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041A -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041A
KR20150096041A KR1020140016959A KR20140016959A KR20150096041A KR 20150096041 A KR20150096041 A KR 20150096041A KR 1020140016959 A KR1020140016959 A KR 1020140016959A KR 20140016959 A KR20140016959 A KR 20140016959A KR 20150096041 A KR20150096041 A KR 20150096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rculosis
composition
extract
extracts
fra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988B1 (ko
Inventor
최원형
Original Assignee
최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형 filed Critical 최원형
Priority to KR102014001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988B1/ko
Priority to PCT/KR2015/001512 priority patent/WO2015122728A1/ko
Publication of KR2015009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61P31/06Antibacterial agents for tubercul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은 전통적으로 한의학에서 생약 및 약용식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식물로서 기존에는 결핵에 대한 항결핵 효과가 보고된바 없다. 본 발명에서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항결핵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결핵의 치료, 개선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동물의약품 조성물 및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의약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은 결핵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으로써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항균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Anti-tuberculosis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tuberculosis comprising Melia azedarach L. extracts or Lobelia chinensis Lour extracts and fractions thereof}
본 발명은 고편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개선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동물의약품 조성물 및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련피(Melia azedarach L.) 또는 수염가래꽃(Lobelia chinensis Lour)은 오래전부터 한의학에서 질병의 치료를 위해 전통적으로 생약 및 한방재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약용식물로서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의 증식 및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동물의약품 조성물 및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로 유용하다.
수백 년 전만 해도 홍역, 천연두, 콜레라, 폐결핵, 흑사병과 같은 전염성 질병은 어린이와 성인들을 포함하는 전 인류에 급격한 사망을 초래하는 고위험 전염성 질병이었다. 이러한 전염성 질병은 수세기에 걸쳐 수천만 명의 사람을 사망시켰으며 현재까지도 일부 전염성 질병의 억제는 어려움에 처해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염성 질병의 억제를 위한 연구 중 페니실린의 발견은 항생물질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의 억제 또는 치료, 질병억제 및 건강보건향상과 수명연장에 큰 변화를 유발시키는 전환점이 되었다. 그렇지만, 아직도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피해는 경제, 환경, 의학 및 보건학적으로 다양한 문제와 질병을 유발시키고 있다.
특히, 결핵은 수천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인류의 생명을 가장 많이 앗아간 전염성 질병이다. 결핵은 1882년 독일의 의사이자 세균학자 하인리히 헤르만 로베르트 코흐(Heinrich Hermann Robert Koch, 1843~1910)가 결핵(Tuberculosis)의 병원체인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MTB)을 발견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으며 현재도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의 저개발 국가를 비롯한 전 세계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감염의 위험성을 유발하고 있다. 결핵은 결핵균의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전염성 질환으로 사람과 사람간의 접촉을 통해서 전파되며 결핵환자의 기침과 비말에 의해 감염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인구의 1/3 정도가 결핵균에 감염되어 있으며 매년 150만 명의 환자가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2013년 네이처 저널에 따르면 1990년을 기준으로 AIDS 환자의 결핵 감염률(Co-infection)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현재 임상에서 결핵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주요 치료약물로 Rifampicin, Isoniazid, Ethambutol, Pyrazinamide와 같은 항결핵 약물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1970년 이전에 개발된 것이며 장기간 복용할 경우 심각한 약물부작용(Rifampicin; 정신착란, 경련, 위장장애, 복통, 백혈구감소, 고혈당, 간장애, 신부전, 혈뇨, 단백뇨, 호흡곤란, 천식성 발작, Isoniazid; 간염, 혈관염, 경련, 말초신경병증, 지각이상, 고혈당증, 신부전, 배뇨곤란, Ethambutol; 시신경염, 시력장애, 환각, 간장애, 소화기장애, Pyrazinamide; 간염, 황달, 간장애, 고요산혈증, 발열)이 유발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돌연변이를 통한 약제내성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Rifampicin과 Isoniazid에 내성을 나타내는 다제내성 결핵균(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MDR-TB)의 경우 기존 1차 항결핵제 투여로는 치료가 될 수 없으며, MDR-TB의 치료를 위한 2차 항결핵제 및 복합 병용투여는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여 환자의 건강회복에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다제내성 결핵균은 국가적으로 보건향상과 국민건강에 많은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최근, 의료 진단기술과 치료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다이어트로 면역이 저하된 20대~30대의 젊은 세대와 60대 이상의 노년층에서 잠복감염 및 만성감염을 통해 새로운 결핵 환자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항결핵제의 개발과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다국적 제약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결핵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기존 치료약물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항결핵제가 개발되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는 결핵 치료약물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기초단계의 연구로서 소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결핵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결핵은 사람뿐만 아니라 소, 쥐, 조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물에도 심각한 전염성 질병으로 축산업에 있어서도 매우 심각한 가축전염병성 질병이다. 특히, 소결핵은 결핵균이 소의 호흡기나 소화기로 들어와 발병하며 결핵에 감염된 소의 침이나 배설물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다. 현재 소결핵에 감염된 가축의 치료제는 사람에 사용하는 Rifampicin, Isoniazid, Ethambutol 등의 항결핵 약물이 사용되고 있지만 감염된 가축은 사람으로의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전부 도살처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항결핵제는 인간뿐만 아니라 축산업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약물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항결핵제는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내성 및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많은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동물, 식물, 미생물 및 다양한 한약재와 약용식물을 포함하는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결핵 활성물질을 분리,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자연친화적 물질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수공통전염성 미생물에 대한 새로운 항균물질의 연구와 개발이 쉽지만은 않은 실정이다. 새로운 항균물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항균효과가 광범위하고 기존 내성 균주에도 효과를 나타내며 잠복감염 및 만성감염에도 효과를 나타내고 장기간 투여하여도 부작용 없이 안전하여야 한다는 점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고련피와 수염가래꽃은 한의학에서 생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로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고련피는 멀구슬 나무과(Meliaceae)에 속한 낙엽교목인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Linne var. japonica Makino)의 수피(樹皮) 또는 근피(根皮)로서 한의학에서 風疹(풍진), 惡瘡(악창), 옴, 나병, 고열, 피부습진, 이뇨, 지양(止痒), 이수(利水), 부인과 질환 및 질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약리작용으로 살충, 해열작용, 촌충 또는 회중제거(항기생충 효과) 및 트리코모나스 질염(항원충 효과)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수염가래꽃은 반변련, 반변란 또는 급해색이라고 불리며 국내에서는 중부 이남과 제주도에 분포하고 도랑이나 냇가, 논두렁의 습지에서 서식하고 있다. 수염가래꽃은 전통적으로 이뇨, 소염, 해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천식, 호흡곤란, 백일해, 악성종기, 습진, 외상출혈을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되었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세계 6대 질병중의 하나인 말라리아의 치료약물로 Artemisinin 또는 Artesunate가 사용되고 있으며 Artemisinin 또는 Artesunate도 약용식물인 개똥쑥에서 추출된 생리활성물질이며 항말라리아 약물로 개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자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을 포함하는 다양한 약용식물들의 새로운 효능과 효과를 검증함으로서 새로운 기능성을 확인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는 천연물-유래 항균활성물질을 개발하기위해 노력하던 중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의 증식과 생존을 억제하고 결핵균의 성장을 저해하는 높은 항결핵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편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고편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고편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편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동물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편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고편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련피(Melia azedarach L.)"는 멀구슬 나무과의 멀구슬 나무(Melia azedarach L. var. japonica Makino)의 수피 또는 근피를 말하며 풍진(風疹) 및 피부습진을 치료하기위해 생약으로 사용되었고 약리작용으로 이뇨와 해열작용이 있으며 회중, 촌충 또는 요충 등의 장내 기생충제거 및 트리코모나스 질염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구부러진 반관상 또는 관상으로 바깥면은 회갈색이고 세로로 길게 찢어진 무늬와 가로로 된 피목이 있으며, 코르크층을 벗긴 것은 적갈색을 나타낸다. 꺾은 면은 황백색으로 섬유성이며 질은 단단하나 꺾이기 쉽다. 고련피는 고련근피(苦根皮), 련피(皮), 련근목피(根木皮) 또는 금령자(金鈴子) 등으로도 불린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염가래꽃(Lobelia chinensis Lour)"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숫잔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세미초(細米草), 과인초(瓜仁草) 또는 반변하화(半邊荷花)라고도 한다. 논둑과 습지에서 서식하며 옆으로 벋어가면서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며 가지를 치면서 20cm 안팎으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2줄로 배열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줄기와 더불어 털이 없다. 꽃은 5∼8월에 피고 자줏빛으로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꽃자루가 길다. 꽃받침 조각은 5개이고, 화관은 5개로 중앙까지 갈라져서 한쪽으로 치우쳐 좌우대칭이며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중국에서는 독사에 물리거나 벌에 쏘였을 때 해독제로서 생초(生草)를 문질러서 바른다. 호흡곤란, 천식, 백일해의 치료를 위해 약용하며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또는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는 인형(人型)결핵균, 우형(牛型)결핵균, 서형(鼠型)결핵균, 조형(鳥型菌)결핵균으로 분류되며 보통, 길이 1.2~4.0μm, 폭 0.3~0.5μm 정도의 아주 미세한 막대 모양으로 된 간균 형태의 호기성 그램 양성균 이다. 또한, 인형결핵균은 A형, I형, B형, C형의 4가지로 분류되며 pH 6.8~7.0, 온도는 37℃가 최적의 생장조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결핵(tuberculosis)"은 결핵균 감염 환자로부터 호흡기를 통해 나온 미세한 침방울 혹은 비말에 의해 직접 감염되며 그 정의상 결핵균에 의한 감염 때문에 발생하는 질환이다. 현재, 결핵균은 공기를 통해서 감염되기 때문에 폐 조직에서 결핵이 잘 생긴다. 따라서 보통 결핵이라고 하면 폐결핵을 의미하지만 결핵균은 폐 외에도 흉막, 림프선, 척추, 뇌, 신경, 신장, 위장관, 뼈 등 대부분의 조직이나 장기에도 침입해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결핵균에 감염된 장기에 따라 고관절결핵, 골결핵, 골반결핵 같은 골관절 결핵과 고환결핵, 방광결핵, 신장결핵 같은 비뇨 생식계 결핵, 장결핵 같은 소화기계 결핵과 결핵성 뇌막염 같은 중추신경계 결핵 등의 다양한 감염질환으로 나뉠 수 있다. 결핵균은 숙주의 몸속 영양분을 이용해 천천히 증식하며 결핵에 걸리면 기운이 없고 쉽게 피로를 느끼며 체중이 감소하는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또한 결핵균에 감염된 장기에 따라서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폐결핵의 경우에는 기침과 가래, 흉통 등의 증상이 생기며 비뇨 생식계 결핵에서는 빈뇨, 배뇨곤란, 혈뇨 등이 나타나고 골관절 결핵에서는 해당 부위 뼈에 통증이 유발되며 림프선 결핵이면 전신, 특히 목 위나 겨드랑이의 림프절이 커지면서 통증과 압박감이 유발된다. 또한 척추 결핵의 경우 허리통증을, 중추신경계 결핵에서는 두통과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사람의 몸이 결핵균에 감염되면 면역세포와의 염증반응에 의해 아주 느린 속도로 몸의 정상조직을 파괴시키며 치즈 같은 형태의 고름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육아종(Granuloma, 덩어리로 된 혹)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항균”이란 세균에 저항하는 효능, 보다 상세하게는 약제나 생리활성물질 또는 알려진 화학물질에 의한 세균 및 진균의 생육저해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결핵균의 분열증식억제 및 성장저해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로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이 가능한 결핵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폐결핵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염성 결핵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50% 에탄올에 각각 녹인 후 농도별로 용액을 제조하고 액체배지 발색법(Resazurin microtiter assay)을 사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각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결핵 활성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에 대한 항결핵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1 내지 도 2).
본 발명에서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50% 에탄올에 각각 녹인 후 농도별로 용액을 제조하고 MGIT SYSTEM 측정법을 사용하여 각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결핵 활성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에 대한 항결핵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3 내지 도 4).
본 발명에서는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을 50% 에탄올에 각각 녹인 후 농도별로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 후 MGIT SYSTEM 측정법을 사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항결핵 상승효과(Synergic effect)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의 항결핵 상승효과를 측정한 결과 단일추출물 투여군에 비하여 혼합추출물 투여군에서 항결핵 상승효과가 유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5).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결핵균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효과는 결핵균의 분열증식 및 성장을 저해하는 항결핵 효과를 가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액체배지 발색법(Resazurin microtiter assay)과 MGIT SYSTEM 측정법을 통하여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의 성장 및 분열증식을 저해하는 항결핵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결핵균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내지 도 5).
본 발명의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줄기 및 뿌리포함)을 사용하여 유래되는 추출방법이나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 추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분획방법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은나, 바람직하게는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에틸아세테이트, 물 또는 C1~C6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분획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은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줄기 및 뿌리 포함)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재료를 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CH3COOC2H5), 물, C1~C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동결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냉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련피 추출물과 수염가래꽃 추출물을 얻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줄기 및 뿌리포함)을 중량의 약 2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0배에 달하는 부피의 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탄올(EtOH), 부탄올(BuOH), 메탄올(MeOH)을 포함하는 C1~C6의 알코올 용매, 물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용매로 사용하고,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70℃에서, 추출 기간은 약 3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3-72 시간 동안 용매추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과 동결건조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뿌리, 줄기, 잎 및 꽃뿐만 아니라 식물의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진공펌프와 필터 페이퍼를 이용하여 거른 후 30~65℃ 진공에서 증발 농축시켜 추출한다.
또한, 추출물의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을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극성 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용매분획을 통한 계통분획을 통하여 수득할 수 있다. 용매 분획물로는 n-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아세토니트릴 분획물, 에탄올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메탄올 분획물, 디클로로메탄올 분획물, 이소프로판올 분획물, 물 분획물을 분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 분획물을 연속하여 H2O,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n-헥산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계통분획을 통하여 분리하여 수득 할 수 있으며 결핵의 치료, 개선 및 예방에 효능이 있는 활성성분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섭취 또는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개선"이란 상기 조성물을 섭취 또는 투여함으로서 상기 질환의 발병 또는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결핵균의 성장 및 분열증식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섭취 또는 투여로 상기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덱스트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아미노산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멀젼,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 에어로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그 투여용량에 특별한 제약은 없고, 체내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 시간의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결핵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의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식품 또는 그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쥬스, 드링크제, 알코올성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음료,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 제조 가능한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결핵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료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사료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혼합량에 큰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사료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상기 조성물은 보조 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산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각종 보조제 및 분쇄 또는 파쇄된 밀, 보리, 옥수수 등의 식물성 단백질사료, 혈분, 육분, 생선분 등의 동물성 단백질 사료,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과 같은 주성분 이외에도 영양 보충제, 성장 촉진제, 소화 흡수 촉진제, 질병 예방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투여 형태, 방법 및 제형은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포유류, 가금류, 어류 및 갑각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식이 즉, 사료에 적용할 수 있다. 상업용 가축으로 중요한 소, 돼지, 말, 사슴, 염소 등의 가축을 포함하는 포유류, 코끼리, 낙타, 기린, 원숭이 등의 동물원 동물,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닭, 오리, 거위, 비둘기 등의 가금류 및 붕어, 잉어, 송어, 숭어, 새우와 같은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어류 및 갑각류에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동물의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동물의약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결핵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동물의약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결핵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결핵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가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개선)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소독 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스프레이, 핸드워시, 연고제, 도포제, 크림제, 가습기 충진제, 코팅제, 위생패드, 생리대, 밴드, 또는 마스크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의약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은 결핵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짐으로써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항균제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액체배지 발색법(Resazurin microtiter assay)에 적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각 농도별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는 결핵균에 대한 시험물질의 항결핵 활성을 나타낸다.
도 2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의 각 분획물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액체배지 발색법(Resazurin microtiter assay)에 적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상기 분획물의 각 농도별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는 결핵균에 대한 시험물질의 항결핵 활성을 나타낸다.
도 3은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MGIT SYSTEM 측정법에 적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각 농도별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에서 NO 1은 고련피의 헥산 추출물, NO 2는 고련피의 클로로포름 추출물, NO 3은 고련피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NO 4는 고련피의 에탄올 추출물, NO 5는 고련피의 부탄올 추출물, NO 6은 고련피의 메탄올 추출물, NO 7은 고련피의 물 추출물, NO 8은 수염가래꽃의 헥산 추출물, NO 9는 수염가래꽃의 클로로포름 추출물, NO 10은 수염가래꽃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NO 11은 수염가래꽃의 에탄올 추출물, NO 12는 수염가래꽃의 부탄올 추출물, NO 13은 수염가래꽃의 메탄올 추출물 그리고 NO 14는 수염가래꽃의 물 추출물을 나타낸다.
도 4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의 각 분획물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MGIT SYSTEM 측정법에 적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상기 분획물의 각 농도별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에서 NO 1은 고련피의 헥산 분획물, NO 2는 고련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NO 3은 고련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O 4는 고련피의 부탄올 분획물, NO 5는 고련피의 물 분획물, NO 6은 수염가래꽃의 헥산 분획물, NO 7은 수염가래꽃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NO 8은 수염가래꽃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NO 9는 수염가래꽃의 부탄올 분획물 그리고 NO 10은 수염가래꽃의 물 분획물을 나타낸다.
도 5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MGIT SYSTEM 측정법에 적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활성 및 혼합투여에 의한 상승효과(Synergic effect)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에서 NO 1은 고련피의 헥산 추출물 800 ㎍/㎖과 에틸아세테이트 400 ㎍/㎖의 혼합 투여군, NO 2는 고련피의 클로로포름 추출물 800 ㎍/㎖과 에틸아세테이트 400 ㎍/㎖의 혼합 투여군, NO 3은 고련피의 물 추출물 800 ㎍/㎖과 에틸아세테이트 400 ㎍/㎖의 혼합 투여군, NO 4는 수염가래꽃의 헥산 추출물 400 ㎍/㎖과 클로로포름 추출물 600 ㎍/㎖의 혼합 투여군, NO 5는 수염가래꽃의 헥산 추출물 400 ㎍/㎖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600 ㎍/㎖의 혼합 투여군, NO 6은 수염가래꽃의 헥산 추출물 400 ㎍/㎖과 에탄올 추출물 600 ㎍/㎖의 혼합 투여군, NO 7은 수염가래꽃의 헥산 추출물 400 ㎍/㎖과 부탄올 추출물 600 ㎍/㎖의 혼합 투여군, NO 8은 수염가래꽃의 헥산 추출물 400 ㎍/㎖과 메탄올 추출물 600 ㎍/㎖의 혼합 투여군 그리고 NO 9는 수염가래꽃의 헥산 추출물 400 ㎍/㎖과 물 추출물 600 ㎍/㎖의 혼합 투여군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재료
Middlebrook 7H9 Broth(Difco), Middlebrook ADC Enrichment supplement 용액, MGIT 7㎖ Tube 및 MGIT Supplement(OADC)는 벡톤 디킨슨(Becton Dickinson, 미국)에서 구입하였다. Rifampicin, Isoniazid, Tween 80, Glycerol, DMSO(Dimethyl Sulfoxide), 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아세테이트(C4H8O2), 에탄올(EtOH), 부탄올(BuOH), 메탄올(MeOH) 및 Resazurin sodium salt powder는 덕산약품공업(주)과 시그마 알드리치 주식회사(Sigma-Aldrich Co. LLC, St. Louis, MO,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추출 및 분획
고련피와 수염가래꽃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병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분말화한 고련피(500g)와 수염가래꽃(줄기 및 뿌리 포함, 500g)을 실온에서 다음과 같은 용매{헥산(n-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아세테이트(C4H8O2), 에탄올(EtOH), 부탄올(BuOH), 메탄올(MeOH) 및 증류수(H2O)} 5L에 각각 혼합한 후 Shaking 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 후 추출액은 필터 페이퍼 및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거른 후 30~65 ℃ 진공에서 증발-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물은 동결건조 후 -80 ℃에 냉동보관하고 실험 시 녹여서 사용하였다.
또한, 고련피(500g)와 수염가래꽃(줄기 및 뿌리 포함, 500g)을 실온에서 메탄올 10L에 각각 혼합한 후 Shaking 하면서 추출하였고 추출액은 필터 페이퍼 및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거른 후 40~55 ℃ 진공에서 증발-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 추출물(100g)에 증류수 3L와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3L를 각각 혼합하여 계통분획하고 분획 후 각 분획층을 필터 페이퍼 및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거른 후 30~55 ℃ 진공에서 증발-농축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분획물은 동결건조 후 -80 ℃에 냉동보관하고 실험 시 녹여서 사용하였다.
: 결핵균의 배양
결핵균(H37Rv, ATCC 27294)을 배양하기 위한 액체배지는 0.05% Tween 80 또는 0.2% glycerol, 10% ADC Enrichment를 포함하는 Middlebrook 7H9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배지에 결핵균 접종 후 shaking하면서 37 ℃에서 배양하였다. 결핵균의 배양은 600nm에서 흡광도가 0.09 (McFarland turbidity standard 0.5)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소량씩 분주하여 -80 ℃에 냉동보관하고 실험 시 녹여서 사용하였다.
: 액체배지 발색법(Resazurin microtiter assay)에 의한 항결핵 효과 측정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대한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항결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험물질을 50% 에탄올로 용해한 후 사용하였다. 약물대조군 약물로 Rifampicin과 Isoniazid를 사용하였으며 50% DMSO(Dimethyl Sulfoxide)로 용해한 후 사용하였다. 결핵균은 배양 후 2×106 CFU/㎖이 되도록 Middlebrook 7H9 배지로 희석하여 준비하였고 결핵균 배양 배지에 상기 제조한 각각의 시험물질을 25 ㎍/㎖, 50 ㎍/㎖, 100 ㎍/㎖, 200 ㎍/㎖ 및 400 ㎍/㎖ 농도가 되도록 투여하여 혼합한 후 96well plate에 200㎕씩 첨가하였으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과 함께 약물대조군인 Rifampicin과 Isoniazid는 결핵균 배양배지에 각각 10 ㎍/㎖ 농도가 되도록 투여하여 혼합 후 96well plate에 200㎕씩 첨가하고 비닐로 보양하여 37 ℃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5일 후 발색용액(0.02% Resazurin solution) 30㎕를 96well plate의 각 well에 첨가하고 호일로 보양한 후 37 ℃에서 3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6시간 후 각 시험물질의 항결핵 효과를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약물대조군과 비교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 결핵균과 약물이 접종되지 않은 배지만 배양된 그룹(Blank Control Group), 양성대조군으로 결핵균만 배양된 그룹(Growth Control Group), 약물대조군으로 결핵균에 Rifampicin과 Isoniazid가 투여된 그룹(Drug-Treated Group)을 함께 배양하여 항결핵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액체배지 발색법에 의한 항결핵 활성실험을 통하여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에 농도-의존적으로 매우 높은 항결핵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도 1 내지 도 2).
이러한 결과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 MGIT SYSTEM 측정법에 의한 항결핵 활성 측정
결핵균에 대한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항결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시험물질을 50% 에탄올에 녹여 농도별로 제조한 후 MGIT SYSTEM 측정법에 적용하여 결핵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MGIT SYSTEM 측정법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MGIT 7㎖ Tube(Becton Dickinson, USA)에 MGIT Supplement 용액(OADC, Becton Dickinson, USA) 0.8㎖, 결핵균 용액 0.1㎖와 시험물질 용액을 농도별로 첨가한 후 Middlebrook 7H9 배지를 사용하여 최종부피를 8㎖로 조정하고 혼합 후 Tube를 BACTEC MGIT SYSTEM(Becton Dickinson, USA)에 장착하여 배양 측정한다. 결핵균은 Middlebrook 7H9 배지로 배양하여 총 부피 8㎖를 기준으로 120,000 CFU/㎖에 맞게 조정하여 Tube에 첨가되었다. BACTEC MGIT SYSTEM은 배양기기내에 결핵균의 분열증식 및 성장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형광측정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결핵균의 분열증식 및 성장 유무에 따라 결핵균의 감수성이 자동으로 측정된다.
그 결과, MGIT SYSTEM 측정법에 의한 시험물질의 항결핵 활성실험을 통하여 시험물질인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에 농도-의존적으로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도 3 내지 도 4). 또한, 결핵균에 대한 시험물질의 항결핵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혼합투여 후 측정한 결과 단일추출물 투여군에 비하여 혼합추출물 투여군에서 항결핵 상승효과가 유발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5). 이러한 결과는 고련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이 결핵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상기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측정결과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는 결핵균에 대한 시험물질의 항결핵 활성을 나타낸다.

Claims (8)

  1.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물 또는 C1~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물 또는 C1~C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결핵(tuberculosis)에 대한 항결핵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6.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7.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동물의약품 조성물.
  8.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40016959A 2014-02-14 2014-02-14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10176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959A KR101765988B1 (ko) 2014-02-14 2014-02-14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PCT/KR2015/001512 WO2015122728A1 (ko) 2014-02-14 2015-02-13 고련피 추출물 또는 수염가래꽃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959A KR101765988B1 (ko) 2014-02-14 2014-02-14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347A Division KR101775218B1 (ko) 2015-06-19 2015-06-19 수염가래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041A true KR20150096041A (ko) 2015-08-24
KR101765988B1 KR101765988B1 (ko) 2017-08-07

Family

ID=5380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959A KR101765988B1 (ko) 2014-02-14 2014-02-14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5988B1 (ko)
WO (1) WO20151227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37B1 (ko) * 2017-04-07 2018-06-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asakbumin A를 포함하는 결핵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846B1 (ko) 2021-12-14 2023-05-19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결핵균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해조류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69B1 (ko) * 2004-09-21 2006-12-1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산초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성식품
CN101810803B (zh) * 2010-05-25 2011-11-09 泰一和浦(北京)中医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治疗尿血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药物的用途
KR101250179B1 (ko) * 2011-06-17 2013-04-0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인도산 멀구슬나무 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또는 내독소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9209A (ko) * 2011-09-14 2013-03-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결핵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7187B1 (ko) * 2011-09-23 2016-02-25 원광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갖는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37B1 (ko) * 2017-04-07 2018-06-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asakbumin A를 포함하는 결핵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2728A1 (ko) 2015-08-20
KR101765988B1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46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770035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67698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A2449943A1 (en) Preventives or remedies for arthritis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101795115B1 (ko) 감마-리놀렌산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101765988B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US20220016193A1 (en) ANTIBACTERIAL AND ANTIVIRUS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ANNABIS SATIVA L.
KR102481102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775223B1 (ko) 아르테수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KR101775218B1 (ko) 수염가래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51604B1 (ko) 음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98286B1 (ko) 리놀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201500869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20160143628A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0295B1 (ko) 아르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20170111997A (ko) 동애등에 유충유래 단백질 분획물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임질 또는 임질균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단백질 조성물
KR101810292B1 (ko) 10e,12z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10291B1 (ko) 9e,11e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10290B1 (ko) 9z,11e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07106621A (zh) 包含大花马齿苋提取物或其馏分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或治疗神经炎症或者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KR20230076952A (ko)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