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306B1 -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 Google Patents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306B1
KR101808306B1 KR1020160135269A KR20160135269A KR101808306B1 KR 101808306 B1 KR101808306 B1 KR 101808306B1 KR 1020160135269 A KR1020160135269 A KR 1020160135269A KR 20160135269 A KR20160135269 A KR 20160135269A KR 101808306 B1 KR101808306 B1 KR 101808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pation
water
lactobacillus casei
roasted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덕
용금술
용주현
용주선
장민철
조정희
조현우
안병관
정호경
장지훈
이기호
심미옥
이무진
Original Assignee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6013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5Casei
    • A23Y2220/17
    • C12R1/24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45Lactobacillus case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 균주는 결명자 열수추출물이 아닌 결명자 물 희석액만으로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신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전성이 높고 생약으로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부작용 문제로 건강기능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자극성 변비 치료제인 센노사이드, 또는 비사코딜 및 도큐세이트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용화된 둘코락스에스와 동등한 변의 개수, 변의 수분 함량 및 변의 중량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변비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Lactobacillus casei strain for enhancing activity of improving or preventing constipation by fermenting Cassia}
본 발명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비(Constipation)는 의학적으로 일주일에 3회 이하의 배변이거나, 하루 배변량이 30 g이하일 때 변비라고 정의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음식물을 섭취한 후 24시간이면 대변이 되어 배설되나, 변비가 있는 사람은 며칠에 한 번 변을 보거나 매일 보더라도 그 양이 적어 결과적으로 섭취한 음식물의 장내 체류시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변비의 원인으로는 아침식사를 거름으로 인한 대장연동운동의 저하,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한 식이섬유의 부족, 운동부족으로 인한 기초체력 및 복근력 저하, 다이어트, 과다한 약물 복용으로 인한 약물 중독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예로부터 만병의 근원으로까지 일컬어지고 있는 변비는 식욕이 없고 늘 복부가 팽만한 상태에 있을 뿐 아니라 배설되지 못한 변의 독소가 장을 통하여 혈액에 흡수됨으로써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고 두통이나 여드름, 피부 발진 등이 나타나며, 변비가 심하면 배변 시 치열의 파손과 치액의 탈출 등 치질의 원인이 되고, 변속에 있는 독소에 의해 대장암까지 발생된다. 또한 변비가 지속되면 체외로 배출되어야할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이 몸속에 남아있어서 동맥 경화 또는 담석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고혈압과 심장비대를 일으켜 심장병으로 악화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뇌졸중, 면역결핍, 시력장애, 정신질환(우울증) 등 다양하고 심각한 2차 질환의 원인이 되므로 변비는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필요한 중요한 질환이다.
이에 현재까지 변비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의약품의 경우 대부분 센나, 대황 등의 안트라퀴논 유도체 성분이 함유된 자극성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복통, 설사 등의 부작용과 함께 임신 중 복용이나 지속적인 복용에 문제가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경우도 과학적으로 그 효과가 충분히 입증되지 못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변비 개선의 근본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결명자는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초본으로 초결명자(Cassia obtusifolia L.)와 결명자(Cassia tora L.)의 두 품종이 알려져 있다. 결명자는 초결명, 긴강남차라고도 한다. 초결명자는 중앙아메리카 원산으로 일본 등지에서 결명자는 열대아시아산으로 중국, 우리나라 등지에서 재배된다.
열매의 모양은 불규칙한 육각주상으로 한쪽은 뾰족하다. 외면의 색깔은 황갈 내지 흑갈색이고, 길이 3 내지 6 mm, 지름 2 내지 3.5 mm이다. 종피는 견고하고 윤택하며, 좌우 양측에 광택이 있는 폭이 좁은 한줄의 패어진 무늬가 있고, 약간 특이한 냄새가 난다. C. obtusifolia는 종자가 대립이고, C. tora는 소립이다.
결명자는 한방에서 청열명목 작용에 의하여 급성결막염, 안구출혈, 이물질이나 통증을 느끼고, 눈물을 흘리는 경우, 노인의 눈에 발생하는 각막 혼탁현상, 즉 만성진행성질환, 시신경, 망막위축에 기인하는 급속한 시력감퇴, 비만, 혈압이 높고,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두통, 이명, 눈의 종양을 치료하고, 강압작용으로는 고혈압증 치료, 관상동맥 확장으로 혈유의 저항을 줄여 혈압을 낮추어 주며, 뇌졸중에 의한 반신불수, 경미한 설사작용, 만성질환을 치료하고, 콜레스테롤 저감작용으로는 심혈관질환, 즉 콜레스테롤치가 정상범위를 넘었을 경우나 관상동맥 경화에 의한 협심증을 치료하며, 변비치료는 노인성 변비증, 노인성 고혈압증, 진액부족으로 인한 입이 마르고, 변비 기미에 의한 복부 팽만감, 상습성 변비증 등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999-0084271호에서는 결명자 또는 결명자엽과 다른 생약재를 혼합하고 단순 분쇄 및 배전하여 제조한 티백차가 변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2493호는 결명자를 먼저 추출, 농축 후 분무 건조하여 제조한 결명자 추출물 분말과 카스카라사그라다 추출분말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침출차가 기호성이 우수하고 변비증상 개선 효과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고, 상기 특허들은 결명자를 단순 분쇄하여 배전하거나, 추출 및 농축하여 건조한 것이거나, 또는 이들과 다른 변비 개선 효과가 있는 생약재와 혼합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3375호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이전에 출원한 특허로서, 상기 특허에서는 결명자의 열수추출물을 락토바실러스 케피리 균주로 발효시켰을 때 변비의 개선 및 예발 활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결명자의 물 희석액을 락토바실러스 케피리 균주로 발효시켰을때는 상대적으로 그 효과가 높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명자를 이용하되, 종래의 결명자 열수추출물 뿐만 아니라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켰을때도 변비 개선 및 예방 활성을 나타내는 신균주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999-0084271호 한국공개특허 제2003-006249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33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결명자 열수추출물 뿐만 아니라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켰을때도 변비 개선 및 예방 활성을 나타내는 신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신균주를 이용하여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결명자 물 희석액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결명자 또는 그 분쇄물을 물과 혼합하여 결명자 물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결명자 물 희석액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를 1×105 내지 1×108 CFU/㎖가 되도록 접종하여 35 내지 45 ℃에서 1 내지 7 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명자는 볶은 결명자 또는 그 분쇄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볶은 결명자는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볶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볶은 결명자 또는 그 분쇄물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3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의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영양원을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 균주는 결명자 열수추출물 뿐만 아니라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켰을때도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신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전성이 높고 생약으로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낮추면서도, 부작용 문제로 건강기능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자극성 변비 치료제인 센노사이드, 또는 비사코딜 및 도큐세이트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상용화된 둘코락스에스와 동등한 변의 개수, 변의 수분 함량 및 변의 중량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변비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의 각 실험군에 대한 실험동물의 사료 섭취량(g), 음수량(mL) 및 체중량(g)을 나타낸 그래프로, 1a는 사료 섭취량, 1b는 음수량, 1c는 체중량을 나타낸다.
도 2는 실험예 1의 각 실험군에 대한 변의 중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1의 각 실험군에 대한 변의 개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1의 각 실험군에 대한 변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1의 각 실험군에 대한 장 이동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2의 각 실험군에 대한 실험동물의 사료 섭취량(g), 음수량(mL) 및 체중량(g)을 나타낸 그래프로, 6a는 사료 섭취량, 6b는 음수량, 6c는 체중량을 나타낸다.
도 7은 실험예 2의 각 실험군에 대한 변의 중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예 2의 각 실험군에 대한 변의 개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험예 2의 각 실험군에 대한 변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예 2의 각 실험군에 대한 장 이동거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결명자 물 희석액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결명자 또는 그 분쇄물을 물과 혼합하여 결명자 물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결명자 물 희석액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를 1×105 내지 1×108 CFU/㎖가 되도록 접종하여 35 내지 45 ℃에서 1 내지 7 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명자 물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결명자 또는 그 분쇄물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3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결명자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거나 균주에 의한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물은 냉수 또는 실온의 물을 이용하여 결명자 성분을 용출하는 경우 발효와 별도로 용출할 수도 있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되는 과정에서 결명자로부터 결명자의 성분이 용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결명자는 초결명자(Cassia obtusifolia L.) 또는 결명자(Cassia tora L.)이고, 바람직하게는 한국에서 재배되는 결명자(Cassia tora L.)이다.
이때, 상기 결명자는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볶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볶은 결명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변비 개선 또는 치료 및 예방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결명자를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도 결명자의 유효성분이 효율적으로 용출되지 않아 발효가 지연되거나 또는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명자 물 희석액에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발효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시간 범위내에서 변비 개선 및 예방 활성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균주는 락토바시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인 것으로, 상기 락토바시러스 카제이 균주는 다른 균주와는 달리 상기 결명자 물 희석액에 접종될 경우, 변비 개선 또는 치료 및 예방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명자 열수 추출물 뿐만 아니라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켰을때도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 효과에 모두 효과적이며,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명자와 물을 혼합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통해 결명자 물 희석액을 제조하고, 이를 유산균으로 발효시킴으로써, 종래보다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상기 결명자 물 희석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기 이전에 유산균 생육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비타민 또는 무기질 등의 유산균 영양원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영양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배지를 이용하거나, 또는 필요한 영양원만을 개별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물과 유산균 영양원의 혼합물은 유산균을 접종하기 전에 가열 살균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고형분(볶은 결명자) 함량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추출 후에 다른 농축 과정이 없을 경우에는 1 내지 15 중량%이고, 이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고, 농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농축 또는 건조한 후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K2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또는 그 이후에 변비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정장작용을 위하여 보조적으로 별도의 유산균을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락토바실러스 케피리,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비스,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페디오코터스 펜토사세우스,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인 것이다.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의 조건은 일반적인 유산균 발효와 동일하므로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25 내지 40 ℃의 온도에서 24 내지 96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은 유산균 균체를 포함하는 발효물일 수 있고, 유산균 균체가 제거된 발효물일 수도 있다. 유산균 균체가 제거된 발효물은 발효물을 멸균하여 사균체를 포함하게 할 수도 있고,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제거한 여액 또는 원심분리 상등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변비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 효과는 결명자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을 유산균이 증식하면서 생체 내에서 이용하기 용이한 성분으로 생물전환 시키거나, 변비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갖는 신규의 활성 성분이 생성되기 때문으로 예상되며, 단순한 유산균 자체가 부가되어 얻을 수 있는 효과보다 현저히 상승된 것이다. 상기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은 액상의 발효물을 그 자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된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변비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변비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상기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상기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로 제제화 한것일 수 있고, 또는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여 일반 식품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캡슐, 정제,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으로서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홍경천 발효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의 치료 또는 예방용약학 조성물에서,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은 예를 들어, 0.001 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mg/kg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0 mg/k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g/kg 이상 포함된다.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g/㎏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제조예 1: 결명자 분쇄물 제조
결명자는 전남생약농업협동조합(화순군)에서 구입한 국내산 결명자(Cassia tora L.)를 정선, 수세 후 분쇄기로 균일하게 분쇄하여 평균입자크기 300 ㎛의 결명자 분말을 제조하여 냉장보관하면서 이용하였다.
제조예 2: 볶은 결명자 분쇄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분쇄된 결명자를 150 ℃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볶은 결명자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 제조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분쇄된 볶은 결명자의 함량이 3 중량%가 되도록 물과 혼합하여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결명자 물 희석액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분쇄된 결명자를 7 중량%가 되도록 물을 혼합하여 결명자 물 희석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는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3375호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의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
상기 제조예 3의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121 ℃의 온도 및 1.5 기압에서 15분 동안 멸균하여 준비하였다.
그리고, 하기 표 1의 유산균을 각각 MRS broth와 GAM broth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37 ℃의 온도에서 정치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유산균을 배양액 3 중량%(1×107 CFU/㎕)를 상기 멸균된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고형분 3 중량%)에 접종하여 30 ℃의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배양액을 얻었다.
상기 배양액을 121 ℃의 온도 및 1.5 기압에서 15분 동안 멸균한 다음에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볶은 결명자 발효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교예 1, 2: 결명자 물 희석액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제조예 3의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 대신에 제조예 4의 결명자 물 희석액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3375호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균주명 입수경로 사용배지
K2
(실시예1, 2)
Lactobacillus casei 2년숙성 김치에서 분리 MRS
MJ
(비교예1)
Lactobacillus kefiri MJ90[기탁번호: KCCM11575P] 티벳버섯에서 분리 MRS
K3
(비교예2)
Lactobacillus plantarum 한국식품연구원 MRS
실험예 1: 발효균 및 추출물의 종류에 따른 동물실험을 통한 변비 예방 효과 확인
가. 실험동물 및 실험군
실험동물은 SD(Sprague Dawley) 래트 4주령 수컷을 다물사이언스(대전)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 20±2 ℃, 습도 55±5 %, 12 시간 명암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은 구입 후 1주일 동안 순화한 다음, 각 군당 5마리씩을 배치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구분 실험군
NOR 일반 사료 섭취하는 정상 대조군
LOP 변비유발을 위해 로페라미드를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한 음성 대조군
MJ-100 비교예 1의 Lactobacillus kefiri 균주 발효물 1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MJ-200 비교예 1의 Lactobacillus kefiri 균주 발효물 2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MJ-300 비교예 1의 Lactobacillus kefiri 균주 발효물 3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K2-100 실시예 1의 Lactobacillus casei 균주 발효물 1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K2-200 실시예 1의 Lactobacillus casei 균주 발효물 2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K2-300 실시예 1의 Lactobacillus casei 균주 발효물 3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K3-100 비교예 2의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발효물 1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K3-200 비교예 2의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발효물 2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K3-300 비교예 2의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 발효물 3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
정상 대조군(NOR) 및 음성 대조군(LOP)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은 로페라미드 투여 전에 각각의 양성 대조군 약물이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균주 발효물을 5 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그리고, 음성 대조군(LOP)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들은 로페라미드를 5일 동안 피하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하였고, 로페라미드 투여개시일로부터 6 일째 실험동물을 희생시켰다.
나.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체중
모든 실험군은 로페라미드 투여개시일부터 실험동물 희생시킬 때까지의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량(g), 사료 섭취량(g) 및 음수량(mL)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1(a, b, c)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험기간 동안 사료섭취량 및 음수량은 로페라미드로 변비를 유발시킨 군(LOP)이 정상 대조군(NOR)보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 변의 중량, 변의 개수 및 수분함량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변의 중량에 있어서, K2그룹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에 의한 발효물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으나, 나머지 균주에 의한 발효물은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변의 개수를 나타낸 그래프로, 상기 변의 중량에 따른 결과와 마찬가지로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K2그룹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에 의한 발효물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함량에 따른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변의 수분함량 결과를 나타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K2그룹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에 의한 발효물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사용하고,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를 사용했을 때 효과가 가장 뛰어났으며,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사용하더라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가 아닌 다른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라. Carmine 색소 장 이동거리
Carmine 색소 장 이동 거리는 carmine 색소를 생리식염수에 1.5% (w/v)농도로하여 6일째에 3mL 경구투여 하였으며, 경구투여 20분 후에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대장은 맹장 이후 부분부터 직장까지 부위의 양쪽을 결찰하여 Carmine 색소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장 이동거리는 MJ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장 증가된 것은 MJ-200 그룹이였으나, 함량에 따른 평균적으로 살펴봤을 때, K2그룹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에 의한 발효물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실험예 2: 결명자 발효 여부 및 발효균의 종류에 따른 동물실험을 통한 변비 개선 및 예방 효과 확인
가. 실험동물 및 실험군
실험동물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준비하고, 실험동물은 구입 후 1주일 동안 순화한 다음, 각 군당 5마리씩을 배치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구분 실험군
NOR 일반 사료 섭취하는 정상 대조군
- 변비유발을 위해 로페라미드를 5일동안 4 mg/kg 피하투여한 음성 대조군
P/C 둘코락스에스 4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한 양성 대조군
100
(3% 볶은 결명자)
제조예 3의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 1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200
(3% 볶은 결명자)
제조예 3의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 2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300
(3% 볶은 결명자)
제조예 3의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 3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100(결명자 발효 24시간) 실시예 1의 Lactobacillus casei 균주 발효물 1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200(결명자 발효 24시간) 실시예 1의 Lactobacillus casei 균주 발효물 2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300(결명자 발효 24시간) 실시예 1의 Lactobacillus casei 균주 발효물 3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L-300(결명자 발효 24시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한 후, 실시예 1의 Lactobacillus casei 균주 발효물 300 mg/kg 1주일 경구투여
MJ-100 비교예 1의 Lactobacillus kefiri 균주 발효물 1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MJ-200 비교예 1의 Lactobacillus kefiri 균주 발효물 2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MJ-300 비교예 1의 Lactobacillus kefiri 균주 발효물 300 mg/kg 1주일 경구투여 후, 로페라미드 5일동안 5 mg/kg 피하투여
나.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체중
모든 실험군은 로페라미드 투여개시일부터 실험동물 희생시킬 때까지의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량(g), 사료 섭취량(g) 및 음수량(mL)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도 6(a, b, c)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실험기간 동안 사료섭취량 및 음수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체중증가량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 변의 중량
각 실험군들의 변의 중량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변의 중량은 정상 대조군(ef)에 비하여, 로페라미드 투여 음성 대조군(a)이 현저히 감소되어, 로페라미드에 의한 변비유발이 확인되었다.
결명자 물 희석액의 발효물을 투여한 실험군(MJ-100, 200, 300)은 그 효과가 함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투여한 실험군과 비교했을 때, 투여 함량에 대비하여 그 효과가 오히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을 투여한 그룹은 24시간 동안 발효시킨 군에서 변의 중량이 더욱 향상된 결과를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볼 때, 변의 중량 증가 효과는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과 결명자 물 희석액의 모두에서 나타났으나, 투여 함량에 대비하여 볶은 결명자의 물 희석액이 볶지 않은 결명자의 물 희석액보다 변의 중량 증가 효과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볶은 결명자를 발효시켰을 때 그 효과가 더욱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로페라이드를 먼저 투여하여 변비를 유발한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의 발효물을 경구투여했을 때, 변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변비의 개선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라. 변의 개수 및 수분함량
각 실험군들의 변의 개수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으며, 변의 수분함량은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변의 개수는 정상 대조군(ab)에 비하여, 로페라미드 투여 음성 대조군(e)이 현저히 감소되어, 로페라미드에 의한 변비유발이 확인되었다. 변의 개수 역시 상기 변의 중량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과 결명자 물 희석액의 모두에서 나타났으나, 볶은 결명자의 물 희석액이 볶지 않은 결명자의 물 희석액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변의 중량 증가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변의 수분함량의 결과를 나타낸 도 9에서도 마찬가지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마. Carmine 색소 장 이동거리
Carmine 색소 장 이동 거리는 carmine 색소를 생리식염수에 1.5% (w/v)농도로하여 6일째에 3mL 경구투여 하였으며, 경구투여 20분 후에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후, 대장은 맹장 이후 부분부터 직장까지 부위의 양쪽을 결찰하여 Carmine 색소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볶은 결명자 물 희석액과 볶지 않은 결명자 물 희석액의 결과를 비교했을 때, 결명자 함량과 발효시간에 따라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종래보다 향상된 수치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Lactobacillus casei K2 균주의 동정
가. 균주의 분리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이 뛰어난 결명자 발효물 제조에 가장 뛰어났던 Lactobacillus casei K2 균주의 분리과정을 설명한다.
2년 숙성된 김치 1 조각을 표면 세척을 위하여, 멸균수로 수 회 반복하였다. 준비된 김치 1 조각을 MRS 액체 배지에 37에서 150 rpm으로 24시간 진탕 배양 후 1 % CaCO3이 함유된 MRS평탄 배지에 멸균수로 10배씩 3회 희석하였다. 1×103배로 희석된 티벳버섯 배양 시료를 MRS고체 배지에 100L 분주 후 도말하였다. 도말된 배지는 항온 항습 배양기에서 36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된 집락들 중 형태학적으로 상이한 것을 선택하여 MRS 아가에 평판 획선하여 배양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나. 16s-rDNA 서열분석을 통한 균주의 동정
서열 분석을 위해 분리된 Lactobacillus casei K2 균주를 Lactobacilli MRS broth에 배양하고 배양액 1.5 mL를 취해 원심 분리한 후 0.8% 멸균생리식염수로 수세하였다. 그리고 genomic DNA kit를 사용하여 chromosomal DNA를 추출하여 PCR을 위한 주형 DNA로 사용하였으며, 세균의 16s rRNA의 증폭을 위해 27 F(AGAGTTTGATCCTGGCTCAG)와 1492R(GGTTACCTTGTTACGACTT)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PCR 수행 후 PCR 산물을 전기영동을 통해 증폭 산물을 확인하고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QIAGEN, Hilden, Germany)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염기서열은 ABI PRISM Big Dye TM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s (Applied Biosystems, USA) and ABI PRISM 3730xl Analyzer (AppliedBiosystems) 사용하여 Geno Tech Co. (Daejeon, Korea)에서 실시하였다. 제공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NCBI에서 블라스트 검색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에 99.6% 상동성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로 동정되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의 16s rRNA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에 나타내었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16년 9월 28일자로 기탁하여 KCCM11907P 수탁번호를 부여받았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1907P 20160928
<110> HAENAM NATURAL FARMING ASSOCIATION COOPERATION <120> Lactobacillus casei strain for enhancing activity of improving or preventing constipation by fermenting Cassia <130> HPC6972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501 <212> DNA <213> Lactobacillus casei <400> 1 ccagagcggg ctatctgcag tcgacgagtt ccgttgatga tcggtgcttg caccgagatt 60 cacatggaac gagtggcgga cgggtgagta acacgtgggt aacctgccct taagtggggg 120 ataacatttg gaaacagatg ctaataccgc atagatccaa gaaccgcatg gttcttggct 180 gaaagatggc gtaagctatc gcttttggat ggacccgcgg cgtattagct agttggtgag 240 gtaatggctc accaaggcga tgatacgtag ccgaactgag aggttgatcg gccacattgg 300 gactgagaca cggcccaaac tcctacggga ggcagcagta gggaatcttc cacaatggac 360 gcaagtctga tggagcaacg ccgcgtgagt gaagaaggct ttcgggtcgt aaaactctgt 420 tgttggagaa gaatggtcgg cagagtaact gttgtcggcg tgacggtatc caaccagaaa 480 gccacggcta actacgtgcc agcagccgcg gtaatacgta ggtggcaagc gttatccgga 540 tttattgggc gtaaagcgag cgcaggcggt tttttaagtc tgatgtgaaa gccctcggct 600 taaccgagga agcgcatcgg aaactgggaa acttgagtgc agaagaggac agtggaactc 660 catgtgtagc ggtgaaatgc gtagatatat ggaagaacac cagtggcgaa ggcggctgtc 720 tggtctgtaa ctgacgctga ggctcgaaag catgggtagc gaacaggatt agataccctg 780 gtagtccatg ccgtaaacga tgaatgctag gtgttggagg gtttccgccc ttcagtgccg 840 cagctaacgc attaagcatt ccgcctgggg agtacgaccg caaggttgaa actcaaagga 900 attgacgggg gcccgcacaa gcggtggagc atgtggttta attcgaagca acgcgaagaa 960 ccttaccagg tcttgacatc ttttgatcac ctgagagatc aggtttcccc ttcgggggca 1020 aaatgacagg tggtgcatgg tt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1080 gcaacgagcg caacccttat gactagttgc cagcatttag ttgggcactc tagtaagact 1140 gccggtgaca aaccggagga aggtggggat gacgtcaaat catcatgccc cttatgacct 1200 gggctacaca cgtgctacaa tggatggtac aacgagttgc gagaccgcga ggtcaagcta 1260 atctcttaaa gccattctca gttcggactg taggctgcaa ctcgcctaca cgaagtcgga 1320 atcgctagta atcgcggatc agcacgccgc ggtgaatacg ttcccgggcc ttgtacacac 1380 cgcccgtcac accatgagag tttgtaacac ccgaagccgg tggcgtaacc cttttaggga 1440 gcgagccgtc taaggtgggg acaatgatta nggtgatcta nnnngggggn nncccaaaaa 1500 a 1501

Claims (7)

  1. 결명자 물 희석액을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 균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결명자는 볶은 결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 균주.
  2. 결명자 물 희석액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결명자는 볶은 결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결명자 또는 그 분쇄물을 물과 혼합하여 결명자 물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결명자 물 희석액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2[기탁번호 KCCM11907P]를 1×105 내지 1×108 CFU/㎖가 되도록 접종하여 35 내지 45 ℃에서 1 내지 7 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결명자는 10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1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결명자 또는 그 분쇄물 1 중량부에 대하여, 물 3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의 상기 혼합물에 유산균 영양원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산균 영양원은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비타민 및 무기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갖는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160135269A 2016-10-18 2016-10-18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KR10180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69A KR101808306B1 (ko) 2016-10-18 2016-10-18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69A KR101808306B1 (ko) 2016-10-18 2016-10-18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306B1 true KR101808306B1 (ko) 2017-12-12

Family

ID=6094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69A KR101808306B1 (ko) 2016-10-18 2016-10-18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67A (ko) * 2018-12-13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용곤충의 이취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2702A (ja) 2008-03-26 2009-10-15 Fisu:Kk 新規乳酸菌株及びその利用
US20110159148A1 (en) 2007-12-06 2011-06-30 Hendrikus Wegkamp Increased folate production levels in lactobacillus fermenting melon ju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9148A1 (en) 2007-12-06 2011-06-30 Hendrikus Wegkamp Increased folate production levels in lactobacillus fermenting melon juice
JP2009232702A (ja) 2008-03-26 2009-10-15 Fisu:Kk 新規乳酸菌株及びその利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367A (ko) * 2018-12-13 2020-06-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용곤충의 이취제어 방법
KR102184707B1 (ko) * 2018-12-13 2020-12-01 대한민국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용곤충의 이취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209B1 (ko) 효소 생산능이 우수한 전통 발효식품 유래 신규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곡물 발효 효소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CN106954847A (zh) 具有润肠通便功能的酵素益生菌组合物、应用及加工制剂
KR10182583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7981324A (zh) 姜黄发酵食品及其制备方法
KR101979698B1 (ko) 죽순 효소분해물 또는 죽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저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9524B1 (ko) 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또는 염증성 장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8153182A (ja) 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ルムtci378、およびそれを用いた脂肪の減少および胃腸機能の改善における使用
KR20110041050A (ko) 발효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액 순환 개선 및 수족 냉증 개선용 조성물
JP6458059B2 (ja) 決明子乳酸菌発酵物を有効成分とする便秘改善、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315769A (zh) 一种用于改善人体肠内环境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543494B1 (ko)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CN110897147A (zh) 铁皮石斛解酒保肝组合物和制法
KR101614929B1 (ko) 인지장애 및 기억장애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30517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6119065B (zh) 一种猴头菇红枣醋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808306B1 (ko) 결명자를 발효시켜 변비의 개선 또는 예방 활성을 증진시키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균주
KR100773059B1 (ko) 배당체 가수분해능을 가진 신규한 미생물, 이를 함유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0884B1 (ko)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220095636A1 (en) Kimchi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licobacter pylori-associated diseases
KR10219023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CN111248384A (zh) 一种复合益生菌酵素饮品及其制备方法
KR101945207B1 (ko)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
KR102210092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