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24B1 - 호스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824B1
KR101300824B1 KR1020110064103A KR20110064103A KR101300824B1 KR 101300824 B1 KR101300824 B1 KR 101300824B1 KR 1020110064103 A KR1020110064103 A KR 1020110064103A KR 20110064103 A KR20110064103 A KR 20110064103A KR 101300824 B1 KR101300824 B1 KR 101300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lamp
fastening
clamp body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0738A (ko
Inventor
조청용
김진우
김명훈
박규동
Original Assignee
(주)동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금속 filed Critical (주)동아금속
Priority to EP20120174242 priority Critical patent/EP2541117B1/en
Priority to JP2012147474A priority patent/JP5558524B2/ja
Priority to CN201210226287.0A priority patent/CN102853170B/zh
Priority to US13/537,945 priority patent/US8689407B2/en
Publication of KR2012009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16L33/085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with a scroll-type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복수 개의 스크류홀이 관통형성되는 클램프바디와, 클램프바디의 일측에 배치되어 클램프바디의 타측이 삽입배치되는 체결하우징과, 체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체결하우징에 삽입된 클램프바디의 스크류홀에 결합되는 체결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램프바디의 일측에 호스의 직경이 축소될 때 축소되는 만큼 탄성으로 호스를 단속하여 견고한 상태로 조여줄 수 있도록 보정수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정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보정수단이 탄성영역을 넘어 변형되지 않도록 변형 범위를 제한하여 보정수단이 탄성영역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클램프바디에 형성된 스크류홀이 호스의 외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여 호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바디가 삽입되는 체결하우징에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클램프바디의 스크류홀과 체결하우징의 체결스크류가 보다 용이하게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호스의 체결시 클램프바디의 일단이 클램프바디의 스크류홀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호스를 체결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스용 클램프{HOSE CLAMP}
본 발명은 호스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노화로 호스의 직경이 축소되더라도 체결력을 지속시킬 수 있는 보정기능을 가지도록 하면서, 호스가 클램프로 침투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클램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호스용 클램프는 자동차의 브레이크나, 에어컨시스템, 파워스티어링 또는 엔진룸에 유체나 기체를 유통시 킬 수 있도록 사용되는 호스나, 기타 산업현장에서 유체나 기체의 유통을 위하여 연결되는 호스를 단속하여 이탈현상 등이 없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호스용 클램프는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들어서는 장기간 사용으로 노화되어 호스의 직경에 변화가 있을 경우 이를 보정하여 고정력(체결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보정기능을 가지는 클램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호스를 감싸는 클램프바디와, 클램프바디에 결합된 체결하우징 및 체결스크류로 구성되며, 고정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클램프바디에 보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클램프의 고정력이 상실되는 경우, 보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러한 호스 클램프의 경우 호스의 결합시 보정수단의 탄성영역에서 변형가하여 호스를 체결하여야 하나 보정수단의 탄성영역에 관한 명확한 정보를 사용자가 알 수 없어 종종 탄성영역을 넘어 소성역역에서 변형을 가한뒤 호스 클램프를 체결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호스 클램프의 체결시 클램프바디에 형성된 스크류홀 등이 호스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어 호스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호스의 체결시 보정수단을 변형시키는 경우, 보정수단을 탄성영역 이상으로 변형시키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호스의 체결시 클램프바디에 의해 호스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호스의 체결시 상호 간섭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보다 용이하게 호스를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호스 클램프의 구성을 보다 단순화하여 제작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복수 개의 스크류홀이 관통형성되는 클램프바디와, 클램프바디의 일측에 배치되어 클램프바디의 타측이 삽입배치되는 체결하우징과, 체결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체결하우징에 삽입된 클램프바디의 스크류홀에 결합되는 체결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클램프의 클램프바디의 일측에 호스의 직경이 축소될 때 축소되는 만큼 탄성으로 호스를 단속하여 견고한 상태로 조여줄 수 있도록 보정수단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정비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보정비드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클램프바디와 체결하우징 사이 또는 스크류홀로 호스가 파고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성변형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소성변형방지수단은 클램프바디의 스크류홀이나 체결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홈 또는 보정비드를 커버 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연접되는 원호형상의 방지밴드와, 방지밴드상의 보정비드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핀과 가이드핀을 포함하고, 클램프바디에는 고정핀과 가이드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핀이 삽입되는 고정핀홀과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가이드홀의 길이는 클램프바디가 호스를 체결할 때 클램프바디에 형성되는 전체 수의 보정비드가 소성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펼쳐졌을 때의 길이와 같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체결하우징은 클램프바디에 결합되는 하부바디와, 하부바디에 결합되는 상부바디로 구성되고, 하부바디와 상부바디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하부바디와 상부바디가 상호 체결되는 경우, 하부바디의 일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체결핀이 형성되고, 상부바디의 일측에는 체결핀이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하부바디와 상부바디의 결합시 체결핀이 체결홀에 삽입되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상부바디의 일측에는 체결하우징을 관통한 클램프바디의 일측을 가압시키는 가압편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상부바디의 일측에는 체결스크류의 회전시 상부바디의 변형을 방지하는 강성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클램프의 클램프바디의 일단은 클램프바디의 타단이 체결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 클램프바디의 일단이 스크류홀에 삽입되지 않도록 양측이 중앙부 보다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클램프는 보정수단이 탄성영역을 넘어 변형되지 않도록 변형 범위를 제한하여 보정수단이 탄성영역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클램프바디에 형성된 스크류홀이 호스의 외면에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여 호스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램프바디가 삽입되는 체결하우징에 가압돌기를 형성하여 클램프바디의 스크류홀과 체결하우징의 체결스크류가 보다 용이하게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호스의 체결시 클램프바디의 일단이 클램프바디의 스크류홀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호스를 체결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 및 Ⅲ' - Ⅲ'선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호스용 클램프의 클램프바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호스 체결상태의 클램프바디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 - Ⅶ선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호스용 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체결하우징의 사시도 및 결합시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 및 Ⅲ' - Ⅲ'선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호스용 클램프의 호스용 클램프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호스 체결상태의 클램프바디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 - Ⅶ선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통상적인 호스용 클램프(100)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는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판상부재를 원형으로 밴딩하여 클램프바디(101)를 구비한다.
이러한, 클램프바디(101)의 일단에는 체결하우징(102)을 고정하여 도구사용을 위한 헤드(103)를 가지는 체결스크류(104)와 결합한다.
체결하우징(102)과 체결스크류(104)의 형상과 모양은 도 1,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6,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형상 및 체결하우징(102)이 체결스크류(104)의 목부를 잡아줄 수 있는 형상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체결스크류(104)는 클램프바디(101)의 타단에서 내측 방향으로는 소정의 길이에 걸쳐 형성하는 스크류홀(105)과 결합 되어 체결스크류(104)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스크류홀(105)을 당기고 밀어서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을 확대 또는 축소하면서 호스를 클램핑 및 언클램핑 할 수 있도록 한다.
클램프바디(101)의 어느 일측에는 장기간 사용으로 호스의 직경이 축소될 때 축소되는 만큼 탄성으로 호스를 단속하여 견고한 상태로 조여줄 수 있는 보정수단(106)이 형성된다.
보정수단(106)은 클램핑바디(101)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하는 반원형상의 보정비드(107)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하여 구성되어, 호스를 단속할 때는 펼쳐지고, 호스의 노화가 있을 때 복원되려는 힘에 의하여 호스의 직경이 줄어든 만큼 단속하여 보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정비드(107)가 소성변형되어 탄성을 잃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고, 클램프바디(101)와 체결하우징(102) 사이와 스크류홀(105)로 체결되는 호스(108)가 파고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성변형방지수단(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성변형방지수단(110)은 클램프바디(101)의 내면에 판상 소재이면서 원호형상을 가지는 방지밴드(111)를 연접시켜 형성된다.
이러한 방지밴드(111)의 크기는 클램프바디(101)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05), 클램프바디(101)와 체결하우징(102) 사이에 형성되는 홈 또는 보정비드(107)를 커버 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지밴드(111)의 가장자리에는 클램프바디(101)를 수용하여 클램프바디(101)와 방지밴드(111)가 서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면(클램프바디 방향) 또는 내면(클램프바디의 대향된 방향)으로 절곡시킨 가이드림(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방지밴드(11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비드(107)의 시작위치(SP)와 끝위치(EP)에 외면방향으로 절곡 돌출형성된 한 쌍의 고정핀(113)과 가이드핀(114)이 형성된다.
클램프바디(101)에는 고정핀홀(115)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핀홀(115)은 체결바디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핀(113)은 고정핀홀(115)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서로 마주보게 또는 대향되게 절곡하여 클램프바디(101)와 고정밴드(111)를 결합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단속한다.
클램프바디(101)에는 소정의 길이(L)을 갖는 가이드홀(116)이 형성된다. 가이드핀(114)은 가이드홀(116)을 관통하여 삽입된 뒤 서로 마주보게 또는 대향되게 절곡된다. 이때, 절곡된 가이드핀(114)이 가이드홀(116)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홀(116)의 길이(L)는 호스(108)에 클램프바디(101)가 체결될 때, 클램프바디(101)에 형성되는 전체 수의 보정비드(107)가 소성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펼쳐졌을 때의 길이와 같게 형성한다. 따라서 호스(108) 체결 시 보정비드(107)가 펼쳐지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더 이상의 변형을 방지하여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호스용 클램프(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클램프(100)를 구성하는 체결하우징(102)에 결합 된 체결스크류(104)를 스크류드라이버 등과 같은 체결도구를 이용하여 해제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을 확대시켜 호스(108)를 수용시킨 후 체결스크류(104)를 단속 방향으로 회전시켜 호스(108)를 단속한다.
이 과정에서 체결스크류(104)는 클램프바디(101)에 형성되는 스크류홀(105)과 결합 되어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을 축소 및 확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호스(108)를 체결하여 단속할 때 클램프바디(101)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보정비드(107)가 호스(108)의 축 중심에 대하여 직각 방향(호스의 원주방향)으로 체결력에 의하여 펼쳐지면서 탄성에 의하여 체결력을 발휘하게된다.
이와 같이 호스(108)를 견고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장기간의 경과로 호스(108)가 노화되어 호스(108)의 직경이 줄어들 경우, 클램프바디(101)에 형성한 보정비드(107)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이 발생한다. 이 힘에 의하여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은 줄어들게 되어, 줄어드는 호스(108)의 직경에 맞게 보정된다.
이와 같이 호스(108)를 체결할 경우에는, 보정비드(107)가 반원형상에서 대략 평평한 형태로 펼쳐지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소성변형방지수단(110)에 의하여 보정비드(107)가 완전하게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어 보정비드(107)의 소성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고정핀(113)이 고정핀홀(115)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가이드핀(114)이 가이드홀(116)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력에 의하여 보정비드(107)가 펼쳐지게 되면 가이드홀(116)은 가이드핀(114)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핀(114)를 기준으로 도 1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핀(114)은 가이드홀(116) 내에서 C 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게 되어 보정비드(107)은 더 이상의 펼쳐질 수 없게 되어 결국에는 보정비드(107)의 변형 및 클램프바디(101)의 움직임이 정지된다.
이때, 가이드홀(116)의 길이(L)는 클램프바디(101)에 형성하는 전체 보정비드(107)가 소성변형되지 않는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보정비드(107)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호스(108)의 노화 등으로 인하여 직경이 줄어들 경우에는 보정비드(107)의 복원력에 의하여 클램프바디(101)의 직경이 줄어들며 호스(108)를 단속한다. 이 과정에서는 가이드홀(116) 내의 가이드핀(114)는 B지점에서 A지점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호스(108)의 직경 축소에 지장을 받지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지밴드(11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램프바디(101)에 형성되는 보정비드(107), 스크류홀(105)은 물론, 클램프바디(101)와 체결하우징(102)의 결합(고정)위치까지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고온 고압에 노출된 호스(108)라 하더라도 클램프바디(101)의 홈이나 틈 사이로 파고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호스용 클램프가 호스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보정비드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정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호스가 클램프바디의 홈이나 틈을 파고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체결하우징(102)는 클램프바디(101)에 결합되는 하부바디(102a)와, 하부바디(102a)에 결합되는 상부바디(102b)로 구성된다.
이때,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가 각각 형성된 후 상호 체결되어 체결하우징(10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사시도인 도 9와 측면도인 도 10에 도시된 바와 하부바디(102a)의 일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체결핀(102c)이 형성되고, 상부바디(102b)의 일측에는 체결핀(102c)이 삽입되는 체결홀(102d)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가 상호 체결되는 경우, 체결핀(102c)을 체결홀(102d)에 삽입시킨 후 절곡시겨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도 1,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102b)의 일측에는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가압편(102e)이 형성되어 체결하우징(102)을 관통한 클램프바디(101)의 일측을 가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압편(102e)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하우징(102)를 관통한 클램프바디(101)의 일측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체결스크류(104)가 클램프바디(101)의 스크류홀(105)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부바디(102b)의 일측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바디(102b)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강성리브(102f)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하우징(102)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로 형성되며,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 사이에 체결스크류(10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체결스크류(104)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하며 스크류홀(105)과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스크류(104)는 스크류홀(105)에 체결시 외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체결스크류(104)에 가해지는 외력은 체결하우징(102)에 전달되어 변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변형은 주로 클램프바디와 결합되지 않은 상부바디(102b)에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상부바디(102b)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리브(102f)를 형성하여 상부바디(102b)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바디(101)의 일단은 클램프바디(101)의 타단이 체결하우징(102)에 삽입되는 경우, 클램프바디(101)의 일단이 상기 스크류홀(105)에 삽입되지 않도록 양측(101a)이 중앙부(101b) 보다 돌출형성되어 호스의 체결시 클램프바디(101)의 단부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용 클램프의 체결하우징의 사시도 및 결합시의 작동도인 도 11 및 16을 참조하면 체결하우징(102)은 도 11(a),12(b),13(c)와 같이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가 분리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1(a)'.12(b)',13(c)'와 같이 하부바디(102a)의 일측이 상부바디(102b)와 연결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바디(102a)에는 다양한 형상의 체결핀(102c)가 형성되어 상부바디(102b)의 체결홀(102d)에 삽입되어 절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호스용 클램프 101; 클램프바디
104; 체결스크류 105; 스크류홀
107; 보정비드 110; 소성변형방지수단
111; 방지밴드 113; 고정핀
114; 가이드핀 115; 고정핀홀
116; 가이드홀

Claims (8)

  1. 복수 개의 스크류홀(105)이 관통형성되는 클램프바디(101)와;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타측이 삽입배치되는 체결하우징(102)과;
    상기 체결하우징(10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체결하우징(102)에 삽입된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스크류홀(105)에 결합되는 체결스크류(104)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일측에 호스(108)의 직경이 축소될 때 축소되는 만큼 탄성으로 호스를 단속하여 견고한 상태로 조여줄 수 있도록 보정수단(106)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정비드(107)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호스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보정비드(107)가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클램프바디(101)와 체결하우징(102) 사이 또는 스크류홀(105)로 호스(108)가 파고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성변형방지수단(11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성변형방지수단(110)은 상기 클램프바디(101)의 스크류홀(105)이나 체결하우징(102) 사이에 형성되는 홈 또는 보정비드(107)를 커버 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연접되는 원호형상의 방지밴드(111)와, 상기 방지밴드(111)상의 상기 보정비드(107)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핀(113)과 가이드핀(114)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바디에는 상기 고정핀(113)과 가이드핀(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핀(113)이 삽입되는 고정핀홀(115)과 상기 가이드핀(114)이 삽입되는 가이드홀(1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16)의 길이(L)는 클램프바디(101)가 호스(108)를 체결할 때클램프바디(101)에 형성되는 전체 수의 보정비드(107)가 소성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펼쳐졌을 때의 길이와 같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하우징(102)은
    상기 클램프바디(101)에 결합되는 하부바디(102a)와, 상기 하부바디(102a)에 결합되는 상부바디(102b)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형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가 상호 체결되는 경우,
    상기 하부바디(102a)의 일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체결핀(102c)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바디(102b)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핀(102c)이 삽입되는 체결홀(102d)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바디(102a)와 상부바디(102b)의 결합시 상기 체결핀(102c)이 상기 체결홀(102d)에 삽입되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02b)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하우징(102)을 관통한 클램프바디(101)의 일측을 가압시키는 가압편(102e)이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02b)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스크류(104)의 회전시 상기 상부바디(102b)의 변형을 방지하는 강성리브(102f)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용 클램프.
KR1020110064103A 2011-02-07 2011-06-29 호스용 클램프 KR101300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20174242 EP2541117B1 (en) 2011-06-29 2012-06-28 Hose clamp
JP2012147474A JP5558524B2 (ja) 2011-06-29 2012-06-29 ホース用クランプ
CN201210226287.0A CN102853170B (zh) 2011-06-29 2012-06-29 软管夹
US13/537,945 US8689407B2 (en) 2011-06-29 2012-06-29 Hose cl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765 2011-02-07
KR20110010765 2011-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738A KR20120090738A (ko) 2012-08-17
KR101300824B1 true KR101300824B1 (ko) 2013-08-29

Family

ID=4688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03A KR101300824B1 (ko) 2011-02-07 2011-06-29 호스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8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3062A (zh) * 2015-12-18 2016-03-23 郭文星 一种卡箍式管道修补器
KR102097823B1 (ko) 2019-08-07 2020-04-16 (주)넥스트아이엔시 물티슈 자동 계수 및 포장장치
KR102189304B1 (ko) * 2019-09-17 2020-12-09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648A (en) * 1980-03-31 1982-01-05 Murray Corporation Convoluted hose clamps
KR930001047Y1 (ko) * 1988-09-29 1993-03-08 가부시기가이샤 도욕스 호오스 체결장치
EP1373777B1 (de) * 2001-03-26 2006-03-08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chlauchklemme
KR20100096080A (ko) * 2007-11-09 2010-09-01 프로제랄 인더스트리아 드 아르테파토스 플라스티코스 엘티디에이. 호스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648A (en) * 1980-03-31 1982-01-05 Murray Corporation Convoluted hose clamps
KR930001047Y1 (ko) * 1988-09-29 1993-03-08 가부시기가이샤 도욕스 호오스 체결장치
EP1373777B1 (de) * 2001-03-26 2006-03-08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Schlauchklemme
KR20100096080A (ko) * 2007-11-09 2010-09-01 프로제랄 인더스트리아 드 아르테파토스 플라스티코스 엘티디에이. 호스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3062A (zh) * 2015-12-18 2016-03-23 郭文星 一种卡箍式管道修补器
KR102097823B1 (ko) 2019-08-07 2020-04-16 (주)넥스트아이엔시 물티슈 자동 계수 및 포장장치
KR102189304B1 (ko) * 2019-09-17 2020-12-09 유신정밀공업 주식회사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738A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2316B2 (ja) ホースクランプの保持構造
JP5558524B2 (ja) ホース用クランプ
KR101269686B1 (ko) 호스용 클램프
JPH11315981A (ja) クリップ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JP2007024237A (ja) ホースクランプの弾力構造
KR101224058B1 (ko) 호스용 클램프
KR200488992Y1 (ko) 이어 클램프 밴드
JP5159905B2 (ja) ホース用クランプ
JP4296882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2005090681A (ja) クリップ
KR101228096B1 (ko) 탄성체가 구비된 클램프
WO2019035257A1 (ja) クランプ
JP3709672B2 (ja) 集束ホース用ワンタッチ接続装置
JP2005188623A (ja) クリップ
KR101862031B1 (ko) 호스용 클램프
CN212564728U (zh) 软管夹
JP7444615B2 (ja) 接続用クランプ装置
KR20100005511U (ko) 고정구조를 개선한 이어클램프
WO2020031981A1 (ja) ホースクランプ
JP4871748B2 (ja) ホースクランプの保持構造
JPH109465A (ja) ホース締付装置
KR20140086720A (ko) 호스 클램프
JP2010266050A (ja) クランプ取付け構造
JP2006177456A (ja) 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