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317B1 -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317B1
KR101466317B1 KR1020130016271A KR20130016271A KR101466317B1 KR 101466317 B1 KR101466317 B1 KR 101466317B1 KR 1020130016271 A KR1020130016271 A KR 1020130016271A KR 20130016271 A KR20130016271 A KR 20130016271A KR 101466317 B1 KR101466317 B1 KR 101466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lactobacillus
lactic acid
fermente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867A (ko
Inventor
마진열
임남희
김애영
조원경
정영필
임민주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31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암전이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은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한편,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낮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암전이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황련해독탕은 이미 인체 무해성이 검증된 한약재이므로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즉시 인체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nhibiting cancer metastasis comprising Hwangryunhaedoktang or its produ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암전이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의 식생활은 풍요로워지고 식사 패턴은 서구적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생활 방식 또한 많이 변해가고 있다.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삶의 기대치도 높아지고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현대인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양의 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며 다양한 경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산업화 이전에는 자연을 가까이하는 삶을 살았지만 이제는 인위적으로 생활 환경을 만들어 자연을 가까이할 수 없으며, 주변 환경 또한 오염되어 예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 발생 양식과 사망원인 등이 예전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등 많은 부작용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조사에 따르면 암은 2010 우리나라 인구 10만명 당 사망률은 144.4명으로 사망원인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류별로는 폐암이 가장 많았고 위암, 간암, 대장암, 췌장암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암이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세포의 분열과 사멸 간의 균형이 파괴되어 계속적인 분열과 증식에 의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세포의 집단을 의미하며, 종양 또는 신생물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장기, 백혈구, 뼈, 림프절 등을 포함한 100여 가지 이상의 신체 여러 부위에 발병하며, 주변조직으로 침윤하는 현상과 다른 기관으로 이동하는 전이를 통해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한다(WHO, 2006). 암 발생의 원인으로는 화학물질, 바이러스, 세균, 전리방사선 등의 환경적 또는 외적 요인과 선천성 유전자 변이 등의 내적 요인을 들 수 있다(Klaunig & Kamendulis, Annu. Rev. Pharmacol. Toxicol. 2004, 44: 239-267).
이와 같은 암을 정복하기 위해 지난 40여 년 동안 세포주기나 세포사멸(apoptosis)의 조절과 발암유전자나 암억제 유전자들을 포함한 새로운 표적을 모색함에 있어서 눈에 띄는 발전을 거듭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암의 발생률은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증가되고 있다. 현재, 암환자의 치료법은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40여 종의 강한 세포 독성을 보이는 항암물질 투여에 의한 화학요법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인데, 이들 치료법도 대부분 조기 암환자나 특정 암에만 국한되어 암으로 인한 사망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암이 생명에 위협이 되는 가장 큰 원인은 암세포의 전이성에 있으며, 암으로 인한 사망의 대부분은 암 전이로 설명된다. 현재 임상적으로 입증된 보편적인 암 치료 방법이 외과 수술이지만, 원발암이 제거되더라도 다른 조직으로 전이된 암세포에 의해 환자의 치료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암 정복은 실질적으로는 암 전이와의 싸움이라 볼 수 있다.
암전이에 있어서 세포의 이동은 여러 단계에 관여하는데, 암세포가 초기의 원발암 위치에서 세포간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지나 혈관으로 이동할 때, 제2의 전이 조직에서 혈관 밖으로 이동할 때 및 신생혈관에서 혈관 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가 이동할 때에 관여하는 등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항암제가 단순히 암세포를 사멸시키거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임을 고려할 때, 암전이 억제를 위한 제제는 이와 달리 별도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암세포 이동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는 암전이 억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세포 이동 억제제가 최상의 표적은 아니나, 암 환자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암은 어떤 부위에서 발생하든지 발생 부위만 찾으면 외과적 수술에 의해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과적 수술의 한계는 암세포가 원발암 부위 이외의 여러 다른 곳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발병 초기에만 수술을 통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기에 암을 진단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이미 암세포가 혈관을 경유하여 온 몸에 퍼져있고 제2 또는 제3의 위치에서 매우 작은 집락(colony)을 형성한 경우에는 외과적 수술에 의한 성공적인 암치료를 기대할 수 없다. 실제로 많은 경우 암세포가 전이되어 외과적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더 이상의 전이가 확산되지 않도록 암세포 이동을 억제한 상태에서 항암제를 투여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암 세포의 이동 억제제의 개발은 새로운 개념의 신약 항암제로 개발될 수 있으며, 효과가 확인된 저해제는 세포 이동에 관한 학문적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한편, 한방제제는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방제제는 상대적으로 인체 내 부작용이 적으며 구성 생약재 성분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어 최근 한방제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안전하면서도 암 치료 또는 암전이 억제에 효과가 우수한 한방제제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한약재 또는 건강식품 등은 경구 투여되면 체내로 흡수될 때까지 장내세균총과 만나게 되고, 여기에 함유된 많은 화합물들은 장내세균총의 동화, 이화작용을 받아 다양한 생물전환체(대사체)가 생성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생물전환체를 만드는 것은 그만큼 다양한 반응을 촉매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많은 생물전환체는 원화합물에 비해 독성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이 중에서 특이할만한 것은 약효가 없던 화합물이 장내세균에 의해 대사됨으로서 약효가 발현되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장내세균총이 천연물을 포함하여 한약을 대사시킬 수 있는 대사계는 간장에 존재하고 있는 대사효소군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람들이 한약을 섭취할 경우 한약 내의 성분들이 혈액내로 이행되어야 약효를 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의 한약 성분들은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고 있어 장내에서의 흡수를 위하여 비배당체인 아글리콘(aglycone)의 형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모두 각각 다른 장내세균총을 가지고 있어 한약 성분들을 아글리콘 형태로 전환할 수 있는 효율이 모두 달라 한약의 약효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으면서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하여 암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이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을 나타내면서 항암관련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 고전이성 암세포의 폐전이를 저해함을 확인하여, 암전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은 중국 전통의학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약재인 황련(黃連), 황금(黃芩), 황백(黃柏), 치자(梔子)로 구성되고, 삼초(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 즉 사지를 제외한 몸통을 의미함)의 실열(實熱)이 있을 때 효험이 있는 한방유래의 탕약을 의미한다. 열성병(熱性病)으로 염증이 있고 열과 충혈에 의한 정신불안에 출혈이 있으며, 요(尿)가 붉고 심하부(心下部)가 걸려서 저항이 있을 때 처방하고, 또한 하혈, 객혈, 뇌일혈에도 처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항산화 효과, 항궤양 효과, 이뇨작용, 혈압강하 효과 및 항균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고, 피부와 관련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황련해독탕은 그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황련, 황금, 황백 및 치자의 열수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련"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이 원산지이나, 생약용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재배되기도 하며 러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여러 종이 존재한다. 한방에서는 11월경에 재식 5 내지 6년 된 황련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황련이라고 하며, 건위, 진정,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위염, 장염, 복통, 구토, 이질, 심계, 번열, 정신불안, 인후종통, 토혈, 코피, 하혈 및 화상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왕련, 지련, 삼각엽황련, 아미야연, 운남황련, 깽깽이풀, 천황련, 토황련, 선황련, 모황련, 조선황련, 산련풀 등이 있다. 실제 황련이라는 생약명으로 여러종류의 식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콥티스(Coptis) 속의 종들을 비롯한 플라지오레그마 두비움 맥심(Plagiorhegma dubium Maxim.) 및 제퍼소니아 두비아 벤트 엣 훅(Jeffersonia dubia Bent. et Hook.)등의 다양한 식물을 포함한다.
상기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중국이 원산지이나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약초로도 재배하고 있다. 황금은 겉 표면을 벗겨내면 노란색이 황금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특히 뿌리를 황금이라 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황금의 성미는 차갑고 쓰며 독이 없고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 작용이 있다. 쓴 맛은 심장과 폐에 들어가 장위를 보하고 차가움은 간장과 폐에 들어가 습열을 없앤다. 또한 지혈, 안태의 효능이 있고, 번갈, 폐열해수, 황달, 자궁출혈, 목적종통, 태동불안을 치료하며, 불면증, 위장염, 대/소장염, 간염, 방광염, 요도염, 천식 등에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향수수초, 금, 토금채, 황금다근, 황금다, 속썩은풀, 황금초 등의 속명을 갖는다.
상기 "황백"은 산초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황경피 나무 또는 이의 껍질을 말려 제조한 약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황경피, 자벽, 소벽, 단환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줄기껍질은 연한 회색이나 코르크층이 발달하여 깊이 갈라지며, 코르크층을 벗긴 내피는 노란색이다. 주로 약재로 사용되는 부분은 수피로서 일반적으로 3 mm 정도의 두께와 30 cm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단환이라고 불리는 황벽나무(황백나무)의 뿌리인 황벽근은 명치에 생긴 질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점액성이 있으며 침을 황색으로 물들인다. 약효는 상기 황금 또는 황련과 비슷하나 그 약효가 적용되는 부위는 차이가 있다. 알려진 약리작용은 항미생물작용, 수렴작용, 피하출혈흡수촉진작용, 항염증작용, 건위작용, 혈압강하작용, 근수축력증강작용 등이며, 유행성 뇌막염, 세균성이질, 폐렴, 폐결핵, 간경변, 급성 결막염, 해열, 해독, 설사, 당뇨병, 황달, 비만증, 관절통, 근육통 등에 쓰인다.
상기 "치자"는 상록관목인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치자나무의 열매 또는 이를 건조시킨 것을 말한다. 상기 치자나무는 우리나라 중부이남, 중국, 대만, 일본 등 더운 지방의 깊은 산중에 자생한다. 열매는 3.5 cm 정도 길이로 9월에 황홍색으로 익으며, 약용으로뿐만 아니라 염료로도 사용된다. 약리적으로 당뇨병, 고혈압, 불면증, 황달, 소변장애, 안구충혈, 결막염, 토혈, 자궁출혈, 혈뇨, 타박상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관절타박상을 치료하고 해독효과를 갖는다. 치자 단독으로 또는 다른 약재와 함께 물에 달여 마시거나, 치자를 분말하여 물 등에 개어 환부에 붙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유산균 발효물"은 유산균이 성장할 수 있는 배지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한 배양물 또는 이로부터 수득한 배양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용어 "발효"는 좁은 의미로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를 얻는 당 분해과정을, 넓은 의미로는 미생물이나 균류 등을 이용해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얻어내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은 발효시키고자 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을 배양함으로써 다양한 효소작용 등을 통해 생산되는 인간에 이로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 발효물은 황련해독탕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호기성 대기하에, 35℃ 내지 45℃의 온도 및 1 내지 3일의 시간동안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황련해독탕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상등액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유산균으로는 분리균주 또는 시판 중인 다양한 유산균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또는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루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루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루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루스 콘푸수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루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럼(Bifidobacterium thermophilum) 균주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루스 퍼멘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암"이란 세포의 정상적인 분열, 분화 및 사멸의 조절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과다 증식하여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윤하여 덩어리를 형성하고 기존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암은 발생한 부위에 존재하는 원발암과 상기 발생 부위로부터 신체의 다른 부위로 퍼져나간 전이암으로 구분된다. 상기 전이암은 암세포가 혈액순환이나 림프순환을 통해 퍼져나가서 형성되는 것으로, 대개는 혈액순환을 타고 다른 장기로 옮겨간 후 새로운 종양으로 자라난 것이다. 이와 달리 암세포가 이웃한 조직으로 직접 이동하여 형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암전이는 암세포가 이웃조직으로 직접 이동하고 침투하는 침윤(invasion)에 의한 암세포의 확산 및 암세포가 혈류를 타고 이동하여 물리적으로 원발암과는 인접하지 않은 장기에서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전이(metastasis)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암전이에 있어서, 세포의 이동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암세포의 이동을 저해하는 것이 암전이를 예방하는 일차적인 방법임은 자명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침윤을 제외한 전이는 혈류를 타고 암세포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혈류의 패턴이 암전이 부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한편, 원발암의 형태와 무관하게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조직은 폐이다. 이는 대부분의 조직을 지나온 혈액이 폐를 거쳐 심장으로 다시 돌아간다는 사실과 관련이 깊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암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암 즉, 원발암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결장암 및 직장암을 포함하는 대장암, 유방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전립선암, 뇌종양, 두경부암종, 흑색종,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위암, 폐암, 췌장암, 비소세포성폐암, 간암, 식도암, 소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골암, 피부암, 두부암, 경부암, 피부흑색종, 안구내흑색종,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육종, 요도암, 음경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종양, 뇌간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선종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암전이 억제는 암이 폐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혈류 패턴상 폐는 원발암의 종류와 무관하게 암전이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조직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처리하여 시험관 내에서 고전이성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도 3), 암전이 유발 동물모델에서 주입된 암세포의 폐로의 전이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은 또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시키는 능력을 갖는다(도 1). 즉,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능력을 가지면서, 암세포의 이동과 침윤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원발암에 대한 치료와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암전이를 억제하면서 원발암을 치료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원발암에 대한 치료는 공지의 방법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외과적 수술요법, 화학요법, 생물학적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체로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부형제, 윤활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딘,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전형적으로 막을 통과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사용가능한 계면활성제로는 스테로이드에서 유도된 것이나, N-[1-(2,3-디올레오일)프로필-N,N,N-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DOTMA) 등의 양이온성 지질, 또는 콜레스테롤 헤미숙시네이트 등이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즈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DNA 알킬화제(DNA alkylating agents), 항암항생제(anti-cancer antibiotics) 또는 식물 알카로이드(plant alkaloids)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항암제는 메클로에타민(mechloethamine), 클로람부칠(chlorambucil),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무스타드(mustard),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 로무스틴(lomustine; CCNU),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부설판(busulfan), 티오테파(thiotepa),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actinomycin D), 독소루비신(doxorubicin; adria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크산트론(mitoxantrone),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마이토마이신 C(mitomycin C),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시드(etoposide), 테니포시드(teniposide), 토포테칸(topotecan) 또는 이리도테칸(iridotecan) 등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산균 발효물은 암전이 억제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는데, 식품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과자류, 빵류, 면류 등과 같은 각종 식품류, 물, 청량음료, 과실음료 등의 드링크류, 껌, 차, 비타민 복합제, 조미료류,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유산균 발효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경우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에는 100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g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유산균 발효물이 지닌 암전이 억제효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식품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기재로 되는 식품의 제조공정 중에 상술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을 첨가하는 공정 또는 식품의 제조 후에 상술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을 첨가하는 공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맛과 냄새 교정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당 약 20 중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인간 및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암전이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암전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암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항암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은 유효성분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은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투여 또는 정맥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물은 1일 50 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은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한편,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낮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암전이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황련해독탕은 이미 인체 무해성이 검증된 한약재이므로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즉시 인체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의 암세포 생존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 처리에 의한 항암관련 사이토카인 발현량의 변화 및 이들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에 의한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에 의한 동물실험모델에서 암세포의 폐전이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균주의 배양
한국 식품 연구원 식품미생물 유전자은행에서 락토바실러스 속 45종, 비피도박테리움 속 2종과 한국 생명공학 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락토바실리 1종을 분양받아 실험에 이용하였다. 분양받은 균주는 표준배지(호기성균: MRS 배지, 혐기성균: Reinforced clostridial 배지)에서 계대배양한 뒤 초기균수를 105 내지 106으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균주 증식용 액체배지는 MRS 액체배지(DifcoTM Lactobacilli MRS Broth, Becton Dickinson, Franklin Lakes, NJ, USA)를 사용하였고, 계대용 사면배지 및 생균수 측정용 배지로는 MRS 우무배지(BactoTM Lactobacilli MRS AGAR, Becton Dickinson)를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균주 증식용 MRS 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10 g/L 펩톤, 10 g/L 육즙, 5 g/L 효모 추출물, 20 g/L 글루코스, 1 ml/L 트윈 80, 2 g/L K2HPO4, 5 g/L 아세트산 나트륨, 2 g/L 구연산 삼암모늄, 0.2 g/L MgSO4·7H2O, 0.2 g/L MnSO4·4H2O, pH 6.2-6.6.
비피도박테리움 균주 증식용 액체배지는 Reinforced Clostridial 배지(Becton Dickinson)를 사용하였다. 비피도박테리움 균주 증식용 Reinforced Clostridial 배지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10 g/L 박토-트립토스, 10 g/L 박토-육즙, 3 g/L 박토-효모 추출물, 5 g/L 박토-덱스트로스, 5 g/L 염화나트륨, 1 g/L 수용성 전분, 0.5 g/L L-시스틴 염산, 3 g/L 아세트산 나트륨, 0.5 g/L 박토-우무배지, pH 7.6.
실시예 2: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방약합편을 기초로 황련 5 g, 황금 5 g, 황백 5 g 및 치자 5 g을 혼합하여 준비한 약제에 1 L의 물을 첨가하고 약탕기를 이용하여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황련해독탕 원탕(original hwanryunhaedoktang; OR HRT)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원탕에 1 M NaOH를 가하여 pH를 8.0으로 조절하고 이를 121℃에서 15분간 고압멸균처리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발효를 위한 배지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분양받아 배양한 발효균주들을 pH가 조정된 후 멸균된 한방처방에 1%(v/v)의 농도로 접종하여 37℃에서 12시간, 24시간 및 48시간 발효시킨 후 pH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에 따라 pH 저하 능력이 높은 균주를 10종 선발하여 발효 황련해독탕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균주는 각각의 고유한 번호로 표기하였으며, 127 및 129는 락토바실루스 카제이, 128 및 217은 락토바실루스 아시도필루스, 144 및 348은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 164는 락토바실루스 퍼멘텀, 166은 락토바실루스 커바투스, 227은 락토바실루스 콘푸수스, 744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균주를 나타낸다.
발효 황련해독탕을 제조하기 위하여 700 ml의 황련해독탕 원탕에 상기 선발된 균주를 각각 1%(v/v) 농도로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배양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배양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발효 황련해독탕(fermented hwanryunhaedoktang; FHRT)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암세포 생존율에 대한 효과
인간 대장암세포인 HCT-116 세포주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원탕 황련해독탕(OR HRT) 및 발효 황련해독탕(FHRT; 164 및 227)을 농도별(9, 18, 37, 75, 150 및 300 μg/ml)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에세이를 수행하여 상기 암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탕 황련해독탕 및 발효 황련해독탕은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생존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원탕 보다는 발효탕이 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항암관련 사이토카인 발현에 대한 효과 및 세포독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의 항암관련 사이토카인 발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로부터 대식세포를 분리하여 상기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처리하여 IL-12 분비 수준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들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여 상기 상기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BALB/c 마우스에 3% 티오글리콜레이트(thioglycollate) 1 ml을 복강내 주사하고 3일 후 복강내에 수집된 대식세포를 회수하였다. 상기 대식세포를 6×105 개씩 웰에 분주하고 원탕 황련해독탕(OR) 및 상기 실시예 2로부터 선발된 10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황련해독탕(도면 상에서 각 균주 번호로 표기)을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였다. 사이토카인 ELISA 키트(Biolegend)를 이용하여 제조업자에 의해 제공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회수한 배양액 내의 IL-12 발현량을 측정하였으며, 배양된 세포를 이용하여 MTT 에세이를 통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상기 제제들의 시료들의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LPS)으로는 내독소(endotoxin)으로 작용하여 강한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LPS(lipopolysaccharide)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한 세포를, 음성대조군(CTL)으로는 아무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비처리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탕과는 달리 발효 황련해독탕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IL-12 발현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대식세포의 생존율은 원탕 및 발효 황련해독탕에서 대부분 90% 이상의 높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므로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시료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암세포 이동 및 침윤 억제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의 암세포 이동 및 침윤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트랜스웰(transwell)을 이용한 세포 이동(migration) 및 침윤(invasion) 에세이를 수행하였다. 세포로는 전이성이 높은 마우스 흑색종 세포인 B16F10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각 웰에 2×105 개의 B16F10 세포를 분주하고 각각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침윤실험을 위해서는 배양시간을 길게하였을 뿐만 아니라 마트리겔을 코팅하여 사용하여 마트리겔 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세포 침윤을 관찰하였다. 이외 실험조건은 하기와 같이 동일하게 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트랜스-웰(trans-well)을 올려놓고 2×105 세포/100 μl의 세포를 첨가하였다. 24-웰 플레이트 위에 트랜스 웰이 놓인 빈 공간을 이용하여 원탕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발효물이 포함된 650 μl의 10%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첨가하고, 37℃에서 12 내지 36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B16F10 세포주의 전이를 억제하는 약물로 알려진 α-MSH를 1 μM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여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배양 후, 핸드타월에 트랜스-웰을 엎어서 배지를 제거한 후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00 μl의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20% 메탄올 중 2 mg/ml)을 첨가하고 트랜스-웰을 30분간 CO2 배양기에 두었다. 염색된 트랜스-웰을 PBS로 세척하고 핸드타월에 엎어 잔여 용액을 스며들게 하였다. 막을 세포가 이동하지 않은 쪽을 위로 향하게 하여 커버슬립 위에 올려놓고 이동(migration)되지 않은 세포를 면봉으로 제거하였다. 커버슬립 가장자리에 매니큐어를 조금 바르고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덮어 고정시켰다. 이렇게 준비한 시료를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도립현미경(CKX41, OLYMPUS, Japan)으로 사진을 찍은 후 이동한 세포 수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비처리군인 대조군(control)에 비해 원탕(HR-OR) 또는 발효탕(HR-164)을 5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이 현저하게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발효물은 암세포 전이 억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암전이 유발 동물모델에서 암전이 억제효과
상기 실시예 5의 시험관 내 실험을 통해 효과적인 암세포의 이동 및 침윤 억제활성이 확인된 본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발효물이 동물모델에서도 암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암전이 유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전이성(highly metastatic) 암세포인 B16F10 세포주(3×105 개/마리)를 6주령의 C57BL/6 마우스에 꼬리정맥을 통해 접종하고 16일 동안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매일 200 mg/kg의 용량으로 구강투여하고 폐전이 정도를 관찰하였다. 상기 제제의 투여량은 60 kg 체중의 성인이 1일 3첩 복용하는 양과 탕제의 수율을 고려하여 결정하였으며, 음성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 투여군을 이용하였다.
16일 후 마우스를 치사시키고 폐를 적출하여 Bouin's 용액으로 고정시킨 후, 전이된 B16F10 종양 콜로니의 갯수 및 패턴을 확인하였다. 각각 5마리의 대조군 및 실험군으로부터 적출한 폐의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면상의 검은 반점이 암세포 콜로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control)과 비교시 원탕 황련해독탕 또는 발효 황련해독탕을 투여한 실험군으로부터 적출한 폐에서 현저히 적은 수의 암세포 콜로니가 관찰되었다. 폐에 생성된 콜로니를 계수한 결과, 음성대조군에서 약 495개, 원탕 및 발효 황련해독탕 실험군에서 각각 291개와 172개 정도의 콜로니가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원탕 황련해독탕 실험군은 음성대조군 대비 약 40%의 전이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발효 황련해독탕 실험군은 음성대조군 대비 약 65%의 전이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 황련해독탕을 투여한 실험군의 폐는 원탕 황련해독탕을 투여한 실험군의 폐에서 보다 적은 수의 암세포 콜로니가 형성되었음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원탕 황련해독탕 대비 약 40% 증대된 항전이 효능을 나타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 및 이의 유산균 발효물은 암전이 억제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발효 황련해독탕에 의해 암세포 전이가 강하게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황련해독탕은 암전이 억제 활성을 가지며, 유산균 발효에 의해 그 효능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황련해독탕의 락토바실루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루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루스 콘푸수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에 의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발효물은 황련해독탕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호기성 대기하에, 35℃ 내지 45℃의 온도 및 1 내지 3일의 시간동안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인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암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대장암, 유방암, 자궁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전립선암, 뇌종양, 두경부암종, 흑색종,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위암, 폐암, 췌장암, 비소세포성폐암, 간암, 식도암, 소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골암, 피부암, 두부암, 경부암, 피부흑색종, 안구내흑색종,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육종, 요도암, 음경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종양, 뇌간신경교종 및 뇌하수체선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전이 억제는 암이 폐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항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DNA 알킬화제(DNA alkylating agents), 항암항생제(anti-cancer antibiotics) 및 식물 알카로이드(plant alkaloid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메클로에타민(mechloethamine), 클로람부칠(chlorambucil),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무스타드(mustard),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카르무스틴(carmustine; BCNU), 로무스틴(lomustine; CCNU),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부설판(busulfan), 티오테파(thiotepa),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actinomycin D), 독소루비신(doxorubicin; adria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크산트론(mitoxantrone),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마이토마이신 C(mitomycin C),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에토포시드(etoposide), 테니포시드(teniposide), 토포테칸(topotecan) 및 이리도테칸(iridoteca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3. 황련해독탕의 락토바실루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루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루스 콘푸수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전이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30016271A 2013-02-15 2013-02-15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466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271A KR101466317B1 (ko) 2013-02-15 2013-02-15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271A KR101466317B1 (ko) 2013-02-15 2013-02-15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867A KR20140102867A (ko) 2014-08-25
KR101466317B1 true KR101466317B1 (ko) 2014-12-01

Family

ID=5174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271A KR101466317B1 (ko) 2013-02-15 2013-02-15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27A (ko) * 2019-06-26 2021-01-06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2419A (ko) * 2019-06-26 2021-01-08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770A (ko) * 2017-06-01 2018-12-1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5328B1 (ko) * 2018-12-10 2019-07-02 한국식품연구원 항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WiKim0102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US20220118033A1 (en) * 2018-12-10 2022-04-21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Lactobacillus fermentum wikim0102 having anticancer activity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ulletin of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Vol.138, No.3, pp.288-294 (2004) *
Bulletin of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Vol.138, No.3, pp.288-294 (2004)*
Integrative Cancer Therapies, Vol.9, No.4, pp.354-364 (2010) *
Integrative Cancer Therapies, Vol.9, No.4, pp.354-364 (2010)*
PLOS ONE, Vol.7, No.9, e46318, pp.1-11 (2012) *
PLOS ONE, Vol.7, No.9, e46318, pp.1-11 (2012)*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ol.24, No.2, pp.1-15 (2011) *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ol.24, No.2, pp.1-15 (2011)*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27A (ko) * 2019-06-26 2021-01-06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9934B1 (ko) * 2019-06-26 2021-01-08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2419A (ko) * 2019-06-26 2021-01-08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437B1 (ko) * 2019-06-26 2022-01-14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867A (ko) 201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317B1 (ko)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CN109628358A (zh) 一种复合益生菌及其应用
KR10142548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2021527414A (ja) ロイコノストック属菌株を含む腸機能改善用組成物
CN105012349A (zh) 一种防治血管性痴呆的益生菌制剂及其制备方法
CN106924477B (zh) 一种混合菌发酵生产的复合中药发酵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689192B1 (ko)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케피리 균주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139732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AU2019416609B2 (en) Kimchi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diseases
KR20200084829A (ko)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조성물
KR102143081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6992B1 (ko) 탱자 추출발효물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질환의치료용 조성물
CN105749099B (zh) 一种治疗胃癌的益生菌发酵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93602B1 (ko)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KR102139443B1 (ko) 감국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용 조성물
KR20190048794A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9646546B (zh) 一种用于防治牲畜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577732B1 (ko) 황백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골질환 또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42429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20018649A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수면 장애 개선 및 숙면 유지용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96041A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20150092910A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있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0743A (ko) 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개선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효모 추출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