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318B1 -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318B1
KR101450318B1 KR1020110036614A KR20110036614A KR101450318B1 KR 101450318 B1 KR101450318 B1 KR 101450318B1 KR 1020110036614 A KR1020110036614 A KR 1020110036614A KR 20110036614 A KR20110036614 A KR 20110036614A KR 101450318 B1 KR101450318 B1 KR 10145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ength
tubular member
clip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952A (ko
Inventor
이수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3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3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에 있어서 길이 조정수단과 위치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충격이나 외력 등에 의해 클립이 고정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조임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Clip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호스나 튜브, 벨로우즈 등에 장착되는 클립에 길이 조정수단과 위치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충격이나 외력 등에 의해 클립이 고정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조임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은, 덕트나 파이프 또는 둥근 막대와 같은 연결대상부재에 고무호스나 튜브, 벨로우즈 등의 관형상부재를 끼워 연결할 때 클립의 탄성을 이용하여 관형상부재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클립은 관형상부재가 이의 연결대상부재로부터 빠지지 않으면서 내부의 유체가 새지 않도록 또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에서 견고하게 조여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1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벨로우즈에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으로 마련된 랙하우징(110)의 일단 외측으로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랙바(120)가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랙바(120)의 선단에는 이너볼조인트(140)를 개재하여 타이로드(130)와 연결되는데, 이 이너볼조인트(140)는 랙바(120)의 선단에 연결된 볼하우징과 이와 마주하는 타이로드(130)의 선단에 설치된 볼이 서로 결합되어, 일정 각도 내에서의 피벗운동과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360도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랙하우징(110)의 선단 외부와 타이로드(130)의 중간단 외부에는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랙바(120)와 타이로드(130)를 덮어 랙하우징(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15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벨로우즈(150)는 랙바(120)와 타이로드(130)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신축이 가능하도록 그 중간은 주름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양단은 랙하우징(110)의 선단 외주면에 끼워지는 직경이 비교적 큰 대경부(150a)와, 타이로드(130)의 중간단 외주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소경부(150b)로 이루어진다.
또한, 랙하우징(110)의 선단에 결합되는 벨로우즈(150)의 대경부(150a) 외측에는 클립(160)이 감겨져 벨로우즈(150)를 랙하우징(110)에 고정하고, 타이로드(130)의 중간단에 결합되는 벨로우즈(150)의 소경부(150b) 외측에도 클립(160)이 설치되어 이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립은 얇은 판재를 원형 고리 형상으로 구부린 형상으로 어느 일측을 약간 오므리게 소성 변형하여 클립(160)이 그 전체 내주에 걸쳐 벨로우즈(150)의 대경부 또는 소경부(150b) 외측을 조이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립(160)은 적절한 조임력을 가하기 위한 소성 변형량을 조정하기 어렵고, 조이는 대상물 즉 관형상부재 상에서 각종 충격이나 외력 등에 의해 원하는 고정위치로부터 벗어날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적절한 조임력을 가하기 위한 소성 변형시 심한 경우에는 관형상부재로부터 클립이 완전히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에 있어서 길이 조정수단과 위치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충격이나 외력 등에 의해 클립이 고정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조임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대상부재의 외주면에 관형상부재를 끼워 연결할 때 관형상부재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조이도록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 길이 조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랙바가 왕복 운동하는 랙하우징, 상기 랙바와 이너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타이로드, 상기 랙하우징과 타이로드와 연결되는 벨로우즈, 상기 랙하우징과 타이로드의 외주면에 벨로우즈를 끼워 연결할 때 상기 벨로우즈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벨로우즈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조이도록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 길이 조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에 있어서 길이 조정수단과 위치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충격이나 외력 등에 의해 클립이 고정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조임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벨로우즈에 클립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2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2의 정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200)은, 연결대상부재(도 1의 110, 130 참조)의 외주면에 관형상부재(도 1의 150 참조)를 끼워 연결할 때 관형상부재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조이도록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205)와, 상기 본체(205)의 원주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 길이 조정수단(210)과, 상기 본체(205)의 겹쳐지는 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2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200)은, 덕트나 파이프 또는 둥근 막대와 같은 연결대상부재의 외주면에 고무호스나 튜브, 벨로우즈 등의 관형상부재를 끼워 연결할 때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조임으로써 관형상부재와 연결대상부재를 밀착 결합시키는 것이다.
클립(200)의 본체(205)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폭을 갖는 긴 판재를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소정부분이 겹치게 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는데, 이 본체(205)에는 길이 조정수단(210)과 위치 고정수단(220)이 구비되어 있다.
길이 조정수단(210)은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205)를 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부려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의 우측 도면과 같이 돌출된 길이 조정수단(210)을 눌러서 압착시키는 코킹 작업을 통해 원주방향의 길이를 줄임으로써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을 조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길이 조정수단(210)을 조일 때 더 큰 조임력으로 조여질 수 있도록 본체(205)의 일측 단부가 겹처진 본체(205) 부위와 용접(w)으로 고정되어 있고, 용접된 부위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길이 조정수단(210)과 위치 고정수단(2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고정수단(220)은 길이 조정수단(210)에 의해 본체(205)의 길이 조정시 본체(205)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탄성에 의해 서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체(205)의 겹쳐지는 부위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220b)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부(220b)가 삽입되는 고정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홀(220a)은 본체(205)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체결 공구를 이용해 길이 조정수단(210)을 눌러서 압착시키면, 본체(205)의 원주방향 길이가 줄어들면서 돌기부(220b)가 고정홀(220a)에 결합 고정되어, 체결공구를 이탈시켜도 본체(205)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게 되어 정확한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위치 고정 수단은,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위치 고정수단(220)으로서, 돌기부(220b)와 고정홀(220a)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복원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고정수단이 채택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위치 고정수단(220)으로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205)의 겹쳐지는 부위의 맞닿는 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기어 치형성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외측과 내측으로 겹쳐져서 서로 맞닿는 본체(205)에서, 외측 본체(205a)의 내주면과 내측 본체(205b)의 외주면에 각각 기어 치형성부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체결 공구를 이용해 길이 조정수단(210)을 눌러서 압착시키면, 본체(205)의 원주방향 길이가 줄어들면서 양측 기어 치형성부가 결합 고정되어, 체결공구를 이탈시켜도 본체(205)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게 되어 정확한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 및 도해의 편의상 벨로우즈에 클립(200)이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덕트나 파이프 등과 같은 연결대상부재에 고무호스나 튜브 등의 관형상부재를 끼워 연결할 때에도 동일한 구조의 클립(200)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에 있어서 길이 조정수단과 위치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충격이나 외력 등에 의해 클립이 고정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조임력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클립 205: 본체
205a: 외측 본체 205b: 내측 본체
210: 길이 조정수단 220: 위치 고정수단

Claims (7)

  1. 연결대상부재의 외주면에 관형상부재를 끼워 연결할 때 관형상부재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조이도록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 길이 조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길이 조정수단에 의해 본체의 길이 조정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서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수단은 상기 본체를 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부려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5. 연결대상부재의 외주면에 관형상부재를 끼워 연결할 때 관형상부재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조이도록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 길이 조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길이 조정수단에 의해 본체의 길이 조정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서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의 맞닿는 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기어 치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6. 랙바가 왕복 운동하는 랙하우징, 상기 랙바와 이너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타이로드, 상기 랙하우징과 타이로드와 연결되는 벨로우즈, 상기 랙하우징과 타이로드의 외주면에 벨로우즈를 끼워 연결할 때 상기 벨로우즈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벨로우즈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조이도록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 길이 조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길이 조정수단에 의해 본체의 길이 조정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서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7. 랙바가 왕복 운동하는 랙하우징, 상기 랙바와 이너볼조인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타이로드, 상기 랙하우징과 타이로드와 연결되는 벨로우즈, 상기 랙하우징과 타이로드의 외주면에 벨로우즈를 끼워 연결할 때 상기 벨로우즈의 연결부위에 탈착시키는 클립을 포함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벨로우즈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조이도록 원형으로 구부러진 판재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 길이를 축소시키는 길이 조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위치 고정수단은, 상기 길이 조정수단에 의해 본체의 길이 조정시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서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겹쳐지는 부위의 맞닿는 면에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기어 치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1020110036614A 2011-04-20 2011-04-20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10145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614A KR101450318B1 (ko) 2011-04-20 2011-04-20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614A KR101450318B1 (ko) 2011-04-20 2011-04-20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952A KR20120118952A (ko) 2012-10-30
KR101450318B1 true KR101450318B1 (ko) 2014-10-21

Family

ID=4728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614A KR101450318B1 (ko) 2011-04-20 2011-04-20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3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342B1 (ko) * 1989-11-20 1994-10-07 가부시끼가이샤 미하마 세이사꾸쇼 조이기밴드
JP2004011759A (ja) 2002-06-06 2004-01-15 Nhk Spring Co Ltd ブーツバンド
KR20060065690A (ko) * 2003-08-19 2006-06-14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부트 밴드
KR20080058638A (ko) * 2006-12-22 2008-06-26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스틸 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342B1 (ko) * 1989-11-20 1994-10-07 가부시끼가이샤 미하마 세이사꾸쇼 조이기밴드
JP2004011759A (ja) 2002-06-06 2004-01-15 Nhk Spring Co Ltd ブーツバンド
KR20060065690A (ko) * 2003-08-19 2006-06-14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부트 밴드
KR20080058638A (ko) * 2006-12-22 2008-06-26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용 스틸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952A (ko) 201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898B2 (en) Single-bolt band clamp with gasketed center rib and pipe lap joint using the same
KR101807336B1 (ko)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KR101269686B1 (ko) 호스용 클램프
US7392736B2 (en) Piston-cylinder unit with a protective sleeve
KR101450318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CN109641503B (zh) 稳定装置及其组装方法
US20140115834A1 (en) Tie clamp
EP2600475B1 (en) Anti-rotation cable restraint for connecting flexible ducts
JP2009036239A (ja) ホース接続用のコネクタ
KR101444317B1 (ko) 배관 변형 교정장치
JP2013038978A (ja) グロメット
KR20130008151A (ko)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101369124B1 (ko)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US20120217741A1 (en) Pipe-hose arrangement
KR100774255B1 (ko) 차량 케이블용 하니스 프로텍터
CN114746296A (zh) 双滚动凸瓣无压接导向管
KR20110092929A (ko) 자동차용 클립
KR101027026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기어박스
US9969347B2 (en) Airbag device
JP7126901B2 (ja) 車両用連結部材
JP6398868B2 (ja) クランプ付車載部材
KR101172097B1 (ko) 조향장치용 스틸 밴드
KR101255877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JP2001032964A (ja) ホース固定構造、ホース固定方法及び網状筒体付ホース
JP3144024U (ja) シリンダブーツ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