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957B1 -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957B1
KR102546957B1 KR1020210084479A KR20210084479A KR102546957B1 KR 102546957 B1 KR102546957 B1 KR 102546957B1 KR 1020210084479 A KR1020210084479 A KR 1020210084479A KR 20210084479 A KR20210084479 A KR 20210084479A KR 102546957 B1 KR102546957 B1 KR 102546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composition
extract
antibac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671A (ko
Inventor
박충무
윤현서
김지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9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는 경우,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을 식품 조성물 등으로 제공하여, 섭취에 의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Anti-inflammatory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 Cedrela sinensi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염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유해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면역계 과정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신체의 주요 보호 반응이다. 염증 반응은 침입하는 병원균을 확인 및 파괴하고, 정상적인 조직 구조와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고도로 규제된 자체-제한 과정이다(Conti 외 2004 , Freire and Van Dyke 2013 ).
그러나 과도한 염증 반응은 심혈관 질환, 류마티스 성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알츠하이머 병, 심지어 암과 같은 만성 염증의 주요 원인으로 인지되고 있다(Amin et al., 1999 , Freire and Van Dyke 2013).
구체적으로, 그람-음성 박테리아 내 독소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s, LPS)를 비롯한 대식세포가 염증성 자극제에 의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세포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을 포함하는 염증 매개체의 생성 및 핵 요인-카파 B(nuclear factor-kappa B, NF-κB) 및 미토젠-활성 단백질 키나아제(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신호 전달과 같은 여러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와 함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유도하며, 상기의 염증성 매개체 및 사이토카인의 과도한 생성은 많은 염증성 질환의 발병 기전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cDaniel et al., 1996, Muralidharan and Mandrekar, 2013).
한편, 염증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 및 산화 스트레스이다(Brune et al. 2013 , Mills and O'Neill 2016 ). 활성화된 대식 세포에 의해 과잉 생산된 ROS는 염증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LPS-자극 대식세포에서의 염증 매개체의 생산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ddad and Land 2002).
결과적으로, 대식세포 활성을 차단하여 염증 인자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은 염증 및 산화 장애의 진행을 완화시키는 잠재적 치료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염증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기존의 항염증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항염증제는 체내에 부작용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염증 치료의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 유래의 새로운 항염증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항균(抗菌)이란 약제나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세균과 진균의 생육 저해작용으로 살균적인 것과 정균적인 것으로 대별된다.
항균작용을 갖는 물질로서 가장 중시되고 있는 것이 항생물질(anti- biotics)이다. 항생물질이 항균작용에 미치게 할 수 있는 미생물의 범위를 항균 스펙트럼 또는 항균역이라고 부른다. 항균 스펙트럼이 넓은 항생물질을 광역 스펙트럼 항생물질이라고 부르며, 구체적으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 cline)계 항생물질이나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항생물질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항생물질의 등장에 의해 대부분의 세균 감염증이 극복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항균작용에 저항하는 약제 내성균의 출현과 만연은 치료에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항생 물질의 항균작용의 분자기구도 대부분의 것이 분명하게 밝혀져 있다. β-락탐계(β-lactam), 항생물질(penicillin계, 세팔로스포린계)의 항균작용은 세포벽 합성 저해에 의해, 클로람페니콜, macrolide계, 테트라사이클린계와 아미노배당계 항생물질은 단백질 합성 저해에 의해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Quinolone은 DNA 합성을, 리팜피신은 RNA 합성을, 설파(sulfa)제는 엽산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항균활성을 발휘한다.
하지만 최근 화학 물질들의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특히, 피부 및 화장품 분야에서 천연 항균물질을 이용한 많은 추출물이 발명되었으나 실질적 효능을 갖기에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부작용의 문제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실질적 효능을 갖는 천연물의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
즉, 최근 들어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및 항균제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나, 항염증 또는 항균 효과 중 어느 하나의 효과가 미미하거나 혹은 두 효과 모두 목적하는 수준의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인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인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KR 10-2014-0132833 A1
본 발명의 목적은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되어, 섭취에 의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은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茶)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질병 또는 장애의 징후 또는 증상의 예방, 감소,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하나, 제한되지 않는 유익한 결과와 같은, 바람직한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양을 “유효량”이라 한다. 따라서, 조성물 또는 방법의 각 활성 성분의 총량은 유의미한 개체의 이익을 나타내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유효량은 투여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유효량은 1 이상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투여 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이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 특이적인 방어작용이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들어왔을 때, 초기단계 면역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들이 몰려들어 사이토 카인을 생성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은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참죽나무(Cedrela sinensis A. Juss.)는 중부 이남의 마을 부근에 심는 낙엽 교목이며 높이는 약 20m 내외이다. 외피가 얕게 갈라져 붉은색의 껍질이 나타난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 겹잎에 길이가 약 60cm이다. 잎자루는 길이가 약 1cm이며, 피침형 또는 긴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꽃은 양성화로 5 수성이며 흰색인 것이 특징이며, 향기가 강하고, 가지 끝에서 밑으로 처지는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한편, 열매는 삭과로 거꿀 달걀형이며, 길이는 약 2.5cm이고 5개로 갈라지는 특성이 있다. 어린 싹은 식용하며, 목재는 기구재, 조각재, 농기구재 등으로 쓰인다. 한편, 어린 순은 데친 후 식용하였으며, 수피는 산후의 지혈제로 이용되었다. 더 나아가, 설사, 이질 및 버짐 등의 치료에도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물질이 아닌, 천연 물질에 해당하는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대한 부작용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나타내는 항염 및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화장료 또는 기능성 식품을 통해 인체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염증(inflammation)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 중 하나로서,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 인자들(pro-inflammatory mediators)이 만들어지는데 이로 인하여 임상적으로는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LPS(lipopolysaccharide), 염증유발인자 및 방사선조사 등의 유해한 자극은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 IL-1β,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루코트리엔(luecotriene) 및 산화질소(nitric oxide,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염증성 매개체)을 과도하게 유도하여 염증질환과 조직이식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당뇨병 등의 면역질환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성 매개체 중 하나인 산화질소(NO)는 정상상태에서는 내피세포나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며 세포살상과 살균작용 이외에도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데, 특히, 혈관 내피세포의 이완작용에 있어서 혈압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PS, 염증유발인자 및 방사선조사 등의 자극은 특히, 유도형 산화질소 합성효소인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etase)의 생성을 유도하여 많은 양의 산화질소(NO)를 4 내지 6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생성시키는데 이와 같이 생성된 과도한 양의 산화질소(NO)는 상기와 같은 질환들을 유발한다.
다른 염증성 매개체인 PGE2, PGF2a 및 PGI2와 같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에서 유래한 호르몬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여하며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COX)에 의해 생성이 조절된다. 이에 COX의 활성을 저해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저해하는 아스피린 인도메타신 같은 비스테로이드성소 염진통제는 관절염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TNF-α는 BCG, LPS 및 염증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와 섬유아세포 등에서 생산되어 세포사멸작용, 프로스타글란딘 및 IL-1, IL-6 및 IL-1β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산을 유도한다. 종양괴사인자로 발견된 TNF-α는 류마티스 관절염, 장기이식거부반응 등의 자가면역질환, 천식, 아토피성피부염 등의 알러지성 염증 질환 및 패혈증, 급성간질환 등의 급성면역질환 등에 대한 관련성이 보고되면서 TNF-α의 합성을 억제하는 화합물에 대한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TNF-α 수용체의 유전자가 손상된 쥐는 LPS에 의한 치사독성에 저항성이 있으며 TNF-α의 항체를 투여한 쥐는 관절염이나 LPS의 독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바 있다(Beutler B., Science, 229:869, 1985; Pfeffer K et al., Cell,73;457, 1993).
본 출원인은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및 IL-1β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통해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조성물을 화장료 또는 식품으로 이용하여 체내 항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조성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사람의 몸 안팎에는 정상 세균(normal flora)이 있어서 오히려 신체 신진대사를 촉진하기도 한다. 우리 몸은 많은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어, 세균이 침입해도 위장과 소장에서 살균되고 핏속의 면역 세포가 감염을 막아준다. 그래서 세균이 바로 병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이 정도의 세균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에이즈 환자나 암 환자처럼 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는 이러한 세균이 치명적일 수 있다. 또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나 노약자, 항생제 과다 복용자에게 세균이 침입할 경우 바로 발병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정상인의 구강 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종으로, 에나멜 손상의 초기 단계와 관련이 있으며, 충치의 주요 원인균이다. 당을 분해하여, 불용성인 Dextran을 합성하며, Dextran은 Mutans를 비롯한 구강세균을 응집하여, 프라그를 형성하고, 프라그의 대사물질(산)에 의해 에나멜질 탈회, 충치를 발생시킨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그람 양성이며 구균으로, 병원에서 기회적 감염균으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 MRSA, VRSA으로 대표적인 슈퍼박테리아로 지명되고 있다. 다양한 독소와 다양한 감염부위로 염증, 괴사를 유발하는 병원균으로 페니실린에 민감한 그람양성균인데도 불구하고 내성을 갖는다. 성인의 20~30%에서 코나 피부에서 확인이 되지만 대부분 경우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피부의 손상이나 부상을 통해 방어벽이 무너지게 되면서 감염이 일어나게 된다. 농가진, 봉소염, 열상피부증후군, 유방염, 균혈증, 포도상 구균성 패혈증, 포도상구균성 폐염, 심내막증 등과 관련이 있으며, 포도상 구균군으로 오는 식중독은 메스꺼움, 구토, 설사, 탈수를 일으키는 장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상기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구강 및 위장관에서 흔히 관찰되는 대표적인 진균으로, 정상인의 구강에서 50%, 분변에서 90% 발견된다. C. albicans는 대부분의 경우, 임상적으로 의의가 없는 비특이적 병변을 유발하나, 환자의 면역력에 따라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C. albicans는 위장관 어디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인후, 식도에서 가장 흔히 병변을 일으키며, 대부분 무증상이다. 드물게 위, 십이지장에도 진균감염을 유발하나, 대부분 양성 혹은 악성 궤양에 이차적으로 전이 증식을 일으킨 병변으로, 임상적 의의가 적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는 흔히 '고초균'이라고도 하며 주로 토양 속에서 서식하고, Bacillus 속에 속하는 균으로서 그람 양성 (Gram positive)균이다. 호기성이며, 막대기 모양 또는 원통형 세균으로 그 크기와 길이는 다양하고 양 끝의 모양도 일정하지 않으며 편모나 포자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균체의 한끝에 1 내지 3개, 또는 균체의 주위에 다수의 편모가 있어 운동할 수 있는 것도 있고, 균체의 한 끝 또는 중앙부에 포자를 가지고 있는 간균도 있다. 세균의 포자는 세균 균체가 휴식 상태에 있는 부분으로 생활현상은 영위하지 않지만, 외부 환경의 영향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강하다. 따라서 나쁜 생활조건 아래서도 오래 생존할 수 있고, 적당한 환경에서는 발아해서 고유의 세균 균체로 된다. 즉, 세균의 포자는 세균의 종자와 같은 것이다. 또한 한국인에게는 청국장의 발효 미생물로서 관계가 깊을 뿐만 아니라 여러 미생물 제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결막염, 홍채염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는 사람이나 포유류의 창자 속에 상주하는 세균의 하나로, 좁은 뜻으로는 장내세균과(腸內細菌科) 에셰리키아속(屬)에 속하는 세균을 말하며, 넓은 뜻으로는 시트로박터·클레브시엘라·엔테로박터 등을 포함한 3가지 대장균군(大腸菌群)을 말한다. 좁은 뜻의 대장균은 나비 0.5 내지 0.7μm, 길이 2 내지 3μm의 그람 음성인 간균(桿菌)으로 주모성(周毛性)이지만, 균주(菌株)에 따라서는 편모(鞭毛)가 없는 것도 있다. 보통의 배양기(培養基)에서 잘 발육하며, 평활형(平滑型)이고 불투명하며 백색의 군락(群落)을 형성한다. 대장균은 포도당, 젖당, 만니톨을 분해하며(때로는 설탕과 살리신도 분해한다), 산과 가스를 발생한다. 병원대장균(病原大腸菌; 주로 乳幼兒의 설사병의 원인이되는 일종의 균)으로서는 O-55, O-111, O-124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대장균은 포유동물의 장관(腸管) 내의 상재균(常在菌)으로서, 숙주(宿主)에 대해서는 의미있는 존재가치를 지니고 있다. 즉 전술한 대장균의 분해력은 장관 내에서 발휘되며, 비타민의 생성 등과도 관련된다. 또한 대장균군은 분변(糞便) 오염의 척도로서 음료수나 식품, 나아가서는 해수욕장이나 공중목욕탕 등의 위생검사에 흔히 기준이 된다. 이것은 분변오염이 있으면 소화기계(消化器系)의 전염병균인 적리균(赤痢菌)이라든지 장티푸스균 외에도 식중독균인 살모넬라균과 병원대장균(病原大腸菌)의 존재, 또는 그러한 의심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장균군 자체는 유해균은 아니며, 장관내 이외의 자연계에서는 증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오염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에셔리키아 콜라이는 요도계감염, 방광염, 신장감염, 요도감염, 위장관염, 복막염, 맹장염, 폐렴, 수막염, 뼈나 관절에 감염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중요한 병원균으로, 호흡기 감염 외에도 균혈증, 골수염, 수막염 등의 감염을 일으키며, 가장 흔한 감염증은 피부 감염이다.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여드름 발생 시 여드름의 약화에 영향을 주는 피부 상재균으로, 대표적인 피부 염증 질환의 하나인 여드름은 호르몬의 작용, 과도한 피지 분비,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한 모피지선, 모낭 및 주변 조직의 염증성 질환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작용으로 인해 항염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에셔리키아 콜라이(Escherichia coli) 및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균에 대한 항균 효과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조성물이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균주는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덜꿩나무 추출물, 복딸나무 추출물, 산골취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덜꿩나무(Viburnum erosum Thunb.)는 인동과 덜꿩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경기도 이남의 낮은 산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이다. 인동과의 키작은 나무로 높이는 2 내지 3m이다. 봄철의 하얀색 꽃과 가을철의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공원수로 많이 식재된다. 잎은 타원형으로 마주보기로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앞, 뒷면에 털이 소복하게 나 있어 만지면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줄기는 여러 개로 갈라져 포기를 이루어 자라는 것이 특징이며, 꽃은 4 내지 5월에 새로 나온 가지 끝에 하얀색 양성화가 동그란 모양을 만들며 모여 핀다. 팥처럼 생긴 조그만 열매는 9 내지 10월에 붉게 익는데 새들의 좋은 먹이가 된다. 햇볕이 적당히 드는 숲에서 자라며, 보습성과 배수성이 좋은 토양을 좋아한다. 추위를 견디는 내한성이 매우 강하고 양지와 음지에서 모두 잘 자라며, 건조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을 갖는다. 한편, 덜꿩나무라는 이름은 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으로, 들에 있는 꿩들이 좋아하는 열매를 달고 있다는 뜻으로 들꿩나무로 불리다가 덜꿩나무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을 수 있고, 늙은 잎과 줄기는 한방에서 구내염이나 가려움증의 약재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복딸나무(Rubus sorbifolius var. myriadenus)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높이가 1 내지 2m이고 짙은 홍색의 선모와 구자(鉤刺)가 있으며 어린 가지 전체(全體)에 선모가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고 우상 복엽이며 소엽은 3 내지 5개이나, 하부의 것은 5 내지 7개이고 넓은 피침형으로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엽맥을 제외하고 털이 없는 특징이 있다. 꽃은 4월에 백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복산방화서로 달리며 선모 및 연모(軟毛)가 있다. 과실은 집합과로 타원형이며 백색으로 성숙하는 것이 특징이며, 식용으로 이용된다.
상기 산골취(Saussurea neoserrata)는 깊은 산에서 자라며 높이는 50 내지 110 cm이고.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기도 한다. 잎의 밑동이 줄기로 흘러서 줄기의 날개가 된다. 뿌리에 달린 잎과 밑부분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지며,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거나 타원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12 내지 15cm이다. 끝이 뾰족하며 밑은 좁아진다. 윗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뒷면에 꼬부라진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또한 꽃은 8 또는 9월에 자줏빛으로 핀다.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산방 꽃차례로 달리며, 꽃 지름 8 내지 10mm이다. 총포는 통 모양이며 길이 8 내지 9mm, 지름 4 내지 5mm이다. 포조각은 4줄로 늘어서며 가장자리가 자줏빛이고 거미줄 같은 흰 털이 난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약 5mm이며 검은 갈색 줄이 있다. 관모(冠毛)는 2줄이며 갈색이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국 특산종으로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상기 덜꿩나무 추출물, 복딸나무 추출물, 산골취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이들 유효성분 및 참죽나무 추출물의 유효성분 간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로, 항염 효과 및 항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호도 높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조성물은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덜꿩나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복딸나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산골취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항염 및 항균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호도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한 참죽나무 순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참죽나무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 성제,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방부제, 저급 알코올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종류와 농도는 다양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능적 물질, 예컨대, 미백제, 보습제, 항염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 균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항생제, 여드름 방지제, 향수, 염료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그 기능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보습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에도 피부학적으로 허용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 (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각종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또는 미용액 등이 있다. 구체적인 제형으로서는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 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 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또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약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10g의 비율로 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약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기능성 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건강보조식품을 포함하며, 기타, 식품성분이 갖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으로서, 질병의 예방 및 질병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도 갖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茶)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차(茶)는 기능성 식품의 한 예로, 상기 기능성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 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에 의하면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을 식품 조성물 등으로 제공하여, 섭취에 의한 항염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PGE2 생성 억제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NO 생성 억제 실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실험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참죽나무 추출물의 제조
참죽나무의 순(荀)을 수득한 후, 이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쇄물로 제조하고,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참죽나무 3g을 15ml 튜브(tube)에 1mg을 넣고, 70% 에탄올(ethanol)을 10ml를 다시 넣었다. 시료를 rounded mixed machine에서 18 시간 동안 넣고 혼합 및 추출하였다. 추출 후 3000rpm, 10분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채취하였다. 이렇게 채취된 상층액에 포함된 에탄올(ethanol)을 40 ℃에서 증발하였다. 그리고 남은 시료는 동결 건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참죽나무 추출물(CE)은 참죽나무 원재료에서의 수득률이 11.5%로 추출하였다.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CE)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덜꿩나무 추출물(VE), 복딸나무 추출물(RE) 및 산골취 추출물(SE)를 제조하였다.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참죽나무 추출물(CE), 덜꿩나무 추출물(VE), 복딸나무 추출물(RE) 및 산골취 추출물(SE)를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 범위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CE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VE - 7.5 - - 3 5 7.5 10 12
RE - - 7.5 - 3 5 7.5 10 12
SE - - - 7.5 3 5 7.5 10 12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
RAW 264.7 세포는 한국 세포 은행(Korea Cell Line Bank, 한국)에서 구입하여 10%(v/v) 태아 소 혈청(FBS), 100 U/ml 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둘베코모디파이드 이글 미디엄(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이용하여 37℃ 및 5% CO2(v/v)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CE)의 세포 독성을 MTT 환원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참죽나무 추출물(CE)로 처리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용액(Sigma-Aldrich Chemical Co.) 0.5mg/ml을 각 well에 분배하고 37℃에서 반응하였다.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를 첨가하여 청색 포르마잔 결정을 10분 동안 용해시켰다. well 당 흡광도는 효소 결합 면역 흡착분석(ELISA) 플레이트 판독기((Dynatech Laboratories, Chantilly, VA, USA)를 사용하여 5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죽나무 추출물(CE)의 500μg/ml 이하 농도에서 RAW 264.7 세포에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도 2는 50 μg/ml의 표준 디젤 미립자 물질(SRM 1650b, 이하 PM2.5이라 함)로 처리된 RAW 264.7 세포에 500μg/ml 미만의 참죽나무 추출물(CE)을 RAW 264.7 세포에 투여해도 세포 생존에 유의미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참죽나무 추출물(CE)의 500μg/ml 농도에 대한 항염 효과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복합 추출물(T2 내지 T9)로 제조 시에도 500μg/ml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험예 2
NO, PGE 2, IL-6 및 IL-1β의 생성 억제 실험
RAW 264.7 세포는 1시간 동안 200 μg/ml 및 500 μg/ml 참죽나무 추출물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50 μg/ml PM2.5로 자극하였다. 배지 내의 NO 수준은 Griess 시약(Sigma-Aldrich Chemical Co.)을 사용하여 측정된 아질산염의 양에 의해 평가되었다. 세포 조절 배지의 100μL은 10분 동안 동일한 양의 Griess 시약으로 혼합하였다. 흡광도는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540 nm로 측정하고, 아질산 나트륨(NaNO2) 표준 곡선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PGE2의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ELISA 키트(R & 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여 배양 상등액을 수집 및 평가하였다. 흡광도는 ELISA 판독기를 사용하여 450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에 의한 결과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PM2.5가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PM2.5 처리는 NO 및 PGE2의 방출을 크게 증가시켰으나, 이 증가는 참죽나무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PM2.5 처리에 의해 증가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발현에 대한 참죽나무 추출물의 효과는 도 5 및 6과 같다. 구체적으로 PM2.5에 의한 자극 후, 배양 상층액으로 방출되는 IL-6 및 IL-1β를 포함하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PM2.5에 의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은 참죽나무 추출물의 전처리에 의해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복합 추출물에 대한 NO, PGE 2, IL-6 및 IL-1β의 생성 억제 실험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에 의한 NO, PGE2, IL-6 및 IL-1β의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실험과 동일한 방식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독성 결과에서, 동일한 농도(500μg/ml)로 VE, RE 및 SE를 처리하여도 RAW 264.7 세포에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혼합된 복합물로 처리 시에도 동일하게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NO, PGE2, IL-6 및 IL-1β의 생성 억제 효과에 대해서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T1을 500μ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를 지수 5로 설정하고, T2 내지 T9를 500μ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를 지수로 평가하였다.
상기 지수는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NO, PGE2, IL-6 및 IL-1β의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T1 T2 T3 T4 T5 T6 T7 T8 T9
NO 및 PGE2 생성 억제 5 6 6 6 4 8 9 8 4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1β) 생성 억제 5 5 6 6 3 7 9 8 4
(단위: 지수)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T1 과 비교하여 혼합 조성물로 이용한 T2 내지 T9에서 동등 이상의 우수한 NO 및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T6 내지 T8의 범위에서 상기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균 효과 실험
KS 0693-1990 시험법에 의거 칸디아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을 균주로 하여 106 마리를 면, PET에 대해 접종하고 상기 조성물 T1 내지 T9를 500μg/ml 농도로 처리함에 따른 직물의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와 같다.
항균력
T1
T2
T3
T4
T5
T6
T7
T8
T9
(◎ : 미생물의 양 103 이하, ○ : 미생물의 양 104 이하, △ : 미생물의 양 105 이하)
상기 표 3의 결과를 볼 때, T1 과 비교하여 혼합 조성물로 이용한 T2 내지 T9에서 동등 이상의 항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T6 내지 T8의 범위에서 상기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관능성 평가
상기 참죽나무 추출물(CE) 및 각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각 조합에 따른 향미와 맛에 대한 관능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참죽나무 추출물(CE)인 T1 및 혼합 추출물 T2 내지 T9 각각을 차(茶) 음료로 제조하고, 성인남녀 20인에 대한 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성 평가는 향과 맛을 기초로 기호성에 따라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여 평균지수로 구분하였으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성이 우수한 것이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종합 기호도
T1 5 5 5
T2 6 5 5.5
T3 5 6 5.5
T4 6 6 6
T5 4 3 3.5
T6 8 9 8.5
T7 9 9 9
T8 8 8 8
T9 3 4 3.5
(단위: 지수)
상기 표 4의 결과를 볼 때, T1 과 비교하여 혼합 조성물로 이용한 T2 내지 T9에서 향미 및 맛 등의 기호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T6 내지 T8의 범위에서 상기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참죽나무 순 추출물, 덜꿩나무 추출물, 복딸나무 추출물 및 산골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참죽나무 순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덜꿩나무 추출물을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복딸나무 추출물을 5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산골취 추출물을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갖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차(茶).
KR1020210084479A 2021-06-29 2021-06-29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546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9A KR102546957B1 (ko) 2021-06-29 2021-06-29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79A KR102546957B1 (ko) 2021-06-29 2021-06-29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71A KR20230001671A (ko) 2023-01-05
KR102546957B1 true KR102546957B1 (ko) 2023-06-22

Family

ID=8492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79A KR102546957B1 (ko) 2021-06-29 2021-06-29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9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732A (ko) * 2010-06-21 2011-12-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죽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TWI538682B (zh) * 2013-01-17 2016-06-21 Nat Univ Chung Hsing The use of the extract toon
KR20140125217A (ko) * 2013-04-18 2014-10-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손발톱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2833A (ko) 2013-05-07 2014-11-1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참털비말 및/또는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및 항염증 활성 조성물
KR101740502B1 (ko) * 2015-11-10 2017-05-30 대한민국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선영 외 3명.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피부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Vol. 36, No. 4, December 2010, 315-3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71A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90079202A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247810B1 (ko) 락토바실러스 속 sdcm 1003 및 sdcm 1105의 혼합 균주, 그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39732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305524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該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配合した皮膚化粧料及び飲食物
KR102143081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93990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46957B1 (ko) 참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균용 조성물
KR101398549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9411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6783B1 (ko) 우엉의 초음파 추출물 및 이의 추출방법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30045135A (ko) 동방초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 식품 조성물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671693B1 (ko) 돌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434150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너뷰티용 조성물
KR101764303B1 (ko) 효소처리된 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방지용 조성물
KR102630951B1 (ko) 5-히드록시말톨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61258B1 (ko) 커먼자스민, 흰버드나무껍질 및 가지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개선용 조성물
KR102214621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JP2005281224A (ja) 美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