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952A -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952A
KR20230076952A KR1020210162539A KR20210162539A KR20230076952A KR 20230076952 A KR20230076952 A KR 20230076952A KR 1020210162539 A KR1020210162539 A KR 1020210162539A KR 20210162539 A KR20210162539 A KR 20210162539A KR 20230076952 A KR20230076952 A KR 20230076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hcov
corona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기
김영수
권은빈
정환석
고영훈
이위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6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952A/ko
Publication of KR2023007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i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견초(Salvia plebeia R.Br.)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견초 추출물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 항바이러스 용도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Antivir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Salvia plebeia R.Br.}
본 발명은 설견초(Salvia plebeia R.Br.)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는 지속적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신·변종 바이러스가 빈번히 출현하고 있다. 인구의 고령화, 면역저하자의 증가, 국제 교역 및 여행의 증가는 바이러스 전파 가속화에 기여하는 요인이다. 예컨대, 해마다 계절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행으로 연간 인구 10만명 당 4.0-8.8명이 인플루엔자 연관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19, COVID-19)에 의해서는 2021년 11월 중순 기준 전 세계적으로 2억5천6백만명 이상의 환자와 513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바이러스 중에서 코로나바이러스는 단일가닥 RNA를 게놈으로 가지는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들을 지칭하며, 조류뿐만 아니라 사람을 포함한 다양한 포유류에서도 발견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그 종이 다양하고, 바이러스의 특성과 숙주에 따라서 호흡기와 소화기 감염병을 모두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술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뿐만 아니라,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SARS),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의 병원체로서 전파율 및 치사율이 높은 신·변종 바이러스가 계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설견초(Salvia plebeia R.Br.)는 꿀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곰보배추, 청화초, 마마초, 야저채, 과동청, 수양이, 천명정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한방에서는 지해, 거담, 소염 및 진통 등에 효능이 있고, 특히 해수, 천식, 기침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설견초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설견초 추출물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노지윤,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설견초(Salvia plebeia R.B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설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설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설견초(Salvia plebeia R.B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설견초(Salvia plebeia R.Br.)"는 꿀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곰보배추, 청화초, 마마초, 야저채, 과동청, 수양이, 천명정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한방에서는 지해, 거담, 소염 및 진통 등에 효능이 있고, 특히 해수, 천식, 기침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설견초는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설견초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대상 식물의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으로부터 추출 가능하며, 대상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다양한 유기용매 등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C1 내지 C4의 알코올로서, 메탄올 또는 에탄올 등)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상 식물의 뿌리, 줄기, 잎, 열매, 꽃, 이들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 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설견초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견초 추출물이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것을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하여,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예를 들면, 2019년에 발견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인 SARS-CoV-2, 2003년에 발견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유발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2012년 유행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유발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지역사회 감염 호흡기 사람코로나바이러스(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HCoV, CAR HCoV)로도 명명되는 HCoV-229E, HCoV-OC43, HCoV-NL63 및 HKU1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증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증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체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구체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질병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구체적으로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다양한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의 방식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하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에 적용되는 의약품뿐만 아니라, 동물 의약품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동물이란 가축 및 반려동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바이러스 감염증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제외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바이러스 감염증의 의심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바이러스 감염증의 의심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체에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설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증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유용하다. 하나의 예로,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푸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염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는 성분으로는, 필수 성분으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생약 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구체적으로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보조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 보조 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 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 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설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 외에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사료 첨가제로서 제조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등의 유기산이나 인산 나트륨, 인산 칼륨, 산성 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료로서 제조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사료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통상의 사료 성분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및 사료 첨가제는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사료;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동물에게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탑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의 경구제형으로 용이하게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를 동물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시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콩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정제, 캡슐제, 산제, 트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사료 첨가제는 젤라틴 연질 캡슐제, 또는 시럽제나 현탁액,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 및 사료 첨가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침주,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의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또는 사료 첨가제는 포유류, 가금 및 어류를 포함하는 다수의 동물 식이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포유류로서 돼지, 소, 말, 양, 토끼, 염소, 설치동물 및 실험용 설치동물인 쥐, 햄스터, 기니피그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예: 개, 고양이) 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금류로서 닭, 칠면조, 오리, 거위, 꿩, 및 메추라기 등에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어류로서 잉어, 붕어 및 송어 등에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견초 추출물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 항바이러스 용도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설견초 추출물의 MRC-5 세포에 대한 HCoV-OC43 및 HCoV-229E 감염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설견초 추출물의 Vero 세포에 대한 SARS-CoV-2 감염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설견초 추출물의 제조
설견초(Salvia plebeia R.Br.)를 무게의 약 10배의 70% 에탄올에 3시간 환류 추출한 후 거름망으로 여과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설견초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50% DMSO에 50 mg/ml 농도로 녹인 후 0.22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한 후 -20℃ 냉동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설견초 추출물에 의한 HCoV의 세포 감염 억제 활성 평가 (Co-treatment)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설견초 추출물이 인간에 감염되는 코로나바이러스인 지역사회 감염 호흡기 사람코로나바이러스(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HCoV, CAR HCoV)에 속하는 HCoV-OC43 및 HCoV-229E의 감염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기반의 in vitro 항바이러스 효능을 동시 처리(Co-treatment)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효능은 HCoV의 세포 감염모델에서 용량반응곡선(dose response curve; DRC) 실험으로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4-조직배양 플레이트에 웰당 2 Х 105개의 MRC-5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바이러스(HCoV-OC43, 0.01 MOI; HCoV-229E, 0.5 MOI)와 설견초 추출물(0.1, 10 μg/mL)을 4℃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포 배양액에 상기 바이러스와 추출물 반응액을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감염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환 후 37℃에서 72시간 동안 배양 후 MTT assay를 통해 세포 감염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설견초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MRC-5 세포에 대한 HCoV-OC43 및 HCoV-229E 감염을 억제하였다(도 1).
실시예 3: 설견초 추출물에 의한 SARS-CoV-2의 세포 감염 억제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설견초 추출물이 SARS-CoV-2(우한 코로나바이러스-19, 질병관리본부에서 제공)의 감염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기반의 in vitro 항바이러스 효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효능은 SARS-CoV-2의 세포 감염모델에서 DRC 실험으로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384-조직배양 플레이트에 웰당 1.2 Х 104개의 Vero 세포(ATCC-CCL81)를 접종하고 24시간 후, 설견초 추출물을 2배 연속 희석한 시료를 세포에 약 1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SARS-CoV-2 (0.0125 MOI)를 감염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4% PFA(paraformaldehyde)로 세포를 고정한 뒤 천공(permeabilization)하고, 항-SARS-CoV-2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 N) 1 차 항체 및 Alexa Fluor 488-conjugated goat anti-rabbit IgG 2 차 항체, Hoechst 33342를 처리하여 세포를 염색하였다.
감염된 세포의 형광 이미지는 Operetta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획득하였으며, Columbu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웰당 총 세포수는 Hoechst 로 염색된 핵 수로 산출하였고, 감염된 세포수는 바이러스 N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수로 산출하였다. 감염도(infection ratio)는 N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수/총 세포수로 계산하였다.
각 웰당 감염도는 동일한 플레이트에서 감염되지 않은 세포(mock)를 포함한 웰들의 평균 감염도와 0.5% DMSO(Dimethyl Sulfoxide) (v/v)가 처리된 감염세포를 포함한 웰들의 평균 감염도로 정규화하였다.
또한, 추출물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각 웰의 세포수를 mock 그룹 웰들의 평균 세포수로 정규화하여 그래프에 'cell viability'으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 설견초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으면서 Vero 세포에 대한 SARS-CoV-2 감염을 억제하였다(도 2).
상기 실시예의 결과들은 세포에 대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내는 바, 설견초 추출물을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설견초(Salvia plebeia R.B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코로나바이러스인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SARS-CoV-2, SARS-CoV, MERS-CoV, HCoV-229E, HCoV-OC43, HCoV-NL63 및 HKU1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5.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6. 설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설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20210162539A 2021-11-23 2021-11-23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30076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39A KR20230076952A (ko) 2021-11-23 2021-11-23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539A KR20230076952A (ko) 2021-11-23 2021-11-23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952A true KR20230076952A (ko) 2023-06-01

Family

ID=8677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539A KR20230076952A (ko) 2021-11-23 2021-11-23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952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노지윤,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CN107105742B (zh) 含有白扁豆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改善非酒精性脂肪肝疾病的组合物
JPWO2006137122A1 (ja) 抗エイズ剤
KR101260250B1 (ko) 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호흡기 바이러스용 조성물
JP4496127B2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2162143B1 (ko) 페디오코쿠스 이노피나투스 wikim27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6166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JP5002127B2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血糖降下組成物
KR101749967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109026A (ko) 팥꽃나무 및 감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조성물
KR20230076952A (ko) 설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765988B1 (ko) 고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항결핵 조성물
KR20230076953A (ko) 월견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76954A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JP2003252775A (ja) Nk細胞活性化剤
KR102135295B1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지구력 증강용 조성물
KR101728094B1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환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24016B1 (ko) 포공영, 어성초, 금은화, 몰약, 위령선, 택사, 목통, 차전자, 유근피, 죽엽, 결명자, 당귀,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34348B1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949557B1 (ko) 땅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조성물
KR102582255B1 (ko) 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20857A1 (ko) 골 손실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호장근 및 계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