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996B1 -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996B1
KR101441996B1 KR1020137002545A KR20137002545A KR101441996B1 KR 101441996 B1 KR101441996 B1 KR 101441996B1 KR 1020137002545 A KR1020137002545 A KR 1020137002545A KR 20137002545 A KR20137002545 A KR 20137002545A KR 101441996 B1 KR101441996 B1 KR 10144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data
observation
information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4967A (ko
Inventor
마사유키 데라다
모토나리 고바야시
도오루 오다와라
이치로 오카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3002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부(15),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예를 들면,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하고,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를 얻음) 신호 제거부(16),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부(17),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부(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TERMINAL-COUNT ESTIMATION DEVICE AND TERMINAL-COUNT ESTIMATION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의 네트워크 설비로부터 얻어지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떤 영역 내에 재권(在圈)하는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위치 데이터」는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이며, 위치 등록 정보 이외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GPS 측위 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생성되는 위치 등록 정보의 수에 기초하여, 임의의 영역(예를 들면, 섹터) 내에 재권하는 단말기수(이른바 재권수)를 추계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치 등록 정보는 소정의 위치 등록 주기로 생성되는 외에,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 등록 영역(location area)의 경계(이하 「LA 경계」라고 함)를 걸쳐 다른 위치 등록 영역으로 이행할 때도 생성된다. 그러므로, LA 경계에 접한 섹터에서는, 다른 섹터와 비교하여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LA 경계에 접한 섹터의 재권수가 과대하게 추계될 우려가 있다. 도 12는, LA 경계 주변의 추계 재권수(세로축)와 LA 경계로부터의 거리(가로축)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지만, 이 중 사각형 점으로 plot한 종래 방법에 기초한 추계 재권수에 관한 굵은 실선 그래프 및 다이아몬드형 점으로 plot한 실제 값(실제 추계 재권수)에 관한 가는 실선의 그래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도 12의 가로축 중앙(LA 경계) 부근에서는, 종래 방법에 기초한 추계 재권수가 실제 값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많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LA 경계에 접한 섹터의 재권수가 과대하게 추계되는 것을 고려하여, LA 경계에 접한 섹터의 재권수를 수정하는 점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국제공개공보 2010/116903 A1
그런데,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는 때에는, 위치 등록 주기가 제로로 리셋된다. 그러므로, LA 경계로부터 조금 이격된 섹터(예를 들면, LA 경계에 접한 섹터에 대하여 섹터 내측에 인접하는 섹터 등)에서는,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LA 경계로부터 조금 이격된 섹터의 재권수가 과소하게 추계될 우려가 있다. 전술한 도 12의 가로축 중앙(LA 경계) 부근으로부터 조금 이격된 위치에서는, 종래 방법에 기초한 추계 재권수가 실제 값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특허 문헌 1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고, 재권수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하는 데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재권수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부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부와, 상기 제1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와, 상기 제2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하면,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1 재권수와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함으로써,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사이의 수치 범위 내(단 양단의 수치를 포함함)의 어딘가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하여,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긴 단말기수의 오차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부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하고,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를 얻는 신호 제거부와, 상기 신호 제거부에 의해 얻어진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부와, 상기 제1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와, 상기 제2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때,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긴 단말기수의 오차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있어서,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추계의 기초가 되는 재권수를, 제1 재권수, 제2 재권수, 및 제1 및 제2 재권수, 중, 관측 영역마다 전환하여, 제3 재권수의 추계를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은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하면,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1 재권수와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함으로써,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사이의 수치 범위 내(단 양단의 수치를 포함함)의 어딘가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할 수 있다. 이로써, 위치 등록 영역 경계 부근에서는 재권수가 과대하게 추계되고 위치 등록 영역 경계로부터 조금 이격된 위치에서는 재권수가 과소하게 추계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재권수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상기 제3 재권수의 추계 방법으로서는,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와의 미리 정해진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해도 된다. 여기서의 안분점로서는, 예를 들면,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정확히 한가운데의 점이어도 되고,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사이를 3등분한 경우의 제2 재권수에 가까운 쪽의 점이어도 되고, 이들 이외의 안분점이어도 된다. 또한,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이상인 경우,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와의 미리 정해진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고,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미만인 경우, 제2 재권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해도 된다.
또한, 제1, 제2 재권수의 추계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가, 각 위치 정보에 관련된,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재권수 추계부와 제2 재권수 추계부의 양쪽 또는 한쪽이, 어느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와,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중 2개 이상에 기초하여,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는 특징량 계산부와, 관측해야 할 관측 기간에 관한 관측 개시 시각 이후여 또한 관측 종료 시각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에 관한 관측 영역 정보에 대응한다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부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및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의 차이인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런데, 특징량 계산 부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 및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의 판별 결과와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중 2개 이상을 사용하여,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해도 된다. 이 경우, 상세한 원리는 후술하지만,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에 관한 생성 타이밍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밀도가 높은 특징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란, 휴대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걸쳤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징량 계산부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제1 변수에 설정하고,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중점 시각을 제1 변수에 설정하고,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제2 변수에 설정하고,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중점 시각을 제2 변수에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변수와 제2 변수와의 차분에 기초하여,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해도 된다.
그리고, 특징량 계산 부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1 변수 와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1 변수로서 사용하여,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특징량 계산부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2 변수와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2 변수로서 사용하여,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징량 계산부를 동작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권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나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간 간격이 이상하게 길게 되었을 때, 상기 이상하게 길게 된 취득시간 간격에 의한 영향이 과대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제3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3 재권수와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의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의 관측 영역에서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관측 기간 중의 관측 영역에서의 인구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그리고, 관측 기간 중의 전국의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이나 있는 일정 수를 구하여 인구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관측 기간이 아니고, 미리 구한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로서 (인구/재권수)를 채용하는 경우, 이 비율은 「확대 계수」라고 도 불린다. 이와 같은 확대 계수는,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추계된 단말기수(재권수)를 사용하여 도출해도 되고, 그 도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조를 포함하는 관측 기간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기간 취득부와,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영역 취득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전술한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관한 발명은,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 있어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단말기수 추계 방법은,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기수 추계 방법으로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 단계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와, 추출 후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 단계와, 상기 제1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와, 상기 제2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단말기수 추계 방법은,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기수 추계 방법으로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 단계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하고,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를 얻는 신호 제거 단계와, 상기 신호 제거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 단계와, 상기 제1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와, 상기 제2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 단계를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1 재권수와,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함으로써,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 사이의 수치 범위 내(단, 양단의 수치를 포함)의 어딘가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하여,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이 때, 제2 재권수로, 예를 들면,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2 재권수를 사용함으로써, 위치 등록 영역 경계 부근에서는 재권수가 과대하게 추계되고 위치 등록 영역 경계로부터 조금 이격된 위치에서는 재권수가 과소하게 추계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재권수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제2 재권수 추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단말기수 추계의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단말기수 추계에 관한 계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단말기수 추계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제1, 제2 재권수의 추계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특징량의 계산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제1, 제2 재권수 추계부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제2 재권수의 추계 처리의 변형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LA 경계 주변의 추계 재권수와 LA 경계로부터의 거리와의 상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단말기수 추계의 제2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단말기수 추계의 제2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특징량의 계산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변수 s, e의 적정화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에는,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건에서의 「위치 데이터」란,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말기 식별자와 휴대 단말기가 재권(在圈)하는 섹터를 식별하는 섹터 식별자와 휴대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예를 들면, 위도·경도 정보)와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넓게 의미하고,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위치 등록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이하 「위치 등록 정보」라고 함), 상기 섹터 식별자가 부가된 GPS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된다. GPS 위치 정보는, 그 생성시에는 상기 섹터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지만,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에 의해 상기 섹터 식별자가 부가되고, 후술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도 2)는 섹터 식별자 부가된 GPS 위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GPS 위치 정보는, 그 생성시에 상기한 섹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가 GPS 위치 정보를 생성했을 때 상기 섹터 식별자가 부가되고, 후술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도 2)는 섹터 식별자 부가된 GPS 위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위치 등록 정보에는, 위치 등록 신호가 생성된 요인(예를 들면, 주기적 위치 등록, 휴대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은 것(이른바 LA 걸침),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온 등에 의한 어태치(attach) 처리의 실행,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 등에 의한 디태치(detach) 처리의 실행 등)을 나타낸 생성 요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 생성 요인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등록 정보 중,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이하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라고 함)를 제외하는 것이나, 주기적 위치 등록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만을 추출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실시예]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통신 시스템(1)은 휴대 단말기(100), 기지국(BTS)(200), 무선 제어 장치(RNC)(300), 교환기(400), 각종 처리 노드(700), 및 관리 센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관리 센터(500)는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마이닝(peta mining) 유닛(502), 모바일 데모그래피(demography)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환기(400)는 BTS(200), RNC(300)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후술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RNC(300)는 휴대 단말기(100)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이 행해지는 때, RRC 커넥션 요구 신호에서의 지연 값을 사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교환기(400)는 이와 같이 측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휴대 단말기(100)가 통신 접속을 실행할 때 수취할 수 있다. 교환기(400)는 수취한 위치 정보를 기억해 두고, 소정의 타이밍 또는 관리 센터(5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센터(500)에 출력한다.
각종 처리 노드(700)는 RNC(300) 및 교환기(400)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치의 재계산 등을 행하고, 소정의 타이밍 또는 관리 센터(5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수집된 위치 정보를 관리 센터(500)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로서는, 위치 등록 정보에 의해 구해진 재권 섹터를 나타낸 섹터 번호, GPS 측위 시스템이나 PRACH PD에 의한 위치 정보 취득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위치 측위 정보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데이터는, 상기와 같은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회선 번호 등의 휴대 단말기와 대응되는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식별 정보로서 회선 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선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지는 않고, 회선 번호와 대응되는 값(예를 들면, 회선 번호의 해시값(hash valu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 센터(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마이닝 유닛(502),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유닛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한 통계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도 2)는, 예를 들면, 관리 센터(500)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사회 센서 유닛(501)은, 각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또는 오프 라인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데이터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 장치이다. 이 사회 센서 유닛(501)은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정기적으로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사회 센서 유닛(501)에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교환기(400) 및 각종 처리 노드(700)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페타마이닝 유닛(502)은, 사회 센서 유닛(50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 형식로 변환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페타마이닝 유닛(502)은 사용자 ID를 키에 소팅 처리를 행하거나, 영역마다 소팅 처리를 행하거나 한다.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은, 페타마이닝 유닛(502)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대한 집계 처리, 즉 각각의 항목의 카운팅 처리를 행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은 임의의 영역에 재권하는 사용자 수를 카운트하거나, 또한 재권 분포를 집계하거나 할 수 있다.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에 있어서 집계 처리된 데이터를 가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서버 장치이다. 예를 들면,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집계된 데이터를 지도 상에 매핑 처리할 수 있다. 이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기업, 관공청 또는 개인 등에 제공되고, 점포 개발, 도로 교통 조사, 재해 대책, 환경 대책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통계 처리된 정보는, 당연히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도록 개인 등은 특정되지 않도록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사회 센서 유닛(501), 페타마이닝 유닛(502),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503) 및 가시화 솔루션 유닛(504)은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도시는 생략하지만, 통상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기본 구성(즉, CPU, RAM, ROM,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디바이스, 외부와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나 프린터 등의 출력 디바이스)을 구비하는 것은 물론이다.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기능 블록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 축적부(12), 관측 기간 취득부(13), 관측 영역 취득부(14), 제1 재권수 추계부(15), 신호 제거부(16), 제2 재권수 추계부(17), 제3 재권수 추계부(18), 및 출력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2의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각 부의 기능을 설명한다.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는 외부(예를 들면, 교환기(400)나 각종 처리 노드(700) 등)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여 축적부(12)에 보존한다. 그리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를 단말기수 추계 장치(10) 내에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의 외부의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를, 예를 들면, 기억 매체를 통하여,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 입력해도 된다. 축적부(12)는, 다수의 사용자(휴대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시각에 걸친 위치 데이터를 보존한다. 관측 기간 취득부(13)는,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조(組)를 포함하는 관측 기간 정보를 취득한다.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의 관측 영역 정보는, 예를 들면, 섹터 번호, 위도 경도, 지리적인 범위(예를 들면, 시구읍면) 등으로 부여되고, 관측 영역 취득부(14)는, 취득되는 관측 영역 정보의 표현 형식과 위치 정보의 표현 형식을 대응시키는 정보(예를 들면, 섹터 번호와 위도 경도와의 대응 관계 정보 등)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재권수 추계부(15)는, 축적부(12)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한다. 제1 재권수 추계부(15)에 의한 단말기수 추계 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단말기수 추계 방법의 일례 및 상기 추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1 재권수 추계부(15)의 구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단말기수 추계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예 이외에,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특원2010―221456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정보 분석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 상기 위치 정보가 얻어진 측위 시각 정보 및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포인트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포인트 데이터로부터, 측위 시각이 대상 시각의 직전인 포인트 데이터와, 측위 시각이 대상 시각의 직후인 포인트 데이터를 추출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대상 시각의 직전의 포인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와 대상 시각의 직후의 포인트 데이터가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를 보완함으로써, 대상 시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고, 그렇게 하여, 추정된 각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대상 시각에서의 소정의 산출 대상 영역 단위의 인구 분포를 산출하는 일련의 방법이며, 이 방법을 단말기수 추계에 적용하면 된다.
신호 제거부(16)는 축적부(12)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로부터,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이하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라고 함)를 제거하고,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를 얻는다. 여기서 얻어진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는, 위치 등록 정보 중,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제외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물론, 위치 등록 정보 이외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GPS 측위 정보 등)를 더 포함해도 상관없다. 상기 신호 제거부(16)는, 특허청구범위의 「추출부」 및 「신호 제거부」에 상당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데이터의 종별(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 등)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의 일례로서, 위치 데이터로부터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하고,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를 얻는 신호 제거부(16)를 설명한다. 그리고,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른 추출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위치 등록 정보에 포함되는 전술한 생성 요인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위치 데이터 중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만을 제외하는(즉,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이외의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법, 위치 데이터 중 주기적 위치 등록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만을 추출하는 방법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데이터의 종별」로는, 상기한 생성 요인 이외에, 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의 생성 시각 등도 적용할 수 있다.
제2 재권수 추계부(17)는, 신호 제거부(16)에 의해 얻어진,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한다. 제2 재권수 추계부(17)에 의한 단말기수 추계 방법도,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술한 특원2010―221456호에 기재된 방법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제1 재권수 추계부(15)에 의한 단말기수 추계 방법과 같은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재권수 추계부(17)가 제1 재권수 추계부(15)와 같은 단말기수 추계 방법을 채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인 단말기수 추계 방법의 일례 및 상기 추계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재권수 추계부(17)의 구성은, 후술한다.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제1 재권수 추계부(15)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 추계부(17)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한다. 전술한 도 12에서는,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하기 전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계된 제1 재권수가, 사각형 점으로 plot한 추계 재권수에 관한 굵은 실선 그래프에 상당하고,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의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계된 제2 재권수가, 삼각형 점으로 plot한 추계 재권수에 관한 파선 그래프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3 재권수 추계부(18)가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제3 재권수를 추계함으로써,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사이의 수치 범위 내(단, 양단의 수치도 포함)의 어딘가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할 수 있고, 도 12에서의 실제 값에 가까워진다. 이로써, 위치 등록 영역 경계 부근에서는 재권수가 과대하게 추계되어 위치 등록 영역 경계로부터 조금 이격된 위치에서는 재권수가 과소하게 추계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재권수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그런데, 제3 재권수 추계부(18)에 의한 단말기수 추계 방법은, 특정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미리 정해진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해도 된다. 여기서의 안분점은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정확히 한가운데의 점이어도 되고,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 사이를 3등분한 경우의 제2 재권수에 가까운 쪽의 점이어도 되고, 이들 이외의 안분점이어도 된다.
또한,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이상인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고, 한편,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미만인 경우에, 제2 재권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해도 된다.
또한,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추계의 기초가 되는 재권수를, 제1 재권수, 제2 재권수, 및 제1 및 제2 재권수 중 관측 영역마다 전환하여 제3 재권수의 추계를 행해도 된다.
또한,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긴 단말기수의 오차를 추계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차분을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긴 단말기수의 오차로서 추계해도 된다. 이와 같이 추계된 단말기수의 오차는, 단말기수의 추계에 관한 정밀도의 평가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말기수의 오차의 추계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신호 제거부(16)에 의해 위치 데이터로부터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하여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를 얻는 실시형태일 뿐 아니라,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실시형태 전반에서 실행 가능하다.
도 2로 돌아가면, 출력부(19)는 추계에 의해 얻어진 단말기수를 출력한다. 여기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그리고, 단말기수 추계 장치(10)에는, 제1 재권수 추계부(15), 신호 제거부(16), 제2 재권수 추계부(17), 및 제3 재권수 추계부(18)가 필수 요건이며, 그 외의 구성 요건은 단말기수 추계 장치(10) 내에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제1, 제2 재권수 추계부의 구성]
도 3에, 제1 재권수 추계부(15)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재권수 추계부(17)는 제1 재권수 추계부(15)와 같은 단말기수 추계 방법을 채용하므로, 제2 재권수 추계부(17)의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재권수 추계부(15)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재권수 추계부(15)는 관측 대상 취득부(31),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 특징량 계산부(33), 및 단말기수 추계부(34)를 구비한다.
관측 대상 취득부(31)는, 관측해야 할 관측 기간에 관한 관측 개시 시각 정보 및 관측 종료 시각 정보를 관측 기간 취득부(13)로부터,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에 관한 관측 영역 정보를 관측 영역 취득부(14)로부터 각각 취득하고, 관측 개시 시각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축적부(12)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는, 별도 주어진 조건(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연령층 등)에 의해 더 범위를 좁혀도 된다.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는, 재권수 추계 처리 과정에서 계산되는 후술하는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이하 「제1 위치 데이터」라고 함)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이하 「제2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이하 「 제3 위치 데이터」라고 함)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는, 제2 또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적어도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는,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축적부(12)로부터 판독해도 되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로부터 건네받아도 된다. 논리적으로는 어느쪽의 방법도 상관없다.
특징량 계산부(33)는, 제1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특징량 계산부(33)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차이를,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서 계산한다. 또한, 특징량 계산부(33)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異常)값인 경우, 여기서는 일례로서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 경우에,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 시각으로서 사용하여,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마찬가지로, 특징량 계산부(33)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값인 경우, 여기서는 일례로서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 경우에,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 사용하여,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이와 같은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값인 경우의 처리는, 필수적인 처리는 아니지만, 상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가 권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나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간 간격이 이상하게 길게 되었을 때, 상기 이상하게 길게 된 취득시간 간격에 의한 영향이 과대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말기수 추계부(34)는,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및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차이인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추계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단말기수 추계부(34)는,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의 총계를 관측 기간 길이의 2배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수치를 단말기수로 추계한다.
[단말기수 추계의 컨셉 및 계산 방법]
이하, 단말기수 추계의 컨셉 및 계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모델과 같이, 임의의 관측 기간(길이 T) 사이에, n 개의 단말기 a1, a2, ..., an이 섹터 S를 통과하고, 각각의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이 ti(0<ti≤T)이라고 한다. 이 때, 섹터 S에 존재하는 단말기수 m(실제로는 섹터 S에 존재하는 단말기수 m의 관측 기간 내에서의 평균값)은, 이하의 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14069743244-pct00021
즉, 각각의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의 총계를 관측 기간의 길이 T로 나눈 결과를 단말기수 m으로 추계한다. 단,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의 실제 값은 관측 불가능이지만, 각각의 단말기 ai는 신호(예를 들면,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신호)를 발신하고, 이들 신호는 관측 가능하다.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로 발신한 신호를, 시각 순으로
Figure 112013008927970-pct00002
(xi는,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에서 발신한 신호의 총수)로 하면, 단말기수의 추계란, 관측된 신호 qij(j는 1 이상 xi 이하의 정수)로부터 m의 값을 추계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런데, 도 5에 기초하여 단말기수 추계의 계산 방법을 설명한다. 단말기 ai로부터 신호 qij가 송신되는 밀도(즉, 단위 시간당의 신호수)를 pi로 한다. 이 때, 신호가 송신되는 확률이 섹터에 대하여 독립이면,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에서 발신한 신호의 총수 xi의 기대값 E(xi)는 E(xi)=ti×pi이므로,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의 기대값 E(ti)에 대하여 이하의 식 2가 성립한다.
E(ti)=xi/pi : 식 2
여기서, 신호 qij의 송신 시각을 uij로했을 때, 신호 qij의 밀도 pij는 이하의 식 3으로 부여된다.
pij=2/(ui (j+1)-ui (j-1)) : 식 3
여기서, 신호 qij를 제1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로 하면 신호 qi (j―1)은 제2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신호 qi (j+1)은 제3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qi (j―1)의 송신 시각 ui (j―1)와 제3 위치 데이터에 관한 신호 qi (j+1)의 송신 시각 ui (j+1)의 차, 즉 상기 식 3의 (ui (j+1)-ui(j-1))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로 한다(특징량 wij=(ui (j+1)-ui (j-1))). 그러므로, 상기 식 3은, 아래와 같이 된다.
pij=2/(ui (j+1)-ui (j-1))=2/wij : 식 4
이 때 밀도 pi는,
Figure 112013008927970-pct00003
로 부여되므로, 단말기수 m의 추계치 E(m)은 이하의 식 6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3008927970-pct00004
도 5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 기간 내이고 또한 단말기 ai가 섹터 S에 체재하고 있었던 기간 내에, 단말기 ai는 신호 qi1, qi2, qi3을 송신하고, 신호 qi1의 직전에 신호 qi0를, 신호 qi3의 직후에 신호 qi4를 송신한 것으로 하고, 신호 qi0, qi1, qi2, qi3, qi4의 송신 시각을 각각 ui0, ui1, ui2, ui3, ui4로 하면, 상기 방식은 단말기 ai의 관측 기간 내의 섹터 S의 체재 시간 ti를, (ui0와 ui1의 중점)으로부터 (ui3와 ui4의 중점)까지의 기간으로 추계하는 것에 상당한다. 그리고, 단말기 ai는 관측 기간 내는 아니기는 하지만, 섹터 S로의 체제중에 신호 qi4를 송신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체재 시간 ti의 종료 시각을 관측 기간 T의 종료 시각과 같게 추계하는 것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체재 시간 ti의 추계량의 불편성(不偏性)을 유지한다.
[단말기수 추계 처리]
이하, 본 발명의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관한 단말기수 추계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에는, 일례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재권하는 섹터의 섹터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관측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 T1과 관측 종료 시각 T2의 조가 관측 기간 취득부(13)에 의해 미리 취득되고,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 S가 관측 영역 취득부(14)에 의해 미리 취득된 것으로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위치 데이터 취득부(11)가 위치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취득하여 축적부(12)에 보존한다(도 6의 단계 S1). 이로써, 축적부(12)는 다수의 사용자(휴대 단말기)에 대한 복수의 시각에 걸친 위치 데이터를 보존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1의 처리 실행 후, 단계 S2 이후의 처리는, 시간을 두고 실행해도 된다. 즉, 단계 S2 이후의 처리의 사전 준비로서 단계 S1를 실행해도 된다.
다음에, 제1 재권수 추계부(15)가 축적부(12)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한다(도 6의 단계 S2). 구체적인 처리 내용은, 도 7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다음에, 신호 제거부(16)가 축적부(12)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위치 데이터로부터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하고,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를 얻는다(도 6의 단계 S3). 그리고, 신호 제거부(16)가 축적부(12)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는 필수가 아니며, 신호 제거부(16)는 도 6의 단계 S2에서 판독된 위치 데이터를 제1 재권수 추계부(15)로부터 건네받아도 된다. 이와 같이 신호 제거부(16)가 위치 데이터를 제1 재권수 추계부(15)로부터 건네받거나, 축적부(12)로부터 판독하거나 논리적으로는 어느 쪽이라도 상관없다.
다음에, 제2 재권수 추계부(17)가 신호 제거부(16)에 의해 얻어진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한다(도 6의 단계 S4). 구체적인 처리 내용은, 도 7을 사용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3 재권수 추계부(18)가, 제1 재권수 추계부(15)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 추계부(17)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한다(도 6의 단계 S5). 예를 들면,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미리 정해진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한다. 여기서의 안분점으로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정확히 한가운데의 점이어도 되고,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 사이를 3등분한 경우의 제2 재권수에 가까운 쪽의 점이어도 되고, 이들 이외의 안분점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이상인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를 추계하고, 한편,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미만인 경우에, 제2 재권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해도 된다. 또한, 제3 재권수 추계부(18)는, 추계의 기초가 되는 재권수를, 제1 재권수, 제2 재권수, 및 제1 및 제2 재권수 중, 관측 영역마다 전환하여, 제3 재권수의 추계를 행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출력부(19)가 추계에 의해 얻어진 단말기수를 출력한다(도 6의 단계 S5). 여기서의 출력에는, 표시 출력, 음성 출력, 인쇄 출력 등 다양한 출력 태양이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1 재권수와 LA 걸침에 의한 위치 등록 정보를 제거한 후의 위치 데이터에 따른 제2 재권수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초하여,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함으로써,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의 사이의 수치 범위 내(단, 양단의 수치도 포함)의 어딘가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할 수 있고, 도 12에서 예시한 것처럼 추계 재권수를 실제 값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LA 경계 부근에서는 재권수가 과대하게 추계되고, LA 경계로부터 조금 이격된 위치에서는 재권수가 과소하게 추계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재권수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제1, 제2 재권수의 추계 처리의 일례]
이하, 도 6의 단계 S2(제1 재권수의 추계 처리) 및 도 6의 단계 S4(제2 재권수의 추계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제2 재권수의 추계 처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도 3의 관측 대상 취득부(31)가 관측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 T1와 관측 종료 시각 T2의 조를 관측 기간 취득부(13)로부터,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 S를 관측 영역 취득부(14)로부터, 각각 취득한 후, 축적부(12)로부터, 관측 개시 시각 T1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T2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 정보인 섹터 번호 S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예를 들면, 위치 정보가 섹터 번호 S임)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도 7의 단계 S11). 즉, 관측 대상 취득부(31)는, 이하의 조건에 합치하는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조건 1: 위치 취득시각이, 관측 개시 시각 T1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T2 이전임. 즉, 관측 기간 내에 포함됨.
조건 2: 위치 정보가 섹터 S임.
다음에, 취득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단계 S12, S13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12에서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 중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으로 하는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위치 취득시각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가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제2, 제3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는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축적부(12)로부터 판독해도 되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로부터 건네받아도 된다. 논리적으로는 어느 방법도 상관없다.
그리고, 단계 S13에서는, 특징량 계산부(33)가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그 처리 내용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각각 t1, t2, t3로 한다. 또한,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2가 이상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에 관한 기준값)을 기준값 A(예를 들면 1시간)으로 하고,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3가 이상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에 관한 기준값)을 기준값 B(예를 들면 1시간)로 한다.
특징량 계산부(33)는 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즉, 시각 t1과 t2의 차 Da) 및 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즉, 시각 t1과 t3의 차 Db)를 산출한다(도 8의 단계 S31).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33)는 제1,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 Da가 소정의 기준값 A(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32), 만약 차 Da가 기준값 A 보다 크면,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1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2로 한다(단계 S33). 다음에, 특징량 계산부(33)는 제1,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 Db가 소정의 기준값 B(예를 들면 1시간)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34), 만약 차 Db가 기준값 B 보다 크면, 제1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1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3로 한다(단계 S35).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33)는 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2와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t3와의 차이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 계산하여 기억시켜 둔다(단계 S36).
이로써, 어느 한개의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도 7의 단계 S12, S13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후, 전술한 단계 S12, S13의 처리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실행되고, 모든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실행이 완료되면(단계 S14에서 긍정 판단), 단계 S15로 진행된다.
단계 S15에서는, 단말기수 추계부(34)가 전술한 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의 총계를 산출하고, 얻어진 특징량 wij의 총계를 관측 기간 길이 T의 2배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수치를 단말기수로 추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또는 제2 재권수를 추계할 수 있다.
전술한 추계 처리의 일례에 의하면,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단말기수를 추계할 때, 전후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각 정보를 사용한 보정을 행함으로써, 수신 간격의 변동이 부여하는 영향을 교정하면서 단말기수를 양호한 정밀도로 추계할 수 있다. 또한, 특징량의 계산 처리 중 전술한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값인 경우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가 권외에 위치하는 것이나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간 간격이 이상하게 길게 되었을 때, 상기 이상하게 길게 된 취득시간 간격에 의한 영향이 과대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식 6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단말기수 추계부(34)는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 각각을 2로 나누어, (특징량 wij/2)의 총계를 구하고, 구한 총계를 관측 기간 길이 T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수치를, 단말기수로 추계해도 된다. 단, 본 실시형태와 같이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의 총계를 관측 기간 길이 T의 2배에 의해 제산하는 계산 방법 쪽이, 제산의 횟수가 압도적으로 적어지게 되어 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제2 재권수의 추계 처리의 변형예]
전술한 제1, 제2 재권수의 추계 처리에서는, 특징량을 계산하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 좁혔지만, 이 변형예로서, 취득된 모든 위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특징량을 계산한 후, 추계로 이용하는 특징량을 좁혀도 된다. 이러한 변형예에 관한 제1, 제2 재권수 추계부(15, 17)의 구성예를 도 9에, 추계 처리 내용을 도 10에, 각각 나타낸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예에 관한 제1, 제2 재권수 추계부(15, 17)는 전술한 실시형태(도 3)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형태(도 3)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변형예에서의 관측 대상 취득부(31)는, 관측해야 할 관측 기간에 관한 관측 개시 시각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에 관한 관측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그 후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를 단말기수 추계부(34)에 출력한다.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을 제1 위치 데이터로 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관한 제2 위치 데이터(직전의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직후의 위치 데이터) 각각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한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후 축적부(12)에 축적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축적부(12)에 축적되지 않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로부터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에 보내진 것이라도 된다. 즉,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는,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축적부(12)로부터 판독해도 되고, 위치 데이터 취득부(11)로부터 건네받아도 된다. 논리적으로는 어느쪽의 방법도 상관없다.
특징량 계산부(33)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에 의해 취득된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을 제1 위치 데이터로 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이 계산 결과는 방대한 양이 되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징량 계산부(33)는 계산 결과의 특징량을 보관하기 위한 특징량 보관부(33A)를 구비하고, 특징량 보관부(33A)에 의해 계산 결과의 특징량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33)가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의 차이를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으로서 계산하는 점 및 도 8에 나타낸 제2 또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이 이상값인 경우의 처리를 행하는 점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단말기수 추계부(34)는 미리 계산되어 특징량 보관부(33A)에 보관된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중, 관측 대상 취득부(31)로부터 수신한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추출하고,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및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차이(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추계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기수 추계부(34)는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의 총계를 관측 기간 길이의 2배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수치를 단말기수로서 추계한다.
이하, 변형예에서의 단말기수 추계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정보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재권하는 섹터의 섹터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이하의 단계 S21~S23의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 S21에서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가,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위치 취득시각에서 볼 때,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제2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제3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32)가 제2, 제3 위치 데이터의 전체를 취득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제2, 제3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그리고, 단계 S22에서는, 특징량 계산부(33)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도 8에 나타낸 단계에서, 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한다. 단계 S22의 처리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도 7의 단계 S1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단계 S22에서 얻어진 특징량은 특징량 보관부(33A)에 보관된다(단계 S23).
이로써, 어느 한개의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단계 S21~S23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후, 단계 S21~S23의 처리가 모든 위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단계 S21~S23의 처리가 완료되면(단계 S24에서 긍정 판단),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이 계산되어 특징량 보관부(33A)에 보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단말기수 추계를 실시하기 전에 미리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여 보관해 둘 수가 있다.
다음 단계 S25에서는, 관측 기간 취득부(13)가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조를 포함하는 관측 기간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관측 영역 취득부(14)가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관측 기간 정보로서, 관측 개시 시각 T1와 관측 종료 시각 T2의 조가 취득되고, 관측 영역 정보로서, 섹터 번호 S가 취득된 것으로 한다.
다음에, 관측 대상 취득부(31)가 축적부(12)로부터 관측 개시 시각 T1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T2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 영역 정보인 섹터 번호 S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예를 들면, 위치 정보가 섹터 번호 S이다) 하나 내지 복수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단계 S26). 즉, 관측 대상 취득부(31)는 이하의 조건에 합치하는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조건 1: 위치 취득시각이, 관측 개시 시각 T1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T2이전임. 즉, 관측 기간 내에 포함됨.
조건 2: 위치 정보가 섹터 S임.
그리고, 단말기수 추계부(34)가 전술한 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wij의 총계를 관측 기간 길이 T의 2배에 의해 나누어 얻어진 수치를 단말기수로 추계한다(단계 S27). 이와 같이 하여, 제1 또는 제2 재권수를 추계할 수 있다.
전술한 변형예에서는, 단말기수 추계를 실시하기 전에 미리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여 보관해 두기 때문에,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관측 기간 정보 및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하고 단말기수의 추계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추계 결과의 단말기수를 얻을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처리에서 단계 S25~S26의 처리를 단계 S24 후에 실행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단계 S21~S24의 처리와 단계 S25~S26의 처리를 동시 병행하여 실행해도 된다.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변형예]
전술한 실시형태의 단말기수 추계 장치(1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측 기간 중의 관측 영역에서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부(20)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 인구 추계부(20)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의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예를 들면, 관측 기간 중의 관측 영역에서의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과 제3 재권수 추계부(18)에 의해 얻어진 제3 재권수에 기초하여 인구를 추계한다. 예를 들면, 상기 비율이 (재권수/인구)이면, 인구 추계부(20)는 제3 재권수를 상기 비율에 의해 분할 계산하여 관측 기간 중의 관측 영역의 인구를 추계할 수 있고, 얻어진 인구를 출력부(19)에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로는, 예를 들면 「소정 범위의 지역에서의 인구」에서 차지하는 「위치 데이터를 얻어진 특정한 통신 사업자의 계약 단말기수」의 비율인 「단말기 계약율」을 사용해도 된다. 이 때, 상기 비율(단말기 계약율도 포함)에 대해서는, 지역마다의 비율, 성별마다의 비율, 연령층마다의 비율 등을 구하여 인구의 추계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측 기간 중의 전국의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이나 임의의 일정 수를 구하여 인구를 추계해도 된다. 또한, 관측 기간이 아니고, 미리 구한 비율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위치 데이터가 얻어지지 않는 단말기(예를 들면, 전원 오프 상태의 단말기나 권외에 위치하는 단말기 등)의 수를 고려하여, 관측 기간 중의 관측 영역의 인구를 추계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재권수와 인구의 비율로 (인구/재권수)를 채용하는 경우, 이 비율은 「확대 계수」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은 확대 계수는, 다음과 같이 하여 도출해도 된다. 확대 계수는, 일례로서 「재권 비율과 단말기의 보급율과의 곱(積)(즉, 인구에 대한 재권수의 비율)」의 역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재권 비율」이란, 계약 테이블 수에 대한 재권수의 비율을 의미하고, 「보급율」이란 인구에 대한 계약 테이블 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확대 계수는, 전술한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수는 아니다. 또한, 확대 계수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추계된 단말기수(재권수)를 사용하여 도출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위치 데이터로부터 특징량을 구하고, 특징량 및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단말기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음과 함께, 통계 데이터(예를 들면, 주민기본대장 등)로서 미리 구해진 동일한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에서의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에 있어서 확대 계수 산출 단위마다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수/인구)을 산출한다. 여기서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수/인구)」이 전술한 「재권 비율과 단말기의 보급율과의 곱」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확대 계수를 산출하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로서는, 일례로서, 주소의 시도읍면마다, 5세 또는 10세 간격의 연령층마다, 남녀마다, 시간대로서 1시간마다 등을 채용해도 되고, 이들의 두개 이상을 조합한 것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확대 계수 산출 단위를 「도쿄도 거주의 20대의 남성」으로 한 경우, 일본 전국에서 도쿄도 거주의(즉,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도임) 20대의 남성에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기수를 집계함으로써 사용자 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음과 함께, 통계 데이터로부터 도쿄도 거주의 20대 남성에 관한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를 얻을 때, 「도쿄도 거주」라는 조건에 대해서는, 도쿄도에 재권하는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속성에서의 주소 정보가 도쿄도인 위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사용자수 피라미드 데이터 및 인구 피라미드 데이터로부터 확대 계수 산출 단위(여기서는 도쿄도 거주의 20대 남성)의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즉, 재권수/인구)을 산출하고,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취득율」의 역수를 확대 계수로서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에서는 확대 계수 산출 단위와 인구 추계 단위가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단말기수 추계에 관한 제2 방법 및 동 방법에 기초한 특징량의 계산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단말기수 추계 장치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단말기수 추계의 제2 컨셉에 관한 도면을 나타낸다. 이 도 13에서, qij는 단말기 ai에 의해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나타내고, 이 중 qi1, qi2, qi3는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에 재권중에 단말기 ai에 의해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나타낸다. 여기서, qi1는 단말기 ai가 위치 등록 영역(Location Area)경계를 걸쳤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이하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라고 함)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이하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1」라고한다. 이 경우,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1가 생성된 타이밍에서 단말기 ai는 섹터 S에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1에 대한 특징량 wi1를,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직전의 위치 데이터 qi0의 생성 시각과 직후의 위치 데이터 qi2의 생성 시각의 차분이 아니고,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1의 생성 시각과 직후의 위치 데이터 qi2의 생성 시각의 차분으로 하는 방식도 성립한다.
이러한 방식에 근거하면,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에 재권하고 있었던 재권 기간 ti는, 도 13에서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기간이 되고, 제1 실시예의 재권 기간(도 13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기간)보다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1의 생성 시각과 직전의 위치 데이터 qi0의 생성 시각의 차분/2) 만큼 짧아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데이터 qi4가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이하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4」라 한다. 이 경우,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4가 생성된 타이밍에서 단말기 ai는 섹터 S로부터 퇴출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4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 qi3에 대한 특징량 wi3을 계산하는 경우, 위치 데이터 qi3에 대한 특징량 wi3는 (위치 데이터 qi3의 생성 시각과 직후의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4의 생성 시각의 차분/2) 만큼 길어진다. 즉, 단말기 ai가 관측 기간 내에 섹터 S에 재권하고 있었던 재권 기간 ti는 도 14에서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기간이 되고, 제1 실시예의 재권 기간(도 14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기간)보다도 (위치 데이터 qi3의 생성 시각과 직후의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 qi4의 생성 시각의 차분/2) 만큼 길어진다.
이상과 같은 단말기수 추계의 제2 컨셉에 기초한 특징량의 계산 처리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징량을 계산하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를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라 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징량 계산부(17)는, 먼저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가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예를 들면,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호종(呼種) 정보에 의해 판별한다(단계 S41). 여기서,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가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특징량 계산을 위한 제1 변수 s(이하 「변수 s」라고 함)에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세팅하고(단계 S42),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가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변수 s에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중점 시각을 세팅한다(단계 S43).
다음에, 특징량 계산부(17)는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예를 들면, 직후의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호종 정보에 의해 판별한다(단계 S44). 여기서,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특징량 계산을 위한 제2 변수 e(이하 「변수 e」라고 함)에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세팅하고(단계 S45),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변수 e에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중점 시각을 세팅한다(단계 S46). 그리고, 상기 단계 S41, S44의 판별 처리를 호종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위치 등록 영역의 범위를 나타낸 영역 정보를 미리 유지하고,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 및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정보와 영역 정보를 기초로, 판별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특징량 계산부(17)는 도 16에 나타낸 변수 s, e의 적정화 처리를 행한다(단계 S47). 여기서,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t1으로 하고, 변수 s가 이상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을 기준값 C(예를 들면, 0.5시간)로 하고, 변수 e가 이상값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소정의 기준값을 기준값 D(예를 들면, 0.5시간)로 한다.
특징량 계산부(17)는 변수 s와 시각 t1의 차 Dc, 및 변수 e와 시각 t1의 차 Dd를 산출한다(도 16의 단계 S51).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17)는 변수 s와 시각 t1의 차 Dc가 소정의 기준값 C(예를 들면, 0.5시간)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52), 만약 차 Dc가 기준값 C 보다 크면, 시각 t1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0.5시간) 만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변수 s에 세팅한다(단계 S53). 다음에, 특징량 계산부(17)는 변수 e와 시각 t1의 차 Dd가 소정의 기준값 D(예를 들면, 0.5시간)보다 큰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S54), 만약 차 Dd가 기준값 D 보다 크면, 시각 t1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면, 0.5시간)만큼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변수 e에 세팅한다(단계 S55). 이와 같은 변수 s, e의 적정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가 권외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나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것 등에 기인하여 위치 데이터의 취득시간 간격이 이상하게 길게 되었을 때, 상기 이상하게 길게 된 취득시간 간격에 의한 영향이 과대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로 복귀하면, 특징량 계산부(17)는 (변수 e―변수 s)를 2배한 값을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로서 계산한다(단계 S48). 이로써,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계산 대상 위치 데이터 및 그 직후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이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였던 경우에, 상기 LA 걸침 위치 등록 정보가 생성된 타이밍에서 섹터 S로의 유입 또는 섹터 S로부터의 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말하는 점을 고려하여, 정밀도가 높은 특징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특징량의 계산 방법은,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좁혀 특징량을 계산하여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케이스」에서도, 「미리 모든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여 두고 그 중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사용하여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케이스」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특징량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특징량을 구하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의 전후의 위치 데이터의 시간차(즉, 제2 위치 데이터(직전의 위치 데이터)와 제3 위치 데이터(직후의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를,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으로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특징량은 이하의 식 7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하의 식 7은 전술한 식 4를 변형한 것뿐이어서, 식 4와 등가이다(즉, 식 4의 방식을 변경한 것은 아니다).
wij=ui (j+1)-ui (j-1): 식 7
본 변형예는, 특징량 계산부(17)에서 산출되는 특징량의 산출 방법의 다른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특징량 계산부(17)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을 구하는 경우,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생성 타이밍))을 고려한다. 구체적으로는, 특징량 계산부(17)는 제3 위치 데이터와 제1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에 대하여, 제3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여기서는 생성 요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α를 승산한 값을 산출하고, 또한 제1 위치 데이터와 제2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에 대하여, 제2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여기서는 생성 요인)에 대응하는 보정 계수 β를 승산한 값을 산출한다. 단, 상기 이외에, 특징량 계산부(17)는 제1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α 또는 β를 정해도 되고, 또한 제1 및 제2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β를 정해도 되고, 제1 및 제3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따라 보정 계수 α를 정해도 된다.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17)는 이들의 곱셈으로 얻어진 값을 합산한 값을 제1 위치 데이터의 특징량으로 한다. 특징량 계산부(17)에서의 특징량의 산출 처리를 식으로 나타내면, 이하의 식 8에 의해 표현된다.
wij=α(ui (j+1)-uij)+β(uij-ui (j-1)): 식 8
제2 위치 데이터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정보인 경우, 상기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고, 이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는,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요인으로서는,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Location Area) 경계를 넘은 것,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위치 등록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 단말기의 전원 온 등에 의한 어태치 처리의 실행, 단말기의 전원 오프 등에 의한 디태치 처리의 실행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생성 요인에 대응하여, 보정 계수 α 및 β의 설정값을 미리 정해 둔다. 그리고, 특징량 계산부(17)는 제3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보정 계수 α를 설정하고, 제2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관한 정보에 따라 제2 위치 데이터에 대한 보정 계수 β를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보정 계수 α, β는 모두, 0 이상 2 이하의 값으로 미리 정해 두어도 된다. 단, 이 수치 범위는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위치 등록에 기초한 위치 등록 정보와 같이 단말기의 위치와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 계기가 관계없는 위치 등록 정보의 경우에는,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었던 시간의 기대값은 상기 위치 등록 정보의 생성의 전후에서 동일하게 생각된다. 한편,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단말기가 넘은 것으로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의 경우, 적어도 상기 위치 등록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는, 단말기는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위치 등록 정보가 생성되기 전에 단말기가 현재의 섹터에 체재하고 있었던 시간을 0으로 하여 제1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생성 요인)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 걸침」이면, 상기 식 8에서의 보정 계수 β(즉, 직전의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에 관한 보정 계수 β)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실태에 적합한 특징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생성 요인)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 걸침」인 경우에, 보정 계수 β를 0으로서 특징량을 산출하면,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징량 계산부(17)는 대상의 위치 데이터(제1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산출하는 경우, 제1 위치 데이터의 전후의 위치 데이터인 제2 및 제3 위치 데이터에 대한 종별 정보(일례로서 위치 데이터의 생성 요인)에 따라, 제2 위치 데이터와 제3 위치 데이터와의 시간차를 보정하고, 보정한 시간차를 사용하여 특징량을 산출한다. 이로써, 위치 데이터의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형태에서는, 개인 식별성을 가지는 정보를 위치 데이터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고, 비식별화 처리 후의 위치 데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11의 구성에서, 위치 데이터 취득부(11)와 축적부(12)의 사이에, 비식별화 처리를 행하는 비식별화 수단을 부가한 구성으로 하고, 이 비식별화 수단이, 위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예를 들면,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일방향성 함수에 의한 불가역 부호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여기서 일방향성 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변환 후의 정보로부터의 복원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일방향성 함수로서는, 예를 들면, 국내외의 평가 프로젝트나 평가 기관에 의해 추천되는 해시 함수(hash function)에 기초한 건부(鍵付) 해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속성 정보를 사용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비식별화 수단은, 상기 처리 전에 속성 정보 중에 개인을 특정 가능한 번호(예를 들면, 전화 번호)에 대하여, 일방향성 함수에 의한 불가역 부호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비식별화 수단은, 속성 정보 중의 성명 정보를 삭제하고, 생년월일 정보를 연령 정보로 치환하여, 주소 정보를 번지 정보가 삭제된 마을 쵸쵸목(町丁目: 동가) 레벨의 주소 정보로 치환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비식별화 수단에 의한 비식별화 처리에 의해, 위치 데이터나 속성 정보로부터 개인 식별성을 가지는 정보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위치 데이터나 속성 정보로부터 개인이 식별되어 버리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 통신 시스템
10: 단말기수 추계 장치
11: 위치 데이터 취득부
12: 축적부
13: 관측 기간 취득부
14: 관측 영역 취득부
15: 제1 재권수 추계부
16: 신호 제거부
17: 제2 재권수 추계부
18: 제3 재권수 추계부
19: 출력부
20: 인구 추계부
31: 관측 대상 취득부
32: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
33: 특징량 계산 부
33A: 특징량 보관부
34: 단말기수 추계부
100: 휴대 단말기
200: BTS
300: RNC
400: 교환기
500: 관리 센터
501: 사회 센서 유닛
502: 페타마이닝 유닛
503: 모바일 데모그래피 유닛
504: 가시화 솔루션 유닛
700: 각종 처리 노드

Claims (14)

  1.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부; 및
    상기 제1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 및 상기 제2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와의 미리 정해진 안분(安分)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2.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부;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부; 및
    상기 제1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 및 상기 제2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이상인 경우,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와의 미리 정해진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고,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미만인 경우, 제2 재권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데이터를 제거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재권수 추계부는, 상기 제1 재권수와 상기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를 넘었던 것에 기인하여 생긴 단말기수의 오차를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각 위치 정보에 관련된 단말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가 취득된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재권수 추계부와 상기 제2 재권수 추계부는 각각,
    어느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 중,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취득하는 전후 위치 데이터 취득부;
    상기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중 2개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는 특징량 계산부;
    관측해야 할 관측 기간에 관한 관측 개시 시각 이후이고 또한 관측 종료 시각 이전인 위치 취득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관측해야 할 관측 영역에 관한 관측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 데이터를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로서 취득하는 관측 대상 취득부;
    상기 관측 대상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 및 상기 관측 개시 시각과 상기 관측 종료 시각과의 차이인 관측 기간 길이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부
    를 포함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계산부는,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 및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의 판별 결과와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상기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및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 정보 중 2개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계산부는,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제1 변수로 설정하고,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상기 직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중점(中點) 시각을 제1 변수로 설정하고,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을 제2 변수로 설정하고,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가 위치 등록 영역 경계의 걸침에 기인하여 생성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상기 직후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의 중점 시각을 제2 변수로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변수와 제2 변수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량 계산부는,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1 변수와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과거로 거슬러 올라간 시각을 제1 변수로 사용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고,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과 제2 변수와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의 위치 취득시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미래로 진행한 시각을 제2 변수로서 사용하여 상기 대상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특징량을 계산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재권수 추계부에 의해 얻어진 제3 재권수와 미리 정해진 영역에서의 재권수와 인구와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의 관측 영역에서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 추계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관측 개시 시각과 관측 종료 시각과의 조(組)를 포함하는 관측 기간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기간 취득부;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관측 영역 정보를 취득하는 관측 영역 취득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
  11.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있어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 단계;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 단계;
    상기 제1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 및 상기 제2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재권수 추계 단계에서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와의 미리 정해진 안분(安分)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 방법.
  12. 단말기수 추계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기수 추계 방법에 있어서,
    위치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의 집합인 위치 데이터를 취득하는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 기간 중에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1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1 재권수 추계 단계;
    상기 위치 데이터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의 종류별에 따라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
    추출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2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2 재권수 추계 단계;
    상기 제1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1 재권수 및 상기 제2 재권수 추계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제2 재권수에 기초하여, 상기 관측 기간 중에 상기 관측 영역에 재권한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제3 재권수 추계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재권수 추계 단계에서는, 단말기수 추계 장치는,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이상인 경우, 제1 재권수와 제2 재권수와의 미리 정해진 안분점에 상당하는 단말기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고,
    제1 재권수가 제2 재권수 미만인 경우, 제2 재권수를 제3 재권수로 추계하는, 단말기수 추계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37002545A 2011-01-31 2012-01-24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 KR101441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18860 2011-01-31
JPJP-P-2011-018860 2011-01-31
PCT/JP2012/051455 WO2012105377A1 (ja) 2011-01-31 2012-01-24 端末数推計装置および端末数推計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967A KR20130024967A (ko) 2013-03-08
KR101441996B1 true KR101441996B1 (ko) 2014-09-18

Family

ID=4660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545A KR101441996B1 (ko) 2011-01-31 2012-01-24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57689A1 (ko)
EP (1) EP2672433A1 (ko)
JP (1) JP5543619B2 (ko)
KR (1) KR101441996B1 (ko)
CN (1) CN103120001A (ko)
WO (1) WO2012105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5069B2 (ja) * 2018-11-06 2024-03-25 株式会社Nttドコモ 人口分布集計装置
CN113536082B (zh) * 2020-04-14 2023-06-09 哈尔滨海能达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数量查询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77A (ja) * 2001-10-09 2003-04-25 Oki Electric Ind Co Ltd 地域内人口算出システム
WO2010116900A1 (ja) * 2009-04-06 2010-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情報分析装置、及び情報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1276A1 (en) * 1998-12-18 2000-06-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system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different time zones in which mobile stations are located
JP2002259581A (ja) * 2001-02-27 2002-09-13 Nec Custommax Ltd 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0221456A (ja) 2009-03-23 2010-10-0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145460B2 (ja) 2009-04-06 2013-02-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WO2010116938A1 (ja) * 2009-04-09 2010-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位置情報集計装置及び位置情報集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2877A (ja) * 2001-10-09 2003-04-25 Oki Electric Ind Co Ltd 地域内人口算出システム
WO2010116900A1 (ja) * 2009-04-06 2010-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情報分析装置、及び情報分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43619B2 (ja) 2014-07-09
CN103120001A (zh) 2013-05-22
WO2012105377A1 (ja) 2012-08-09
US20130157689A1 (en) 2013-06-20
KR20130024967A (ko) 2013-03-08
JPWO2012105377A1 (ja) 2014-07-03
EP2672433A1 (en)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906B1 (ko) 단말기 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 수 추계 방법
KR101463498B1 (ko) 입입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입입 단말기수 추계 방법
JP5553913B2 (ja) 端末数推計装置及び端末数推計方法
JP5442751B2 (ja) 位置情報分析装置及び位置情報分析方法
RU25418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ценки количества терминалов и способ оценки количества терминалов
JP5497899B2 (ja) 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JPWO2010116916A1 (ja) 通信システム、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US20120150490A1 (e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KR101441996B1 (ko) 단말기수 추계 장치 및 단말기수 추계 방법
JP2012054921A (ja) 移動機分布算出システム及び移動機分布算出方法
JP2017010193A (ja) 混雑度判定装置、混雑度判定システム、混雑度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23302B2 (ja) 携帯端末を所持したユーザの滞在判定が可能な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5797120B2 (ja) 情報分析装置および人口分布算出方法
JP5580133B2 (ja) 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CN10756664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JP5732547B2 (ja) 推計装置及び推計方法
JP2013138417A (ja) 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JP2012032924A (ja) 情報分析装置および情報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