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957B1 -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상 변화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상 변화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957B1
KR101452957B1 KR1020080015918A KR20080015918A KR101452957B1 KR 101452957 B1 KR101452957 B1 KR 101452957B1 KR 1020080015918 A KR1020080015918 A KR 1020080015918A KR 20080015918 A KR20080015918 A KR 20080015918A KR 101452957 B1 KR101452957 B1 KR 101452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line
global bit
bit lines
memory device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601A (ko
Inventor
최병길
조백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957B1/ko
Priority to US12/379,398 priority patent/US7929337B2/en
Publication of KR2009009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2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parasitic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6Bit-line or colum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elements whose operation depends upon chemical chan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002Isolation gates, i.e. gates coupling bit lines to the sense amplif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6/00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directly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6/12Reading and writing aspects of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2216/22Nonvolatile memory in which reading can be carried out from one memory bank or array whilst a word or sector in another bank or array is being erased or programm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임의의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발생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capable of preventing coupling noise during read while write operation}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 변화 메모리 장치에서의 리드 와일 라이트(Read While Write) 동작시 발생하는 커플링 노이즈(coupling noise)를 방지할 수 있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을 채택할 수 있다.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이란 하나의 뱅크(또는 하나의 메모리 영역)에 대한 기입 동작을 하는 동안, 다른 뱅크(또는 다른 메모리 영역)에 대한 독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스택 구조와 같이, 뱅크들이 수직적으로 구현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에서는 층을 달리하는 하나의 뱅크에 기입 동작을 하는 동작, 다른 뱅크에서의 독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의 향상 및 속도의 증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그런데,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 동안, 하나의 글로벌 비트 라인에는 기입 전 압이 인가되고 다른 글로벌 비트 라인에는 독출 전압이 인가되므로, 두 개의 글로벌 비트 라인들이 인접하여 위치한다면, 각각 서로 다른 기입 전압 및 독출 전압이 인가됨에 따른 커플링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플링 노이즈는 메모리 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신뢰성 측면에서 문제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발생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임의의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복수개의 뱅크들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뱅크들은 스택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사이에 실딩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딩 수단에는 접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딩 수단에는 전원 전압 또는 승압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딩 수단은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사이를 임의의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의의 거리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 또는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을 구비한다고 할 때, 인접하여 위치하 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 사이의 거리 또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은 대응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과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을 사이에 두고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 중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을 제 1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및 제 2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이라 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은, 상기 제 1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및 상기 제 2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개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 중 인접하여 위치하는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을 제 1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및 제 2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이라 할 때, 상기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및 상기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은, 번갈아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을 구비할 때, 상기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은 번갈아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은 각각, 끼리끼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임의의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구비하고, 로컬 비트 라인들은 각각, 기입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 을 활성화하는 제 1 선택 수단 및 독출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활성화하는 제 2 선택 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에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을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라 할 때,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양단 또는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일단과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각각,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에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각각,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각각,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에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각각,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각각,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일단과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기입 동작시 활성화되는 제 1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또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독출 동작시 활성화되는 제 2 제어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각각 구비하고,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과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두거나 파워 라인으로 실딩(shielding)함으로써,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발생하는 커플링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각각 구비함에 있어, 로컬 비트 라인들에 연결되는 독출 선택 수단들 및 기입 선택 수단들 또한 따로 구비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일정한 영역에 위치하는 메모리 셀들(SCA)과 연결되는 임의의 로컬 비트 라인들(LBL0 ~ LBL7)을 구비한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로컬 비트 라인들(LBL0 ~ LBL7)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WGBL) 및 로컬 비트 라인들(LBL0 ~ LBL7)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RGBL)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WGBL)과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RGBL)은 로컬 비트 라인들(LBL0 ~ LBL7)을 사이에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뱅크들(BANK0 ~ BANK3)이 스택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WGBL3 또는 WGBL4)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RGBL0 또는 RGBL7) 사이에 실딩 수단(220 또는 2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실딩 수단(220, 240)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지 전압(GND)이 인가될 수 있다.
이렇게,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WGBL3 또는 WGBL4)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RGBL0 또는 RGBL7) 사이에 실딩 수단(220 또는 240)을 구비하면, 제 4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WGBL3)을 통해 제 1 뱅크(BANK0)에 기입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제 1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RGBL0)을 통해 제 2 뱅크(BANK2)에 독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커플링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딩 수단을 달리하여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알아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300)는 도 2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와 달리 실딩 수단(320, 340)에 전원 전압(VDD) 또는 승압 전압(VPP)이 인가될 수 있다.
실딩 수단은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400)를 나타내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WGBL3 또는 WGBL4)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RGBL0 또는 RGBL7) 사이를 임의의 거리(d1 또는 d2)만큼 이격시키는 공간(420, 44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거리(d1 또는 d2)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400)가 도 4에 도시되는 것처럼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내지 WGBL11) 또는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RGBL0 내지 RGBL7)을 구비한다고 할 때,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및 WGBL2) 사이의 거리(d3) 또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RGBL3 및 RGBL4) 사이의 거리(d4)보다 길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 WGBL3) 중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및 WGBL1, WGBL2 및 WGBL3)을 제 1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1) 및 제 2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2)이라 하고, 복수개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RGBL0 ~ RGBL3) 중 인접하여 위치하는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RGBL0 및 RGBL1, RGBL2 및 RGBL3)을 제 1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R1) 및 제 2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R2)이라 할 때,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1 및 GW2)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R1 및 GR2)은 번갈아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1)이 위치한 옆에 제 1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R1)이 위치하고, 다음으로 제 2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2)이 위치하며, 마지막으로 제 2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2)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와 같이, 2개의 글로벌 비트 라인들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 사이에 실딩 수단(520, 540, 560)이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개의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 WGBL3, RGBL0 ~ RGBL3, WGBL4 ~ WGBL7, RGBL4 ~ RGBL7)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 사이에 실딩 수단(520, 540, 56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8개의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 WGBL7, RGBL0 ~ RGBL7, WGBL8 ~ WGBL15)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각 그룹 사이에 실딩 수단(520, 540)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5의 (c)와 같이,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은 둘 이상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이때,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RGBL0 ~ RGBL7)은 제 1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1) 및 제 2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GW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600)는 각각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 RGBL15)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RGBL0 ~ RGBL15)을 구비하고,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WGBL0 ~ RGBL15)끼리 인접하여 위치하고,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RGBL0 ~ RGBL15)끼리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이 하나씩 번갈아 위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실딩 수단(620)이 하나만 구비될 수 있어 레이아웃 면적 측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많은 실딩 수단을 구비해야 하므로 레이아웃 면적 측면에서는 불리할 수 있으나, 동작 특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즉, 이상에서 설명된 여러 실시예들은 요구되는 시스템 사양 및 자원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가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각각 구비함에 있어, 인접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과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커플링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가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각각 구비함에 있어,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다양한 기입 선택 수단 및 독출 선택 수단의 구조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700)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WGBL)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RGBL) 사이에 위치하는 로컬 비트 라인들(LBL0 ~ LBL7) 중 기입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활성화하는 제 1 선택 수단들(WYPASS1, WYPASS2) 및 독출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활성화하는 제 2 선택 수단들(RYPASS1, RYPASS2)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700)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선택 수단(WYPASS1, WYPASS2)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에 한 쌍 씩 구비되고, 제 2 선택 수단(RYPASS1, RYPASS2)은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택 수단(WYPASS1, WYPASS2)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양단에 구비되고, 제 2 선택 수단(RYPASS1, RYPASS2)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로컬 비트 라인(LBL0)은 서브 셀 어레이(SCA)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제 1 선택 수단 T1 및 T3를 양단에 구비하고, 하나의 제 2 선택 수단 T2를 일단에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로컬 비트 라인(LBL1)은 두 개의 제 1 선택 수단 T4 및 T6를 양단에 구비하고, 하나의 제 2 선택 수단 T5를 일단에 구비한다.
이때, 제 1 선택 수단들(WYPASS1, WYPASS2) 및 제 2 선택 수단들(RYPASS1, RYPASS2)을 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 1 선택 수단들(WYPASS1, WYPASS2)은 PMOS 트랜지스터 또는 NMOS 트랜지스터 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관하다. 반면, 제 2 선택 수단(RYPASS1, RYPASS2)은 NMOS 트랜지스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출시 사용되는 제 2 선택 수단은 상 변화 메모리 장치가 독출 동작 이전에 프리차아징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해당 비트 라인에 원하는 프리차아지 전압을 전달함에 있어, NMOS 트랜지스터가 PMOS 트랜지스터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선택 수단 및 제 2 선택 수단의 개수 또는 위치를 달리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800)는, 각 로컬 비트 라인(LBL0 ~ LBL7)마다 제 1 선택 수단(WYPASS) 및 제 2 선택 수단(RYPASS)을 하나씩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택 수단(WYPASS)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일단에 구비되고, 제 2 선택 수단(RYPASS)은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로컬 비트 라인(LBL0)은 서브 셀 어레이(SCA)를 사이에 두고 일단에 하나의 제 1 선택 수단 T2를 구비하고, 타단에 제 2 선택 수단 T1을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로컬 비트 라인(LBL1)은 일단에 하나의 제 1 선택 수단 T4를 구비하고, 타단에 제 2 선택 수단 T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900)는, 각 로컬 비트 라인(LBL0 ~ LBL7)마다 제 1 선택 수단(WYPASS1, WYPASS2) 및 제 2 선택 수단(RYPASS1, RYPASS1)을 두 개씩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선택 수단WYPASS1, WYPASS2) 및 제 2 선택 수단(RYPASS1, RYPASS1)은 각각,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로컬 비트 라인(LBL0)은 서브 셀 어레이(SCA)를 사이에 두고 양단에 각각 2개씩의 제 1 선택 수단(T1 및 T4) 및 제 2 선택 수단(T2 및 T3)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로컬 비트 라인(LBL1)은 양단에 각각 2개씩의 제 1 선택 수단(T5 및 T8) 및 제 2 선택 수단(T6 및 T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는, 로컬 비트 라인들(LBL0 ~ LBL7)과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을 각각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1) 및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2)라 할 때, 각 로컬 비트 라인(LBL0 ~ LBL7)마다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1) 및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선택 수단(WYPASS) 및 제 2 선택 수단(RYPASS)을 하나씩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로컬 비트 라인(LBL0)은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1) 및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2)를 사이에 제 1 선택 수단 T2 및 제 2 선택 수단 T1을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로컬 비트 라인(LBL1)은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1) 및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SCA2)를 사이에 제 1 선택 수단 T4 및 제 2 선택 수단 T3를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다양한 제 1 선택 수단 및 제 2 선택 수단의 개수 및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제 1 선택 수단 및 제 2 선택 수단이 모두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와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제 1 선택 수단 및 제 2 선택 수단 중 하나는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또는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단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 중 설계자는 해당 반도체 메모 리 장치에 요구되는 레이아웃 면적 측면 및 동작 특성 측면 등을 고려한 독출 선택 수단들(제 2 선택 수단) 및 기입 선택 수단들(제 1 선택 수단)의 배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상 변화 메모리 장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각각 구비함에 있어, 로컬 비트 라인들에 연결되는 독출 선택 수단들 및 기입 선택 수단들 또한 따로 구비함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좀 더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5)

  1.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상기 복수개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중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복수개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중 인접하여 위치하는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들 사이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복수개의 뱅크들을 구비하고,
    상기 뱅크들은,
    스택 구조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 변화 메모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사이에 실딩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딩 수단은,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딩 수단은,
    전원 전압 또는 승압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 중 인접하여 위치하는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들을 제 1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및 제 2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이라 할 때,
    상기 복수개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은,
    상기 제 1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및 상기 제 2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상기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기입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활성화하는 제 1 선택 수단; 및
    독출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활성화하는 제 2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에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입 글로벌 비트 라인;
    상기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독출 글로벌 비트 라인;
    기입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활성화하는 제 1 선택 수단; 및
    독출 동작시 대응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활성화하는 제 2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선택 수단은 다수의 제1 비트 라인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1 비트 라인 선택 수단은 각각, 상기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 중 대응되는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선택 수단은 다수의 제2 비트 라인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 비트 라인 선택 수단은 각각, 상기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 중 대응되는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로컬 비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메모리 셀들을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라 할 때,
    상기 제 1 선택 수단 및 상기 제 2 선택 수단은 각각,
    상기 제 1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및 상기 제 2 서브 메모리 셀 어레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80015918A 2008-02-21 2008-02-21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상 변화 메모리 장치 KR101452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918A KR101452957B1 (ko) 2008-02-21 2008-02-21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상 변화 메모리 장치
US12/379,398 US7929337B2 (en) 2008-02-21 2009-02-20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ies capable of suppressing coupling noise during read-while-write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918A KR101452957B1 (ko) 2008-02-21 2008-02-21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상 변화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601A KR20090090601A (ko) 2009-08-26
KR101452957B1 true KR101452957B1 (ko) 2014-10-21

Family

ID=4099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918A KR101452957B1 (ko) 2008-02-21 2008-02-21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상 변화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29337B2 (ko)
KR (1) KR101452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0554B2 (ja) 2008-07-30 2012-12-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KR20110135169A (ko) * 2010-06-10 201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20110135298A (ko) 2010-06-10 201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20015725A (ko)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장치
KR101970314B1 (ko) 2012-04-10 2019-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40023748A (ko) 2012-08-17 2014-02-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102084461B1 (ko) 2013-03-04 2020-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2168076B1 (ko) 2013-12-24 202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2231945B1 (ko) 2014-08-22 2021-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 노이즈가 감소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0615B2 (en) 2003-04-14 2007-03-13 Renesas Technology Corp.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60936A (ko) * 2006-12-27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994A (en) * 1997-09-08 1998-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back ground operation mode
JP3938808B2 (ja) * 1997-12-26 2007-06-27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記憶装置
JP3812498B2 (ja) * 2001-12-28 2006-08-23 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ンネル磁気抵抗素子を利用した半導体記憶装置
JP4134637B2 (ja) 2002-08-27 2008-08-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
JP4355136B2 (ja) * 2002-12-05 2009-10-28 シャー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読み出し方法
JP4445398B2 (ja) 2003-04-03 2010-04-07 株式会社東芝 相変化メモリ装置
WO2005017909A1 (ja) * 2003-08-18 2005-02-24 Fujitsu Limited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4322645B2 (ja) 2003-11-28 2009-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4646636B2 (ja) * 2004-02-20 2011-03-09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398845B2 (ja) * 2004-10-14 2010-01-13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4421446B2 (ja) * 2004-11-01 2010-02-24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0615B2 (en) 2003-04-14 2007-03-13 Renesas Technology Corp.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60936A (ko) * 2006-12-27 200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체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601A (ko) 2009-08-26
US20090213646A1 (en) 2009-08-27
US7929337B2 (en) 201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57B1 (ko) 리드 와일 라이트 동작시 커플링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는상 변화 메모리 장치
US6856572B2 (en) Multi-headed decoder structure utilizing memory array line driver with dual purpose driver device
US6859410B2 (en) Tree decoder structure particularly well-suited to interfacing array lines having extremely small layout pitch
JP2982920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7317646B2 (en) Memory device having shared open bit line sense amplifier architecture
US859386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sectioned bit line memory arrays
US5291444A (en) Combination DRAM and SRAM memory array
US9928899B2 (en) Flying and twisted bit line architecture for dual-port static random-access memory (DP SRAM)
CN103295616A (zh) 半导体存储器件
CN103137186A (zh) 半导体装置
KR20070116896A (ko) Y먹스 분할 방식
US9978438B2 (en) Device having multiple switching buffers for data paths controlled based on IO configuration modes
US20140050039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JP3913451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374632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이의 메모리셀 어레이 블락 제어방법
US6768143B1 (e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ree finger folded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shared junctions
US888542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21150002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
JP2007172739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00040358A (ja) 半導体記憶装置
US1188125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load of global input-output lines of the same
KR20190055933A (ko) 반도체 장치
CN112837717A (zh) 用来在存储器模块中增加数据预取数量的装置
KR20050043269A (ko) 인터리브하게 동작하는 스택 뱅크 어레이를 가지는 고속멀티 뱅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83816A (ko) 쌍역 y-디코더를 갖춘 반도체 메모리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