 본체가 자립가능하기 때문에, 패널 본체를 자립시키기 위하여 패널 본체를 유지하는 가설 서포트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패널 본체의 쌓아 올리기 작업 효율은 향상된다.
또, 종래의 격자형상 철근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 등의 강제의 벽면 패널과 같이 부식 등의 염려도 없어,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의 식생 토양을 지오그리드로 둘러싸서 벽면을 구성했을 경우와 같이, 화재에 의한 소실 등의 염려도 없어,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본체의 위쪽에 단부가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와 패널 본체의 아래쪽에 단부가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가,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어긋나게 해서 패널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널 본체의 위쪽에 단부가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와 패널 본체의 아래쪽에 단부가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가,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어긋나게 해서 패널 본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시공 시 등에 있어서, 아래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의 바로 위에 위쪽의 패널 본체를 쌓아 올리는 바와 같은 규칙적인 쌓는 방법을 행할 경우, 위쪽의 패널 본체의 연결 부재와 아래쪽의 패널 본체의 연결 부재가 겹쳐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연결 부재가, 패널 본체와 별체로 형성되어, 패널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설 연장 방향이 곡선 시공인 경우, 상하의 패널 본체가 그리는 곡률반경의 차에 의해서 상하의 패널 본체의 상대위치가 변하여, 연결 부재끼리의 충돌이 어디에선가 일어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패널 본체와 별체로 형성되어, 패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충돌하는 연결 부재의 한쪽을 다른 설치 부분으로 교체함으로써 연결 부재끼리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또, 연결 부재와 패널 본체를 각각 제작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어맞춤부가,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를 쌓아 올릴 경우, 아래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와 위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는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상하의 패널 본체의 앞면 측 또는 배면 측의 사이에서 울퉁불퉁함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부의,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미리 형성된 간극에 의해,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가 서로 충돌하는 일없이, 곡선 시공에 의해서 패널 본체를 작업 효율 좋게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은, 연결 부재가, 인접한 패널 본체에 접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를 쌓아 올릴 경우, 아래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와 위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는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상하의 패널 본체의 앞면 측 또는 배면 측 사이에서 울퉁불퉁함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의,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미리 형성된 간극에 의해, 연결 부재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가 서로 충돌하는 일없이, 곡선 시공에 의해 패널 본체를 작업 효율적으로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부재가, 패널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패널 본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재가 개재되어서, 패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의 패널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패널 본체 사이에 조정재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부재의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 사이가 벌어지는 소정의 간격이, 상하의 패널 본체 사이에 생기는 울퉁불퉁함의 크기에 따라서 조정된다. 이 조정에 의해, 연결 부재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가 서로 충돌하는 일없이, 곡선 시공에 의해서 패널 본체를 쌓아 올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걸어맞춤부가,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조정 지그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부가,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조정 지그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므로,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를 비스듬히 쌓아 올릴 경우, 상하의 패널 본체의 배면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도,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의 조정 지그의 출납을 조정함으로써, 상하의 패널 본체를 서로 용이하게 서로 떠받치게 해서 흔들리는 일없이 걸어맞춤할 수 있어, 곡선 시공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 부재가, 인접한 패널 본체에 접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조정 지그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가, 인접한 패널 본체에 접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조정 지그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에 접하므로, 상하의 패널 본체의 배면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도, 인접한 패널 본체에 접하는 걸어맞춤면 측에의 조정 지그의 출납을 조정함으로써, 상하의 패널 본체를 서로 용이하게 서로 떠받치게 해서 흔들거리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곡선 시공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인접한 각 패널 본체의 각 연결 부재를 서로 고정하거나, 또는, 인접한 패널 본체의 한쪽의 연결 부재와 다른 쪽 패널 본체를 서로 고정하거나, 또는, 인접한 각 패널 본체 자체를 서로 고정하는 전도 방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널 본체끼리를 연결 부재를 이용해서 쌓아 올리는 작업에 있어서, 전도 방지재에 의해, 인접한 각 패널 본체의 각 연결 부재, 또는, 인접한 패널 본체의 한쪽의 연결 부재와 다른 쪽 패널 본체, 또는, 인접한 각 패널 본체 자체가 서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가 벽면의 앞면 측에 전도되는, 즉,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시공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은, 연결 부재가 패널 본체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것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의 고정부가, 패널 본체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것, 예를 들어, 패널 본체의 배면 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이나, 패널 본체의 배면 측에 매설되는 성토 보강재나 토양 등에 고정되므로, 연결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패널 본체도 고정되어, 패널 본체가 안정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본체가, 패널 본체의 측면부에 돌출된,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널 본체의 구축 후의 초기 시나, 장기간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지진 시 등에 있어서, 그 배면 측의 성토나 토양 등이 침하하거나 변형되어서 각 패널 본체의 상호위치 관계가 벗어난 경우에도, 패널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재가 완충재로 되어, 각 패널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서 변형됨으로써, 각 패널 본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끼리 충돌하는 일은 없어져, 종래와 같이, 옹벽 블록끼리 직접 서로 충돌함으로써, 옹벽 블록이 결여되거나 파손되어, 옹벽 블록이 구조상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의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한, 패널 본체가 파손되거나, 닳아서 줄어드는 일도 없으므로, 패널 본체가 파손됨으로써 외부에서 보기에도 불안을 주는 일 없어, 미관의 향상에 공헌한다.
또, 본 발명은, 패널 본체가, 한쪽 측면부의 앞면 측이 한쪽의 옆쪽으로 돌출하고, 다른 쪽 측면부의 배면 측이 다른 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 각 패널 본체 간에 한쪽 패널 본체의 앞면 쪽에 돌출하는 측면과, 이것에 이웃하는 다른 쪽 패널 본체의 배면 측에 돌출하는 측면이 겹치므로, 곡선 시공 시에 있어서의 이들 각 측면 간의 클리어런스를 담보하여, 벽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패널 본체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 각 패널 본체 간에 곡선 시공 시에 생기는 약간의 간극은, 한쪽 패널 본체의 앞면 측에 돌출하는 측면과, 이것에 이웃하는 다른 쪽 패널 본체의 배면 측에 돌출하는 측면이 겹침으로써 간극 채움을 실시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배면토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패널 본체의 배후에 배치된 토양이나 성토 등이 직접 패널 본체 정면에서 보이는 일도 없기 때문에, 미관의 향상에도 공헌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하의 옹벽 블록의 부분적인 요철을 맞물리게 해서 쌓아 올리는 구성과 같이, 상하의 옹벽 블록의 위치 관계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서, 옹벽 블록의 요철을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옹벽 블록의 쌓아 올리기 작업을 행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의 쌓아 올리기 작업 효율은 향상된다. 또, 종래의, 옹벽 블록의 무게중심 밸런스에 의해서 자립시키는 구성과 같이, 자립가능한 범위가 블록의 높이와 두께의 비에 좌우되어, 이 치수비로부터 벗어나는 옹벽 블록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의 높이와 두께의 치수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옹벽 블록 간에 발생하는 간극을 간극채움용 콘크리트로 매립할 필요가 없어져,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간극채움용 콘크리트의 박리·파손이 염려될 일도 없다. 또, 간극이 생기지 않고, 간극채움용 콘크리트로 메울 필요가 없으며, 패널 본체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배면 측의 성토나 토양이 침하하거나 변형되어도, 추종해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벽면 구조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등으로 일체화시킨 벽면 구조의 보강토 공법과 같이, 배후에 있는 보강 성토의 압밀침하 등이 종식될 때까지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 일도 없고, 배후의 보강 성토와 동시에 벽면 패널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벽면으로 되는 부분을 구축할 때까지의 가설의 벽면재 등도 필요 없고, 게다가, 최종적으로 벽면으로 되는 부분을 구축할 때 지반 등의 가설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 기간의 단축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 블록이 콘크리트로 굳어져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구성과 같이, 옹벽 블록의 배면 측에 공동이 형성되는 등 해서 옹벽이 약체화할 일도 없다. 또, 종래의, 쌓아 올리는 단마다 크기가 다른 사다리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는 구성과 같이, 옹벽 블록이 특수제품으로 되어서, 고가로 되는 일도 없다. 또한, 패널 본체의 재료가 적은 만큼, 패널 본체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자립시키기 위해서 패널 본체를 두껍게 해서, 지진 시 패널 본체의 관성력이 커져서, 패널 본체에 연결된 보강재에 큰 힘이 작용하여, 보강 성토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생겨 버리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를 구비한 보강 성토 전체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한, 패널 본체가 자립가능하기 때문에, 패널 본체를 자립시키기 위해서 패널 본체를 유지하는 가설 서포트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패널 본체의 쌓아 올리기 작업 효율은 향상된다. 또, 종래의 격자형상 철근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 등의 강제의 벽면 패널과 같이 부식 등의 염려도 없어,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의 식생 토양을 지오그리드로 둘러싸서 벽면을 구성했을 경우와 같이, 화재에 의한 소실 등의 염려도 없어, 내구성이 증가한다.
도 1은 종래의 옹벽 블록의 상하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요철을 맞물리게 한 구성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옹벽 블록의 무게중심 밸런스를 조정함으로써 쌓아 올린 구성의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옹벽 블록이 비스듬히 복수단 물떼새 형상으로 쌓여 올려진 제1옹벽의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옹벽 블록이 비스듬히 복수단 물떼새 형상으로 쌓여 올려진 제2옹벽의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옹벽 블록이 비스듬히 복수단 통줄눈 쌓기에 의해 쌓여 올려진 제3옹벽의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옹벽 블록이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비스듬히 복수단 쌓여 올려진 제4옹벽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으며, (a)는 벽면 패널의 정면도, (b)는 벽면 패널의 배면도, (c)는 벽면 패널의 평면도, (d)는 쌓아 올린 때의 벽면 패널의 측면도;
도 8(a)는 상측의 연결 부재 및 하측의 연결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상측의 연결 부재의 측면도;
도 9(a)는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의 패널 본체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후방 사시도, 도 9(b)는 조정재가 설치된 경우의,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의 패널 본체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을 조립한 벽면의 측면도;
도 11은 조정재가 설치된 경우의,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을 직선 시공으로 조립한 벽면의 측면도;
도 12는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을 곡선 시공으로 조립한 벽면의 평면도;
도 13(a)는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을 곡선 시공으로 조립한 벽면의 측면도이며, 도 13(b)는 도 11에 나타낸 벽면 패널을 곡선 시공으로 조립한 벽면의 측면도;
도 14는 직선 시공 시에 있어서의 도 7에 나타낸 패널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간격 유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도 15는 곡선 시공 시 제1상태에 시공된 도 7에 나타낸 패널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간격 유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도 16은 곡선 시공 시 제2상태에 시공된 도 7에 나타낸 패널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간격 유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의 배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패널 본체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 패널의 배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의 측면도;
도 20(a), (b), (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제1패널 본체의 배면도, 정면도, 측면도 및 밑면도;
도 21은 도 20에서 나타낸 제1패널 본체가 복수단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배면도;
도 22(a), (b), (c) 및 (d)는 도 21에 나타낸 제2패널 본체의 측면도, 배면도, 정면도 및 밑면도;
도 23(a), (b), (c) 및 (d)는 도 21에 나타낸 제3패널 본체의 측면도, 배면도, 정면도 및 밑면도;
도 24(a), (b), (c) 및 (d) 및 (e)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의 평면도, 밑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패널 본체가, 연결 부재 및 걸어맞춤부에 의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 패널의 측면도;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벽면 패널의 배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5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 패널의 일부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6변형예를 나타낸, 벽면 패널의 배후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벽면 패널의 측면도;
도 29(a)는 도 28에 나타낸 패널 본체의 측면도, 도 29(b)는 도 28에 나타낸 벽면 패널의 배면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의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배면구조의 제7변형예를 나타낸, 벽면 패널의 배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벽면 패널의 측면도;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8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1(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9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1(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0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2(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1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2(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2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2(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3의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2(g) 및 (h)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4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3(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5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3(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6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3(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7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4(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8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4(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9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4(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0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5(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1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5(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2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5(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3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5(g) 및 (h)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4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5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6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7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g) 및 (h)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8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i) 및 (j)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9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k) 및 (l)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30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이 일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고, 도 7(a)는 벽면 패널(21)의 정면도, 도 7(b)는 벽면 패널(21)의 배면도, 도 7(c)는 벽면 패널(21)의 평면도, 도 7(d)는 쌓아 올린 때의 벽면 패널(21)의 측면도이다.
벽면 패널(21)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소정 두께의 패널 본체(21a)에, 금속제의 판 형상의 상측의 연결 부재(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의 연결 부재(하측 연결 부재)(24)가 장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는, 패널 본체(21a)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쌍방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연결 부재(23)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배면 상부에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연결 부재(24)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 하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배면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되어 있다.
도 8(a)는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정면도이며, 도 8(b)는 상측 연결 부재(23)의 측면도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에는, 3군데의 구멍(31), (32), (33)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31)에는 너트(34)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너트(34)를 용접하는 것 외에,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철판에 직접 나사산을 새기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8(b) 및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a)에는 2개의 인서트 너트(36)가 매립되어 있고, 상측 연결 부재(23)는, 구멍(32), (33)에 볼트(37), (37)가 끼워 넣어져서 인서트 너트(36), (3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패널 본체(21a)의 배면에 고정된다. 너트(34)에는 보틀(bottle)(35)의 선단부만이 나사결합하고 있다. 하측 연결 부재(24)도 마찬가지로 해서 패널 본체(21a)의 배면에 고정된다.
또, 도 7(a) 내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a)는,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양 측면에 돌출된 간격 유지재(22)를 4개소에 구비하고 있다. 간격 유지재(22)는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지고, 패널 본체(21a)보다도 경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경질 고무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널 본체(21a)는,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방향의 측면의 앞면 측이 좌측 방향의 옆쪽으로 돌출하고, 우측 방향의 측면의 배면 측이 우측 방향의 옆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즉, 패널 본체(21a)는, 한쪽 측면부의 앞면 측이 한쪽의 옆쪽으로 돌출하고, 다른 쪽 측면부의 배면 측이 다른 쪽의 옆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패널 본체(21a)는, 돌출한 앞면 측을 향해서 배면 측으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면(28a)을 좌측 방향의 측면에 지니고, 돌출한 배면 측을 향해서 앞면 측으로부터 경사지는 경사면(28b)을 우측 방향의 측면에 지닌다. 경사면(28b)에는, 간격 유지재(22)와 마찬가지의 간격 유지재(29)를 상하 2군데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쪽의 경사면(28a), (28b) 또는 경사면(28a)에만, 간격 유지재(29)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하의 패널 본체(21a) 간에는,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a)보다도 경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코르크로 이루어진 완충재(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9(a)는,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21)의 패널 본체(21a)가 연결 부재(23), (24)에 의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20)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b)는 도 13(b)에서 후술하는 조정재(38)가 설치된 경우의 벽면(20)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아래쪽으로 적재되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 상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측 연결 부재(23)의 타단부가 위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을 유지하고, 위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하측 연결 부재(24)의 타단부가 아래쪽으로 적재되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각 패널 본체(21a)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이 벽면(20)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끼리가 상하 간의 패널 본체(21a)를 개재해서 서로 반발하므로,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위치에 관계없이, 부벽, 강철대, 서포트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박형의 패널 본체(21a)를 경사진 상태에서 자립시킬 수 있다.
이때, 패널 본체(21a)끼리를 상기한 바와 같이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를 이용해서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도 10(a)의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a)가 벽면(20)의 앞면 쪽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 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0(b)의 측면도 및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전도 방지재(91)가 패널 본체(21a)의 앞면 측에 경사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서, 패널 본체(21a)가 임시 고정될 경우가 있다. 전도 방지재(91)의 선단부는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선단부가 패널 본체(21a)의 최상부에 걸어맞춤하여, 전도 방지재(91)와 패널 본체(21a)가 서로 임시 고정된다. 이 경우, 전도 방지재(91)는, 인접한 각 패널 본체(21a) 자체를 서로 고정한다. 또, 패널 본체(21a)가 전방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도 10(b) 및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패널 본체(21a) 간에서,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를 고정하는 단면 L자형의 전도 방지재(92)가, 패널 본체(21a)의 이면 측에 수평방향에 고정될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전도 방지재(92)는, 인접한 각 패널 본체(21a)의 각 연결 부재(23), (24)를 서로 고정한다. 여기에서, 전도 방지재(92)의 부착 방향은 수평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져도 된다.
또,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진 패널 본체(21a) 중 가장 아래의 패널 본체(21a)의 밑바닥에는, 패널 본체(21a)를 일시적으로 자립시키기 위한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도 방지재(91)로 임시 고정하면서 벽면 패널(21)을 조립할 때, 전도 방지재(91)의 'ㄷ'자 형상 부분의 윗면에, 전도 방지재(91)의 길이를 연장하는, 도 9(b)에 나타낸 막대(101)를 세우고, 이 막대(101)를 벽면 패널 본체(21)의 최상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시켜, 이들 각 막대(101) 사이에 전락 방지용의 로프(rope)를 치도록 해도 된다. 이 로프에 의해, 예를 들어, 10미터 정도의 높이에 쌓여 올려진 벽면(20)의 높은 정상부로부터 작업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벽면 패널(21)의 조립 시에 있어서의 작업원의 안전이 확보된다.
또, 도 10(b)에 나타낸,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21)을 직선 시공으로 조립한 벽면(20)의 측면도와 같이, 직선 시공 시에 있어서는, 벽면 패널(21A), (21B), (21C)의 각 패널 본체(21a)는, 각 배면이 한 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 패널(21B)에 설치된 상측 연결 부재(23)의 볼트(35)가 나사결합한 타단면은, 벽면 패널(21A)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과 하나의 면에 접한다. 또한, 벽면 패널(21B)에 설치된 하측 연결 부재(24)의 볼트(35)가 나사결합한 타단면은, 벽면 패널(21C)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과 하나의 면에 접한다. 이 때문에,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각 타단면과 벽면 패널(21A), (21B), (21C)의 각 패널 본체(21a)의 배면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지 않고, 각 패널 본체(21a)는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떠받쳐져 있다.
또한, 직선 시공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각 타단면과 벽면 패널(21A) 및 (21C)의 각 패널 본체(21a)의 배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지 않으므로,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각 타단면에 나사결합시키는 볼트(35)는 없어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벽면 패널(21)을 직선 시공으로 조립한 벽면(20)은, 패널 본체(21a)와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와의 사이에 조정재(38)가 개재되어서,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21a)와 소정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a)는,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21)을 곡선 시공으로 조립한 벽면(20)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볼트(35), (37)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곡선 시공 시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벽면 패널(21)의 패널 본체(21a)는, 예를 들어, 곡선 형상의 도로를 따라서 곡선을 그려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벽면 패널(21)을 위에서 보았을 경우, 실선으로 표시되는 패널 본체(21a)와, 그 아래의 단에 설치된 점선으로 나타낸 패널 본체(21a)는, 곡선 시공 때문에 벗어나서 배치되어, 제품의 울퉁불퉁함이 생긴다.
이 제품의 울퉁불퉁함에 의해,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벽면 패널(21A), (21B)의 각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위쪽의 벽면 패널(21A)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아래쪽의 벽면 패널(21B)의 패널 본체(21a)보다 벽면(20)의 표면 쪽으로 돌출했을 경우, 그 돌출한 분만큼 하측 연결 부재(23)의 타단부에 나사결합하는 볼트(35)를 돌출시킴으로써, 위쪽의 벽면 패널(21A)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을 상측 연결 부재(23)의 타단부에 의해서 떠받칠 수 있다. 또한,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벽면 패널(21B), (21C)의 각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아래쪽의 벽면 패널(21C)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위쪽의 벽면 패널(21B)의 패널 본체(21a)보다 벽면(20)의 표면 쪽으로 돌출하고 있을 경우, 그 돌출한 분만큼 하측 연결 부재(24)의 타단부에 나사결합하는 볼트(35)를 돌출시킴으로써, 아래쪽의 벽면 패널(21C)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에 하측 연결 부재(24)의 타단부를 걸어맞춤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23), (24)는,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조정 지그를 구성하는 볼트(35)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된다.
또,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품의 출입에 의해, 상하의 벽면 패널(21A), (21B)의 각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아래쪽의 벽면 패널(21B)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위쪽의 벽면 패널(21A)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에서 벽면(20)의 표면 쪽으로 돌출되었을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재(38)가 상측 연결 부재(23)의 일단부와 벽면 패널(21B)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개재됨으로써 그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조정재(38)에 의해서 메워져서 상측 연결 부재(23)가 부착된다. 또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벽면 패널(21B), (21C)의 각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위쪽의 벽면 패널(21B)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아래쪽의 벽면 패널(21C)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에서 벽면(20)의 표면 측에 돌출하고 있을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재(38)가 하측 연결 부재(24)의 일단부와 벽면 패널(21B)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개재됨으로써 그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조정재(38)에 의해서 메워져서 하측 연결 부재(24)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23), (24)가, 도 13(b)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a)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패널 본체(21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재(38)가 개재되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21a)와 소정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설치됨으로써 곡선 시공으로 벽면 패널(21)을 조립할 경우에도,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21a)가 서로 충돌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상측 연결 부재(23) 및 하측 연결 부재(24)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21a)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는 구성은, 전술한 조정재(38)를 개재하는 구성 이외에, 도 32(g), (h) 및 도 36(k), (l)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j), (21q)의 이면부분을 얇게 한 박형부(71)를 설치하는 구성이나, 도 32(a), (b) 및 도 36(e), (f)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3b), (24b)가 절곡되는 구성, 도 33 (a), (b) 및 도 36(c), (d)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k), (21e)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 부재(23e), (24e)가 일체 성형되는 구성 등을 사용해도 된다.
도 14는 직선 시공 시에 있어서의 패널 본체(21a)의 측면에 형성된 간격 유지재(22), (29)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4(a)는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 도 14(b)는 그 정면도이다.
성토나 토양 등의 침하·변형에 대응하여, 패널 본체(21a) 간의 간격이 좁아졌을 경우, 패널 본체(21a)끼리 직접 부딪쳐, 결함이나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패널 본체(21a)의 측면 및 경사면(28b)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격 유지재(22), (29)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직선 시공 시에서는, 각 패널 본체(21a)는 평행하게 나열되어 있으므로, 주로 벽면(20)의 앞면 측의 간격 유지재(22)가 인접한 패널 본체(21a)의 측면에 접촉해서 완충재로 된다.
도 15 및 도 16은 곡선 시공 시에 있어서의 패널 본체(21a)의 측면에 형성된 간격 유지재(22), (29)를 나타낸 도면으로, 각 부분도 (a)는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위쪽에서 본 평면도, 각 부분도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15는, 곡선 시공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패널 본체(21a) 간의 간극의 간격이 위쪽으로 감에 따라 작아져서 일본 가나의 'ハ'자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그 접촉 개소가 벽면(20)의 앞면 측에 돌출되어 곡선을 그렸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패널 본체(21a) 간의 거리는, 패널 본체(21a)의 측면 하부보다 측면 상부쪽이 짧아지는 동시에, 측면 배면 측이 짧아진다. 이 때문에, 각 패널 본체(21a)는, 패널 본체(21a) 상부에 있어서, 이 상부의 경사면(28b)에 형성된 간격 유지재(29) 및 간격 유지재(22)가 접촉하게 되어, 완충재로 된다.
도 16은, 곡선 시공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패널 본체(21a) 간의 간극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서 작아져서 역ハ자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그 접촉 개소가 벽면(20)의 배면 측으로 돌출되어 곡선을 그렸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패널 본체(21a) 간의 거리는, 패널 본체(21a)의 측면 상부에서 측면 하부쪽이 짧아지는 동시에, 측면 앞면 쪽이 짧아진다. 이 때문에, 각 패널 본체(21a)는, 패널 본체(21a) 하부에 있어서 이 하부 앞면 측의 간격 유지재(22)가 접촉하게 되어, 완충재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패널 본체(21a)를 복수단 비스듬히 쌓아 올릴 때, 패널 본체(21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된 연결 부재(23), (24)에 의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상하의 패널 본체(21a)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에서 서로 떠받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21a)를 쌓아 올릴 때,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위치 관계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고려하는 일없이, 각 단마다 패널 본체(21a)를 끝에서부터 채워서 쌓아 올라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상하의 옹벽 블록의 부분적인 요철을 맞물리게 해서 쌓아 올리는 구성과 같이, 상하의 옹벽 블록의 위치 관계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서, 옹벽 블록의 요철을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옹벽 블록의 쌓아 올리기 작업을 행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21a)의 쌓아 올리기 작업 효율은 향상된다.
또, 종래의, 옹벽 블록의 무게중심 밸런스에 의해서 자립시키는 구성과 같이, 자립가능한 범위가 블록의 높이와 두께의 비에 좌우되어, 이 치수비로부터 벗어나는 옹벽 블록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21a)의 높이와 두께의 치수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된 연결 부재(23), (24)에 의해, 상하의 패널 본체(21a)를 원하는 위치에서 서로 유지하게 할 수 있고,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위치 관계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21a)를 비스듬히 쌓아 올릴 경우,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의 각 패널 본체(21a) 간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부설할 수 있어, 패널 본체(21a)의 각 단의 곡률반경의 차이의 누적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의 패널 본체(21a) 간의 간격은 패널 본체(21a) 그 자체의 높이 분량의 곡률반경의 차이만의 분량으로 되어, 미소한 간극밖에 생기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옹벽 블록 간에 발생하는 간극을 간극채움용 콘크리트로 메울 필요가 없어져,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간극채움용 콘크리트의 박리·파손이 염려되는 일도 없다. 또, 간극이 생기지 않고, 간극채움용 콘크리트로 메울 필요가 없어, 패널 본체(21a)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배면 측의 성토나 토양이 침하하거나 변형되어도, 추종해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한 벽면 구조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등으로 일체화시킨 벽면 구조의 보강토 공법과 같이, 배후에 있는 보강 성토의 압밀침하 등이 종식될 때까지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 일도 없어, 배후의 보강 성토와 동시에 벽면 패널(21)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벽면으로 되는 부분을 구축할 때까지의 가설의 벽면재 등도 필요 없고, 게다가, 최종적으로 벽면으로 되는 부분을 구축할 때 지반 등의 가설공사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시공 기간의 단축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곡선 시공할 경우, 각 패널 본체(21a)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쌓아 올리는 단마다 크기가 달랐던 사다리꼴의 옹벽 블록을 사용하는 구성과 같이, 옹벽 블록이 특수제품으로 되어서, 고가로 되는 일도 없다.
또, 각 패널 본체(21a)는, 패널 본체(21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된 연결 부재(23), (24)에 의해, 상호가 서로 떠받쳐, 자립가능하기 때문에, 패널 본체(21a)를 얇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패널 본체(21a)의 재료가 적은 만큼, 패널 본체(21a)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립시키기 위해서 패널 본체(21a)를 두껍게 해서, 지진 시 패널 본체(21a)의 관성력이 커져, 패널 본체(21a)에 연결된 보강재에 큰 힘이 작용하여, 보강 성토 전체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생겨 버리는 일도 없어, 패널 본체(21a)를 구비한 보강 성토 전체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한, 패널 본체(21a)가 자립가능하기 때문에, 패널 본체(21a)를 자립시키기 위해서 패널 본체(21a)를 유지하는 가설 서포트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패널 본체(21a)의 쌓아 올리기 작업 효율은 향상된다.
또, 종래의 격자형상 철근철망이나 익스팬디드 메탈 등의 강제의 벽면 패널(21)과 같이 부식 등의 염려도 없어,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의 식생 토양을 지오그리드로 둘러싸서 벽면을 구성했을 경우와 같이, 화재에 의한 소실 등의 염려도 없어,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21a)를 쌓아 올릴 경우, 아래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21a)와 위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21a)는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앞면 측 또는 배면 측의 사이에서 울퉁불퉁함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연결 부재(23), (24)의,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21a)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미리 형성된 간극에 의해, 연결 부재(23), (24)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21a)가 서로 겹치는 일 없이, 곡선 시공에 의해서 패널 본체(21a)를 작업 효율적으로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연결 부재(23), (24)의 패널 본체(21a)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패널 본체(21a) 사이에 조정재(38)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부재(23), (24)의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21a) 사이에 벌어지는 소정의 간격이,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사이에 생기는 울퉁불퉁함의 크기에 따라서, 조정된다. 이 조정에 의해, 연결 부재(23), (24)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21a)가 서로 충돌하는 일없이, 곡선 시공에 의해서 패널 본체(21a)를 쌓아 올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연결 부재(23), (24)가,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볼트(35)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되므로,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배면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도, 인접한 패널 본체(21a)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의 볼트(35)의 출납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상하의 패널 본체(21a)를 서로 용이하게 서로 떠받치게 해서 흔들리는 일 없이 고정시킬 수 있어, 곡선 시공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패널 본체(21a)끼리를 연결 부재(23), (24)를 이용해서 쌓아 올리는 작업에 있어서, 전도 방지재(91), (92)에 의해, 인접한 각 패널 본체(21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각 연결 부재(23), (24), 또는, 인접하는 복수의 패널 본체(21a) 자체가 서로 고정된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21a)가 벽면(20)의 앞면 측으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공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패널 본체(21a)의 구축 후의 초기 시나, 장기간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지진 시 등에 있어서, 그 배면 측의 성토나 토양 등이 침하하거나 변형되어 각 패널 본체(21a)의 상호 위치 관계가 벗어난 경우에도, 패널 본체(21a)의 측면에 구비된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재(22), (29)가 완충재로 되어, 각 패널 본체(21a)에 가해지는 부하에 따라서 변형됨으로써, 각 패널 본체(21a)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21a)끼리 충돌하는 일은 없어져, 종래와 같이, 옹벽 블록끼리가 직접 서로 충돌하는 것에 의해, 옹벽 블록이 결여되거나 파손되어, 옹벽 블록이 구조상의 조건을 만족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없어, 패널 본체(21a)의 내구성이 증가한다. 또한, 패널 본체(21a)가 파손되거나, 닳아서 줄어드는 일도 없으므로, 패널 본체(21a)가 파손됨으로써 외부에서 보기에도 불안을 주는 일도 없어, 미관의 향상에 공헌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 각 패널 본체(21a) 간에 한쪽 패널 본체(21a)의 앞면 쪽으로 돌출하는 측면과, 이것에 이웃하는 다른 쪽 패널 본체(21a)의 배면 쪽으로 돌출하는 측면이 겹치므로, 곡선 시공 시에 있어서의 이들 각 측면 간의 클리어런스를 담보하여, 벽면에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의 패널 본체(21a)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 각 패널 본체(21a) 간에 곡선 시공 시 생기는 약간의 간극은, 한쪽 패널 본체(21a)의 앞면 쪽으로 돌출하는 측면과, 이것에 이웃하는 다른 쪽 패널 본체(21a)의 배면 쪽으로 돌출하는 측면이 겹침으로써, 간극채우기를 실시하지 않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배면토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패널 본체(21a)의 배후에 배치된 토양이나 성토 등이 직접 패널 본체(21a) 정면에서 보이는 일도 없기 때문에, 미관의 향상에도 공헌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21a)의 배면도이다.
이 제1변형예에서는, 패널 본체(21a)의 일단부에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23)와 패널 본체(21a)의 타단부에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24)는,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어긋나게 해서 패널 본체(2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에,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37)로 나사결합해서 4개의 연결 부재(23), (24)를 고정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36a)가 8개소 메워 넣어져 있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이 8개소에 부가해서, 더욱 4군데의 인서트 너트(36a)가 패널 본체(21a)의 배면의 하부에 메워 넣어져 있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패널 본체(21a)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20)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연결 부재(23), (24)는, 패널 본체(21a)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되지만, 여기에서는, 연결 부재(23), (24)는, 패널 본체(21a)와 별체로 형성되어, 패널 본체(21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패널 본체(21a)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진 때,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의 패널 본체(21a)와 하부의 패널 본체(21a)의 연결 부재(23), (24)가 겹쳐서, 충돌해버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24)를 일단 빼내서, 인서트 너트(36a)가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장소로 이 연결 부재(24)를 이동시켜, 볼트(37)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연결 부재(24)를 패널 본체(21a)에 고정한다.
상기 제1변형예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패널 본체(21a)의 일단부에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23), (24)와 패널 본체(21a)의 타단부에 돌출 설치된 연결 부재(23), (24)가,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어긋나게 해서 패널 본체(21a)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시공 시 등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적재되는 패널 본체(21a)의 바로 위에 위쪽의 패널 본체(21a)를 쌓아 올리는 바와 같은 규칙적인 쌓는 방법을 행할 경우, 위쪽의 패널 본체(21a)의 연결 부재(23), (24)와 아래쪽의 패널 본체(21a)의 연결 부재(23), (24)가 겹쳐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변형예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부설 연장 방향이 곡선 시공의 경우, 상하의 패널 본체(21a)가 그리는 곡률반경의 차이에 의해서 상하의 패널 본체(21a)의 상대위치가 변하고, 연결 부재(23), (24)끼리의 충돌이 어디에선가 생길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부재(23), (24)가, 패널 본체(21a)와 별체로 형성되어, 패널 본체(21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므로, 충돌하는 연결 부재(23), (24)의 한쪽을 다른 부착 부분으로 교체함으로써 연결 부재(23), (24) 상호 간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3), (24)와 패널 본체(21a)를 각각 제작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21a)의 측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 본체(21a)의 배면과 상측 연결 부재(23) 사이에, 1개의 조정재(38)가 개재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변형예에서는,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로 분할된 조정 부재(38a), (38b)가 상측 연결 부재(23)의 일단부와 패널 본체(21a)의 배면 사이에 개재된다. 또, 도 19(b)는, 도 13(b)에 나타낸 상측 연결 부재(23) 및 조정재(38)를 일체화해서 반전시켜, 상측 연결 부재(23)의 일단부가 패널 본체(21a)의 배면과 접하여, 간극을 없애서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상측 연결 부재(23) 및 조정재(38)를 반전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상측 연결 부재(23)와 패널 본체(21a)의 배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거나 없애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23), (24)에 너트(34)가 용접되어 있는 구성이었지만, 이 변형예에서는, 연결 부재(23), (24)의 구멍(h)에 탭(tap)을 이용해서 나사산을 새기고, 이 구멍(h)에 볼트(35)를 나사결합시키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제3변형예를 나타낸, 제1패널 본체(2lb)의 사면도이다. 도 20(a)는 제1패널 본체(2lb)의 배면도, 도 20(b)는 제1패널 본체(2lb)의 정면도, 도 20(c)는 제1패널 본체(2lb)의 측면도, 도 20(d)는 제1패널 본체(2lb)의 밑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제1패널 본체(2lb)가 복수단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상측 연결 부재(23)가, 패널 본체(21a)의 배면 상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배면 상부에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되며, 2개의 하측 연결 부재(24)가, 패널 본체(21a)의 배면 하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배면 하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a)에 설치되어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변형예에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연결 부재(25)는, 각 타단부가 배면 상부 및 배면 하부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lb)에 설치되고, 다른 2개의 연결 부재(25)의 각 타단부가 배면 우측부 및 배면 좌측부로부터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lb)에 설치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패널 본체(2lb)를 복수단 쌓아 올려서 벽면을 구축할 때, 이 벽면의 끝에 설치되는 제2, 제3패널 본체(21c), (21d)는, 도 22, 도 23에 나타낸 삼각형상으로 된다. 여기에서, 도 22(a)는 제2패널 본체(21c)의 측면도, 도 22(b)는 제2패널 본체(21c)의 배면도, 도 22(c)는 제2패널 본체(21c)의 정면도, 도 22(d)는 제2패널 본체(21c)의 밑면도이다. 도 23(a)는 제3패널 본체(21d)의 측면도, 도 23(b)는 제3패널 본체(21d)의 배면도, 도 23(c)는 제3패널 본체(21d)의 정면도, 도 23(d)는 제3패널 본체(21d)의 밑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제4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21e)의 5면도이다. 도 24(a)는 패널 본체(21e)의 평면도, 도 24(b)는 패널 본체(21e)의 밑면도, 도 24(c)는 패널 본체(21e)의 측면도, 도 24(d)는 패널 본체(21e)의 정면도, 도 24(e)는 패널 본체(21e)의 배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패널 본체(21a)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쌍방으로부터 연결 부재(23), (24)가 돌출하는 구성이었지만, 이 제4변형예의 벽면 패널은, 패널 본체(21e)와, 패널 본체(21e)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한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패널 본체(21e)에 설치된 연결 부재(23)와, 패널 본체(21e)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인접한 패널 본체(21e)의 타단부 또는 일단부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51)를 구비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연결 부재(23)는 패널 본체(21e)의 한쪽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걸어맞춤부(51)는 패널 본체(21e)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쌍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패널 본체(21e)가 연결 부재(23) 및 걸어맞춤부(51)에 의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벽면의 배면도이다. 패널 본체(21e)끼리를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도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상하의 패널 본체(21e)의 걸어맞춤부(51) 상호 간을 합쳐서, 쌓아 올린다. 이때, 각 연결 부재(23)는,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볼트(35)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고, 도 25 (a)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상하의 패널 본체(21e)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진다. 또한, 직선 시공 시와 같이, 배면이 하나의 면으로 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볼트(35) 및 조정재(38)를 이용하지 않고 패널 본체(21e)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진다.
또,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벽면 패널이, 상하에 인접한 패널 본체(21e)의 아래쪽의 한쪽의 연결 부재(23)와, 위쪽의 다른 쪽 패널 본체(21e)를 서로 고정하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전도 방지재(92)와 같은 전도 방지재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패널 본체(21e)끼리를 연결 부재(23) 및 걸어맞춤부(51)를 이용해서 쌓아 올리는 작업에 있어서, 전도 방지재에 의해, 패널 본체(21e)가 벽면의 앞면 쪽으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공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4변형예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패널 본체(21e)를 복수단 비스듬히 쌓아 올릴 때, 패널 본체(21e)의 한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연결 부재(23)와 패널 본체(21e)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된 걸어맞춤부(51)에 의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상하의 패널 본체(21e)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원하는 위치에서 서로 떠받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패널 본체(21e)를 쌓아 올릴 때, 상하의 패널 본체(21e)의 위치 관계를 부설 연장 방향에 있어서 고려하는 일 없이, 각 단마다 패널 본체(21e)를 끝에서부터 채워서 쌓아 올려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4변형예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해서도, 전술한 도 7에 나타낸 벽면 패널(21)로 구성되는 실시형태로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제5변형예를 나타낸, 패널 본체(21e)가 복수단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구성된 벽면의 일부측면도이다.
상기 제4변형예에서는, 도 2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51)는,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51)이 인접한 패널 본체(21e)와 소정의 간격이 벌어져 있지 않았지만, 이 제5변형예에서는, 걸어맞춤부(51)는,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21e)와 소정의 간격(52)이 벌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인접한 패널 본체(21e)끼리는, 인서트 너트(36b)에 나사결합하는 볼트(35)의 선단부에 의해 서로 걸어맞춤되어 있다.
상기 제5변형예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를 쌓아 올릴 경우, 아래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21e)와 위쪽에 적재되는 패널 본체(21e)는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고, 상하의 패널 본체(21e)의 앞면 측 또는 배면 측의 사이에서 울퉁불퉁함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부(51)의,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21e)와 소정의 간격(52)이 벌어지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미리 형성된 간극에 의해, 걸어맞춤부(51)의 걸어맞춤면과 인접한 패널 본체(21e)가 서로 충돌하지 않아, 곡선 시공에 의해 패널 본체(21e)를 작업 효율적으로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5변형예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걸어맞춤부(51)가,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조정 지그인 볼트(35)를 개재해서,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므로, 곡선 시공으로 패널 본체(21e)를 비스듬히 쌓아 올릴 경우, 상하의 패널 본체(21e)의 배면이 하나의 면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도,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 측에의 볼트(35)의 출납을 조정함으로써, 상하의 패널 본체(21e)를 서로 용이하게 서로 떠받치게 해서 흔들리는 일없이 걸어맞춤할 수 있어, 곡선 시공의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제6변형예를 나타낸, 벽면 패널(21)의 배후에 콘크리트(60)가 타설된 벽면 패널(21)의 측면도이다.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23), (24)는, 패널 본체(21a)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것에 고정되는 L자형의 고정부(23i), (24i)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23i), (24i)의 형상은 L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자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 상하의 패널 본체(21a) 간에는 지수재(62)가 설치되어 있다. 패널 본체(21a)의 배면 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했을 경우, 고정부(23i), (24i)는 L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부(23i), (24i), 고정부(23i), (24i)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부재(23), (24) 및 패널 본체(21a)는, 콘크리트(60)에 확실히 고정된다. 또한, 벽면 패널(21)의 상하의 패널 본체(21a) 간에 지수재(62)를 설치하지 않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벽면 패널(21)의 배후에 있는 콘크리트(60) 대신에 경량 콘크리트나, 성토, 토양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60)의 배후에 성토나 지산(地山)(63)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9(a)는 도 28에 나타낸 패널 본체(21a)의 단체의 측면도, 도 29(b)는 도 28에 나타낸 벽면 패널(21)의 배면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의 측면도이다.
도 29(a)에 나타낸 고정부(23i), (24i)를 구비한 패널 본체(21a)가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단 쌓여 올려진 후, 패널 본체(21a)의 배면 측에 콘크리트(60)를 타설한다. 이 패널 본체(21a)의 배면 측에 콘크리트(60)를 타설하는 과정은 몇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회째의 콘크리트(60)의 타설에서는, 선 A까지 콘크리트(60)가 타설되고, 가장 낮은 패널 본체(21a)의 고정부(23i)의 하부 및 둘째 단의 패널 본체(21a)의 하측의 연결 부재(24)의 선단부는, 콘크리트(60)에 의해 매설되어서 고정되어, 패널 본체(21a)가 앞면으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가장 아래의 패널 본체(21a)의 고정부(23i) 및 둘째 단의 패널 본체(21a)의 하측의 연결 부재(24)의 선단부가 콘크리트로 강고하게 고정된 후, 다음에 일점 쇄선 B까지 콘크리트(60)가 타설되어서, 2번째로 낮은 둘째 단의 패널 본체(21a)의 고정부(24i)의 상부 및 고정부(23i)의 하부, 및 3단째의 패널 본체(21a)의 하측의 연결 부재(24)의 선단부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60)에 의해 매설되어서 고정된다. 선 A까지의 콘크리트(60)의 타설에 의해 패널 본체(21a)의 하측의 연결 부재(24)의 선단부가 고정됨으로써, 일점 쇄선 B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둘째 단의 패널 본체(21a)가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전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6변형예에 의한 벽면 패널(21)에 의하면, 연결 부재(23), (24)의 고정부(23i), (24i)가, 패널 본체(21a)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것, 예를 들어, 패널 본체(21a)의 배면 측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60) 등의 구조물이나, 패널 본체(21a)의 배면 측에 매설되는 성토나 토양 등에 고정되므로, 연결 부재(23), (24)가 설치되어 있는 패널 본체(21a)도 고정된다. 또, 벽면 패널(21)의 배후에 콘크리트나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종래, 패널 본체(21a)의 자립이나,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로서 이용되던 H강철 등으로 이루어진 서포트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21)의 제7변형예를 나타낸, 벽면 패널(21)의 배후에 콘크리트(60)가 타설된 벽면 패널(21)의 측면도이다. 또, 도 30에 있어서 도 28 및 도 29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패널 본체(21f)는, 도 27에 나타낸 패널 본체(21e)와 마찬가지로, 인접한 패널 본체(21f)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51)를 구비하고 있고, 패널 본체(21f)의 배면의 상부에는 연결 부재(23) 및 고정부(23i)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7변형예에 있어서는, 콘크리트(60)의 타설 시, 상기 제6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4)의 선단부가 콘크리트(60)에 매설되어서 고정됨으로써 연결 부재(24)가 설치된 선단부의 패널 본체(21a)가 앞면으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는 작용·효과는 발휘되지 않지만, 다른 점에 관해서는, 상기 제6변형예와 같은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도 31(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8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1(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9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1(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0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23), (24)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 설치되어 있었지만, 연결 부재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1(a), (b)에 나타낸 제8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3a), (24a) 3개가 패널 본체(21a)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연결 부재(23a), (24a)는, 도 7(b)에 나타낸 연결 부재(23), (24)보다 폭이 넓고 두꺼운 콘크리트나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도 31(c) 및 (d)에 나타낸 제9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3)가 패널 본체(21g)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패널 본체(21g)의 상부 및 하부에는, 오목 형상 및 이것에 끼워맞춤되는 판 형상의 걸어맞춤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1(e) 및 (f)에 나타낸 제10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4) 2개가 패널 본체(21h)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와 마찬가지의 걸어맞춤부(51a)가 패널 본체(21h)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32(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1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2(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2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2(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3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2(g) 및 (h)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4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부재(23), (24)는,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재(38)를 개재해서, 패널 본체(21a)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조정재(38)를 개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연결 부재(23), (24)와 패널 본체(21a)가 소정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2(a), (b)에 나타낸 제11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3b), (24b)가 절곡되어 있고, 일단부가 패널 본체(21i) 내부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32(c) 및 (d)에 나타낸 제12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3), (24)의 일단부가 상자 형상의 고정 부재(70)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32(e) 및 (f)에 나타낸 제13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p)가 직방체로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32(g), (h)에 나타낸 제14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j)의 상하 2군데의 이면부분을 얇게 한 박형부(71)를 설치하고, 연결 부재(23), (24)의 인접한 패널 본체(21j)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21j)와 소정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도 33(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5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3(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6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3(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7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또, 도 33(a), (b)에 나타낸 제15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k)에 연결 부재(23e), (24e)가 접합부(72)를 개재해서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볼트도 필요 없이, 패널 본체(21k)에 연결 부재(23e), (24e)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3(c) 및 (d)에 나타낸 제16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l)의 높이보다 긴 연결 부재(23c)가 패널 본체(21l)에 접합부(73)를 개재해서 일체 성형되어도 된다. 또, 도 33(e) 및 (f)에 나타낸 제17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m)의 높이보다 긴 연결 부재(23d)를 볼트(37)로 고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34(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8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4(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19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4(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0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전술한 제4변형예에서는, 패널 본체(21e)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걸어맞춤부(51)를 구비하고, 또, 연결 부재(23)는 패널 본체(21e)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었지만,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4(a) 및 (b)에 나타낸 제18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4)가 패널 본체(21e)의 하부에 설치되고, 걸어맞춤부(51)가 패널 본체(21e)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34(c) 및 (d)에 나타낸 제19변형예와 같이, 상부 및 하부에 요철을 갖는 걸어맞춤부(51b)가 설치되고, 연결 부재(23)가 패널 본체(21n)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34(e) 및 (f)에 나타낸 제20변형예와 같이, 도 34(c) 및 (d)의 연결 부재(23)의 위치가 상하 반대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34(a) 내지 (f)에 있어서, 걸어맞춤부(51), (51b)는, 인접한 패널 본체(21)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패널 본체(21)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설치되어 있고, 인접한 패널 본체(21)를 흔들리는 일없이 걸어맞춤시키기 위한 조정 지그를 구성하는 볼트(35)가 인서트 너트(36b)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35(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1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5(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2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5(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3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5(g) 및 (h)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4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5(a), (b)에 나타낸 제21변형예와 같이, 도 34(c), (d)의 벽면 패널로부터 조정재(38)를 제거하고, 그 걸어맞춤부(51b)와 요철의 위치가 상하 반대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35(c), (d)에 나타낸 제22변형예와 같이, 도 34(e), (f)의 벽면 패널로부터 조정재(38)를 제거하여, 그 걸어맞춤부(51b)와 요철의 위치가 상하 반대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35(e), (f)에 나타낸 제23변형예, 도 35(g), (h)에 나타낸 제24변형예와 같이 도시한 바와 같은 걸어맞춤부(51c)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도 36(a) 및 (b)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5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c) 및 (d)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6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e) 및 (f)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7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g) 및 (h)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8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i) 및 (j)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29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6(k) 및 (l)은 본 발명에 의한 벽면 패널의 제30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36(a) 및 도 36(b)에 나타낸 제25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e)의 상부에 폭이 넓고 두꺼운 콘크리트나 고무,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23a)를 설치하고, 하부는 볼트(35) 및 인서트 너트(36b)를 이용해서 걸어맞춤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36(c) 및 도 36(d)에 나타낸 제26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e)의 상부에 마찬가지의 연결 부재(23e)를 일체 성형하고, 하부는 볼트(35) 및 인서트 너트(36b)를 이용해서 걸어맞춤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36(e) 및 도 36(f)에 나타낸 제27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e) 내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절곡된 연결 부재(23b)를 설치하고, 하부는, 볼트(35) 및 인서트 너트(36b)를 이용해서 걸어맞춤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36(g) 및 도 36(h)에 나타낸 제28변형예와 같이, 연결 부재(23)의 일단부를 고정 부재(70)로 고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패널 본체(21e)의 하부에는, 인접한 패널 본체(21e)에 걸어맞춤하기 위한 볼트(35) 및 인서트 너트(3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6(i) 및 도 36(j)에 나타낸 제29변형예와 같이, 패널 본체(21e)의 상부에 연결 부재(23)를 설치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걸어맞춤부(51)를 상부 및 하부에 구비하는 패널 본체(21e)의 하부에, 대략 L자형의 지지 부재(50)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도 36(k) 및 도 36(l)에 나타낸 제30변형예와 같이, 상기 패널 본체(21e)의 상부의 이면부분을 얇게 한 박형부(71)를 설치한 패널 본체(21q)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36(a) 내지 도 36(k)의 패널 본체(21e), (21q)는, 인접한 패널 본체(21)의 타단부 또는 일단부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51)를 구비하고 있다.

Claims (13)

  1. 벽면 배면쪽으로 경사져서 아래쪽에 적재된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의,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벽면 배면쪽으로 경사져서 위쪽에 적재된 패널 본체의 배면에 접하여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하는 동시에,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에 설치된 연결 부재의,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에 접하여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을 가압해서,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본체가 벽면 배면 쪽으로 경사지는 것에 의해서 발생하는,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의 벽면 배면 쪽으로 쓰러지는 힘이 각 상기 연결 부재를 개재해서 위쪽 및 아래쪽에 적재된 각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에서 입수되어 위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가 아래쪽에 적재된 상기 패널 본체 상에 자립하여, 인접하는 위쪽 및 아래쪽에 적재된 각 상기 패널 본체가 복수단으로 비스듬히 쌓여 올려져서 벽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의 위쪽에 단부가 돌출 설치된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패널 본체의 아래쪽에 단부가 돌출 설치된 상기 연결 부재는, 일방향에 있어서 서로 일치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어긋나게 해서 상기 패널 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패널 본체와 별체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인접한 상기 패널 본체에 접하는 걸어맞춤면이 인접한 상기 패널 본체와 소정의 간격이 생기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패널 본체에 부착되는 부착면과 상기 패널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소정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재가 개재되어서, 상기 패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인접한 상기 패널 본체에 접하는 걸어맞춤면 측에 출입 가능한 조정 지그를 개재해서 인접한 상기 패널 본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한 각 상기 패널 본체의 각 상기 연결 부재를 서로 고정하거나, 또는, 인접한 상기 패널 본체의 한쪽의 상기 연결 부재와 다른 쪽의 상기 패널 본체를 서로 고정하거나, 또는, 인접한 각 상기 패널 본체 자체를 서로 고정하는 전도(轉倒) 방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패널 본체의 배면 측에 설치되는 것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상기 패널 본체의 측면부에 돌출된, 탄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는, 한쪽의 측면부의 앞면 측이 한쪽의 옆쪽에 돌출하고, 다른 쪽의 측면부의 배면 측이 다른 쪽의 옆쪽에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패널.
KR1020127006148A 2009-09-25 2009-09-25 벽면 패널 KR101472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6682 WO2011036771A1 (ja) 2009-09-25 2009-09-25 壁面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788A KR20120041788A (ko) 2012-05-02
KR101472191B1 true KR101472191B1 (ko) 2014-12-12

Family

ID=43795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148A KR101472191B1 (ko) 2009-09-25 2009-09-25 벽면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54453B2 (ko)
KR (1) KR101472191B1 (ko)
CN (1) CN102510919B (ko)
WO (1) WO2011036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6997B2 (ja) * 2011-04-28 2015-10-21 晋市 湯田 壁面構築方法
JP5869131B2 (ja) * 2012-08-08 2016-02-24 晋市 湯田 壁面構築方法および壁面構造
KR200468018Y1 (ko) * 2013-05-27 2013-07-22 김병수 옹벽용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의 고정장치
CN107201703B (zh) * 2017-08-01 2023-07-11 四川睿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地震区路基支挡减震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518717A (zh) * 2018-11-16 2019-03-26 江苏科技大学 一种装配式挡土墙及施工方法
JP2022020018A (ja) * 2020-07-18 2022-01-28 田中鉄筋工業株式会社 組立擁壁
JP6831982B1 (ja) * 2020-07-31 2021-02-24 株式会社協和エクシオ パラペット吊り下げ式アンテナ架台
CN117127557B (zh) * 2023-10-08 2024-04-16 湖北宇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定制型联锁生态护坡砖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6143U (ko) * 1987-05-06 1988-11-15
JP2003119704A (ja) * 2001-10-09 2003-04-23 Yao Seisakusho:Kk 透水性ブロック
JP2005113543A (ja) * 2003-10-09 2005-04-28 Bridgestone Corp コンクリ−トパネル壁面材の組立構造
KR100765347B1 (ko) * 2006-05-23 2007-10-09 야와라 구마가이 보강토 옹벽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403Y2 (ko) * 1986-04-18 1992-02-21
JPH08165727A (ja) * 1992-03-24 1996-06-25 Takeshige Shimonohara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JPH08158350A (ja) * 1994-12-09 1996-06-18 Chichibu Onoda Cement Corp 壁体の構築方法
JP4412572B2 (ja) * 2001-02-21 2010-02-10 株式会社インバックス 外壁ユニッ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および同構造物の施工方法
JP3902036B2 (ja) * 2002-03-19 2007-04-04 新興工材株式会社 両側に擁壁を有する構築体
CN2903184Y (zh) * 2005-06-01 2007-05-23 卢竹生 自扣式钢筋砼预制块挡土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6143U (ko) * 1987-05-06 1988-11-15
JP2003119704A (ja) * 2001-10-09 2003-04-23 Yao Seisakusho:Kk 透水性ブロック
JP2005113543A (ja) * 2003-10-09 2005-04-28 Bridgestone Corp コンクリ−トパネル壁面材の組立構造
KR100765347B1 (ko) * 2006-05-23 2007-10-09 야와라 구마가이 보강토 옹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788A (ko) 2012-05-02
CN102510919A (zh) 2012-06-20
JPWO2011036771A1 (ja) 2013-02-14
JP5254453B2 (ja) 2013-08-07
WO2011036771A1 (ja) 2011-03-31
CN102510919B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191B1 (ko) 벽면 패널
US20190127941A1 (en) Sheet pile retaining wall system
US4000622A (en) Shoring structure for embankments
US10094088B1 (en) Sheet pile retaining wall system
KR100764135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JP4851881B2 (ja) 盛土構造物及び盛土構造物の補強方法
JP5437149B2 (ja) 擁壁土留構造体とその設置方法
KR101006963B1 (ko) 보강재 및 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28743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JP5622823B2 (ja) 岸壁の構築
JP2016205051A (ja) 構造物の施工方法
CN111270678A (zh) 一种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05029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구조
KR102059470B1 (ko) 기초 보강용 다각 팽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JP3133615U (ja) 外壁コンクリート型枠パネル
KR102190256B1 (ko) 이중 전단키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JP2006083697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壁面ブロック
JP5748998B2 (ja) 壁面構造
KR20090116140A (ko)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기초, 그 시공방법 및 교각과기초의 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JP6279892B2 (ja) 壁面構築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の構築方法
KR102016974B1 (ko) 소일 네일 정착 및 횡결속 구성의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옹벽
KR102376019B1 (ko) 파형 강판 벽체
JP5869131B2 (ja) 壁面構築方法および壁面構造
JP7197841B2 (ja) プレキャスト製基礎ブロック
KR200348780Y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낙석 방지 터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18

Effective date: 2014080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