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315B1 - 투명한 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한 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315B1
KR101456315B1 KR1020097022141A KR20097022141A KR101456315B1 KR 101456315 B1 KR101456315 B1 KR 101456315B1 KR 1020097022141 A KR1020097022141 A KR 1020097022141A KR 20097022141 A KR20097022141 A KR 20097022141A KR 101456315 B1 KR101456315 B1 KR 10145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rrier layer
film
barrier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821A (ko
Inventor
마티아스 팔란트
토비아스 폭트
니콜라스 쉴러
욘 팔타이히
발데마르 쉔베르거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Publication of KR2010001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07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using an electrostatic fiel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21Reactive sputtering or evaporation
    • C23C14/0036Reactive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6Oxides of zinc, germanium, cadmium, indium, tin, thallium or bismu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열가소성 필름 및 1 이상의 침투 차단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차단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침투 차단층은 아연, 주석 및 산소 원소의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고 아연의 질량 분율은 5% ∼ 70%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차단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한 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TRANSPARENT BARRI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한 우수한 침투 차단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가시 스펙트럼 범위의 광에 대하여 높은 투명성을 갖는 열가소성 차단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민감한 물체에 대한 보호 필름으로서 또는 포장 재료로서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보편적이다. 종종 이들 플라스틱 필름은 기계적 보호 또는 기계적 제약을 제공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기체에 대하여 차단 작용을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단 작용은 이하에서 침투 차단성으로서 언급되기도 한다. 차단 필름의 차단 작용에서, 대기 중에 함유된 산소 기체 및 수증기에 대하여 이러한 차단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종종 매우 중요하다. 물체와 접촉하는 이들 기체는 보호 대상 재료에 대하여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여러가지 화학 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차단 필름은 음식물의 포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수증기 투과율 변수는 침투 차단성의 질에 대한 특징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두께가 125 ㎛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은 수증기 투과율이 약 8 g/m2d (여기서, 단위 중의 "d"는 "일", 즉 24 시간을 의미함)이다. 이 값은 필름의 두께에 의존한다. 그러나, 다수의 적용예에서는 훨씬 더 낮은 침투값이 요구된다. 예컨대, 식품 포장을 위해서는 약 1 g/m2d의 값을 얻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값은 다층 차단 필름을 사용할 경우 얻어질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한 층은 플라스틱 필름 자체이고, 제2 층은 예컨대 더 높은 침투 효과를 달성하는 필름 상의 박층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유형의 층은 예컨대 알루미늄일 수 있다. 종종 차단 필름은 침투 차단성을 가져야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투명성도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 요건이다. 여기서 투명성은 이 필름이 가시 스펙트럼 영역, 즉 380 nm 내지 780 nm 광파장에서 7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짐을 의미한다. 투명성에 대한 요건은 특히 차단 필름이 태양 전지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은 광전자 소자의 외피로서 사용되는 경우 적용된다. 플라스틱 필름과 금속 박층의 조합은 이러한 유형의 요건의 경우에는 부적당하다.
약 1 g/m2d 이하의 수증기 투과율은 산화물층과 플라스틱 필름의 조합으로 얻을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이한 원소들의 산화물은 침투 효과를 갖는 층들에 대하여 동등하게 적합한 것은 아니므로 정확한 값은 코팅 재료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코팅 방법에 의존한다. 따라서, TiO2층으로는 양호한 차단 작용을 얻을 수 없는 반면 알루미늄 원소의 산화물층은 매우 양호한 침투 장벽을 형성하는 것이 공지이다(N. Schiller et al., Barrier Coatings on Plastic Web, 44th Annual Technical Conference Proceedings, 2001). 또한, Si3N4의 층도 또한 매우 양호한 침투 차단성을 가진다.
그러나, Si3N4 재료 및 알루미늄 산화물은 가요성 플라스틱 웹 상에 도포된 후 균열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얻어지는 차단 효과에 부정적인 작용을 한다. 이로써 이러한 유형의 차단 필름의 사용도 마찬가지로 제한된다. 이러한 사실은 식품 포장에 불리할 뿐만 아니라 민감한 기계 제품을 보호하는 경우에도 불리하다. 이러한 유형의 제품은 예컨대 태양 전지(요건: 수증기 투과율 10-3 g/m2d), 리튬계 박막 배터리(요건: 수증기 투과율 2 x 10-4 g/m2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요건: 수증기 투과율 10-6 g/m2d)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층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차단층의 차단 작용이 증가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특히 알루미늄 산화물 층으로는 균열 형성으로 인하여 특정 층 두께로부터 더 이상의 차단 작용 증대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예컨대, 약 100 nm의 층 두께를 갖는 Al2O3층을 사용하면, 차단 작용에 대하여 0.09 g/m2d의 값이 얻어진다. 층 두께를 더 증가시키면, 차단 작용에 있어 현저한 증대가 더 이상 기록되지 않는다.
공지된 차단 필름에 대하여 여러가지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이것은 특히 침투 차단 작용이 증대된 차단층에 적용된다. 따라서, 예컨대 재료 특성에 있어 구배 를 갖는 SiO2층은 EP 0 311 432 A2호로부터 공지이다. 이로써, 플라스틱 필름에 대한 침투 차단의 기계적 조절 및 따라서 양호한 기계적 내성이 얻어질 수 있다.
또다른 방법은 유기층 및 무기층을 교대로 도포한 다층 구조의 시스템이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문헌[J.D. Affinito et al., Thin Solid Films 290-291 (1996), 63-67 페이지]에 개시되며, 여기서는 Al2O3가 높은 차단 작용을 갖는 무기층으로서 사용된다.
DE 10 2004 005 313 A1호에서는 특별한 마그네트론 베이스 PECVD법으로 도포되는 제2층과 무기층을 조합한다. 무기층으로서 Al2O3도 이 경우 가능한 실시양태 중 하나를 형성한다.
공지된 방법은 모두 해당 코팅 기술에 의하여 플라스틱 필름 상에 높은 차단 작용을 갖는 1 이상의 재료를 증착시켜 높은 차단 작용을 얻는 것을 공통으로 한다. 그러나, 여기서 사용되는 재료, 특히 Al2O3는 기계적 응력하에서 균열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그 용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투명한 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차단 필름은 산소 및 수증기에 대하여 매우 양호한 차단 특성을 가져야 하고 기계적 응력 하에서 균열 형성에 대한 경향이 더 작아야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은 제1항 및 제8항의 특징을 갖는 발명 주제(subject matter)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양태는 종속항으로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차단 필름은 투명한 열가소성 필름 및 1 이상의 침투 차단층을 포함한다. 침투 차단층은 아연, 주석 및 산소 원소의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아연의 질량 분율은 5% ∼ 70%이다.
아연 주석 산화물의 박층은 무정질 재료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것은 예컨대 순수한 아연 산화물과 같은 필적하는 미세결정질 재료보다 더 낮은 충전 밀도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연 및 주석 합금의 혼합 산화물은 매우 우수한 침투 차단 작용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놀랍게도 알루미늄 산화물에 비하여 아연 주석 산화물 층은 매우 개선된 가요성을 갖고 균열 형성 경향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연 주석 산화물층의 두께를 100 nm 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차단 특성을 더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단 필름의 침투 차단층은 20 nm ∼ 1000 nm의 광범위한 층 두께 범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매우 양호한 차단 특성은 50 nm ∼ 300 nm의 층 두께 범위에서 이미 달성된다.
열가소성 필름 및 침투 차단층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차단 필름은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규소 및 탄소 원소를 포함하고 탄소 질량 분율이 1% ∼ 10%인 추가의 층이 상기 필름 및 침투 차단층 사이에 증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층은 한편으로는 평탄화층으로서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필름과 침투 차단층의 기계적 특성의 연속적 전이 또는 균등화를 야기한다.
그러나, 침투 차단층이 필름에 면한 쪽에서 5% 이하의 탄소 질량 분율을 갖도록 하는 구배로 침투 차단층을 필름 상에 구현하는 경우 이러한 유형의 중간층 없이도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투명한 차단 필름은 2 x 10-3 Ω cm 미만의 고유 저항을 갖는 전기 전도성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작용층을 갖는 이러한 유형의 차단 필름은 동시에 투명한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 필름은 침투 차단층, 평탄화층 및/또는 작용층이 교대로 필름 상에 증착된 층 스택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명한 열가소성 필름 및 1 이상의 침투 차단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차단 필름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 방법에서, 침투 차단층은 진공 코팅 공정에 의하여 아연, 주석 및 산소 원소의 화학적 화합물로서 증착된다.
이로써 침투 차단층은 20 nm ∼ 1000 nm, 바람직하게는 50 nm ∼ 300 nm 범위의 두께로 증착된다.
예컨대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이 진공 코팅 방법으로서 적당하다. 표적으로서 아연 및 주석의 합금이 스퍼터링되며, 상기 스퍼터링 공정은 반응성 기체 산소의 존재 하에 실시한다.
필름의 전체 표면에서 균일한 차단 특성을 얻을 수 있기 위하여, 또한 일정한 층 두께를 갖는 침투 차단층을 전체 필름 표면에 증착하여야 한다. 증착된 침투 차단층의 두께는 진공 처리실로 반응성 기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조절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반응성 스퍼터링 공정 동안 산소가 증가되면 스퍼터링시킬 표적 상에 반응 생성물의 형성이 증가되므로 스퍼터링 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반응성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침투 차단층의 층 증가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진공 처리실로의 산소 유입을 제어 회로로 제어한다. 여기서 산소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변수가 스퍼터링 플라즈마의 광학 방출 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된다면 유리하다.
예컨대 아연 또는 주석의 방출선 및 사용된 불활성 기체의 방출선의 비율을 제어 변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양태를 기초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마그네트론 플라즈마의 두 스펙트럼 라인의 강도로부터 얻어지는 값의 함수로서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한 ZnSnOx층의 반응성 증착 동안의 산소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Al2O3의 침투 차단층 및 ZnSnOx의 침투 차단층의 층 두께에 대한 수투과율의 의존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아연 주석 산화물의 침투 차단층은 반응성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열가소성 필름 상에 증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아연 주석 합금의 표적은 불활성 기체 아르곤의 존재하에 반응성 기체 산소를 공급하여 스퍼터링한다. 반응 생성물이 표적을 커버하는 정도, 따라서 증착율/층두께 및 층조성은 반응성 기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제어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침투 차단층은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하여 일정한 층두께, 따라서 일정한 차단 특성을 갖도록 증착될 수 있다.
스퍼터링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진공실(1)에서, 아연의 스펙트럼선의 강도값 및 아르곤의 스펙트럼선의 강도값은 분광계(2)로 측정되어, 평가 장치(3)로 전달되고, 여기서 두 강도값의 비율이 생성된다. 제어 신호는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실제 비율값과 미리 정해진 소정값을 비교하여 얻어지며, 제어 신호는 산소 유입 밸브(4)를 구동하여, 측정된 실제 비율값이 미리 결정된 소정값과 매치되도록 진공실(1)로의 산소 공급을 재조절한다.
도 2에는, 본 발명 방법에 따라 증착된 아연 주석 산화물의 차단층을 갖는 차단 필름의 침투 차단 작용이 차단층의 층두께의 함수로서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수증기 투과율은 침투 차단 작용의 측정으로서 y축에 표시된다. 층 두께 및 수증기 투과율에 대한 값의 각 쌍은 작은 삼각형으로서 도시되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일치 곡선(fitted curve)은 점쇄선(dash-dot line)으로 도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Al2O3 층을 제외하고 동일한 필름 기판을 갖는 차단 필름의 침투 차단 작용도 Al2O3 층의 층 두께의 함수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값의 결합쌍은 작은 사각형으로 도시되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일치 곡선은 점선으로서 도 시된다. 동일한 두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 필름은 종래 기술에 따른 Al2O3 층을 갖는 차단 필름보다 양호한 침투 차단 작용을 가짐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Al2O3 층을 사용하면 약 100 nm의 층 두께로부터 차단 작용에 있어 유의적인 개선을 얻을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단 필름을 사용하면 100 nm가 넘는 층 두께 증가로 차단 특성에서 유의적인 개선이 얻어짐을 알 수 있어,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차단 필름은 Al2O3 층을 갖는 공지된 차단 필름보다 균열 형성 경향이 더 낮다고 추론될 수 있다.

Claims (14)

  1. 투명한 열가소성 필름 및 1 이상의 침투 차단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차단 필름으로서,
    침투 차단층이 아연, 주석 및 산소 원소의 화학적 화합물을 포함하고 침투 차단층 중 아연의 질량 분율이 5% ∼ 70%이며,
    상기 침투 차단층은 열가소성 필름에 면한 쪽에서 5% 이하의 탄소 질량 분율을 갖고,
    차단 필름은 1 이상의 추가의 층을 포함하며, 제1 추가층은 전기 전도성이고 2 x 10-3 Ω cm 미만의 고유 저항을 갖고, 제2의 추가층은 규소 및 탄소 원소를 포함하고 탄소 질량 분율은 1%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침투 차단층은 20 nm 내지 1000 nm의 두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침투 차단층은 50 nm 내지 300 nm의 두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 필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투명한 열가소성 필름 및 1 이상의 침투 차단층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투명한 차단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진공 코팅 공정에 의하여 침투 차단층을 아연, 주석 및 산소 원소의 화학적 화합물로서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침투 차단층은 20 nm 내지 1000 nm의 두께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침투 차단층은 50 nm 내지 300 nm의 두께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투 차단층은 스퍼터링으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반응성 기체 산소를 유입하여 아연 및 주석의 합금을 포함하는 표적을 스퍼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산소 유입은 제어 회로로 제어되며, 여기서 제어 변수는 스퍼터링 플라즈마의 광학 방출 스펙트럼으로부터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아연 또는 주석의 방출선 및 사용된 불활성 기체의 방출선의 비율을 제어 변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97022141A 2007-04-27 2008-03-04 투명한 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56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9994A DE102007019994A1 (de) 2007-04-27 2007-04-27 Transparente Barrierefol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DE102007019994.7 2007-04-27
PCT/EP2008/001694 WO2008135109A1 (de) 2007-04-27 2008-03-04 Transparente barrierefol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821A KR20100015821A (ko) 2010-02-12
KR101456315B1 true KR101456315B1 (ko) 2014-11-03

Family

ID=3947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141A KR101456315B1 (ko) 2007-04-27 2008-03-04 투명한 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00136331A1 (ko)
EP (1) EP2148899B1 (ko)
JP (1) JP5349455B2 (ko)
KR (1) KR101456315B1 (ko)
CN (1) CN101715466B (ko)
AT (1) ATE475687T1 (ko)
DE (2) DE102007019994A1 (ko)
WO (1) WO2008135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1419A1 (de) * 2007-12-20 2009-06-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ransparente Kunststofffolie zum Abschirmen elektromagnetischer Well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Kunststofffolie
DE102008019665A1 (de) * 2008-04-18 2009-10-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ransparentes Barriereschichtsystem
DE102009018518A1 (de) * 2009-04-24 2010-10-28 Tesa Se Transparente Barrierelaminate
TW201040299A (en) * 2009-05-05 2010-11-16 Fraunhofer Ges Forschung Layer system having barrier properties and a structured conductive lay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such a layer system
DE102009031483A1 (de) 2009-07-02 2011-01-05 Rent-A-Scientist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lektrisch leitfähiger transparenter Schichten mittels thermischen Bedampfens
CN103597119B (zh) 2009-07-08 2017-03-08 艾克斯特朗欧洲公司 用于等离子体处理的装置和方法
US8765232B2 (en) 2011-01-10 2014-07-01 Plasmasi,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electric deposition
DE102011017404A1 (de) * 2011-04-18 2012-10-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Abscheiden eines transparenten Barriereschichtsystems
JP2013047361A (ja) * 2011-08-29 2013-03-07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パッタリングターゲ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ターゲットを用いた薄膜、該薄膜を備える薄膜シート、積層シート
JP2013067015A (ja) * 2011-09-20 2013-04-18 Sekisui Chem Co Ltd ガスバリア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07778B2 (ja) * 2012-03-30 2016-04-26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スバリア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BR112014030056A2 (pt) * 2012-05-31 2017-08-08 Bayer Materialscience Ag película plástica revestida com óxido de zinco-estanho que possui propriedades de absorção óptica melhoradas.
US9299956B2 (en) 2012-06-13 2016-03-29 Aixtron, Inc. Method for deposition of high-performance coatings and encapsulated electronic devices
US10526708B2 (en) 2012-06-19 2020-01-07 Aixtron Se Methods for forming thin protective and optical layers on substrates
JP5667732B1 (ja) 2013-07-01 2015-02-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無機膜及び積層体
KR102194915B1 (ko) 2014-01-13 2020-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퍼터링 장치 및 스퍼터링용 가스 공급관
JP6138968B2 (ja) * 2014-10-14 2017-05-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
DE102014118487A1 (de) * 2014-12-12 2016-06-1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Abscheiden eines transparenten Mehrschichtsystems mit Kratzschutzeigenschaften
JP2019010735A (ja) * 2015-11-24 2019-01-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ー性フィルム及び電子デバイス
GB201710213D0 (en) 2017-06-27 2017-08-09 Dupont Teijin Films U S Ltd Partnership Functional film and produc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899A (ja) * 1997-04-28 1998-11-10 Sumitomo Bakelite Co Ltd 帯電防止フィルム
JP2006009084A (ja) * 2004-06-25 2006-01-12 Bridgestone Corp p型透明酸化物膜の成膜方法及び太陽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0720A (en) 1987-10-07 1992-03-31 Mitsubishi Monsanto Chemical Company Limited Laminated film having gas barrier properties
DE4304612C2 (de) * 1993-02-16 1995-03-16 Fraunhofer Ges Forschun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Messung der stofflichen Zusammensetzung des Dampfes einer Schmelze oder eines zu verdampfenden Materials im Vakuum
EP0636702B1 (en) * 1993-07-28 1999-05-19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s for producing functional films
DE4343040C1 (de) * 1993-12-16 1995-01-26 Fraunhofer Ges Forschung Barrierefolie
US6352755B1 (en) * 1994-10-04 2002-03-05 Ppg Industries Ohio, Inc. Alkali metal diffusion barrier layer
US5763033A (en) * 1996-01-30 1998-06-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tube assembly
DE19802506A1 (de) * 1998-01-23 1999-07-29 Leybold Systems Gmbh Metallhaltige Barriereschicht für Verpackungs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haltigen Barriereschicht für Verpackungsmaterial
DE19849205A1 (de) * 1998-10-26 2000-04-27 Leybold Systems Gmbh Transparentes Barriereschichtensystem
DE69912647T2 (de) * 1999-05-18 2004-05-13 Cardinal Cg Co., Eden Prairie Harte kratzfeste beschichtungen für substrate
US6337151B1 (en) * 1999-08-18 2002-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ded composition diffusion barriers for chip wiring applications
DE10018143C5 (de) * 2000-04-12 2012-09-06 Oerlikon Trading Ag, Trübbach DLC-Schichtsystem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Schichtsystems
DE10341513B4 (de) * 2002-09-06 2010-10-07 Von Ardenne Anlagentechnik Gmbh Verfahren zur Regelung des Reaktivgasflusses in reaktiven plasmagestützten Vakuumbeschichtungsprozessen
DE10302036A1 (de) * 2003-01-21 2004-07-2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olyesterfolie mit verbesserter Sauerstoffbarrier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und eine Barrierebeschich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7516347A (ja) * 2003-05-16 2007-06-21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原子層蒸着によって製造されたプラスチック基板用のバリアフィルム
JP4889195B2 (ja) * 2003-09-26 2012-03-0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透明樹脂基板、ガスバリア性透明樹脂基板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表示素子、およびガスバリア性透明樹脂基板の製造方法
DE102004004039A1 (de) * 2004-01-26 2005-08-1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ermeationsbarrierefolie
DE102004005313A1 (de) * 2004-02-02 2005-09-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Ultrabarriere-Schichtsystems
JP2005256061A (ja) * 2004-03-10 2005-09-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
EP1609816A1 (en) * 2004-06-25 2005-12-28 A. Schulman Plastics Masterbatch Composition containing nano scalar zinc oxide for the production of transparent polyolefin films with UV-barrier properties
DE102004030977A1 (de) * 2004-06-26 2006-01-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etallisierte oder keramisch beschichtete Polyesterfolie enthaltend Poly(mxyloladipinamid)
US8652625B2 (en) * 2004-09-21 2014-02-1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Transparent gas barrier film
US7947373B2 (en) * 2004-10-14 2011-05-24 Pittsburgh Glass Works, Llc High luminance coated glass
WO2006087941A1 (ja) * 2005-02-17 2006-08-2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ガスバリアフィルム、ガスバリア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該ガスバリアフィルム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樹脂基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7906217B2 (en) * 2005-02-22 2011-03-15 Toyo Seikan Kaisha, Ltd. Vapor deposited film by plasma CVD method
DE102005011470A1 (de) * 2005-03-12 2006-09-14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mit hoher Sauerstoffbarriere
JP2007083644A (ja) * 2005-09-26 2007-04-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ガスバリアフィル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用樹脂基材、該樹脂基材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961786B2 (ja) * 2006-03-17 2012-06-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透明導電膜、およびこ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4730204B2 (ja) * 2006-05-24 2011-07-2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酸化物焼結体ターゲ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酸化物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899A (ja) * 1997-04-28 1998-11-10 Sumitomo Bakelite Co Ltd 帯電防止フィルム
JP2006009084A (ja) * 2004-06-25 2006-01-12 Bridgestone Corp p型透明酸化物膜の成膜方法及び太陽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821A (ko) 2010-02-12
DE502008001051D1 (de) 2010-09-09
CN101715466B (zh) 2012-07-18
JP2010524732A (ja) 2010-07-22
CN101715466A (zh) 2010-05-26
US20120168301A1 (en) 2012-07-05
DE102007019994A1 (de) 2008-10-30
EP2148899B1 (de) 2010-07-28
WO2008135109A1 (de) 2008-11-13
US20100136331A1 (en) 2010-06-03
EP2148899A1 (de) 2010-02-03
ATE475687T1 (de) 2010-08-15
JP5349455B2 (ja)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315B1 (ko) 투명한 차단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5026786B2 (ja) 金属酸化物、窒化物、酸化窒化物層をコートされた基板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プロセスおよび装置
EP1397244B1 (en) Transparent conductive stratiform coating of indium tin oxide
KR102051328B1 (ko) 가스 배리어성 필름
US9365450B2 (en) Base-layer consisting of two materials layer with extreme high/low index in low-e coating to improve the neutral color and transmittance performance
JP6045043B2 (ja) 焼入れ可能及び焼入れ不可能な透明ナノコンポジット層
WO2014160357A1 (en) Color shift improvement after heat treatment
WO2000051139A1 (fr) Stratifie conducteur transparen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dispositif d'affichage comprenant ce stratifie conducteur transparent
JP5538361B2 (ja) 透明バリア層システム
US20140272455A1 (en) Titanium nickel niobium alloy barrier for low-emissivity coatings
EP2152786B1 (en) Multiple-lay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448345B2 (en) Silver barrier materials for low-emissivity applications
US20120052244A1 (en) Layer system having barrier properties and a structured conductive lay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of such a layer system
US8784934B2 (en) Heat stable SnAl and SnMg based dielectrics
KR20180091832A (ko) 착색된 글레이징을 얻기 위한 방법 및 플랜트
EP0594568A1 (en) Method of depositing optical oxide coatings at enhanced rates
US2009028610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ated article by sputtering a ceramic target
Kim et al. Op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antalum-Oxide Thin Films Prepared by Using Reactive DC Magnetron Sputtering with Ar and O2 Mixed-Gas Ion-Beam Assistance
GB2345919A (en) Depositing material
Boughelout et al. ELABO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ZnO THIN FILMS DEPOSITED BY DC SPUTTERING AT LOW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APPLICATION TO PHOTOVOLTAIC AND GAS SENSOR
US20140170338A1 (en) pvd chamber and process for over-coating layer to improve emissivity for low emissivity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