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498B1 -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 Google Patents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498B1
KR101463498B1 KR1020137003632A KR20137003632A KR101463498B1 KR 101463498 B1 KR101463498 B1 KR 101463498B1 KR 1020137003632 A KR1020137003632 A KR 1020137003632A KR 20137003632 A KR20137003632 A KR 20137003632A KR 101463498 B1 KR101463498 B1 KR 101463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period
unit
inpu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986A (ko
Inventor
마사유키 데라다
도모히로 나가타
사다노리 아오야기
이치로 오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054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66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in combination with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s or voice portals, e.g. as front-e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한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관측 영역에 체재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12), 및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UNIQUE-TERMINAL-COUNT ESTIMATION DEVICE AND UNIQUE-TERMINAL-COUNT ESTIMATION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네트워크 설비로부터 얻어지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관측 기간 내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 등을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입입(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1
) 단말기수」란,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관측 영역에 체재(滯在)한 고유의(unique) 단말기수를 의미하고, 「입입수」란,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관측 영역에 체재한 고유의 인원수를 의미한다. 여기서의 「고유의」란, 동일 단말기나 동일 사람의 중복 카운트를 제외한 후의 수를 의미한다. 또한, 「연장 입입 단말기수」란, 관측 기간 내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에 관한 시간축에 따른 누적값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시간 t에 따른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함수 f(t)로 나타낸 경우에, 입입 단말기수 f(t)에 대한 관측 개시 시각 t0로부터 관측 종료 시각 t1까지의 적분값으로서 얻을 수 있고, 단위는 (단말기수×시간)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진입 단말기수」란, 어떤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진입한 단말기수를 의미하고, 「진입 인구」란, 어떤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진입한 인원수를 의미한다. 「퇴출 단말기수」란, 어떤 기간 중에 관측 영역으로부터 퇴출한 단말기수를 의미하고, 「퇴출 인구」란, 어떤 기간 중에 관측 영역으로부터 퇴출한 인원수를 의미한다. 「유출입 단말기수」란, 어떤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있어서 증가 내지 감소한 단말기수를 의미하고, 플러스의 값의 경우 증가분을, 마이너스의 값의 경우 감소분을 나타낸다. 「유출입 인구」란, 어떤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있어서 증가 내지 감소한 인원수를 의미하고, 플러스의 값의 경우 증가분을, 마이너스의 값의 경우 감소분을 나타낸다.
종래, 어느 이벤트 회장을 찾아온 고유한 방문객 수는, 예를 들면, 상기 이벤트 회장으로의 입장 경로의 통과 인원수를 사람의 손으로 계측하는 방법이나, 입장 경로 상의 소정 포인트(예를 들면, 출입구 부근)를 정점(定點) 관측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과 인원수를 구하는 방법(특허 문헌 1 참조) 등에 의해 추계되어 왔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10―33195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서는, 이벤트 회장으로의 입장 경로가 다방면에 걸친 경우에 입입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나, 재입장자를 이중으로 카운트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임의의 영역에 있는 사람이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의 수와 상기 시점의 상기 영역의 인구와는 일정한 상관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입입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하는 데 있어서, 일단 입입 단말기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입입 단말기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하고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관측 영역에 체재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위치 등록 신호에 의해 구해진 재권 섹터를 나타낸 섹터 번호, GPS 측위 시스템이나 PRACH PD에 의한 위치 정보 취득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위치 측위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추출부는,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출부는, 동일 단말기에 관한 위치 데이터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확장 기간 내에 있어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낸 영역 내 위치 데이터, 및 취득시각 순으로 시계열로 배열된 경우에 상기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밖을 나타내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고 있었던 추정 체재 기간을 단말기마다 산출하고, 산출된 추정 체재 기간과 관측 기간이 중첩되어 있는 단말기를 추출해도 된다. 이 경우, 추출부는, 시계열 상에서 최선(最先)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 상기 최선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의 안분점에 상당하는 시각을 개시 시각으로 하고, 시계열 상에서 최후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 상기 최후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의 안분점에 상당하는 시각을 종료 시각으로 하는 기간을, 추정 체재 기간으로 산출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추출부는, 동일 단말기에 관한 위치 데이터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어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낸 위치 데이터 중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함으로써, 이중 카운트를 회피하면서 입입 단말기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하고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계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취득시각이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에 관한 시간축에 따른 누적값으로서의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와, 추계에 의해 얻어진,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이 연장 입입 단말기수 및 입입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제1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는, 어느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와,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중 2개 이상에 기초하여,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는 특징량 계산부와, 관측 기간에 관한 관측 개시 시각 이후여 또한 관측 종료 시각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에 관한 관측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부와, 위치 데이터 중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집계하고, 얻어진 특징량의 집계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이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특징량 집계부를 포함하여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특징량」이란,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추정 생성 밀도에 대응하는 정보이며, 여기서의 「추정 생성 밀도」란, 상기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단말기가, 상기 위치 데이터의 생성 시각(상기 위치 취득시각에 상당) 주변에서 단위 시간당에 생성하는 위치 데이터의 수의 추정값을 의미한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개시 시각이 같은 제1 관측 기간과 제2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1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2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하는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와, 종료 시각이 같은 제3 관측 기간과 제4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3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4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하는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해도 된다.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를 구비하는 경우, 개시 시각이 같은 제1 관측 기간과 제2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1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2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를 구비하는 경우, 종료 시각이 같은 제3 관측 기간과 제4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3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4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와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의 양쪽을 구비하는 경우, 동일 기간에서의 진입 단말기수로부터 퇴출 단말기수를 감산하여 얻어지는 차분을 유출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하는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부를 더 포함해도 되고, 이 경우, 유출입 단말기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수로 변환하기 위한 확대 계수를 도출하는 확대 계수 도출부와 확대 계수 및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를 추계하는 입입수 추계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대 계수는, 입입수를 추계하는 단위인 인구 추계 단위마다 도출해도 된다. 상기 「인구 추계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속성, 장소, 시간대 등이 들 수 있어 주소의 시구읍면마다, 5세 간격 연령층마다, 남녀마다, 시간대로서 1시간마다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확대 계수는, 일례로서, 「재권 비율과 단말기의 보급율과의 곱(즉, 인구에 대한 재권 수의 비율」의 역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재권 비율」이란, 계약 테이블 수에 대한 재권 수의 비율을 의미하고, 「보급율」이란 인구에 대한 계약 테이블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확대 계수는, 상기 인구 추계 단위마다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또한, 확대 계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추계된 단말기수(재권수)를 사용하여 도출해도 된다. 즉, 위치 데이터로부터 특징량을 구하고,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단말기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는 동시에, 통계 데이터(예를 들면, 주민기본대장 등)로서 미리 구해진 같은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에서의 인구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에 있어서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 수/인구)을 산출한다. 여기서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 수/인구」가, 전술한 「재권 비율과 단말기의 보급율과의 곱」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 계수를 산출하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로 하여는, 일례로서, 주소의 시구읍면마다, 5세 또는 10세 간격 연령층마다, 남녀마다, 시간대로서 1시간마다 등을 채용해도 되고, 이들의 2개 이상을 조합한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확대 계수 산출 단위를 「도쿄도 거주의 20대의 남성」이라고 한 경우, 일본 전국에서의, 도쿄도 거주의(즉,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도입) 20대 남성에게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기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는 동시에, 통계 데이터로부터 도쿄도 거주의 20대 남성에 관한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을 때, 「도쿄도 거주」라는 조건에 대해서는, 도쿄도에 재권하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도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로부터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여기서는 도쿄도 거주의 20대 남성)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 수/인구)을 산출하고,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에서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와 인구 추계 단위가 같은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인구의 추이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인구에 관한 시간축에 따른 누적값으로서 연장 인구를 취득하고, 상기 연장 인구 및 상기 입입수 추계부에 의해 추계된 입입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제2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를 더 포함해도 되고, 이 경우,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개시 시각이 같은 제5 관측 기간과 제6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의 차분을, 제5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6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인구로서 산출하는 진입 인구 산출부와, 종료 시각이 같은 제7 관측 기간과 제8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의 차분을, 제7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8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로서 산출하는 퇴출 인구 산출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해도 된다. 진입 인구 산출부를 구비하는 경우, 개시 시각이 같은 제5 관측 기간과 제6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의 차분을, 제5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6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인구로서 산출할 수 있다. 퇴출 인구 산출부를 구비하는 경우, 종료 시각이 같은 제7 관측 기간과 제8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의 차분을, 제7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8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로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진입 인구 산출부는, 다음과 같이, 진입 단말기수를 산출하고 나서 진입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퇴출 인구 산출부는, 다음과 같이, 퇴출 단말기수를 산출하고 나서 진입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즉,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개시 시각이 같은 제9 관측 기간과 제10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9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10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하고, 확대 계수 및 산출된 진입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제9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10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인구를 산출하는 진입 인구 산출부와, 종료 시각이 같은 제11의 관측 기간과 제12의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11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12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하고, 확대 계수 및 산출된 퇴출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제11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12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를 산출하는 퇴출 인구 산출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진입 인구 산출부와 퇴출 인구 산출부의 양쪽을 구비하는 경우, 진입 인구로부터 퇴출 인구를 감산하여 얻어지는 차분을 유출입 인구로서 산출하는 유출입 인구 산출부를 더 포함해도 되고, 이 경우, 유출입 인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 또는 입입수 추계부에 의한 추계로 얻어진 관측 영역마다의 추계 값을, 관측 영역과는 상이한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에, 출력 단위와 관측 영역의 중첩 영역이 관측 영역에 차지하는 면적비에 기초하여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변환부는, 옥내국(屋內局)의 통신 영역 및 전파 도달 범위가 상이한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복수의 옥외국(屋外局)의 통신 영역 중2개 이상이 지리적으로 같은 관측 영역에 중복되어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복되어 존재하는 통신 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면적비에 기초한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로의 변환, 및 상기 통신 영역 각각에 대한 변환 후의 추계 값의 합산을 행함으로써,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을 얻어도 된다.
입입수 추계부는,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수로 변환하기 위한 확대 계수, 및 관측 영역과는 상이한 출력 단위와 관측 영역의 중첩 영역이 관측 영역에 차지하는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력 단위마다 또한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얻어진 추계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출력부에 의한 출력 형태는, 입입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 각각에 대한 분포를 나타낸 도면 및 시계열적인 변동을 나타낸 도면, 및 입입수의 누적값의 시계열적인 변동을 나타낸 도면 중, 적어도 1개를 채용 가능하게 되고, 출력부에 의한 출력 단위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시간대, 장소 중 적어도 1개에 따라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하여, 일방향성 함수에 의한 불가 역부호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는 비식별화부를 더 포함하고, 비식별화부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사용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처리의 전에, 상기 속성 정보에 대하여 상기 비식별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얻어진 추계 값이 출력되기 전에, 미리 정해진 기준에 기초를 두어 상기 추계 값에 대하여 은닉 처리를 행하는 은닉 처리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그 경우, 은닉 처리부는,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의 기초가 된 영역마다의 위치 데이터가 몇대의 단말기로부터 취득된 것인지를 나타낸 취득 기초(元) 단말기수가, 은닉 처리가 필요라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미만이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어느 영역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영역에 관한 추계 값을 은닉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취득 기초 단말기수는, 동일 단말기에 대한 중복을 제외한 유니크(Unique)한 단말기수를 나타낸다.
여기서의 은닉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추계 값을 제로(zero)로 하는 방법, 추계 값을 소정의 문자나 기호(예를 들면, 「X」 등)로 표시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어느 영역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 은닉 처리부는, 추계 값에 대하여 은닉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되고, 다음과 같은 라운딩을 행해도 된다. 즉, 은닉 처리부는, 추계 값 출력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계급 중 상기 영역의 추계 값이 속하는 계급에서의 상한값, 하한값, 계급폭, 및 상기 추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의 추계 값을, 상한값과의 차분 및 하한값과의 차분에 따른 확률 값을 각각 따른 상한값 및 하한값으로 라운딩해도 된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조를 포함하는 관측 기간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기간 취득부와,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영역 취득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전술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관한 발명은,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파악될 수 있어,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은,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으로서,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하고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관측 영역에 체재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은,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으로서,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하고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계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각각의 실시례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추정 체재 기간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위치 데이터의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연장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특징량의 계산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에 관한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례의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진입 단말기수,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4, 제5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4 실시례의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제4, 제5 실시례에서의 출력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제5 실시례의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9는 제6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메쉬(mesh)와 영역 도면의 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각 분할 영역의 면적 및 면적비의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임의의 메쉬 내의 분할 영역의 인구의 총계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7 실시례에서의 추계 값의 변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대상으로 하는 출력 단위의 추계 인구로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행렬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제8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비식별화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제9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은닉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9는 출력 형태의 예로서, 입입수 분포, 입입수 변동, 누적 입입수 변동 및 진입 인구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진입 단말기수 또는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례를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례]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례의 통신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통신 시스템(1)은, 휴대 단말기(100), 기지국(BTS)(200), 무선 제어 장치(RNC)(300), 교환기(400), 각종 처리 노드(700), 및 관리 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관리 센터(500)는,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마이닝 유닛(502),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환기(400)는, BTS(200), RNC(300)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후술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RNC(300)는, 휴대 단말기(100)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이 행해지는 경우, RRC 커넥션 요구 신호에서의 지연 값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교환기(400)는, 이와 같이 측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가 통신 접속을 실행할 때 수취할 수 있다. 교환기(400)는 수취한 위치 정보를 기억해 두고, 소정의 타이밍 또는 관리 센터(5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센터(500)에 출력한다.
각종 처리 노드(700)는, RNC(300) 및 교환기(400)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치의 재계산 등을 행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또는 관리 센터(5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센터(500)로 출력한다.
본 실시례에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로서는, 위치 등록 신호에 의해 구해진 재권(在圈) 섹터를 나타낸 섹터 번호, GPS 측위 시스템이나 PRACH PD에 의한 위치 정보 취득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위치 측위 데이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데이터는, 상기와 같은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회선 번호 등의 휴대 단말기와 대응되는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식별 정보로서 회선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선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지는 않고, 회선 번호와 대응되는 값(예를 들면, 회선 번호의 해시값(hash value) 등)을 사용하는 것(즉, 회선 번호를 비식별화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회선 번호와 대응되는 값(예를 들면, 회선 번호의 해시값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속성마다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특정 가능한 정보에 대하여도, 상기 사용자 특정 가능한 정보와 대응되는 값을 사용할(즉, 상기 사용자 특정 가능한 정보를 비식별화함)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비식별화에 대해서는, 제8 실시례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리 센터(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마이닝 유닛(502),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유닛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한 통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도 2)는, 예를 들면, 관리 센터(500)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사회 센서 유닛(501)은, 각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또는 오프 라인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데이터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 장치이다. 이 사회 센서 유닛(501)은,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정기적으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사회 센서 유닛(501)에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타마이닝 유닛(502)은, 사회 센서 유닛(50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페타마이닝 유닛(502)은, 사용자 ID를 키로 소팅 처리를 행하거나, 영역마다 소팅 처리를 행하거나 한다.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은, 페타마이닝 유닛(502)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집계 처리, 즉 각각의 항목의 카운팅 처리를 행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은, 어느 영역에 재권하는 사용자 수를 카운트하거나, 또한 재권 분포를 집계할 수 있다.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에 있어서 집계 처리된 데이터를 가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집계된 데이터를 지도상에 매핑 처리할 수 있다. 이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기업, 관공청 또는 개인 등에 제공되고, 점포 개발, 도로 교통 조사, 재해 대책, 환경 대책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통계 처리된 정보는, 당연하게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도록, 개인 등은 특정되지 않도록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마이닝 유닛(502),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도시는 생략하지만, 통상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구성(즉, CPU, RAM, ROM,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을 구비하는 것은 물론이다.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
이하, 본 실시례에 관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위치 데이터 축적부(11), 추출부(12), 관측 기간 취득부(13), 관측 영역 취득부(14),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 확대 계수 도출부(16), 속성 데이터 축적부(17), 입입수 추계부(18), 및 출력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2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각 부의 기능을 설명한다.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는, 외부(예를 들면, 교환기(400)나 각종 처리 노드(700) 등)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축적한다. 그리고,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를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 내에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외부의 장치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를, 예를 들면, 기억 매체를 통하여,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 입력해도 된다.
추출부(12)는, 위치 데이터 축적부(11)에 축적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계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를 단말기마다 1개씩 추출한다. 또는, 추출부(12)는,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계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추출한다. 그 구체적인 추출 방법은 후술한다. 후술하는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부(12)는,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관측 영역에 체재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후술하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관측 기간 취득부(13)는,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조(組)를 포함하는 관측 기간 정보를 취득한다.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의 관측 영역 정보는, 예를 들면, 섹터 번호, 위도 경도, 지리적인 범위(예를 들면, 시구읍면) 등으로 부여되고,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취득되는 관측 영역 정보의 표현 형식과 위치 정보의 표현 형식을 대응시키는 정보(예를 들면, 섹터 번호와 위도 경도와의 대응 관계 정보 등)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는, 추출부(12)에 의해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를 카운트하고, 얻어진 카운트 수를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로서 추계한다.
속성 데이터 축적부(17)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정기적 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축적한다. 확대 계수 도출부(16)는, 속성 데이터 축적부(17)로부터 취득 가능한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 및 시각(예를 들면, 후술하는 중복 기간의 선두 시각이나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등)에 따라,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수로 변환하기 위한 확대 계수를 도출한다. 그리고, 확대 계수는,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과 시각의 양쪽에 따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과 시각 중 한쪽에 따라 도출해도 된다.
입입수 추계부(18)는, 확대 계수 도출부(16)에 의해 도출된, 단말기마다의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한 확대 계수를 집계하고, 얻어진 확대 계수의 총계를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로서 추계한다. 출력부(19)는, 추계에 의해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 또는 입입수를 출력한다. 여기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그리고,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서는, 추출부(12)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가 필수 요건이며, 그 외의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 내에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
이하, 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관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에는, 일례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재권하는 섹터의 섹터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관측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 t0와 관측 종료 시각 t1의 조가 관측 기간 취득부(13)에 의해 미리 취득되고,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 S가 관측 영역 취득부(14)에 의해 미리 취득된 것으로 한다. 또한,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는 위치 데이터를 미리 외부로부터 취득하여 축적하고 있고, 속성 데이터 축적부(17)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미리 외부로부터 취득하여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추출부(12)가, 위치 데이터 축적부(11)에 축적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계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를 단말기마다 1개씩 추출하거나, 또는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계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추출한다. 여기서의 추출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부(12)는,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관측 영역에 체재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후술하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실현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관측 영역의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한 방법을 설명한다.
추출부(12)는, 동일 단말기에 관한 위치 데이터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후술하는 확장 기간 내에 있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낸 영역 내 위치 데이터, 및 취득시각 순으로 시계열로 배열된 경우에 상기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밖을 나타내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고 있었던 추정 체재 기간을 단말기마다 산출한다(도 3의 단계 S1). 그리고, 상기 「확장 기간」은, 여기서는 일례로서, 관측 기간을 전후에 소정 시간폭(예를 들면 1시간) 만큼 확장한 기간, 즉 관측 개시 시각 t0로부터 소정 시간만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개시점으로 하고, 관측 종료 시각 t1로부터 소정 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종료점으로 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 기간 내에 취득된 동일 단말기에 관한 일련의 위치 데이터를 취득시각 순으로 시계열로 배열하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낸 영역 내 위치 데이터를 검은 원으로,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밖을 나타내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를 흰 원으로 각각 나타낸 경우, 시계열 상에서 최선(最先)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ta와 상기 최선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tx와의 안분점(일례로 중점)에 상당하는 시각 tin를 추정 체재 기간의 개시 시각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시계열 상에서 최후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tc와 상기 최후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ty와의 안분점(일례로 중점)에 상당하는 시각 tout을 추정 체재 기간의 종료 시각으로 한다. 이로써, 도 4에 직사각형으로 나타낸 기간, 즉 시각 tin으로부터 시각 tout까지의 기간이, 상기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으로서 산출된다.
그리고, 추출부(12)는, 산출된 추정 체재 기간과 관측 기간이 중복되는 단말기를 추출한다(도 3의 단계 S2). 도 5에는, 확장 기간 내에 취득된 단말기 A~E에 관한 일련의 위치 데이터를 단말기마다, 취득시각 순으로 시계열로 가로축 방향으로 배열된 도면을 나타내고, 도 5에서는,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낸 영역 내 위치 데이터를 검은 원으로,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밖을 나타내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를 흰 원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만일,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시각 t0~시각 t1) 내에 있는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만 주목하면, 대응하는 단말기로서는 단말기 C~E의 3개가 추출된다.
그런데, 도 5에서 직사각형에 의해 나타낸 추정 체재 기간과 관측 기간(시각 t0~시각 t1)이 중복되는 단말기로서는, 단말기 A~E의 5개를 들 수 있으므로, 단계 S2에서는 단말기 A~E의 5개가 추출된다. 이로써, 검은 원으로 나타내는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만 주목한 경우에 제외되는 단말기 A, B에 대해서도, 관측 기간 중의 어디에선가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고 있었다고 추정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단계 S1, S2에서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한 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방법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다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가, 단계 S1, S2에 의해 추출된 단말기의 수를 카운트하고, 얻어진 카운트 수를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로서 추계한다(도 3의 단계 S3).
다음에, 확대 계수 도출부(16)가, 추출된 단말기 각각에 대하여,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수로 변환하기 위한 확대 계수를 도출한다(도 3의 단계 S4). 여기서의 확대 계수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 범위의 지역에서의 인구」에서 차지하는 「위치 데이터를 얻어진 특정한 통신 사업자의 계약 단말기수」의 비율인 「단말기 계약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예를 들면, 성별, 연령층 등)이나 시각에 따라 확대 계수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입수 추계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확대 계수 도출부(16)는,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마다의 단말기 계약율을 미리 취득해 두고,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속성 데이터 축적부(17)로부터 취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계약율을 확대 계수로서 도출해도 된다. 또한, 단말기 계약율 등의 확대 계수가 시각에 따라 변동하는 경우, 확대 계수 도출부(16)는, 추정 체재 기간과 관측 기간이 중복되는 기간의 선두 시각을 추출하고, 얻어진 선두 시각에 대응하는 확대 계수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입입수 추계부(18)가, 확대 계수 도출부(16)에 의해 도출된, 단말기마다의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한 확대 계수를 집계하고, 얻어진 확대 계수의 총계를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로서 추계한다(도 3의 단계 S5).
그리고, 출력부(19)는, 추계에 의해 얻어진 입입수를 출력한다(도 3의 단계 S6). 이 때, 단계 S3에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도 병행하여 출력해도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제1 실시례에 의하면, 관측 영역의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과 관측 기간이 중복되는 단말기를 추출함으로써, 관측 기간 중의 어디에선가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고 있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출할 수 있어, 그 단말기수로부터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 및 추출된 시각에 따라 취득된 확대 계수를 집계함으로써,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도 3의 단계 S1, S2에서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한 방법은 일례이며, 다른 방법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다른 예로서, 추출부(12)는, 동일 단말기에 관한 위치 데이터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영역 내 위치 데이터 중, 1개의 위치 데이터, 일례로서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추출의 정밀도가 전술한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한 방법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단말기마다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산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낮은 처리 부하로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단계 S3에서는,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면 된다. 또한, 도 3의 단계 S4에서는,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및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정보에 따라, 확대 계수를 도출하면 된다. 그리고,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다른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취득시각이 가장 늦은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의 정확히 한가운데의 시점에 가장 가까운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례에서는, 도 2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가, 확대 계수 도출부(16), 속성 데이터 축적부(17) 및 입입수 추계부(18)를 구비한 예를 나타냈으나, 확대 계수 도출부(16), 속성 데이터 축적부(17) 및 입입수 추계부(18)는 필수 요건은 아니며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도 3의 처리에서는, 단계 S4 및 S5가 생략되어 단계 S6에서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에 의해 추계된 입입 단말기수가 출력부(19)에 의해 출력된다.
[제2 실시례]
제2 실시례에서는, 관측 기간(관측 개시 시각 t0로부터 관측 종료 시각 t1까지의 기간) 중에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고 있었던 단말기 사용자에 관한 평균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6에는, 제2 실시례에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고, 제1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도 2)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같은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례에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제1 실시례에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도 2)로부터, 확대 계수 도출부(16), 속성 데이터 축적부(17) 및 입입수 추계부(18)가 제거되고, 그 대신에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20)와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추가된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20) 및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20)는, 취득시각이 전술한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이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한다.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는,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20)에 의한 추계로 얻어진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에 의한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로 나누어 얻어진 값을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여기서의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1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에 상당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20)는, 관측 대상 취득부(20A),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 특징량 계산부(20C), 및 특징량 집계부(20D)를 구비한다.
이 중 관측 대상 취득부(20A)는, 관측해야 할 관측 기간에 관한 관측 개시 시각 정보 및 관측 종료 시각 정보를 관측 기간 취득부(13)로부터,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에 관한 관측 영역 정보를 관측 영역 취득부(14)로부터 각각 취득하고, 관측 개시 시각 이후여 또한 관측 종료 시각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는, 별도 주어진 조건(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연령층 등)에 의해 더 좁혀도 된다.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는, 연장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의 과정에서 계산되는 후술하는 특징량의 산출 대상의 위치 데이터(이하 「제1 위치 데이터」라고 함)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이하 「제2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이하 「제3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는, 제2 또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적어도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또한,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에 의한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의 취득에 대해서는, 제1 실시례에서 설명한 확장 기간(즉, 관측 기간을 전후에 소정 시간 폭(예를 들면 1시간)만큼 확장한 기간)의 개념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는, 위치 취득시각이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로부터 미리 취득해 두고, 그 중에서 상기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1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차이를,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서 계산한다. 또한,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異常)값인 경우, 여기서는 일례로서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 경우에,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 사용하여,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마찬가지로,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값인 경우, 여기서는 일례로서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 경우에,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 사용하여,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이와 같은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값인 경우의 처리는, 필수적인 처리는 아니지만, 상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가 권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나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간 간격이 이상하게 길게 되었을 때, 상기 이상하게 길게 된 취득시간 간격에 의한 영향이 과대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징량 집계부(20D)는,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집계하고, 얻어진 특징량의 총계를 2로 나눈 값을 연장 입입 단말기수로서 추계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특징량의 총계를 2로 나눈 값을 연장 입입 단말기수로서 추계할 수 있는 것은, 전후의 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의 절반을 추정 체재 시간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
이하, 도 7에 따라, 제2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도 3)와 단계 S1~S3가 공통되므로, 이들의 단계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단계 S4A~S6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단계 S4A에서는,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20)가, 도 8의 연장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를 실행한다. 그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는, 도 8, 도 9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변형예로서, 단계 S4A의 처리는, 단계 S3의 처리 전에 실행해도 되고, 단계 S3의 처리와 동시 병행하여 실행해도 된다.
다음에, 단계 S5A에서는,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가,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20)에 의한 추계로 얻어진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에 의한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로 나누어 얻어진 값을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단계 S6A에서는, 출력부(19)가, 산출된 평균 체재 시간을 출력한다. 이 때, 단계 S3에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 단계 S4A에서 얻어진 연장 입입 단말기수도 병행하여 출력해도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제2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처리에 의해, 이후 예시하는 방법으로 구해지는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제1 실시례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해지는 입입 단말기수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값을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으로서 구할 수 있다.
[연장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의 일례]
이하, 도 7의 단계 S4A(연장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연장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도 6의 관측 대상 취득부(20A)가, 관측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 t0와 관측 종료 시각 t1의 조를 관측 기간 취득부(13)로부터,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 S를 관측 영역 취득부(14)로부터 각각 취득한 후,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로부터, 관측 개시 시각 t0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t1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 정보인 섹터 번호 S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예를 들면, 위치 정보가 섹터 번호 S임)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도 8의 단계 S21). 즉, 관측 대상 취득부(20A)는, 이하의 조건에 합치하는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조건 1: 위치 취득시각이, 관측 개시 시각 t0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t1 이전이다. 즉, 관측 기간 내에 포함된다.
조건 2: 위치 정보가 섹터 S이다.
다음에, 취득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단계 S22, S23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22에서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 중,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으로 하는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위치 취득시각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이 때,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는, 위치 취득시각이 확장 기간(즉, 관측 기간을 전후하여 소정 시간 폭(예를 들면 1시간)만큼 확장한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로부터 미리 취득해 두고, 그 중에서 상기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20B)는,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제2, 제3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그리고, 단계 S23에서는, 특징량 계산부(20C)가,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그 처리 내용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각각 tm1, tm2, tm3로 한다. 또한,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2가 이상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에 관한 기준값)을 기준값 A(예를 들면 1시간)으로 하고,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3가 이상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에 관한 기준값)을 기준값 B(예를 들면 1시간)으로 한다.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즉, 시각 tm1와 tm2의 차 Da, 및 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즉, 시각 tm1와 tm3의 차 Db를 산출한다(도 9의 단계 S31).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 Da가 소정의 기준값 A(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32), 만약 차 Da가 기준값 A 보다 크면,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1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2로 한다(단계 S33). 다음에,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 Db가 소정의 기준값 B(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34), 만약 차 Db가 기준값 B 보다 크면,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1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3로 한다(단계 S35).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20C)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2와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m3와의 차이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로서 계산한다(단계 S36).
이로써, 임의의 1개의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도 8의 단계 S22, S23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후, 전술한 단계 S22, S23의 처리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실행되고, 모든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실행이 완료되면(단계 S24에서 긍정 판단),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S25에서는, 특징량 집계부(20D)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를 집계하고, 얻어진 특징량의 총계를 2로 나눈 값을, 연장 입입 단말기수로서 추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특징량의 총계를 2로 나눈 값을 연장 입입 단말기수로서 추계할 수 있는 것은, 전후의 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의 절반을 추정 체재 시간으로 고려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추계 처리에 의하면,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할 때, 전후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정보를 사용한 보정을 행함으로써, 수신 간격의 변동이 부여하는 영향을 교정하면서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또한, 특징량의 계산 처리 중, 전술한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값인 경우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가 권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나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간 간격이 이상하게 길게 되었을 때, 상기 이상하게 길게 된 취득시간 간격에 의한 영향이 과대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의 사고 방식에 대하여]
이하,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의 사고 방식에 대하여 보충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모델과 같이, 어느 관측 기간(길이 T)의 사이에, n 개의 단말기 a1, a2, ..., an이 섹터 S를 통과하고, 각각의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을 Li(0<Li≤T)이라 한다. 이 때, 섹터 S에 체재한 입입 단말기수 m(실제로는 섹터 S에 체재한 입입 단말기수 m의 관측 기간 내에서의 평균값)은, 이하의 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2
즉, 각각의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Li의 총계를 관측 기간의 길이 T로 나눈 결과를, 입입 단말기수 m으로 추계한다. 단,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Li의 실제 값은 관측 불가능이지만, 각각의 단말기 ai는 신호(예를 들면, 위치 등록 신호)를 발신하고, 이들 신호는 관측 가능하다.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로 발신한 신호를, 시각 순으로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3
(xi는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로 발신한 신호의 총수)로 하면,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란, 관측된 신호 qij(j는 1 이상 xi 이하의 정수(整數))로부터 m의 값을 추계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이하, 도 11에 기초하여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의 계산 방법을 설명한다. 단말기 ai로부터 신호 qij가 송신되는 밀도(즉, 단위 시간당의 신호수)를 pi라 한다. 이 때, 신호가 송신되는 확률이 섹터에 대하여 독립이면,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로 발신한 신호의 총수 xi의 기대값 E(xi)는, E(xi)=Li×pi이므로,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Li의 기대값 E(Li)에 대하여 이하의 식 2가 성립한다.
E(Li)=xi/pi : 식 2
여기서, 신호 qij의 송신 시각을 uij로했을 때, 신호 qij의 밀도 pij는 이하의 식 3으로 부여된다.
pij=2/(ui (j+1)-ui (j-1)) : 식 3
여기서, 신호 qij를 제1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로 하면 신호, qi (j―1)는 제2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신호 qi (j+1)는 제3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에 상당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2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qi (j―1)의 송신 시각 ui (j―1)와 제3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qi (j+1)의 송신 시각 ui (j+1)의 차, 즉 상기 식 3의 (ui (j+1)-ui(j-1))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로 한다(특징량 wij=(ui (j+1)-ui (j-1))). 그러므로, 상기 식 3은, 이하와 같이 된다. 즉, 특징량 wij는, 밀도 pij의 역수에 대응시켜 산출할 수 있다.
pij=2/(ui (j+1)-ui (j-1))=2/wij : 식 4
이 때 밀도 pi는,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4
으로 부여되므로, 입입 단말기수 m의 추계 값 E(m)은, 이하의 식 6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5
여기서,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값 E(m)에 관측 기간 길이 T를 곱해 얻어진 값(즉, 상기 식 6에서 관측 기간 길이 T로 나누지 않는 값)은, 단말기의 추계 체재 시간의 총계가 되어, 관측 기간에서의 연장 입입 단말기수에 상당한다. 즉, 관측 기간에서의 연장 입입 단말기수는, 이하의 식 7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6
도 11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 기간 내이며 또한 단말기 ai가 섹터 S에 체재하고 있었던 기간 내에 단말기 ai는 신호 qi1, qi2, qi3를 송신하고, 신호 qi1의 직전에 신호 qi0를, 신호 qi3의 직후에 신호 qi4를 송신한 것으로 하고, 신호 qi0, qi1, qi2, qi3, qi4의 송신 시각을 각각 ui0, ui1, ui2, ui3, ui4로 하면, 상기 방식은,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Li를, (ui0와 ui1의 중점)으로부터 (ui3와 ui4의 중점)까지의 기간이라고 추계하는 것에 상당한다. 그리고, 단말기 ai는, 관측 기간 내는 아니기는 하지만, 섹터 S의 체제중에 신호 qi4를 송신하고 있다. 단, 체재 시간 Li의 추계량의 불편성을 유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일례로서, 체재 시간 Li의 종료 시각을 관측 기간 T의 종료 시각과 같은 것으로 추계하는 것은 행하지 않는 처리를 설명한다.
그리고, 연장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로서는, 전술한 처리 이외에, 다음과 같은 처리를 채용할 수 있다. 즉,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을 t0, 종료 시각을 t1으로 하고, 관측 기간 t0~t1에서의 d 시간마다의 관측 영역 내의 단말기수가 추계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수 추계 값을 s0, s1, s2, ., sn로했을 때, 단말기수 추계 값의 총계에 시간 간격 d를 곱해 얻어진 값, 즉 ((s0+s1+s2+.+sn)×d)를, 관측 기간 t0~t1에서의 관측 영역 내의 연장 입입 단말기수로서 추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례에서는,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가,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 단말기수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값을 평균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 변형예로서,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는,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인구로 환산해 얻어진 연장 인구를 제1 실시례의 방법으로 얻어진 입입수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값을, 평균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해도 된다. 또한,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는,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인구의 추이에 기초하여, 전술한 연장 단말기수 산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이 연장 인구를 산출하고, 얻어진 연장 인구를 제1 실시례의 방법으로 얻어진 입입수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값을, 평균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해도 된다. 여기서의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21)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의 「제2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에 상당한다.
[제3 실시례]
제3 실시례에서는,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진입 단말기수 및 퇴출 단말기수를 구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전술한 제1 실시례에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도 2)와 마찬가지로, 위치 데이터 축적부(11), 추출부(12), 관측 기간 취득부(13), 관측 영역 취득부(14),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 및 출력부(19)를 구비한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진입 단말기수를 산출하는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22), 퇴출 단말기수를 산출하는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23), 및 유출입 단말기수를 산출하는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부(24)를 구비한다.
다음에, 제3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 의한 처리에 대해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에는, 일례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재권하는 섹터의 섹터 번호가 부여되어, 관측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의 조가 관측 기간 취득부(13)에 의해 미리 취득되고,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 S가 관측 영역 취득부(14)에 의해 미리 취득된 것으로 한다. 또한,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는 위치 데이터를 미리 외부로부터 취득하여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측 기간 정보에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진입 단말기수 또는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의 정보가 설정된다.
먼저, 추출부(12)가,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제1 실시례에서 설명한 확장 기간(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하고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관측 영역에 체재했다고 추정되는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의 추출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제1 실시례의 방법(관측 영역의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한 방법)과는 상이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단계 S41에 의해, 추출부(12)는, 동일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영역 내 위치 데이터 중, 1개의 위치 데이터(일례로서,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추출의 정밀도는 전술한 제1 실시례의 방법(관측 영역의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한 방법)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단말기마다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산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낮은 처리 부하로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다른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취득시각이 가장 늦은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의 정확히 한가운데의 시점에 가장 가까운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42에 의해,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는,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한다.
이상의 단계 S41, S42의 처리는, 후술하는 진입 단말기수 또는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진입 단말기수 또는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단계 S41, S42의 처리가 완료되면, 단계 S44로 진행되어, 다음과 같이 하여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22)에 의한 진입 단말기수의 산출 및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23)에 의한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이 행해진다.
여기서, 일례로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시 시각 t0, 종료 시각 t1의 관측 기간 Px에서의 입입 단말기수, 개시 시각 t1, 종료 시각 t2의 관측 기간 Py에서의 입입 단말기수, 및 개시 시각 t0, 종료 시각 t2의 관측 기간 Pz에서의 입입 단말기수가,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22)는, 개시 시각이 같은 관측 기간 Px와 관측 기간 Pz 각각에서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관측 기간 Px의 종료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1~t2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관측 기간 Px에서의 입입 단말기수가 「4」이고, 관측 기간 Pz에서의 입입 단말기수가 「5」이면,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22)는, 이들의 차분 「1」을, 관측 기간 Px의 종료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1~t2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한다.
또한,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23)는, 종료 시각이 같은 관측 기간 Py와 관측 기간 Pz 각각에서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관측 기간 Py의 개시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0~t1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관측 기간 Py에서의 입입 단말기수가 「3」이고, 관측 기간 Pz에서의 입입 단말기수가 「5」이면,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23)는, 이들의 차분 「2」를, 관측 기간 Py의 개시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0~t1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45에 의해,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부(24)는, 같은 기간에 대하여 산출된 진입 단말기수로부터 퇴출 단말기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간에서의 유출입 단말기수를 산출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46에 의해, 출력부(19)는, 상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 진입 단말기수, 퇴출 단말기수 및 유출입 단말기수를 출력한다. 물론, 이들 모두가 아니고, 이들 중 일부를 출력해도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제3 실시례에 따르면,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진입 단말기수 및 퇴출 단말기수를 구하고, 또한 유출입 단말기수를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0을 사용하여, 진입 단말기수 또는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시각 t0~t3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열 상에서 시각 t0, t1, t2, t3의 순으로 정렬되어 있고, 시각 t0~t1를 범위로 하는 관측 기간을 「관측 기간 R1」, 시각 t0~t2를 범위로 하는 관측 기간을 「관측 기간 R2」, 시각 t1~t3를 범위로 하는 관측 기간을 「관측 기간 R3」, 시각 t2~t3를 범위로 하는 관측 기간을 「관측 기간 R4」라고한다.
진입 단말기수의 산출에 있어서, 산출 대상으로 하고 싶은 기간이 예를 들면, 시각 t1~t2의 기간이면, 진입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으로서는, 개시 시각 t0가 같은 2개의 관측 기간으로서 한쪽의 종료 시각이 시각 t1, 다른 쪽의 종료 시각이 시각 t2인 관측 기간, 즉 관측 기간 R1, R2가 해당한다. 이 때, 개시 시각 t0에 대해서도 설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 설정 시각은 시각 t1보다 빠르면 되고, 특정한 시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도 30에서 설정예 1,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료 시각을 시각 t1, t2에 설정한 상에서 개시 시각 t0를 변동시킴으로써, 진입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 R1, R2를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각 t0~t1의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관측 영역에 체재한 단말기는, 시각 t1~t2의 기간에 관측 영역에 체재했는지 하지 않았는지에 관계없이, 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단말기수에는 카운트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단말기수에 카운트되는 단말기는, 시각 t0~t1의 기간 내에는 관측 영역에 체재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면, 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단말기수를 산출하는 데 있어서, 진입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 R1, R2에서의 종료 시각을 각각 시각 t1, t2에 설정하고 개시 시각 t0를 변동시켜(즉, 「시각 t0~t1의 기간 내에 관측 영역에 체재하고 있지 않다」라는 조건에서 시각 t0를 변동시킨다), 산출 대상이 되는 진입 단말기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대해서는, 산출 대상으로 하고 싶은 기간이 예를 들면, 시각 t1~t2의 기간이면,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으로서는, 종료 시각 t3가 같은 2개의 관측 기간으로서 한쪽의 개시 시각이 시각 t1, 다른 쪽의 개시 시각이 시각 t2인 관측 기간, 즉 관측 기간 R3, R4가 해당한다. 이 때, 종료 시각 t3에 대해서도 설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 설정 시각은 시각 t2보다 늦으면 되고, 특정한 시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도 30에서 설정예 1,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개시 시각을 시각 t1, t2로 설정하고 종료 시각 t3를 변동시킴으로써,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 R3, R4를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각 t2~t3의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관측 영역에 체재한 단말기는, 시각 t1~t2의 기간에 관측 영역에 체재했는지 하지 않았는지에 관계없이, 시각 t1~t2의 기간의 퇴출 단말기수에는 카운트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각 t1~t2의 기간의 퇴출 단말기수에 카운트되는 단말기는, 시각 t2~t3의 기간 내는 관측 영역에 체재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면, 시각 t1~t2의 기간의 퇴출 단말기수를 산출하는 데 있어서,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 R3, R4에서의 개시 시각을 각각 시각 t1, t2에 설정하고 종료 시각 t3를 변동시켜(즉, 「시각 t2~t3의 기간 내에 관측 영역에 체재하고 있지 않다」라는 조건에서의 시각 t3를 변동시킨다), 산출 대상이 되는 퇴출 단말기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와 같이 개시 시각 t0나 종료 시각 t3를 변동시키는 구체 예에 대해서는, 제4 실시례에서 설명한다.
또한, 시각 t1~t2의 기간의 유출입 단말기수를 산출하는 경우, 같은 기간(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단말기수 및 퇴출 단말기수가 필요하지만, 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단말기수의 산출 및 시각 t1~t2의 기간의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 각각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 t0, t3를 변동시킴으로써,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의 기초가 되는 진입 단말기나 퇴출 단말기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인 효과는, 제4 실시례의 구체예 중 설명한다.
그리고, 제3 실시례에서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가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22),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23) 및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부(24)를 구비하고, 진입 단말기수, 퇴출 단말기수 및 유출입 단말기수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22),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23) 및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부(24)를 모두 구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이들 중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22)만을 구비해도 되고,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23)만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추출부(12)에 의한 위치 데이터의 추출 방법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제1 실시례의 방법(관측 영역의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산출하고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점은, 제3 실시례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각각의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제4 실시례]
이하의 제4, 제5 실시례에서는,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진입 인구 및 퇴출 인구를 구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중 제4 실시례에서는, 입입 단말기수로 확대 계수로부터 입입수를 추계하고, 얻어진 입입수로부터 진입 인구 및 퇴출 인구를 구하는 실시례를 설명하고, 제5 실시례에서는, 확대 계수의 산출 단위인 인구 추계 단위(예를 들면, 속성이나 시간 등)마다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진입 단말기수 및 퇴출 단말기수를 산출하고, 그 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확대 계수를 사용하여 진입 인구 및 퇴출 인구를 구하는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전술한 제1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도 2)와 마찬가지로, 위치 데이터 축적부(11), 추출부(12), 관측 기간 취득부(13), 관측 영역 취득부(14),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 및 출력부(19)를 구비한다. 또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마다의 속성 정보 및 미리 구해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확대 계수를 기억한 속성·확대 계수 축적부(17A), 단말기 사용자의 속성이나 시각에 따른 확대 계수를 속성·확대 계수 축적부(17A)로부터 판독하는 확대 계수 도출부(16), 입입수를 추계하는 입입수 추계부(18), 진입 인구를 산출하는 진입 인구 산출부(25), 퇴출 인구를 산출하는 퇴출 인구 산출부(26), 및 유출입 인구를 산출하는 유출입 인구 산출부(27)를 구비한다.
다음에, 제4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 의한 처리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에는, 일례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재권하는 섹터의 섹터 번호가 부여되어, 관측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의 조가 관측 기간 취득부(13)에 의해 미리 취득되고,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 S가 관측 영역 취득부(14)에 의해 미리 취득된 것으로 한다. 또한, 위치 데이터 축적부(11)는 위치 데이터를 미리 외부로부터 취득하여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측 기간 정보에는, 후술하는 진입 인구 또는 퇴출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의 정보가 설정된다.
도 16에 나타낸 단계 S51에 의해, 추출부(12)가, 동일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영역 내 위치 데이터 중, 1개의 위치 데이터(일례로서,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에는, 추출의 정밀도는 전술한 제1 실시례의 방법(관측 영역의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산출하고 각각의 단말기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사용하는 방법)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단말기마다의 추정 체재 기간을 산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낮은 처리 부하로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경우,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다른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취득시각이 가장 늦은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의 정확히 한가운데의 시점에 가장 가까운 위치 데이터를 추출해도 된다.
다음의 단계 S52에서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가,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를 인구 추계 단위마다 카운트함으로써,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고, 단계 S53에서는, 확대 계수 도출부(16)가,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확대 계수를 속성·확대 계수 축적부(17A)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확대 계수 도출부(16)는, 속성·확대 계수 축적부(17A)로부터 확대 계수를 판독하는 대신에, 확대 계수를 도출해도 된다. 그 도출 방법의 일례는 후술한다.
다음의 단계 S54에서는, 입입수 추계부(18)가, 인구 추계 단위마다, 입입 단말기수와 확대 계수를 곱하고, 그 곱셈 결과를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로서 추계한다.
이상의 단계 S51~S54의 처리는, 후술하는 진입 인구 또는 퇴출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진입 인구 또는 퇴출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단계 S51~S54의 처리가 완료되면, 단계 S56으로 진행되어, 다음과 같이 하여, 진입 인구 산출부(25)가 진입 인구를 산출하고, 또한 퇴출 인구 산출부(26)가 퇴출 인구를 산출한다. 진입 인구 및 퇴출 인구의 산출 방법은, 도 14를 사용하여 설명한 제3 실시례의 진입 단말기수 및 퇴출 단말기수의 산출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즉, 도 14에 의해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수」로 치환한 케이스를 상정 하면 되고, 예를 들면, 개시 시각 t0, 종료 시각 t1의 관측 기간 Px에서의 입입수, 개시 시각 t1, 종료 시각 t2의 관측 기간 Py에서의 입입수, 및 개시 시각 t0, 종료 시각 t2의 관측 기간 Pz에서의 입입수가, 입입수 추계부(18)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진입 인구 산출부(25)는, 개시 시각이 같은 관측 기간 Px와 관측 기간 Pz 각각에서의 입입수의 차분을, 관측 기간 Px의 종료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1~t2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인구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관측 기간 Px에서의 입입수가 「4」이고, 관측 기간 Pz에서의 입입수가 「5」이면, 진입 인구 산출부(25)는, 이들의 차분 「1」을, 관측 기간 Px의 종료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1~t2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인구로서 산출한다.
또한, 퇴출 인구 산출부(26)는, 종료 시각이 같은 관측 기간 Py와 관측 기간 Pz 각각에서의 입입수의 차분을, 관측 기간 Py의 개시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0~t1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로서 산출한다. 예를 들면, 관측 기간 Py에서의 입입수가 「3」이고, 관측 기간 Pz에서의 입입수가 「5」이면, 퇴출 인구 산출부(26)는, 이들의 차분 「2」를, 관측 기간 Py의 개시 시각과 관측 기간 Pz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시각 t0~t1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로서 산출한다.
단계 S56에서는, 진입 인구 산출부(25)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진입 인구를 산출한다. 그 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진입 인구를 총계함으로써, 전체의 진입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퇴출 인구 산출부(26)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퇴출 인구를 산출한다. 그 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퇴출 인구를 총계함으로써, 전체의 퇴출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57에 의해, 유출입 인구 산출부(27)는, 같은 기간 및 같은 인구 추계 단위에 대한 진입 인구로부터 퇴출 인구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간 및 인구 추계 단위에 관한 유출입 인구를 산출한다. 이 때, 전체의 진입 인구로부터 전체의 퇴출 인구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의 유출입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58에 의해, 출력부(19)는, 상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입입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 및 전체의 입입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를 출력한다. 물론, 이들 모두가 아니고, 이들 중 일부를 출력해도 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입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의 각각에 대하여, 전체의 값과 인구 추계 단위(여기서는 일례로서의 성별)마다의 값을 출력해도 된다. 복수의 인구 추계 단위를 조합한 조건(예를 들면, 성별과 주소를 조합한 「도쿄도 거주의 여성」이라는 조건)을 채용해도 된다. 그리고, 여기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이상과 같은 제4 실시례에 따르면,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입입수를 구하고, 또한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를 인구 추계 단위마다 또는 전체에 대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0을 사용하여, 진입 인구 또는 퇴출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입 인구의 산출에 있어서, 산출 대상으로 하고 싶은 기간이 예를 들면, 시각 t1~t2의 기간이면, 진입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으로서는, 개시 시각 t0가 같은 2개의 관측 기간으로서 한쪽의 종료 시각이 시각 t1, 다른 쪽의 종료 시각이 시각 t2인 관측 기간, 즉 도 30의 관측 기간 R1, R2가 해당한다. 도 30에서 설정예 1,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료 시각을 시각 t1, t2에 설정한 상에서 개시 시각 t0를 변동시킴으로써, 진입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 R1, R2를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입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 R1, R2에서의 종료 시각을 각각 시각 t1, t2에 설정하고 개시 시각 t0를 변동시켜(즉, 「시각 t0~t1의 기간 내에 관측 영역에 체재하고 있지 않다」라는 조건에서의 시각 t0를 변동시킨다), 산출 대상이 되는 진입 인구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진입 인구의 산출에서의 상기한 점은, 제3 실시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퇴출 인구의 산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이하, 구체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4월 1일~4월 5일의 5일간 개최되는 이벤트가 있었을 때, 4월 3일 12:00~13:00의 기간에 대하여 이벤트 회장으로의 진입 인구를 산출하고 싶다고 하면, 진입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2개의 관측 기간 중 한쪽의 종료 시각 t1가 4월 3일 12:00에, 다른 쪽의 종료 시각 t2가 4월 3일 13:00에 설정된다.
여기서, 도 30의 설정예 1로서, 개시 시각 t0를 4월 3일 00:00으로 설정하면, 시각 t0~t1의 기간(4월 3일 00:00~4월 3일 12:00)은 이벤트 회장에 체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의 인구(즉, 4월 1일~4월 2일의 체재 상황은 관계 없이, 4월 3일에 대해서는 12:00~13:00의 기간에 이벤트 회장에 신규로 진입한 사람의 인구)를 산출하게 된다. 한편, 도 30의 설정예 2(개시 시각 t0를 설정예 1보다도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설정한 예)로서, 개시 시각 t0를 4월 1일 00:00로 설정하면, 시각 t0~t1의 기간(4월 1일 00:00~4월 3일 12:00)은 이벤트 회장에 체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의 인구(즉, 이벤트 기간의 개시 당초부터 보아 4월 3일 12:00~13:00의 기간에 이벤트 회장에 신규로 진입한 사람의 인구)를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개시 시각 t0를 변동시킴으로써, 산출 대상이 되는 진입 인구의 범위를 가능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4월 3일 12:00~13:00의 기간에 대하여 이벤트 회장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를 산출하고 싶다고 하면, 퇴출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2개의 관측 기간 중 한쪽의 개시 시각 t1이 4월 3일 12:00에, 다른 쪽의 개시 시각 t2가 4월 3일 13:00에 설정된다.
여기서, 도 30의 설정예 1로서, 종료 시각 t3를 4월 4일 00:00로 설정하면, 시각 t2~t3의 기간 4월 3일 13:00~4월 4일 00:00은 이벤트 회장에 체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의 인구(즉, 4월 4일~4월 5일의 체재 상황은 묻지 않고, 4월 3일에 대해서는 13:00 이후는 이벤트 회장에 체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의 인구)를 산출하게 된다. 한편, 도 30의 설정예 2(종료 시각 t3를 설정예 1보다 미래로 진행하여 설정한 예)로서, 종료 시각 t3를 4월 6일 00:00로 설정하면, 시각 t2~t3의 기간(4월 3일 13:00~4월 6일 00:00)은 이벤트 회장에 체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의 인구(즉, 이벤트 기간 중의 4월 3일 13:00 이후의 기간에는 이벤트 회장에 체재하고 있지 않은 사람의 인구)를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료 시각 t3를 변동시킴으로써, 산출 대상이 되는 퇴출 인구의 범위를 가능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시각 t1~t2의 기간의 유출입 인구를 산출하고 싶은 경우, 같은 기간(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인구 및 퇴출 인구가 필요하지만, 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인구의 산출 및 시각 t1~t2의 기간의 퇴출 인구의 산출 각각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산출 대상이 되는 진입 인구나 퇴출 인구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같은 시각 t1~t2의 기간의 진입 인구 및 퇴출 인구를 산출하는 경우, 도 30의 설정예 2로서, 진입 인구 산출에서의 개시 시각 t0를 4월 1일 00:00에 설정하고, 퇴출 인구 산출에서의 종료 시각 t3를 4월 6일 00:00로 설정하면, 이벤트 전체일정을 통해 보았을 때의 시각 t1~t2의 기간의 유출입 인구, 즉 「이벤트 기간의 개시 당초로부터 봤을 때 시각 t1~t2의 기간에 이벤트 회장에 신규로 진입한 사람의 인구로부터, 시각 t1~t2의 기간에 퇴출하여 이벤트 기간 종료까지 재진입하지 않았던 사람의 인구를 감산한 차분」으로서의 유출입 인구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30의 설정예 1로서, 진입 인구 산출에서의 개시 시각 t0를 4월 3일 00:00에 설정하고, 퇴출 인구 산출에서의 종료 시각 t3를 4월 4일 00:00로 설정하면, 이벤트 기간 중의 4월 3일 이외의 날에서의 진입이나 퇴출은 고려하지 않고, 4월 3일에만 주목할 때의 시각 t1~t2의 기간의 유출입 인구, 즉 「4월 3일에 대해서는 시각 t1~t2의 기간에 이벤트 회장에 신규로 진입한 사람의 인구로부터, 시각 t1~t2의 기간에 퇴출하여 4월 3일 중에는 재진입하지 않았던 사람의 인구를 감산한 차분」으로서의 유출입 인구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4 실시례에서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가 진입 인구 산출부(25), 퇴출 인구 산출부(26) 및 유출입 인구 산출부(27)를 구비하고,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진입 인구 산출부(25), 퇴출 인구 산출부(26) 및 유출입 인구 산출부(27)를 모두 구비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이들 중 진입 인구 산출부(25)만을 구비해도 되고, 퇴출 인구 산출부(26)만을 구비해도 된다. 이 점은, 제4 실시례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각각의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례에서는, 확대 계수가 미리 요구되고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확대 계수는, 다음과 같이 하여 도출해도 된다. 확대 계수는, 일례로서, 「재권 비율과 단말기의 보급율과의 곱(즉, 인구에 대한 재권 수의 비율)」의 역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재권 비율」이란, 계약 테이블 수에 대한 재권 수의 비율을 의미하고, 「보급율」이란 인구에 대한 계약 테이블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확대 계수는, 전술한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또한, 확대 계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추계된 단말기수(재권수)를 사용하여 도출해도 된다. 제1 실시례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위치 데이터로부터 특징량을 구하고,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단말기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음과 함께, 통계 데이터(예를 들면, 주민기본대장 등)로서 미리 구해진 같은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에서의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에서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 수/인구)을 산출한다. 여기서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 수/인구)」이, 전술한 「재권 비율과 단말기의 보급율과의 곱」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 계수를 산출하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로서, 일례로서, 주소의 시구읍면마다, 5세 또는 10세의 간격 연령층마다, 남녀마다, 시간대로서 1시간마다 등을 채용해도 되고, 이들의 2개 이상을 조합한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확대 계수 산출 단위를 「도쿄도 거주의 20대 남성」이라고 한 경우, 일본 전국에서의, 도쿄도 거주의(즉,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도임) 20대 남성에게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기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는 동시에, 통계 데이터로부터 도쿄도 거주의 20대 남성에 관한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을 때, 「도쿄도 거주」라는 조건에 대해서는, 도쿄도에 재권하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도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로부터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여기서는 도쿄도 거주의 20대 남성)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 수/인구)을 산출하고,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에서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와 인구 추계 단위가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5 실시례]
제5 실시례에서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진입 단말기수 및 퇴출 단말기수를 산출하고, 그 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확대 계수를 사용하여 진입 인구 및 퇴출 인구를 구하는 실시례를 설명한다.
제5 실시례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 있어서, 입입수 추계부(18)에 의한 입입수의 추계는 행하지 않고, 진입 인구 산출부(25)가, 개시 시각이 같은 복수의 관측 기간 각각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에 기초하여 진입 단말기수를 산출한 후, 인구 추계 단위에 따른 확대 계수 및 산출된 진입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진입 인구를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퇴출 인구 산출부(26)가, 종료 시각이 같은 복수의 관측 기간 각각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에 기초하여 퇴출 단말기수를 산출한 후, 인구 추계 단위에 따른 확대 계수 및 산출된 퇴출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퇴출 인구를 산출한다.
이하, 도 18을 사용하여, 제5 실시례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제4 실시례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추출부(12)가, 동일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영역 내 위치 데이터 중, 1개의 위치 데이터(일례로서,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고(도 18의 단계 S61),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가,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를 인구 추계 단위마다 카운트함으로써,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한다(단계 S62). 얻어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는, 입입수 추계부(18)를 경유하여 진입 인구 산출부(25) 및 퇴출 인구 산출부(26)에 보내진다.
이상의 단계 S61~S62의 처리는, 제4 실시례에 의해 설명한 진입 인구 또는 퇴출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진입 인구 또는 퇴출 인구의 산출에 필요한 관측 기간에 대하여 단계 S61~S62의 처리가 완료되면, 단계 S64에 있어서, 진입 인구 산출부(25)가, 인구 추계 단위마다, 개시 시각이 같은 복수의 관측 기간 각각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한다. 또한, 퇴출 인구 산출부(26)가, 인구 추계 단위마다, 종료 시각이 같은 복수의 관측 기간 각각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한다. 또한, 동시에, 확대 계수 도출부(16)가,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확대 계수를 속성·확대 계수 축적부(17A)로부터 판독하여, 입입수 추계부(18)를 경유하여 진입 인구 산출부(25) 및 퇴출 인구 산출부(26)에 보낸다.
다음의 단계 S65에서는, 진입 인구 산출부(25)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 진입 단말기수로 확대 계수를 곱하고, 그 곱셈 결과를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진입 인구로 한다. 그 후, 진입 인구 산출부(25)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진입 인구를 총계함으로써, 전체의 진입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퇴출 인구 산출부(26)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 퇴출 단말기수와 확대 계수를 곱하고, 그 곱셈 결과를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퇴출 인구로 한다. 그 후, 퇴출 인구 산출부(26)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퇴출 인구를 총계함으로써, 전체의 퇴출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66에 의해, 유출입 인구 산출부(27)는, 같은 기간 및 같은 인구 추계 단위에 대한 진입 인구로부터 퇴출 인구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기간 및 인구 추계 단위에 관한 유출입 인구를 산출한다. 이 때, 전체의 진입 인구로부터 전체의 퇴출 인구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의 유출입 인구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다음의 단계 S67에 의해, 출력부(19)는, 상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 및 전체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은 제5 실시례에 의해,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를, 인구 추계 단위마다 또는 전체에 대하여 구할 수 있다.
[제6 실시례]
이하의 제6, 제7 실시례에서는, 집계 단위인 영역마다의 추계 값(입입수, 입입 단말기수 등)를, 출력 단위(여기서는 일례로서 메쉬(mesh))마다의 추계 값로 변환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중 제6 실시례에서는, 단일의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옥외국(屋外局)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처리를 설명하고, 제7 실시례에서는, 옥내국(屋內局)의 통신 영역 및 전파 도달 범위가 상이한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복수의 옥외국의 통신 영역 중 2개 이상이 지리적으로 중복되어 존재하는 환경에서의 처리를 설명한다. 그리고, 출력 단위와 집계 단위가 동일한 경우에는, 이하의 제6, 제7 실시례에서 설명하는 변환 처리는 불필요하다.
제6 실시례에서는, 제4 실시례에 관한 입입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대하여, 전술한 메쉬마다의 추계 값로의 변환 기능을 부가한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기능 블록 구성은, 제4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도 15)에 있어서, 진입 인구 산출부(25)와 입입수 추계부(18)와의 사이 및 퇴출 인구 산출부(26)와 입입수 추계부(18)와의 사이에, 변환부(28)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변환부(28)는, 관측 영역마다의 추계 값을, 관측 영역과는 상이한 출력 단위(예를 들면, 메쉬)마다의 추계 값로 변환한다.
이하, 변환부(28)의 처리를 도 20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의 (a)는 영역의 영역 범위를 나타낸 도면, 도 20의 (b)는 메쉬를 나타낸 도면, 도 20의 (c)는 영역과 메쉬를 합성한 합성 도면이다.
변환부(28)는, 미리 기억한 영역 경계 정보에 기초하여 재현되는 영역도(도 20의 (a) 참조)와 소정의 구획 분류 규칙에 기초하여 재현되는 2차원적 메쉬(도 20의 (b) 참조)를 합성하고, 도 2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합성 도면을 얻는다. 다음에, 변환부(28)는, 상기 합성 도면에 있어서 메쉬 경계에 의해 각 영역을 분할한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0의 (a)의 영역 A는, 메쉬 경계에 의해 4개의 분할 영역 A―1, A―2, A―3, A―4로 분할된다. 그리고, 변환부(28)는, 각 분할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고, 각 분할 영역의 면적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영역 A―1, A―2, A―3, A―4의 면적으로서, 각각 10m2, 50m2, 100m2, 40m2가 산출된 것으로 하면, 분할 영역 A―1, A―2, A―3, A―4의 면적비(예를 들면, 백분율)로서, 5%, 25%, 50%, 20%가 산출된다.
그리고, 변환부(28)가 각 분할 영역의 면적비를 산출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각 분할 영역의 면적비가 미리 구해져 있고, 변환부(28)는, 각 분할 영역의 면적비의 정보를,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테이블 또는 외부로부터 참조 가능하게 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추출부(12)가, 추출된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가 속하는 영역(집계 단위)이 지리적으로 중첩되는 복수의 출력 단위 각각에 관한 출력 단위 ID 및 상기 출력 단위와의 중첩 부분(분할 영역)의 면적비(즉, 중첩 부분(분할 영역)이 집계 단위 전체에 차지하는 면적비)의 하나 이상의 조합을 관련시켜, 관련시킨 후의 위치 데이터가,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 입입수 추계부(18)를 경유하여 변환부(28)로 건네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변환부(28)는, 각 분할 영역의 추계 값(여기서는 일례로서 입입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도 20의 (a)의 영역 A의 입입수가 800명이었다고 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영역 A―2의 입입수로서, 200명(즉, 800명×25%)이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영역 B, C의 입입수가 각각 500명, 750)명이었다고 하면, 영역 B에서의 면적비 80%의 분할 영역 B―1의 입입수로서, 400명(즉, 500)명×80%)이 산출되고, 영역 C에서의 면적비 80%의 분할 영역 C―4의 입입수로서, 600명(즉, 750명×80%)이 산출된다.
또한, 변환부(28)는, 1개의 메쉬에 내포된 복수의 분할 영역의 입입수의 총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메쉬의 입입수를 산출한다. 도 22의 예에서는, 1개의 메쉬에 내포된 분할 영역 A―2, B―1, C―4의 입입수의 총계 1200명(즉, 200명+400명+600명)을 산출하고, 이 1200명을 상기 메쉬의 입입수로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단일의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옥외국의 통신 영역이 존재하는 환경에 있어서, 집계 단위마다의 추계 값(입입수, 입입 단말기수 등)를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실시례에서는, 제4 실시례를 베이스로 하여,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로 변환하는 처리를 설명하였으나, 제6 실시례에서 설명한 변환 처리는, 다양한 추계 값(예를 들면, 입입 단말기수, 진입 단말기수, 퇴출 단말기수, 유출입 단말기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유출입 인구 등)에 대하여, 집계 단위마다의 추계 값을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로 변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전술한 제1~제3, 제5 실시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7 실시례]
제7 실시례에서는, 옥내국의 통신 영역 및 전파 도달 범위가 상이한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복수의 옥외국의 통신 영역 중 2개 이상이 지리적으로 중복되어 존재하는 환경으로, 집계 단위인 영역(섹터)마다의 추계 값(입입수, 입입 단말기수 등)를, 출력 단위(여기서는 일례로서 메쉬)마다의 추계 값로 변환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 실시례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은 제6 실시례와 마찬가지이지만, 변환부(28)의 처리가 상이하므로, 변환부(28)의 처리에 대해 도 23,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내국의 통신 영역 및 전파 도달 범위가 상이한 주파수대(옥외 2GHz/1.7GHz와 옥외 800MHz)를 이용하는 복수의 옥외국의 통신 영역이 지리적으로 중복되어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변환부(28)는, 각각의 통신 영역에 대하여 제6 실시례에서 설명한 변환 처리를 행함으로써, 각각의 통신 영역에 관한 출력 단위(메쉬)마다의 추계 값(여기서는 일례로서 입입수)를 구하고, 마지막으로, 출력 단위마다 각각의 통신 영역에 관한 추계된 입입수(이하 「추계 입입수」라고 함)를 합산함으로써,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입입수를 얻는다.
도 23의 예에서는, 변환부(28)는, 먼저, 옥외 2GHz/1.7GHz를 이용하는 옥외국의 통신 영역, 옥외 800MHz를 이용하는 옥외국의 통신 영역, 옥내국의 통신 영역 각각에 대하여 제6 실시례에서 설명한 변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옥외 2GHz/1.7GHz를 이용하는 옥외국의 통신 영역에 있어서, 출력 단위 Q와 영역 A가 중첩된 분할 영역이 영역 A 전체에 대하여 40%의 면적비인 것으로 하면 영역 A의 추계 입입수 100명에 면적비 0.4를 승산함으로써, 출력 단위 Q와 영역 A가 중첩된 분할 영역의 추계 입입수 40명이 얻어진다. 동일하게 하여, 출력 단위 Q와 영역 B가 중첩된 분할 영역에 대한 추계 입입수 3명(영역 B의 추계 입입수 30명×면적비 0.1), 및 출력 단위 Q와 영역 C가 중첩된 분할 영역의 추계 입입수 5명(영역 C의 추계 입입수 100명×면적비 0.05)을 얻을 수 있다. 옥외 800MHz를 이용하는 옥외국의 통신 영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출력 단위 Q와 영역 D가 중첩된 분할 영역의 추계 입입수 3명(영역 D의 추계 입입수 10명×면적비 0.3), 및 출력 단위 Q와 영역 F가 중첩된 분할 영역의 추계 입입수 9명(영역 F의 추계 입입수 30명×면적비 0.3)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옥내국에 대해서는, 각각의 옥내국의 전파 도달 범위인 영역은 매우 작아서, 도 23의 예에서는, 1개의 옥내국의 영역 L의 전체가 출력 단위 Q와 중첩되어 있으므로, 100%의 면적비로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영역 L의 추계 입입수 10명에 면적비 1.0을 승산함으로써, 출력 단위 Q와 영역 L가 중첩된 영역(이 예에서는 영역 L전체)의 추계 입입수 10명이 얻어진다.
마지막으로, 변환부(28)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출력 단위 Q와 각 영역이 중첩된 영역의 추계 입입수를 합산함으로써, 출력 단위 Q의 추계 입입수 70명을 얻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로부터 출력 단위 Q의 추계 입입수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3은 1개의 출력 단위 Q의 추계 입입수로의 변환을 나타내고 있지만, 동일한 처리를 다른 출력 단위에 대해서도 실행함으로써, 대상으로 하는 모든 출력 단위의 추계 입입수로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도 24에는, 대상으로 하는 n개의 출력 단위의 추계 입입수로의 변환을 행하기 위한 행렬식을 나타낸다. 즉, 도 24의 식의 우측 변의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7
(j는 1 이상 m 이하의 정수(m은 대상으로 하는 n 개의 출력 단위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있는 집계 단위의 수))은, 추계에 의해 구해진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수(추계 입입수)를 의미하고, 좌측 변의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8
(i는 1이상 n 이하의 정수)은,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의미하고, 우측 변의 행렬식에서의
Figure 112013012817399-pct00009
은, 집계 단위 bj의 입입수로부터 출력 단위 ai의 입입수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계수를 의미한다. 여기서의 변환계수는, 전술한 분할 영역이 원래의 영역 전체에 차지하는 면적비에 상당한다.
도 24에서의 각 변환계수는, 입입 단말기수 등의 추계 처리의 단위(예를 들면, 영역)와 출력 단위(예를 들면, 메쉬)와의 위치 관계로부터 미리 구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변환계수를 미리 구해도 24의 식을 기억시켜 두는 것에 의해, 도 24의 식을 이용하여, 추계에 의해 구해진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수(추계 입입수)로부터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변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옥내국의 통신 영역 및 전파 도달 범위가 상이한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복수의 옥외국의 통신 영역 중2개 이상이 지리적으로 중복되어 존재하는 환경이라도,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7 실시례에서는,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로 변환하는 처리를 설명하였으나, 제7 실시례에서 설명한 변환 처리는, 다양한 추계 값(예를 들면, 입입 단말기수, 진입 단말기수, 퇴출 단말기수, 유출입 단말기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유출입 인구 등)에 대하여, 집계 단위마다의 추계 값을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로 변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며, 전술한 제1~제3, 제5 실시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6, 제7 실시례에서는, 미리 추계로 얻어진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로 변환하는 예, 즉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입입수를 추계한 후에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로의 변환을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와는 반대로,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로 변환한 후,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추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9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 있어서, 변환부(28)를,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와 입입수 추계부(18)의 사이에 이설(移設)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변환부(28)가,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에 의한 추계로 얻어진 집계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를, 상기 제6, 제7 실시례와 동일한 수순으로,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입입수 추계부(18)가, 상기 제4 실시례와 동일한 수순으로,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로부터 출력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추계하면 된다.
[제8 실시례]
제8 실시례에서는, 위치 데이터나 속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성을 가지는 정보를 제거하기 위한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는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기능 블록 구성은, 제6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도 19)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29)와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는 비식별화부(30)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위치 데이터 취득부(29)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네트워크 경유의 온라인으로 또는 기록 매체 등을 통한 오프라인으로 외부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비식별화부(30)에 보낸다.
비식별화부(30)는,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일방향성 함수에 의한 불가역 부호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일방향성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환 후의 정보로부터의 복원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일방향성 함수로서는,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내외의 평가 프로젝트나 평가 기관에 의해 추천되어 있는 해시 함수(hash function)에 기초한 건부(鍵付) 해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사용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비식별화부(30)는, 상기 처리의 전에, 속성 정보 중의 개인을 특정 가능한 번호(예를 들면,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일방향성 함수에 의한 불가역 부호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비식별화부(30)는, 속성 정보 중의 성명 정보를 삭제하고, 생년월일 정보를 연령 정보로 치환하여, 주소 정보를, 번지 정보가 삭제되고 쵸쵸목(町丁目: 동가) 레벨의 주소 정보로 치환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비식별화부(30)에 의한 비식별화 처리에 의해, 위치 데이터나 속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성을 가지는 정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위치 데이터나 속성 정보로부터 개인이 식별되어 버리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8 실시례에서는, 제6 실시례를 베이스로 하여, 비식별화 처리를 설명하였으나, 제8 실시례는, 제6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변환 처리를 행하는 제7 실시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제8 실시례에서 설명한 비식별화 처리는, 변환 처리를 행하지 않는 전술한 제1~제5 실시례에 대해도 적용할 수 있다.
[제9 실시례]
제9 실시례에서는, 임의의 추계 값(입입수, 입입 단말기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유출입 인구 등)가 출력되는 전에, 미리 정해진 기준으로 기초를 두어 추계 값에 대하여 은닉 처리를 행하는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기능 블록 구성은, 제8 실시례에 있어서의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도 25)에 있어서, 유출입 인구 산출부(27)와 출력부(19)의 사이에, 은닉 처리를 행하는 은닉 처리부(31)를 부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은닉 처리부(31)는, 추계로 얻어진 추계 값(입입수, 입입 단말기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유출입 인구 등)를 유출입 인구 산출부(27)로부터 수취했을 때,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낸 은닉 처리를 행한다. 즉, 은닉 처리부(31)는, 추계의 기초가 된 영역(셀)마다의 위치 데이터가 몇대의 단말기로부터 취득되었는지를 나타낸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은닉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기준값(일례로서 10) 미만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28의 단계 S71). 그리고, 취득 기초 단말기수는, 동일 단말기에 대한 중복을 제외한 고유한 단말기수를 나타낸다. 여기서의 판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영역(셀)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필요하지만, 일례로서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가,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할 때, 상기 위치 데이터 내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술한 비식별화부(30)에 의한 비식별화 처리 후의 해시 완료 전화 번호)의 수를 카운트하고, 얻어진 해시 완료 전화 번호 총수의 정보를 은닉 처리부(31)에 건네고, 은닉 처리부(31)가 해시 완료 전화 번호 총수를 영역(셀)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로서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해시 완료 전화 번호 총수의 정보가 은닉 처리부(31)에 걸치도록,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로 은닉 처리부(31)의 사이에 설치된 처리부(입입수 추계부(18) 등)는, 해시 완료 전화 번호 총수의 정보를 후속의 처리부에 건넨다.
단계 S71에 의해, 추계의 기초가 된 영역(셀)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기준값 미만이면, 은닉 처리부(31)는 상기 영역(셀)에 관한 추계 값을 제로로 함으로써, 상기 추계 값을 은닉한다(단계 S72). 그리고, 여기서의 은닉 방법은, 추계 값을 제로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추계 값을 소정의 문자나 기호(예를 들면, 「X」 등)로 표현하는 방법 등 다른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한편, 단계 S71에 의해, 추계의 기초가 된 영역(셀)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기준값 이상이면, 은닉 처리부(31)는 상기 영역(셀)에 관한 추계 값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추계 값 출력에 의해 사용되는 계급폭의 확률적 라운딩(rounding)을 행한다(단계 S73). 즉, 어느 영역(셀)에 관한 추계 값을 x, 계급폭을 k로 하면, 은닉 처리부(31)는, kn≤x<k(n+1)(n는 정수)인 경우에, 상기 추계 값 x를, 확률(x―kn)/k로 k(n+1)으로, 확률(k(n+1)―x)/k로 kn으로 라운딩한다.
예를 들면, 추계 값 x가 23, 계급폭 k가 10인 경우, k×2≤x<k(2+1)이므로, n=2가 되고, 추계 값 「23」은, 확률 0.3(30%의 확률)으로 「30」에, 확률 0.7(70%의 확률)으로 「20」에 라운딩된다.
이상과 같은 은닉 처리부(31)에 의한 은닉 처리에 의해, 추계 결과로부터의 개인 특정을 방지하여 추계 결과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은닉한 값이 다른 값으로부터 추측되어버리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확률적 라운딩에서의 계급폭은, 집계에 사용한 위치 데이터 중 확대 계수가 최대인 것을 추출하고, 그 확대 계수를 소정배(예를 들면 10배)한 값을 계급폭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또한, 미리 계급폭을 결정하여 두고, 확률적 라운딩을 실시해도 된다. 그 때, 확대 계수가 미리 정해진 계급폭의 소정 비율(예를 들면 1/10)을 초과하는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셀)의 데이터는 버린다는 처리 규칙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은닉 처리부(31)에 의한 은닉 처리는, 도 28에 나타낸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처리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8의 단계 S71에서, 「추계의 기초가 된 영역(셀)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 대신에, 「추계의 기초가 된 영역(셀)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개수」가 기준값 미만이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되고, 「출력되는 추계 값(인구 또는 단말기수)」가 기준값 미만이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도 28의 단계 S71에서 부정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73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그리고, 제9 실시례에서는, 제8 실시례(비식별화 처리를 행하는 형태)를 기초로 하여 은닉 처리를 설명하였으나,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지 않는 제1~제7 실시례에 대해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다양한 실시례에 있어서의 인구 추계 단위, 및 출력에 관한 출력 단위 및 출력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인구 추계 단위는, 사용자의 속성(연령, 성별, 주소 등), 시간대, 장소(섹터 및 메쉬 등) 중 적어도 1개에 따라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인구 추계 단위로 하여, 예를 들면, 매일 1시간 간격의 시간대가 정해진 경우, 도 15에 나타낸 추출부(12)가, 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된 취득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각 위치 데이터가 어느 시간대에 해당하는지를 특정하고, 1시간 간격의 시간대마다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에 건넨다. 그리고,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15)는, 1시간 간격의 시간대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1시간 간격의 시간대마다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해 입입수 추계부(18)에 건넨다. 입입수 추계부(18)는, 인구 추계 단위마다(1시간 간격의 시간대마다)의 확대 계수를 확대 계수 도출부(16)로부터 취득하고, 1시간 간격의 시간대마다의 확대 계수와 동시 간대의 입입 단말기수를 승산함으로써, 1시간 간격의 시간대마다의 입입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추계 처리 단위로 하여 시간대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시계열로 따라 불연속인 시간대(예를 들면, 매일 13:00~14:00의 시간대, 매주 토요일 및 일요일의 10:00~11:00의 시간대 등)를 설정해도 된다.
한편, 출력에 관한 출력 단위도, 추계 처리 단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속성(연령, 성별, 주소 등), 시간대, 장소(섹터나 메쉬 등) 중 적어도 1개에 따라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출력에 관한 출력 형태는, 예를 들면, 도 29의 (a)에 나타낸 입입수 변동을 나타낸 도면, 도 29의 (b)에 나타낸 시계열적인 입입수 변동을 나타낸 도면, 도 29의 (c)에 나타낸 시계열적인 누적 입입수(즉, 입입수의 누적값)의 변동을 나타낸 도면 등, 다양한 출력 형태를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입입수에 한정되지 않고, 진입 인구, 퇴출 인구, 유출입 인구, 입입 단말기수, 진입 단말기수, 퇴출 단말기수, 유출입 단말기수 등, 다양한 추계 값에 대하여 상기 출력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9의 (d)와 같이 진입 인구에 관한 분포도를 출력해도 된다. 또한, 추계 값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의 속성(연령, 성별, 주소 등), 시간대, 장소(섹터나 메쉬 등) 중 1개 또는 복수 개의 조합에 출력해도 된다.
다음에, 특징량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제2 실시례에 있어서는,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의 전후의 위치 데이터의 시간차(제2 위치 데이터와 제3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 차)를,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으로서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것을 식에서 나타내면, 특징량은, 이하의 식 8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하의 식 8은, 전술한 식 4를 변형한 것 뿐이어서, 식 4와 등가이다(즉, 식 4의 방식을 변경한 것은 아니다).
wij=ui (j+1)-ui (j-1) : 식 8
본 변형예는, 특징량 계산부(17)에 있어서 산출되는 특징량의 산출 방법의 다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특징량 계산부(17)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을 구하는 경우,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생성 타이밍)을 고려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징량 계산부(17)는, 제3 위치 데이터와 제1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에 대하여, 제3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여기서는 생성 요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α를 곱한 값을 산출하고, 또한 제1 위치 데이터와 제2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에 대하여, 제2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여기서는 생성 요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β를 곱한 값을 산출한다. 단, 상기 이외에, 특징량 계산부(17)는, 제1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α 또는 β를 정해도 되고, 또한 제1 및 제2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β를 정해도, 제1 및 제3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α를 정해도 좋다.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17)는, 이들의 곱셈으로 얻어진 값을 합산한 값을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으로 한다. 특징량 계산부(17)에서의 특징량의 산출 처리를 식으로 나타내면, 이하의 식 9에 의해 표현된다.
wij=α(ui (j+1)-uij)+β(uij-ui (j-i)) : 식 9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정보인 경우, 상기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고 이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는,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요인으로서는,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Location Area) 경계를 넘은 것,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위치 등록에 기초하여 생성된 일, 단말기의 전원 온 등에 의한 어태치(attach) 처리의 실행, 단말기의 전원 오프 등에 의한 디태치(detach) 처리의 실행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생성 요인에 대응하여, 보정 계수 α 및 β의 설정값을 미리 정해 둔다.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17)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보정 계수 α를 설정하고, 제2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2 위치 데이터에 대한 보정 계수 β를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보정 계수 α, β는 모두, 0 이상 2 이하의 값으로 미리 정해 두어도 된다. 단, 이 수치 범위는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위치 등록에 기초한 위치 등록 정보와 같이 단말기의 위치와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계기가 무관한 위치 등록 정보의 경우에는,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었던 시간의 기대값은, 상기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의 전후에서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단말기가 넘은 것으로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의 경우, 적어도 상기 위치 등록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는, 단말기는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위치 등록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 단말기가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었던 시간을 0으로 생각하여, 제1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생성 요인)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 걸침」이면, 상기 식 9에서의 보정 계수 β(즉, 직전의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에 관한 보정 계수 β)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실태에 적합한 특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징량 계산부(17)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경우, 제1 위치 데이터의 전후의 위치 데이터인 제2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 정보(일례로서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따라, 제2 위치 데이터와 제3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를 보정하고, 보정한 시간차를 사용하여 특징량을 산출한다. 이로써,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1: 통신 시스템
10: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1: 위치 데이터 축적부
12: 추출부
13: 관측 기간 취득부
14: 관측 영역 취득부
15: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
16: 확대 계수 도출부
17: 속성 데이터 축적부
17A: 속성·확대 계수 축적부
18: 입입수 추계부
19: 출력부
20: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
20A: 관측 대상 취득부
20B: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
20C: 특징량 계산부
20D: 특징량 집계부
21: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
22: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
23: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
24: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부
25: 진입 인구 산출부
26: 퇴출 인구 산출부
27: 유출입 인구 산출부
28: 변환부
29: 위치 데이터 취득부
30: 비식별화부
31: 은닉 처리부
100: 휴대 단말기
200: BTS
300: RNC
400: 교환기
500: 관리 센터
501: 사회 센서 유닛
502: 페타마이닝 유닛
503: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
504: 가시화 솔루션 유닛
700: 각종 처리 노드

Claims (26)

  1.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한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관측 영역에 체재(滯在)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하나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
    를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동일 단말기에 관한 위치 데이터에서, 취득시각이 확장 기간 내에 있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내는 영역 내 위치 데이터, 및 취득시각 순으로 시계열로 배열된 경우에 상기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밖을 나타내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고 있었던 추정 체재 기간을 단말기마다 산출하고,
    산출된 추정 체재 기간과 관측 기간이 중첩되어 있는 단말기를 추출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시계열 상에서 최선(最先)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 상기 최선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의 안분점에 상당하는 시각을 개시 시각으로 하고, 시계열 상에서 최후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 상기 최후의 영역 내 위치 데이터에 인접하는 영역 밖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과의 안분점에 상당하는 시각을 종료 시각으로 하는 기간을, 상기 추정 체재 기간으로서 산출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동일 단말기에 관한 위치 데이터에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고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 중 취득시각이 가장 빠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5.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한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나타내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
    를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득시각이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에 관한 시간축에 따른 누적값으로서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 및
    추계에 의해 얻어진,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연장 입입 단말기수 및 입입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제1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는,
    임의의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
    상기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중 2개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는 특징량 계산부;
    관측 기간에 관한 관측 개시 시각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에 관한 관측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부; 및
    위치 데이터 중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집계하고, 얻어진 특징량의 집계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이 연장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특징량 집계부
    를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시 시각이 동일한 제1 관측 기간과 제2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1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2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하는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 및
    종료 시각이 동일한 제3 관측 기간과 제4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3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4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하는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가 상기 진입 단말기수 산출부와 상기 퇴출 단말기수 산출부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동일 기간에서의 진입 단말기수로부터 퇴출 단말기수를 감산하여 얻어지는 차분을 유출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하는 유출입 단말기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수로 변환하기 위한 확대 계수를 도출하는 확대 계수 도출부; 및
    상기 확대 계수 및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를 추계하는 입입수 추계부
    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인구의 추이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인구에 관한 시간축에 따른 누적값으로서의 연장 인구를 취득하고, 상기 연장 인구 및 상기 입입수 추계부에 의해 추계된 입입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평균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제2 평균 체재 시간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개시 시각이 같은 제5 관측 기간과 제6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의 차분을, 제5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6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인구로서 산출하는 진입 인구 산출부; 및
    종료 시각이 같은 제7 관측 기간과 제8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수의 차분을, 제7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8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로서 산출하는 퇴출 인구 산출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개시 시각이 같은 제9 관측 기간과 제10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9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10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단말기수로서 산출하고, 상기 확대 계수 및 산출된 진입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제9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과 제10 관측 기간의 종료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의 진입 인구를 산출하는 진입 인구 산출부; 및
    종료 시각이 같은 제11의 관측 기간과 제12의 관측 기간 각각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의 차분을, 제11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12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단말기수로서 산출하고, 상기 확대 계수 및 산출된 퇴출 단말기수에 기초하여, 제11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과 제12의 관측 기간의 개시 시각의 사이의 기간에서의 관측 영역으로부터의 퇴출 인구를 산출하는 퇴출 인구 산출부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가 상기 진입 인구 산출부와 상기 퇴출 인구 산출부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진입 인구로부터 퇴출 인구를 감산하여 얻어지는 차분을 유출입 인구로서 산출하는 유출입 인구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부 또는 상기 입입수 추계부에 의한 추계로 얻어진 관측 영역마다의 추계 값을, 관측 영역과는 상이한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으로, 출력 단위와 관측 영역의 중첩 영역이 관측 영역에 차지하는 면적비에 기초하여 변환하는 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옥내국(屋內局)의 통신 영역 및 전파 도달 범위가 상이한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복수의 옥외국(屋外局)의 통신 영역 중 2개 이상이 지리적으로 같은 관측 영역에 중복되어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복되어 존재하는 통신 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면적비에 기초한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로의 변환, 및 상기 통신 영역 각각에 대한 변환 후의 추계 값의 합산을 행함으로써, 출력 단위마다의 추계 값을 얻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입수 추계부는,
    추계로 얻어진 입입 단말기수, 입입 단말기수를 입입수로 변환하기 위한 확대 계수, 및 관측 영역과는 상이한 출력 단위와 관측 영역의 중첩 영역이 관측 영역에 차지하는 면적비에 기초하여, 출력 단위마다 또한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입입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얻어진 추계 값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의한 출력 형태는, 입입수, 진입 인구, 퇴출 인구 및 유출입 인구 각각에 대한 분포를 나타낸 도면 및 시계열적인 변동을 나타낸 도면, 및 입입수의 누적값의 시계열적인 변동을 나타낸 도면 중, 적어도 1개를 채용 가능하게 하고,
    상기 출력부에 의한 출력 단위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시간대, 장소 중 적어도 1개에 따라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2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하여, 일방향성 함수에 의한 불가역 부호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는 비식별화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식별화부는,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사용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 상기 처리 전에, 상기 속성 정보에 대하여 상기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2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얻어진 추계 값이 출력되는 전에, 미리 정해진 기준에 기초를 두어 상기 추계 값에 대하여 은닉 처리를 행하는 은닉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 처리부는,
    입입 단말기수의 추계의 기초가 된 영역마다의 위치 데이터가 몇대의 단말기로부터 취득된 것인지를 나타낸 취득 기초(元) 단말기수가, 은닉 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미만이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임의의 영역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영역에 관한 추계 값을 은닉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 처리부는,
    임의의 영역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 기초 단말기수가 기준값 미만이 아닌 경우, 추계 값 출력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계급 중 상기 영역의 추계 값이 속하는 계급에서의 상한값, 하한값, 계급폭, 및 상기 추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의 추계 값을, 상기 상한값과의 차분 및 상기 하한값과의 차분에 따른 확률 값을 각각 따라 상기 상한값 및 상기 하한값에 라운딩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2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조를 포함하는 관측 기간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기간 취득부; 및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영역 취득부
    를 더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25.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으로서,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한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관측 영역에 체재했다고 추정되는 단말기, 또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관측 기간 내 또는 확장 기간 내에 생성된 1개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단계
    를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26.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으로서,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 또는 관측 기간을 소정의 폭만큼 확장한 확장 기간 내에 있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를 계시 취득시각이 관측 기간 내에 있는, 단말기마다 1개의 위치 데이터, 또는 상기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위치 데이터의 수 또는 단말기의 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내에서의 관측 영역의 입입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단계
    를 포함하는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KR1020137003632A 2011-01-31 2012-01-24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KR101463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8865 2011-01-31
JP2011018865 2011-01-31
JP2011084797 2011-04-06
JPJP-P-2011-084797 2011-04-06
PCT/JP2012/051456 WO2012105378A1 (ja) 2011-01-31 2012-01-24 入込端末数推計装置および入込端末数推計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986A KR20130054986A (ko) 2013-05-27
KR101463498B1 true KR101463498B1 (ko) 2014-11-19

Family

ID=4660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3632A KR101463498B1 (ko) 2011-01-31 2012-01-24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176433A1 (ko)
EP (1) EP2672434A1 (ko)
JP (1) JP5632929B2 (ko)
KR (1) KR101463498B1 (ko)
CN (1) CN103154980A (ko)
BR (1) BR112013010168A2 (ko)
RU (1) RU2013125032A (ko)
WO (1) WO20121053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4775B (zh) * 2012-08-24 2018-09-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获得行政区域间用户流动的方法及装置
JP6027520B2 (ja) * 2013-11-13 2016-11-16 株式会社Agoop 情報処理システム、人口流量推定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人口流量を推定する方法
WO2015083224A1 (ja) * 2013-12-02 2015-06-1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網制御方法、通信網制御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6329841B2 (ja) * 2014-07-31 2018-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機器台数カウントシステム及び方法
JP6348019B2 (ja) * 2014-08-28 2018-06-2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自動車および通信方法
CN108347274B (zh) * 2017-01-25 2021-07-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指示反馈的波束数量的方法及装置
JP6749282B2 (ja) * 2017-05-19 2020-09-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人流量予測装置、人流量予測方法、及び人流量予測プログラム
US20200367060A1 (en) * 2017-12-11 2020-11-19 Telefonaktiebolanget LM Ericsson (putl) Methods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7175783B2 (ja) * 2019-01-29 2022-11-21 Kddi株式会社 所定圏における滞在圏人口を推定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US10909366B2 (en) * 2019-02-28 2021-02-02 Orbital Insight, Inc. Joint modeling of object population estimation using sensor data and distributed device data
JP7266137B1 (ja) 2022-05-30 2023-04-27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8950A (ja) 2001-03-07 2002-09-20 Sony Corp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122877A (ja) 2001-10-09 2003-04-25 Oki Electric Ind Co Ltd 地域内人口算出システム
JP2005293242A (ja) * 2004-03-31 2005-10-20 Vodafone Kk 統計処理装置、統計処理情報の提供方法、移動体通信端末装置及び統計処理情報受信装置
JP2010250358A (ja) 2009-04-10 2010-11-04 Ntt Docomo Inc メッシュデータ作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2826B2 (ja) * 2002-03-28 2007-08-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移動体誘導システム
JP2005018375A (ja) * 2003-06-25 2005-01-20 Hitachi Software Eng Co Ltd 携帯端末を用いた情報収集提供システム
JP4417132B2 (ja) * 2004-02-19 2010-02-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プライバシ情報管理サーバ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50102980A (ko) * 2004-04-23 200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원점검 방법
US7831917B1 (en) * 2005-12-30 2010-11-09 Goog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dentifying and communicating with meeting spots
US20080174485A1 (en) * 2007-01-24 2008-07-24 Carani Sherry L Tracking System and Method with Asset Tool Bar for Polling, Message, Historic Report, Location, Map and Geo Fence Features
CN101083785A (zh) * 2007-07-04 2007-12-05 贾林 获得人口信息的方法及系统
JP2010033195A (ja) 2008-07-25 2010-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人数計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制御システム
JP4364936B1 (ja) * 2009-02-27 2009-11-18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流動性人口推定システム、流動性人口推定方法及び流動性人口推定プログラム
CN101510357B (zh) * 2009-03-26 2011-05-11 美慧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手机信号数据检测交通状态的方法
JP5155233B2 (ja) * 2009-04-01 2013-03-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位置情報分析装置および位置情報分析方法
WO2010116916A1 (ja) * 2009-04-06 2010-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8950A (ja) 2001-03-07 2002-09-20 Sony Corp 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122877A (ja) 2001-10-09 2003-04-25 Oki Electric Ind Co Ltd 地域内人口算出システム
JP2005293242A (ja) * 2004-03-31 2005-10-20 Vodafone Kk 統計処理装置、統計処理情報の提供方法、移動体通信端末装置及び統計処理情報受信装置
JP2010250358A (ja) 2009-04-10 2010-11-04 Ntt Docomo Inc メッシュデータ作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3125032A (ru) 2015-03-10
EP2672434A1 (en) 2013-12-11
KR20130054986A (ko) 2013-05-27
CN103154980A (zh) 2013-06-12
JP5632929B2 (ja) 2014-11-26
US20130176433A1 (en) 2013-07-11
WO2012105378A1 (ja) 2012-08-09
BR112013010168A2 (pt) 2016-11-29
JPWO2012105378A1 (ja)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498B1 (ko)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KR101456906B1 (ko)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RU25408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агрегации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и способ агрегации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KR20130052014A (ko)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EP31325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ignificant locations through data obtainable from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8903791B2 (en)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and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CN111126715B (zh) 景区客流量管控系统
EP2490170A1 (en) Positional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positional information analysis method
JP5442751B2 (ja) 位置情報分析装置及び位置情報分析方法
US20130173346A1 (e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EP38150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ffic analysis
EP2608181A1 (en) Transport system
JP2020123011A (ja) 所定圏における滞在圏人口を推定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CN107205220B (zh) 一种确定区域人流数量的方法及装置
KR101441996B1 (ko)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
JP5468084B2 (ja) 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CN10756664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WO2013081134A1 (ja) 推計装置及び推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