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014A -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014A
KR20130052014A KR1020137008675A KR20137008675A KR20130052014A KR 20130052014 A KR20130052014 A KR 20130052014A KR 1020137008675 A KR1020137008675 A KR 1020137008675A KR 20137008675 A KR20137008675 A KR 20137008675A KR 20130052014 A KR20130052014 A KR 2013005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sition data
observation
target
esti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나가타
이치로 오카지마
마사유키 데라다
사다노리 아오야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05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관측 영역 내에 원하는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특징량 산출부(17)가, 관측 대상 취득부(15)에 의해 취득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에서의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고, 이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가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추계 대상으로서 산출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원하는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추계된다.

Description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TERMINAL QUANTITY ESTIMATION DEVICE AND TERMINAL QUANTITY ESTIMATION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의 네트워크 설비로부터 얻을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어느 영역 내의 단말기 수를 추계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설비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자에게 전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 등의 운용 데이터가 생긴다. 이와 같은 운용 데이터에 대하여 집계 등의 통계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수를 산출할 수 있고, 이 산출 결과로부터 "인구" 등의 추계 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위치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위치 등록 신호가 있다. 이것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재권(在圈) 기지국에 대하여 대략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신호이며, 어느 기지국이 어느 휴대 단말기의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 시점에서, 그 휴대 단말기는 그 기지국의 전파 도달 범위인 기지국 섹터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의 다른 예로서, GPS 정보가 있다. 이것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재권 기지국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단말기의 조작 또는 휴대 단말기 네트워크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송신되는 GPS 측위 결과에 관한 정보이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GPS 정보가 수신된 시점에서, 그 휴대 단말기는 GPS 측위 결과가 나타내는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추계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와 같은 위치 데이터의 관측 결과로부터, 어느 지리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단말기 수)를 추계할 수 있으면, 휴대 단말기의 계약율 등을 더 가미하는 등에 의해, 상기한 인구 등의 추계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44969호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관측 대상의 시간 내에 관측 영역을 통과한 휴대 단말기로부터 우연히 송신된 위치 데이터와, 관측 영역 내에 계속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위치 데이터를 구별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연히, 관측 영역을 통과한 휴대 단말기와, 관측 영역 내에 계속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가 구별되지 않고 대수의 추계가 행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관측 영역 내에 원하는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는,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휴대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 수단; 관측 대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특징량 산출 수단;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특징량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특징량의 합계값을,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하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 수단;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하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 및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하는 단말기 수 추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방법은, 단말기 수 추계 장치에서 실행되는 단말기 수 추계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휴대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 단계; 관측 대상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특징량 산출 단계;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특징량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특징량의 합계값을,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하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 단계;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하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단계; 및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하는 단말기 수 추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에서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특징량의 합계값을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하고,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한다. 그리고,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이와 같이, 관측 영역 내에서의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고, 이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하므로, 관측 영역 내에 원하는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 휴대 단말기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통과 휴대 단말기를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을 사용하여,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 휴대 단말기를 추출할 수 있어, 이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이상의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에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체류 휴대 단말기를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을 사용하여, 관측 영역에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를 추출할 수 있어, 이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2개의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의 사이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에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체류 휴대 단말기를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2개의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을 사용하여, 2개의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사이의 시간만 관측 영역에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를 추출할 수 있어, 이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말기 수 추계 수단은,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미리 정해진 추계 대상 기간 내에서의 대수의 추계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추계 대상 기간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재권 수와 인구의 비율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인구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추계 대상 기간 중의 전국의 재권 수와 인구의 비율이나 어떤 일정 수를 구하여 인구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추계 대상 기간이 아니고, 미리 구한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분석 대상 취득 수단과; 분석 대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하고,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단말기로부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제외한 휴대 단말기를,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을, 예를 들면, 심야의 소정 시간대로 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특징량으로부터 얻어지는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관측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제외되고, 나머지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산출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관측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중, 관측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 바꾸어 말하면, 다른 영역에서 관측 영역으로 유입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관측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고, 단말기 수 추계 수단은,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할 때,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추계 대상 영역마다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며, 추계 대상 영역마다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추계 대상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추계 대상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추계 대상 영역마다 인원수를 추계하는 인원수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분석 대상 기간 내에 관측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제외된 나머지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추계 대상 영역마다 추계된다. 그리고, 추계 대상 영역마다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인원수로 변환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관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 중, 관측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에 귀가하는 인원수를, 추계 대상 영역마다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인원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추계 대상 영역마다 인원수와 관측 영역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에서 추계 대상 영역으로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귀가 곤란자 수 추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분석 대상 기간 내에 관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 중, 관측 영역에서 추계 대상 영역으로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관측 영역에서 추계 대상 영역으로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를 제외한 휴대 단말기를,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분석 대상 기간 내에 관측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가 제외된다. 즉,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및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 중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가 선택된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 내에 관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중, 관측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더욱 정확하게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분석 대상 취득 수단과; 분석 대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하고,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단말기로부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출하고, 추출한 휴대 단말기를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을, 예를 들면, 심야의 소정 시간대로 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특징량으로부터 얻어지는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추출되고, 추출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산출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 바꾸어 말하면, 거주지인 관측 영역에서 분석 대상 영역으로 유출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관측 대상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관측 대상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인원수를 추계하는 인원수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추계되고,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인원수로 변환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수를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관측 영역을 복수 설정하고, 인원수 추계 수단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인원수를 관측 영역마다 추계함으로써, 분석 대상 영역에서, 각각의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수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인원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인원수와, 분석 대상 영역에 기초하여, 분석 대상 영역에서 관측 영역까지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귀가 곤란자 수 추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관측 영역까지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로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고,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하고, 추출한 휴대 단말기를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가 추출된다. 즉,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및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가 추출된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더욱 정확하게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이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가 등록한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등록 위치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가 등록한 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관측 대상 취득 수단은,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것이며, 제1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제1 체재 시간 분포를 산출하는 제1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 제2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제2 체재 시간 분포를 산출하는 제2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 제1 체재 시간 분포와 제2 체재 시간 분포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하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보정 계수 산출 수단; 및 보정 계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보정을 행하는 대수 보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관측 대상 취득 수단에 의해,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로부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가 취득되고, 이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를 등록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대수가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다. 또한, 제1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1 체재 시간 분포와 제2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2 체재 시간 분포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가 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체재 시간 분포와 제2 체재 시간 분포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함으로써, 이 보정 계수는, 제2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계되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제1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를 등록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대수를 보정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더욱 정확하게 추계할 수 있다.
또한, 대수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재권 수와 인구의 비율과, 보정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인구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어느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인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인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특징량 산출 수단은,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이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측 영역 내에 원하는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위치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휴대 단말기마다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추계 대상 기간 내의 대수 추계 처리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단말기 수 추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단말기 수 추계에 관한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휴대 단말기의 대수 추계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특징량의 산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휴대 단말기의 대수 추계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위치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휴대 단말기마다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분석 대상 단말기와 분석 대상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말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체류자의 분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귀가 곤란자 추정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분석 대상 단말기와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관측 영역에 귀가하는 귀가자의 집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귀가 곤란자 추정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2는 제4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 및 GPS 신호 위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산출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막대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막대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막대 그래프의 근사 곡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보정 계수를 산출할 때의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은 보정 후의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휴대 단말기의 대수 추계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1은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2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각 시각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각 시각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제1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통신 시스템(1)은, 휴대 단말기(100), BTS(기지국)(200), RNC(무선 제어 장치)(300), 교환기(400), 각종 처리 노드(700), 및 관리 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관리 센터(500)는,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 마이닝 유닛(peta mining unit)(502), 모바일 인구 통계 유닛(mobile democraphy unit)(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visualization solution unit)(504)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환기(400)는, BTS(200), RNC(30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후술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RNC(300)는, 휴대 단말기(100)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이 행해질 때, RRC 연결(connection) 요구 신호에서의 지연값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교환기(400)는, 이와 같이 측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가 통신 접속을 실행할 때 수취할 수 있다. 교환기(400)는 수취한 위치 정보를 기억해 두고, 소정의 타이밍 또는 관리 센터(5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센터(500)에 출력한다.
각종 처리 노드(700)는, RNC(300) 및 교환기(400)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치의 재산출 등을 행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또는 관리 센터(5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센터(50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로서는, 위치 등록 신호에 의해 구해진 재권 섹터를 나타낸 섹터 번호, GPS 측위 시스템이나 PRACH PD에 의한 위치 정보 취득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위치 측위 데이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데이터는, 상기와 같은 위치 정보와 함께,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회선 번호 등의 휴대 단말기와 대응되는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식별 정보로서 회선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선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지는 않고, 회선 번호와 대응되는 값(예를 들면, 회선 번호의 해시값(hash value) 등)을 사용하여 비식별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 센터(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 마이닝 유닛(502), 모바일 인구 통계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유닛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사용한 통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도 2)는, 예를 들면, 관리 센터(500)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사회 센서 유닛(501)은, 각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또는 오프라인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 장치이다. 이 사회 센서 유닛(501)은,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정기적으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사회 센서 유닛(501)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타 마이닝 유닛(502)은, 사회 센서 유닛(50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페타 마이닝 유닛(502)은, 사용자 ID를 키로 분류(sorting) 처리를 행하거나, 영역마다 분류 처리를 행하거나 한다.
모바일 인구 통계 유닛(503)은, 페타 마이닝 유닛(502)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집계 처리, 즉 각 항목의 카운팅 처리를 행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모바일 인구 통계 유닛(503)은, 어느 영역에 재권하는 사용자 수를 카운트하거나, 또한 재권 분포를 집계하거나 할 수 있다.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모바일 인구 통계 유닛(503)에서 집계 처리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처리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집계된 데이터를 지도 위에 매핑 처리할 수 있다. 이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기업, 관공청 또는 개인 등에 제공되고, 점포 개발, 도로 교통 조사, 재해 대책, 환경 대책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통계 처리된 정보는, 당연히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도록 개인 등은 특정되지 않도록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 마이닝 유닛(502), 모바일 인구 통계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도시는 생략하지만, 통상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구성(즉, CPU, RAM, ROM,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은 물론이다.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구성]
다음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11), 축적부(12),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 관측 영역 취득부(14), 관측 대상 취득부(관측 대상 취득 수단)(15),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16), 특징량 산출부(특징량 산출 수단)(17),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기대 체재 시간 산출 수단)(18),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19), 단말기 수 추계부(단말기 수 추계 수단)(20), 및 단말기 수 출력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2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의 각 부의 기능을 설명한다.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는, 전술한 위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축적부(12)에 저장한다. 그리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를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 내에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의 외부의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를, 예를 들면, 기억 매체를 통하여,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에 입력해도 된다. 축적부(12)는, 다수의 사용자(휴대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시각에 걸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는, 체재 상태를 파악하는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한다.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의 관측 영역 정보는, 예를 들면, 섹터 번호, 위도·경도, 지리적인 범위(예를 들면, 시쿠쵸손(
Figure pct00001
. 일본의 행정구획) 등으로서 부여되고,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취득되는 관측 영역 정보의 표현 형식과 위치 정보의 표현 형식을 대응시키는 정보(예를 들면, 섹터 번호와 위도·경도와의 대응 관계 정보 등)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측 대상 취득부(15)는, 축적부(12)로부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는, 별도 주어진 조건(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연령층 등)에 의해, 더욱 좁혀도 된다. 이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가, 특징량 산출부(17)에서의 특징량의 산출 대상이 된다.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는,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이하 "제1 위치 데이터"라고 함)에 대하여, 그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이하 "제2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 및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이하 " 제3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는, 제2 또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적어도,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특징량 산출부(17)는 제1 위치 데이터의 각각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특징량 산출부(17)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이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서 산출한다. 또한, 특징량 산출부(17)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이 비정상적인 값인 경우, 여기서는 일례로서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과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 경우에,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으로서 사용하여,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특징량 산출부(17)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이 비정상적인 값인 경우, 여기서는 일례로서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 경우에,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으로서 사용하여,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이 비정상적인 값인 경우의 처리는, 필수적인 처리는 아니지만, 상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가 권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나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가 되어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 데이터의 취득 시간 간격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졌을 때, 그 비정상적으로 길어진 취득 시간 간격에 의한 영향이 과대하게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특징량 산출부(17)에 의해 산출된 특징량의 합계값을,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단위는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여기서, 기대 체재 시간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위치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휴대 단말기마다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3대의 휴대 단말기(식별 정보 c1, c2, c3)가, 각각 위치 데이터를 송신한 타이밍이 나타나 있다(휴대 단말기가 실선 또는 파선으로 그려진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가 송신된 것으로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실선으로 그려진 때 송신된 위치 데이터는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로부터 송신된 경우를 나타내고, 휴대 단말기가 파선으로 그려진 타이밍에서 송신된 위치 데이터는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외부로부터 송신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실선 또는 파선으로 그려진 휴대 단말기의 아래에 기재된 숫자는, 휴대 단말기가 그려진 타이밍에서 송신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다. 관측 대상 기간은, 시각 t0에서부터 시각 t1로 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식별 정보 c2의 휴대 단말기의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로부터 송신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의 합계값 1.6(= 0.6+1)을, 기대 체재 시간 k(c2)로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식별 정보 c1의 휴대 단말기의 기대 체재 시간 k(c1)는 4(=1+1+1+1)가 되고, 식별 정보 c3의 휴대 단말기의 기대 체재 시간 k(c3)는 0.7이 된다.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는, 관측 대상 기간 중에, 휴대 단말기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를 통과한 것인지, 또는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에 체류하고 있는 것인지의 구분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에 의해 산출된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고,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에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이상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은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단위는 "시간"). 이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가, 단말기 수 추계부(20)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을 "1"로 하고, 도 3에 나타낸 식별 정보 c1, c2인 휴대 단말기가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되고, 식별 정보 c3인 휴대 단말기가 통과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되는 것으로 한다.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에 의해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에 의해 선택된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 양쪽의 대수를 추계해도 되고, 어느 한쪽의 대수만을 산출해도 된다.
먼저,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미리 정해진 관측해야 할 추계 대상 기간에서의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한다. 여기서, 추계 대상 기간 내의 대수 추계 처리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추계 대상 기간 내의 대수 추계 처리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 정보 c1, c2인 휴대 단말기가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에서는, 관측 대상 기간(시각 t0~t1) 내에, 추계 대상 기간(시각 p0~p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식별 정보 c1, c2인 휴대 단말기의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이며, 또한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추계 대상 기간 p0~p1 내의 특징량 1 및 특징량 0.6(도 4 중, 휴대 단말기를 동그라미로 나타낸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량의 합계값 1.6을 산출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산출한 특징량의 합계값을 추계 대상 기간의 시간 길이(시각 p1 ― 시각 p0)의 2배로 제산(除算)한 값을,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라고 해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는, 통과 및 체류의 구분을 위해 산출한 특징량의 합계값을 사용하여,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 각각의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수 산출용의 특징량을 별도 산출하고, 산출한 대수 산출용의 특징량에 기초하여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 각각의 대수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관측 대상 기간(시각 t0~t1) 내에, 추계 대상 기간(시각 p0~p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즉 시각 t0<시각 p0<시각 p1<시각 t1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추계 대상 기간이 관측 대상 기간 외(예를 들면, 시각 t0<시각 t1<시각 p0<시각 p1)라도 되고, 관측 대상 기간과 추계 대상 기간이 같아도 된다(t0=p0, t1=p1).
또한, 단말기 수 추계부(20)에 의해 추계되는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개최 시간이 시각 t0~시각 t1(관측 대상 기간)인 모임의 장소(관측 영역)에서의, 체재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기대 체재 시간이 소정값 이상)인 방문자의 시각 p0~시각 p1(추계 대상 기간)에 대한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있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개최 시간이 시각 t0~시각 t1(관측 대상 기간)인 모임의 장소(관측 영역) 내에 계속 있었던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기대 체재 시간이 (시각 t1 ― 시각 t0) 이상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그 후, 같은 장소에 계속 있었을 때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 등이 있다.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경우, 전술한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리 정해진 관측해야 할 추계 대상 기간에서의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통과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된 식별 정보 c3인 휴대 단말기의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이고, 또한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추계 대상 기간 p0~p1 내의 특징량 0.7(도 4 중, 휴대 단말기를 X표로 나타낸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을 추출하고, 추출한 특징량의 합계값(여기서는, 0.7)을 산출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산출한 특징량의 합계값을 추계 대상 기간의 시간 길이(시각 p1 ― 시각 p0)의 2배로 제산한 값을,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서 산출한다.
그리고, 전술한 단말기 수 추계부(20)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 방법은 일례이며,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단말기 수 추계 방법으로서, 본건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특허출원 제2010―221456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정보 분석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 그 위치 정보를 얻은 측위 시각 정보 및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포인트 데이터(point data)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포인트 데이터로부터, 측위 시각이 대상 시각의 직전인 포인트 데이터와, 측위 시각이 대상 시각의 직후인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사용자에 대하여, 대상 시각의 직전의 포인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와 대상 시각의 직후의 포인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 사이를 보완함으로써, 대상 시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각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대상 시각에서의 소정의 산출 대상 영역 단위의 인구 분포를 산출하는 일련의 방법이며, 이 방법을 단말기 수 추계에 적용하면 된다.
단말기 수 출력부(21)는, 단말 수 추계부(20)에 의해 추계된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나,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출력한다. 여기에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에서는, 관측 대상 취득부(15), 특징량 산출부(17),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 및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필수 요건이며, 다른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 내에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단말기 수 추계의 개념 및 계산 방법]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의 개념 및 계산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모델과 같이, 어느 추계 대상 기간(길이 T) 동안에, n개의 단말기 a1, a2, …, an가 섹터 S를 통과하고, 각 단말기ai의 추계 대상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이 ti(0<ti≤T)이었다고 하자. 이때, 섹터 S에 존재하는 단말기 수 m(실제로는 섹터 S에 존재하는 단말기 수 m의 추계 대상 기간 내에서의 평균값)은, 아래의 식 (1)로 표현된다.
Figure pct00002
즉, 각 단말기 ai의 추계 대상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의 총계를 추계 대상 기간의 길이 T로 나눈 결과를, 단말기 수 m으로서 추계한다. 단, 단말기 ai의 추계 대상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의 참값은 관측 불가능하지만, 각 단말기 ai는 신호(예를 들면,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신호)를 발신하고, 이들 신호는 관측 가능하다.
단말기 ai가 추계 대상 기간 내에 섹터 S에서 발신한 신호를, 시각 순으로
Figure pct00003
(xi는, 단말기 ai가 추계 대상 기간 내에 섹터 S에서 발신한 신호의 총수)로 하면, 단말기 수의 추계는, 관측된 신호 qij(j는 1 이상 xi 이하의 정수)로부터 m의 값을 추계하는 것과 다름없다.
그런데, 도 6에 기초하여 단말기 수 추계의 계산 방법을 설명한다. 단말기 ai로부터 신호 qij가 송신되는 밀도(즉, 단위 시간당의 신호수)를 pi라고 하자. 이때, 신호가 송신되는 확률이 섹터에 대하여 독립이면, 단말기 ai가 추계 대상 기간 내에 섹터 S에서 발신한 신호의 총수 xi의 기대값 E(xi)는, E(xi)=ti×pi이므로, 단말기 ai의 추계 대상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의 기대값 E(ti)에 대하여 아래의 식 (2)가 성립한다.
E(ti)=xi/pi (2)
여기서, 신호 qij의 송신 시각을 uij로 했을 때, 신호 qij의 밀도 pij는, 아래의 식 (3)으로 주어진다.
pij=2/(ui (j+1)―ui (j―1)) (3)
여기서, 신호 qij를 제1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라고 하면, 신호 qi (j―1)는 제2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신호 qi (j+1)는 제3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에 상당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qi (j―1)의 송신 시각 ui (j―1)와 제3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qi (j+1)의 송신 시각 ui (j+1)의 차, 즉 상기 식 (3)의 (ui(j+1)―ui (j―1))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로 한다(특징량 wij=ui (j+1)―ui(j―1)). 그러므로, 상기 식 (3)은 아래와 같이 된다.
pij=2/(ui (j+1)―ui (j―1))=2/wij (4)
이때 밀도 pi는,
Figure pct00004
로 주어지므로, 단말기 수 m의 추계치 E(m)는 아래의 식 (6)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도 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계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단말기 ai가 섹터 S에 체재하고 있었던 기간 내에, 단말기 ai는 신호 qi1, qi2, qi3를 송신하고, 신호 qi1의 직전에 신호 qi0를, 신호 qi3의 직후에 신호 qi4를 송신한 것으로 하고, 신호 qi1, qi2, qi3, qi4의 송신 시각을 각각 ui0, ui1, ui2, ui3, ui4로 하면, 상기한 개념은, 단말기 ai의 추계 대상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를, (ui0와 ui1의 중간점)에서 (ui3와 ui4의 중간점)까지의 기간이라고 추계하는 것에 상당한다. 그리고, 단말기 ai는, 추계 대상 기간 내는 아니지만, 섹터 S에의 체제 중에 신호 qi4를 송신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체재 시간 ti의 종료 시각을 추계 대상 기간 T의 종료 시각과 동일하게 하여 추계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체재 시간 ti의 추계량의 불편성(unbiasedness)을 유지한다.
[단말기 수 추계 처리]
이하, 본 발명의 단말기 수 추계 방법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에는, 일례로서, 그 휴대 단말기가 재권하는 섹터의 섹터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위치 데이터 취득부(11)가 위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축적부(12)에 저장한다(도 7의 단계 S1: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 이로써, 축적부(12)는 다수의 사용자(휴대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시각에 걸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1의 처리 실행 후, 단계 S2 이후의 처리는, 시간을 두고 실행해도 된다. 즉, 단계 S2 이후의 처리의 사전 준비로서, 단계 S1을 실행해도 된다.
다음에,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가,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관측 영역 취득부(14)가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 여기서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로서, 개시 시각(t0)과 종료 시각(t1)의 세트가 취득되고,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S)가 취득된다.
다음에, 관측 대상 취득부(15)가, 축적부(12)로부터, 개시 시각(t0) 이후이고 종료 시각(t1) 이전인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 정보인 섹터 번호(S)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예를 들면, 위치 정보가 섹터 번호 S이다)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단계 S3: 관측 대상 취득 단계). 즉, 관측 대상 취득부(15)는, 이하의 조건에 합치하는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조건 1: 위치 취득 시각이 개시 시각(t0) 이후이고 또한 종료 시각(t1) 이전이다. 즉, 관측 대상 기간 내에 포함된다.
조건 2: 위치 정보가 섹터(S)이다.
다음에, 취득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단계 S4, S5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4에서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 중,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으로 하는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그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위치 취득 시각에서 볼 때,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 및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5(특징량 산출 단계)에서는, 특징량 산출부(17)가,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그 처리 내용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을, 각각 z1, z2, z3이라고 한다. 또한,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2)이 비정상적인 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에 관한 기준값)을 기준값 A(예를 들면, 1시간)로 하고,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3)이 비정상적인 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에 관한 기준값)을 기준값 B(예를 들면, 1시간)로 한다.
특징량 산출부(17)는, 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즉, 시각 z1와 z2의 차) Da, 및 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즉, 시각 z1와 z3의 차) Db를 산출한다(도 8의 단계 S11). 그리고, 특징량 산출부(17)는, 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 Da가 소정의 기준값 A(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12), 만약, 차 Da가 기준값 A보다 크면,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1)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2)으로 한다(단계 S13). 다음에, 특징량 산출부(17)는, 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 Db가 소정의 기준값 B(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14), 만약, 차 Db가 기준값 B보다 크면,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1)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3)으로 한다(단계 S15). 그리고, 특징량 산출부(17)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2)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z3)의 차이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서 산출한다(단계 S16). 이로써, 어느 하나의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단계 S4, S5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후, 전술한 단계 S4, S5의 처리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실행되고, 모든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실행이 완료되면(단계 S6에서 긍정 판단), 단계 S7로 진행된다.
단계 S7에서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가, 산출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한다(기대 체재 시간 산출 단계). 그리고,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가, 특징량이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고,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에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이상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단계 S8: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단계).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에 의해 선택된 통과 휴대 단말기나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한다(단계 S9: 단말기 수 추계 단계). 또한, 단말기 수 출력부(21)가, 추계에 의해 얻어진 단말기 수를 출력한다(단계 S10).
이상, 제1 실시예에 의하면,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가 관측 영역 내에서의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고, 이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가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추계 대상으로서 산출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원하는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가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을 사용하여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 휴대 단말기를 추출함으로써, 단말기 수 추계부(20)에 의해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가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을 사용하여 관측 영역에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를 추출함으로써, 단말기 수 추계부(20)에 의해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대수 추계 처리의 변형예]
다음에,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 추계 처리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 추계 처리에서는, 특징량을 계산하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 좁혔지만, 이 변형예로서, 취득된 모든 위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특징량을 계산한 후, 추계로 이용하는 특징량을 좁혀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의 구성예를 도 9에, 휴대 단말기의 대수 추계 처리 내용을 도 10에, 각각 나타낸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도 2)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을 제1 위치 데이터로 하여, 그 제1 위치 데이터에 관한 제2 위치 데이터(직전의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직후의 위치 데이터) 각각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한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후 축적부(12)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라도 되고, 축적부(12)에 저장되지 않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로부터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에 전송된 것이라도 된다. 즉,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는,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축적부(12)로부터 판독해도 되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로부터 건네 받아도 된다. 논리적으로는 어느 쪽의 방법이라도 상관없다.
특징량 산출부(17)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을 제1 위치 데이터로 하여, 그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이 계산 결과는 방대한 양이 되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징량 산출부(17)는, 계산 결과의 특징량을 저장하기 위한 특징량 보관부(17a)를 구비하고, 특징량 보관부(17a)에 의해 계산 결과의 특징량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징량 산출부(17)가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의 차이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서 계산하는 점, 및 도 8에 나타낸 제2 또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이 비정상적인 값인 경우에 처리를 행하는 점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관측 대상 취득부(15)는, 특징량 보관부(17a)에 저장된 특징량 중,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징량을 추출한다.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는, 관측 대상 취득부(15)에 의해 추출된 특징량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특징량의 합계값을 기대 체재 시간(단위는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에 의해 산출된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과 휴대 단말기와 체류 휴대 단말기로 구분한다. 단말기 수 추계부(2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에 의해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단말기 수 출력부(21)는 단말기 수 추계부(20)에 의해 추계된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나,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출력한다.
이하, 변형예에서의 단말기 수 추계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로서, 그 휴대 단말기가 재권하는 섹터의 섹터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단계 S31~S33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31에서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가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으로 하는 1개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그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위치 취득 시각에서 볼 때,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 및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는,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제2, 제3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그리고, 단계 S32에서는, 특징량 산출부(17)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 8에 나타낸 절차로,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단계 S32의 처리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도 7의 단계 S5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단계 S32에서 얻어진 특징량은, 특징량 보관부(17a)에 저장된다(단계 S33).
이로써, 어느 하나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단계 S31~S33의 처리가 완료한다.
이후, 단계 S31~S33의 처리가,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단계 S31~S33의 처리가 완료되면(단계 S34에서 긍정 판단),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이 계산되고 특징량 보관부(17a)에 저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말기 수 추계를 실시하기 전에 미리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여 저장해 둘 수가 있다.
다음의 단계 S35에서는,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가,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관측 영역 취득부(14)가,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t0)과 관측 종료 시각(t1)의 세트가 취득되고,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S)가 취득되었다고 한다.
다음에, 관측 대상 취득부(15)가, 미리 계산되어 특징량 보관부(17a)에 저장된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중,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징량을 추출한다(단계 S36).
그 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도 7의 단계 S7~S10과 동일하게,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가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고(단계 S37),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가 통과 휴대 단말기와 체류 휴대 단말기의 선택을 행한다(단계 S38).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통과 휴대 단말기나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하고(단계 S39) 단말기 수 출력부(21)가, 추계에 의해 얻어진 단말기 수를 출력한다(단계 S40). 이와 같이 하여, 통과 휴대 단말기 및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전술한 변형예에서는, 미리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여 저장해 두기 때문에,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 및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하여 단말기 수의 추계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추계 결과인 단말기 수를 얻을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처리에서, 단계 S35의 처리를, 단계 S34의 후에 실행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단계 S31~S34의 처리와 단계 S35의 처리를 동시 병행하여 실행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계 대상 기간 중의 관측 영역에서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부(인구 추계 수단)(22)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 인구 추계부(22)는,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사용자 속성을 가지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그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사용자 속성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하나의 사용자 속성의 인구를 추계한다. 여기에서의 하나의 사용자 속성에는, 성별, 연대 등의 외에, 주소 속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더욱 상세하게는, 인구 추계부(22)는,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그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와의 비율(예를 들면, 추계 대상 기간 중의 관측 영역을 포함하는 광역 영역(예를 들면, 일본 전국)에서의 관측 영역(행정구획 영역에 상당)을 주소 정보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재권 수와, 관측 영역(예를 들면, 도쿄토(東京都))을 주소로 하는 통계 데이터에 기초한 인구와의 비율)과, 단말기 수 추계부(20)에 의해 얻어진 단말기 수에 기초하여 인구를 추계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비율이 (단말기 수/인구)이면, 인구 추계부(22)는, 단말기 수를 그 비율로 나눔으로써, 추계 대상 기간 중의 관측 영역의 인구를 추계할 수 있고, 얻어진 인구를 단말기 수 출력부(21)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수와 인구의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 범위의 지역에서의 인구"에서 차지하는 "위치 데이터를 얻은 특정한 통신 사업자의 계약 단말기 수"의 비율인 "단말기 계약율"을 사용해도 된다. 이때, 상기한 비율(단말기 계약율도 포함함)에 대해서는, 지역마다의 비율,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계 대상 기간 중의 전국의 재권 수와 인구와의 비율이나 어떤 일정 수를 구하여 인구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추계 대상 기간이 아니라, 미리 구한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는, 단말기 수를 인구로 변환하기 위한 확대 계수를 기억한 확대 계수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이 인구 추계부(22)는,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관측 기간 길이, 및 확대 계수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인구, 및 인구를 추계하는 단위인 인구 추계 단위마다의 인구 중 적어도 한쪽을 추계해도 된다. 상기한 "인구 추계 단위"로서는, 예를 들면, 속성, 장소, 시간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확대 계수는, 확대 계수 기억 수단에 기억된 것을 사용해도 되고, 다음과 같이 하여 도출해도 된다. 확대 계수는, 일례로서, "재권율과 단말기의 보급률의 곱(즉, 인구에 대한 재권 수의 비율)"의 역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재권율"이란, 계약 대수에 대한 재권 수의 비율을 의미하고, "보급률"이란 인구에 대한 계약 대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확대 계수는, 상기한 인구 추계 단위마다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또한, 확대 계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추계된 단말기 수(재권 수)를 사용하여 도출해도 된다. 즉, 위치 데이터로부터 특징량을 구하고,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단말기 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 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는 동시에, 통계 데이터(예를 들면, 주민기본대장 등)로서 미리 구해진 동일한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에서의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 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에 있어서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률(즉, 재권 수/인구)을 산출한다. 여기서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률(즉, 재권 수/인구)"가, 전술한 "재권율과 단말기의 보급률의 곱"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률"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 계수를 산출하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로서는, 일례로서, 주소의 도도후켄(
Figure pct00006
)(일본의 행정구획 영역으로서, 시쵸손(
Figure pct00007
)이라도 된다)마다, 5세 또는 10세 단위 연령층마다, 남녀마다, 시간대로서 1시간마다 등을 채용해도 되고, 이들의 2개 이상을 조합한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확대 계수 산출 단위를 "도쿄토 거주의 20대의 남성"으로 한 경우, 일본 전국에서의, 도쿄토 거주의(즉,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토이다) 20대의 남성에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기 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 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는 동시에, 통계 데이터로부터 도쿄토 거주의 20대의 남성에 관한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경우, 일본 전국을 광역 영역으로 하고, 그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행정구획 영역을 도쿄토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을 때, "도쿄토 거주"라는 조건에 대해서는, 도쿄토에 재권하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토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사용자 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로부터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여기서는 도쿄토 거주의 20대의 남성)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률(즉, 재권 수/인구)을 산출하고,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률"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에서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와 인구 추계 단위가 같은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위치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단말기(예를 들면, 전원 오프 상태의 단말기나 권외에 위치하는 단말기 등)의 수를 고려한 다음, 추계 대상 기간 중의 관측 영역의 인구를 추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에서,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그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또한 대응시켜 축적부(12)에 저장하고, 주소 정보마다의 위치 데이터 기초하여, 통과 휴대 단말기나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고, 추계된 대수에 기초하여 통과 인원수나 체류 인원수를 추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주소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거주지에 관한 정보이다. 이 경우에는, 관측 영역에서의 통과 인원수 중, 어느 주소 정보를 가진 자에 대해서만 인원수를 추계할 수 있고, 또는 관측 영역 내에 체류하는 체류 인원수 중, 어느 주소 정보를 가진 자에 대해서만 인원수를 추계할 수 있다. 또는, 관측 영역에서의 통과 인원수를,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마다(예를 들면, 도도후켄마다 또는, 시쿠쵸손마다 등) 추계할 수 있고, 또는 관측 영역에서의 체류 인원수를,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마다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단말기 수로부터 인구를 산출할 때, 지역마다의 비율,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성별마다의 분포나 연령층별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1 실시예의 각 변형예에서, 기대 체재 시간이 소정 범위 내인 휴대 단말기를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하고, 그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인구를 산출할 수도 있다. 기대 체재 시간은,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는 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에, 기대 체재 시간을 소정 범위 내로 함으로써, 관측 영역 내에 소정 범위 내의 시간, 체재하고 있는 사람의 수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단말기 수로부터 인구를 산출할 때, 지역마다의 비율,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성별마다의 분포나 연령층별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단말기 수 추계부(20)에서의, 통과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에 의해 통과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통과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계수함으로써 산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기 수 추계부(20)에서의,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에 의해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체류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직접 계수함으로써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는, 기대 체재 시간이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이상인지, 또는 그것 미만 인지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를 구분하고, 대수의 추계 대상의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 추계 대상의 휴대 단말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2개의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사이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를 대수의 추계 대상의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관측 영역에 소정 시간만큼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 2개의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을 변화시켜 휴대 단말기를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소정의 체류 시간마다(예를 들면, 체류 시간이 0~1시간, 1~2시간, 2~3시간 … 등) 체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이 추계 결과는, 예를 들면, 각 체류 시간 길이와 그 체류 시간 길이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어떤 분석 대상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귀가하는 귀가 곤란자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귀가 곤란자란, 현재의 위치로부터 거주지(자택)까지의 거리가 멀고, 재해 발생 시에 공공 교통기관 등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귀가가 곤란해진 사람을 말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한, 동 시스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구성]
도 12에,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A)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A)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11A), 축적부(12A),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 관측 영역 취득부(14), 관측 대상 취득부(관측 대상 취득 수단)(15),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16A), 특징량 산출부(특징량 산출 수단)(17A),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기대 체재 시간 산출 수단)(18A),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25),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 분석 대상 기간 취득부(31),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 분석 대상 취득부(분석 대상 취득 수단)(33),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34),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35), 단말기 수 추계부(단말기 수 추계 수단)(36), 인원수 추계부(인원수 추계 수단)(37),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귀가 곤란자 수 추정 수단)(38), 및 출력부(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치 데이터 취득부(11A)는, 제1 실시예의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와 마찬가지로 위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그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대응시켜 축적부(12A)에 저장한다. 그리고, 주소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거주지에 관한 정보이다. 이 주소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대응된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축적부에 저장되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A)에 의해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적부(12A)는, 다수의 사용자(휴대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시각에 걸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는, 거주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에 의해 취득하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는, 예를 들면, 소정의 날의 심야대의 정보나, 현재로부터 이전 1개월간의 복수의 날의 심야대의 정보 등을 사용한다.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의 관측 영역 정보는, 예를 들면, 섹터 번호, 위도·경도, 지리적인 범위(예를 들면, 시쿠쵸손) 등으로서 부여되고,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취득되는 관측 영역 정보의 표현 형식과 위치 정보의 표현 형식을 대응시키는 정보(예를 들면, 섹터 번호와 위도·경도와의 대응 관계 정보 등)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측 대상 취득부(15)는, 축적부(12A)로부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거주 상태를 파악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는, 별도로 주어진 조건(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연령층 등)에 의해, 더욱 좁혀도 된다. 이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가, 특징량 산출부(17A)에서의 특징량의 산출 대상이 된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관측 대상 취득부(15)가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산출의 기초가 되는 것이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관측 대상 취득부(15)가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는 후술하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A)는, 제1 실시예에서의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와 마찬가지로,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이하 "제1 위치 데이터"라고 함)에 대하여, 그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이하 "제2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 및 그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이하 " 제3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A)는, 제2 또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적어도,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특징량 산출부(17A)는, 제1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특징량 산출부(17A)에서의 특징량의 산출 처리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특징량 산출부(17)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A)는, 제1 실시예의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특징량 산출부(17A)에 의해 산출된 특징량의 합계값을,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단위는 시간)으로서 산출한다. 여기서, 기대 체재 시간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위치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휴대 단말기마다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는, 3대의 휴대 단말기(식별 정보 c1, c2, c3)가 각각 위치 데이터를 송신한 타이밍이 나타나 있다(휴대 단말기가 실선 또는 파선으로 그려진 타이밍에서 위치 데이터가 송신된 것으로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가 실선으로 그려진 때 송신된 위치 데이터는, 거주 상태를 파악해야 할 관측 영역 내로부터 송신된 경우를 나타내고, 휴대 단말기가 파선으로 그려진 타이밍에서 송신된 위치 데이터는, 관측 영역 외부로부터 송신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실선 또는 파선으로 그려진 휴대 단말기의 아래에 기재된 숫자는, 휴대 단말기가 그려진 타이밍에서 송신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나타내고 있다. 관측 대상 기간은, 시각 t0에서부터 시각 t1로 한다. 이 관측 대상 기간은, 예를 들면, 심야대(오전 1시~오전 4시까지의 기간 등)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관측 대상 기간을 1기간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복수의 날의 심야대를 관측 대상 기간으로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기간이 관측 대상 기간으로서 설정되게 된다.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A)는, 어느 휴대 단말기에 대한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거주 상태를 파악해야 할 관측 영역 내로부터, 시각 t0에서부터 시각 t1까지의 관측 대상 기간 내에 송신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의 합계값을 구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식별 정보 c2인 휴대 단말기의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경우, 거주 상태를 파악해야 할 관측 영역 내로부터, 시각 t0에서부터 시각 t1까지의 관측 대상 기간 내에 송신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의 합계값 0.6이, 기대 체재 시간 k(c2)로서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식별 정보 c1인 휴대 단말기의 기대 체재 시간 k(c1)는 1이 되고, 식별 정보 c3인 휴대 단말기의 기대 체재 시간 k(c3)는 1이 된다.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는,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를 추정하여 리스트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A)에 의해 산출된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판정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고, 미리 정해진 판정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에 있어서, 관측 대상 기간 정보로서 복수의 날의 심야대의 정보가 취득되고,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A)에 의해 산출된 기대 체재 시간이 복수의 날에 걸쳐서 있는 경우, 복수의 날에 걸쳐서 산출된 기대 체재 시간의 합계의 값과 미리 정해진 판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휴대 단말기, 및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의 선택을 행한다. 여기서,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할 때 사용한 관측 대상 기간을 심야의 어느 시간대로 함으로써, 그 시간대에서의 기대 체재 시간의 합계값이 판정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를, 그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로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는, 관측 영역마다,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작성한다. 그리고, 어느 관측 영역에 대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작성하는 경우,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는, 그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만이 포함되는 리스트를 작성하거나, 또는 그 관측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휴대 단말기(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휴대 단말기, 및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에 대하여, 그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 인지의 여부의 정보를 부가한 리스트를 작성하거나 할 수 있다.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는 작성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에 저장한다.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관측 영역마다 저장한다.
분석 대상 기간 취득부(31)는,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분석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분석 대상 기간 취득부(31)에 의해 취득하는 분석 대상 기간 정보는, 예를 들면, 소정의 날의 어느 시간대의 정보라도 되고, 복수의 날의 어느 시간대의 정보라도 된다. 이 분석 대상 기간은,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에서 사용한 관측 대상 기간과는, 원칙적으로, 상이한 기간이다.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는,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의, 분석 대상 영역 정보는, 예를 들면, 위도·경도, 위도·경도를 포함하는 다각형 정보, 또는 지리적인 범위(예를 들면, 시쿠쵸손이나 메시 형태로 구획된 범위)를 나타낸 식별자(주소 코드) 등으로서 주어지고,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는, 취득되는 영역 정보의 표현 형식과 위치 정보의 표현 형식을 대응시키는 정보(예를 들면, 식별자와 위도·경도의 대응 관계 정보 등)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관측 영역 취득부(14)에서 사용한 관측 영역을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분석 대상 영역으로 한다. 따라서,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는 분석 대상 영역 정보로서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분석 대상 취득부(33)는, 축적부(12A)로부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대상의 영역인 분석 대상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는, 분석 대상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귀가 곤란자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한다. 여기서,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는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를 분석 대상 단말기로서 추출한다.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특정은,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위치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 내이고, 또한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 대상 기간 내인 휴대 단말기를 분석 대상 단말기로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는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를 분석 대상 단말기로서 추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외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A), 특징량 산출부(17A) 및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특징량에 기초하여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고, 분석 대상 기간 내의 기대 체재 시간이 소정의 판정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기를 분석 대상 단말기로서 추출할 수도 있다.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단말기로부터, 분석 대상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휴대 단말기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이 분석 대상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는,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본 실시예에서는, 관측 영역과 같은) 내인 휴대 단말기, 또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에 저장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본 실시예에서는, 분석 대상 영역과 같은)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서 판단되는 휴대 단말기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분석 대상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는,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인 휴대 단말기, 및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에 저장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서 판단되는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딘가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가 된다. 이로써, 분석 대상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 중, 분석 대상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가 제외된다.
여기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에 의해 선택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영역 내의 분석 대상 단말기를 "A",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 내인 휴대 단말기를 "C",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된 휴대 단말기를 "O"로 나타내고 있다.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분석 대상 단말기(A) 중, 주소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 내인 휴대 단말기(C), 또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된 휴대 단말기(O)를 제외한 휴대 단말기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즉,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분석 대상 단말기(A) 중, 휴대 단말기(C) 및 휴대 단말기(O) 중 어느 쪽도 아닌 휴대 단말기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이, 휴대 단말기(C) 및 휴대 단말기(O) 중 어느 쪽도 아닌 휴대 단말기란, 관측 영역(본 실시예에서는, 분석 대상 영역과 같은) 이외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가 된다.
단말기 수 추계부(36)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에 의해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주소 정보마다(추계 대상 영역마다) 추계한다. 그리고,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할 때 사용한 위치 데이터(축적부(12A)에 저장된 위치 데이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소 정보가 대응되어 있으므로, 이 주소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주소 정보마다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주소 정보마다" 추계할 때, 위치 데이터에 대응한 주소 정보마다(예를 들면, 시쿠쵸손마다 등) 추계를 행하거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한 주소 정보마다와는 상이하고,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추계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수 추계부(36)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부(20)과 같이, 위치 데이터마다 특징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특징량을 사용하여 대수의 추계를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 수 추계부(36)는, 추계 대상 기간을 예를 들면 1시간마다 변화시키면서, 각 추계 대상 기간 내에 대응하는 특징량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이로써, 시간대마다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인원수 추계부(37)는,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추계 대상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그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추계 대상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과, 단말기 수 추계부(36)에 의해 추계된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인원수를 주소 정보마다 추계한다. 이 재권 수와 인구의 비율은, 전술한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에서 사용한 것과 같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으로서, 귀가처가 분석 대상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의 사람의 수가, 주소 정보마다 추계된다.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는, 인원수 추계부(37)에 의해 추계된 주소 정보마다의 인원수와 분석 대상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대상 영역으로부터 주소 정보가 나타내는 거주지로의 귀가가 곤란해진 귀가 곤란자, 및 그 인원수를 추정한다. 이 추정은, 분석 대상 영역과 주소 정보가 나타내는 거주지와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사람을 귀가 곤란자로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분석 대상 영역과 주소 정보가 나타내는 거주지와의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 사람은, 분석 대상 영역 가까이 살고 있어 귀가가 가능한 인근 주민으로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인원수가 주소 정보마다 추계되어 있으므로,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주소 정보마다 추정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했을 때, 분석 대상 영역 내의 체류자를,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석 대상 영역에 사는 현지 주민, 분석 대상 영역의 가까이 거주하는 인근 주민, 분석 대상 영역에 체류하는 귀가 곤란자로 나누어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인근 주민의 인원수에 대해서도, 주소 정보마다 추정해도 된다.
출력부(39)는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에 의해 추정된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에 대한 정보 등을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출력한다. 여기에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하여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가 추정되어 있는 경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시 형태로 구획된 각 영역에 대하여, 체류하는 귀가 곤란자가 많은 영역을 진한 색, 체류하는 귀가 곤란자가 적은 영역을 옅은 색으로 나타낸 맵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해도 된다.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 처리]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 처리를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위치 데이터 취득부(11A)가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여 축적부(12A)에 저장한다(도 17의 단계 S51). 이로써, 축적부(12A)는 다수의 사용자(휴대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시각에 걸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51의 처리 실행 후, 단계 S52 이후의 처리는, 시간을 두고 실행해도 된다. 즉, 단계 S52 이후의 처리의 사전 준비로서, 단계 S51를 실행해도 된다.
다음에,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가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관측 영역 취득부(14)가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52).
다음에, 관측 대상 취득부(15)가, 축적부(12A)로부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 영역인 위치 데이터를,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단계 S53).
다음에, 취득된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단계 S54~S57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단계 S54~S57의 처리는, 제1 실시예에서 전후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S4, 특징량을 산출하는 단계 S5,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의 산출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6,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S7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가, 기대 체재 시간이 판정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기를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고, 선택한 휴대 단말기에 기초하여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작성한다(단계 S58). 그리고,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는 작성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에 저장한다(단계 S59). 이와 같이 하여,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특징량으로부터 기대 체재 시간을 구함으로써,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에 기초하여,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귀가 곤란자 추정 처리]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귀가 곤란자 추정 처리를 설명한다. 귀가 곤란자 추정 처리는, 전술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 처리 후에 행해지는 것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분석 대상 기간 취득부(31)가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분석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가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역 정보(본 실시예에서는 관측 영역 정보와 동일함)를 취득한다(단계 S61). 다음에, 분석 대상 취득부(33)가, 축적부(12A)로부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단계 S62). 이어서,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가 분석 대상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귀가 곤란자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한다(단계 S63).
다음에,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가, 분석 대상 단말기로부터, 분석 대상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휴대 단말기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단계 S64).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36)가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주소 정보마다 추계한다(단계 S65). 이어서, 인원수 추계부(37)가, 단말기 수 추계부(36)에 의해 추계된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인원수를 주소 정보마다 추계한다(단계 S66).
다음에,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가, 인원수 추계부(37)에 의해 추계된 주소 정보마다의 인원수와 분석 대상 영역에 기초하여, 귀가 곤란자 및 그 인원수를 추정한다(단계 S67). 그리고, 출력부(39)가 귀가 곤란자에 대한 정보 등을 출력한다(단계 S68).
이상,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을, 예를 들면, 심야의 소정 시간대로 한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특징량으로부터 얻어지는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여기서는, 분석 대상 영역과 동일함)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제외되고, 나머지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산출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 바꾸어 말하면, 다른 영역에서 분석 대상 영역으로 유입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분석 대상으로 한 분석 대상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분석 대상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제외된 나머지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마다 추계된다. 그리고, 주소 정보마다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인원수로 변환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 분석 대상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에 귀가하는 사람의 수를 귀가처가 되는 주소 정보마다 추계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 분석 대상 영역으로부터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분석 대상으로 한 분석 대상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 분석 대상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주소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를 제외한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수를 더욱 정확하게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인원수 추계부(37)가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인원수를 추계한 후,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가 귀가 곤란자를 추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인원수를 추계하는 순서는 반대라도 된다. 즉,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가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로부터 귀가 곤란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 후, 인원수 추계부(37)가 귀가 곤란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인원수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귀가 곤란자 등의 인원수를 산출할 때,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귀가 곤란자 등의 성별마다의 분포나 연령층별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어느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분석 대상 기간 내에, 어느 분석 대상 영역에 몇 사람 체류하고 있는지를 추계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므로, 시스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구성]
제3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A)의 기능 구성은, 도 12의 제2 실시예에서의 기능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A)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A)에서는, 제2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A)에 대하여, 특히,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가 분석 대상 영역으로서 취득하는 정보, 및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의 처리 내용이 상이하다. 그리고,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가 분석 대상 영역 정보로서 취득한 정보가 관측 영역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를 행하고,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가 분석 대상 영역 정보로서 취득한 정보가 관측 영역 정보와 다른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가,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작성하는 구성은, 제2 실시예와 같다. 이하에 있어서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25)에 의해 작성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를 사용하여, 귀가 곤란자를 추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석 대상 기간 취득부(31)는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분석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한다.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는, 제2 실시예와는 달리, 관측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인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한 정보를 분석 대상 영역 정보로서 취득한다.
분석 대상 취득부(33)는, 축적부(12A)로부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대상의 영역인 분석 대상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는, 분석 대상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귀가 곤란자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한다.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단말기 중, 관측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이 관측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는,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인 휴대 단말기, 또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에 저장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서 판단되는 휴대 단말기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관측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는,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인 휴대 단말기, 및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보관부(26)에 저장된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서 판단되는 휴대 단말기 중 적어도 어딘가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가 된다. 이로써, 분석 대상 영역 내의 휴대 단말기 중,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가 선택된다.
여기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에 의해 선택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19에서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영역 내의 분석 대상 단말기를 "A",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휴대 단말기를 "C",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게 된 휴대 단말기를 "O"로 나타내고 있다.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분석 대상 단말기(A) 중,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휴대 단말기(C), 또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된 휴대 단말기(O)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즉,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분석 대상 단말기(A) 중, 휴대 단말기(C) 및 휴대 단말기(O)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
단말기 수 추계부(36)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에 의해,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36)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부(20)와 같이, 위치 데이터마다 특징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특징량을 사용하여 대수의 추계를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 수 추계부(36)는, 추계 대상 기간을 예를 들면 1시간마다 변화시키면서, 각 추계 대상 기간 내에 대응하는 특징량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이로써, 시간대마다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인원수 추계부(37)는,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그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과, 단말기 수 추계부(36)에 의해 추계된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인원수를 추계한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으로서, 귀가처가 관측 영역인 사람의 수가 추계된다. 이로써,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사람이,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분석 대상 영역 내에 몇 사람 체류하고 있는지를 추계할 수 있다.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는, 관측 영역과 귀가 곤란자의 분석 대상으로 하고 분석 대상 영역의 거리에 기초하여, 귀가처가 관측 영역인 귀가자가 귀가 곤란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분석 대상 영역에서 귀가처인 관측 영역으로의 귀가자가, 귀가 곤란자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는, 인원수 추계부(37)에 있어서 추계된 분석 대상 영역에서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수를, 귀가 곤란자가 수로서 추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A)는, 어느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분석 대상 기간 내에, 어느 분석 대상 영역에 몇 사람 체류하고 있는지를 추계한다. 즉,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가,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역으로서 순차적으로 상이한 영역을 취득하고, 각 분석 대상 영역에 대하여 전술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인원수 추계부(37)에 있어서, 각 분석 대상 영역에서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이로써,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했을 때, 관측 영역 X에 귀가하는 사람이, 분석 대상 기간 내에, 어느 분석 대상 영역(Y1, Y2, …)에 체류하고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에 의해, 각 분석 대상 영역(Y1, Y2, …)에서 귀가처인 관측 영역(X)으로의 귀가가 곤란한 귀가 곤란자가 추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분석 대상 영역(Y1, Y2, …)으로부터 관측 영역(X)에 귀가하는 사람이 귀가 곤란자인지, 및 그 인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에서는, 예를 들면, 별표로 귀가 곤란자가 체류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는, 분석 대상 영역(Y2)에서 관측 영역(X)로의 귀가자가 귀가 곤란자로 되어 있다.
출력부(39)는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에 의해 추정된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에 대한 정보 등을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출력한다.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 처리]
제3 실시예에 따른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 처리는,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 처리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귀가 곤란자 추정 처리]
이하, 제3 실시예에 따른 귀가 곤란자 추정 처리를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분석 대상 기간 취득부(31)가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기 위한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분석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분석 대상 영역 취득부(32)가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71). 다음에, 분석 대상 취득부(33)가, 축적부(12A)로부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분석 대상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단계 S72). 이어서,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34)가, 분석 대상 취득부(33)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귀가 곤란자에 대한 분석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한다(단계 S73).
다음에,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가, 분석 대상 단말기로부터, 관측 영역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한다(단계 S74).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36)가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단계 S75). 이어서, 인원수 추계부(37)가, 단말기 수 추계부(36)에 의해 추계된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관측 영역에 귀가하는 인원수를 추계한다(단계 S76).
다음에,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가, 관측 영역과 귀가 곤란자의 분석 대상으로 하고 분석 대상 영역의 거리에 기초하여, 귀가처가 관측 영역인 귀가자가 귀가 곤란자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귀가 곤란자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계한다(단계 S77). 그리고, 출력부(39)가 귀가 곤란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단계 S78).
이상,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을, 예를 들면, 심야의 소정 시간대로 한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거주지 추정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특징량으로부터 얻어지는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가 추출되고, 추출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산출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 바꾸어 말하면, 거주지인 관측 영역에서 분석 대상 영역으로 유출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분석 대상 영역에서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추계되고,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인원수로 변환된다. 즉,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람의 수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귀가처인 관측 영역까지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 및 그 인원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재해가 발생한 경우에, 분석 대상 영역에서 관측 영역으로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예측을 행할 수 있다. 즉, 어느 관측 영역에 거주하는 주민이, 분석 대상 기간 내에, 어느 분석 대상 영역에 몇 사람 체류하고 있는지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중,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한다. 이로써,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중,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더욱 정확히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서, 인원수 추계부(37)가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인원수를 추계한 후,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가 귀가 곤란자를 추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인원수를 추계하는 순서는 반대라도 된다. 즉,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38)가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으로서 선택된 휴대 단말기로부터 귀가 곤란자의 추정을 행한 후, 인원수 추계부(37)가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인원수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휴대 단말기(C), 또는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된 휴대 단말기(O)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였지만,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된 휴대 단말기(O)만을,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분석 대상 영역에서 거주지인 관측 영역으로 귀가하는 귀가자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35)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소 정보가 관측 영역 내인 휴대 단말기(C), 및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에 의해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된 휴대 단말기(O)를, 귀가 곤란자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더욱 양호한 정밀도로, 관측 영역을 거주지로 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부터 귀가 곤란자 등의 인원수를 산출할 때,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귀가 곤란자 등의 성별마다의 분포나 연령층별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에,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위치 등록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와, GPS 신호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GPS 신호에 따른 위치 데이터로부터 추계되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하는 것이다. 제4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의 시스템 구성과 동일하므로, 시스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구성]
다음에,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B)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B)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11), 축적부(12),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 관측 영역 취득부(14), 관측 대상 취득부(관측 대상 취득 수단)(15B),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16B), 특징량 산출부(특징량 산출 수단)(17B),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기대 체재 시간 산출 수단)(18B),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19B), 단말기 수 추계부(단말기 수 추계 수단, 제1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 제2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20B), 대수 보정부(대수 보정 수단)(50), 단말기 수 출력부(21B), 및 보정 계수 산출부(보정 계수 산출 수단)(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B)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는 위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여 축적부(12)에 저장한다. 여기에서의 위치 데이터는, 위치 등록 신호에 의해 구해지는 위치 정보(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제1 등록 위치 데이터)와, 휴대 단말기가 GPS를 이용한 경우에, GPS 측위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GPS 신호 위치 데이터(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위치 등록 신호는, 소정의 주기로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고, 또한 예를 들면, BTS(200)의 안테나의 세력 범위를 넘은 영역을 넘을 때나, 휴대 단말기의 발신 시, 휴대 단말기의 전원의 온오프 시 등의 제1 조건에 따라,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다. 그리고, 소정의 주기로 송신되는 위치 등록 신호의 송신 주기는, 본 실시예에서는, 약 1시간마다로 한다. 또한, GPS 측위 시스템에 의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GPS를 이용한 경우, 및 휴대 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자동으로 GPS를 이용한 경우 등의 제2 조건에 따라 취득된다. GPS 신호 위치 데이터가 생성되는 타이밍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송신된 위치 등록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의 생성 타이밍보다 짧은 타이밍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가 자동으로 GPS를 이용하거나, 사용자가 GPS를 이용하거나 하는 GPS의 이용 간격이, 위치 등록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보다 짧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23의 (a)에,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고, 도 23의 (b)에, GPS 신호 위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낸다.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위치 등록 신호에 의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섹터 번호)와,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 시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가 "B"인 휴대 단말기의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는, 섹터 번호가 "S4", 위치 취득 시각이 "t1"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S 신호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GPS의 이용에 의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위도·경도)와,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 시각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가 "A"인 휴대 단말기의 GPS 신호 위치 데이터는, 위도·경도가 "X4, Y5", 위치 취득 시각이 "t4"가 되어 있다.
축적부(12)는 다수의 사용자(휴대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시각에 걸친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 및 GPS 신호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관측 대상 취득부(15B)는, 축적부(12)에 저장된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 중에서, 위치 취득 시각이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는, 후술하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또한, 관측 대상 취득부(15B)는, 축적부(12)에 저장된 GPS 신호 위치 데이터 중에서, 위치 취득 시각이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GPS 신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GPS 신호 위치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 분포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가 되고, 또한 후술하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B)는, 관측 대상 취득부(15B)에 의해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가 취득된 후, 제1 실시예에서의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와 마찬가지로,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에 대한 전후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특징량 산출부(17B)가 각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B)가, 제1 실시예에서의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와 마찬가지로,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에 따른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B)는, 관측 대상 취득부(15B)에 의해 GPS 신호 위치 데이터가 취득된 후, 제1 실시예에서의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16)와 마찬가지로, GPS 신호 위치 데이터에 대한 전후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고, 특징량 산출부(17B)가 각 GPS 신호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B)가, 제1 실시예에서의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와 마찬가지로, GPS 신호 위치 데이터에 따른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한다.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19B)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B)에 의해 산출된 위치 등록 신호에 따른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하여, 체재 시간마다 그룹 분류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19B)는, 먼저,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B)에 의해 산출된 기대 체재 시간이 1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그룹, 기대 체재 시간이 2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그룹, 기대 체재 시간이 3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그룹, … 과 같이, 기대 체재 시간마다 휴대 단말기를 그룹 분류한다. 즉,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휴대 단말기 군(A)을,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기대 체재 시간마다의 그룹(B1, B2, B3, …)으로 나눈다. 여기에서의 그룹 분류는, 기본적으로, 약 1시간 단위로 위치 등록 신호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므로, 이 위치 등록 신호의 송신 주기에 맞추어 그룹 분류를 행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단, 그룹 분류의 시간 폭은, 위치 등록 신호의 송신 주기에 맞추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적절한 시간 폭으로 그룹 분류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B)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그룹(B1, B2, B3, …)마다, 휴대 단말기의 대수(C1, C2, C3, …)를 추계한다. 이 대수의 추계는,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부(20)에서의 대수의 추계 처리와 마찬가지로, 추계 대상 기간 내에서의 특징량을 사용하여 대수를 추계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B)가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사용하는 추계 대상 기간은,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에 의해 취득되는 관측 대상 기간으로 한다.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B)는, 추계한 휴대 단말기의 대수에 기초하여,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제1 체재 시간 분포)를 산출한다. 이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축을 체재 시간으로 하고, 세로축을 휴대 단말기의 대수라고 한, 막대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25에서, 가로축의 체재 시간은, 기대 체재 시간에 대응한다. 도 25에서, 예를 들면, 체재 시간이 1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막대 그래프 X1이 나타내는 대수)는, 도 24에서의 대수 C1에 대응하고, 체재 시간이 2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막대 그래프 X2가 나타내는 대수)는, 도 24에서의 대수 C2에 대응한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낸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 있어서, 체재 시간이 1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낸 막대 그래프 X1은, 관측 대상 기간에 있어서, 기대 체재 시간이 0시간 이상 1시간 미만을 만족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는, 기대 체재 시간이 1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는, 기대 체재 시간이 30분 이상 1시간 30분 미만을 만족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체재 시간이 2시간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낸 막대 그래프 X2는, 관측 대상 기간에 있어서, 기대 체재 시간이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을 만족시키는 휴대 단말기 중, 추계 대상 기간 내에 위치 등록 신호가 취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단말기 수 추계부(20B)는, 도 25에 나타낸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구하기 위한 식 L(t)를 구한다. 이 식 L(t)는, 도 25에 나타낸 막대 그래프에 대응하고, 체재 시간(t)을 변수로 하는 함수로서 구할 수 있다.
또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19B)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B)에 의해 산출된 GPS 신호에 따른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하여, 체재 시간마다 그룹 분류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19B)는, 위치 등록 신호에 따른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하여 그룹 분류를 행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먼저,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B)에 의해 산출된 기대 체재 시간이 5분인 휴대 단말기의 그룹, 기대 체재 시간이 10분인 휴대 단말기의 그룹, 기대 체재 시간이 15분인 휴대 단말기의 그룹, …과 같이, 기대 체재 시간마다 휴대 단말기를 그룹 분류한다. 여기에서의 그룹 분류는, GPS 위치 데이터가 생성되는 타이밍 등을 고려하여, 5분 단위로 그룹 분류를 행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단, 그룹 분류의 시간 폭은 5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한 시간 폭으로 그룹 분류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B)는, 그룹 분류를 행한 그룹마다, 각각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이 대수의 추계는,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부(20)에서의 대수의 추계 처리와 마찬가지로, 추계 대상 기간 내에서의 특징량을 사용하여 대수를 추계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B)가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사용하는 추계 대상 기간은,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에 의해 취득되는 관측 대상 기간으로 한다.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B)는,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제2 체재 시간 분포)을 산출한다. 이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축을 체재 시간으로 하고 세로축을 휴대 단말기의 대수로 한, 막대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26에서, 가로축의 체재 시간은 기대 체재 시간에 대응한다.
도 26에 나타낸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 있어서, 체재 시간이 5분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낸 막대 그래프 Y1는, 관측 대상 기간에 있어서, 기대 체재 시간이 0분 이상 5분 미만을 만족시키는 휴대 단말기 중, 추계 대상 기간 내에 GPS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체재 시간이 10분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낸 막대 그래프 Y2는, 관측 대상 기간에 있어서, 기대 체재 시간이 5분 이상 10분 미만을 만족시키는 휴대 단말기 중, 추계 대상 기간 내에 GPS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26에서, 막대 그래프의 개수는, 그래프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개수(5분 단위로 그룹 분류를 행한 경우에서의 1시간당 12개)보다 적게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B)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서의 체재 시간마다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에 대한 근사 곡선 G(t)를 구한다. 여기서, GPS 신호 위치 데이터는, GPS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이고, 또한 그 휴대 단말기가 GPS를 이용한 경우에 취득 가능해지므로, 취득되는 수가 적고 편차가 큰 것 등이 상정된다. 그래서, 근사 곡선을 구함으로써, 편차 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근사 곡선 G(t)는, 체재 시간(t)을 변수로 하는 함수로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부(20B)에서,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에 따른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도 25 참조)와, GPS 신호 위치 데이터에 따른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도 27 참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는,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계수의 산출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를 산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사용되고, 보정 계수에 의해 보정됨으로써, 보정 후의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가 되는 것이다.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단말기 수 추계부(20B)에 의해 구해진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위치 등록 신호를 송신한 휴대 단말기를 모수(母數)라고 하면, GPS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는 모수에 대한 표본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수로서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위치 등록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모수에 대한 표본으로서의 휴대 단말기가 GPS를 이용한 것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는 상관관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먼저,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로부터, 보정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을 결정한다. 이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은, 예를 들면,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도 25)를 참조하고, 휴대 단말기의 대수가 많은 기간이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을, 1시간 이상 3시간 미만으로 한다. 단,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 근거하지 않는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 있어서, 체재 시간이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1시간 이상 3시간 미만)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총계를 구한다. 이것을,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구하기 위한 식 L(t)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아래의 식(7)의 좌변으로 표현된다.
Figure pct00008
즉, 도 28의 (a)에 나타낸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에서는, 체재 시간이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낸 막대 그래프 X2의 면적과, 체재 시간이 2시간 이상 3시간 미만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나타낸 막대 그래프 X3의 면적의 총계를 구하게 된다.
다음에,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 있어서, 체재 시간이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1시간 이상 3시간 미만)인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총계를 구한다. 이것을, 근사 곡선 G(t)를 사용하여 나타내면, 상기한 식 (7)의 우변 중, "k"를 제외한 식으로 표현된다. 즉, 도 28의 (b)에 나타낸 근사 곡선 G(t)를 나타낸 그래프에 있어서, 체재 시간이 1~3시간에 있어서의 근사 곡선 G(t)과 가로축과의 사이의 영역 Y의 면적을 구하게 된다.
다음에,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의 상관을 취하기 위해, 전술한 식 (7)을 만족시키는 계수(k)의 값을 구한다. 이 계수(k)가,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계수(k)가 된다.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보정 계수(k)의 산출 후, 산출한 보정 계수를 대수 보정부(50)에 출력한다. 대수 보정부(50)는, 보정 계수 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보정 계수(k)를 취득하고, 또한 단말기 수 추계부(20B)에 의해 구해진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서의 근사 곡선 G(t)를 취득한다. 그리고, 대수 보정부(50)는, 하기의 식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계수(k)를 근사 곡선 G(t)와 승산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보정한다.
k×G(t) (8)
또한, 보정 후의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는, 도 29에 나타낸 그래프로 나타낼 수도 있다.
단말기 수 출력부(21B)는 대수 보정부(50)에 의해 보정된 보정 후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 산출 처리]
이하, 본 실시예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 산출 처리를 설명한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위치 데이터 취득부(11)가,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와 GPS 신호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고, 축적부(12)에 저장한다(단계 S81).
다음에, 관측 대상 기간 취득부(13)가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세트를 포함하는 관측 대상 기간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관측 영역 취득부(14)가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82).
다음에, 관측 대상 취득부(15B)가, 축적부(12)에 저장된 GPS 신호 위치 데이터 중에서, 위치 취득 시각이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 및 GPS 신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83).
다음에, 취득된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 및 GPS 신호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단계 S84~S87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 단계 S84~S87의 처리는, 제1 실시예에서 전후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S4, 특징량을 산출하는 단계 S5,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의 산출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6, 기대 체재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S7의 처리와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19B)가, 위치 등록 신호에 따른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하여 체재 시간마다 그룹 분류를 행하고, 또한 GPS 신호에 따른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하여 체재 시간마다 그룹 분류를 행한다(단계 S88).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B)가, 각 그룹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하고,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나타내는 식 L(t) 및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근사 곡선 G(t)를 산출한다(단계 S89).
이어서, 보정 계수 산출부(60)가,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나타내는 식 L(t) 및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근사 곡선 G(t)에 기초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한다(단계 S90). 대수 보정부(50)는, 보정 계수(k)와 근사 곡선 G(t)를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보정한다(단계 S91). 그리고, 단말기 수 출력부(21B)가, 대수 보정부(50)에 의해 보정된 보정 후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출력한다(단계 S92).
[보정 계수(k) 산출 처리]
이하, 도 30의 단계 S90에서 보정 계수(k)를 산출하는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을 결정한다(단계 S101). 다음에,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단말기 수 추계부(20B)로부터,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나타내는 L(t)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근사 곡선 G(t)를 취득한다(단계 S102, S103).
그리고,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과 식 L(t)와 근사 곡선 G(t)를 사용하여, 전술한 식 (7)에 따라, 보정 계수(k)를 산출한다(단계 S104). 보정 계수(k)의 산출 후, 보정 계수 산출부(60)는 산출한 보정 계수(k)를 대수 보정부(50)에 출력한다(단계 S105).
이상,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수 추계부(20B)가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에 따른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GPS 신호 위치 데이터에 따른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나타내는 식 L(t)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의 근사 곡선 G(t)를 사용하여, 보정 계수 산출부(60)가 보정 계수(k)를 산출한다. 이 보정 계수(k)는, GPS 신호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계되는 체재 시간마다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위치 등록 신호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대수 보정부(50)가, 보정 계수(k)를 사용하여, GPS 신호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체재 시간마다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더욱 정확하게 추계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
전술한 제4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B)는, 제1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계 대상 기간 중의 관측 영역에서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부(인구 추계 수단)(22)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인구 추계부(22)는,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그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예를 들면, 추계 대상 기간 중의 관측 영역을 포함하는 광역 영역(예를 들면, 일본 전국)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재권 수와 이 행정구획 영역(예를 들면, 도쿄토)인구의 비율)과, 대수 보정부(50)에 의해 얻어진 단말기 수에 기초하여 인구를 추계한다. 이로써,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로부터, 체재 시간마다의 인원수를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수와 인구의 비율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 범위의 지역에서의 인구"에서 차지하는 "위치 데이터를 얻은 특정한 통신 사업자의 계약 단말기 수"의 비율인 "단말기 계약율"을 사용해도 된다. 이때, 상기한 비율(단말기 계약율 도 포함함)에 대해서는, 지역마다의 비율,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계 대상 기간 중의 전국의 재권 수와 인구의 비율이나 어떤 일정 수를 구하여 인구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추계 대상 기간이 아니고, 미리 구한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에서,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그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또한 대응시켜 축적부(12)에 저장하고, 주소 정보마다의 위치 데이터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추계하고, 추계된 대수 분포에 기초하여 인구를 추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어느 주소 정보를 가진 자에 대한, 체재 시간마다의 인원수 분포를 추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단말기 수로부터 인구를 산출할 때, 지역마다의 비율,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성별마다의 분포나 연령층별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 대수 보정부(50)가,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보정 계수(k)에 의해 보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보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보정 계수(k)로 제산함으로써, 체재 시간 분포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단말기 수 추계부(20B)에서,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산출하고, 대수 보정부(50)가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를 보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 보정 대상은,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GPS 신호 체재 시간 분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 영역 내에 소정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가, 관측 대상 기간 중의 각 시각에 몇 대 존재하고 있었는지를 나타낸 분포를 사용해도 된다. 즉, 도 33에서는, 소정 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만이 나타나 있다. 이 분포는, 시각(t)을 변수로 하는 함수로서 구할 수 있다. 이 분포를 구하는 경우, 먼저,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19B)가, GPS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하여, 체재 시간이 소정 시간인 휴대 단말기(예를 들면, 1~3시간 체재한 휴대 단말기)를 추출한다. 다음에, 단말기 수 추계부(20B)가,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부(20)에서의 대수의 추계 처리와 마찬가지로, 추계 대상 기간 내에서의 특징량을 사용하여 대수를 추계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B)가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사용하는 추계 대상 기간을 5분 간격으로 하고, 관측 기간 내에 있어서 추계 대상 기간을 5분 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이로써, 관측 영역 내에 소정 시간만큼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가, 관측 대상 시간 중의 각 시각(여기서는, 5분마다의 시각)에 있어서 몇 대 존재하고 있었는지를 나타낸 분포를 구할 수 있다. 이 구해진 분포의 근사 곡선 G1(t)를 산출하고, 이 근사 곡선 G1(t)에 대하여, 보정 계수 산출부(60)에 의해 산출된 보정 계수(k)를 승산함으로써, 각 시각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한다. 그리고, 관측 영역 내에 소정 시간(예를 들면, 1~3시간)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의 각 시각에서의 대수 분포를 보정 계수(k)로 보정하는 경우, 보정 계수(k)를 산출할 때 사용하는 보정 계수 산출 대상 기간으로서, 각 시각에서의 대수 분포를 구한 휴대 단말기가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고 있었던 소정 시간(예를 들면, 1~3시간)을 사용하여, 보정 계수(k)를 구한다. 이로써, 관측 영역 내에 소정 시간만큼 체재하고 있었던 휴대 단말기에 있어, 관측 대상 시간 중의 각 시각에서의 대수 분포를 더욱 정확하게 구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에서도, 제4 실시예에서 구한 도 25에 나타낸 위치 등록 신호 체재 시간 분포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19)가,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18)에 의해 산출된 휴대 단말기마다의 기대 체재 시간을 사용하여, 체재 시간마다(예를 들면, 1시간마다) 그룹 분류를 행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그룹마다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한다. 그리고,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사용하는 추계 대상 기간은 관측 대상 기간으로 한다. 이로써,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에서도,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단말기 수 추계 장치(10)에서도, 체류 휴대 단말기 및 통과 휴대 단말기 각각에 대하여,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시각에서의 대수 분포를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 추계부(20)가, 예를 들면, 체류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각 시각에서의 대수를 추계할 때, 추계 대상 기간을 예를 들면, 5분마다 변화시키면서, 각 추계 대상 기간 내에 대응하는 특징량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함으로써, 시간대마다의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수 있다. 이로써,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 영역 내에 체류하고 있던 휴대 단말기가, 관측 대상 시간 중의 각 시각에 있어서 몇 대 존재하고 있었는지를 나타낸 분포를 구할 수 있다. 동일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과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도 각 시각에서의 대수 분포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4 실시예에서, 전술한 식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단말기 수 추계부(20, 20B)는,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wij) 각각을 2로 나누어서, (특징량(wij)/2)의 총계를 구하고, 구한 총계를 추계 대상 기간 길이(T)로 나누어서 얻어진 수치를 단말기 수로서 추계해도 된다. 단,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wij)의 총계를 추계 대상 기간 길이(T)의 2배로 나누어 계산 방법 쪽이, 제산의 횟수가 압도적으로 적기 때문에,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대 체재 시간을 구하기 위해 산출하는 특징량의 산출 방법에 대하여도,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0시에서 1시, 1시에서 2시, … , 23시에서 24시, 각 시간 길이에 있어서 취득된 위치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마다 계수하고, 휴대 단말기마다의 각 시간 길이에서의 위치 데이터의 수의 역수를, 각 시간 길이 내의 위치 데이터의 가중치(weight)로서 설정한다. 이 가중치의 값을,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특징량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특징량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의 전후의 위치 데이터의 시간차(제2 위치 데이터와 제3 위치 데이터의 시간 차)를,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으로서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것을 식에서 나타내면, 특징량은, 아래의 식 (9)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아래의 식 (9)는, 전술한 식 (4)을 변형한 뿐이며, 식 (4)와 등가이다(즉, 식 (4)의 개념을 변경한 것은 아니다).
wij=ui (j+1)―ui (j―1) (9)
본 변형예는, 특징량 산출부(17)에서 산출되는 특징량의 산출 방법의 다른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특징량 산출부(17)는, 상기한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을 구하는 경우,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種別)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생성 타이밍)을 고려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징량 산출부(17)는, 제3 위치 데이터와 제1 위치 데이터의 시간차에 대하여, 제3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여기서는 생성 요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α를 승산한 값을 산출하고, 또한 제1 위치 데이터와 제2 위치 데이터의 시간차에 대하여, 제2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여기서는 생성 요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β를 승산한 값을 산출한다. 단, 상기 이외에, 특징량 산출부(17)는, 제1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α 또는 β을 정해도 되고, 또한 제1 및 제2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β를 정해도 되고, 제1 및 제3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α를 정해도 된다. 그리고, 특징량 산출부(17)는, 이들의 승산으로 얻어진 값을 합산한 값을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으로 한다. 특징량 산출부(17)에서의 특징량의 산출 처리를 식으로 나타내면, 이하의 식 (10)으로 표현된다.
wij=α(ui (j+1)―uij)+β(uij―ui (j―1)) (10)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정보인 경우, 그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고, 이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는,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요인으로서는,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Location Area)경계를 넘은 것,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위치 등록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 단말기의 전원 온 등에 의한 접속(attach) 처리의 실행, 단말기의 전원 오프 등에 의한 접속해제(detach) 처리의 실행 등이 들 수 있고, 이들의 생성 요인으로 대응하여, 보정 계수α 및β의 설정 값을 미리 정해 둔다. 그리고, 특징량 산출부(17)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보정 계수α를 설정하고, 제2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2 위치 데이터에 대한 보정 계수 β를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보정 계수 α, β는 모두, 0 이상 2 이하의 값으로 미리 정해 두어도 된다. 단, 이 수치 범위는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위치 등록에 기초한 위치 등록 정보와 같이 단말기의 위치와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계기가 무관계한 위치 등록 정보의 경우에는,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었던 시간의 기대값은, 그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의 전후에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단말기가 넘음으로써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의 경우, 적어도 그 위치 등록 정보가 생성되기 전은, 단말기는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위치 등록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 단말기가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었던 시간을 0으로 생각해, 제1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생성 요인)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 넘음"이면, 상기 식 (10)에서의 보정 계수β(즉, 직전의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에 관한 보정 계수 β)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실태에 적합한 특징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징량 산출부(17)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경우, 제1 위치 데이터의 전후의 위치 데이터인 제2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계수(k) 정보(일례로서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따라, 제2 위치 데이터와 제3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를 보정하고, 보정한 시간차를 사용하여 특징량을 산출한다. 이로써,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더욱 양호한 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10, 10A: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1, 11A: 위치 데이터 취득부(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 15, 15B: 관측 대상 취득부(관측 대상 취득 수단), 16, 16A: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 17, 17A: 특징량 산출부(특징량 산출 수단), 18, 18A: 기대 체재 시간 산출부(기대 체재 시간 산출 수단), 19: 통과 체류 단말기 선택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 19B: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 20, 20B: 단말기 수 추계부(단말기 수 추계 수단, 제1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 제2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 22: 인구 추계부(인구 추계 수단), 25: 추정 거주지 단말기 리스트 작성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 33: 분석 대상 취득부(분석 대상 취득 수단), 34: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부(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 35: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부(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 36: 단말기 수 추계부(단말기 수 추계 수단), 38: 귀가 곤란자 수 추정부(귀가 곤란자 수 추정 수단), 50: 대수 보정부(대수 보정 수단), 60: 보정 계수 산출부(보정 계수 산출 수단).

Claims (19)

  1.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
    상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체재(滯在)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상기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 수단;
    상기 관측 대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 취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특징량 산출 수단;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상기 특징량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특징량의 합계값을,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하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 수단;
    상기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하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 및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하는 단말기 수 추계 수단
    을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상기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미만인 휴대 단말기를, 상기 관측 영역을 통과하는 통과 휴대 단말기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통과 휴대 단말기를 상기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상기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이상인 휴대 단말기를, 상기 관측 영역에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체류 휴대 단말기를 상기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상기 기대 체재 시간이 미리 정해진 2개의 통과 체류 판정 임계값 사이에 포함되는 휴대 단말기를, 상기 관측 영역에 체류하는 체류 휴대 단말기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체류 휴대 단말기를 상기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추계할 때, 미리 정해진 추계 대상 기간 내에서의 대수의 추계를 행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사용자 속성을 가지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사용자 속성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사용자 속성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행정구획 영역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분석 대상 취득 수단과;
    상기 분석 대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상기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하고,
    상기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제외한 휴대 단말기를,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할 때,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추계 대상 영역마다 대수를 추계하는 것이고,
    상기 추계 대상 영역마다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추계 대상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추계 대상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추계 대상 영역마다의 인원수를 추계하는 인원수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원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추계 대상 영역마다의 인원수와, 상기 관측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영역에서 상기 추계 대상 영역으로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귀가 곤란자 수 추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상기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상기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를 제외한 휴대 단말기를,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상기 위치 정보가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분석 대상 취득 수단과;
    상기 분석 대상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분석 대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분석해야 할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하는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상기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정하고,
    상기 분석 대상 단말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분석 대상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추출하고, 추출한 휴대 단말기를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관측 대상 영역을 주소 정보로 하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하나의 관측 대상 영역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기간 내에 상기 분석 대상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 중에서,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인원수를 추계하는 인원수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원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상기 분석 대상 기간 내에 분석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사람 중에서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인원수와, 상기 분석 대상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분석 대상 영역에서 상기 관측 영역까지의 귀가가 곤란해지는 귀가 곤란자의 인원수를 추정하는 귀가 곤란자 수 추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수단은, 상기 분석 대상 단말기 중에서, 상기 관측 영역 내에 거주하는 것으로서 추정된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분석 대상 단말기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데이터의 주소 정보가 상기 관측 영역 내인 분석 대상 단말기를 추출하고, 추출한 휴대 단말기를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한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로서 선택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이 취득하는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등록한 제1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등록 위치 데이터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등록한 제2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관측 대상 취득 수단은, 상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상기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상기 제2 등록 위치 데이터를,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체재 시간 분포를 산출하는 제1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
    상기 제2 등록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영역 내에 체재하는 휴대 단말기의 체재 시간과 체재 시간마다의 대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체재 시간 분포를 산출하는 제2 체재 시간 분포 산출 수단;
    상기 제1 체재 시간 분포와 상기 제2 체재 시간 분포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수를 보정하는 보정 계수를 산출하는 보정 계수 산출 수단; 및
    상기 보정 계수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보정을 행하는 대수 보정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수 추계 수단에 의해 추계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와, 미리 정해진 광역 영역에서의 하나의 사용자 속성을 가지는 단말기의 재권 수와 상기 광역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하나의 사용자 속성에서의 통계 데이터에 따른 인구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사용자 속성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어느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인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인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특징량 산출 수단은,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상기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및 상기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 중 2개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단말기 수 추계 장치.
  19. 단말기 수 추계 장치에서 실행되는 단말기 수 추계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
    상기 위치 취득 시각 정보가 체재를 관측해야 할 관측 대상 기간 내이고, 또한 상기 위치 정보가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 내인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 단계;
    상기 관측 대상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 취득 시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특징량 산출 단계;
    휴대 단말기의 식별 정보마다, 상기 특징량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특징량의 합계값을, 체재 시간을 나타내는 기대 체재 시간으로서 산출하는 기대 체재 시간 산출 단계;
    상기 기대 체재 시간에 기초하여, 대수의 추계 대상이 되는 휴대 단말기를 선택하는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추계 대상 단말기 선택 단계에 의해 선택된 휴대 단말기의 대수의 추계를 행하는 단말기 수 추계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수 추계 방법.
KR1020137008675A 2011-01-31 2012-01-30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KR20130052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8867 2011-01-31
JPJP-P-2011-018867 2011-01-31
JPJP-P-2011-127492 2011-06-07
JP2011127492 2011-06-07
PCT/JP2012/052030 WO2012105516A1 (ja) 2011-01-31 2012-01-30 端末数推計装置及び端末数推計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014A true KR20130052014A (ko) 2013-05-21

Family

ID=4660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675A KR20130052014A (ko) 2011-01-31 2012-01-30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03377A1 (ko)
EP (1) EP2672737A1 (ko)
JP (1) JP5553913B2 (ko)
KR (1) KR20130052014A (ko)
CN (1) CN103299659A (ko)
WO (1) WO2012105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5476B2 (ja) * 2012-08-31 2016-07-05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79185B2 (en) * 2013-03-14 2015-11-03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a number of people in an area
US9208781B2 (en) * 2013-04-05 2015-1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ng speech recognition acoustic models with environmental and social cues
CN104349274A (zh) * 2013-08-07 2015-02-11 王方淇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6090929B2 (ja) * 2013-09-10 2017-03-08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推定値算出装置、推定値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81180B2 (en) * 2013-12-20 2017-10-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distributing broadcasted content
JP6367588B2 (ja) * 2014-03-28 2018-08-01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201802A (ja) * 2014-04-09 2015-11-1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基地局制御方法
CN104486773B (zh) * 2014-12-05 2018-09-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预测基站下终端数的方法及装置
JP6506572B2 (ja) * 2015-03-09 2019-04-24 Kddi株式会社 商圏に応じて店舗の期待成約人数を推定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CN104950716B (zh) * 2015-06-12 2017-11-1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方法及装置
DE102016110331B3 (de) * 2016-06-03 2017-06-22 CooDriver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Ermitteln von Risikobereichen im Straßenverkehr
JP6431116B2 (ja) * 2017-03-30 2018-11-28 株式会社ゼンリンデータコム 推定値算出装置、推定値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388684B (zh) * 2018-10-23 2020-07-0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US11012163B1 (en) * 2019-03-08 2021-05-18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Apparatus and methods for fast and accurate near-field measurement
JP7229863B2 (ja) * 2019-06-25 2023-02-28 Kddi株式会社 時間帯毎に各エリアに滞在するユーザ数を推定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16897A4 (en) * 2000-08-07 2007-03-28 Sharp Kk SERVER DEVICE FOR PROCES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END DEVICE POSITION INFORMATION
JP2002342557A (ja) * 2001-05-14 2002-11-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携帯端末の位置情報に基づく人口分布統計処理システム
JP2003044969A (ja) 2001-08-01 2003-02-14 Marubeni Energy Corp 緊急対策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091629A (ja) * 2001-09-18 2003-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ーケティング情報作成装置及びマーケティング情報作成方法
JP2003122877A (ja) * 2001-10-09 2003-04-25 Oki Electric Ind Co Ltd 地域内人口算出システム
KR100608776B1 (ko) * 2004-04-27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네트워크에서의 위치등록 영역 설정 방법
JP4389987B2 (ja) * 2007-09-12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配信装置、情報受信装置、情報配信方法、情報受信方法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JP2010221456A (ja) 2009-03-23 2010-10-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567001B2 (ja) * 2009-04-01 2014-08-06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機、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EP2418616A4 (en) * 2009-04-06 2013-07-17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05516A1 (ja) 2014-07-03
US20130203377A1 (en) 2013-08-08
EP2672737A1 (en) 2013-12-11
JP5553913B2 (ja) 2014-07-23
CN103299659A (zh) 2013-09-11
WO2012105516A1 (ja)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2014A (ko)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US8942724B2 (en) Number of terminal estimation device and number of terminal estimation method
RU2540824C2 (ru) Устройство агрегации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и способ агрегации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JP5632929B2 (ja) 入込端末数推計装置および入込端末数推計方法
KR101976189B1 (ko) 유동 인구의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20220274A1 (en) Positio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position information analysis method
US8903791B2 (en)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and statistical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CN106464706A (zh) 用于通过可从电信网络获得的数据识别显著地点的方法和系统
US20130173346A1 (e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US20140372172A1 (en) Method and computer system to forecast economic time series of a region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CN105160173B (zh) 安全评估方法和装置
Liu et al. New parameter-free mobility model: Opportunity priority selection model
JP201315328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クラスタ生成方法
CN111148018A (zh) 基于通信数据识别定位区域价值的方法和装置
JP2012054921A (ja) 移動機分布算出システム及び移動機分布算出方法
KR101985532B1 (ko) 신뢰성 dr 발령의 예측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223302B2 (ja) 携帯端末を所持したユーザの滞在判定が可能な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441996B1 (ko)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
CN115996412A (zh) 无线网络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1875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utilization of low telecom services in a predefined area
Dešić et al. Determination of origins and destinations for an OD matrix based on telecommunication activity records
JP2013138417A (ja) 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CN115802375A (zh) 用户感知质差的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544971A (zh) 待建基站的效益评估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19114981A (ja) トラヒック予測装置、トラヒック予測プログラム、トラヒック予測方法及びトラヒック予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