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336B1 -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336B1
KR101807336B1 KR1020130062703A KR20130062703A KR101807336B1 KR 101807336 B1 KR101807336 B1 KR 101807336B1 KR 1020130062703 A KR1020130062703 A KR 1020130062703A KR 20130062703 A KR20130062703 A KR 20130062703A KR 101807336 B1 KR101807336 B1 KR 10180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and
end side
bottom portion
str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315A (ko
Inventor
류이치 다카기
시게노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4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8681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4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5244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교
Publication of KR20140058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10T24/1427Worm and too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10T24/1427Worm and tooth
    • Y10T24/1431Radial worm band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10T24/1441Tangential scr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39Encircling gripping member including semirigid band and operator for tight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48Encircling gripping member including semirigid band and means for adjusting gir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잔교부(11)의 굴곡강도가 증가하고, 나사봉(9)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9a)가 잔교부(11)에 맞물려 생기는 누름 접합력에 대한 잔교부(11)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1)를 제공한다.
인접하는 슬릿(8a) 사이에 나선치(9a)가 맞물리는 가교 형상의 양변부(1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치열부(8)를 구성하고, 양변부(10)는, 길이방향(P)을 따른 세홈(10a)을 가지도록 만곡 변형되어 움푹해진 잔교부(11)를 구성한다. 잔교부(11)의 스트랩 밴드(3)의 둘레방향(R)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나사봉(9)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선치(9a)로부터 받는 휨 변형력에 대한 잔교부(11)의 강성이 높아져, 접속 호스에 대한 강고한 조임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한다.

Description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A STRAP-BAND TYP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관 형상 부재와 금속관 등과의 접속부에, 스트랩 밴드를 감아 일정한 조임력(Winding force)으로 감아 조이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나사봉(Rod screw)의 나선치(Helical thread)가 눌러져 접합되는 슬릿간의 잔교부(Cross piece segment)에 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개량한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트랩 밴드를 휘감는 피체결물인 접속용 호스는, 근래에는 액체냉매를 압송(壓送)하는 차량의 냉난방용이나 특히 고온·고압에 노출되는 터보계 배관에 사용되기 때문에, 호스에는 현격히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호스의 기계적 강도를 올리기 위해, 호스의 고무 경도를 높이거나, 호스에 매설된 보강사(補强絲)를 늘리거나, 스트랩 밴드를 수지 호스와 일체화시킨 접착 복합화 구조로 하는 등의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접착 복합화 구조의 호스는, 통상의 고무제 호스와 달리, 호스에 높은 조임력이 필요하게 되어, 안정된 조임 상태를 확보하는 방책이 모색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스트랩 밴드의 일반적인 구조는, 밴드의 타단부에 다수의 슬릿치(Slit teeth)로 이루어지는 치열부(Array of teeth)를 설치하고, 하우징을 가지는 일단부와 슬라이딩 접촉 가능하게 포개 맞추는 것이다. 호스에 부착시에는, 하우징 내의 나사를 치열부의 슬릿치에 걸어 맞추게 하고,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밴드의 타단부가 일단부를 슬라이딩하여 호스를 감아 조인다.
스트랩 밴드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 특허문헌 1∼5에 각각 스크류 밴드, 호스 체구(Hose clamping device), 호스 클램프, 호스 클립 및 접속용 클램프 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모두 치열부에 대한 웜 나사의 조임 토크에 의해 피체결물을 감아 조이는 구조이다.
일본 공개실용공보 평성 07-44962호 일본 공개실용공보 평성 01-1762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8366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성 06-507465호 일본 특허공보 제 4738328 호
밴드의 치열부에서는, 2개의 슬릿치 사이에 존재하는 가교 형상의 양변부(Bridged brace)가 설치되어 있고, 나사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사의 나선치는 양변부에 눌러져 접합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4에서는, 특히 나사에 큰 조임 토크를 적용한 경우, 밴드가 감아 조이는 힘에 의해 지름이 축소되는 과정에서, 양변부는 나선치로부터 큰 휨력을 받아 변형되어, 밴드의 조임이 느슨해지는 것에 의해, 피체결물에 대한 밴드의 조임력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5에서는, 밴드의 치열부를 폭방향을 따라 물결 형상으로 소성 변형된 파곡부(Wavily curved area)를 형성하고, 양변부에 대한 나선치의 누름 접합 면적을 크게 하여, 나선치로부터 양변부가 받는 큰 휨력에 대항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밴드의 파곡부는, 밴드의 타단부와 포개 맞춰져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나사에 큰 조임 토크를 적용한 경우, 파곡부가 밴드의 타단부에 강하게 눌러지고 파곡부가 평평하게 변형되어, 나선치에 대한 양변부의 맞물림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잔교부의 스트랩 밴드의 둘레방향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나사봉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선치로부터 받는 휨 변형력에 대한 잔교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잔교부의 굴곡강도가 증가하여,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가 잔교부에 맞물려 생기는 누름 접합력에 대한 잔교부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대해)
스트랩 밴드는, 일단부측과 그 일단부측의 외측과 포개지도록 구부러진 타단부측으로부터 유단(有端) 고리 형상으로(Open-ended annular) 형성되어 있고, 피체결물을 휘감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은,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에 고정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나사봉은, 하우징 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정의 피치폭으로 형성된 나선치를 가진다. 다수의 슬릿은, 스트랩 밴드의 타단부측에 설치되고, 스트랩 밴드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둘레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만큼 경사지는 상태로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병렬된다. 이들 슬릿에 나사봉의 나선치를 걸어 맞추게 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슬릿간에 나선치가 맞물리는 가교 형상의 양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치열부를 구성한다.
나사봉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사봉이 나선치를 양변부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스트랩 밴드의 타단부측이 일단부측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고, 스트랩 밴드가 지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피체결물을 조인다. 양변부는 길이방향을 따른 세홈(Width-reduced groove)을 가지도록 만곡 변형되는 것에 의해, 양변부를 스트랩 밴드의 중심 방향 혹은 외측 방향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움푹해진 잔교부를 구성한다.
청구항 1에서는, 인접하는 슬릿간에 나선치가 맞물리는 가교 형상의 양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치열부를 구성하고, 양변부는 길이방향을 따른 세홈을 가지도록 만곡 변형되어 움푹해진 잔교부를 구성한다.
즉, 양변부를 만곡 변형시킨 잔교부를 설치한 것에 의해, 잔교부의 스트랩 밴드의 둘레방향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나사봉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선치로부터 받는 휨 변형력에 대한 잔교부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잔교부의 굴곡강도가 증가하고,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가 잔교부에 맞물려 생기는 누름 접합력에 대한 잔교부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 결과, 나사봉에 높은 조임 토크를 적용해도, 피체결물에 대해서 스트랩 밴드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트랩 밴드의 조임력이 손상되지 않아, 피체결물에 대한 강고한 조임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양변부를 만곡 변형시킬 만한 간이 수단에 의해, 강도가 높은 잔교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잔교부의 구조가 복잡화 되지 않고, 간소한 구조가 되어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특히, 양변부를 스트랩 밴드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움푹해진 잔교부로 한 경우, 나사봉의 나선치에 있어서의 두께가 큰 치면부에서 맞물리고, 잔교부에 대한 나선치의 전달력이 안정화됨과 함께, 나사봉의 나선치에 대한 잔교부의 맞물림수가 증가하여 스트랩 밴드의 조임력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안정된다.
(청구항 2에 대해)
스트랩 밴드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잔교부의 양단부 근방에는, 잔교부에 연속하여 스트랩 밴드의 중심 방향 혹은 외측 방향을 향하여 움푹해진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잔교부의 양단부 근방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오목부의 스트랩 밴드의 둘레방향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잔교부의 휨 변형력에 대한 강성의 증가에 도움이 된다. 이것에 의해,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가 맞물려 잔교부가 받는 누름 접합력에 저항하는 내구력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대해)
하우징은, 한 장의 금속 시트를 드로잉 가공에 의해 가공 경화시켜 일체로 형성한 바닥부(Bottom base)와 프레임부(Frame portion)로 이루어지는 얕은 바닥이 있는 프레임(Bottomed frame)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부를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에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청구항 3에서는, 나사봉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사봉이 치열부를 슬라이딩하여 스트랩 밴드가 지름이 축소 변형되는 과정에서, 하우징은, 나선치가 치열부의 잔교부로부터 반력(Reactionary force)을 받기 때문에, 스트랩 밴드의 외측면상에서 지름 방향의 회전에 작용하는 비틀림힘(Torsional force)을 받는다.
이 때,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드로잉 가공에 의해 가공 경화를 받고, 그 강성이 높아져 하우징이 견뢰화(堅牢化)되고 있으므로, 하우징이 비틀림힘을 받아도, 하우징의 강도는 비틀림힘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된다.
이 때문에,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나사봉에 허용 토크 이상의 조임 토크를 가해 버려도, 하우징이 비틀림힘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 부주의하게 비틀림 변형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잔교부와 나선치와의 양호한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어 피체결물에 대한 스트랩 밴드의 강고한 조임력이 장기에 걸쳐서 손상되는 일 없이 유지된다.
(청구항 4에 대해)
하우징으로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프레임부의 좌우에는, 스트랩 밴드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을 삽입 관통시켜 바닥부의 내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삽입구멍부 및 제 2 삽입구멍부가 형성되고, 바닥부를 일단부측에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청구항 4에서는, 스트랩 밴드를 하우징에 조립 부착할 때,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을 제 1 삽입구멍부 및 제 2 삽입구멍부에 삽입 관통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또한 신속히 스트랩 밴드를 하우징에 조립 부착할 수 있어 조립 부착성이 개선되고, 나아가서는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바닥부를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비용적으로 유리함과 함께, 용접이나 조임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와 달리, 하우징의 신속한 조립 부착에 도움이 된다.
이 경우, 일단부측을 바닥부의 내면에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일단부측과 바닥부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일단부측에 대한 바닥부의 고정 상태가 강고하게 된다.
여기서, 통상의 부착 구조로서, 하우징의 바닥부가 좌변부와 우변부의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어, 좌변부와 우변부를 일단부측으로 절곡하여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스트랩 밴드에 고정하는 것에 언급한다. 이 부착 구조에서는,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나사봉에 허용 토크 이상의 조임 토크를 가해 버린 경우, 하우징이 비틀림힘이 바닥부에 전해져, 바닥부에 큰 비틀림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좌변부의 선단 테두리와 우변부의 선단 테두리와의 맞댐부가 벗겨져 좌변부와 우변부가 비뚤어져, 일단부측에 대한 바닥부의 고정 상태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청구항 4에서는, 일단부측에 접촉되는 바닥부가 가공 경화를 받아 강도가 향상된 일체물이기 때문에, 바닥부에 큰 비틀림힘이 작용해도, 바닥부가 좌변부와 우변부의 맞댐부를 가지는 부착 구조와 달리, 바닥부가 비틀림 변형되지 않아, 일단부측에 대한 바닥부의 고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대해)
스트랩 밴드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에서 바닥부의 안쪽과 포개지는 부분은, 지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팽출되어 바닥부를 수용하는 장출부(Bulged portion)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외측면이 스트랩 밴드의 내측면과 면이 일치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5에서는, 일단부측에서 바닥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장출부를 형성하면서도, 바닥부의 외측면이 스트랩 밴드의 내측면과 면이 일치하기 때문에, 피체결물에 대한 스트랩 밴드의 조임력이 장출부에서 저하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일 없이 피체결물의 전체면에 균등하게 작용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6에 대해)
나사봉은, 나선치의 나사산이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사다리꼴 나사이다.
청구항 6에서는, 나사봉의 나선치는 이두께가 크고 강도가 높은 이바닥 근방에서 치열부의 잔교부에 맞물린다.
즉, 잔교부에 대해서 나선치가 큰 면적에서 맞물려, 잔교부에 대한 나선치의 맞물림이 안정됨과 함께, 잔교부에 대한 나선치의 맞물림 개소가 증가하고,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잔교부에 대한 나선치의 슬라이딩 접촉력이 커져, 나사봉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트랩 밴드의 타단부측에 대한 인장력을 강화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대해)
금속 시트는 스테인리스강계의 금속이며, 하우징으로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두께를 1.0㎜∼2.0㎜의 치수 범위 내로 설정하고 있다.
청구항 7에서는, 하우징으로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금속 시트의 드로잉 가공에 의해 가공 경화를 받으므로,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두께가 작아서 경량이 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취급하기 쉬워진다.
(청구항 8∼10에 대해)
잔교부는, V자 형상, 반원 형상 혹은 U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청구항 8∼10에서는, 잔교부가 V자 형상, 원호 형상 혹은 U자 형상 중의 어느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잔교부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잔교부의 스트랩 밴드의 둘레방향에 대한 휨 변형력에 저항하는 강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청구항 1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잔교부의 강도가 증가하고,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가 맞물려 잔교부가 받는 누름 접합력에 저항하는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1에 대해)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에는,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떨어진 상태로, 바닥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선단을 구비한 한 쌍의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양단 테두리부에는, 한 쌍의 돌출부가 바닥부를 둘레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걸어 맞춰져 장착되는 오목 함몰부를 형성하고 있다.
청구항 11에서는, 스트랩 밴드를 하우징에 부착할 때,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의 돌출부가 오목 함몰부에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그 일단부측을 바닥부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돌출부는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별도의 부재를 부가하는 일 없이, 그 일단부측을 바닥부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고정 구조가 복잡화되지 않고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도 1은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2는 (a)∼(d)는 금속 시트를 드로잉 성형에 의해 하우징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실시예 1).
도 3은 (a)는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에 타단부측을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하우징 내의 나사봉을 치열부의 잔교부에 맞물리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c)는 잔교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실시예 1).
도 4는 (a)는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에 타단부측을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하우징 내의 나사봉을 치열부의 잔교부에 맞물리게 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실시예 2).
도 5는 (a), (b), (c)는 잔교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실시예 3 및 변형예).
도 6은 (a)는 하우징의 사시도, (b)는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의 사시도, (c)는 (b)의 Y-Y선을 따르는 종단면도이다(실시예 4).
도 7은 (a)는 스트랩 밴드를 하우징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하우징의 바닥부에 면누르기(Deburring) 가공을 실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실시예 4).
본 발명의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에서는, 인접하는 슬릿간에 치열부로서 강도가 큰 잔교부를 형성하고, 나사봉의 나선치가 잔교부에 누름 접합되어 생기는 휨 변형력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구성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1)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의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1)는, 피체결물로서의 접속 호스(2)에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최근의 사정에 감안하여, 예를 들면 접속 호스(2)의 고무 경도를 높이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올리기 위해, 보강사를 늘리고 있다. 이 때문에, 접속 호스(2)에 큰 면압(Surface pressure)인 감아 조이는 힘을 조임력으로서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예를 들면, 과급기(Turbo-charger) 부착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서, 공기의 충전율을 높이기 위해, 압축 공기를 냉각하는 인터쿨러와 흡입기관(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접속용 클램프 장치(1)는, 전체가 유단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러진 스트랩 밴드(3)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 호스(2)에 감아 조이도록 하고 있다. 스트랩 밴드(3)는, 예를 들면 SUS304계의 스테인리스강판 등의 탄성재에 의해, 원하는 폭 치수와 길이 치수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에는, 후술하는 형상의 하우징(4)이 일단부측(3A)의 접선 방향을 따르도록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4)은, 도 2(a)∼(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장의 금속 시트(4A)(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SUS304)를 드로잉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각형의 바닥부(4a)와 사각형의 프레임부(4b)로 이루어지는 얕은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으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은 상면 개구형의 바닥이 얕은 상자 형상을 이루고, 그 두께(t)가 1.0㎜∼2.0㎜의 치수 범위 내에서 설정되며, 일례로서 1.5㎜의 두께(t)를 채용하고 있다.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의 제작에 있어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형의 개구부(6a) 및 소경 구멍(Small hole)(6e)이 부착된 개구부(6b)를 좌우에 가지는 금속 시트(4A)를 준비하고, 캐비티(4B)를 구비한 사각형의 금형(5)에 설치한다. 이 상태로, 금속 슬라이더(7)를 내리쳐서 금속 시트(4A)에 드로잉 가공을 행하고,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성형된 금속 시트(4A)를 캐비티(4B)로부터 꺼내고,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주변부의 돌출 플랩(burred flap)(6c)을 연삭 제거하는 것에 의해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을 형성하고 있다.
이 드로잉 가공 과정에서, 프레임부(4b)의 개구부(6a,6b)는, 그 절개영역이 확대되는 소성 변형을 받아 프레임부(4b)의 하부에 형성되고,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을 삽입 관통시키는 가늘고 긴 제 1 삽입구멍부(6A) 및 제 2 삽입구멍부(6B)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소경 구멍(6e)은, 후술하는 나사봉(9)의 축부(9e)를 접촉시키는 삽입구멍(6C)을 구성한다.
즉,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의 한쪽 변부에는, 도 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삽입구멍부(6A)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축 구멍(4d)이 형성되고,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의 타변부에는, 제 2 삽입구멍부(6B)의 상부에 위치하는 삽입구멍(6C)을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6a) 및 소경 구멍(6e)이 부착된 개구부(6b)를 좌우에 가지는 금속 시트(4A)를 이용했지만, 금속 시트(4A)는 구멍이 없는 형상으로 해 두어, 드로잉 가공 후에, 절삭 등의 기계 가공 수단에 의해 제 1 삽입구멍부(6A), 제 2 삽입구멍부(6B) 및 삽입구멍(6C)을 형성해도 좋다.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4b)의 제 1 삽입구멍부(6A) 및 제 2 삽입구멍부(6B)를 삽입 관통하고, 이 상태로 바닥부(4a)를 일단부측(3A)에 부호 G로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하고 있다.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의 외측에는, 이것과 포개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타단부측(3B)이 위치하고 있다.
스트랩 밴드(3)의 타단부측(3B)에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 밴드(3)를 폭방향(W)으로 가로질러, 둘레방향(R)에 대해서 소정각 θ만큼 경사지는 상태로 둘레방향(R)을 따라 등간격으로 병렬하는 다수의 슬릿(8a)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봉(9)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피치폭으로 형성된 나선치(9a)를 가지는 웜 기어의 일종이며, 나선치(9a)는, 나사산이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사다리꼴 나사를 구성하고 있다. 나사봉(9)의 일단부는 지지축(9b)을 가지고, 타단부는 지름이 큰 플랜지부(9c) 및 플랜지부(9c)에 인접하는 각형 머리부(9d)를 가지고 있다.
나사봉(9)은, 삽입구멍(6C)을 통하여 하우징(4)의 내부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며, 지지축(9b)을 프레임부(4b)의 지지축 구멍(4d)에 삽입하고, 타단부를 삽입구멍(6C)의 개구 상측 테두리부(6d)에 걸어 멈추게 함과 함께 플랜지부(9c)를 프레임부(4b)의 외측에 빠짐 방지 상태로 접촉시키고 있다(도 3(b) 참조).
나사봉(9)을 하우징(4)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4c) 내에 배치하고, 그 바닥부(4a)를 일단부측(3A)에 조임을 가하여, 나사봉(9)의 나선치(9a)를 슬릿(8a)에 걸어 맞추게 한다. 이 상태로, 인접하는 슬릿(8a) 사이에 나선치(9a)가 맞물리는 가교 형상의 양변부(1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치열부(8)를 구성한다.
스트랩 밴드(3)에 있어서의 일단부측(3A)에서 바닥부(4a)의 안쪽과 포개지는 부분은, 지름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N)으로 팽출되는 장출부(3m)를 형성하고 있다. 장출부(3m)의 팽출량(E)은, 바닥부(4a)의 두께(T)와 같게 설정하고, 바닥부(4a)의 외측면이 스트랩 밴드(3)의 내측면과 면이 일치되도록 하고 있다.
양변부(10)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스 등에 의해 길이방향(P)을 따른 세홈(10a)을 가지도록 타각(打刻)되어, 만곡 변형을 받도록 소성 가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양변부(10)가 스트랩 밴드(3)의 중심방향(M)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움푹해진 잔교부(11)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잔교부(11)의 횡단면 형상은,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홈 깊이 치수를 H로 하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스트랩 밴드(3)의 폭방향(W)에 있어서의 잔교부(11)의 양단부 근방(11A,11B)에는, 잔교부(11)에 연속하여 스트랩 밴드(3)의 중심방향(M)을 향하여 움푹해진 오목부(12)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형 머리부(9d)를 통하여 나사봉(9)의 회전 조작하면, 이 조작에 따라, 나사봉(9)이 나선치(9a)를 잔교부(11)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스트랩 밴드(3)의 타단부측(3B)이 일단부측(3A)에 대해서 감아 조이는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고, 스트랩 밴드(3)가 지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피체결물로서의 접속 호스(2)를 조인다.
[실시예 1의 효과]
실시예 1에서는, 인접하는 슬릿(8a) 사이에 나선치(9a)가 맞물리는 가교 형상의 양변부(1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치열부(8)를 구성하고, 양변부(10)는, 폭방향(W)을 따른 세홈(10a)을 가지도록 만곡 변형되어 움푹해진 잔교부(11)를 구성한다.
즉, 양변부(10)를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 변형시킨 잔교부(11)를 형성한 것에 의해, 잔교부(11)의 스트랩 밴드(3)의 둘레방향(R)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나사봉(9)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선치(9a)로부터 받는 휨 변형력에 대한 잔교부(11)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잔교부(11)의 굴곡강도가 증가하고, 나사봉(9)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9a)가 잔교부(11)에 맞물려 생기는 누름 접합력에 대한 잔교부(1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 결과, 나사봉(9)에 높은 조임 토크를 적용해도, 접속 호스(2)에 대해서 스트랩 밴드(3)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트랩 밴드(3)가 조임력이 손상되지 않아, 접속 호스(2)에 대한 강고한 조임력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양변부(10)를 만곡 변형시킬 만한 간이 수단에 의해, 강도가 높은 잔교부(1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잔교부(11)의 구조가 복잡화 되지 않고, 간소한 구조가 되어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잔교부(11)의 양단부 근방(11A,11B)에 오목부(12)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오목부(12)의 스트랩 밴드(3)의 둘레방향(R)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잔교부(11)의 휨 변형력에 대한 강성의 증가에 도움이 된다. 이것에 의해, 나사봉(9)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9a)가 맞물려 잔교부(11)가 받는 누름 접합력에 저항하는 내구력을 큰 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사봉(9)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사봉(9)이 치열부(8)를 슬라이딩하여 스트랩 밴드(3)가 지름이 축소 변형되는 과정에서, 하우징(4)은, 나선치(9a)가 치열부(8)의 잔교부(11)로부터 반력을 받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 밴드(3)의 외측면상에서 지름 방향(S)의 회전에 작용하는 비틀림힘(K)을 받게 된다.
이 때,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은 드로잉 가공에 의해 가공 경화를 받고, 그 강성이 높아져 하우징(4)이 견뢰화되어 있으므로, 하우징(4)이 비틀림힘(K)을 받아도, 하우징(4)의 강도는 비틀림힘(K)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크기가 된다.
이 때문에, 나사봉(9)의 회전 조작시에, 나사봉(9)에 허용 토크 이상의 조임 토크를 가해 버려도, 하우징(4)이 비틀림힘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 부주의하게 비틀림 변형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잔교부(11)와 나선치(8a)와의 양호한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어 접속 호스(2)에 대한 스트랩 밴드(3)의 강고한 조임력이 장기에 걸쳐서 손상되는 일 없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하우징(4)으로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의 프레임부(4b)의 좌우에는, 스트랩 밴드(3)의 폭방향(W)을 따라 형성되고,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을 삽입 관통시켜 바닥부(4a)의 내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삽입구멍부(6A) 및 제 2 삽입구멍부(6B)가 형성되고, 바닥부(4a)를 일단부측(3A)에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트랩 밴드(3)를 하우징(4)에 조립 부착할 때,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을 제 1 삽입구멍부(6A) 및 제 2 삽입구멍부(6B)에 삽입 관통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또한 신속히 스트랩 밴드(3)를 하우징(4)에 조립 부착할 수 있어 조립 부착성이 개선되고, 나아가서는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의 바닥부(4a)를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비용적으로 유리함과 함께, 용접이나 조임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와 달리, 하우징(4)의 신속한 조립 부착에 도움이 된다.
이 경우, 일단부측(3A)을 바닥부(4a)의 내면에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일단부측(3A)과 바닥부(4a)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일단부측(3A)에 대한 바닥부(4a)의 고정 상태가 강고하게 된다.
여기서, 통상의 부착 구조로서, 하우징의 바닥부가 좌변부와 우변부의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어, 좌변부와 우변부를 일단부측(3A)에 절곡하여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스트랩 밴드(3)에 고정하는 것에 언급한다. 이 부착 구조에서는, 나사봉(9)의 회전 조작시에, 나사봉(9)에 허용 토크 이상의 조임 토크를 가해 버린 경우, 하우징의 비틀림힘(K)이 바닥부에 전해져, 바닥부에 큰 비틀림힘(K)이 작용하기 때문에, 좌변부의 선단 테두리와 우변부의 선단 테두리와의 맞댐부에서 좌변부와 우변부가 비뚤어져, 일단부측(3A)에 대한 바닥부의 고정 상태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에서는, 일단부측(3A)에 접촉하는 바닥부(4a)가 가공 경화를 받아 강도가 향상된 일체물이기 때문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부(4a)에 큰 비틀림힘(K)이 작용해도, 바닥부(4a)가 좌변부와 우변부와 맞댐부를 가지는 부착 구조와 달리, 바닥부(4a)가 비틀림 변형되지 않아, 일단부측(3A)에 대한 바닥부(4a)의 고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트랩 밴드(3)에 있어서의 일단부측(3A)에서 바닥부(4a)의 안쪽과 포개지는 부분은, 지름 방향을 따르는 외측 방향(N)으로 팽출되어 바닥부(4a)를 수용하는 장출부(3m)를 형성하고, 바닥부(4a)의 외측면(4w)이 스트랩 밴드(3)의 내측면(3u)과 면이 일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단부측(3A)에서 바닥부(4a)에 대응하는 부분에 장출부(3m)를 형성하면서도, 바닥부(4a)의 외측면(4w)이 스트랩 밴드(3)의 내측면(3u)과 면이 일치하기 때문에, 접속 호스(2)에 대한 스트랩 밴드(3)가 조임력이 장출부(3m)에서 저하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치는 일 없이 접속 호스(2)의 전체면에 균등하게 작용하는 이점이 있다.
나사봉(9)은, 나선치(9a)의 나사산이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사다리꼴 나사이므로, 나사봉(9)의 나선치(9a)는 이두께가 크고 강도가 높은 이바닥 근방에서 치열부(8)의 잔교부(11)에 맞물린다.
즉, 잔교부(11)에 대해서 나선치(9a)가 큰 면적에서 맞물려, 잔교부(11)에 대한 나선치(9a)의 맞물림이 안정됨과 함께, 잔교부(11)에 대한 나선치(9a)의 맞물림 개소가 증가하고, 나사봉(9)의 회전 조작시에, 잔교부(11)에 대한 나선치(9a)의 슬라이딩 접촉력이 커져, 나사봉(9)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트랩 밴드(3)의 타단부측(3B)에 대한 인장력을 강화할 수 있다.
금속 시트(4A)는 스테인리스강계의 금속이며, 하우징(4)으로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은 두께를 1.0㎜∼2.0㎜의 치수 범위내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4)으로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은, 금속 시트(4A)의 드로잉 가공에 의해 가공 경화를 받아 필요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두께가 작아서 경량이 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취급하기 쉬워진다.
잔교부(11)의 횡단면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 한 것에 따라, 잔교부(11)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잔교부(11)의 스트랩 밴드(3)의 둘레방향(R)에 대한 휨 변형력에 저항하는 강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잔교부(11)의 강도가 증가하고, 나사봉(9)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9a)가 맞물려 잔교부(11)가 받는 누름 접합력에 저항하는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실시예 2가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변부(10)가 잔교부(13)로서 스트랩 밴드(3)의 외측 방향(N)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움푹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스트랩 밴드(3)의 폭방향(W)에 있어서의 잔교부(13)의 양단부 근방(13A,13B)에는, 잔교부(13)에 연속하여 스트랩 밴드(3)의 외측 방향(N)을 향하여 움푹해진 오목부(14)를 형성하고 있다(도 4(a) 참조).
실시예 2에서는, 양변부(10)를 잔교부(13)로서 스트랩 밴드(3)의 외측 방향(N)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움푹하게 한 것으로, 나사봉(9)의 나선치(9a)에 있어서의 두께가 큰 치면부에서 맞물려, 잔교부(13)에 대한 나선치(9a)의 전달력이 안정화됨과 함께, 나사봉(9)의 나선치(9a)에 대한 잔교부(13)의 맞물림수가 증가하여 스트랩 밴드(3)가 조임력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안정된다.
[실시예 3의 구성]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낸다. 실시예 3이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잔교부(11)의 횡단면 형상을 V자 형상으로 한 것이다.
잔교부(11)의 횡단면 형상을 V자 형상으로 해도, 실시예 1과 같이 원호 형상으로 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 이것과 같은 효과는, 도 5(b), (c)에 변형예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잔교부(11)의 횡단면 형상을 반원 형상 및 V자 형상으로서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의 구성]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낸다. 실시예 4가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하우징(4)의 바닥부(4a)에 조임을 가하는 것을 대신하여, 바닥부(4a)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기구(20)를 새로 설치한 것이다. 고정 기구(20)를 신설했기 때문에, 실시예 1에서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에 설치한 장출부(3m)는 생략되어 있다.
고정 기구(20)는, 도 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4)의 바닥부(4a)에 형성한 오목 함몰부(20a,20b) 및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에 형성한 한 쌍의 돌출부(21,22)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 함몰부(20a,20b)는, 바닥부(4a)의 둘레방향(R)에 존재하는 양단 테두리부에 ⊃자형의 잘린 부분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에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3)의 오목 함몰부(20a,20b)에 대응하는 개구단 테두리(23a,23b)에는,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부(4a)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예를 들면 프레스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타발되어 나온 선단(21a,22a)을 구비한 한 쌍의 돌출부(21,22)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22)의 선단(21a,22a)은, 둘레방향(R)을 따라 소정의 간격(Q1)만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 간격(Q1)은, 오목 함몰부(20a,20b)끼리의 사이의 이간(離間) 치수(Q2)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선단(21a,22a)의 폭방향(W)을 따르는 띠 치수(Q3)는, 오목 함몰부(20a,20b)의 협간(狹間) 치수(Q4)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도 6(a) 참조).
그리고,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을 하우징(4) 내에 삽입하면, 돌출부(21,22)의 선단(21a,22a)이 바닥부를 둘레방향(R)을 따라 끼워지도록 하여 오목 함몰부(20a,20b)에 걸어 맞춰져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이 둘레방향(R) 및 폭방향(W)의 이동이 저지되고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 때, 돌출부(21,22)의 선단(21a,22a)과 오목 함몰부(20a,20b)에 있어서의 바닥부(4a)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미세한 단차(Sp)를 일으키지만, 단차(Sp)를 없애서 면이 일치되게 해도 좋다.
그 후, 바닥부(4a)의 양 테두리에 생긴 에지 모서리부에 대해서는, 도 7(b)에 해칭(Tm)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누르기 가공에 의해 모따기 형상으로 소성 변형시켜서 표면을 매끄럽게 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4에서는, 스트랩 밴드(3)를 하우징(4)에 부착할 때,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의 돌출부(21,22)가 오목 함몰부(20a,20b)에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그 일단부측(3A)을 바닥부(4a)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돌출부(21,22)는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별도의 부재를 부가하는 일 없이, 그 일단부측(3A)을 바닥부(4a)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고정 기구(20)가 복잡화되지 않고 비용적으로도 유리하다.
[변형예]
(a) 상기 실시예 1∼4에 있어서의 스트랩 밴드(3)에 대해서는, SUS304계의 스테인리스강판을 대신하여, 강화 합성수지, 구리판 또는 각종의 금속 합금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하우징(4)은 사각형 프레임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 프레임 형상, 사각 프레임 형상, 오각 프레임 형상 혹은 다각 프레임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하우징(4)에 있어서의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의 두께(t)를 1.5㎜로 설정했지만, 이 두께(t)는 1.0㎜∼2.0㎜의 치수 범위 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대상이나 부착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해도 좋다. 바닥이 있는 프레임(4c)은 금속 시트(4A)로부터 드로잉 가공에 의해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드로잉 가공을 대신하여 통상의 소성 변형에 의해 가늘고 긴 통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b) 하우징(4)을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의 접선 방향을 따르도록 부착했지만, 기하학적인 정확함은 필요하지 않고, 접선 방향에 대한 다소의 차이는 조립 부착상의 오차로서 허용 범위이며, 실용상의 관점으로부터 접선 방향이면 좋다.
(c) 하우징(4)의 바닥부(3a)에 조임을 가하는 것을 대신하여, 각종의 용접(저항 용접, 프로젝션 용접, 아크 용접, TIG 용접, 플라즈마 용접) 등의 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하우징(4)의 바닥부(4a)를 스트랩 밴드(3)의 일단부측(3A)에 고정해도 좋다.
(d) 나사봉(9)을 나사산이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사다리꼴 나사로 했지만, 사다리꼴 나사에 한정하지 않고, 나사산이 단면 삼각형의 통상적인 나사로 해도 좋다.
(e) 나사봉(9)에 대해서는, 나선 형상의 축길이부를 드럼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축길이부를 스트랩 밴드(3)의 둘레방향을 따르기 쉽게 하여, 잔교부(11)에 대한 나선치(9a)가 맞물리는 치수를 늘려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에서는, 양변부를 만곡 변형시킨 잔교부를 설치한 것에 의해, 잔교부의 스트랩 밴드의 둘레방향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나사봉의 회전 조작에 따라 나선치로부터 받는 휨 변형력에 대한 잔교부의 강성이 높아지고, 잔교부의 굴곡강도가 증가하여, 나사봉의 회전 조작시에 나선치가 잔교부에 맞물려 생기는 누름 접합력에 대한 잔교부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잔교부의 내구성의 향상에 관계 업자의 수요가 환기되어, 관련 부품 등의 유통을 통하여 기계업계에 적용할 수 있다.
1 :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2 : 접속 호스(피체결물)
3 : 스트랩 밴드
3A : 스트랩 밴드의 일단부측
3B : 스트랩 밴드의 타단부측
4 : 하우징
4A : 금속 시트
4a : 바닥부
4b : 프레임
4c : 바닥이 있는 프레임
6A : 제 1 삽입구멍
6B : 제 2 삽입구멍
6C : 삽입구멍
8 : 치열부
8a : 슬릿
9 : 나사봉
9a : 나선치
10 : 양변부
10a : 세홈
11, 13 : 잔교부
12, 14 : 오목부
20 : 고정 기구
20a, 20a : 바닥부의 오목 함몰부
21, 22 : 돌출부
21a, 22a : 돌출부의 선단
P : 양변부의 길이방향
Q1 : 돌출부의 사이의 간격
R : 스트랩 밴드의 둘레방향
S : 스트랩 밴드의 지름 방향
W : 스트랩 밴드의 폭방향
M : 스트랩 밴드의 중심 방향
N : 스트랩 밴드의 외측 방향

Claims (11)

  1. 일단부측과 그 일단부측의 외측과 포개지도록 구부러진 타단부측으로부터 유단 고리 형상으로(Open-ended annular) 형성되어 피체결물을 휘감는 스트랩 밴드(Strap band)와,
    상기 스트랩 밴드의 상기 일단부측에 고정 상태로 부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정의 피치폭으로 형성된 나선치(Helical thread)를 가지는 나사봉(Rod screw)과,
    상기 스트랩 밴드의 상기 타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랩 밴드를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둘레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만큼 경사지는 상태로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병렬되는 다수의 슬릿과,
    상기 슬릿에 상기 나사봉의 상기 나선치를 걸어 맞추게 하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상기 슬릿간에 상기 나선치가 맞물리는 가교 형상의 양변부(Bridged brace)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치열부(Array of teeth)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봉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나사봉이 상기 나선치를 상기 양변부에 슬라이딩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스트랩 밴드의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일단부측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스트랩 밴드가 지름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피체결물을 조이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변부는 길이방향을 따른 세홈(Width-reduced groove)을 가지도록 만곡 변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양변부를 상기 스트랩 밴드의 중심 방향, 혹은 외측 방향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움푹해진 잔교부(Cross piece segment)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밴드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잔교부의 양단부 근방에는, 상기 잔교부에 연속하여 상기 스트랩 밴드의 중심 방향 혹은 외측 방향을 향하여 움푹해진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한 장의 금속 시트를 드로잉 가공에 의해 가공 경화시켜 형성한 바닥부와 프레임부로 이루어지는 얕은 바닥이 있는 프레임(Bottomed frame)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를 상기 스트랩 밴드의 상기 일단부측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서의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의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에는, 상기 스트랩 밴드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 밴드의 상기 일단부측을 삽입 관통시켜 상기 바닥부의 내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삽입구멍부 및 제 2 삽입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를 상기 일단부측에 조임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밴드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측에서 상기 바닥부의 안쪽과 포개지는 부분은, 지름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팽출되어 상기 바닥부를 수용하는 장출부(Bulged portion)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의 외측면이 상기 스트랩 밴드의 내측면과 면이 일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은, 상기 나선치의 나사산이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사다리꼴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는 스테인리스강계의 금속이며, 상기 하우징으로서의 상기 바닥이 있는 프레임은 두께를 1.0㎜∼2.0㎜의 치수 범위 내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교부는, V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교부는, 반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교부는, U자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밴드의 상기 일단부측에는,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떨어진 상태로,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선단을 가지는 한 쌍의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양단 테두리부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상기 바닥부를 둘레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걸어 맞춰져 장착되는 오목 함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KR1020130062703A 2012-11-06 2013-05-31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KR101807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4262 2012-11-06
JP2012244398A JP5198681B1 (ja) 2012-11-06 2012-11-06 接続用ストラップバンド装置
JPJP-P-2012-244398 2012-11-06
JP2012244262A JP5235244B1 (ja) 2012-11-06 2012-11-06 接続用ストラップバン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315A KR20140058315A (ko) 2014-05-14
KR101807336B1 true KR101807336B1 (ko) 2017-12-08

Family

ID=478269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712A KR101820993B1 (ko) 2012-11-06 2013-05-31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KR1020130062703A KR101807336B1 (ko) 2012-11-06 2013-05-31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712A KR101820993B1 (ko) 2012-11-06 2013-05-31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06721B2 (ko)
EP (2) EP2728234B1 (ko)
KR (2) KR101820993B1 (ko)
CN (2) CN103807540B (ko)
CA (2) CA280696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5636B (zh) * 2014-12-19 2016-08-17 浙江叁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快速安装的过滤吸收器
US9869338B2 (en) * 2015-10-14 2018-01-16 Cleva Smith Reusable clamp device
KR101861239B1 (ko) * 2016-09-29 2018-05-25 (주)옥시메이트 노 허브 커플링 조립 장치
CN107100280B (zh) * 2017-03-27 2019-11-22 曾为人 一种杆状材料的连接装置
US20180340557A1 (en) * 2017-05-26 2018-11-29 Ideal Clamp Products, Inc. Hose clamp with indicator
CN112128189B (zh) * 2020-07-28 2022-05-13 浙江农林大学 一种快速竹杆连接装置
CN112431828A (zh) * 2020-11-06 2021-03-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东阿县供电公司 一种电杆连接紧固装置
US11473700B2 (en) * 2021-03-09 2022-10-18 Zsi-Foster, Inc. Strut pipe clamp including worm gear for accommodating various pipe sizes
CN113347409B (zh) * 2021-05-10 2022-11-08 青岛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vr头戴的侧绑带结构
CN113586803B (zh) * 2021-07-30 2022-09-1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雨水联络管的快速安装方法
CN114294491A (zh) * 2021-12-06 2022-04-08 徐州鑫隆管业有限公司 一种密封效果好用于活动管道对接的链式卡箍
CN113982890B (zh) * 2021-12-28 2022-04-26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气泵管件及其制造方法
CN115653982B (zh) * 2023-01-02 2023-03-10 河北鸿宇通信器材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卡箍连接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549B2 (en) 2002-04-03 2005-01-25 Rasmussen Gmbh Worm drive hose clip
CN101159519A (zh) 2007-10-22 2008-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会话初始协议第三方呼叫控制方法
EP1736699B1 (en) 2004-04-12 2009-06-03 Takagi Mfg. Co. Ltd. Clamp device for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9948A (en) * 1930-02-08 1932-03-15 Muchler Fritz Hose clip
NL102773C (ko) * 1957-04-13
FR1366155A (fr) * 1963-05-29 1964-07-10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3195204A (en) * 1964-04-23 1965-07-20 Breeze Corp Worm driven hose clamp
DE1675186A1 (de) * 1968-01-04 1970-10-29 Busselmeier Dipl Ing Otto Schlauchschelle
DE2321814A1 (de) * 1973-04-30 1974-11-14 Kurt Allert Schlauchklemme
US3950830A (en) * 1974-09-03 1976-04-20 Standard-Thomson Corporation Quick attachment and release worm gear type hose clamp
FR2313584A1 (fr) * 1975-06-04 1976-12-31 Sogpi Collier de serrage perfectionne du type a vis
DE2800824C2 (de) * 1978-01-10 1983-07-14 Rasmussen Gmbh, 6457 Maintal Schneckengewindeschelle
US4197620A (en) * 1978-05-10 1980-04-15 Heuchert John M Hose clamp
US4257149A (en) * 1978-12-07 1981-03-24 Tridon Limited Band clamp device
US4473928A (en) * 1980-11-20 1984-10-02 Tridon Limited Hose clamps
GB2112051B (en) * 1981-12-19 1985-08-21 Terry And Sons Limited Herbert Worm drive clips
JPS60113810A (ja) 1983-11-22 1985-06-20 株式会社高木製作所 ウオ−ム・バンド締付け具
ES281033Y (es) * 1984-08-09 1986-07-16 Mikalor S.A. Abrazadera perfeccionada
US4675615A (en) 1985-12-30 1987-06-23 Donato Bramanti Magnetic amplifier
JPH01176293A (ja) 1987-09-10 1989-07-12 Touyoko Kagaku Kk バッファ層を形成するヘテロ・エピタキシャル成長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装置
JPH01176293U (ko) 1988-06-01 1989-12-15
JPH0640396Y2 (ja) 1990-05-23 1994-10-19 株式会社トヨックス ホース締付具
DE4116918A1 (de) 1991-05-24 1992-11-26 Braun Pebra Gmbh Schlauchschelle
JPH0744962U (ja) 1993-06-08 1995-12-05 株式会社エスケイ工機 スクリューバンド
JP2777529B2 (ja) 1993-07-29 1998-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DE19546077A1 (de) * 1995-12-11 1997-06-12 Rasmussen Gmbh Einteiliges Gehäuse einer Schneckengewindeschelle
DE19806235A1 (de) * 1998-02-16 1999-09-09 Rasmussen Gmbh Schellenanordnung
DE10026020B4 (de) * 2000-05-25 2004-12-16 Rasmussen Gmbh Schneckengewindeschelle
JP3554546B2 (ja) 2001-07-19 2004-08-18 澤久工業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AUPR874001A0 (en) * 2001-11-09 2001-11-29 Castellanos, Peter Hose or pipe clamp
USD574227S1 (en) * 2006-03-03 2008-08-05 Aba Of Sweden Ab Hose clamp
JP2007333078A (ja) 2006-06-15 2007-12-27 Kato Seisakusho:Kk ホースバンド
KR101269686B1 (ko) 2010-11-22 2013-05-30 (주)동아금속 호스용 클램프
JP2012163174A (ja) * 2011-02-08 2012-08-30 Takagi Manufacturing Co Ltd 接続用クランプ装置
CN201992197U (zh) 2011-05-09 2011-09-28 宁波易隆机械制造有限公司 塑柄迷你卡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549B2 (en) 2002-04-03 2005-01-25 Rasmussen Gmbh Worm drive hose clip
EP1736699B1 (en) 2004-04-12 2009-06-03 Takagi Mfg. Co. Ltd. Clamp device for connection
CN101159519A (zh) 2007-10-22 2008-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会话初始协议第三方呼叫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8235A3 (en) 2017-06-14
CN103807540A (zh) 2014-05-21
US8806721B2 (en) 2014-08-19
EP2728235A2 (en) 2014-05-07
KR20140058316A (ko) 2014-05-14
CA2806961A1 (en) 2014-05-06
KR101820993B1 (ko) 2018-01-22
CN103807539A (zh) 2014-05-21
CA2806965C (en) 2015-04-21
CA2806961C (en) 2015-10-06
EP2728234A2 (en) 2014-05-07
CA2806965A1 (en) 2014-05-06
EP2728234B1 (en) 2018-05-23
KR20140058315A (ko) 2014-05-14
EP2728234A3 (en) 2017-06-14
CN103807540B (zh) 2016-03-16
US20140123441A1 (en) 2014-05-08
US9103477B2 (en) 2015-08-11
EP2728235B1 (en) 2018-05-02
CN103807539B (zh) 2016-05-18
US20140123442A1 (en)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336B1 (ko) 접속용 스트랩 밴드 장치
JP3237643B2 (ja) クリップ
EP2058575A1 (en) Hose clamp
CA2586762C (en) Clamp for securing a tubular or hose-shaped object
EP2241766B1 (en) Band clamp
JP6913103B2 (ja) 特殊輪郭クランプ
GB2036158A (en) Hose clamp
US9109619B2 (en) Screw having a screw head, a screw shank and a corrugated conical flange
US7096543B2 (en) Clamp
JP5198681B1 (ja) 接続用ストラップバンド装置
JP2016169808A (ja) 接続用ストラップバンド装置
JP2008514873A (ja) ガス発生器カートリッジを固定するためのクランプリング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JP6286521B1 (ja) おねじ部材
JP5235244B1 (ja) 接続用ストラップバンド装置
US7322618B2 (en) Hose coupling
JP4812663B2 (ja) クリップ
CN108443608B (zh) 管接头
JP5269860B2 (ja) 接続用クランプ装置の組付け方法
JP2005042878A (ja) 管継手構造
JP2012163174A (ja) 接続用クランプ装置
JP2010111435A (ja) 容器の締付バンド及びその締結具の製造方法
JP2008307623A (ja) シールリング矯正治具
JP5232579B2 (ja) ダクトバンド
JP6527606B2 (ja) クリップ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