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342B1 - 조이기밴드 - Google Patents

조이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342B1
KR940009342B1 KR1019900018816A KR900018816A KR940009342B1 KR 940009342 B1 KR940009342 B1 KR 940009342B1 KR 1019900018816 A KR1019900018816 A KR 1019900018816A KR 900018816 A KR900018816 A KR 900018816A KR 940009342 B1 KR940009342 B1 KR 94000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ightening
portions
locking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104A (ko
Inventor
도시히데 히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미하마 세이사꾸쇼
하마 다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미하마 세이사꾸쇼, 하마 다히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미하마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1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5Hose-clips tightened by deforming radially extending loops or 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78Circumferentially swagged band cla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8Swedged to lock band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이기밴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조이기밴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이기밴드의 부분단면측면도.
제3도는 밴드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조이기밴드의 조이기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측면도.
제5a도∼c도는 밴드부재의 양끝의 접근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조이기밴드의 축경(縮經)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측면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측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조이기밴드의 걸어맞춤부를 도시한 확대단면설명도.
제9도는 오목부의 저면도.
제10도는 링부재의 타단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의 조이기밴드의 분해사시설명도.
제12도는 제11도의 조이기밴드의 축경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측면도.
제13도는 다른 실시예의 조이기밴드를 도시한 단면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조이기밴드의 조이기상태를 도시한 측면참고도.
제15도는 다른 실시예의 조이기밴드의 축경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조이기밴드의 주요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17도는 밴드부재의 선단을 도시한 사시도.
제18도 및 제19도는 각각 다른 실시예의 조이기밴드의 축경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측면도.
제20a도 및 b도는 걸림부의 부분사시도 및 단면도.
제21a도 및 b도는 걸림부의 부분사시도 및 단면도.
제22도는 걸림부의 단면 설명도.
제23도는 다른 실시예의 조이기밴드의 축경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측면도.
제24도는 종래의 조이기밴드의 조이기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50 : 조이기밴드 3,16 : 조이기러그
12,42,52,82 : 밴드부재
본 발명은 가스호오스, 자동차용 부우츠등의 접속부분인 피체결체를 조이기 할 수 있는 조이기밴드에 관한 것이다.
제24도는 종래의 조이기밴드의 조이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조이기밴드(1)는 파이프(9)에 고무관등의 피체결물(8)을 접속했을때에 사용하는 것이다.
띠형상부재(2)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양끝이 겹쳐져서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부(2a)에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문형(門形)의 조이기러그(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이기러그(3)는 소위 오에티커(Oetiker)의 러그라 칭하여진 공지의 축경수단이다.
또, 띠형상부재(2)의 타단부(2b)는 띠형상부재(2)를 피체결물(8)에 감압했을 때에 일단부(2a)의 내측으로 침입하여 겹쳐져 있다. 이 조이기밴드(1)는 조이기러그(3)를 찌그리므로써 띠형상부재(2)가 축경하여 피체결물(4)을 조이는 것이다.
또 띠형상부재(2)는 금속제이다.
그러나, 상기 조이기밴드(1)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조이기러그(3)를 플라이어 등으로 찌그려도 약간의 복귀, 소위 스프링 백이 일어나고 강한 조이기상태를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할 수가 없다. 이 스프링백은 금속재료가 구비되고 있는 탄성에 의한 것이고 이 성질을 제거할 수는 없다.
또, 조이기밴드는 고무등의 호오스를 조이는 것이고, 조이기후에 피체결물의 탄성에 의해 또는 피체결물내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조이기밴드에 대하여 확경(擴經)방향의 힘이 가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이완이 생겨 시일성의 저하가 생겨버린다. 이것은 조이기밴드의 조이기 상태의 유지를 조이기러그의 탄성변형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조이기러그를 가지면서 호오스등의 피체결물의 조이기를 보다 완전하게 행할 수 있는 조이기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금속제의 밴드부재를 양끝측이 소정범위에 걸쳐서 겹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겹쳐맞침부의 외측밴드부를 내측밴드부에 고정 또는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게 하고 겹쳐맞침부의 외측밴드부 중도부에 바깥쪽에 문형으로 절곡하는 조이기러그를 설치한 금속제의 조이기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겹쳐 맞침부에 있어서의 내측밴드부의 상기 조이기러그보다도 선단측의 부위와 이 부위에 대응하는 외측밴드부와의 부위간에 조이기러그를 찌그려서 링부위를 축경했을때에 겹쳐맞침부의 밴드부재의 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허용하지만 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거부하는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밴드부재의 겹쳐맞침부에 있어서의 내측밴드부의 조이기러그보다도 선단측의 부위와 이 부위에 대응하는 외측밴드부와의 부위의 한쪽에 걸림구멍을 다른쪽에 걸림클릭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링형상으로 형성한 밴드부재에 적어도 1개소에 링이 열리도록 걸거나 벗길때 걸림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링형상으로 형성한 밴드부재와, 이 밴드부재의 양단부 외주에 올라타서 장착되고, 양끝이 각각 대응하는 밴드부재의 외주상에 고정 또는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게 고정되고, 밴드부재의 일단측의 부위와의 겹쳐맞춤부상의 중도부의 바깥쪽으로 문형으로 절곡하는 조이기러그를 형성한 조이기부재를 가지는 금속재의 조이기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일단측에서 조이기러그보다도 선단측의 부위와 이 부위가 겹쳐 맞추는 조이기부재의 대응하는 부위간에 조이기러그를 찌그려서 밴드부재를 축경했을때에 이 겹쳐맞춤부의 밴드부재의 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허용하지만 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거부하는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조이기부재와 밴드부재의 겹쳐맞춤부의 한쪽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다른쪽의 형성된 걸림클릭으로 하여도 좋다. 또 밴드부재의 양선단 가장자리가 서로 끼워맞추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축경시에 끼워 맞추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조이기밴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제2도는 부분단면측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조이기밴드(10)는 밴드부재(12)와 조이기부재(1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밴드부재(12)는 장척인 금속제의 띠형상의 밴드를 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조이기부재(14)는 전체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중도부에 조이기러그(16)가 외주방향으로 문형으로 절곡되어서 돌출하고 있다.
밴드부재(12)의 일단부(12a)는 조이기부재(14)의 일단부(14a)에 스포트용접(11a)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14)는 조이기러그(16)를 중앙으로 하여 2개의 원호형상부(14a)와 원호형상부(14b)로 나누어져 있다.
밴드부재(12)는 전체가 링형상으로 둥글게 되서 이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는 조이기부재(14)의 내측으로 겹쳐져서 조이기부재(1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14a)까지 뻗어나와 있다.
조이기부재(14)의 다른쪽의 원호형상부(14b)의 내측에 위치하는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는 조이기부재(14)의 다른쪽의 원호형상부(14b)에 스포트용접(11b)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1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14a)의 내측에 위치하는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에는 걸림 클릭(18, 18)이 잘라 일어서지고 있다(제3도 참조).
조이기부재(14)의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서 밴드부재(12)를 축경했을때(제4도 참조 ; 이 제4도는 조이기러그(16)를 찌그린 상태이다)에, 조이기부재(1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14a)에 뚫어설치되어 있는 걸림구멍(20)에 상기 걸림클릭(18)이 걸어맞춤하는 위치계에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조이기밴드(10)는 조이기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의 조이기밴드(10)에 피체결물을 끼워 넣고 피체결물을 관체등에 접속한 후 이 접속부분에 조이기밴드(10)를 위치시켜서 축경한다. 조이기밴드(10)의 조이기전의 상태로는 걸림클릭(18, 18)이 걸림구멍(20, 20)에 걸어맞춤하고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조이기러그(16)를 찌그리면 밴드부재(12)의 일단부(12a)와 타단부(12b)의 각각의 선단이 접근하고 조이기밴드(10)가 축경한다. 그러면, 밴드부재의(12)의 타단부(12b)의 걸림클릭(18, 18)이 조이기부재(1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14a)의 걸림구멍(20)에 걸어맞추어서 축경상태가 유지된다. 또, 밴드부재(12)는 피체결물의 탄성력으로 확경되기 때문에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의 걸림클릭(18, 18)과, 조이기부재 (1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14a)의 걸림구멍(20)이 견고하게 걸어맞추어서 축경상태가 유지된다.
이때문에 조이기러그(16)를 찌그릴 때에 조이기밴드(10)의 축경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고, 스프링백에 의해 조이기밴드(10)가 확경되는 일없이 강한 조이기힘으로 조이기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밴드부재(12)가 접근하는 양끝은 조였을때에 축선방향의 간극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내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예컨대 제5a도 ~5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선(ℓ)방향으로의 간극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 이 예에서는 제5a도 및 제5b도로는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후퇴한 반원형상의 노치(13a)가 형성되고 타단은 노치(13a) 내측에 들어가는 것같이 폭이 좁은 설편(舌片 ; 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5c도는 양끝의 대향가장자리가 끝이 섬세하게 되도록 경사가장자리에 형성된 설편(13c, 13c)이고 축선(ℓ)방향에는 간극이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의 걸림클릭(18, 18)과 조이기부재(1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14a)의 걸림구멍(20, 20)이 걸어맞춤하는 걸림부(19)는 역의 관계라도 좋다. 또, 걸림클릭(18) 및 걸림구멍(20)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걸림클릭(18)은 코우킹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부(한쪽의 원호형상부(14a)와 밴드부재(12)의 일단부(12a)와의 연결) 및 고정부(다른쪽의 원호형상부(14b)와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와의 연결)는 스포트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10)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조이기부재(44)와 밴드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밴드부재(42)의 일단부(42a)는 조이기부재(4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에 스포트용접(41)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44)는 전체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이기러그(16)를 중앙으로 하여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와 다른쪽의 원호형상부(44b)로 나누어져 있다. 밴드부재(42)는 전체가 링형상으로 둥글게 되어 이 밴드부재(42)의 타단부(12b)는 조이기부재(44)의 내측으로 겹쳐져서 조이기부재(4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조이기부재(44)의 다른쪽의 원호형상부(44b)의 내측에 위치하는 밴드부재(42)의 타단부(42b)에는 조이기 부재(44)의 다른쪽의 원호형상부(44b)에 걸어맞춤하기 위한 걸림부(39)가 설치되어 있다. 밴드부재(42)의 타단부(42b)에는 3개의 걸어맞춤클릭(45a, 45b, 45c)이 외주방향으로 잘라 일어서져 있다. 또 조이기부재(44)의 다른쪽의 원호형상부(44b)에는 걸림클릭(45a, 45b, 45c)이 걸어맞춤하는 걸림구멍(46a, 46b, 46c)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조이기부재(4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의 내측에 위치하는 밴드부재(42)의 타단부(42b)에는 걸림클릭(48)이 잘라 일어서져 있다. 또 조이기부재(44)의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서 밴드부재(42)를 축경했을때에 조이기부재(4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에 뚫어 설치되어 있는 걸림구멍(49)에 상기 걸림클릭(48)이 걸어맞춤하는 위치관계에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10)는 축경전의 상태에서는 걸림클릭(45a, 45b, 45c)과 걸림구멍(46a, 46b, 46c)이 걸어맞춤한 상태이다. 여기에 대하여, 조이기부재(4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의 걸림구멍(49, 49)과 밴드부재(42)의 타단부(42b)의 걸림클릭(48, 48)이 걸어맞춤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조이기밴드(10)의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 축경하면, 조이기부재(4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의 걸림구멍(49, 49)과 밴드부재(42)의 타단부(42b)의 걸림클릭(48, 48)이 걸어맞춤하여 조이기상태를 유지한다.
또 이 실시예로는, 파이프등에 피체결물을 연결한 후에 조이기밴드(10)를 피체결물에 감기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걸림부(39)는, 조이기부재(4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44a)의 걸림구멍(49, 49)과, 밴드부재(42)의 타단부(42b)의 걸림클릭(48, 48)의 걸어맞춘 구조이다. 걸어맞춤부는 스포트용접(41)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고정부는 걸림클릭(45a, 45b, 45c)과 걸림구멍(46a, 46b, 46c)과의 걸어맞춤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7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10)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밴드부재(12)와 조이기부재(1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조이기부재(14)는 조이기러그(16)를 중앙으로 하여 2개의 원호형상부(14a, 14b)로 나누어져 있다.
밴드부재(12)는 전체가 링형상으로 둥글어져서 밴드부재(12)의 일단부(12a)는 조이기부재(1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14a)에 스포트용접(11a)되어 있다.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는 조이기부재(14)의 내측에 따라서, 원호형상부(14b)에서 원호형상부(14a)로 연출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14)의 원호형상부(14b)의 내측에 위치하는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는 조이기부재(14)의 원호형상부(14b)에 스포트용접(11b)되어 있다.
조이기부재(14)의 조이기러그(16)의 원호형상부(14a)측의 기부에 외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2)의 내저면에는 톱날형상의 요철(2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밴드부재(12)의 타단부(12b)에는 걸림클릭(24)이 기립하고, 오목부(22)내로 칩입하고, 요철(23)의 걸어맞춤하고 있다. 조이기러그(16)의 조이기(축경)전에는 걸림클릭(24)은 오목부(22)의 조이기러그(16)측에 위치하고 있다. 조이기러그(16)를 찌그러트리면(축경) 걸림클릭(24)이 요철(23)을 서서히 넘어서 축경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이기 위치에서 걸어맞춤상태가 유지된다.
이 실시예의 오목부(22)의 내저면의 요철(23)은 길이 (L)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조이기밴드(10)의 조이기 강도의 조절, 조이기밴드(10)의 정밀도의 편차, 또는 호오스등의 피체결물의 굵기의 편차등을 흡수할 수가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10)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밴드부재(12)와 조이기부재(1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조이기부재(14)는 조이기러그(16)를 중앙으로 하여 2개의 원호형상부(14a,14b)로 나누어져 있다.
밴드부재(12)는 일단부(12a)와 타단부(12b)가 접근한 상태로 전체가 링형상으로 둥글어져 있다. 밴드부재(12)의 일단부(12a)와 타단부(12b)의 각 선단이 원호형상부(14a)측으로 위치하도록 조이기부재(14)의 내측에 겹쳐져 있다. 그리고, 조이기부재(14)의 원호형상부(14a, 14b)의 선단이 밴드부재(12)에 스포트용접(11a, 11b)되지만 이 위치결정을 하기 위해 조이기부재(14)의 원호형상부(14a, 14b)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5a, 25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14)의 조이기러그(16)의 기부의 원호형상부(14a)측에는 2개의 걸림클릭(26a, 26b)이 원호형상부(14b)측에는 1개의 걸림클릭(26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밴드부재(12)에는, 조이기부재(14)의 볼록부(25a, 25b)가 끼워맞춤구멍(27a, 27b)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서 조이기밴드(10)를 축경했을때에 조이기부재(14)의 걸림클릭(26a, 26a, 26b)이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멍(28a, 28a, 28b)이 링부재(12)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조이기밴브(10)가 축경전의 상태로는 걸림클릭(26a, 26a, 26b)은 걸어맞춤구멍(28a, 28a, 28b)에 걸림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조이기밴드(10)의 조이기러그(16)를 찌그리면 링부재(12)가 축경됨과 동시에 조이기밴드(14)의 원호형상부(14a, 14b)도 접근하는 걸림클릭(26a, 26a, 26b)은 걸어맞춤구멍(28a, 28a, 28b)에 걸림하여 축경상태가 유지된다.
또, 상기 걸림클릭(26a, 26a, 26b) 및 볼록부(25a, 25b)는 드로잉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3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10)는 상기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밴드부재(12)와 조이기부재(1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밴드부재(12)의 일단부(12a)와 타단부(12b)의 각 선단이 원호형상부(14a)측에 위치하도록 조이기부재(14)의 내측에 겹쳐져 있다. 그리고 조이기부재(14)의 원호형상부(14a, 14b)의 선단이 밴드부재(12)에 스포트용접(11a, 11b)되지만, 위치결정을 하기 위해 조이기부재(14)의 원호형상부(14a)의 내측에 돌출하는 블록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14)의 조이기러그(16)의 기부의 원호형상부(14a)측에는 걸림구멍(31a)과 걸림클릭(3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14)의 원호형상부(14b)측에도 걸림구멍(3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밴드부재(12)에는, 조이기부재(14)의 블록부(30)가 끼워맞춤하는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 조이기밴드(10)를 축경했을때에 조이기부재(14)의 걸림클릭(32)이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멍(34)은 클릭편(35a)을 잘라 일으켜서 형성한 것이다. 클릭편(35b)은 조이기밴드(10)가 축경상태일 때에, 걸림구멍(31a)에 걸어맞춤한다. 또, 똑같이 형성된 클릭편(35b)은 비축경상태 때에 걸림구멍(31b)에 걸어맞춤되고 있고 스포트용접(11b) 때의 위치결정의 역할도 있다. 또, 조이기러그(16)를 벤치형상의 공구(36)에 의해 찌그릴때에 조이기러그(16)가 부상하는 상태로 되고(제14도 참조), 그후에 다시 조이기하면 링부재(12)에 밀착상태로 된다(제13도 참조).
제15도는 다른 실시예의 조이기밴드의 부분단면측면도이다. 또, 제16도는 제15도중의 환(丸 ; A)에 둘러싸인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50)는 1매의 밴드부재(52)로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재(5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밴드부(52a)가 외측밴드부(52b)의 내측을 따라서 뻗어나와 겹쳐 맞추어져 있다.
밴드부재(52)의 링형상으로 형성한 외측밴드부(52b)의 거의 중앙에 외주방향에 문형으로 절곡된 조이기러그(16)가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재(52)의 조이기러그(16)에서 내측밴드부(52a)의 선단측에는 걸어맞춤구멍(56…)이 형성되고 이들 걸어맞춤구멍(56)에 걸어맞춤하는 걸림클릭(58)이 밴드부재(52)의 내측밴드부(52a)의 외주면을 따라서 3개 형성되고 걸림부(19)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밴드부재(52)의 외측밴드부(52b)는 멈춤쇠(60)에 의해 선단부의 부상이 방지되고 있다. 이 멈춤쇠(60)는 전체가 측면 ㄷ자상으로 형성되고 멈춤쇠(60)의 기립편(60a, 60a)이 외주방향으로 뻗어나와 있다. 이 기립편(60a, 60a)은 밴드부재(52)의 외측밴드부(52b)를 겹친 후에 절곡하여 외측밴드부(52b)를 안내한다.
밴드부재(52)의 외측밴드부(52b)의 선단은 폭이 좁은 걸어맞춤편(62)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편(62)은 계단형상으로 절곡되고 밴드부재(52)의 대응하는 위치에 뚫어설치된 투공(64)에 침입하고 밴드부재(52)의 내측면을 따라서 뻗어나와 있다. 걸어맞춤편(62)은 밴드부재(52)의 외측밴드부(52b)의 부상방지를 하고 있다.
또, 밴드부재(52)의 외측밴드부(52b)에는 멈춤쇠(60)에서 앞쪽으로 걸림돌기(66)가 잘라 일어서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10)는 축경전의 상태로는 멈춤쇠(60)에 걸림돌기(66)가 걸려 있음과 동시에 투공(64)에 걸어맞춤편(62)이 침입하여 고정되어 있다.
한편, 걸림클릭(58…)은, 걸어맞춤구멍(56…)에 걸어맞춤하지 않은 상태이고 조이기밴드(10)를 축경했을때에 걸어맞춤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조이기밴드(10)는 피체결물에 장착하여 조이기러그(16)를 찌그림으로써 축경하여 조인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걸어맞춤편(62)을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ㄷ자상으로 되접는 것처럼 형성하여도 좋다. 또, 걸어맞춤편(62)의 내측에 침입한 선단을 얇게 형성하여 단차가 될 수 없도록 하여도 좋다.
제18도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밴드부재(52)의 외측밴드부(52b)에 투공(68)을 설치하고 이 투공(68)에 걸어맞춤하는 걸어 맞춤돌기(70)가 외측밴드부(52b)의 밴드부재(52)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밴드부(52a)의 대응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기타의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고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9도는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밴드부재(52)의 외측밴드부(52b) 선단을 밴드부재(52)의 외주면에 스포트용접(70a)에 의해 고정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구조가 간편하다.
제20도 및 제21도는 밴드부재(52)의 축경때의 걸어맞춤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20a, 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밴드부(52b)의 조이기러그(16)의 기부에 직사각형의 투공(72)이 뚫어 설치되고 내측밴드부(52a)에는 밴드부재(52)가 축경했을때에 걸어맞춤하는 기립편(74, 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립편(74, 74)은 내측밴드부(52a)에 둘레방향의 절단면을 넣고 중앙에서 표면방향으로 열도록 일으켜서 형성한 것이다.
기립편(74, 74)이 외측밴드부(52b)의 투공(72)에 걸어맞춤한 상태로 더욱 기립편(74, 74)을 바깥방향으로 쓰러지게 함으로써 외측밴드부(52b)의 걸어맞춤상태의 유지 및 부상의 방지를 할 수가 있다(제21b도 참조).
제21a, b도는 제20도의 예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기립편(74)으로 대체하여 내측밴드부(52a)의 측연부의 일부를 표면방향으로 잘라 일으켜서 형성한 기립편(75)이다.
또, 기립편(75, 75)이 걸어맞춤하기 위해 외측밴드부(52b)의 대응하는 측연부에는 노치(76, 76)가 형성되어 있다.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서 조이기밴드(10)를 축경하면 외측밴드부(52b)의 노치(76, 76)에 내측밴드부(52a)의 기립편(75, 75)이 걸어맞춤한다. 이 상태에서 기립편(75, 75)을 내측으로 쓰러지게 함으로써(제21b도 참조) 외측밴드부(52b)의 걸어맞춤상태의 유지 및 부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22도는 걸어맞춤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내측밴드부(52a)에 표면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77)가 걸어맞춤하는 오목부(78)가 외측밴드부(52b)의 내측면에 외측면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오목부(78)가 외측밴드부(52b)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서 조이기밴드(10)를 축경하면 외측밴드부(52b)의 오목부(78)에 블록부(77)가 순차 걸어맞춤하고 적당한 조이기강도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이기 힘의 조절이 가능하다.
제23도는 또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조이기밴드(10)는 밴드부재(82)와 조이기러그(16)를 가지는 조이기부재(84)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밴드부재(82)의 양끝은 겹쳐지고 외측부(82a)는 조이기부재(8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84a)의 내측면에 스포트용접(81a)되어 있다. 또, 조이기부재(84)의 다른쪽의 원호형상부(84b)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밴드부재(82)의 부위가 스포트용접(81b)되어 있다.
또, 밴드부재(82)의 겹쳐맞춘 부분과, 조이기부재(8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가 겹쳐져 있는 부분에 밴드부재(82)의 내측부(82b)에 고정된 링형상의 멈춤쇠(8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이기밴드(10)의 조이기러그(16)를 찌그리면, 축경하여 밴드부재(82) 내측부(82b)의 선단이 앞쪽으로 전진한다. 그리고, 멈춤쇠(86)가 조이기부재(8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84a)의 선단을 넘은 위치로 이동했을때에 멈춤쇠(86)를 헤머등으로 찌그러뜨린다. 그러면 멈춤쇠(86)가 조이기부재(84)의 한쪽의 원호형상부(84a)의 선단에 걸어맞추어서 확경이 되지 않는다.
상기 각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가지 설명하였으나 조이기부재와 밴드부재를 걸어맞춤부를 통하여 별체로 하여도 또는 일체로 하여도 같은 구성이다.
이상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예를 들어서 여러가지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말할필요도 없고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조이기밴드는 조이기러그를 찌그려서 축경한 후 축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이기러그의 스프링백등의 이완을 일으키는 일이 없다. 또, 피체결물의 조이기후의 피체결물의 탄성에 의해 또는 관내를 유통하는 유체의 압력등에 의해 확경되는 염려도 없다.
또, 밴드부재의 적어도 1개소를 열도록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게 함으로써 피체결물을 파이프등에 연결한 후에 조이기밴드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금속제의 밴드부재(12, 42, 52, 82)를 양끝측이 소정범위에 걸쳐서 겹쳐지도록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겹쳐맞춤부의 외측밴드부(14b, 44b, 52b, 84b)를 내측밴드부(12b, 42b, 52a, 82b)에 고정 또는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게 하고, 겹쳐맞춤부의 외측밴드부(14b, 44b, 52b, 84b) 중도부에 바깥쪽으로 문형으로 절곡하는 조이기러그(16)를 설치한 금속제의 조이기밴드(10)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12, 42, 52, 82)의 겹쳐맞춤부에 있어서의 내측밴드부(12b, 42b, 52a, 82b)의 상기 조이기러그(16)보다도 선단측의 부위(12b, 42b, 52b, 82b)와 이 부위에 대응하는 외측밴드부와의 부위(14b, 44b, 52b, 84b)간에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서 링부위를 축경했을때에 겹쳐맞춤부의 밴드부재(12, 42, 52, 82)의 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허용하지만 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거부하는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기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부는 밴드부재(12, 42, 52, 82)의 겹쳐맞춤부에 있어서는 내측밴드부의 조이기러그(16)보다도 선단측의 부위(12b, 42b, 52a, 82b)와 이 부위에 대응하는 외측밴드부와의 부위(14b, 44b, 52b, 84b)의 한쪽에 걸림구멍(20, 23, 28a, 31a, 32, 49, 56)을, 다른쪽에 걸림클릭(18, 24, 26a, 34, 35a, 48, 5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기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링형상으로 형성한 밴드부재의 적어도 1개소에 링이 열리도록 걸거나 벗길때 걸어맞춤부(45a, 45b, 45c, 46a, 46b, 46c, 60, 66, 68, 7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기밴드.
  4. 링형상으로 형성한 밴드부재(12, 42)와, 이 밴드부재(12, 42)의 양단부 외주에 올라타서 장착되어 양끝이 각각 대응하는 밴드부재(12, 42)의 외주상에 고정 또는 걸거나 벗기기 자유롭게 고정되고 밴드부재(12, 42)의 일단측의 부위와의 겹쳐맞춤부상의 중도부에 바깥쪽으로 문형으로 절곡하는 조이기러그(16)를 형성한 조이기부재(14)를 가지는 금속제의 조이기밴드(50)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12, 42)의 일단측으로 조이기러그(16)보다도 선단측의 부위(14a, 44a)와 이 부위와 겹쳐 맞추는 조이기부재(14)의 대응하는 부위(12b, 42b)간에 조이기러그(16)를 찌그려서 밴드부재(12, 42)를 축경했을때에 이 겹쳐맞춤부의 밴드부재의 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허용하지만 확경방향으로의 어긋남을 거부하는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기 밴드.
  5. 제4항에 있어서, 걸림부가 조이기부재(14)와 밴드부재(12, 42)의 겹쳐맞춤부의 한쪽으로 형성된 걸림구멍(20, 4a)과 다른쪽에 형성된 걸림클릭(18, 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기밴드.
  6. 제4항에 있어서, 밴드부재(12, 42)의 양선단 가장자리(13a, 13b)가 서로 끼워맞춘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경시에 끼워맞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기밴드.
KR1019900018816A 1989-11-20 1990-11-20 조이기밴드 KR940009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1442 1989-11-20
JP1301442A JPH0776596B2 (ja) 1989-11-20 1989-11-20 締付けバン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104A KR910010104A (ko) 1991-06-28
KR940009342B1 true KR940009342B1 (ko) 1994-10-07

Family

ID=1789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816A KR940009342B1 (ko) 1989-11-20 1990-11-20 조이기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70579A (ko)
EP (1) EP0429274B1 (ko)
JP (1) JPH0776596B2 (ko)
KR (1) KR940009342B1 (ko)
AU (1) AU638073B2 (ko)
CA (1) CA2030230C (ko)
DE (1) DE69027183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124B1 (ko) * 2011-01-31 2014-03-06 주식회사 만도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101450318B1 (ko) * 2011-04-20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892U (ja) * 1991-07-25 1993-02-12 株式会社ミハマ製作所 締付けバンド
JP2602582Y2 (ja) * 1993-10-13 2000-01-17 株式会社キャットアイ 自転車用取付部品
CA2169698C (en) 1995-11-01 2001-03-13 Taira Hama Clamping band
US6247206B1 (en) * 1999-04-07 2001-06-19 Paul M. Craig, Jr. Tightening means for hose clamps
DE10334914A1 (de) * 2003-07-29 2005-02-17 Mugler Ag Befestigungs- und Spannvorrichtung
JP5405102B2 (ja) * 2008-12-27 2014-02-05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SE533892C2 (sv) 2009-05-11 2011-02-22 Millipore Ab Förslutningsdon, sats och förfarande för förslutning av ihåliga slangar av flexibelt material
AU2011379630B2 (en) * 2011-10-28 2016-06-16 Oetiker Schweiz Ag Hose clamp
BR102012024461B1 (pt) * 2012-09-26 2021-04-20 Tigre S.A. Participações abraçadeira para fixação de tubos
US10072781B2 (en) 2014-03-21 2018-09-11 Todd G. Cimino Crimpable separable tubing clamp
CN108061206B (zh) * 2017-12-20 2019-05-21 乐清市东博机电有限公司 定位防错卡箍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42902A (de) * 1965-06-03 1967-08-31 Oetiker Hans Klemmbride zum Festklemmen eines Schlauches auf einer Nippel
CH437926A (de) * 1964-11-24 1967-06-15 Oetiker Han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pannringes oder Spanngliedes
BE791521A (fr) * 1971-11-19 1973-03-16 Oetiker Hans Organe protecteur pour colliers de serrage de tuyaux souples
CH580779A5 (en) * 1974-07-15 1976-10-15 Oetiker Hans Clamping band for hose - has meshing teeth on overlapping ends with lug for pliers grip
DE2511575A1 (de) * 1975-03-17 1976-09-23 Wolfgang Henning Einteilige klemmbride
CH589817A5 (ko) * 1975-03-19 1977-07-15 Oetiker Hans
US4222155A (en) * 1978-11-01 1980-09-16 Hans Oetiker Hose clamp
US4299012A (en) * 1979-05-08 1981-11-10 Hans Oetiker Hose clamp
JPS586109A (ja) * 1981-07-03 1983-01-13 Mitsubishi Electric Corp 静止電磁機器の鉄心
US4622720A (en) * 1982-12-03 1986-11-18 Hans Oetiker Fastening arrangement for open hose clamp
US4724583A (en) * 1985-05-23 1988-02-16 Nhk Spring Co., Ltd. Hose band
FR2596468B1 (fr) * 1986-03-27 1988-07-15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4991266A (en) * 1986-12-17 1991-02-12 Hans Oetiker Ag Maschinen- Und Apparatefabrik Mechanical interlock for open clamp structures
JPH01158889U (ko) * 1988-04-25 1989-11-02
JPH0516480Y2 (ko) * 1988-04-28 1993-04-30
DE3818954C1 (en) * 1988-06-03 1989-12-14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Hose clam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124B1 (ko) * 2011-01-31 2014-03-06 주식회사 만도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101450318B1 (ko) * 2011-04-20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클립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9274A3 (en) 1991-09-04
US5070579A (en) 1991-12-10
JPH0776596B2 (ja) 1995-08-16
DE69027183T2 (de) 1996-10-31
AU6674490A (en) 1991-05-23
JPH03163294A (ja) 1991-07-15
CA2030230C (en) 1994-02-22
DE69027183D1 (de) 1996-07-04
EP0429274A2 (en) 1991-05-29
CA2030230A1 (en) 1991-05-21
KR910010104A (ko) 1991-06-28
EP0429274B1 (en) 1996-05-29
AU638073B2 (en) 199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342B1 (ko) 조이기밴드
US5195788A (en) Insert member for use with hose clamp arrangements
US5813705A (en) Snap-action pipe coupling retainer
US5897145A (en) Connector
JP2672286B2 (ja) 管継手
EP1797363B1 (en) Pipe lap joint with improved sealing slot for increased circumferential closure
JPS59137610A (ja) 耳なしクランプ構造体
IE57132B1 (en) Sealing washers
SK283498B6 (sk) Rúrková objímka
US10962156B2 (en) Hose clamp
CA2357822C (en) Band for a hose clamp
US5581851A (en) Draw operating type clamping device
US5251360A (en) Seal retaining clamping apparatus
EP0621431A1 (en) Clamping device
JPH06507465A (ja) ホースクリップ
JP3316122B2 (ja) フランジ付パイプ及びフランジ付パイプの成形方法
KR930001169B1 (ko) 조여붙이기 밴드
US20040134041A1 (en)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US20060117534A1 (en) Open hose clamp with plastically deformable ear
JPH11230448A (ja) クリップ
JPH08232919A (ja) 締付けバンド
JP2006242349A (ja) 管継手
JP2015190586A (ja) ホースコネクタ及びホースコネクタを一体的に備えた自動車部品
JP2000018460A (ja) ブーツバンド
JP3441137B2 (ja) 締付け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