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588B1 - 비닐설폰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닐설폰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588B1
KR101460588B1 KR1020097013637A KR20097013637A KR101460588B1 KR 101460588 B1 KR101460588 B1 KR 101460588B1 KR 1020097013637 A KR1020097013637 A KR 1020097013637A KR 20097013637 A KR20097013637 A KR 20097013637A KR 101460588 B1 KR101460588 B1 KR 10146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nic acid
treatment
distillation
vinyl sulf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016A (ko
Inventor
히로시 아키카제
타케히코 미야이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파인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파인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파인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02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sulfonic acids or halides thereof
    • C07C303/22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of sulfonic acids or halides thereof from sulfonic aci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o or halosulfonyl groups; from sulfonic hal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halosulfo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3/00Preparation of esters or amides of sulfuric acids; Preparation of sulfonic acids or of their esters, halides, anhydrides or amides
    • C07C303/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303/44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02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20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을 가지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식: 탈금속률(%)={(탈금속 처리 후의 산가)/(탈금속 처리 전의 산가)}×100 으로 나타내는 탈금속률이 95% 이상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을 가지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탈금속 처리가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처리인 방법을 제공하며, 박막 증류 장치에 의해 정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상기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비닐 설폰산, 탈금속 처리,

Description

비닐설폰산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producing vinylsulfonic acid}
본 발명은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 특히,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을 가지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닐 설폰산은 기능성 폴리머나 도전성 재료를 구성하는 모노머로서 높은 주목을 끌고 있다.
비닐 설폰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각종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비닐 설폰산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아직도 충분한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비닐 설폰산 나트륨을 염산으로 탈나트륨 처리하는 것으로써 비닐 설폰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해당 기재된 방법으로는 충분한 품질의 것을 얻지 못하고, 또 수득한 비닐 설폰산을 증류하면, 고형 찌꺼기가 대량으로 생겨 공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이세티온산을, 5산화인산 또는 파이로인산을 탈수제로서 탈수 처리하는 것으로써 비닐 설폰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탈수제를 다량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고, 또 탈수제의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적합한 제조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제 3312735호
[특허 문헌 2] 미국 특허 제 2597696호
[비특허 문헌 1] Sango Kunichika, Takao Katagiri,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Industrial chemistry section, Vol.64 No.5, 1961, pp.929-93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비닐 설폰산의 공업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심히 검토를 거듭한 결과, 비닐 설폰산염을 원료로서 이용하고, 탈금속 처리에 있어서 금속의 수소에의 교환율을 일정치 이상으로 하는 것, 또,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탈금속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율이 향상되는 것을 찾아냈고, 더욱 열심히 검토를 거듭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을 가지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금속 처리에 있어서의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탈금속률이 95% 이상인 방법을 제공한다:
탈금속률(%)={(탈금속 처리 후의 산가)/(탈금속 처리 전의 산가)}×100.
본 발명에서 비닐 설폰산염은 비닐 설폰산 나트륨이며, 금속은 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을 가지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탈금속 처리가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해 실시하는 처리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탈금속 처리에 있어서의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탈금속률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탈금속률(%)={(탈금속 처리 후의 산가)/(탈금속 처리 전의 산가)}×100.
비닐 설폰산염은 비닐 설폰산 나트륨이고, 금속은 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득한 탈금속 처리물을 박막 증류에 의해 정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 및 수득한 탈금속 처리물을 박막 증류 장치에 의해 정제하는 공정을 가지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금속 처리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탈금속률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탈금속률(%)={(탈금속 처리 후의 산가)/(탈금속 처리 전의 산가)}×100.
비닐 설폰산염을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접촉시켜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 및 수득한 탈금속 처리물을 박막 증류에 의해 정제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비닐 설폰산염
본 발명에 있어서는, 비닐 설폰산염을 이용해 비닐 설폰산을 제조한다. 비닐 설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또는 그러한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 특히 비닐 설폰산 나트륨이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비닐 설폰산염은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비닐 설폰산염 외에 이세티온산염이나 비스설포에틸 에테르의 염 등을 포함한 조성물을 원료로서 이용해도 괜찮다.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조성물 전체에 있어서의 비닐 설폰산염의 비율은 통상 25% 이상 정도이다.
2. 탈금속 처리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탈금속 처리란, 비닐 설폰산염으로부터 금속을 제거하여 수소로 교환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즉, 비닐 설폰산염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제거해 비닐 설폰산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말한다.
탈금속 처리 공정을 일반식에서 가리키면, 아래와 같이 된다:
CH2=CHSO3M   →  CH2=CHSO3H 
(여기서, M는 염을 형성하는 금속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나트륨이나 칼륨 등을 나타냄).
(1) 탈금속률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금속률은 95% 이상, 특히 97% 이상, 더욱 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탈금속률이란,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값을 말한다:
탈금속률(%)={(탈금속 처리 후의 산가)/(탈금속 처리 전의 산가)}×100.
탈금속률이란, 환언하면, 원료에 포함되는 금속의 수소에의 교환율이다. 예를 들면 나트륨으로부터 수소에의 교환율(나트륨 교환율)이다. 즉, 원료에 포함되는 금속염 화합물의 저감율이다.
탈금속률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산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화 적정에 의해 산가를 측정해 구할 수 있다.
탈금속률이 95% 이상이면, 화합물의 분해 또는 그 영향이 현저하고 저감된다. 또 탈금속 처리 후의 정제 공정에 대해 박막 증류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높은 회수율로 대량으로 증류를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고품질의 비닐 설폰산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증류 공정의 유출(留出) 시에 착색이 적은 비닐 설폰산을 얻을 수 있다. 또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이 적은 비닐 설폰산을 얻을 수 있다.
탈금속률을 95% 이상으로 하는 처리이면, 탈금속 처리의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처리가 특히 바람직하다.
(2)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처리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금속 처리는,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닐 설폰산염을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접촉시켜 탈금속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접촉시키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가 있지만, 이온교환 수지를 컬럼에 충전하고, 비닐 설폰산염 수용액을 통액(通液)시켜 실시하는 것이, 이온 교환을 확실히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의 종류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으로부터 적당히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교된 불용성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측쇄에 강산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강산기의 예로서는, 황산기, 인산기 및 설폰산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Diaion® (SK1B, SK116, PK216 등), Amberlite® (IR-120B, IR-124 등), Dowex® (50wx8, HCR-S, Monosphere 650 C 등), Lewatit® (S-100 등) 등을 들 수 있다.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해 탈금속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높은 비율로 비닐 설폰산염을 저감할 수 있고, 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해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품질이 뛰어나고 착색이 적은 비닐 설폰산을 얻을 수 있다.
또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 번의 처리로 효율적으로 탈금속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후의 정제 공정에 있어서 박막 증류의 도입이 가능하게 되고, 대량으로 증류를 실시할 수 있다.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해 실시하는 탈금속 처리에 있어서, 가스의 발생이 저감되어 증류에 있어서의 회수율이 보다 향상된다는 점에서 탈금속률은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7%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9%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 박막 증류 공정
상기 탈금속 처리에 의해 수득한 처리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더욱 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금속 처리물이란, 비닐 설폰산염 또는 그 조성물을 탈금속 처리하여 수득한 것, 구체적으로는, 탈금속 처리에 의해 수득한 비닐 설폰산 또는 그 조성물을 의미한다.
정제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부터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증류, 특히 박막 증류에 의한 정제가 바람직하다.
박막 증류로 정제함에 의하여 품질이 뛰어나 증류시의 착색이 적고, 시간 경과에 따라 착색의 문제가 적은 비닐 설폰산을 얻을 수 있다. 또 높은 회수율로, 대량으로 정제를 실시할 수 있다.
박막 증류는,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박막 증류의 조건은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온도가 150~2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200℃ 정도이다. 또 압력은 통상 30~400 Pa 정도, 바람직하게는 30~200 Pa 정도이다. 이러한 조건으로 실시하는 경우, 분해나 중합이 보다 억제된다.
박막 증류는 필요에 따라서 두 번 이상 반복해 실시할 수도 있고 연속 증류로 할 수도 있다.
박막 증류 장치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 부식의 우려가 적은 점을 고려하면 비닐 설폰산의 접액부가, 탄탈륨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률이 95% 이상이 되도록 탈금속 처리하여 수득한 처리물을 박막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비닐 설폰산염을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탈금속 처리하여 수득한 처리물을 박막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비닐 설폰산염을 강산성 이온 수지에 접촉시켜 탈금속률이 95% 이상이 되도록 탈금속 처리하여 수득한 처리물을 박막 증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처리물은 박막 증류에 즈음해, 증류시에 있어서의 화합물의 분해가 거의 없고,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증류에 있어서의 가스의 발생이 저감되고, 감압도를 안정되어 보관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또, 연속 증류가 가능해지고, 대량으로 증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고점성의 고형상이 아닌 유동성이 있는 찌꺼기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장치나 설비의 세정이 용이해 진다.
또한, 수득한 비닐 설폰산도 품질이 높은 것을 얻을 수 있고, 증류시에는 거의 무색의 비닐 설폰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이 적은 비닐 설폰산을 얻을 수 있다.
4. 다른 공정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탈금속 처리 공정 및 증류 공정 이외의 공정을 필요에 따라서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료 정제 공정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비닐 설폰산의 제조에 관한 공지 기술을 부가할 수 있다.
5. 특성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고품질이며, 착색이 적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색도 적다.
이러한 뛰어난 성질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해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예를 들면, 전해질막, 도료 또는 접착제 등의 수용화제 등의 원료 등으로 해서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고품질의 비닐 설폰산을 대량으로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비닐 설폰산의 생산성이 현격히 향상한다.
종래,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의 합성 방법이 알려져 있었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수율도 낮고, 증류 스케일을 올리지 못하고, 공업화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화합물의 분해가 억제되고, 수득율이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단일 단계로 처리가 가능하고, 공정도 복잡하지 않다. 
나아가, 가스의 발생이 저감되고, 감압도의 유지도 용이하게 되고, 증류 공정의 회수율이 향상한다. 또한, 유동성이 있는 찌거기를 얻을 수 있어, 장치나 설비의 세정이 용이해 진다.
또한, 박막 증류의 도입이 가능해지고, 공정 규모가 증가하고, 생산성이 현격히 향상되며, 품질이 뛰어난 비닐 설폰산을 얻을 수 있고, 착색이나 시간 경과에 따라 변색의 문제도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닐 설폰산의 공업적인 제조를 위해서 뛰어난 방법 및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고, 비닐 설폰산의 현실적인 공업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측정 방법
비닐 설폰산염으로서는 비닐 설폰산 나트륨을 이용했다.
산가 및 요오드가는 일본공업규격 JIS K0070-1992 의해 측정했다. 산가는 중화 적정법으로 측정했다.
산가의 측정치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탈금속률(탈나트륨률)을 결정했다.
탈금속률(%)={(탈금속 처리 후의 산가)/(탈금속 처리 전의 산가)}×100
또 제조 공정의 수율을, 요드드가의 측정치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계산했 다.
수율(%)={(탈금속 처리 후 요오드가)/(탈금속 처리 전 요오드가)}×100
또 증류 공정의 회수율을, 요오드가의 측정치로부터 하기 식에 따라 계산했다.
회수율(%)={(증류 후 요오드가)/(증류 전 요오드가)}×100
통상,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각 예 중의 %는 몰%, 수율은 몰수율을 나타낸다.
비교예 1:염산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25% 비닐 설폰산 나트륨 수용액(Asahi Kasei Finechem CO., LTD., Inc. 의 N-SVS-25) 7.5 Kg에 35% 염산 3 K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했다. 그 다음에 감압하에서, 물을 약 4 L 농축하여, 석출한 염을 여과하는 것으로써, 탈나트륨 처리를 실시했다. 이 탈나트륨 처리를 2회 더 실시하고, 비닐 설폰산 나트륨의 나트륨을 수소로 교환시켜, 비닐 설폰산 수용액을 얻었다.
탈나트륨 처리 전의 산가와 3회의 탈나트륨 처리 후의 산가로부터 구한 탈나트륨률은 93.5% 였다. 또한, 탈나트륨 처리 전 요오드가와 3회의 탈나트륨 처리 후 요오드가로부터 구한 수율은 94.8% 였다.
비교예 2:염산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배치 증류
비교예 1 에서 수득한 비닐 설폰산 수용액 4.5 Kg을 5 L 유리 플라스크에서 감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하고, 비닐 설폰산 2.1 Kg을 얻었다. 회수율은 67% 였다. 감압도는 500-1000 Pa 정도가 되고, 변동이 크고, 감압도를 보관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증류시부터 진한 암자색으로 착색되었다. 한편, 찌꺼기는 흑색의 유동성이 없는 것이 생겼다.
비교예 3:염산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배치 증류
비교예 1 에서 수득한 비닐 설폰산 수용액 1200 g을 1 L 유리 플라스크에서 감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하고, 비닐 설폰산 740 g을 얻었다. 회수율은 82% 였다.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감압도는 500-1000 Pa 정도이며, 변동이 크고, 감압도를 보관 유지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증류시부터 진한 암자색으로 착색되었다. 한편, 찌꺼기는 흑색의 유동성이 없는 것이 생겼다.
비교예 4:염산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박막 증류
비교예 1 에서 수득한 비닐 설폰산 수용액을, 박막 증류 장치(SIBATA SCIENTIFIC TECHNOLOGY LTD. 의 MS-300)를 이용해 증류했지만, 증발면에 분해물이 고착되고, 증류할 수 없었다.
실시예 1: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미리 염산으로 재생한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DOWEX Monosphere 650C) 26 L를 내경 180 mm 및 높이 690 mm 의 컬럼 탑에 충전하고, 컬럼 아래로부터 25% 비닐 설폰산 나트륨 12.2 Kg을 유입하고, 다음에 이온 교환수 100 Kg으로 컬럼 아래로부터 세정하고 탈나트륨 처리를 실시했다. 1회의 탈나트륨 처리 전후의 산가로부터 구한 탈나트륨률은 98.4% 였다. 또한, 수율은 94.3% 였다.
실시예 2~8: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이온교환 수지로서 실시예 1 에 이용한 것을 재생해 반복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 과 같은 조작을 7회 실시하고, 실시예 2~8 로 했다.
이온교환 수지는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이온교환 수지 컬럼에 5% 염산을 통액하고, 그 다음에 이온 교환수로 자주 세정하는 것으로 재생했다. 또한, 각 실시예로 같은 재생을 실시하고, 반복 사용했다.
실시예 2~8에 있어서의 수율과 탈나트륨률(나트륨 교환율)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2 수율 96.5% 탈나트륨률 97.0%
실시예3 수율 76.8% 탈나트륨률 99.8%
실시예4 수율 84.6% 탈나트륨률 96.4%
실시예5 수율 88.2% 탈나트륨률 96.9%
실시예6 수율 82.3% 탈나트륨률 99.5%
실시예7 수율 83.5% 탈나트륨률 97.8%
실시예8 수율 70.6% 탈나트륨률 99.1%
실시예 9: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미리 염산으로 재생한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 26 L를 내경 180 mm 및 높이 690 mm의 컬럼탑에 충전하고, 컬럼 위로부터 25% 비닐 설폰산 나트륨 12.2 Kg을 유입하고, 다음에 이온 교환수 100 Kg으로 컬럼 상부로부터 세정하고 탈나트륨 처리했다. 1회의 탈나트륨 처리의 전후의 산가로부터 구한 탈나트륨률은 84.4% 였다. 또한, 수율은 92.0% 였다.
실시예 10: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배치( batch ) 증류
실시예 1의 탈나트륨 처리에 의해 수득한 비닐 설폰산 조성물 0.6 Kg을 감압 농축하고, 농축 500 mL의 규모로 감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약간의 아황산 가스의 악취가 나는 것의 감압도는 150 Pa로 유지되고 회수율은 94% 였다.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증류시는 담황색이며, 시간 경과로 착색되었다. 또한, 증류시에 찌꺼기가 생겼지만, 이는 흑갈색으로 유동성이 있어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11: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배치 증류
비닐 설폰산 조성물을 1.2 Kg 및 스케일을 1 L 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감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아황산 가스의 악취가 약하게 나고, 감압도는 220 Pa 정도였다. 회수율은 92% 였다.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증류시는 담황색이며, 시간 경과로 더욱 착색되었다. 또 증류시에 찌꺼기가 생겼지만, 이는 흑갈색으로 유동성이 있어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배치 증류
비닐 설폰산 조성물을 2.4 Kg 및 스케일을 2 L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감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아황산 가스의 악취가 강하게 나고, 감압도는 360 Pa 정도였다. 회수율은 89% 였다.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증류시는 담황색이었지만, 시간 경과로 더욱 착색되었다. 또 증류시에 찌꺼기가 생겼지만, 이는 흑갈색으로 유동성이 있어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배치 증류
비닐 설폰산 조성물을 5 Kg 및 스케일을 5 L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 과 동일하게 감압하에서, 증류를 실시했다. 그 결과, 아황산 가스의 악취가 극히 강하고, 감압도는 600 Pa 정도였다. 회수율은 78% 였다.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증류시는 담황색이었지만, 시간 경과로 더욱 착색되었다. 또 증류시에 찌꺼기가 생겼지만, 이는 흑갈색으로 유동성이 있어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강산성 이온교환 수지에 의한 탈나트륨 처리 및 박막 증류
실시예 1의 탈나트륨 처리로 수득한 비닐 설폰산 조성물을 연속하여 3.6 Kg 공급하고, 박막 증류 장치에서 감압하에서 연속 증류를 시도했다. 온도 조건은 160~200℃ 로 했다. 그 결과, 감압도는 70 Pa로 유지되고 안정하게 증류 운전을 계속할 수가 있었다. 또한, 아황산 가스의 악취는 전혀 없고, 회수율은 96% 정도로 유지되었다.
수득한 비닐 설폰산은 증류시는 담황색이며, 6개월 시간 경과에 따라 후도 착색의 진행은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증류시에 찌꺼기가 생겼지만, 이는 흑갈색으로 유동성이 있어서,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삭제
  2. 비닐 설폰산염을 탈금속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금속 처리가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처리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수득한 탈금속 처리물을 박막 증류에 의해 정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닐 설폰산의 제조 방법.
KR1020097013637A 2006-12-27 2007-12-26 비닐설폰산의 제조 방법 KR10146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1663 2006-12-27
JPJP-P-2006-351663 2006-12-27
PCT/JP2007/074933 WO2008078767A1 (ja) 2006-12-27 2007-12-26 ビニルスルホン酸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016A KR20090094016A (ko) 2009-09-02
KR101460588B1 true KR101460588B1 (ko) 2014-11-17

Family

ID=39562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637A KR101460588B1 (ko) 2006-12-27 2007-12-26 비닐설폰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99294B2 (ko)
EP (1) EP2128131B1 (ko)
JP (1) JP5468266B2 (ko)
KR (1) KR101460588B1 (ko)
CN (1) CN101573331B (ko)
TW (1) TWI441806B (ko)
WO (1) WO2008078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80258B (zh) 2008-03-28 2015-04-11 Asahi Kasei Finechem Co Ltd Vinyl sulfonic acid, a polymer thereof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5067741A (ja) * 2013-09-30 2015-04-13 Dic株式会社 着色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6267523B2 (ja) * 2014-01-24 2018-01-24 旭化成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ビニル系スルホン酸水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ビニル系スルホン酸精製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6003B1 (ko) * 2016-03-11 2020-01-15 주식회사 카이로켐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 설폰산염의 산성화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735A (en) * 1963-09-30 1967-04-04 Dow Chemical Co Purification of ethylenesulfon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9452A (en) 1945-12-22 1952-11-25 Gen Aniline & Film Corp Purification of vinyl sulfonic acids
US2597696A (en) 1948-03-18 1952-05-20 American Cyanamid Co Preparation of ethylenesulfonic acid
DE2058776C3 (de) * 1970-11-30 1985-05-09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sulfonaten oder von Vinylsulfonsäure aus Carbylsulfat
EP0957086A3 (en) * 1998-05-14 2003-02-12 Haldor Topsoe A/S Process for the removal of metal compounds from an aqueous acid solution
JP3970451B2 (ja) 1998-12-28 2007-09-05 花王株式会社 スルホン酸塩の高純度精製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2735A (en) * 1963-09-30 1967-04-04 Dow Chemical Co Purification of ethylenesulfonic ac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8131A1 (en) 2009-12-02
JPWO2008078767A1 (ja) 2010-04-30
CN101573331B (zh) 2013-03-20
EP2128131A4 (en) 2011-12-14
US8299294B2 (en) 2012-10-30
US20100081840A1 (en) 2010-04-01
TW200840807A (en) 2008-10-16
EP2128131B1 (en) 2015-05-13
TWI441806B (zh) 2014-06-21
KR20090094016A (ko) 2009-09-02
JP5468266B2 (ja) 2014-04-09
CN101573331A (zh) 2009-11-04
WO2008078767A1 (ja)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588B1 (ko) 비닐설폰산의 제조 방법
US10604478B1 (en) Method for producing taurine and method for removing impurity from reaction system for producing taurine
DE19849924A1 (de) Verfahren zur Abtrennung organischer Säuren aus wäßrigen Lösungen
JPS6133914B2 (ko)
CA1061081A (en) Production of alkali metal phosphate slutions of low vanadium content
JP5734429B2 (ja) ジシクロヘキシルジスルフィドの製造方法
JPH10279520A (ja) α−,β−またはγ−置換カルボン酸の精製方法
KR20020077821A (ko)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의 개량 제조 방법
DE1543062C (ko)
CS231971B2 (en) Purification method for mercaptobenzothiazole
US3579581A (en) Preparation of quaternary ammonium hydroxides
CN116924339B (zh) 一种从全氟烷基碘下游产品生产尾液中回收碘的方法
KR0124821B1 (ko) 산성 반응 용액중의 메틸글리콜레이트 분리방법
US2173895A (en) Process for producing sulphide pigments
JPS5811952B2 (ja) メルカプトベンゾチアゾ−ルの精製法
US2456500A (en) Purification of diaryl monosulfides
PL170642B1 (pl) Sposób oczyszczania kwasu fosforowego PL PL PL
JP2000086623A (ja) 過酢酸水溶液の製造方法
DE2001957C (ko)
DE2528896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anadiumarmen Alkaliphosphatlösung
SU411074A1 (ko)
US1298334A (en) Method for the utilization of niter cake.
SU1416481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еципитата
JPS60158163A (ja) ポリチオアルキレンジメルカプタン類の製造方法
CN112898335A (zh) 一种低气味磷酸酯tcpp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