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02B1 -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602B1
KR101193602B1 KR1020090085491A KR20090085491A KR101193602B1 KR 101193602 B1 KR101193602 B1 KR 101193602B1 KR 1020090085491 A KR1020090085491 A KR 1020090085491A KR 20090085491 A KR20090085491 A KR 20090085491A KR 101193602 B1 KR101193602 B1 KR 10119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wormwood
extract
artemisia
l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415A (ko
Inventor
김동현
한명주
최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엠
Priority to KR102009008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6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3/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한 미생물,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쑥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축 또는 가금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Microoranism capable of growing with artemisia sp. as carbon sourc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한 미생물,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쑥 추출물, 및 상기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사료 첨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쑥(Artemisia sp.)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지역 등에 분포되어 자생하는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약 400 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에서 300 여종이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다. 특히, 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일명, 강화약쑥)은 강화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물로서 약용으로 사용되며 일반 쑥에 비해 약효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997-58716호는 약쑥 및 삼지구엽초를 다린 물이 변비 및치질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4-24008호는 인진쑥이 다른 여러 생약성분들과 함께 조합되어 변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8489호는 쑥을 옥수수 전분, 메주콩 엑기스, 대두전분, 및 미생물과 함께 배합하면, 가축의 설사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부수적으로 가축의 증체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젖소의 우유 성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9-64708호는 싸주아리쑥으로부터 추출한 파이톨이 난소암 및 백혈병 암세포주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활성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9-64712호에 따르면, 싸주아리쑥으로부터 추출한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LDL의 산화로부터 발생되는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명,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7-50614호는 사자발쑥 정유가 대장균, 질염균, 녹농균, 포도상구균 등에 강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생리통, 혈액순환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쑥(Artemisia sp.)은 강한 항균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장질환, 암, 고지혈증,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생약은 그 단위 중량당 약리 활성이 강력하지 못하여 생약이 원래 가지고 있는 약리 효과보다 증강된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쑥의 약리활성을 증강시키기 위해 쑥을 발효시켜 약리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쑥은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항균활성으로 인해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쑥을 발효시킬 수 있으면서 약리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미생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한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을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쑥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에 의해 얻어진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에 의해 얻어진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에 의해 얻어진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축 또는 가금류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한 미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쑥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쑥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가축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한 미생물을 제공한다. 상기 쑥은 쑥속 (Artemisia sp.)에 속하는 임의의 속 종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쑥은 Artemisia subulata Nakai, A. stenophylla Kitamura, 개똥쑥 (Artemisia annua Linne), 개사철쑥 (Artemisia apiaceae), 구름떡쑥 (Anaphalis sinica Hance ssp. morii (Nakai) Kitamura), 구와쑥(Artemisa laciniata Wild), 그늘쑥 (Artemisia sylvatica Maximowicz), 금떡쑥 (Gnaphalium hypoleucum DC), 금쑥 (Artemisia aurata), 넓은잎외잎쑥 (Artemisia stolonifera (Max.) Komarov), 난쟁이은쑥 (Silver Mound) (Artemisia schmidtiana), 더위지기 (Artemisia iwayomogi), 덤불쑥 (Artemisia rubripes Nakai), 떡쑥 (Gnaphalium affine D. Don), 맑은대쑥(Artemisia keiskeana), 물쑥 (Artemisia selengensis TURCZ), 비단쑥 (Artemisia lagocephala var. triloba), 비쑥 (Artemisia scoparia Waldstein et Kitamura), 뺑쑥 (Artemisi feddei Leveille et Vaniot), 사철쑥 (Tarragon)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산쑥 Artemisia montana Pampan, 산토닌쑥 (Artemisia maritime), 산흰쑥 (Artemisia sieversiana Wild), 생당쑥 (Artemisia messerschmidtiana var. viridis Bess), 섬쑥 (Artemisia hallaisanensis Nakai), 실제비쑥 (Artemisia japonica var. angustissima), 쑥(약쑥, 사자발쑥) (Artemisia princeps var. orentalis (Pamp.) Hara), 약쑥 (Artemisiae asiatica NAKAI), 외잎쑥 (A. viridissima Pamp.), 쓴쑥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율무쑥 (Artemisia koidzumii Nakai), 인진쑥 (Artemisa capillaris THUNB), 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ERG), 참쑥 (A. lavandulaefolia DC, Artemisia mongolica Fischer), 큰제비쑥 (Artemisia fukudo Makino), 털산쑥 (Artemisia sacrorum Ledeb. sp. manshurica Kitamura), 황해쑥 (Artemisia argyi Leveille et Vaniot), 흰쑥 (Beach wormwood) (Artemisia stelleriana Bess) 및 이 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쑥은 생쑥, 건조된 쑥, 쑥 추출물, 쑥의 용매 추출 후 남은 잔사, 및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쑥을 물 중에서 증류하고 남은 잔사일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쑥은 1년 이상 보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쑥은 또한 멸균되거나 멸균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예를 들면, 유산균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lactic acid baceris)은 그람 양성, 낮은 GC 함량 및 산내성 (acid-tolerant) 박테리아로서 공통의 대사 및 생리적 특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산균은 Lactobacillus, Leuconostoc, Bifidobacterium, Pediococcus, Lactococcus, Streptococcus, Aerococcus, Carnobacterium, Enterococcus, Oenococcus, Sporolactobacillus, Teragenococcus, Vagococcus, Weisella 및 이들의 조합에 속하는 박테리아일 수 있다. 상기 Lactobacillus는 예를 들면, L. acidophilus, L. delbrueckii, L. helveticus, L. salivarius, L. casei, L. curvatus, L. plantarum, L. sakei, L. brevis, L. buchneri, L. fermentum, L. reuter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L. brevis는 예를 들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Lactobacillus brevis K-1), L. brevis ATCC 367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Leuconostoc은 예를 들면, L. carnosum, L. citreum, L. durionis, L. fallax, L. ficulneum, L. fructosum, L. garlicum, L. gasicomitatum, L. gelidum, L. inhae, L. kimchii, L. lactis, L. mesenteroides, L. pseudoficulneum, L. pseudomesenteroide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L. mesenteroides는 예를 들면 L. mesenteroides KCTC3505일 수 있다. 상기 Bifidobacterium은 그람 양성 및 비운동성의 박테리아를 의미한다. 상기 비피도박테리움은 예를 들면, B. adolescentis, B. angulatum, B. animalis, B. asteroides, B. bifidum, B. boum, B. breve, B. catenulatum, B. choerinum, B. coryneforme, B. cuniculi, B. denticolens, B. dentium, B. gallicum, B. gallinarum, B. indicum, B. infantis, B. inopinatum, B. lactis, B. longum, B. magnum, B. merycicum, B. minimum, B. pseudocatenulatum, B. pseudolongum, B. pullorum, B. ruminantium, B. saeculare, B. subtile, B. suis, B. thermacidophilum, B. thermophilum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미생물은 쑥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하다. 유일한 탄소원이란 배지 중에 물 외에 다른 성분의 첨가 없이 쑥만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미생물은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하며, 쑥을 탄소원으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어지는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배양하기 전의 쑥에 비하여 더 강화된 약리활성을 가진다.
상기 미생물의 일 구체예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Lactobacillus brevis K-1)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쑥, 예를 들면 사자발쑥을 발효시켜 사자발쑥의 약리활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미생물 균주를 발견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Lactobacillus brevis K-1)이 사자발쑥을 발효시켜 사 자발쑥의 약리활성을 증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은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 및 동정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의 신규한 균주이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KCCM10968P)은 미생물의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표준균주(Lactobacillus plantarum ATCC367, GenBank accession number NC_008497)와 가장 높은 상동성(99.8%)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와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상기 미생물을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동정하고,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으로 명명하였으며,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008년 10월 14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 10968P).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의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서열목록의 서열번호 1과 같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은 그람 양성균이며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에서 모두 성장이 가능한 통성 혐기성(facultive anaerobe)이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고 운동성이 없으며 세포의 형태는 간균이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의 보다 구체적인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방법의 따라 분석한 결과 하기 표 1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1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은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물에 글리세롤 성분을 일정량 혼합하여 만든 보관용액에 균체를 풀어 -70℃에서 보관하거나 멸균된 10% 탈지유에 현탁하여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쑥, 예를 들면 사자발쑥의 항균작용에 의해 잘 증식하 지 못하여 쑥을 발효시키기 어려운데 반해, 상기한 미생물들, 예를 들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은 쑥을 발효시켜 쑥의 약리효과를 증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미생물에 의한 쑥의 발효에 의해 증강되는 약리효과로는 장질환, 암, 및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쑥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쑥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쑥 및 미생물에 대하여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배지는 쑥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지는 쑥, 또는 물 중의 쑥으로만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양은 선택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알려진 조건에서 배양될 수 있다. 상기 배양은 선택되는 미생물이 일반적으로 생육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온도 예를 들면, 20℃ 내지 40℃, 또는 25℃ 내지 37℃의 온도에서 배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은 쑥이 상기 미생물에 의하여 충분하게 대사되도록 하는 기간 예를 들면, 2일 내지 9일 또는 3일 내지 7일 동안 배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간은 예를 들면, 배양물의 pH의 강하된 정도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간은 예를 들면, 배양물의 pH가 4.5이라도 되도록 하는 기간일 수 있다. 상기 배양은 사자발쑥을 탄소원으로 하고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를 미생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20 내지 40℃, 예를 들면, 25 내지 37℃의 온도에서 2일 내지 9일 예를 들면, 3일 내지 7일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배양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양물의 회수는 얻어진 배양물을 그대로 회수하는 것뿐만 아니라 배양물에 대하여 추가적인 분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공정은 예를 들면, 상기 배양물을 액체 성분과 고형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성분과 고형 성분으로 분리는 원심분리, 여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회수된 배양물은 그 자체로, 또는 건조되거나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화는 예를 들면, 상기 회수된 배양물을 건조하고 분말화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수된 배양물은 쑥 중에 포함된 성분을 상기 미생물에 의하여 생물전환시킴으로써 얻어진, 배양에 사용된 쑥 보다 증가되거나 새로운 생리활성을 갖는 쑥으로부터 유래된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쑥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의 일 구체예는 쑥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을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배양은 20℃ 내지 40℃, 예를 들면, 25℃ 내지 37℃의 온도에서 2일 내지 9일 동안 예를 들면 3일 내지 7일 동안 수행되거나 배양물의 pH가 4.5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구체예에서 상기 쑥은 사자발쑥일 수 있다.
상기 쑥 추출물은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된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추출물의 잔사를 분리하여 분말화한 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30℃ 내지 10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쑥 추출물 및 발효되기 전의 쑥을 마우스를 대상으로 비교실험한 결과, 소장의 수송능, 대장 수송능, 항사하 효과, 대장암 에 대한 효과, 소화관내 유산균 증식 효과, 혈중 지질 농도 저하 효과에 있어서 쑥 추출물이 배양되지 않은 쑥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상기한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얻어진 쑥 추출물은 배양되지 않은 쑥에 비하여 쑥의 다양한 약리활성이 증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쑥 추출물이 배양되기 전과 어떠한 성분변화가 있는지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로 확인한 결과,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인 경우 쑥의 디테르페노이드 대사체인 (3aS,4R,6aS)-4-(디메톡시메틸)-5-메틸-3,3a,4,6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퓨란-2-온이 배양에 의해 생성되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505의 경우 디부틸프탈레이트가 배양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쑥 추출물은 (3aS,4R,6aS)-4-(디메톡시메틸)-5-메틸-3,3a,4,6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퓨란-2-온 또는 디부틸프탈레이트의 생성에 의해 약리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에 비추어볼 때, 상기 쑥 추출물은 비발효 쑥에 비해 약학 조성물, 간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가축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활성성분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투여제제, 및 경비투여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 시 상기 담체로서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및 항산화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백납, 또는 잔탄검,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클로로필린, 플라보노 이드 등의 천연색소,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과 같은 감미성분, 또는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유효성분으로서 성인을 기준으로 1 일 총 투여량이 쑥 추출물로서 0.1g/kg 내지 6.0 g/kg, 쑥 생약으로서 0.1g/kg 내지 6.0 g/kg이 되도록 임의로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치료 또는 예방하고자 하는 질병의 종류, 질병의 진행 정도, 투여 경로, 성별, 나이, 체중 등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이용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 엑스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 한 담체 또는 첨가제로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쑥은 오랫동안 한약재 또는 식품으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던 것이어서, 이로부터 유래된 쑥 추출물 역시 독성 또는 부작용의 문제가 없다고 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목적으로 장시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가축 및 가금류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가축 및 가금류에게 투여하기 위한 것이므로 투여의 편리함을 위해 산제, 과립제, 정제, 또는 액제(예: 전제, 엑스제)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쑥 추출물 이외에 가축 및 가금류 사료에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첨가제를 선택하여 첨가함으로써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제제화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가축 및 가금류 사료에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제로 제조할 경우에는, 솔베이트 칼륨, 메틸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프로필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같은 보존제, 아스코르빈산 같은 항산화제 및 페퍼민트 오일 같은 방향 강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및 첨가제의 추가적인 예는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Dr. H.P. Fiedler "Lexikon der Hilfsstoffe fur Pharmazie, Kosmetik und angrenzende Gebiete" [Encyclopaedia of auxiliaries for pharmacy, cosmetics and related fields].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이 이용될 수 있는 가축류는 대표적으로 소, 돼지, 또는 염소를 포함하며, 가금류는 닭, 오리, 또는 칠면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장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장내에서 유산균의 증식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어 면역 증강에도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가축 또는 가금류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면역 증강 작용에 의해 예방될 수 있는 임의의 가축 및 가금류의 질환, 즉 감염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으로는 예를 들어 세균 감염성 패혈증, 전신성 고열 및 염증, 콕시듐증을 포함한 장염, 설사, 폐렴, 및 호흡기 감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가축 및 가금류의 면역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감염성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가축 및 가금류의 성장 촉진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사자발쑥 추출물은 암, 고지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으므로, 가축 및 가금류에서서 이러한 질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 또는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로서 사료에 첨가하여 간접적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직접 가축 또는 가금류에게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및 가금류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은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효과를 얻기 위해,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을 기준으로 가축 또는 가금류에게 1 일 0.1g/kg 내지 6.0g/kg의 양, 사자발쑥 생약을 기준으로 1 일 0.1 g/kg 내지 6.0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여량은 투여대상이 되는 동물의 종류, 동물의 나이, 동물의 체중, 동물의 예방하고자 하는 질병, 원하는 효과 등에 따라 당해 분야의 전문가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가축 또는 가금류이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제형을 제조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미생물, 예를 들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에 의해 발효된 쑥 추출물은 쑥 생약에 비해 장질환, 암, 고지혈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와 관련된 약리활성이 증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은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용 조성물의 활성성분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쑥은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해 오면서 안전성이 입증된 식물 생약이므로, 이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쑥 추출물은 약물의 사용으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보다 효과적인 약리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쑥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의 탐색 및 동정
1) 사자발쑥의 발효 및 성분변화 확인
강화산 사자발쑥(생쑥, 1 년 묵힌 쑥, 2 년 묵힌 쑥, 3 년 묵힌 쑥)을 각각 0.5 kg씩에 5 L의 물을 넣어 멸균하고(또는 그대로) 김치에서 분리한 100 여개의 김치 유래 미생물 및 Leuconostoc mesenterodies KCTC 3505 들을 각각 접종하고 25℃ 또는 37℃에서 1 내지 2 주간 배양하면서 pH 변화(유기산의 생성) 및 성분변화를 측정하였다. pH 변화는 배양액을 직접 pH 미터로 측정하였으며, pH가 4.5 이하가 되면 발효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였다. 김치 유래 미생물은 김치 시료를 MRS 평판 한천 배지에 접종하고 생육된 외형적 특징이 달라 보이는 100여개의 콜로니들을 MRS 액체 배지(Difco사, 미국)에서 배양한 균주이며, Leuconostoc mesenterodies KCTC 3505는 KCTC로부터 분양받은 것이다. 김치 유래 미생물은 유산균을 포함한다. 상기 접종은 미리 MRS 배지 1 리터에서 배양한 액을 원심분리하여 집균한 균체 약 2 g을 쑥 2 kg을 물에 적셔 60도 이상에서 1시간 이상 찐 다음에 이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그 결과 3 개의 미생물을 사용한 군만이 pH4.5 이하를 나타내어 발효가 진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일부에 대하여 배양 후의 성분변화를 배양액 10 mL를 취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20 mL로 2 회 추출한 추출액을 모아 감압농축한 다음,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성분 변화는 1 년 동안 보관된 쑥을 가압증기 멸균하여 37℃에서 5일 동안 배양한 것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배양전 사자발쑥 추출물과, 상기 발효된 3개의 군에서 얻어진 각각의 농축액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용액(용매: 에틸아세테이트)에 대해서도 함께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상기 화합물의 분리는 배양 전 1 동안 보관된 쑥에 물을 넣고 100℃에서 10 분 동안 멸균한 것 및 이들 배양한 것에 대하여 배양액의 2배의 에틸아세테이트을 넣어 잘 흔들어 추출하였다. 상기 박층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플레이트를 이용하고, 전개용매로서 클로로포름:물=5:1을 사용하였으며, UV 하에서 전개된 형태를 관찰하여 성분변화를 확인하였다. UV 하에서 관찰된 TLC 플레이트를 촬영한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발효된 군에서 분리된 각각의 화합물에 대해 다트메스 (Direct Analysis in Real Time (DART) Mass Spectrometry) 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도 2 및 3의 매스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르면 디부틸프탈레이트 및 (3aS,4R,6aS)-4-(디메톡시메틸)-5-메틸-3,3a,4,6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퓨란-2-온가 각각의 추출물에서 신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사자발쑥 발효균의 균주 동정
사자발쑥의 발효가 발생된 상기 3개의 군의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각각에 대해 1.5% 한천(agar)이 포함된 MRS 고체 배지(Difco, USA)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순수분리되었음이 확인된 집락을 백금이(loop)로 취하여 MRS 액체 배지(Difco, USA)에서 37℃ 18시간 내지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유산균 동정 및 분류를 위한 16S rRNA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결정 및 분석은 Kim 등(Kim et. al., Leuconostoc kimchii sp. nov., a new species from kimchi.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l Microbiology, Volume 50, September 2000, pages 1915-1919)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상기 3개의 균주 중 디부틸프탈레이트가 생성된 군의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분양받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50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aS,4R,6aS)-4-(디메톡시메틸)-5- 메틸-3,3a,4,6a-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타[b]퓨란-2-온이 생성된 군의 균주는 신규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표준균주(Lactobacillus brevis ATCC367, GenBank accession number CP000417) 와 가장 높은 상동성(99.8%)을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과 가장 높은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상기 신규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서열목록에 기재하였다(서열번호 1). 따라서, 상기 신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로 동정하고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으로 명명하였으며,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른 국제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 보존센터에 2008년 10월 14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 10968P).
상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의 균주의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을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Kim 등 (Kim et. al., Leuconostoc inhae sp. nov., a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kimchi,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l Microbiology, Volume53, July 2003, pages 1123-1126)의 방법과 API50CH 및 API50CHL키트(바이오메리오사 제품)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균주의 형태 및 생리학적 특성을 상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 사자발쑥 추출물의 제조(1)
강화산 사자발쑥 생쑥 500 g을 수증기 증류한 다음 남은 잔사에 2.5L 물을 넣은 다음 100℃에서 10분 동안 멸균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을 이식하고 5일간 25℃에서 배양시켰다.
얻어진 사자발쑥 배양물을 일반 여과지로 여과시켜 배양액과 잔사를 분리하였다. 잔사는 60℃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다시 잘 건조한 다음, 약 300 메쉬의 체를 통과시켜 사자발쑥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사자발쑥 추출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에서 강화산 사자발쑥을 건조된 1년 묵은 사자발쑥(실시예 3), 2년 묵은 사자발쑥(실시예 4), 3년 묵을 사자발쑥(실시예 5)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자발쑥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소장 및 대장 수송능 실험
소장 수송능의 측정은 Tamura(1972)의 방법에 따라 하룻밤 절식시킨 마우스를 1 군당 10 마리로 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추출물 분말을 5 w/w% 또는 10 w/w%로 함유한 사료를 24 시간동안 자유롭게 먹도록 하고 1 시간 후, 25 w/w% BaSO4 용액 0.2 mL를 경구투여 하였다. 그런 다음, 60분 후 개복해서 전체 소장길이에 대한 BaSO4의 이동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기 계산식에 따라 이동율을 구했다. 본 명세서의 실험예에서 사용된 모든 사료는 상품명 기재(삼양사료(주), Korea)을 사용하였다
이동율(%)=(BaSO 4 이동거리 / 위유문부로부터 맹장까지의거리) x 100
대장 수송능의 측정도 Tamura의 방법에 따라, 하룻밤 절식시킨 마우스를 1군당 10 마리로 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추출물 분말을 5 w/w% 또는 10 w/w%로 함유한 사료를 24 시간동안 자유롭게 먹도록 하고 1 시간 후, 25 w/w% BaSO4 용액 0.2 mL를 경구투여하였다. 그런 다음, 분변 중에 BaSO4가 배설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얻어진, 소장 수송능 및 대장 수송능을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2
[표 3]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3
상기 표 2 및 3에 따르면, 사자발쑥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소장 및 대장 수송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자발쑥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미발효 사자발쑥 투여군에 비해 소장 및 대장 수송능이 더욱 증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항사하 효과 실험
마우스를 1군당 10 마리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추출물 분말을 5 w/w% 또는 10 w/w%로 함유한 사료를 24 시간 동안 자유롭게 먹도록 하고 3 시간 후 45 w/w% 피마자유(용매: 올리브오일) 0.1 mg/10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피마자유 투여 후 1 시간 간격으로 분변의 수분량(w/w%)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4
상기 표 4에 따르면, 사자발쑥의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항사하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사자발쑥의 추출물 투여군은 미발효 사자발쑥 투여군에 비해 수분량이 더욱 낮아져 항사하 효과가 더욱 증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대장암 예방 효과 실험
실험에서 사용한 마우스는 대한동물(주)에서 SPF ICR계 마우스(웅성, 약 215 g)를 구입 후 실험실에서 일주일 이상 순화시킨 다음 사용하였으며 사료는 삼양사료(주)의 사료를 분말화하여 공급하였고 물은 자유롭게 먹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사자발쑥 추출물이 DMH(dimethylhydrazine)에 의한 대장암 유발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정상식이군(대조군), DMH 투여군(일반 분말식이 투여),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사자발쑥 추출물 분말 5 w/w% 함유 사료 투여군, 사자발쑥 추출물 10 w/w% 함유 사료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대장암을 유발시키기 위해 마우스에게 20 mg/kg의 DMH를 10 주간 매주 1 회씩 피하투여하고, 그 후 5주동안은 DMH 투여를 하지 않았다.
실험을 시작하여 16 주째 되었을 때 마우스를 에테르로 마취시키고 도살하여 대장을 절개하여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10w/w% 완충 포르말린 고정액에 담갔다. 24 시간 방치 후 직장, 구불결장 및 하행결장 부분를 0.2 w/w% 메틸렌 블루 식염수액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이상돌기(aberrant crypt)와 이상세포(aberrant crypt focus)의 수를 관찰하고, 이상 돌기 및 이상세포가 생성된 것을 대장암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대장암 발생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 내었다.
[표 5]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5
상기 표 5에 따르면, 사자발쑥의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장암 발생의 전조라고 할 수 있는 이상돌기, 이상세포수에 있어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소화관 중의 유산균 증식 효과 실험
실험에서 사용한 마우스는 대한동물(주)에서 SPF ICR계 마우스(웅성, 약 20 내지 25 g)를 구입 후 실험실에서 일주일 이상 순화시킨 다음 사용하였으며 사료는 삼양사료(주)의 사료를 분말화 하여 공급하였고 물은 자유롭게 먹일 수 있도록 하였다.
마우스를 정상식이군(대조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잔사를 5 w/w% 또는 10 w/w%로 함유한 사료를 투여하는 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잔사 추출물 분말을 5 w/w% 또는 10 w/w%로 함유한 사료를 투여하는 군으로 분류하여 7 일간 투여하고 신선한 분변을 받아 GAM 배지에 현탁하고, BL(blood liver agar plate) 및 GAM(general anaerobic medium agar plate) 배지에 이식하여 혐기적으로 2 일간 배양하고 유산균의 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6
상기 표 6에 따르면, 사자발쑥의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산균 수 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자발쑥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미발효 사자발쑥 투여군에 비해 유산균의 수가 현저히 증가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총세균수에 있어서는 사자발쑥 투여군 및 사자발쑥 추출물 투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혈중 지질농도 저하 효과 실험
사자발쑥의 추출물이 혈중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마우스에게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료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표 7]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7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콜레스테롤 함유 식이를 투여하는 랫트에게 상기 식이와 함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잔사 5 w/w% 또는 10 w/w%로 함유한 사료를 투여하는 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사자발쑥 잔사 추출물 분말을 5 w/w% 또는 10 w/w%로 함유한 사료를 투여하는 군으로 분류하여 7 일간 투여하고 혈중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09055825008-pat00008
상기 표 8에 따르면, 사자발쑥의 투여군이 대조군의 경우에 비해 혈액중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모두에 있어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을 이용한 사자발쑥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는 발효하지 않은 사자발쑥 투여군에 비해 상기 혈중 지질 농도 감소효과가 더욱 증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유산균에 의한 사자발쑥의 발효가 일어난 군의 배양액 및 그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신생 화합물에 대해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 다음, UV 하에서 전개된 형태를 관찰할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분양받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505을 이용하여 사자발쑥을 발효시킨 결과 생성된 화합물의 매스 스펙트럼이다.
도 3은 Lactobacillus brevis K-1 KCCM 10968P을 이용하여 사자발쑥을 발효시킨 결과 생성된 화합물의 매스 스펙트럼이다.
<110> Fine.M.Co.,Ltd. <120> Microoranism capable of growing with Artemisia sp. as carbon source and use thereof <130> pn084739 <160> 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889 <212> DNA <213> Lactobacillus brevis <400> 1 ccagcagccg cggtaatacg taggtggcaa gcgttgtccg gatttattgg gcgtaaagcg 60 agcgcaggcg gttttttaag tctgatgtga aagccttcgg cttaaccgga gaagtgcatc 120 ggaaactggg agacttgagt gcagaagagg acagtggaac tccatgtgta gcggtggaat 180 gcgtagatat atggaagaac accagtggcg aaggcggctg tctagtctgt aactgacgct 240 gaggctcgaa agcatgggta gcgaacagga ttagataccc tggtagtcca tgccgtaaac 300 gatgagtgct aagtgttgga gggtttccgc ccttcagtgc tgcagctaac gcattaagca 360 ctccgcctgg ggagtacgac cgcaaggttg aaactcaaag gaattgacgg gggcccgcac 420 aagcggtgga gcatgtggtt taattcgaag ctacgcgaag aaccttacca ggtcttgaca 480 tcttctgcca atcttagaga taagacgttc ccttcgggga cagaatgaca ggtggtgcat 540 ggttgtcgtc agctcgtgtc gtgagatgtt gggttaagtc ccgcaacgag cgcaaccctt 600 attatcagtt gccagcattc agttgggcac tctggtgaga ctgccggtga caaaccggag 660 gaaggtgggg atgacgtcaa atcatcatgc cccttatgac ctgggctaca cacgtgctac 720 aatggacggt acaacgagta gcgaagtcgt gaggctaagc taatctctta aagccgttct 780 cagttcggat tgtaggctgc atctcgccta catgaagttg gaatcgctag taatcgcgga 840 tcagcatgcc gcggtgaata cgttcccggg ccttgtacac accgcccgt 889

Claims (11)

  1. 쑥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육가능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Lactobacillus brevis K-1) KCCM 10968P.
  2. 쑥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K-1(Lactobacillus brevis K-1) KCCM 10968P를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쑥은 사자발쑥, 가는잎쑥, 및 인진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0℃ 내지 40℃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2일 내지 9일 동안 수행되는 것인 방법.
  8. 삭제
  9.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장질환, 암,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11.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또는 가금류의 사료 첨가용 조성물.
KR1020090085491A 2009-09-10 2009-09-10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KR101193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491A KR101193602B1 (ko) 2009-09-10 2009-09-10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491A KR101193602B1 (ko) 2009-09-10 2009-09-10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415A KR20110027415A (ko) 2011-03-16
KR101193602B1 true KR101193602B1 (ko) 2012-10-23

Family

ID=4393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491A KR101193602B1 (ko) 2009-09-10 2009-09-10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114B1 (ko) * 2018-12-28 2020-04-24 유한회사 야생초 유산균 배양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63087B1 (ko) * 2021-02-05 2022-11-03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항치매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인진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16705A (zh) * 2021-09-01 2021-11-30 英丽(中山)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提升微生物降解能力的天然植物提取物组合物及其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657B1 (ko) 2006-04-21 2007-01-22 강화군 사자발 약쑥을 이용한 섬유질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657B1 (ko) 2006-04-21 2007-01-22 강화군 사자발 약쑥을 이용한 섬유질 배합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오윤정, 동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당귀, 숙지황, 쑥, 황기가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20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415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9672B2 (en) Probiotics composition containing hericium erinaceus
JPWO2019230183A1 (ja) 乳酸菌及びその用途
KR101164876B1 (ko) 브로콜리를 유산균으로 발효한 항염 및 항헬리코박터의 효과가 있는 기능성 발효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7179343B2 (ja) 新規な乳酸菌株およびそれを含む免疫賦活剤
EP3018199B1 (en) Composition containing bacterium belonging to genus lactobacillus
KR20090083505A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bljh101을 이용한인삼추출물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CN114668783A (zh) 植物乳杆菌菌株wka86在制备护肝/抗氧化/防治酒精性肝损伤药物方面的用途
CN113508173A (zh) 包含赫伦魏斯氏菌WiKim0103的用于预防、改善或治疗肥胖或脂肪肝疾病的组合物
KR101466317B1 (ko)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CN107854495B (zh) 凝结芽孢杆菌在制备降低血尿酸制剂中的应用
KR101193602B1 (ko) 쑥을 탄소원으로 생육가능한 미생물 및 그 용도
KR102422611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균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84829A (ko)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조성물
JP2013116089A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効果を有する乳酸菌株、その乳酸菌株を含む抗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剤、及びその乳酸菌株を含む飲食品
US20230293607A1 (en) Lactobacillus formulations with improved stability and efficacy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102452957B1 (ko)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 감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1892615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2-6-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23673B1 (ko) HtrA 샤페론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장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효능이 있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495767B1 (ko) 함초를 이용한 정장제용 조성물
JP7267536B2 (ja) 乳酸醗酵ニンジンの製造方法
JP6117336B2 (ja) 新たに分離したバチルス・リケニフォルミス及びそれを利用したプロバイオティクス
TW201218965A (en) Use of a fermented soy extract as a prebiotic composition
KR102007569B1 (ko) 기호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섬애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9322A (ko)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