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844B1 - 목재틀 옹벽. - Google Patents

목재틀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844B1
KR100771844B1 KR1020070074933A KR20070074933A KR100771844B1 KR 100771844 B1 KR100771844 B1 KR 100771844B1 KR 1020070074933 A KR1020070074933 A KR 1020070074933A KR 20070074933 A KR20070074933 A KR 20070074933A KR 100771844 B1 KR100771844 B1 KR 10077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transverse member
retaining wall
seate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원
서창원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16Cribb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틀 옹벽에 관한 것으로, 노치재에 다수개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횡부재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곡선의 지형에서도 곡선으로 목재틀 옹벽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베이스층을 경사지게 다지지 않고서 옹벽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재틀 옹벽은, 다수의 노치재(1)와, 상기 노치재(1)의 양단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노치재(1)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및 후단부 상, 하에는 각각 두 개의 안착홈(11)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횡부재(2)의 일단은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전면횡부재(2)의 타단은 상기 노치재(1)의 타측에 이웃하는 노치재(1)의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후면횡부재(3) 역시 전면횡부재(2)와 동일한 구조로서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노치재, 전면횡부재, 후면횡부재, 안착홈

Description

목재틀 옹벽.{Timber retainging wall}
본 발명은 목재틀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치재에 다수개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횡부재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곡선의 지형에서도 곡선으로 목재틀 옹벽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베이스층을 경사지게 다지지 않고서 옹벽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에서 땅깍기 또는 흙 쌓기를 한 비탈면이 외부적인 기후 요인, 흙의 압력 및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옹벽이 시공된다.
옹벽은 통상 절토면의 하부에 기초다짐을 하고, 그 상부에 거푸집 및 철근을 가설한 후 가설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 시간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시공되어 졌다.
이러한 절토면에 하나의 옹벽을 얻기 위해 많은 공정이 소요됨에 따라 옹벽 시공의 공기가 지연되고, 그로 인한 비용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고, 옹벽의 전면이 콘크리트로 되어 있음으로써 식물이나 곤충이 서식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옹벽의 전후를 통해 자연계가 단절되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옹벽 고유의 회 색으로 인한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제381408호의 "간벌재를 이용한 틀재형 옹벽"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면의 가로방향으로 적층시킨 전면횡부재(100), 배면의 가로방향으로 적층된 배면횡부재(200) 및 전후 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적층된 노치재(300)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횡부재(100)는 전면 전길이에 걸쳐 아래 위가 교호가 되도록 노치재(300)와 수직으로 쌓되, 상기 노치재(300)는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측면 전길이에 걸쳐 양단에서 일정길이 안쪽 부분이 노치의 홈이 되게 노치부분에 둥글게 파낸 홈(310)을 형성하며, 상기 배면횡부재(200)는 배면의 좌측 가장자리 부분과 배면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에 부분적으로 적층, 교호적으로 쌓는 보다 긴 배면횡장부재(210)와, 인접된 노치재(300)간의 사이만을 연결하며 쌓는 배면횡단부재(220)로 구성되어 배면의 중앙면은 배면횡장부재(210)와 배면횡단부재(220)가 층층이 적층되는 좌우 측면에 대하여 아래 위로 하나 걸러서 배면횡단부재(220)가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된 등록실용신안은 옹벽이 필요한 곳은 대부분 곡선의 지형이거나 경사면인데, 배면횡장부재(210)로 인하여 급격한 곡선 지형에서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노치재(300)에 형성된 홈 역시 하나만이 형성되어 전면횡부재(100)와 후면횡부재(200)의 안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1에서와 같이 두 개의 이웃하는 후면횡장부재(210)가 하나의 홈(310)에 안착되어야 함.)이 있었으며, 후면횡단부재(220)가 위치되지 않은 곳은 후면횡장부재(210)와 상, 하로 이웃 하는 후면횡장부재(210) 간의 간격이 커 옹벽으로서의 강도가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 형성할 시에는 도 2와 같이 절지면에 절삭구배를 일정 각도로 뒤쪽으로 기울이도록 파내고 자갈과 잡석으로 일정 높이로 접지면에 접하는 베이스층(400)을 다진 후 목재틀 옹벽을 시공하여야 함에 따라,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KR 20-381408 B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목재틀 옹벽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치재의 전면과 후면의 상, 하부에 다수개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를 각각 안착시킴으로써, 횡부재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다수개의 안착홈으로 인하여 노치재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적층할 수 있게 되어 베이스층을 경사지게 다지지 않고서도 목재틀 옹벽을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이웃하는 횡부재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곡선의 지형에서도 곡선으로 목재틀 옹벽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재틀 옹벽은, 수평방향으로 배열 되는 다수의 노치재와, 상기 노치재의 양단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노치재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 및 후면횡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목재틀 옹벽에 있어서,
상기 노치재의 전단부 상, 하에는 각각 두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치재의 후단부 상, 하에도 각각 두 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횡부재의 일단은 상기 노치재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횡부재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전면횡부재의 타단은 상기 노치재의 타측에 이웃하는 노치재의 상부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횡부재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후면횡부재의 일단은 상기 노치재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후면횡부재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의 후단부 하부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후면횡부재의 타단은 상기 노치재의 타측에 이웃하는 노치재의 상부 안착홈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후면횡부재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의 후단부 하부 안착홈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횡부재의 길이와 상기 후면횡부재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노치재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전면횡부재가 둔 각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노치재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후면횡부재 역시 둔각을 갖도록 연결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 및 후면횡부재가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각기둥 형태로 적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치재의 전단부 상, 하에는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각각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노치재의 후단부 상, 하에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이 각각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노치재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적층되어, 상기 노치재, 전면횡부재 및 후면횡부재로 구성되는 목재틀 옹벽이 지면과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노치재의 전면과 후면의 상, 하부에 각가 두 개 이상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를 각각 안착시킴으로써, 횡부재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 하 두 개의 노치재 상이에 전, 후면횡부재가 각각 하나씩 안착됨에 따라 곡선의 지형에서도 목재틀 옹벽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노치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홈으로 인하여 노치재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적층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사지에서도 베이스층을 경사지게 다지지 않고서도 목재틀 옹벽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횡부재와 후면횡부재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이웃하는 횡부재가 둔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게 됨으로써, 급격한 곡선의 지형에서도 목재틀 옹벽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틀 옹벽(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로 구성된다.
상기 노치재(1)는 원통형태로 가공되어진 방부처리된 목재로서, 미도시한 콘크리트 기초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반복되게 놓여져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안정되게 받쳐지도록 하고, 아울러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의 설치방향이 가변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노치재(1)는 전, 후 단부의 상, 하부에는 각각 두 개의 안착홈(11)이 형성되는바,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에 형성된 두 개의 안착홈(11)과 전단부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안착홈(11)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있으며, 후단부 상부에 형성된 두 개의 안착홈(11)과 하부에 형성된 두 개의 안착홈(11) 역시 대칭되는 위치에 있음으로써, 상기 노치재(1)와 상, 하부에 이웃하는 노치재(11')가 동일 수직선상으로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착홈(11)은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를 안정적으로 받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노치재(1)의 하부에 형 서된 안착홈(11)은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의 상부에 노치재(1)를 적층할 시, 노치재(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 역시 노치재(1)와 동일한 재질인 목재로 원통형태로 구성되며, 전면횡부재(2) 보다 후면횡부재(3)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경우 곡선 지형에서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노치재(1)가 배열된 후, 상기 노치재(1)의 양단부에 형성된 안착홈(11)과 일측의 이웃하는 노치재(1)의 양 단부에 형성된 안착홈(11)에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각각 안착 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는 노치재(1)의 전, 후단부의 상부에 형성된 두 개의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가 안착되지 않은 또 다른 안착 홈(11)에는 또 다른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가 안착되는 바, 상가 또 다른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는 타측의 이웃하는 노치재(1)의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도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노치재(1)를 연결한다.
상기 상호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노치재(1)와 전면횡부재(2), 후면횡부재(3)가 수직 방향으로 반복 적층됨으로써 목재틀 옹벽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노치재(1)와 전면횡부재(2), 후면횡부재(3)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면, 상기 전면횡부재(2)의 일단은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11)에 위치되어지며, 상기 후면횡부재(3)의 일단은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후면횡부재(3)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후단부 하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어짐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각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교차되는 부분에 스크류나사(4)가 박혀지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 사이로 제공되는 내부공간에는 부직포가 개재되어 잡석이 채워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노치재(1)에 형성된 안착홈(11)을 횡부재(2)(3)의 폭보다 조금 더 넓게 형성하면 완만한 곡선을 가지는 지형에서 본 발명의 목재틀 옹벽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목재틀 옹벽이 곡선 지형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것은, 노치재(1)의 각 안착홈(11)에 하나의 전면회부재(2) 또는 후면횡부재(3)가 안착되어 안정적인 안착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며,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의 길이가 종래와 같이 2가지 이상으로 구성되지 않고 획일적으로 통일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도 6a, 6b 및 도 6c에서와 같이, 전면횡부재(2)의 길이(L1)와 후면횡부재(3)의 길이(L2)를 다르게 하면, 목재틀 옹벽을 곡선 지형에서 더욱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노치재(1)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시 병렬로 배열되지 않고 곡선의 지면을 따라 배열됨으로써, 각 노치재(1)가 사다리꼴의 평행이 아닌 변이 되고 서로 길이가 다른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가 밑변이 되어 적층됨으로써,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1)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1)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각기둥 형태로 적층되는 것이며,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전면횡부재(2)가 둔각(α)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후면횡부재(3) 역시 둔각상기 전면횡부재(2)의 길이(L1)와 상기 후면횡부재(3)의 길이(L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전면횡부재(2)가 둔각(α)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후면횡부재(3) 역시 둔각(α)을 갖도록 연결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1)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1)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각기둥 형태로 적층되는 것을 갖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전면횡부재의 길이(L1)가 후면횡부재의 길이(L2)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전면횡부재의 길이(L1)가 후면횡 부재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종래 전면횡부재(2)와 후면횡부재(3)의 길이가 길어 급격한 곡선의 지형에서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했던 목재틀 옹벽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도 7a 및 7b에서와 같이, 절지면에 절삭구배를 일정각도로 뒤쪽으로 기울이도록 파내고 자갈과 잡석으로 일정 높이로 접지면에 접하는 베이스층을 다져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치재(1)의 전단부 상, 하 및 후단부 상, 하에 각각 하나 이상의 안착홈(11)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노치재(1)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어긋나도록 적층되어, 상기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로 구성되는 목재틀 옹벽 자체가 지면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7a 및 7b에서와 같이 두 개의 전면횡부재(2)의 하부는, 노치재(1)의 안착홈(11) 중 내측과 중앙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되고, 그 상부는 상부에 이웃하는 노치재(1)의 중앙과 외측 안착홈(11)에 위치되도록 적층시킬 수 있게 되어, 베이스층이 경사면과 직각을 이루지 않은 상태에서도 목재틀 옹벽을 적층시킬 수 있게 되어 별도로 베이스층을 힘들게 경사지게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노치재(1)에 안착홈(11) 하나만 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안착홈(11)이 다수개 추가로 형성될 경우 경사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a 및 8b에서와 같이, 지면이 곡선으로 되는 경사지에서도 본 발명의 목재틀 옹벽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노치재(1)에 형성된 안착홈(11)의 개수를 다수개로 할 경우 지면이 곡선으로 되는 경사지에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목재틀 옹벽은 종래 목재틀 옹벽의 문제점인 곡선인 지형에서의 설치상의 어려움, 경사지에서 베이스층을 경사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야만 목재틀 옹벽의 설치가 가능한 문제점 등을 해소한 것으로, 본 발명을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목재틀 옹벽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목재틀 옹벽이 측면도.
도 3은 종래 목재틀 옹벽을 구성하는 노치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틀 옹벽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틀 옹벽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A-A 선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틀 옹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틀 옹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c는 도 6a의 B-B 선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틀 옹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C-C 선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목재틀 옹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D-D 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노치재 2: 전면횡부재 3: 후면횡부재
11: 안착홈

Claims (3)

  1.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노치재(1)와, 상기 노치재(1)의 양단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노치재(1)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목재틀 옹벽에 있어서,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 하에는 각각 두 개의 안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 하에도 각각 두 개의 안착홈(11)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횡부재(2)의 일단은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전면횡부재(2)의 타단은 상기 노치재(1)의 타측에 이웃하는 노치재(1)의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면횡부재(2)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전단부 하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후면횡부재(3)의 일단은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후면횡부재(3)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후단부 하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후면횡부재(3)의 타단은 상기 노치재(1)의 타측에 이웃하는 노치재(1)의 상부 안착홈(11)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면서 상기 후면횡부재(3)의 상단에 위치한 또 다른 노치재(1)의 후단부 하부 안착홈(11)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틀 옹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횡부재(2)의 길이(L1)와 상기 후면횡부재(3)의 길이(L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전면횡부재(2)가 둔각(α)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부 안착홈(11)에 각각 안착된 두 개의 후면횡부재(3) 역시 둔각(α)을 갖도록 연결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1)와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노치재(1)를 연결하는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가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각기둥 형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틀 옹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재(1)의 전단부 상, 하에는 하나 이상의 안착홈(11)이 각각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노치재(1)의 후단부 상, 하에도 하나 이상의 안착홈(11)이 각각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노치재(1)가 상, 하로 이웃하는 노치재(1)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적층되어, 상기 노치재(1), 전면횡부재(2) 및 후면횡부재(3)로 구성되는 목 재틀 옹벽이 지면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틀 옹벽.
KR1020070074933A 2007-07-26 2007-07-26 목재틀 옹벽. KR10077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33A KR100771844B1 (ko) 2007-07-26 2007-07-26 목재틀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933A KR100771844B1 (ko) 2007-07-26 2007-07-26 목재틀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844B1 true KR100771844B1 (ko) 2007-10-31

Family

ID=3881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933A KR100771844B1 (ko) 2007-07-26 2007-07-26 목재틀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8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13A (ja) * 1995-07-25 1997-02-04 Akira Kurata 擁壁及び擁壁の設置工法
JPH11286950A (ja) 1998-04-01 1999-10-19 Koshii Mokuzai Kogyo Kk 擁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0192480A (ja) 1998-12-24 2000-07-11 Mokusan:Kk 木材を用いた擁壁構造およびその構成材
KR200354131Y1 (ko) 2004-03-04 2004-06-2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옹벽 축조용 가로보 격자 어셈블리
KR200369435Y1 (ko) 2004-08-31 2004-12-0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낙석 방지 및 녹화처리를 위한 격자형 조립식 옹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13A (ja) * 1995-07-25 1997-02-04 Akira Kurata 擁壁及び擁壁の設置工法
JPH11286950A (ja) 1998-04-01 1999-10-19 Koshii Mokuzai Kogyo Kk 擁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0192480A (ja) 1998-12-24 2000-07-11 Mokusan:Kk 木材を用いた擁壁構造およびその構成材
KR200354131Y1 (ko) 2004-03-04 2004-06-2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옹벽 축조용 가로보 격자 어셈블리
KR200369435Y1 (ko) 2004-08-31 2004-12-03 주식회사 경보기술단 낙석 방지 및 녹화처리를 위한 격자형 조립식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561B2 (en) Retaining wall block
US20090116911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6679656B1 (en) Connection for geogrid to concrete block earth retaining walls
US6808339B2 (en) Plantable geosynthetic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0764135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AU2003210567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2060746B1 (ko)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제조용 거푸집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JP2013087533A (ja) 軟弱地盤用基礎ブロック
KR100771844B1 (ko) 목재틀 옹벽.
KR100765347B1 (ko) 보강토 옹벽 구조
US20090185870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4250980A (ja) 補強土壁構造及び施工方法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JPH0615761B2 (ja) 壁構造物
KR200433699Y1 (ko) 보강토 옹벽
JP3727320B2 (ja) 地盤補強体、基礎構造体および基礎構造体構築工法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WO2009058316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724306B2 (ja) 法枠ブロック
JP3561436B2 (ja) 植栽用擁壁ブロック及び同ブロックを使用した植栽用擁壁の構築方法
KR100939238B1 (ko) 옹벽축조용 블록 및 옹벽
KR20160010140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KR20190125766A (ko) 절개지의 블록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