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347B1 - 보강토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347B1
KR100765347B1 KR1020060070755A KR20060070755A KR100765347B1 KR 100765347 B1 KR100765347 B1 KR 100765347B1 KR 1020060070755 A KR1020060070755 A KR 1020060070755A KR 20060070755 A KR20060070755 A KR 20060070755A KR 100765347 B1 KR100765347 B1 KR 10076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protrusion
soil retaining
cu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와라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야와라 구마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와라 구마가이 filed Critical 야와라 구마가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補强土)(보강 성토(盛土)) 공법에 있어서, 조립된 옹벽면이 유연성을 가지는 보강토 옹벽 조립 구조를 제공한다.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고,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돌출부의 측면과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돌출부의 두께를 상기 커팅부의 홈폭보다 작게 하고, 간극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약간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도록 한 보강토 옹벽 구조이다.
보강토, 옹벽, 유연성, 돌출부, 간극.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구조{WALL STRUCTURE FOR REINFORCEMENT GROUN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보강토 옹벽의 앞면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방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1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면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여 벽면을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7 (a)는 도 6의 보강토 옹벽을 적층한 측단면도이며, 도 7 (b)는 A2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보강토 옹벽을 적층한 상태 및 시공 도구를 장착한 배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공 도구를 사용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시공 도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보강토 옹벽 앞면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여 벽면을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보강토 옹벽을 좌우 방향으로 정렬시킨 횡단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X: 간극 Y: 이동 방향 G: 성토 a(13), b(13), e(13b), f(13b): 수평 방향의 변
c(13), d(13), g(13b), h(13b): 수직 방향의 변
1, 1b: 기반(보강토 옹벽) 11, 11b: 기반 앞면부
111: 의석 12, 12b: 기반 배면부
121, 122: 고정 볼트 13, 13b: 측면부
131, 131b: 돌출부 131a: 측면
132, 132b: 커팅부 132a: 측면
2: 결합 금속 부재 21: 관통 구멍
22: 너트 23: 고정면
3: 고무 4: 목재
5: 보강재 51: 저항물
52: 망형 판 53: 부직포
6: 안내 부재 61: 바닥부
611: 고정 구멍 62: 너트
63: 측부 64: 가이드면
65, 66: 결합 구멍 67: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
71, 72: 연결 고정봉
[1] 일본국 특허 제2612411호 공보
[2] 일본국 특허 제2735786호 공보
[3] 일본국 특개평 10(1998)-60896호 명세서
[4] 일본국 특허 제3032778호 공보
본 발명은 보강토(補强土)(보강 성토(盛土)) 공법에 있어서의 보강토 옹벽(擁壁) 구조, 특히, 조립된 옹벽면이 유연성을 가지는 보강토 옹벽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흙 자체의 성질을 바꾸지 않고 흙의 내부 응력이나 불균일 상태를 역학적으로 변화시켜 성토를 강화하는 보강토 공법(이른바, 성토 공법, 보강 성토 공법, 테르아르메 공법)이 일본국의 한신 아와지(阪神淡路) 대지진의 검증으로부터 안전성이 실증되어 주목되고 있다.
이 공법의 특징은 (1) 비교적 광범위한 성토 재료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고, (2) 수직의 직벽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토지를 유효하게 이용을 할 수 있고, (3)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 기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4) 벽 구조 자체에 유연성이 있 어, 변형에 대한 추종성(追從性)이 높은 것을 들 수 있다.
이 보강토 옹벽 구조의 종래예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베이스부인 기초 콘크리트 a의 위에 직사각형의 콘크리트제 벽면재 b를 적재하여 수직의 벽을 형성하고, 각 벽면재 b의 배면부에는 고정 금속 부재 c를 통해 보강재인 봉형(棒形)의 타이 바(tie bar) d를 장착하고, 이 보강재인 타이 바 d 말단에는 이동 저항판 e를 고착하고, 이 보강재 d와 이동 저항판 e를 성토 G 내에 매설하여, 보강토 옹벽이 앞면으로 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성토의 가중(加重)이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에 가해져, 보강토 옹벽이 소정의 장소에 직립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일본국 특허 제2612411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2735786호 공보).
이와 같은 작용으로 보강토 옹벽 상태가 유지되므로, 벽 구조 자체에 유연성을 갖게 하여 변형에 대한 추종성을 높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문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보강토 옹벽은 단순하게 쌓아 올리는 이른바 「감자 쌓기」라고 불려지는 공법이 채용되어, 각 벽면재 b 사이에는 투수 방사재(透水防砂材) f나 가로 줄눈 재료 g가 넣어지고, 인접하는 벽면재와는 약간이지만 독립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단순하게 보강토 옹벽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감자 쌓기」는 상하ㆍ좌우 방향의 보강토 옹벽의 이동을 속박하는 것만으로, 옹벽면의 전후 방향의 유연성을 비교적 크게 확보할 수 있지만, 외관이 단순하게 되어, 특히, 의석(擬石)을 배치한 옹벽으로 되면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일본국 특개평 10(1998)-60896호 명세서, 일본국 특허 제3032778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을 교대로 엇갈리게 하여 쌓아 올리는 이른바 「벽돌 쌓기」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토 옹벽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일본국 특허 제2612411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봉을 상하의 보강토 옹벽에 삽입하거나 하고 있었지만 작업이 번거롭고, 일본국 특허 제2735786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좌우의 벽면 부재 측부에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볼록부와 오목부를 단단히 서로 맞물리게 하여 조립한 보강토 옹벽도 있지만,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보강토 옹벽을 교대로 엇갈리게 하여 쌓아 올리는 이른바 「벽돌 쌓기」에 적용하게 되면, 1개의 보강토 옹벽이 주위의 6개의 보강토 옹벽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버려, 벽면에서의 유연성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무엇보다도, 외관에서, 상하 좌우로 확실하게 한 직선의 경계선이 나타나, 모양도 단순하게 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특히, 의석을 배치한 옹벽으로 되면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0(1998)-60896호 명세서, 일본국 특허 제3032778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하의 보강토 옹벽을 좌우로 엇갈리게 하여 쌓아 올리는 보강토 옹벽 공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우측 상하 및 좌측 상하의 보강토 옹벽 외에, 좌우의 보강토 옹벽인 합계 6개의 주위 보강토 옹벽에 타이트하게 접속 고정되어 버려, 보강토 옹벽으로서 특징의 하나인, 벽 구조 자체에 유연성(특히, 전후 방향)을 갖게 할 수 없고, 따라서, 성토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을 높게 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감자 쌓기」의 보강토 옹벽 대해서도 마찬가지며,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너무 타이트하게 고정되어 버리면, 보강토 옹벽 공법의 이점이 반감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강토 옹벽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각 보강토 옹벽의 전후 방향의 약간의 이동을 허용하여, 보강토 옹벽 전체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보강토 옹벽 공법의 이점을 보다 살리는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도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두께를 상기 커팅부의 홈폭보다 작게 하고, 상기 간극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약간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이다.
따라서,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면서도, 보강토 옹벽의 측부에 형성한 돌출부의 측면과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하고, 이 간극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그 간극 분만큼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고, 결과로서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두께를 상기 커팅부의 홈폭보다 작게 하고,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앞면과 배면을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압축할 수 있는 고무를 개재하여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에 설치된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하고, 상기 간극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약간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이다.
따라서, 청구항 1의 작용에 더하여,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도, 고무 등의 유연 재료를 통해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한 경우에는,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상기 간극 분만큼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두께를 상기 커팅부의 홈폭보다 작게 하고,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앞면과 배면을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목재 조각을 통해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에 설치된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하고, 상기 간극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약간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이다.
따라서, 청구항 1의 작용에 더하여,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도, 목재 등 자연스럽게 완전히 썩어 버리는 재료를 통해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한 경우에는,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시간을 거쳐 목재가 완전히 썩어 버리므로, 그 결과, 상기 간극 분만큼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보강토 옹벽의 양단에 상하로 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교대로 어긋나게 하여 적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보강토 옹벽 구조이다.
따라서, 벽면 전체적으로, 상하 좌우의 직선의 경계선이 나타나지 않고, 모양도 복잡하게 할 수 있어, 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 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결합 금속 부재에는, 성토 내에 배치된 봉형 또는 판형의 보강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보강토 옹벽 구조이다.
따라서, 결합 금속 부재는 보강토 옹벽 공법의 전제 구성인 성토 내에 배치된 봉형 또는 판형 보강재의 장착 금속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 고, 상기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는 시공 도구로서, 상기 시공 도구는 안내 부재와 연결 고정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 부재는 바닥부를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에 고정하는 동시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안내 부재의 측면부에는 상기 연결 고정봉을 끼워 넣는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시공에 있어서는, 안내 부재를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에 가이드면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고착시키는 동시에, 연결 고정봉을 결합 구멍에 수평으로 끼워 넣고, 상방으로부터 적층하는 보강토 옹벽을 가이드면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안내하고, 상하의 보강토 옹벽면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는 시공 도구이다.
즉, 보강토 옹벽은 수직으로 쌓아 올리기 위해, 상기 시공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상하 및 좌우의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배면을 동일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안내 부재와 연결 고정봉이 안전책(安全柵)으로서 기능하여, 매우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구조 및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는 시공 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보강토 옹벽 공법으로 사용하는 1단위의 보강토 옹벽을,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콘크리트 기반(基盤)(1)은 다각형으로, 기반 앞면부(11)에는 복수개의 의석(111)이 배치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반 배면부(12)는 평면이며 적소(適所)에는 결합 금속 부재(2)(도 7을 참조)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121)가 매설되고, 또, 안내 부재(6)(도 8 참조)를 고정하는 볼트(122)가 매설되어 있다.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인 도 4, 측면부인 도 2로부터 상면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반(1)의 측면부(13)에는,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측면부(13)와 서로 느슨하게 맞물리도록 측면부(13)에 배면부(12)와 편면(片面)이 대략 동일 돌출부(131)와, 배면부(12)에 커팅 홈이 개방되어 있는 커팅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옹벽의 돌출부(131)는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132)에, 본 옹벽의 커팅부(132)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돌출부(131)가 서로 맞물려, 보강토 옹벽면 전체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 기반(1)의 다각형 형상은 지그재그로 조합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의 큰 벽면에서 간극없이 상기 다각형으로 매설해 버리는 것이며, 기반(1)의 앞면부(11)에 있어서의 단부(端部) 형상의 경사는 45도이거나 그 배수 각도(90도, 135도, 180도, 225도, 270도, 315도)의 둔각으로, 상방으로부터 내리는 것만으로, 무리없이 밑에서의 최상단의 보강토 옹벽(기반(1))에 적재되어 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기반(1)의 다각형 형상은 기반(1)의 중심점에서의 점 대칭이며, 이것은 1개의 기반(보강토 옹벽)(1)을 상하(또는 180도 회전)로 뒤집어도 동일 형상으로 되며, 동일 형틀로부터 성형한 보강토 옹벽에서도 뒤집어 사용함으로써, 의석의 배치도 역으로 되어, 마치 2종류의 보강토 옹벽(기반(1))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강토 옹벽 전체의 모양에 그만큼 변화를 줄 수 있다. 따라서, 형틀이 2개 있으면, 4개의 상이한 모양의 보강토 옹벽으로 되고, 3개이면, 6개의 상이한 모양의 보강토 옹벽으로 되어, 조합 양태도 그만큼 다채로워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어느 의석 배열의 다각형 기반 B를 배치하고, 그 주위에는 다각형 기반(1)을 180도 회전한 기반 B'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한 모양으로 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룬 보강토 옹벽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옹벽 구조의 전체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평탄한 에지부를 형성하도록 단부용의 다각형 기반 C를 제작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기반 측면부(13)의 돌출부(131)와 커팅부(132)는 보강토 옹벽 구조를 조립한 측면도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상기 돌출부(131)의 측면(131a)과 상기 커팅부(132)의 측면(132a) 사이에 간극 X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돌출부(131)의 두께 Z1이 상기 커팅부(132)의 홈폭 Z2보다 작게, 즉,
(수식) Z2>Z1 Z2-Z1=X
로서, 간극 X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약간의 전후 이동 Y(최대 이동 범위 X)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31)의 측면부(13)에서의 위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면(도면에서의 좌측면)은 배면부(12)와 동일면이 되도록 위치하고, 커팅부(132)의 커팅 홈도 배면부(12)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위치로 되기 때문에, 조립할 때,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1)의 배면부(12)(앞면부(11)도 동일)를 동일면에 위치시키면, 간극 X는 커팅부(132)의 내측, 즉 보강토 옹벽(1) 접속부의 내측에 존재하므 로, 성토 G 등이 혼입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기반 측면부(13)의 전체변에는, 반드시 돌출부(131)나 커팅부(132)가 존재하도록 하고 있으며, 즉 성토 G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1)을 포함하는 돌출부(131)가 반드시 줄눈이나 벽과 같이 존재하고, 간극 X가 돌출부(131)의 내측에 존재하여, 대량의 성토 G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결과로서, 보강토 옹벽(1)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 1의 기반(1) 크기는 평균 높이 120cm, 폭 200cm이지만, 간극 X의 값은 이 면적과 그다지 관계없이 2∼5cm 정도가 좋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3cm이다. 이것은 2cm 이하로 너무 작으면 보강토 옹벽으로서의 유연성이 얻어지지 않고, 5cm 이상이 되면 조립하기 어렵고, 또, 보강토 옹벽면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은 오로지 이 돌출부(131)와 커팅부(132)와의 느슨한 맞물림과 결합 금속 부재(2)에 의해 접속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면을 유지하면서, 벽면의 유연성도 얻음으로써, 다른 결합 부재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보강토 옹벽(1)의 조립도 매우 간단하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반(보강토 옹벽)(1)의 상방향의 상측변 (13)에는, 1개 이상의 돌출부(131)와 커팅부(132)가 존재하게 하고, 하방향의 하측변 b(13)에도, 1개 이상의 돌출부(131)와 커팅부(132)가 존재하게 하고, 동일하게, 좌우 방향의 좌우 측변 c(13), d(13)에도, 1개 이상의 돌출부(131)와 커팅부(132)가 존재하게 하여, 필요 이상으로 인접하는 기반(1)이 전후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즉,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각 변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돌출부(131)와 커팅부(132)가 존재하게 하여, 보강토 옹벽(1)이 필요 이상으로 전후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131)와 커팅부(132)의 위치도, 기반(보강토 옹벽)(1)을 상하(또는 180도 회전)로 뒤집어도 동일 위치가 되도록, 보강토 옹벽의 중심점 O1에서의 점(点) 대상이 되도록 위치시켜, 보강토 옹벽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복수개의 보강토 옹벽을 연결하여, 보강토 옹벽 앞면의 상태를 유지하는 데는, 본 실시예가 보강토 옹벽(1)의 중심부 위치를 교대로 어긋나게 하여 적재하고 있으므로, 보강토 옹벽(1)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의 위치에 결합 금속 부재(2)를 사용하여, 상하의 보강토 옹벽(1)의 배면부(12)를 접속하면, 넓은 큰 면적의 보강토 옹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 결합 상태의 측단면도인 도 7, 그 배면부의 평면도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반 배면부(12)에 설치된 고정 볼트(121)를 양 기반(1)에 걸치는 결합 금속 부재(2)의 고정면(23) 양단 근방의 관통 구멍(21)에 끼워 넣고,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앞면과 배면을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양 고정 볼트(121)를 너트(22)로 고정하고, 양 기반(1)을 접속하여 고정한다.
여기에서, 이 결합 금속 부재(2)의 고정면(23)과 보강토 옹벽의 기반 배면부(12) 사이에는 바탕이 두꺼운 고무(3)를 개재(介在)시키지만, 이 고무(3) 등의 유연 재료를 통해 결합 금속 부재(2)에 의해 양 기반(1)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시공 후 당초는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동일 평면을 유지하면서도, 성토 G의 강한 변형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고무(3)가 압축되므로, 간극 X분만큼 기반(1)의 전후 방향 Y(도 7을 참조)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고, 또한 봉형의 보강재(5)가 접속되 고, 보강재(5)의 말단에는 앵커 플레이트 등의 저항물(51)이 접속되며, 이들은 성토 G에 매설되고, 결과로서 보강토 옹벽(1)은 후방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으므로,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강토 옹벽의 전후 이동을 허용하는 재료로서, 압축 가능하며 유연성이 있는 고무(3) 외에 목재(4)라도 되고, 특히 베니어 등도 최적이지만, 이것은 목재(4), 특히 베니어 등 자연스럽게 완전히 썩어 버리는 재료를 통해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하면,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옥외에서 시간이 경과되면서 목재가 완전히 썩어 버리므로, 목재의 두께 분만큼 썩고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그 결과, 상기 간극 X만큼 전후 방향 Y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고무 등의 압축할 수 있는 유연 재료와, 목재 등 자연스럽게 완전히 썩어 버리는 재료를 조합해도 된다.
이들 보강토 옹벽의 느슨한 결합으로, 옹벽면 상호에 다소의 요철을 형성해도, 보강토 옹벽면 전체로부터 보면 두드러지지 않고, 봉형의 보강재로 후방으로 잡아 당겨지고 있으므로, 벽면 전체로의 수직성은 유지되어, 붕괴될 우려도 없으므로 안전성도 확보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토 G에 보강재(5)의 말단에는, 앵커 플레이트 등의 저항물(51)을 매설하지만, 이 성토 G에는 층형(層形)으로 플라스틱의 망형판(52)이나 부직포(53)를 매설하면, 성토 G의 밀도 변동이 적고 안정된다.
그런데, 이 보강토 옹벽 공법은 보강토 옹벽을 대략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것 및 하부 위치의 보강토 옹벽의 상측면부의 돌출부를 상부 위치의 보강토 옹벽의 하측면부 커팅부에, 또 하부 위치의 보강토 옹벽 상측면부의 커팅부를 상위치의 보강토 옹벽 하측면부 돌출부에 서로 맞물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보강토 옹벽면의 조립 시공이 종래의 크레인에 의해서는 올림과 내림이나 위치 맞춤이 곤란하고, 보강토 옹벽 자체가 중량이 있기 때문에, 낙하 등의 위험이 있었다.
그래서,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을 안전하고 간단하게 쌓아 올리는 시공 도구를, 전술한 보강토 옹벽 구조와 맞추어 생각이 미치었으므로, 이것을, 도 9 내지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 사용하는 시공 도구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1)의 배면부(12)에 안내 수단을 설치하지만, 이것은 한 장의 기반(1)에 대하여 한 쌍의 가늘고 긴 안내 부재(6)와, 복수개의 옹벽에 걸쳐 가로지르는 연결 고정봉(71, 72)으로 구성되며, 안내 부재(6)는 L자형으로 굽혀진 바닥부(61)의 고정 구멍(611)에 배면부(12)의 고정 볼트(122)에 너트(62)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안내 부재(6)의 가늘고 긴 측부(63)에는, 보강토 옹벽(1)면의 배면부(12)의 면에 접속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면(64)를 가지고, 안내 부재(6)의 측면부(63)에는 2개의 연결 고정봉(71, 72)을 끼워 넣는 결합 구멍(65, 66)이 형성된다.
실시예의 기반을 사용하는 보강토 옹벽 공법의 시공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미 적층된 보강토 옹벽 1(A)의 배면부(12)에 안내 부재(6)가 고정되지만, 안내 부재(6)도 가이드면(64)은 보강토 옹벽(1)의 배면부(12)의 면에 접속하도록, 또한 다소 경사 θ를 가지지만 대략 수직이 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적층하는 보강토 옹벽 1(B)을 크레인의 와이어 로프(67)에 매달고, 상기 안내 부재(6)의 가이드면(64)을 따라 하방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안내하면, 자연스럽게, 하부 위치의 보강토 옹벽 1(A)의 돌출부(131) 또는 커팅부(132)와, 내려 온 상부 위치의 보강토 옹벽 1(B)의 커팅부(132) 또는 돌출부(131)가 서로 맞물려, 상하의 보강토 옹벽(1)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적층한다.
이 시공 도구는 2개의 연결 고정봉(71, 72)을 결합 구멍(65, 66)에 수평으로 끼워 넣어 고정하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부재(6)와 연결 고정봉(71, 72)이 낙하 방지망과 같이 되어, 보강토 옹벽(1)의 소정 외의 낙하를 막아, 안전책으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을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 데 있어서, 본 시공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상하 및 좌우의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를 동일면에서 소정 위치에 쌓을 수 있고, 또한 매우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보강토 옹벽의 기반(패널)(1)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에 의해 조화시키기 위해, 단순한 기하학 형상이 아니고, 불규칙한 다각형으로 한 데다, 기반면에도 자연석을 모방한 불규칙한 형상의 의석을 임의로 배치한 것이며, 제작 이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다소 규칙성이 보강토 옹벽 앞면에 나타나도, 제작의 용이성이나 시공 작업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보강토 옹벽의 기반(패널)면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보강토 옹벽 구조로 할 수 있다. 이것을, 실시예 2로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실시예 1과는 보강토 옹벽의 형상이 상이할 뿐이며, 다른 구성이나 작용은 동일하므로, 보강토 옹벽 형상의 설명 이외는 생략한다.
도 12는 실시예 2의 직사각형 보강토 옹벽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도면의 밑으로부터 본 측면부(13b)의 측면도이지만, 기반(1b)은 직사각형을 하고 있으며, 밖으로 나타나는 기반 앞면부(11b)는 적당한 색채나 모양이 실행되어 있고, 기반 배면부는 적소에는 결합 금속 부재(도 5를 참조)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매설되고, 또, 안내 부재(도 8 참조)를 고정하는 볼트도 매설되고, 결합 금속 부재와 배면 사이에, 고무와 같은 압축 유연재, 및/또는 목재와 같은 자연스럽게 완전히 썩어 버리는 재료를 개재시키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반(1b)의 측면부(13b)에는,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측면부(13b)와 서로 느슨하게 서로 맞물리도록 측면부(13b)에 배면부(12b)와 편면이 대략 동일한 돌출부(131b)와, 배면부(12)에 커팅 홈이 개방되어 있는 커팅부(132b)가 형성되어 있다. 본 옹벽의 돌출부(131b)는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132b)에, 본 옹벽의 커팅부(132b)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돌출부(131)가 서로 맞물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1b)의 양단에 상하로 접하는 보강토 옹벽(1b)의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교대로 어긋나게 하여 지그재 그로 적재하고, 이른바, 벽돌 쌓기로 하여 보강토 옹벽면 전체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반 측면부(13b)의 돌출부(131b)와 커팅부(132b)는 보강토 옹벽 구조를 조립도의 하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돌출부(131b)의 내측 측면과 커팅부(132b)의 안쪽 측면 사이에 간극 X이 존재하도록, 상기 돌출부(131b)의 두께 Z1이 상기 커팅부(132)의 홈폭 Z2보다 작게, 즉,
(수식) Z2>Z1 Z2-Z1=X
로서 간극 X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약간의 전후 이동 Y(최대 이동 범위 X)를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의 기반(1)의 크기도, 높이 120cm, 폭 200cm이며, 간극 X의 값은 그다지 이 면적에 관계없이 2∼5cm 정도가 좋고, 실제로는 3cm이다.
상기 돌출부(131b)의 측면부(13b)에서의 위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면은 배면부(12b)와 동일면이 되도록 위치하고, 커팅부(132b)의 커팅 홈도 배면부(12b)에 개방되어 있는 위치로 되기 때문에, 조립할 때,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1b)의 배면부(12b)(앞면부(11b)도 동일)를 동일면에 위치시키면, 간극 X는 커팅부(132b)의 내측, 즉 보강토 옹벽(1b) 접속부의 내측에 존재하므로, 성토 G 등이 혼입되지 않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작용 효과도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반(보강토 옹벽)(1)의 직사각형 상하 방향의 측변 e(13b), f(13b)에는, 1개 이상의 돌출부(131b)와 커팅부(132b)가 존재하게 하고, 동일하게, 좌우 방향의 좌우 측변 g(13b), h(13b)에도, 1개 이상의 돌출부(131b)와 커팅부(132b)가 존재하게 하여, 필요 이상으로 인접하는 기반(1)이 전후로 이동하지 않도록 강요한다. 그리고, 이 돌출부(131b)와 커팅부(132b)의 위치도, 기반(보강토 옹벽)(1)을 상하(또는 180도 회전)로 뒤집어도 동일 위치가 되도록, 보강토 옹벽의 중심점 O2에서의 점 대상이 되도록 위치시켜, 보강토 옹벽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기반 측면부(13b)의 전체변에는 반드시 돌출부(131b)나 커팅부(132b)를 줄눈과 같이 존재, 즉 성토 G에는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1)을 포함하는 돌출부(131b)가 반드시 존재하고, 내측에 존재하는 간극 X에 대량의 성토 G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결과로서, 보강토 옹벽(1)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는 옹벽 공법에 있어서, 보강토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돌출부의 내측 측면과 커팅부의 안쪽 측면 사이에 간극 X를 발생시키도록 했으므로,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간단하게 옹벽면을 형성하면서도, 보강토 옹벽의 측부에 형성한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 X가 생기고, 이 간극 X는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그 간극 X분만큼 전후 방향 Y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결과로서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도, 고무 등의 유연 재료를 통해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한 경우에는,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고무 등의 유연 재료가 압축되므로, 간극 X분만큼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도, 목재 등 자연스럽게 완전히 썩어 버리는 재료를 통해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한 경우에는,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시간을 거쳐 자연스럽게 목재가 완전히 썩어 버리므로, 그 결과, 간극 X분만큼 전후 방향 Y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로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강토 옹벽을 지그재그로 배치했으므로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상하 좌우의 직선 경계선이 나타나지 않고, 모양도 복잡하게 할 수 있고, 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 구조로 할 수 있고, 결합 금속 부재는 보강토 옹벽 공법의 전제 구성이기도 한 성토 내에 배치된 봉형 또는 판형 보강재의 장착 금속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컴팩트하며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 실시예의 시공 도구 및 그 시공 방법은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보강토 옹벽은 수직으로 쌓아 올리기 위해, 종래 시공법에서의, 통상의 크레인만에서의 시공에서는, 위치 맞춤이 귀찮아 곤란한 작업이며, 또한 매우 위험하지만, 간단하게 상하 및 좌우의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배면을 동일면에서, 또한 이미 시공한 보강토 옹벽의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매달려 하강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자연스럽게 서로 맞물리도록, 소정 위치에 적층 시킬 수 있고, 또한 안내 부재와 연결 고정봉이 안전책과 같이 기능하여, 매우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는 것이 아니면,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무(3)는 고무와 동등한 압축성과 유연성이 있는 재료이면 다른 합성 수지 등의 재료라도 되며, 또, 베니어재 등의 목재(4)도 옥외에서 자연스럽게 완전히 썩어 버리는 재료이면 다른 두꺼운 종이 등의 재료라도 되는 것은 물론, 이들을 적당히 조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실시예는 보강토 옹벽을 교대로 어긋나게 하여 적층했지만, 단순하게 보강토 옹벽을 쌓아 올리는 이른바 「감자 쌓기」에 사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상기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상기 커팅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했으므로,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상기 커팅부 또는 상기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면서도, 보강토 옹벽의 측부에 형성한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하고, 이 간극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그 간극 분만큼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보강토 옹벽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도, 고무 등의 유연 재료를 통 해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한 경우에는,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고무 등의 유연 재료가 압축하므로, 상기 간극 분만큼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로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을 고정하는 데 있어서도, 목재 등 자연스럽게 완전히 썩어 버리는 재료를 통해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한 경우에는, 보강토 옹벽면 전체의 구조는 유지하면서도, 시간이 경과되면서 목재가 완전히 썩어 버리므로, 그 결과, 상기 간극 분만큼 전후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면 전체로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1 및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효과에 더하여, 벽면 전체적으로, 상하 좌우의 직선의 경계선이 나타나지 않고, 모양도 복잡하게 할 수 있어, 보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 구조로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청구항 1 및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효과에 더하여, 결합 금속 부재는 보강토 옹벽 공법의 전제 구성이기도 한 성토 내에 배치된 봉형 또는 판형 보강재의 장착 금속 부재로서도 기능하고, 컴팩트하며 작업성도 향상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보강토 옹벽은 수직으로 쌓아 올리기 위해, 통상의 크레인만에서의 시공에서는 위치 맞춤이 귀찮아 곤 란한 작업이며, 또한 매우 위험하지만, 본 발명의 시공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상하 및 좌우의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배면을 동일면에서, 소정 위치에 적층 시킬 수 있고, 또한 안내 부재와 연결 고정봉이 안전책과 같이 기능하여, 극히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두께를 상기 커팅부의 홈폭보다 작게 하고,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앞면과 배면을 동일면이 되도록 압축할 수 있는 고무를 개재하여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에 설치된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하고,
    상기 간극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전후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
  3. 한 개의 보강토 옹벽 측면부에 돌출부와 커팅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또는 커팅부와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커팅부 또는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옹벽면을 형성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면을 형성했을 때, 상기 돌출부의 측면과 상기 커팅부의 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돌출부의 두께를 상기 커팅부의 홈폭보다 작게 하고,
    인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앞면과 배면을 동일면이 되도록 목재 조각을 개재하여 보강토 옹벽의 배면부에 설치된 결합 금속 부재에 의해 양 옹벽면을 고정하고,
    상기 간극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보강토 옹벽에 대하여 전후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옹벽의 양단에 상하로 접하는 보강토 옹벽의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교대로 어긋나게 하여 적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금속 부재에는 성토(盛土) 내에 배치된 봉형(棒形) 또는 판형의 보강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구조.
  6. 삭제
KR1020060070755A 2006-05-23 2006-07-27 보강토 옹벽 구조 KR100765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43231A JP4596548B2 (ja) 2006-05-23 2006-05-23 補強土擁壁構造。
JPJP-P-2006-00143231 2006-05-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543A Division KR100765349B1 (ko) 2006-05-23 2007-08-06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는 시공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347B1 true KR100765347B1 (ko) 2007-10-09

Family

ID=388490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755A KR100765347B1 (ko) 2006-05-23 2006-07-27 보강토 옹벽 구조
KR1020070078543A KR100765349B1 (ko) 2006-05-23 2007-08-06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는 시공 도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543A KR100765349B1 (ko) 2006-05-23 2007-08-06 보강토 옹벽을 적층하는 시공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596548B2 (ko)
KR (2) KR1007653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66B1 (ko) * 2008-11-27 2011-07-26 홍나영 복합형 내진용 보강토 옹벽
KR101472191B1 (ko) * 2009-09-25 2014-12-12 신이치 유타 벽면 패널
KR20190035382A (ko) * 2017-09-26 2019-04-03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성이 향상된 사면 보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4887B2 (ja) * 2010-10-27 2015-04-22 Jfe建材株式会社 堰堤および堰堤の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27U (ja) * 1993-08-28 1995-03-17 瀬戸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H07229147A (ja) * 1994-02-17 1995-08-2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の壁面構造
JPH09144036A (ja) * 1995-11-28 1997-06-03 Joji Yamashita コンクリート壁構築用部材
JP2000008377A (ja) 1998-06-19 2000-01-11 Kyokado Eng Co Ltd 壁面パネルおよび補強土構造
KR200313191Y1 (ko) 2003-02-11 2003-05-14 이정수 보강토 옹벽 패널의 보강재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8119A (ja) * 1983-12-27 1985-07-22 Okasan Kogyo Kk 擁壁の支持構造
JPS63114722A (ja) * 1986-10-30 1988-05-1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の壁面構造
JP3245661B2 (ja) * 1993-06-11 2002-01-15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法面緑化擁壁
JPH0715927A (ja) * 1993-06-28 1995-01-17 Nissan Motor Co Ltd モータ回転子の製造方法
JP2003013191A (ja) * 2001-06-28 2003-01-15 Ngk Insulators Ltd アルミニウムを主成分とする金属製直管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検査方法
JP3902036B2 (ja) * 2002-03-19 2007-04-04 新興工材株式会社 両側に擁壁を有する構築体
JP2004238984A (ja) * 2003-02-07 2004-08-26 Kyowa Concrete Industry Co Ltd 擁壁用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気泡混合軽量盛土工法
JP2004250980A (ja) * 2003-02-20 2004-09-09 Mitsubishi Kagaku Sanshi Corp 補強土壁構造及び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927U (ja) * 1993-08-28 1995-03-17 瀬戸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H07229147A (ja) * 1994-02-17 1995-08-2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の壁面構造
JPH09144036A (ja) * 1995-11-28 1997-06-03 Joji Yamashita コンクリート壁構築用部材
JP2000008377A (ja) 1998-06-19 2000-01-11 Kyokado Eng Co Ltd 壁面パネルおよび補強土構造
KR100426992B1 (ko) 1998-06-19 2004-04-13 쿄오까도엔지니어링가부시기가이샤 벽면패널 및 보강토구조
KR200313191Y1 (ko) 2003-02-11 2003-05-14 이정수 보강토 옹벽 패널의 보강재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66B1 (ko) * 2008-11-27 2011-07-26 홍나영 복합형 내진용 보강토 옹벽
KR101472191B1 (ko) * 2009-09-25 2014-12-12 신이치 유타 벽면 패널
KR20190035382A (ko) * 2017-09-26 2019-04-03 지오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립성이 향상된 사면 보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90746B1 (ko) * 2017-09-26 2020-03-18 송영수 조립성이 향상된 사면 보강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96548B2 (ja) 2010-12-08
KR100765349B1 (ko) 2007-10-09
JP2007314960A (ja)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51897A1 (en) New type of plastic ground mat
KR100765347B1 (ko) 보강토 옹벽 구조
MX2010006059A (es) Bloque de concreto para pared, paredes que tienen tales bloques, y metodos.
JP4851881B2 (ja) 盛土構造物及び盛土構造物の補強方法
JP4812135B2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KR101095700B1 (ko) 성토층의 보강구조를 가진 전면 패널벽체를 이용한 성토층 지지옹벽 및 이러한 성토층 지지옹벽의 시공방법
KR102337158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0970303B1 (ko) 옹벽블럭
JP4614928B2 (ja) 軽量盛土工法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64708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KR100999185B1 (ko)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100465828B1 (ko) 식생 옹벽블럭
KR20190125766A (ko) 절개지의 블록식 옹벽
JPH0696856B2 (ja) 補強土構造物
KR100874506B1 (ko) 옹벽 구조물
KR200410582Y1 (ko) 수변방틀 구조물
KR100771844B1 (ko) 목재틀 옹벽.
KR102239894B1 (ko) 컴파운드블록
KR102244753B1 (ko) 친환경 목재 옹벽
KR102231712B1 (ko)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20120000391A (ko)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