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690A - 부트 밴드 - Google Patents

부트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690A
KR20060065690A KR1020067003170A KR20067003170A KR20060065690A KR 20060065690 A KR20060065690 A KR 20060065690A KR 1020067003170 A KR1020067003170 A KR 1020067003170A KR 20067003170 A KR20067003170 A KR 20067003170A KR 20060065690 A KR20060065690 A KR 20060065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pping portion
band
boot
tightening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오기노
도시야 미기타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5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F16J3/041Non-metallic bellows
    • F16J3/042Fastening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5Hose-clips tightened by deforming radially extending loops or 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귀부를 가체하여 조임을 행할 때의 조임량을 간단한 구조로 확인한다. 외측 중첩부(2) 및 내측 중첩부(6)가 서로 중첩된 링 형상이 되어 피조임 부재에 감기는 밴드 본체(1), 외측 중첩부(2)에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고 밴드 본체(1)를 조이기 위해 밴드 본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성 변형이 수행되는 귀부(4), 외측 중첩부(2)의 외측에서 내측 중첩부(6)를 목시 가능하도록 외측 중첩부(2)에 설치된 시인 수단(13), 그리고 시인 수단(13)과 대응하도록 외측 중첩부(6)에 설치되어 귀부(4)로의 소성 변형에 기초하는 밴드 본체(1)의 조임량을 목시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표식 수단(14, 15)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부트 밴드{BOOT BAND}
본 발명은, 고무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부트를 접속 상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트 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트에 감아서 조임 고정할 경우에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조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부트 밴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한 가지 부품으로서, 고무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부트가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부트는 호스 또는 튜브 등의 원통 형상의 부재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부트를 접속 상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하여, 금속재의 띠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부트 밴드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류의 부트 밴드에는 소위 귀부(耳部)를 가체(加締)하여 조임 고정하는 타입의 부트 밴드가 있다(예를 들면, 국제 공개 특허 제00-70260호의 팜플렛(도 1 참조) 및 미국 특허 제4,299,012호의 명세서 참조). 이와 같은 부트 밴드는 띠 형상의 부재(단책(短冊) 형상의 프레스재)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링의 형상으로 구부려 양단 부분들이 일부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본체(1)는 외측 중첩부(2)의 둘레 방향 선단부(3)에서 귀부(박스 벤딩부)(4)와의 사이에 계합공들(5a, 5b, 5c) 이 형성되어 있으며, 귀부(4)는 다리부들(41a, 41b)과 가교부(42)를 가지고 형성되고 외측 중첩부(2)에 밴드 본체(1)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측 중첩부(6)는 둘레 방향 선단부(7)를 향하여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부분(8) 및 외측 중첩부(2)의 계합공들(5a, 5b, 5c)에 각각 삽입되어 외측 중첩부(2)의 밴드 본체(1)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계합공들(5a, 5b, 5c)에 각기 계합되는 계합 갈고리들(9a, 9b, 9c)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부트 밴드를 조일 때의 순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임 공구(10)를 사용하여, 귀부(4)의 양 다리부들(41a, 41b)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양 다리부들(41a, 41b)의 둘레 방향의 외측에서 하중을 걸어 귀부(4)를 가체하고 소성 변형시킨다. 이러한 귀부(4)의 변형에 의해, 밴드 본체(1)의 주길이(周長)가 짧아지고, 피조임 부재로서 부트를 조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체 관리는 통상 이하와 같이 행해지고 있다.
즉, 귀부(4)에 입력되는 가체 하중을 일정하게 한 경우, 밴드 본체(1)의 직경이 큰(밴드 전개장: 주길이가 긴) 경대 밴드에서는 부트에 대한 직경차가 크게 된다. 한편, 귀부(4)의 변형 가능한 스트로크량은 일정하기 때문에, 밴드를 축경할 수 있는 변화량은 직경의 대소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된다[{밴드 축경량=[초기 박스 벤딩 다리부간 거리(10㎜)-다리부 밀착시 다리부간 거리(0㎜)}/∏=Ф3㎜ 정도]. 따라서, 부트의 조임량은 밴드 직경이 작은(주길이가 짧은) 경소 밴드와 비교하면 감소되고, 부트로부터의 반력도 작아진다. 도 4에 밴드 직경이 극대, 대 및 소의 밴드 예에 대하여, 가체 전의 귀부(4)의 다리부들(41a, 41b)간의 거리(초기 박스 벤 딩부 다리부간 거리)가 10m인 경우의 가체 하중과 다리부들간의 거리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낸 바와 같이, 경대 밴드에서는 결과적으로 박스 벤딩 변형을 저해하는 부트의 압축량(부트 반력)이 작아지므로, 가체 후의 박스 벤딩부 다리부들간의 거리(M값)는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한편, 경소 밴드에서는, 부트와의 클리어런스가 작고, 부트의 압축량(부트 반력)도 커지고, 이에 따라 상기 M값은 커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즉, 상기 M값을 관리하는 것으로 구성 부품의 직경 수치의 대소 경향을 잡을 수 있게 된다. 양산 공정의 밴드 조임 라인에서는, 이러한 M값을 조임 직경 변화의 대용 특성으로서, 구성 부품의 직경 치수의 경향 관리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 국제 공개 특허 제00-70260호의 팜플렛(도 1 참조) 및 미국 특허 제4,299,012호의 명세서와 같은 귀부를 가체하여 조임 고정하는 타입의 부트 밴드의 조임 공정에 있어서의 M값의 확인 공정에서는, 극간 게이지나 노기스 등의 기구를 사용하고, 조임 상태의 양불 판단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값을 구하기 위한 가체 후의 귀부(4)의 다리부들간의 거리(극간량)가 약 2㎜ 정도로 좁은데다, 상대 부품인 아우터 레이스(12)나 부트(11)의 립 등의 구조적인 장해가 많고, 상기 M값에 따른 확인 작업은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검사 도구를 채택하여, 극간량을 확인하고 상기 검사 도구 수납과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그 작업 시간이 상당히 증가되어 큰 작업성의 악화를 초래한다. 또한, 가체에 의해 귀부(4)의 양 다리부들(41a, 41b)의 돌출 부분들이 소성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M값만으로 조임 상태의 양불 판단을 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M값에 의한 확인 대신 밴드 본체(1)의 직경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이러한 M값 측정보다 더욱 어렵다.
상기 국제 공개 특허 제00-70260호의 팜플렛(도 1 참조)의 부트 밴드에 있어서의 특징은, 과도한 조임에 따른 부트 파손을 피하기 위해, 단면적 최소부, 즉, 최약부가 되도록 계합공을 설치하고, 이러한 계합공 부분을 연장하는 것으로 부트의 조임량의 조정을 행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국제 공개 특허 제00-70260호의 팜플렛(도 1 참조)의 부트 밴드에 있어서, 밴드 직경 규격값 하한을 벗어나고, 조인트 직경 규격 값 상한을 벗어난 경우에는, 부트의 조임량이 커지고 발생하는 부트 반력도 증대한다. 즉, 최약부 소성 연장량도 많아지고, 시직경이 변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M값은 작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의 M값은 소성 연장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의 M값과 동등하게 되어기 때문에 확인 공정에서도 조인트나 부트의 직경 치수 규격을 벗어나는 것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밴드의 경우에는, 통상 보다 큰 장력이 발생하며, 최약부 재료 파단의 가능성이 있다. 최약부 소성 연장이 발생된 경우, 조임 후 만듦새로 그 상황을 확인하고자할 때에는, M값과 최약부(계합공(5a))의 공(穴)연장 양쪽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M값을 밴드의 조임 직경 변화의 대용 특성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밴드의 소성 연장의 영향을 받고 있고, 검출하고자 하는 구성 부품의 치수의 상이를 검출할 수 없다는 불확실함을 포함하게 되므로 그 신뢰성은 충분하지 않다. 즉, 이와 같은 가체형 부트 밴드에 요구되는 조임 관리의 특성값에는 밴드의 직경 변화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체형 부트 밴드의 조임 공정에 있어서의 밴드의 직경 변화를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조임 상태의 양불 판단을, 검사 도구 사용의 필요 없이 간편하고 정확히 수행할 수 있는 부트 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트 밴드는, 외측 중첩부 및 내측 중첩부가 상호 중첩된 링 형상이 되어 피조임 부재에 감기는 밴드 본체, 상기 외측 중첩부에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밴드 본체를 조이기 위해 상기 밴드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성 변형이 행해지는 귀부, 상기 외측 중첩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내측 중첩부를 목시 가능하도록 외측 중첩부에 설치된 시인 수단, 그리고 상기 시인 수단과 대응하도록 상기 외측 중첩부 및 내측 중첩부에 설치되어 상기 귀부로의 소성 변형에 기초하는 상기 밴드 본체의 조임량을 목시 확인 가능하도록 한 표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부트 밴드에서, 상기 시인 수단은 상기 외측 중첩부에 개구된 창문부인 것이 적합하고, 상기 외측 중첩부의 연부에 형성된 노치부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표식 수단은 상기 외측 중첩부 또는 내측 중첩부에 설치된 표시부, 그리고 소성 변형에 의해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외측 중첩부 또는 내측 중첩부에 설치된 지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외측 중첩부와 내측 중첩부와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나타내는 표시가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표부는 소성 변형 후에 상대 이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에 대한 양불 지표의 표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표시부로서는 외측 중첩부 또는 내측 중첩부 중의 한쪽 측에서 상대측으로 계합하도록 형성된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가 상기 내측 중첩부를 랜싱하여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지표부가 상기 외측 중첩부의 둘레 방향으로 각인된 눈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돌기의 랜싱 선단측을 외측 중첩부의 둘레 방향 외측면 상을 접동하도록 절곡하는 것이 적합하고, 또한, 상기 돌기의 랜싱 선단측을 선단을 향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지표부의 각인된 눈금의 일부에 페인트를 가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의 부트 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귀부를 가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귀부를 가체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귀부의 다리부들 간격(M값)과 가체 하중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그래프이다.
도 5는 피조임 부재로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귀부 가체 전의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귀부 가체 후의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절곡 전의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절곡 후의 측면도 및 부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 예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 예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변형 예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부트 밴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부트 밴드를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수단,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요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의 띠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밴드 본체(1)를 구비한다. 상기 밴드 본체(1)는, 외측 중첩부(2) 및 내측 중첩부(6)가 서로 중첩된 링 형상을 구성하여 피조임 부재로서의 부트(도시되지 않음)에 감긴다. 상기 외측 중첩부(2)에는, 그 둘레 방향(周方向) 선단부(3)에서 귀부(4)와의 사이에 계합공들(5a, 5b, 5c)이 설치되어 있다. 귀부(4)는 다리부들(41a, 41b)과 가교부(42)를 구비하고 형성되며, 상기 외측 중첩부(2)에 밴드 본체(1)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내측 중첩부(6)는 그 둘레 방향 선단부(7)를 향해 그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된 부분(8)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중첩부(6)에는 외측 중첩부(2)의 계합공들(5a, 5b, 5c)에 각각 삽입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외측 중첩부(2)의 밴드 본체(1)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각 선단이 외측 중첩부(2)의 둘레 방향 선단부(3)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계합공들(5a, 5b, 5c)에 각기 계합하도록 계합 갈고리들(9a, 9b, 9c)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의 접속 상대 부재(12)에 설치된 피 조임 부재(11)로서의 부트에 감겨,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 로, 조임 공구(10)를 이용하여, 귀부(4)의 양 다리부들(41a, 41b)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양 다리부들(41a, 41b)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부터 하중을 가하여 귀부(4)를 가체하고 소성 변형시킨다. 이러한 귀부(4)의 소성 변형에 의하여, 밴드 본체(1)의 주장(周長)이 짧아지고, 피조임 부재로서의 부트를 조이는 과정은 종래의 부트 밴드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에 있어서, 외측 중첩부(2)의 외측에서 내측 중첩부(6)를 목시(目視) 가능하도록 시인 수단으로서 창문부(13)가 외측 중첩부(2)에 설치되어 있다. 창문부(13)는 귀부(4)에 대하여 외측 중첩부(2)의 둘레 방향 선단부(3)와는 반대측의 둘레 방향 위치에서, 귀부(4)의 가체 후의 조임 상태에서 외측 중첩부(2)와 내측 중첩부(6)가 서로 중첩하는 외측 중첩부(2)의 폭 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창문부(13)는 귀부(4)의 다리부들(41a, 41b) 사이의 둘레 방향 거리(다리부들 간 거리), 즉, 귀부(4)의 소성 변형에 따른 최대 변형량보다도 큰 둘레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창문부(13)의 폭(밴드 폭 방향의 길이: 단면적)은 계합공들(5a, 5b, 5c)의 폭보다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창문부(13)가 형성된 부위의 강성이 계합공들(5a, 5b, 5c)이 형성된 부위의 강성보다도 커지고 창문부(13)의 소성 연장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측 중첩부(6)에는 창문부(13)의 둘레 방향 귀부(4)측의 단부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식 수단의 표시부로서의 돌기(14)가, 귀부(4)가 가체되어 소성 변형할 때에 외측 중첩부(2)와 내측 중첩부(6)와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나타내는 표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14)는 내측 중첩부(6)의 폭 방향으로 내측 중첩부(6)를 랜싱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있어서, 참조 부호 14a는 돌기(14)를 랜싱함에 따라 내측 중첩부(6)에 형성된 구멍부를 나타낸다. 외측 중첩부(2)에는 소성 변형에 의해 표시부로서의 돌기(14)에 대해서 상대 이동하며 소성 변형 후에 상대 이동한 돌기(14)의 위치에 대한 양불 확인 지표의 표시가 되도록, 상기 표식 수단의 지표부로서의 눈금(15)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눈금(15)은, 창문부(13)의 폭 방향 양측의 단부(13a)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둔 3개의 눈금선으로서 외측 중첩부(2)의 외주면상에 각인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로서의 돌기(14)는 계합 갈고리들(9a, 9b, 9c)과 동시에, 또한 상기 시인 수단으로서의 창문부(13)는 계합공들(5a, 5b, 5c)과 동시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성 오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에 있어서, 하중을 일정하게 귀부(4)를 가체하고, 귀부(4)의 다리부들 간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소성 변형함에 따라, 밴드 본체(1)는 축경 상태를 보지(保持)한다. 귀부(4)의 가체에 있어서, 과대한 인력 하중이 걸리면 부트로부터의 반력에 따라 밴드 본체(1)의 최약부인 계합공(5a)이 국부적으로 소성 연장되게 된다. 한편, 내측 중첩부(6)의 돌기(14)에서 외측 중첩부(2)의 창문부(13)까지의 약 밴드 일주(一周)만큼의 영역은 창문부(13)를 포함하며, 최약부인 계합공(5a)에 대하여 충분히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입력된 하중에 따라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도 7 참조). 따라서, 조임시의 축경에 따른 상기 표시부로서의 돌기(14)와 창문부(13) 및 돌기(14)와 창문부(13)의 단부(13a)를 따라 각인된 상기 지표부로서의 눈금(15)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어긋남(상대 이동량: 스트로크)은, 밴드 본체(1)가 축경된 절대량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어긋남은, 밴드 본체(1)의 직경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가리키고 있기 때문에 조임 확인용 지침으로서 적합하다(도 8 및 도 9 참조). 또한, 가체 후의 조임의 양부(良否) 판단은, 돌기(14)의 눈금(15)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실시 가능하게 된다. 즉, 게이지 등을 사용하는 수고가 생략되고 밴드 본체(1)의 외측에서 목시적으로 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트 밴드에 있어서, 지표부로서의 눈금(15)은 이격된 3개의 눈금선들(15a, 15b, 15c)로 이루어지고, 이들 눈금선들(15a, 15b, 15c)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요부 확대 평면도와 같이, 하나의 눈금선(15a)은 조임 전(가체 전)의 돌기(14)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눈금선(15b)은 하나의 눈금선(15a)으로부터 거리(L1)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눈금선(15b)은 조임 후의 돌기(14)의 위치로서 조임량 합격 범위의 하한값에 대응하고, 부트 직경의 허용 공차 범위 내의 최소값이며, 조임 전 밴드 본체 직경(D0)의 허용 공차 범위 내의 최대값의 조합에 있어서 이러한 하한값을 하회하면 피조임 부재인 부트의 조임이 불충분하고 그리스가 젖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다른 하나의 눈금선(15b)은 부트 직경의 허용 공차(규격) 범위 내의 최대값이고, 조임 전 밴드 본체 직경(D0)의 허용 공차 범위 내의 최소값인 경우라도, 부트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조임 후의 허용 최대 밴드 직경 Dmax=D0-(L1/∏)을 만족하는 거리(L1)로서 형성된다. 또 다른 하 나의 눈금선(15c)은 상기 하나의 눈금선(15a)으로부터 거리(L2)만큼 이격된 거리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눈금선(15c)은 조임 후의 돌기(14)의 위치로서 조임량 합격 범위의 상한값에 대응하며, 부트 직경의 허용 공차 범위 내의 최대값이고, 조임 전 밴드 본체 직경(D0)의 허용 공차 범위 내의 최소값의 조합에 있어서, 이러한 상한값을 초과하면 부트 파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또 다른 하나의 눈금선(15c)은 부트 직경의 허용 공차 범위 내의 최소값이고, 조임 전 밴 본체 직경(D0)의 허용 공차 범위 내의 최대값인 경우라도, 그리스가 젖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조임 후의 허용 최소 밴드 직경 Dmin=D0-(L2/∏)을 만족하는 거리(L2)로서 형성된다. 여기에서 하나의 눈금선(15a)을 각인시키지 않고 나머지 눈금선들(15b, 15c)만 2개 각인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하나의 눈금선(15b)과 또 다른 하나의 눈금선(15c)을 연결하는 선분이나 띠 형상의 각인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조임 후의 돌기(14)의 위치로서 조임량 합격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변형 예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한 바에 있어서는, 내측 중첩부(6)의 선단측에 다월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월부(21)는 외측 중첩부(2)에 형성되어 있는 시인 수단으로서의 창문부(13)에 대응하여 원호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내측 중첩부(6)에 형성되고, 밴드 본체(1)를 링 형상으로 권회(卷回)함으로써 창문부(13)에 대응하는 표식 수단의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다월부(21)를 외측 중첩부(2)의 창문부(13)로부터 목시(目視)함으로써 상기 부트 밴드의 조임의 합격 여부 판단을 간단 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에 있어서는, 다월부(21)를 교체하여 표식 수단의 표시부로서의 관통공(22)이 다월부(21)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은 외측 중첩부(2)의 창문부(13)의 폭보다도 작은 직경이거나, 또는 동일한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창문부(13)로부터의 목시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관통공(22)에 의해서도, 부트 밴드의 조임의 합격 여부 판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경우에는, 눈금선(15b)과 눈금선(15c)과의 둘레 방향 범위가 외측 중첩부(2)의 외측으로부터의 목시가 가능하다면, 시인 수단으로서의 창문부(13)는 소성 변형에 의한 귀부의 변형량보다도 큰 둘레 방향의 길이로 할 필요는 없고, 이러한 둘레 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도 된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의 부트 밴드에 있어서는, 외측 중첩부(2)에 시인 수단으로서의 슬릿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23)는 계합공들(5a, 5b, 5c)과의 사이에서 귀부(4)를 사이에 두고 밴드 본체(1)의 둘레 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릿부(23)는 밴드 본체(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세장(細長)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슬릿부(23)의 형성 부위의 국부적인 강성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에 반해 내측 중첩부(6)에는 슬릿부(23)에 대응하는 돌기(25)가 랜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돌기(25)는 표식 수단의 표시부가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 (23)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고 랜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25)를 슬릿부(23)에 삽입함으로써, 이들이 감합된 계합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외측 중첩부(2) 및 내측 중첩부(6)의 밴드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부트 밴드의 조임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외측 중첩부(2)에 있어서의 슬릿부(23)와의 대응 위치에, 표식 수단의 지표부로서의 눈금(15)이 각인, 식각 또는 컬러 페인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중첩부(6)의 돌기부(25)가 어느 정도 높아지도록 내측 중첩부(6)의 둘레 방향으로 랜싱되고(도 14a 참조), 이에 따라 외측 중첩부(2)의 슬릿부(23)를 관통한 후에 있어서 밴드폭 방향으로의 절곡(도 14b 참조)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절곡된 절곡부(25a)가 외측 중첩부(2)의 슬릿부(23) 주위에 형성된 눈금(15)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조임에 의한 돌기부(25)의 이동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평면도, 단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에 있어서는 외측 중첩부(23)에 노치부(27)가 형성되고, 내측 중첩부(6)에 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27)는 계합공들(5a, 5b, 5c)과의 사이에서 귀부(4)를 사이에 두고 밴드 본체(1)의 둘레 방향 위치에 형성되고, 시인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노치부(27)는 외측 중첩부(2)를 길이 방향을 따라 노치함으로써 형성되며, 그 길이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창문부(13)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노치부(27)는 외측 중첩부(2)의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치부(27)의 길이 방향에는 표식 수단의 지표부로서의 눈금(15)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눈금(15)은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노치부(27)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노치부(27)는 밴드 본체(1)의 밴드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로 노치된다.
내측 중첩부(6)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28)가 랜싱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28)는, 내측 중첩부(6)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링의 형상으로 권회된 밴드 본체(1)에 있어서의 노치부(27)와의 대응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28)는 대응되는 노치부(27)에 삽입됨으로써, 표식 수단의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상술한 노치부(27)가 실질적으로 밴드 두께와 동등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28)는 노치부(27)로부터 밴드 폭 방향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노치부(27)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 본체(1)를 링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한 쌍의 돌기(28)가 대응한 노치부(27)를 따라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귀부(4)를 가체하여 밴드 본체(1)를 조임으로써, 돌기(28)가 눈금(1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부트 밴드의 조임의 합격 여부 판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돌기(28)가 한 쌍의 노치부(27)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돌기(28)는 외측 중첩부(2)를 끼워 넣은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외측 중첩부(2) 및 내측 중첩부(6)가 폭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고, 폭 방향으로의 덜거덕거림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변형 예를 나타내며, 내측 중첩부(6)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28)가 상호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즉, 돌기(28)는 밴드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해 절곡되고, 이와 같은 절곡에 의해 형성된 절곡부(28a)는 외측 중첩부(2)를 외측으로부터 억누르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외측 중첩부(2)의 떠오름을 방지할 수 있고, 덜거덕거림의 발생이 적고, 정확한 조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5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를 부분적으로 변경한 것이며, 내측 중첩부(6)로부터 랜싱되어 외측 중첩부(2)의 슬릿부(23)를 관통한 돌기(25)의 선단 부분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25)를 판의 폭 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25a)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끝이 날카로운 형상의 삼각형이 표식 수단의 지표부인 눈금(15)에 대응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눈금(15)에 대한 돌기(25)의 상대 이동량을 정확하게 목시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트 밴드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 한 것이고, 외측 중첩부(2)에 형성된 표식 수단의 지표부인 눈금(15)에 대하여, 식별용 페인트(30)가 칠해져 있다. 페인트(30)는 컬러 또는 모노크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내측 중첩부(6) 측의 돌기(25)의 이동을 용이하게 목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경우, 인접하고 있는 눈금(15)에 다른 컬러를 칠함으로써, 상기 부트 밴드의 조임의 합격 여부 판단을 색에 의해 식별할 수 있고, 식별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들 및 그 각 변형 예들에서는, 표식 수단의 표시부를 내측 중첩부(6)에, 지표부를 외측 중첩부(2)에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표시부를 외측 중첩부(2)에 지표부를 내측 중첩부(6)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창문부(13) 등의 시인 수단과 대응한 위치가 되도록 외측 중첩부(2)에, 예를 들면, 돌기, 점 형상의 마크 또는 창문부(13)의 테두리에 형성하는 노치 등의 표시부를 형성하고, 한편, 창문부 등의 시인 수단과 대응한 위치가 되도록 내측 중첩부(6)에 지표부를 형성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지표부로서는, 눈금 외에 조임 후의 표시부의 위치로서 조임량 합격 범위를 나타내는 둘레 방향의 길이(도 10에 있어서의 눈금선(15b)과 눈금선(15c)과의 간격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돌기나, 예를 들면 적색과 녹색으로 색이 나누어져있는 선분, 띠 혹은 화살표 등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측 중첩부(6)에 눈금, 선분 또는 화살표 등으로서 지표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인 수단은 소성 변형에 의한 귀부의 변형량보다도 큰 둘레 방향의 길이로 할 필요는 없으며, 조임 후의 표시부 의 위치로서 조임량 합격 범위에 해당하는 지표부 부분이 외측 중첩부(2)의 외측으로부터 목시 가능하다면, 둘레 방향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부로서는 외측 중첩부(2) 또는 내측 중첩부(6)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면에 대하여, 각인 및/또는 페인트 및/또는 노치 및/또는 랜싱 및/또는 펀칭 및/또는 가압 변형 및/또는 절삭 가공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점 형상 및/또는 선 형상 및/또는 실질적으로 원 형상 및/또는 실질적으로 네모 형상 및/또는 실질적으로 삼각 형상 및/또는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 및/또는 판 형상 및/또는 각주 형상 및/또는 각추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지표부도 동일하고, 외측 중첩부(2) 또는 내측 중첩부(6)에 대하여, 각인 및/또는 페인트 및/또는 노치 및/또는 랜싱 및/또는 펀칭 및/또는 가압 변형 및/또는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둘레 방향의 눈금을 형성하도록 및/또는 둘레 방향의 길이 범위를 나타내도록 점 형상, 선형상, 실질적으로 원 형상, 실질적으로 네모 형상, 실질적으로 삼각 형상, 실질적으로 반구 형상, 판 형상, 각주 형상, 각추 형상 또는 이들 복수의 조합 형상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트 밴드에 의하면, 조임 공정에 있어서의 밴드의 직경 변화를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임 상태의 양불 판단을 목시 확인에 의해 검사 도구 사용의 필요성이 없이 간편하고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외측 중첩부 및 내측 중첩부가 서로 겹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조임 부재에 권회되는 밴드 본체;
    상기 외측 중첩부에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 본체를 조이기 위하여 상기 밴드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른 소성 변형이 행해지는 귀부;
    상기 외측 중첩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중첩부를 목시 가능하도록 상기 외측 중첩부에 형성된 시인 수단; 및
    상기 시인 수단과 대응하도록 상기 외측 중첩부 및 상기 내측 중첩부에 형성되고, 상기 귀부로의 소성 변형에 기초하는 상기 밴드 본체의 조임량을 목시 확인 가능하게 하는 표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수단은 상기 외측 중첩부에 개구된 창문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수단은 상기 외측 중첩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노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 수단은 상기 외측 중첩부 또는 상기 내측 중첩부에 형성된 표시부, 그리고 상기 소성 변형에 의해 상 기 표시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도록 상기 외측 중첩부 또는 상기 내측 중첩부에 형성된 지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외측 중첩부와 상기 내측 중첩부와의 둘레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나타내는 표식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표부는 상기 소성 변형 후에 상대 이동한 상기 표시부의 위치에 대한 양불 지표의 표식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트 밴드.
KR1020067003170A 2003-08-19 2004-08-18 부트 밴드 KR200600656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5714 2003-08-19
JP2003295714A JP4505713B2 (ja) 2003-08-19 2003-08-19 ブーツバン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690A true KR20060065690A (ko) 2006-06-14

Family

ID=3419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170A KR20060065690A (ko) 2003-08-19 2004-08-18 부트 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2062B2 (ko)
EP (1) EP1662153B1 (ko)
JP (1) JP4505713B2 (ko)
KR (1) KR20060065690A (ko)
CN (1) CN100451356C (ko)
DE (1) DE602004021608D1 (ko)
WO (1) WO20050173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18B1 (ko) * 2011-04-20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20200093341A (ko) * 2019-01-28 2020-08-05 서한산업(주) 차량용 등속 조인트 부트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등속 조인트 조립체
KR102267694B1 (ko) * 2020-02-24 2021-06-22 주식회사 티앤지 볼스터드의 볼부와 미끄럼 베어링 간의 대칭적인 결합구조를 갖는 볼 조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5896A1 (en) * 2006-09-12 2009-10-29 Occ St Co., Ltd. Band clip for cashing
US20080282509A1 (en) * 2007-05-17 2008-11-20 Murray Corporation Self gauging clamp
CN101313867B (zh) * 2008-06-25 2010-09-01 商建忠 包皮环切吻合器
JP2012163173A (ja) * 2011-02-08 2012-08-30 Takagi Manufacturing Co Ltd 接続用クランプ装置
JP5827033B2 (ja) * 2011-05-20 2015-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接続用クランプ装置
WO2013060346A1 (de) * 2011-10-28 2013-05-02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chlauchklemme
USD741456S1 (en) * 2013-07-17 2015-10-20 Charlotte Pipe And Foundry Company Crimp-style coupling device for clamping together cast iron pipes, fittings and the like
CN105674785A (zh) * 2014-11-19 2016-06-15 丹佛斯微通道换热器(嘉兴)有限公司 换热器
US9834352B2 (en) * 2014-11-24 2017-12-0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Non-slip cable tie
CN105416831A (zh) * 2015-11-13 2016-03-23 安徽安缆模具有限公司 一种用于线束环形锁紧机构
DE102017002327B4 (de) * 2016-04-11 2021-05-27 Mann+Hummel Gmbh Filtereinrichtung
US20180340557A1 (en) * 2017-05-26 2018-11-29 Ideal Clamp Products, Inc. Hose clamp with indicator
JP7429705B2 (ja) * 2019-02-22 2024-02-08 オエティカ シュヴァイツ アーゲー ホースクランプ
WO2020240624A1 (ja) * 2019-05-24 2020-12-03 日栄インテック株式会社 配管支持具
US20230313927A1 (en) * 2022-04-04 2023-10-05 Oetiker Schweiz Ag Visual and tactile indicator
KR102566367B1 (ko) * 2023-04-05 2023-08-11 엔디케이테크(주) 체결밴드의 체결과 조립상태 검사가 가능한 밴드체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206A (en) * 1913-01-03 1914-05-12 James Fred Thomas Exercising apparatus.
DE1500795A1 (de) 1966-08-19 1969-08-28 Jurid Werke Gmbh Sicherheitsvorrichtung fuer bandfoermige Spanneinrichtungen,insbesondere fuer Schlauchbinder
US4299012A (en) 1979-05-08 1981-11-10 Hans Oetiker Hose clamp
JPH0755366Y2 (ja) * 1990-03-20 1995-12-20 光洋精工株式会社 クランプ
JPH03123103U (ko) * 1990-03-28 1991-12-16
JP2501591Y2 (ja) * 1990-04-06 1996-06-19 日本精工株式会社 締付けバンド
US5138747A (en) * 1991-04-08 1992-08-18 Hans Oetiker Clamp structure with improved spring action
US5413319A (en) 1994-08-10 1995-05-09 Gencorp Inc. Fluid damped bushing
US5537721A (en) * 1994-08-19 1996-07-23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Tolerance-compensating hose clamp
US5544392A (en) 1995-03-01 1996-08-13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Clamp structure with spring element
JP3853955B2 (ja) * 1998-02-06 2006-12-06 日本発条株式会社 ブーツバンド
JP3467190B2 (ja) * 1998-08-25 2003-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ンドクリップ
AU4433000A (en) 1999-05-14 2000-12-05 Nhk Spring Co. Ltd. Boot band
US6560823B1 (en) * 2002-01-15 2003-05-13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Method for optimizing the length of the blank for an open-type clamp and clamp made with the use of this method
US7024731B2 (en) * 2003-01-14 2006-04-11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Hose clamp with internal clamping surfaces devoid of gaps, steps or discontinuit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18B1 (ko) * 2011-04-20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KR20200093341A (ko) * 2019-01-28 2020-08-05 서한산업(주) 차량용 등속 조인트 부트용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등속 조인트 조립체
KR102267694B1 (ko) * 2020-02-24 2021-06-22 주식회사 티앤지 볼스터드의 볼부와 미끄럼 베어링 간의 대칭적인 결합구조를 갖는 볼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8755A1 (en) 2006-10-05
JP2005061586A (ja) 2005-03-10
EP1662153A4 (en) 2006-12-06
EP1662153B1 (en) 2009-06-17
EP1662153A1 (en) 2006-05-31
CN100451356C (zh) 2009-01-14
WO2005017371A1 (ja) 2005-02-24
CN1836112A (zh) 2006-09-20
DE602004021608D1 (de) 2009-07-30
US7832062B2 (en) 2010-11-16
JP4505713B2 (ja)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5690A (ko) 부트 밴드
US6152665A (en) Direct tension indicating washers
US5105509A (en) Hose clamp
US20070056386A1 (en) Tension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hain
KR101682824B1 (ko) 스트레인 게이지가 축에 직접 부착되는 힘 토크 센서
JP3678804B2 (ja) 公差を補償する再使用可能なクランプ構造体
KR100668589B1 (ko) 단차가 없는 내부 클램핑 표면을 갖는 호스 클램프 및 그제조 방법
CN106065751B (zh) 缓冲限位器总成
US20180292194A1 (en) Kit and method for measuring a pipe coupling groove
US6510617B1 (en)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KR20030044786A (ko) 측면장착 가압력검출장치
JP2012163173A (ja) 接続用クランプ装置
JPH064244Y2 (ja) リンクチェーン用ピッチゲージ
WO201002076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alysing structural members
US20220178476A1 (en) Locator systems and methods for hose clamps
JP6553957B2 (ja) ボルト締め忘れ防止部材、及びこれを用いるボルト締め忘れ防止方法
JP3753015B2 (ja) 油井管ねじ継手用マーキングゲージ及び締め付け完了位置のマーキング方法
US20100098516A1 (en) Sheet metal rivet with orientation control
JPS6027272Y2 (ja) ホ−スクランプ
EP1110053A1 (en) Belt elongation measurement device
CN115422679A (zh) 花键过盈量设计方法
EP4279891A1 (en) Drive plate-type torque transducer
KR101308626B1 (ko) 주응력 방향 측정용 게이지
GB2043922A (en) Overload Indicators for Chains
CN105221528B (zh) 用于连接带有紧固件的功能部件与板材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