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523B1 - α-리포산 나노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α-리포산 나노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523B1
KR101441523B1 KR1020107015636A KR20107015636A KR101441523B1 KR 101441523 B1 KR101441523 B1 KR 101441523B1 KR 1020107015636 A KR1020107015636 A KR 1020107015636A KR 20107015636 A KR20107015636 A KR 20107015636A KR 101441523 B1 KR101441523 B1 KR 101441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ic acid
nanoparticles
added
acid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660A (ko
Inventor
카즈히사 스기모토
히로미 니시우라
요코 야마구치
케이이치 히라타
요시키 쿠보타
Original Assignee
에자끼구리고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나노에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자끼구리고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나노에그 filed Critical 에자끼구리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1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two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39/02Five-membered rings
    • C07D339/04Five-membered ring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2, e.g. lip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한 α-리포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금속염을 첨가하는 단계, 여기서 2가 금속염은 2가 금속 할로겐화물, 2가 금속 아세트산염 또는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이며; 그리고 2가 금속염이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첨가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α-리포산 나노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α-LIPOIC ACID NANOPARTICLE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α-리포산을 포함하는 나노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α-리포산은 신체에 포함되어 있고 해당 과정과 TAC 사이클을 통한 사이클링에 작용하는 보조효소의 한 종류이고 구조식 C8H14O2S2, 분자량 206.3 및 용융점 60 내지 62℃를 가진 노란색 결정 형태의 물질이다. α-리포산은 인체에 존재하며, 브로콜리와 붉은 고기와 같은 많은 식품에 포함된다. 따라서, α-리포산은 매우 안정한 물질이라 할 수 있다. 기능면에서, α-리포산은 생체에서 강한 항산화 능력을 가져 산화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중금속들의 배출에 효과적인 킬레이트화제로 인식된다. α-리포산은 "치옥트산"로 의약품으로 일반적으로 제제화되고 치옥트산 제제들은 주로 주사제로 판매된다. 치옥트산 제제들의 효능과 효과로서, 치옥트산의 수요 증가에 대한 보충(격렬한 신체 노동의 시간), 리씨 증후군(아급성 뇌사성 뇌척수염) 및 독성(스트렙토마이신 또는 카나마이신 때문) 및 소음-유도(직업상) 속귀 청력 손상은 Drugs in Japan, Ethical Drugs(비 특허 문헌 1)에 기술된다.
α-리포산은 최근의 규제 완화 때문에 식품들과 화장품들에 사용하기 위한 허가를 받았고, 따라서, 이런 분야들에서 이의 다른 용도도 예상된다.
α-리포산은 노란색 분말의 형태이나,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이의 용도는 제한적이다. 게다가, α-리포산은 열과 빛에 매우 불안정하고 제제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기 어렵다. 게다가, 특징적인 유황 냄새를 가지며, 이 냄새는 α-리포산이 분해될 때 더 강해지며 열에 의해 점착성을 띄는 것이 α-리포산의 문제이다. 따라서, α-리포산이 식품, 화장품 및 약품에 사용되는 경우, 제품 품질과 사용 후 느낌의 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
상기한 대로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1은 α-리포산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아황산염 또는 수화물을 함유하는 수용성 제제를 제안한다.
특허 문헌 2는 에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에 α-리포산을 용해하고, 뒤이어 유화제와 다가 알콜을 첨가하여 유화 장치 등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 α-리포산을 유화된 상태로 만듦으로써 수용성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게다가, 특허 문헌 3과 특허 문헌 4는 수용성 α-리포산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이 방법은 물에서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에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 유화제 또는 다가 알콜을 α-리포산과 혼합하여 유화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이런 특헌 문헌들에 개시된 유화된 상태로 만드는 방법들은 유화 장치로 불리는 특별한 기구를 필요로 하며, 유화 액체의 입자 크기가 크고, 입자 지름의 크기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유화된 상태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게다가, 다른 방법들에서, 유화에 의한 α-리포산의 분산은 불완전하기 때문에, α-리포산의 특징인 유황 냄새는 저장하는 동안 더 강하게 발생한다.
한편, 레티노산으로부터 나노입자 형성에 관한 문헌들이 있다. 특헌 문헌 5 내지 8은 다가 금속 무기 염-코팅 레티노산 나노입자들을 개시한다.
그러나, 레티노산은 α-리포산과 구조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쉽게 인식할 수 없고 α-리포산이 특허 문헌 5 내지 8의 레티노산 대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
더욱 상세한 설명이 이와 관련하여 제공될 것이다. 먼저, 아래에 도시된 구조들로부터 볼 수 있듯이, α-리포산과 레티노산은 이들이 모두 하나의 카복실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완전히 다른 구조들을 가진다. 게다가, α-리포산은 분자에 황 원자들을 포함하며 어떠한 이중 결합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레티노산과 완전히 다르다. 위에서 논의한 관점들로부터, 특허 문헌 5 내지 8에 기술된 방법들에서 레티노산 대신에 α-리포산을 사용하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없을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45546256-pct00001
α-리포산 레티노산
둘째로, 레티노산은 세포들의 성장과 분화, 생체의 항상성의 유지, 형태 형성과 관련 있는 생체에 있는 인비보 호르몬에서 중요하다고 불리며 핵내 레티노산 수용체들에 대한 결합에 의한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 제어는 작용의 메커니즘으로 제안된다. 반면에, 해당과정의 보조 효소로서, α-리포산은 피루브산으로부터 아세틸 CoA로 산화성 탈탄산 반응을 촉매화하며 따라서 세포 호흡과 에너지 생산을 위한 필수 영양소로 불린다. 게다가, α-리포산의 주지된 기능으로서, 항산화 작용이 공지되어 있다. 위에서 논의한 관점들로부터, 레티노산과 α-리포산은 생체에서 기능들과 예측된 약리학적 효과들의 면에서 완전히 다르며, 따라서, 이의 산업적 용도를 생각할 때 요구되는 효과들의 관점들로부터, 특허 문헌 5 내지 8에 기술된 방법들에서 레티노산을 위한 대체물로서 α-리포산을 사용하는 것은 쉽게 인식되지 않을 것이다.
셋째로, 비 특허 문헌 2의 140p에 레티노산의 pKa 값은 6.4로 보고되고 레티노산이 미셀을 형성함에 따라 pKa가 7 내지 8로 증가한다는 것을 411p의 논의 부분에 기술된다. 반면에, 비 특허 문헌 3은 α-리포산의 pKa 값은 4.76으로 기술한다. 상기한 논점들로부터, α-리포산과 레티노산은 분열에 관련된 특성들에서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특허 문헌 5 내지 8에 기술된 방법들에서 레티노산을 위한 대체물로서 α-리포산을 사용하는 것은 쉽게 인식되지 않을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평 특허공개공보 제 2005-2096
특허문헌 2: 일본특개평 특허공개공보 제 2006-129841
특허문헌 3: 일본특개평 특허공개공보 제 2006-257010
특허문헌 4: 일본특개평 특허공개공보 제 2007-16000
특허문헌 5: 일본특개평 특허공개공보 제 2004-161739
특허문헌 6: 국제공개공보 제 2005/037267 팸플릿
특허문헌 7: 국제공개공보 제 2005/037268 팸플릿
특허문헌 8: 국제공개공보 제 2005/070413 팸플릿
비 특허문헌 1: Drugs in Japan, Ethical Drugs, Edition of 2007, Jiho, Inc., p. 1327 (2006)
비 특허문헌 2: Robbert Creton, et al., Int. J. Dev. Biol., 39:409-414 (1995)
비 특허문헌 3: Lester J. Reed, et al.,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Vol. 75:1267 (195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한 α-리포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구들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2가 금속 이온, 및 탄산 이온 또는 인산염 이온이 특정 순서로 사용될 때, 안정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런 발견을 기초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α-리포산의 양친성을 사용한다. α-리포산은 산성 조건 또는 중성 조건하에서 물에 거의 용해하지 않으나, 알칼리가 첨가되는 경우, 혼합물은 투명 액체가 된다. 알칼리 용액 속 α-리포산은 물속에서 구형 미셀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뒤이어 α-리포산에 첨가되는 경우, α-리포산의 혼합된 미셀들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형성된다. 게다가, 2가 금속 양이온들이 2가 금속의 할로겐화물, 아세트산염 또는 글루코산염을 혼합된 미셀들에 첨가함으로써 리포산 이온들의 음 전하들에 결합될 때, 2가 금속 이온들이 리포산의 표면에 결합되는 α-리포산, 구형- 또는 타원형-모양 미세들의 응집과 침전을 막는 것이 일어난다고 생각된다. 게다가, 2가 음이온들이 이에 첨가되고 2가 음이온들은 미셀 표면에서 금속 이온들에 흡착(결합)되어서, 미셀 표면에서 전하를 중화한다. 그 결과, 다가 금속 무기 염의 코팅은 미셀 표면에 형성되고, 다가 금속 무기 염이 코팅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이 제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나노입자들의 이런 생산 방법은 주형으로서 α-리포산 미셀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캡슐화 비율은 단분산성 α-리포산 분자들을 제외한 농도에 해당하며 따라서 100%에 근접한다고 생각된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기는 대상 나노입자들의 표면에서 노출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들은 물에 투명하게 분산된다. 또한, 비록 CaCO3와 같은 다가 금속 무기염이 물에 용해되지 않더라도, 결정들은 나노입자 표면에서 바테라이트 또는 비결정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생각되어, 생체에서 천천히 용해되어서 α-리포산의 지연 방출의 DDS 효과가 예상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α-리포산은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특정 형태로 용해되고 이 용해된 생성물을 물속에 분산시킴으로써,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된 미셀들이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α-리포산-용해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이런 혼합된 미셀들에 2가 금속의 할로겐화물, 아세트산염 또는 글루콘산염을 첨가함으로써, 2가 금속 양이온이 α-리포산 이온의 음 전하에 결합된다. 이 동안, 계면활성제의 존재가 α-리포산의 응집과 침전을 막으며 이를 통해, 리포산의 표면에 결합된 2가 금속 이온을 가진 구형- 또는 타원형-모양 미셀들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2가 음이온(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은 이런 미셀들에 추가로 첨가되고, 2가 음이온은 미셀 표면에서 금속 이온에 흡착(결합)되어서 미셀 표면의 전하를 중화한다. 따라서, 그 결과, 다가 금속 무기 염의 코팅은 미셀 표면에 형성되고, 다가 금속 무기 염-코팅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이 제조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한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다음 수단들을 제공한다:
(항목 1)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금속염을 첨가하는 단계, 여기서 2가 금속염은 2가 금속 할로겐화물, 2가 금속 아세트산염 또는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이며; 그리고
2가 금속염이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첨가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
(항목 2) 제 1 항목에 있어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얻기 위해 액체 형태인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α-리포산을 용해하는 단계; 및 수성 분산액을 얻기 위해 계면활성제 용액에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3) 제 1 항목에 있어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 α-리포산, 알칼리성 물질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 속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항목 4) 제 1 항목 내지 제 3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브롬화칼슘, 불화칼슘, 요오드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브롬화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염화아연, 브롬화아연, 불화아연, 요오드화아연, 아세트산칼슘,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아연, 글루콘산칼슘, 글루콘산마그네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5) 제 1 항목 내지 제 4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6) 제 1 항목 내지 제 5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인산나트륨 및 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7) 제 1 항목 내지 제 6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은 탄산나트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8) 제 1 항목 내지 제 7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9) 제 8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10 이상인 방법.
(항목 10) 제 1 항목 내지 제 9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옥틸 도데실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폴리옥시프로필렌(4 내지 8의 중합도) 세틸 에터, 폴리옥시에틸렌(20 내지 100의 중합도) 수소화 캐스터 오일 및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11) 제 2 항목 내지 제 4 항목 내지 제 10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α-리포산을 용해하기 전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속에 혼합되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물이 계면활성제 용액에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물을 함유하는 액체로 사용되는 방법.
(항목 12) α-리포산,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2가 금속 이온 및 탄산염 이온 또는 인산염 이온을 포함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항목 13) 제 12 항목에 있어서, 2가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아연 이온 또는 마그네슘 이온인 α-리포산 나노입자들.
(항목 14) 제 12 항목 또는 제 13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항목 15) 제 12 항목 내지 제 14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항목 16) 제 12 항목 내지 제 15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항목 17) 제 12 항목 내지 제 15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약품.
(항목 18) 제 12 항목 내지 제 15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
(항목 19) 제 12 항목 내지 제 15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식품.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다음 수단을 제공한다:
(항목 A1)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 α-리포산, 알칼리성 물질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수성 분산액 속에 첨가하는 단계;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금속염을 첨가하는 단계, 여기서 2가 금속염은 2가 금속 할로겐화물, 2가 금속 아세트산염 또는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이며; 그리고
2가 금속염이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첨가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
(항목 A2) 제 A1 항목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브롬화칼슘, 불화칼슘, 요오드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브롬화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염화아연, 브롬화아연, 불화아연, 요오드화아연 아세트산칼슘,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아연, 글루콘산칼슘, 글루콘산마그네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A3) 제 A1 항목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A4) 제 A1 항목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인산나트륨 및 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A5) 제 A1 항목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은 탄산나트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A6) 제 A1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A7) 제 A1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10 이상인 방법.
(항목 A8) 제 A1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옥틸 도데실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폴리옥시프로필렌(4 내지 8의 중합도) 세틸 에터, 폴리옥시에틸렌(20 내지 100의 중합도) 수소화 캐스터 오일 및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항목 A9) α-리포산,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2가 금속 이온 및 탄산염 이온 또는 인산염 이온을 포함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항목 A10) 제 A9 항목에 있어서, 2가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아연 이온 또는 마그네슘 이온인 α-리포산 나노입자들.
(항목 A11) 제 A9 항목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항목 A12) 제 A9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항목 A13) 제 A9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약품.
(항목 A14) 제 A9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
(항목 A15) 제 A9 항목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식품.
본 발명의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은 주형으로서 α-리포산 미셀들을 사용하여 캡슐화 비율은 단분산성 α-리포산 분자들을 제외한 농도에 해당하며 따라서 100%에 근접한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친수성 기는 대상 나노입자들의 표면에서 노출되어 나노입자들은 물에 투명하게 분산된다. 게다가, 나노입자들의 표면에서, 다가 금속 무기염은 바테라이트 또는 비결정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생각되어, 생체에서 천천히 용해되어서 α-리포산의 지연 방출의 DDS 효과가 예상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나노입자들은 표면에서 다가 금속 무기염으로 코팅되기 때문에, α-리포산에 특징적인 유황 냄새의 발생은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광 산란 광도계(오츠카 일렉트로닉스사, ELS-710TY)를 사용하여 측정한 대로, 실시예 1에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 분포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2는 광 산란 광도계(오츠카 일렉트로닉스사, ELS-710TY)를 사용하여 측정한 대로, 실시예 1A에서 이온-교환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 분포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3은 α-리포산의 잔류물 비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기호 △는 대조군인 시약 α-리포산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며, 기호 ■는 비교예 1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 대한 결과들을 나타내며, 기호 □는 실시예 1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에 대한 결과들을 나타낸다.
도 4는 검사예 3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5는 검사예 4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6은 검사예 4에서 주름들의 복제물을 도시한다.
도 7은 광 산란 광도계(오츠카 일렉트로닉스사, FPAR1000)를 사용하여 측정한 대로, 실시예 22A에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 분포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8은 광 산란 광도계(오츠카 일렉트로닉스사, FPAR1000)를 사용하여 측정한 대로, 실시예 29B에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 분포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9는 검사예 5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검사예 6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3T3-L1 세포 배양 배지 속에 첨가하고, 오일 레드 O로 미성숙 지방세포들에 축전된 지질들을 염색하고, 분광계(파장 520nm)로 측정함으로써 검사예 7에서 얻은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3T3-L1 세포 배양 배지 속에 첨가하고, 오일 레드 O로 성숙 지방세포들에 축전된 지질들을 염색하고, 분광계(파장 520nm)로 측정함으로써 검사예 8에서 얻은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그 안에 첨가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가진 3T3-L1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된 미성숙 지방세포들을 파열시켜 얻은 세포 파열 유체에서 α-리포산 농도를 측정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를 사용함으로써 검사예 9에서 얻은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14는 그 안에 첨가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가진 3T3-L1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된 미성숙 지방세포 배양액의 상청액에서 α-리포산 농도를 측정하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를 사용함으로써 검사예 9에서 얻은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15는 검사예 10에서 제조된 주름 모델 생쥐의 평가를 위한 예시적 기준을 도시한다.
도 16은 6주 동안 검사예 10에서 제조된 주름 모델 생쥐에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사용하여 얻은 생쥐 주름 복제물 및 주름 평가에 대한 점수들을 도시한다.
도 17은 검사예 10에서 제조된 주름 모델 생쥐 피부 부분의 히알루론산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도 18은 검사예 11의 주름 복제물을 도시한다.
도 19는 검사예 12의 세포 파괴된 유체 분획을 위한 히알루론산 ELISA의 결과들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1. α-리포산 나노 입자들을 위한 재료)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 입자들은 α-리포산,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2 가 금속 염 및 알칼리성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사용하여 생산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알칼리성 수용액과 같은 필수적인 다른 재료들을 사용할 수 있다.
(1a. α-리포산)
본 발명에서 사용된 α-리포산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α-리포산일 수 있다. α-리포산은 또한 치옥트산으로 알려져 있다. α-리포산은 R,S-(+/-)-α-리포산, R-(+)-α-리포산 및 S-(-)-α-리포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α-리포산은 산 형태 또는 염의 형태일 수 있다.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α-리포산이 사용될 수 있다. α-리포산은 분말 또는 결정들의 형태일 수 있다.
(1b.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비 이온성인 한 임의의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들은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터, 모노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다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등을 포함하나 특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의 경우, 약 10 이상의 HLB 값을 가진 것들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의 경우,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약 10 이상의 HLB 값을 가진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옥틸 도데실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폴리옥시프로필렌(4 내지 8의 중합도) 세틸 에터, 폴리옥시에틸렌(20 내지 100의 중합도) 수소화 캐스터 오일 및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거나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둘 이상의 종류가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의 HLB 값은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다.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의 HLB 값은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6 이하이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실온에서 고체인 것들(즉, 실온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진 계면활성제)일 수 있거나 실온에서 액체인 것들(즉, 실온보다 낮은 용융점을 가진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액체 형태의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라는 용어는 실온에서 액체인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실시예 및 용융하도록 가열함으로써 액체 형태인 실온에서 고체인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실시예 모두에 관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대로, "HLB 값"은 친수성 친유성 균형 값을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20 x MH/M로 계산되며, MH는 친수성 기 모이어티의 분자량이고, M은 전체 분자의 분자량이다. HBL 값은 분자 내 친유성 기들의 양이 0%일 때 0이고, 친유성 기들의 양이 100%일 때 20이다. HLB 값은, 계면활성제와 관련해서, 계면활성제 분자를 형성하는 친수성 및 소수성 기들의 크기와 강도를 나타내어서, 높은 소수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는 작은 HLB 값을 가지며, 높은 친수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는 큰 HLB 값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의 예들은 에틸렌 옥사이드의 임의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이다. 예를 들어, 약 10 이상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이 바람직하며, 약 20 이하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의 예들은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4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0 및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80을 포함한다. 이런 수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의 크기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40은 에틸렌 옥사이드의 첨가된 몰의 수가 40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의 예들은 에틸렌 옥사이드의 임의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약 10 이상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가 바람직하며, 약 20 이하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의 예들은,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POE(20) 스테아릴 에터로 기술됨), 폴리옥시에틸렌(20) 옥틸 도데실 에터(POE(20) 옥틸 도데실 에터로 기술됨) 및 폴리옥시에틸렌(20) 아이소스테아릴 에터(POE(20) 아이소스테아릴 에터)를 포함한다. (20)의 수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가 20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의 예들은 에틸렌 옥사이드의 임의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한다. 약 10 이상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가 바람직하며, 약 20 이하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의 예들은,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E(20)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로 기술됨),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E(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로 기술됨),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E(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트라이올레이트(POE(20) 소르비탄 트라이올레이트)를 포함한다. (20)의 수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중합도가 20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의 예들은 에틸렌 옥사이드의 임의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를 포함한다. 약 10 이상의 폴리옥시에틸렌 모이어티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가 바람직하며, 약 20 이하의 폴리옥시에틸렌 모이어티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가 바람직하다. 약 4 이상의 폴리옥시프로필렌 모이어티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가 바람직하며, 약 8 이하의 폴리옥시프로필렌 모이어티의 중합도를 가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의 예들은,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8) 세틸 에터(POE(20) POP(8) 세틸 에터로 기술됨), 폴리옥시에틸렌(20) 폴리옥시프로필렌(4) 세틸 에터(POE(20) POP(4) 세틸 에터로 기술됨), 폴리옥시에틸렌(34) 폴리옥시프로필렌(23) 세틸 에터(POE(34) POP(23) 세틸 에터로 기술됨),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 프로필렌 데실 테트라데실 에터(POE POE 프로필렌 데실 테트라데실 에터로 기술됨) 및 폴리옥시에틸렌(20) 아이소스테아릴 에터(POE(20) 아이소스테아릴 에터로 기술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예들은, 예를 들어, 데카글리세린 모노라우레이트, 데카글리세린 모노미리스테이트, 데카글리세린 모노올레이트 및 데카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사용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의 HLB 값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HLB 값은 바람직하게는 약 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이상이다. HLB 값은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9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8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의 예들은,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 스테아르산 에스터, 수크로오스 팔미트산 에스터, 수크로오스 미리스트산 에스터 및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터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터가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계면활성제의 양은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라 변한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α-리포산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약 1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배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배 이상이다. 계면활성제의 양은 α-리포산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약 40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배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5배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배 이하이다. 만일 α-리포산의 양에 비해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 나노입자들은 응집되기 쉬어지고, 투명하고 안정한 입자들을 얻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만일 α-리포산의 양에 비해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첨가량이 증가할지라도, 이렇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고, α-리포산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사용시에 처리가 나빠지며, 주제 나노입자들이 식품에 사용되는 경우, 계면활성제로부터 유도된 맛이 분명하여, 제품 가치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들이 발생할 수 있다.
(1c. 2가 금속염)
본 발명에서, 2가 금속염이 사용된다. 사용될 수 있는 2가 금속염의 예들은 2가 금속 할로겐화물, 2가 금속 아세트산염 및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을 포함한다.
2가 금속 아세테이트는 아세트산과 2가 금속으로 형성된 염이고, 아세트산 2가 금속염으로 불린다.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은 글루콘산과 2가 금속으로 형성된 염이며 글루콘산 2가 금속염으로 불린다.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브롬화칼슘, 불화칼슘, 요오드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브롬화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염화아연, 브롬화아연, 불화아연, 요오드화아연 아세트산칼슘,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아연, 글루콘산칼슘, 글루콘산마그네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입할 수 있는 2가 금속염들이 사용될 수 있다. 2가 금속염의 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2가 금속염들의 둘 이상의 종류가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2가 금속 이온의 한 종류를 사용하는 것일 바람직하다.
(1d.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
본 발명에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이 사용된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에서 알칼리 금속의 예들은 나트륨, 칼륨, 리튬, 루비듐, 세슘 및 프란슘을 포함한다. 알칼리 금속은 나트륨 또는 칼륨이 바람직하고 나트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의 예들은,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수소칼륨을 포함하며 탄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의 예들은,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과 인산칼륨을 포함한다. 인산나트륨은 메타인산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파이로인산나트륨 또는 파이로인산수소나트륨일 수 있고 인산수소이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인산칼륨은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인산삼칼륨일 수 있고 인산수소이칼륨이 바람직하다.
구입할 수 있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및 알칼리 금속 인산염이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의 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의 둘 이상의 종류가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의 한 종류를 사용하는 것일 바람직하다.
(1e. 첨가제)
본 발명에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는 수용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첨가제의 예들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유도 거대분자들, 미생물-유도 거대분자들, 동물-유도 거대분자들, 전분 및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바이닐-형태 거대 분자들 및 아크릴-형태 거대분자들을 포함한다.
첨가를 사용함으로써, 미셀 응집 억제 효과 및 수용성 폴리머를 미셀 표면에 흡착시킴으로써 분산 효과; 미셀들 사이에 물속(연속상) 폴리머 화합물들의 존재에 의한 발생한 입체장애에 의한 미셀 응집 억제 효과; 및 점성 증가에 의한 미셀 응집 억제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HO(CH2CH2O)nH로 나타내어진 물질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의 탈수 중축합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진 구조를 가지며 양 말단에 하이드록실기를 가진 폴리에터이다. 약 200 내지 약 20,000의 분자량을 가진 다양한 폴리에틸렌 글리콜들이 공지되어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분자량이 약 200 내지 약 600일 때 액체이고 분자량이 약 1000을 초과할 때 고체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폴리머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자량을 가진 분자들의 혼합물로서 보통 판매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0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700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8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90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0 이상이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0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8,00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7,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500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0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예들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을 포함한다.
식물-유도 거대분자들은 식물들로부터 추출되거나 정제된 거대분자들을 의미한다. 식물-유도 거대분자들의 예들은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고무, 갈락탄,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닌, 펙틴, 퀀스시드(사이도니아 오블론가 씨드) 추출물, 갈색 조류 분말 등을 포함한다.
미생물-유도 거대분자들은 미생물로부터 추출되거나 정제된 거대분자들을 의미한다. 미생물-유도 거대분자들의 예들은 잔탄검, 덱스트란, 풀루란 등을 포함한다.
동물-유도 거대분자들은 동물들로부터 추출되거나 정제된 거대분자들을 의미한다. 동물-유도 거대분자들의 예들은 콜라겐, 카세인, 알부민, 젤라틴, 히알루론산 등을 포함한다.
전분들 및 덱스트린들은 전분 및 덱스트린뿐만 아니라 이의 화학적 변형 생성물들, 효소 처리 생성물들 및 물리적 처리 생성물을 의미한다. 전분들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전분들이 바람직하다. 전분들의 예들은 카복시메틸 전분, 메틸하이드록시 전분 등을 포함한다.
셀룰로오스들은 셀룰로오스들 및 이의 화학적 변형 생성물들, 효소 처리 생성물들 및 물리적 처리 생성물을 의미한다. 셀룰로오스들의 예들은 메틸셀룰로오스, 나이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결정성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분말 등을 포함한다.
바이닐-형태 거대분자들은 바이닐 모노머들을 중합함으로써 얻은 거대분자들을 의미한다. 바이닐-형태 거대분자들의 예들은 폴리바이닐 알콜, 폴리바이닐 메틸 에터, 폴리바이닐파이롤리돈, 카복시바이닐 폴리머 등을 포함한다.
아크릴-형태 거대분자들은 아크릴 모노머들을 중합함으로써 얻은 거대분자들을 의미한다. 아크릴-형태 거대분자들의 예들은 폴리아크릴산 및 이의 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등을 포함한다.
(2.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은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금속염을 첨가하는 단계, 여기서 2가 금속염은 2가 금속 할로겐화물, 2가 금속 아세트산염 또는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이며; 그리고 2가 금속염이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첨가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얻기 위해 액체 형태인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α-리포산을 용해하는 단계; 및 수성 분산액을 얻기 위해 계면활성제 용액에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아래 기술된 "2a-1", "2b-1", "2c" 및 "2d"를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 α-리포산, 알칼리성 물질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 속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아래 기술된 "2a-2", "2b-2", "2c" 및 "2d"를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 α-리포산, 알칼리성 물질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수성 분산액에서, α-리포산은 미셀들을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수성 분산액 속에 첨가하는 단계(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된 미셀들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금속염을 첨가하는 단계, 여기서 2가 금속염은 2가 금속 할로겐화물, 2가 금속 아세트산염 또는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이며; 그리고 2가 금속염이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첨가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a-1. 액체 형태의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α-리포산을 용해하는 단계)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α-리포산을 최초로 용해하는 한 실시예가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용매로 사용된다. 즉, 계면활성제 용액이 제조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먼저, α-리포산은 액체 형태의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용해되어 계면활성제 용액이 얻어진다. 이런 α-리포산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직접적으로 첨가될 수 있거나 간접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간접적으로 첨가된"이란 문장은 다른 물질과 혼합한 후 첨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α-리포산은 첨가제와 혼합된 후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첨가될 수 있다. α-리포산은 결정 또는 분말 형태로 주로 판매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α-리포산은 액체 형태의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거의 완전히 용해된다. 만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온에서 액체인 경우, 이 용해 작업은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가열된 후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실온에서 고체인 경우,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액체 형태로 가열되고 이 용해 작업이 수행된다. 이런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자마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필요한 경우, 그 안에 첨가된 상기한 첨가제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계면활성제 용액이 제조되는 경우, 물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할 때 포함된 물의 양은 α-리포산의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약 5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중량부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부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부 이하로 설정된다. 물 양의 하한은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α-리포산의 100중량부에 대해 약 0.001중량부 이상, 약 0.01중량부 이상 또는 약 0.1중량부 이상이 혼합되는 조건들이 사용될 수 있다.
α-리포산은 알콜에 용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알콜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이 사용되는 경우, 부작용들은 α-리포산에 의한 미셀 형성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α-리포산의 100중량부에 대해 약 1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부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부 이하로 알콜의 사용량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 알콜 사용량의 하한은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α-리포산의 100중량부에 대해 약 0.01중량부로 알콜의 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논의될 실시예에서, 알칼리성 화합물은 α-리포산이 용해될 때 사용되나, 본 실시예에서, α-리포산을 용해하기 위해 알칼리성 화합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α-리포산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사용되는 경우, 용해 작업은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해 작업은 알칼리성 화합물을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된 알칼리성 화합물의 양에 관해서, 예를 들어, 알칼리성 화합물의 사용량은 α-리포산의 100중량부에 대해 약 5중량부 이하, 약 1중량부 이하, 약 0.5중량부 이하, 약 0.1중량부 이하, 약 0.05중량부 이하 및 약 0.01중량부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물이 α-리포산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용해된 후 첨가될 때, 알칼리는 필요에 따라, 물과 동시에 첨가될 수 있고 또는 알칼리성 물(예를 들어, 염기성 화합물의 수용액)이 첨가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실온 이상의 용융점을 가진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용융하기 위해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은 사용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온도가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용해하는데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가열은 α-리포산이 분해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온도가 약 70℃ 이상에 도달하는 과도한 가열은 바람직하지 않다. α-리포산의 첨가 식기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온도는 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용융점 +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용융점 +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용융점 + 1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α-리포산의 혼합물의 제조 동안, 물질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α-리포산의 혼합에 어떠한 부작용들(미셀 형성)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다른 물질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물은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첨가제(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혼합한 후 α-리포산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가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α-리포산의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α-리포산이 첨가된 후 혼합물을 만족스럽게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α-리포산의 양은 단계 2b-1에서 얻은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서 α-리포산의 농도가 임계적 미셀 농도이거나 그 이상 이도록 선택된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서 α-리포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이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서 α-리포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2중량%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이다.
α-리포산을 용해하는데 사용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나,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0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0% 이상이다. 이 단계를 통해 첨가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0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3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500%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0% 이하이다.
(2b-1.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α-리포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얻는 단계)
뒤이어,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은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α-리포산의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얻어진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제조 동안, 물질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α-리포산의 혼합에 어떠한 부작용들(미셀 형성)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다른 물질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물이 첨가되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α-리포산의 혼합물과 혼합될 때,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된 미셀들은 자발적으로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이 실시예에서, 혼합된 미셀들은 물의 첨가를 통해 한 번에,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로부터 형성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혼합된 미셀들은 매우 안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물이 첨가된 후 용액을 만족할만하게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1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분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25분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이상이다. 교반 시간에 특정한 상한은 없다. 예를 들어, 교반 시간은 약 48시간 이하, 약 24시간 이하, 약 18시간 이하, 약 12시간 이하, 약 6시간 이하, 약 4시간 이하, 약 2시간 이하, 약 1시간 이하, 약 50분 이하, 약 40분 이하 또는 약 35분 이하와 같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이 얻어진다.
(2a-2. α-리포산과 알칼리의 혼합 단계)
α-리포산과 알칼리를 최초로 혼합하는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에서, 먼저, α-리포산, 알칼리성 물질 및 물의 혼합물이 제조되어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이 제조된다. α-리포산은 결정 또는 분말 형태로 주로 판매된다. α-리포산이 물에 첨가되는 경우, α-리포산은 분산되나 거의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다. α-리포산은 알콜에 용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알콜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콜이 사용되는 경우, 부작용들은 α-리포산에 의한 미셀 형성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알칼리성 물질은 어떠한 알칼리성 물질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강염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이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은, 예를 들어, 혼합하기 위해 물속에 α-리포산을 먼저 첨가하고 함께 혼합하기 위해 혼합물에 알칼리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은 혼합하기 위해 물속에 α-리포산을 첨가하고 함께 혼합하기 위해 혼합물에 알칼리성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은 알칼리성 용액 속에 α-리포산을 첨가하고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은 물속에 α-리포산과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고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제조 동안, 물질이 α-리포산과 알칼리의 혼합에 어떠한 부작용들(미셀 형성)을 실질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다른 물질이 추가로 혼합될 수 있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α-리포산의 양은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서 α-리포산의 농도가 임계적 미셀 농도이거나 그 이상 이도록 선택된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서 α-리포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이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서 α-리포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2중량%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이다.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 α-리포산의 양은 그 양이 α-리포산이 물속에 분산되게 할 수 있는 양인 한 어떠한 양일 수 있다. 알칼리성 물질의 양은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pH를 약 6.5 이상으로 만드는 양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물질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pH를 약 13.5 이하로 만드는 양, 더욱 바람직하게는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pH를 약 13.0 이하로 만드는 양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의 pH를 약 12.5 이하로 만드는 양이다.
이런 방식으로,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이 얻어진다.
(2b-2.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 단계)
뒤이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이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 첨가된다. α-리포산의 미셀들의 표면은 음 전하들로 덮인 상태이기 때문에, 2가 금속, 예를 들어, 칼슘 이온들(Ca2 +)은 쉽게 흡착(결합되어) 나트륨 이온들과 교환 반응을 일으킨다. 이런 경우에, 2가 금속 이온들은 나트륨 이온들에 비해 더 높은 흡착 능력(결합 능력)을 갖기 때문에, 이에 흡착된 2가 금속 이온들을 가진 미셀들은 전하들이 미셀 표면에 있기 때문에 물에 불용성이 되며, 용해하기 어렵게 되고, 미셀들이 침전화된다. 침전이 발생할 때, 입자들 사이에 응집이 일어나며, 매우 큰 입자들이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 입자들의 응집을 막기 위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된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α-리포산과 함께 혼합된 미셀들을 형성하며 미셀 표면에 친수성 기들을 돌출시킨다. 따라서, 만일 다가 금속 이온들이 미셀 표면에 흡착(결합)되는 경우에도, 미셀 표면에 돌출된 친수성 기의 존재가 미셀들의 침전화를 막는다고 생각된다.
이 단계에 첨가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나,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0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0% 이상이다. 이 단계를 통해 첨가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0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3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500%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0% 이하이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에 첨가되어 혼합될 때,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된 미셀들은 자발적으로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된 후 용액을 만족할만하게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1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분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25분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이상이다. 교반 시간에 특정한 상한은 없다. 예를 들어, 교반 시간은 약 48시간 이하, 약 24시간 이하, 약 18시간 이하, 약 12시간 이하, 약 6시간 이하, 약 4시간 이하, 약 2시간 이하, 약 1시간 이하, 약 50분 이하, 약 40분 이하 또는 약 35분 이하와 같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이 얻어진다.
(2c. 2가 금속염의 첨가 단계)
뒤이어, 2가 금속염은 상기 단계 2b-1 또는 단계 2b-2에서 제조된 수성 분산액에 첨가된다. 2가 금속염은 이 수성 분산액에 직접 첨가될 수 있거나 수용액 형태로 첨가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가 금속염은 2가 금속염의 수용액으로 첨가된다.
2가 금속염이 첨가될 수성 분산액은 이전 단계로부터 받는 대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H는 사용된 금속염에 따라, 금속염이 첨가되기 전에 즉시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α-리포산에 대해서, α-리포산의 분산에 바람직한 pH는 2가 금속염의 첨가에 바람직한 pH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2가 금속 이온이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혼합된 미셀들을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에 첨가될 때, 금속 이온의 종류에 따라 바람직한 pH 값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런 pH는 바람직하게는 2가 금속 이온이 Mg2 +일 때 약 12.0 이하, Ca2 +의 경우에 약 12.0 이하, Zn2 +의 경우에 약 9.5 이하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Mg2 +의 경우에 약 11.5 이하, Ca2 +의 경우 약 11.5 이하 및 Zn2 +의 경우에 약 8.8 이하이다.
2가 금속염이 염화칼슘, 브롬화칼슘, 불화칼슘, 요오드화칼슘, 아세트산칼슘 또는 글루콘산칼슘일 때, 2가 금속염의 첨가 직전에 수성 분산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3.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8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이며; 2가 금속염의 첨가 직전에 수성 분산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1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1.7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5 이하이다.
2가 금속염이 염화마그네슘, 브롬화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아세트산마그네슘 또는 글루콘산마그네슘일 때, 2가 금속염의 첨가 직전에 수성 분산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3.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8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이며; 2가 금속염의 첨가 직전에 수성 분산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1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1.7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5 이하이다.
2가 금속염이 염화아연, 브롬화아연, 불화아연, 요오드화아연, 아세트산아연 또는 글루콘산아연일 때, 2가 금속염의 첨가 직전에 수성 분산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7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9 이상이며; 2가 금속염의 첨가 직전에 수성 분산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2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8 이하이다.
이 단계에 첨가된 2가 금속염의 양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나,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양은,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이다. 이 단계를 통해 첨가된 2가 금속염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4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20%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하이다.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금속염을 첨가하고 혼합함으로써, 2가 금속 이온들은 혼합된 미셀들의 표면에서 음 전하들에 결합되어 α-리포산의 미셀들의 응집과 침전화가 예방된다. 2가 금속이 첨가된 후 용액을 만족할만하게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1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분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25분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이상이다. 교반 시간에 특정한 상한은 없다. 예를 들어, 교반 시간은 약 48시간 이하, 약 24시간 이하, 약 18시간 이하, 약 12시간 이하, 약 6시간 이하, 약 4시간 이하, 약 2시간 이하, 약 1시간 이하, 약 50분 이하, 약 40분 이하 또는 약 35분 이하와 같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2d.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첨가하는 단계)
뒤이어,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이 2가 금속염이 첨가된 이 수성 분산액에 첨가된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 및 알칼리 금속 인산염("2가 음이온을 가진 염"으로도 불림)의 양은 어떠한 양으로도 선택될 수 있으나, 첨가된 2가 금속염의 양을 1로 잡을 때,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0.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2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첨가된 2가 금속염의 양을 1로 잡을 때,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0.0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70 이하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60 이하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첨가된 2가 금속염의 양을 1로 잡을 때,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몰을 기초로, 약 0.60 이하, 약 0.50 이하 또는 약 0.40 이하일 수 있다. 첨가된 2가 금속염의 양을 1로 잡을 때,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몰을 기초로, 0.2가 가장 바람직하다.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이 2가 금속염의 양에 비해 너무 적은 경우, 미셀 표면에서 양전하는 중화되지 않으며, 미셀들의 응집과 침전화를 막는 효능은 낮아질 수 있다.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이 2가 금속염의 양에 비해 너무 큰 경우, 침전화가 일어나기 쉽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의 몰 비를 1:1로 설정할 때, 침전화는 혼합물이 하루 종일 방치될 때 일어나며, 몰 비가 1:0.01 내지 0.8로 설정될 때 특히 1:0.4로 설정될 때, 혼합물은 투명하게 남았고 침전화는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될 때에도 일어나지 않는다. 혼합물이 불투명하거나 침전화가 일어나는 경우, 형성된 입자들의 입자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피부 투과성이 나빠지고, 주사할 때에도 불편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혼합물이 투명하고 침전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형성된 입자들의 입자 크기는 작고 분포는 좁다. 따라서, 피부 투과성은 우수하고, 주사시에 불편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으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이 수성 분산액에 형성된다.
이 단계에 첨가된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나,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양은,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5%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이다. 이 단계를 통해 첨가된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4%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6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2%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하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 단계를 통해 첨가된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약 50% 이하, 약 46% 이하, 약 44% 이하, 약 42% 이하 또는 약 40%이다.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을 첨가하고 이를 혼합함으로써, 2가 음이온들은 미셀 표면에 결합된 2가 금속 이온들과 결합한다고 생각된다. 미셀 표면에 결합된 2가 금속염에 2가 음이온들을 결합시킴으로써, 미셀 표면에 있는 전하는 실질적으로 중화된다고 생각된다. 미셀 표면에서, 2가 금속 이온들과 2가 음이온들은 서로 결합하여 다가 금속 무기염을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다가 금속 무기염의 코팅은 미셀 표면에 형성되며 그 결과, 미셀들 사이의 결합에 의해 침전화가 예방된다고 생각된다.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이 첨가된 후 용액을 만족할만하게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10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분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25분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이상이다. 교반 시간에 특정한 상한은 없다. 예를 들어, 교반 시간은 약 48시간 이하, 약 24시간 이하, 약 18시간 이하, 약 12시간 이하, 약 6시간 이하, 약 4시간 이하, 약 2시간 이하, 약 1시간 이하, 약 50분 이하, 약 40분 이하 또는 약 35분 이하와 같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2e. 다른 단계들)
상기한 개개의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α-리포산의 나노입자들은 수성 분산액에 형성된다. 이런 수성 분산액은 필요에 따라 분말을 얻기 위해 건조될 수 있다. 건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건조는, 예를 들어, 동결 건조, 스프레이 건조, 드럼 건조 등에 의해 수행된다. 동결 건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분말은, 물에 첨가되는 경우, 쉽게 분산되어 투명 액체를 형성한다.
(3. α-리포산 나노입자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α-리포산,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2가 금속 이온 및 탄산염 이온 또는 인산염 이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0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중량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0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3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500%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2가 금속 이온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2가 금속 이온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4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20%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하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탄산염 이온 또는 인산염 이온(2가 음이온으로도 불림)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5%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탄산염 이온 또는 인산염 이온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4%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6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2%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하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 단계를 통해 첨가된 2가 음이온을 가진 염의 양은, α-리포산의 양을 100으로 잡을 때, 몰을 기초로, 약 50% 이하, 약 46% 이하, 약 44% 이하, 약 42% 이하 또는 약 40% 이하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2가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아연 이온 또는 마그네슘 이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2가 금속 이온의 양을 1로 잡을 때, 2가 음이온의 양은,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0.0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0 이상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20 이상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2가 금속 이온의 양을 1로 잡을 때, 2가 음이온의 양은, 몰을 기초로, 바람직하게는 약 0.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0 이하 및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40 이하이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에서 2가 금속 이온의 양을 1로 잡을 때, 2가 음이온의 양은, 몰을 기초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2이다.
(4.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용도)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α-리포산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응용분야의 예들은 피부 외용제, 약품(주사액 포함), 경구용 조성물 및 식품을 포함한다.
(4a.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피부 외용제"라는 용어는 피부와 접촉할 때 원하는 효과를 얻는 피부에 사용될 제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제제가 장시간 동안 피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응용분야(예를 들어, 제제가 약 1시간 이상 동안 피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응용분야 또는 제제가 약 5시간 이상 동안 피부와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응용분야)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피부 외용제의 한 바람직한 예는 화장료이다.
화장료의 바람직한 예들은 스킨 케어 화장료를 포함한다. 화장료의 구체적인 예들은 스킨 로션, 에멀젼 및 크림과 같은 스킨 케어 화장료; 파운데이션, 아이 섀도우, 립스틱 및 볼 연지와 같은 화장품; 헤어 화장료, 에멀리언트 크림, 에멜리언트 로션, 크림, 크림 린스, 콜드 크림, 배니싱 크림, 로션, 패이셜 마스크, 겔, 페이스 팩, 비누, 바디 비누, 샴푸, 컨티셔너, 린스, 목욕제, 목욕 약품, 페이스 와시, 쉐이빙 크림,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팩, 글로스, 립 크림, 케이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분제공 효과를 원하는 응용분야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스킨케어 화장료로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피부와 접촉하는 응용분야에서 특히 효과적이나, 짧은 시간 동안 사용한 후 씻어버리는 페이스 와시 및 샴푸와 같은 응용분야에서도 효과적이다.
상기한 대로, 화장품은 화장료에 포함된다. 화장품은 크린징 화장품, 헤어 화장품, 베이스 화장품, 메이컵 화장품, 향수 화장품, 선-번 화장품, 안티 선-번 화장품, 네일 화장품, 아이 라이너 화장품, 아이 섀도우 화장품, 볼 연지, 입술 화장품, 구강 화장품 등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은 이들 중 어떠한 응용분야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피부 외용제는 약품 또는 의약외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약학적으로 효과적인 성분을 함유하는 연고에 혼합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예를 들어, 에멀젼, 스킨 로션, 크림, 샴푸 또는 페이스 와시와 같은 화장품 또는 의약외품)에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혼합하면 주름, 얼룩, 기미, 착색 등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피부 외용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피부 수분제공을 증가시키고 마른 피부, 피부 거칠어짐, 알레르기 및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증상들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항산화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피부 신진대사를 활성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자외선 자극에 의해 발생한 멜라닌 색소와 활성 산소를 빠르게 제거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손상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건조와 자외선에 의해 발생한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완화하고, 얼룩 또는 기미와 같은 착색 질환을 개선하고 둔감, 주름, 처짐 및 탈모증과 같은 노화 현상을 지연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제형들의 예들은 연고, 점증 겔 시스템, 로션, 워터 인 오일 에멀젼, 오일 인 워터 에멀젼, 고체, 시트, 분말, 겔, 무스 및 스프레이를 포함한다. 피부 외용제는 페이셜 마스크를 제거하는 구조와 같이 제제가 스며든 시트의 모양의 제품일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이 로션, 에멀젼, 점증 겔 시스템 등인 경우, 이의 효과의 개선 면에서, 상기 성분들 속에, 특히 점증제들 속에, 아라비아 고무, 트래거캔스 고무, 갈락탄,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카라기닌, 펙틴, 퀀스시드(사이도니아 오블론가 씨드) 추출물 또는 갈색 조류 분말과 같은 식물-유도 거대분자; 잔탄검, 덱스트란 또는 풀루란과 같은 미생물-유도 거대분자; 콜라겐, 카세인, 알부민, 젤라틴 또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동물-유도 거대분자들; 카복시메틸 전분 또는 메틸하이드록시 전분과 같은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나이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황산염,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결정성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분말과 같은 셀룰로오스; 폴리바이닐 알콜, 폴리바이닐 메틸 에터, 폴리바이닐파이롤리돈 또는 카복시바이닐 폴리머와 같은 바이닐-형태 거대분자;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 또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와 같은 아크릴-형태 거대분자; 글리시리신산 또는 알긴산과 같은 유기 점증제;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라보나이트,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또는 무수 살리실산과 같은 무기 점증제로 이루어진 수용성 점증제 및 알콜 중에서 에탄올 또는 아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저급 알콜과 조합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외용제의 개념은 섬유들에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결합하고, 섬유 재료 속에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혼합하고, 섬유들 속에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스며들게 하거나 직물의 표면상에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도포함으로써,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이 섬유 또는 직물로 제조된 옷(예를 들어, 언더웨어 등)이 피부와 접촉할 때 피부로 흡수되는 사용 방법에서 사용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옷을 포함한다. 섬유들에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결합하는 것은, 예를 들어, 가교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섬유들에 화합물을 결합하는 방법, 섬유 재료 속에 화합물을 혼합하는 방법, 섬유 속에 화합물을 스며들게 하는 방법, 직물의 표면상에 화합물을 도포하는 방법 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피부 외용제 속에 첨가하는 것은 어떠한 특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피부 외용제의 생산 공정의 시작 단계에 원료들과 함께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중간에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종료 단계에 첨가된다. 첨가 형태에 대해서, 혼합, 반죽, 용해, 침지, 분산, 분사 및 도포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들이 피부 외용제의 종류와 특성들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 피부 외용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중량%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중량%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하이다.
(4b.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서방형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서방형 제제일 수 있다. 서방형 제제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나, 액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서방형 제제 속에 첨가하는 것은 어떠한 특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서방형 제제의 생산 공정의 시작 단계에 원료들과 함께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중간에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종료 단계에 첨가된다. 첨가 형태에 대해서, 혼합, 반죽, 용해, 침지, 분산, 분사 및 도포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들이 서방형 제제의 종류와 특성들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서방형 제제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중량%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중량%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하이다.
(4c.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임의의 구강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나, 액체가 바람직하다. 구강용 조성물의 예들은 치약(예를 들어, 크림 치약, 분말 치약 등), 덴탈 크림, 구강 린스(마우스 와시 포함), 마우스 스프레이, 분해성 필름, 겔 및 트로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구강용 조성물 속에 첨가하는 것은 어떠한 특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구강용 조성물의 생산 공정의 시작 단계에 원료들과 함께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중간에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종료 단계에 첨가된다. 첨가 형태에 대해서, 혼합, 반죽, 용해, 침지, 분산, 분사 및 도포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들이 구강용 조성물의 종류와 특성들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중량%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중량%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하이다.
(4e.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식품)
본 발명의 식품은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한다. 식품은 임의의 식품일 수 있다. 식품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나, 액체가 바람직하다.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건강 식품,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강 음료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강 식품은 건강 식품에 포함된 α-리포산의 응용분야와 같은 통상적인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건강 식품의 용도와 효능의 예들은 주름, 얼룩, 기미, 착색 등을 포함한다.
식품은, 예를 들어, 동결 디저트(아이스크림, 아이스 밀크, 아이스 디저트 등), 기호 음료(예를 들어, 청량 음료, 탄산 드링크(사이다, 레몬에이드 등), 향료 드링크, 알콜 드링크, 분말 주스 등), 유제품(우유, 요거트, 아이스크림, 버터, 마가린, 치즈, 와핑 크림 등), 과자(서양 과자, 일본 과자, 스낵 등, 예를 들어, 땅콩잼, 땅콩 젤리, 땅콩 잼을 채운 번, 쵸콜릿, 검, 젤리, 한천, 아몬드 젤리, 케이크, 카스텔라, 쿠키, 쌀 크랙커, 정제 과자 등), 빵, 떡, 신선하게 가공된 제품(카마보코(어묵), 치카우(생선 소시지) 등), 고기 가공 제품(소시지, 햄 등), 과일 가공 제품(잼, 마멀레이드, 된장 등), 라면(밀 라면, 메밀 라면 등), 피클 및 고기, 생선 및 과일의 병 제품 및 깡통 제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식품 속에 첨가하는 것은 어떠한 특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식품의 생산 공정의 시작 단계에 원료들과 함께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중간에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종료 단계에 첨가된다. 첨가 형태에 대해서, 혼합, 반죽, 용해, 침지, 분산, 분사 및 도포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들이 식품의 종류와 특성들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식품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중량%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식품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중량%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중량%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하이다.
(4f.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약품)
본 발명의 약품은 본 발명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함유한다. 약품은 임의의 약품일 수 있다. 약품의 형태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알약, 액체, 분산액, 연고, 크림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이 경구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품은 정제, 분말 제제, 내복용 액체, 캡슐 등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품이 비경구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약품은 주사 제제, 연고 또는 크림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품을 사용함으로써, 지연 방출 효과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이 신체에서 천천히 분해되기 때문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은 주요 성분으로서 α-리포산을 함유하는 통상적인 약품의 응용분야와 같은 통상적인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의 용도와 효능의 예들은 치옥트산의 수요 증가에 대한 보충(격렬한 신체 노동의 시간), 리씨 증후군(아급성 뇌사성 뇌척수염) 및 독성(스트렙토마이신 또는 카나마이신 때문) 및 소음-유도(직업상) 속귀 청력 손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품은 중금속의 독성제거를 위한 주입 제제 또는 주사 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은 당뇨병의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용 약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합성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약품 속에 첨가하는 것은 어떠한 특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은 약품의 생산 공정의 시작 단계에 원료들과 함께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중간에 첨가되거나 생산 공정의 종료 단계에 첨가된다. 첨가 형태에 대해서, 혼합, 반죽, 용해, 침지, 분산, 분사 및 도포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들이 약품의 종류와 특성들에 따라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약품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중량%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0.1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약품에 함유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내용물이 α-리포산으로 변환하는 경우,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중량%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중량%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하이다.
실시예
다음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서, 다음 물질들을 시약으로 사용하였다:
α-리포산: 와코 퓨어 케미컬 인더스트리사에서 제조된 스페셜 등급, α-리포산(순도 98% 이상, 분말 형태);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터: 미츠비시-카가쿠 푸드 코페레이션에서 제조된 Ryoto 당 에스터 L-1695(HLB 값 약 15; 연결된 지방산 약 99%; 모노에스터 약 80%; 다이-, 트라이-, 및 폴리-에스터 약 20%);
폴리옥시에틸렌(60) 수소화 캐스터 오일: 니코 케미컬사에서 제조된 NIKKOL HCO-60(HLB 약 14; 굳는 페이스트, 흰색 내지 옅은 노란색);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도데실 에터: 카오 코퍼레이션에서 제조된 EMULGEN 2020G-HA(HLB 값 13.0);
POE(20)POP(8) 세틸 에터: 니코 케미컬사에서 제조된 NIKKOL PBC 44(HLB 약 12.5; 고체, 흰색 내지 옅은 노란색);
POE(20) 스테아릴 에터: 니코 케미컬사에서 제조된 NIKKOL BS-20(HLB 18.0; 고체, 백색 내지 옅은 노란색);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터: NOF 코퍼레이션에서 제조된 폴리소르베이트(80)(HLB 약 15; 무색 투명 액체);
MgCl2: 구입할 수 있는 제품, 시약 등급;
CaCl2: 구입할 수 있는 제품, 시약 등급;
글루콘산 아연: 구입할 수 있는 제품, 시약 등급;
Na2CO3: 구입할 수 있는 제품, 시약 등급;
Na2HPO4: 구입할 수 있는 제품, 시약 등급.
(실시예 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7.2로 조절하였다. pH가 7.2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Ryoto 당 에스터 L-1695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5M MgCl2를 결과로 얻은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 투명 분산액을 하루 동안(24 시간) 교반하였고 분산액을 밤새 동결건조하여 페이스트를 얻었다. 이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다른 검사들에 사용될 때,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사용하기 전에 소정의 농도로 증류수에 재분산하였다.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재분산하고, 이렇게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것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동결 건조 후 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얻었다. 이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다른 검사들에 사용될 때,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사용하기 전에 소정의 농도로 증류수에 재분산하였다.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증류수에 첨가하였다. 이 페이스트를 만족스럽게 재분산하고, 이렇게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것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동결 건조 후 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A)
0.2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7.1로 조절하였다. pH가 7.1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Ryoto 당 에스터 L-1695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5M MgCl2를 결과로 얻은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5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 투명 분산액을 하루 동안(24 시간) 교반하였고 분산액을 밤새 동결건조하여 페이스트를 얻었다. 이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다른 검사들에 사용될 때,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사용하기 전에 소정의 농도로 증류수에 재분산하였다.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재분산하고, 이렇게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것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동결 건조 후 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얻었다. 이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다른 검사들에 사용될 때,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사용하기 전에 소정의 농도로 증류수에 재분산하였다. 동결 건조 후 페이스트를 증류수에 첨가하였다. 이 페이스트를 만족스럽게 재분산하고, 이렇게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것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이 동결 건조 후 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1:α-리포산 분산액의 제조)
(비교예 1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7.2로 조절하였다. pH가 7.2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Ryoto 당 에스터 L-1695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이 투명 분산액을 하루 동안(24 시간) 교반하였고 분산액을 밤새 동결건조하여 페이스트를 얻었다.
(비교예 1B)
원료 용액의 제조를 위해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A와 동일한 절차로 페이스트를 얻었다.
(측정예 1: 입자 크기의 측정)
실시예 1A에서 제조되고 사용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페이스트 및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1A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페이스트의 각각의 0.3g을 각각 3mL의 물에 첨가하고 약 3시간 동안 4℃에서 방치하였고 분산을 위해 1분 동안 교반하였다. 입자 크기는 광 산란 광도계(오츠카 일렉트로닉스사, ELS-710T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는 약 10nm이었고,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1A의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는 약 760nm이었다. 증류수가 사용되고 이온 교환수가 사용될 때 입자 크기는 거의 동일하였다. 실시예 1A에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오츠카 일렉트로닉스사, ELS-710TY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들은 도 1에 도시되며 비교예 1A에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의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광 산란 광도계(오츠카 일렉트로닉스사, ELS-710TY)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들은 도 2에 제공된다.
(실시예 3: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pH가 7.0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5M MgCl2를 결과로 얻은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5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7.3으로 조절하였다. pH가 7.3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5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02g의 EMULGEN 2020G-HA를 함유하는 0.95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10μL의 0.5M MgCl2를 결과로 얻은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5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5: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5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7.1로 조절하였다. pH가 7.1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5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05g의 HCO-60을 함유하는 0.95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 또는 0.1M NaOH로 6.6으로 조절하였고 10μL의 0.5M CaCl2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1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 투명 분산액을 하루 동안(24 시간) 교반하였고 분산액을 밤새 동결건조하여 페이스트를 얻었다.
(실시예 5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얻었다.
(실시예 6: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6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pH가 7.0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2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02g의 EMULGEN 2020G-HA를 함유하는 0.98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 또는 0.1M NaOH로 6.2로 조절하였고 5μL의 0.5M CaCl2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5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6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7: α-리포산-CaPO4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7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6.9로 조절하였다. pH가 6.9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2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05g의 HCO-60을 함유하는 0.98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 또는 0.1M NaOH로 6.4로 조절하였고 5μL의 0.5M CaCl2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5μL의 0.1M Na2HPO4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PO4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이 투명 분산액을 하루 동안(24 시간) 교반하였고 분산액을 밤새 동결건조하여 페이스트를 얻었다.
(실시예 7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7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PO4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얻었다.
(실시예 8: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8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1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11.7로 조절하였다. pH가 11.7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POE(20)POP(8) 세틸 에터(PBC44)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 또는 0.1M NaOH로 11.0으로 조절하였고 40μL의 0.5M CaCl2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4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8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9: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9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1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11.5로 조절하였다. pH가 11.5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02g의 POE(20) 스테아릴 에터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 또는 0.1M NaOH로 10.8로 조절하였고 40μL의 0.5M CaCl2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4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9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0: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0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6.8로 조절하였다. pH가 6.8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5.0으로 조절하였고 20μL의 5% 글루콘산 아연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0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1: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1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6.9로 조절하였다. pH가 6.9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5.0으로 조절하였고 20μL의 0.5M 아세트산 아연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1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2: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2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6.9로 조절하였다. pH가 6.9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Ryoto 당 에스터 L-1695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를 0.1M HCl로 6.8로 조절하고 40μL의 0.5M MgCl2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8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2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2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3: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3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6.9로 조절하였다. pH가 6.9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3.9로 조절하였고 20μL의 0.5M 아세트산 아연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3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4: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4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10.9로 조절하였다. pH가 10.9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6.4로 조절하였고 40μL의 0.5M CaCl2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4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4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4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5: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5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8.7로 조절하였다. pH가 8.7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6.3으로 조절하였고 40μL의 0.5M CaCl2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4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5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5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6: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6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6.9로 조절하였다. pH가 6.9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6.4로 조절하였고 20μL의 0.5M CaCl2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4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6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6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7: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7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6.9로 조절하였다. pH가 6.9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EMULGEN 2020G-HA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6.7로 조절하였고 20μL의 0.5M CaCl2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4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7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7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8: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8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11.8로 조절하였다. pH가 11.8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HCO-60을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는 0.1M HCl로 10.9로 조절하였고 20μL의 0.5M CaCl2를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8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8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9: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19A)
0.5g의 α-리포산을 9mL의 이온 교환수에 첨가하고 혼합하였고 5M NaOH를 이 혼합된 액체에 첨가하여 혼합된 액체의 pH를 9.1로 조절하였다. pH가 9.1에 도달할 때, α-리포산의 분말은 사라졌고, 용액과 같은 투명한 형태가 얻어졌다. 이온 교환수를 이 용액에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 용액을 원료 용액으로 사용하였고 100μL의 분취량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0.1g의 Ryoto 당 에스터 L-1695를 함유하는 0.9mL의 증류수에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용액의 pH를 0.1M HCl로 8.5로 조절하고 20μL의 0.5M MgCl2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교반을 약 30분 수행하고, 20μL의 0.1M Na2CO3를 이 용액에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였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9B)
원료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9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0: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0A)
0.28g의 1M NaOH를 0.05g의 α-리포산에 첨가하고, 혼합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여기에, 9.328ml의 주사용 물(오츠카 제약사에 의해 제조된 주사를 위한 일본 약전 물)를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이 혼합 액체에, 0.3g의 POE(20) 스테아릴 에터를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고 용액의 pH를 5M HCl로 7.0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40μL의 2.5M MgCl2을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고 20μL의 1M Na2CO3를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고 주사용 물을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0B)
주사용 물 대신에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1A)
950μL의 0.26M NaOH를 0.05g의 α-리포산에 첨가하고, 혼합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여기에, 0.25g의 POE(20) 스테아릴 에터를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고, 여기에 3.626mL의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용액의 pH를 5M HCl로 5.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40μL의 2.5M MgCl2을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고 48μL의 1M Na2CO3를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고 이온 교환수를 첨가하여 5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1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1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비교예 22-1: α-리포산 분산액의 제조)
(비교예 22-1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6.8로 조절하였고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 분산액을 얻었다.
(비교예 22-1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2-1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 분산액을 얻었다.
(비교예 22-2: α-리포산 분산액의 제조)
(비교예 22-2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7.0으로 조절하였고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 분산액을 얻었다.
(비교예 22-2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22-2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2: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2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96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7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2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2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3: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3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96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96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3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3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4: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4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3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7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4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4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5: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5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3.5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3으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5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5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6: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6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3.5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2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72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9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6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6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7: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7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5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7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7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8: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8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5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48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8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8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9: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29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96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1.4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29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9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0: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0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48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6으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0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0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1: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1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3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48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9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1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1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2: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2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7.0g의 EMULGEN 2020G-HA에, 1.0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70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2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2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3: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3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7.0g의 폴리소르베이트(80)에, 0.2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3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12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12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5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3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2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4: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4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7.0g의 폴리소르베이트(80)에, 0.2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12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4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4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5: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5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7.0g의 폴리소르베이트(80)에, 0.2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3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48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5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5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5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6: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6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7.0g의 폴리소르베이트(80)에, 0.2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48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9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6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6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7: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7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7.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1.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6으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7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7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8: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8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1.5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4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3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8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8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9: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39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2.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4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5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39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9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0: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0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2.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증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4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9로 조절하였다. 증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0B)
증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0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1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1.5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4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1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1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2: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2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4.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1.5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4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2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2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3: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3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1.5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48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7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3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3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4: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4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1.5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6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72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4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4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5: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5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및 1.5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약 35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48ml의 2.5M Mg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72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6으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5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5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6: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6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여기에, 이온 교환수에 1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을 용해시켜 100ml로 만든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 용액의 15ml를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약 20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7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6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6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7: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7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여기에, 이온 교환수에 1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4000)을 용해시켜 100ml로 만든 폴리에틸렌 글리콜(4000) 용액의 15ml를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약 20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3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6으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7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7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8: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8A)
미리 가열되고 용융된 5.0g의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에, 0.5g의 α-리포산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용해하였다. 여기에, 이온 교환수에 1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6000)을 용해시켜 100ml로 만든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 용액의 15ml를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약 20ml의 이온 교환수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이상 동안 혼합하였다. pH를 5M NaOH로 4.4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0.24ml의 5M CaCl2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0.24ml의 1M Na2CO3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가로 혼합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1M NaOH 또는 1M HCl로 pH 6.8로 조절하였다. 이온 교환수를 추가로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8B)
이온 교환수 대신에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8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9: 고농축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49A)
2.85ml의 0.26M NaOH를 0.5g의 α-리포산에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여기에, 0.75g의 POE(20) 스테아릴 에터를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고, 여기에 0.5mL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용액의 pH를 5M HCl로 5.5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144μL의 2.5M MgCl2을 첨가하고 12시간 이상 교반하고 144μL의 1M Na2CO3를 첨가하고 추가로 12시간 이상 교반하고, 여기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5.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49B)
증류수 대신에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9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50: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들의 제조)
(실시예 50A)
0.28g의 1M NaOH를 0.05g의 α-리포산에 첨가하고, 혼합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여기에, 9.35ml의 주사용 물(오츠카 제약사에 의해 제조된 주사를 위한 일본 약전 물)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이 혼합 액체에, 0.3g의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HCO-60)을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였다. 용액의 pH를 5M HCl로 7.0으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40μL의 2.5M MgCl2을 첨가하고 만족스럽게 교반하고 20μL의 1M Na2CO3를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고 주사용 물을 첨가하여 10mL의 부피를 얻었다. 이를 통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한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50B)
주사용 물 대신에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0A와 동일한 절차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들을 함유하는 투명 분산액을 얻었다.
실시예 1A 내지 50B 및 비교예 1A, 1B, 22-1A 내지 22-2B의 결과들은 다음 표 1 내지 3에 요약된다. 실시예 1A 내지 21B 및 49A 내지 50B에서,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이 제조된 후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첨가되는 절차가 사용되었고, 실시예 22A 내지 48B에서, α-리포산이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용해된 후 물이 첨가되는 절차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실시예
N0.
α-LP
용액의 pH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계면활성
제의 종류
조절된
pH
2가 금속
염(A)
2가
음이온을 가진 염(B)
A:B
(몰비)
1A,1B 7.2 Ryoto 당 에스터 L-1695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 MgCl2 Na2CO3 5:1
비교예
1A,1B
7.2 Ryoto 당 에스터 L-1695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 - - -
2A,2B 7.1 Ryoto 당 에스터 L-1695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 MgCl2 Na2CO3 5:1
3A,3B 7.0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 MgCl2 Na2CO3 5:1
4A,4B 7.3 EMULGEN 2020G-HA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도데실 에터 - MgCl2 Na2CO3 5:1
5A,5B 7.1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6 CaCl2 Na2CO3 5:1
6A,6B 7.0 EMULGEN 2020G-HA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도데실 에터 6.2 CaCl2 Na2CO3 5:1
7A,7B 6.9 HCO-60 폴리옥시에틸렌(60) 수소화 캐스터 오일 6.4 CaCl2 Na2HPO4 5:1
8A,8B 11.7 PBC44 POE(20)POP(8)세틸 에터 11.0 CaCl2 Na2CO3 50:1
9A,9B 11.5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10.8 CaCl2 Na2CO3 50:1
10A,10B 6.8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5.0 글루콘산
아연
Na2CO3 -
11A,11B 6.9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5.0 Zn(COOOH)2 Na2CO3 5:1
12A,12B 6.9 Ryoto 당 에스터 L-1695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6.8 MgCl2 Na2CO3 5:2
13A,13B 6.9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3.9 Zn(COOOH)2 Na2CO3 5:1
14A,14B 10.9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4 CaCl2 Na2CO3 5:1
15A,15B 8.7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3 CaCl2 Na2CO3 5:1
16A,16B 6.9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4 CaCl2 Na2CO3 5:2
17A,17B 6.9 EMULGEN 2020G-HA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도데실 에터 6.7 CaCl2 Na2CO3 5:2
18A,18B 11.8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10.9 CaCl2 Na2CO3 5:1
19A,19B 9.1 Ryoto 당 에스터 L-1695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8.5 MgCl2 Na2CO3 5:1
20A,20B -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7.0 MgCl2 Na2CO3 50:1
21A,21B -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5.5 MgCl2 Na2CO3 5:2
49A,49B -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5.5 MgCl2 Na2CO3 5:2
50A,50B -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7.0 MgCl2 Na2CO3 5:1
실시예
N0.
금속 이온의 첨가 전 pH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계면활성
제의 종류
최종
pH
2가 금속
염(A)
2가
음이온을 가진 염(B)
A:B
(몰비)
22A,22B 4.6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7 CaCl2 Na2CO3 5:2
비교예
22-1A,B
-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8 - - -
비교예
22-2A,B
-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7.0 - - -
23A,23B 4.6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8 MgCl2 Na2CO3 5:2
24A,24B 4.3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7 CaCl2 Na2CO3 5:1
25A,25B 4.5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3 MgCl2 Na2CO3 5:1
26A,26B 4.2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9 CaCl2 Na2CO3 5:2
27A,27B 4.5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8 CaCl2 Na2HPO4 5:1
28A,28B 4.5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8 MgCl2 Na2CO3 5:2
29A,29B 4.6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8 MgCl2 Na2CO3 5:3
30A,30B 4.6 HCO-60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6.6 CaCl2 Na2CO3 5:1
31A,31B 4.3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9 CaCl2 Na2CO3 5:2
32A,32B 4.6 EMULGEN
2020G-HA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도데실 에터 6.8 CaCl2 Na2CO3 5:1
33A,33B 4.3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6.5 CaCl2 Na2CO3 5:1
34A,34B 4.5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6.8 MgCl2 Na2CO3 5:1
35A,35B 4.3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6.5 CaCl2 Na2CO3 5:2
36A,36B 4.5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6.9 MgCl2 Na2CO3 5:2
실시예
N0.
금속 이온의 첨가 전 pH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계면활성
제의 종류
최종
pH
2가 금속
염(A)
2가
음이온을 가진 염(B)
A:B
(몰비)
37A,37B 4.5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6 CaCl2 Na2CO3 5:1
38A,38B 4.3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8 CaCl2 Na2CO3 5:1
39A,39B 4.5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5 CaCl2 Na2CO3 5:1
40A,40B 4.4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9 CaCl2 Na2CO3 5:1
41A,41B 4.5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4 MgCl2 Na2CO3 5:1
42A,42B 4.6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8 MgCl2 Na2CO3 5:1
43A,43B 4.5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7 MgCl2 Na2CO3 5:2
44A,44B 4.6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8 CaCl2 Na2HPO4 5:3
45A,45B 4.5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6 MgCl2 Na2CO3 5:3
46A,46B 4.5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7 CaCl2 Na2CO3 5:1
47A,47B 4.3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6 CaCl2 Na2CO3 5:1
48A,48B 4.4 POE(20)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6.8 CaCl2 Na2CO3 5:1
POE(20) 스테아릴 에터 = 폴리옥시에틸렌(20) 스테아릴 에터
폴리소르베이트 80 =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으로도 불림.
실시예 37A, 37B, 40A, 40B, 41A, 41B, 43A, 43B, 44A, 44B, 45A, 45B, 46A 및 46B는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1000)을 함유한다.
실시예 38A, 38B, 39A, 39B, 42A, 42B, 47A 및 47B는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4000)을 함유한다.
실시예 48A 및 48B는 첨가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6000)을 함유한다.
(시험예 1: 제제의 열안정성 시험)
실시예 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및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를 각각 60℃에서 가열하고, 가열 1시간 후 및 가열 3시간 후의 시료내의 α-리포산의 양을 HPLC로 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 시약 α-리포산을 사용하였다. 가열 후 α-리포산의 양을 가열 전 α-리포산의 양으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하여 α-리포산의 잔량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α-리포산의 잔량의 비율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3에 제시된다. 기호 △는 α-리포산의 대조 시약의 결과를 나타내고, 기호 ■는 비교예 1의 α-리포산 분산액의 결과를 나타내고, 기호 □는 실시예 1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결과를 나타낸다.
가열 시간(hrs) 0 1 3
잔량의 비율(%)
대조군(시약α-리포산) 100 50.51 44.20
비교예 α-리포산 나노입자 100 102.30 97.68
실시예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100 104.22 93.59
그 결과, 시약의 α-리포산의 양이 가열 3시간 후 약 55%로 감소되는 반면에, 실시예 1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및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α-리포산 나노입자에서, α-리포산의 양의 실질적인 감소는 관측되지 않았다. 대조군과 비교로부터 본 발명의 제제는 α-리포산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유황 냄새의 개선)
실시예 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동결-건조 후 페이스트, 및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의 동결-건조 후 페이스트를 각각 α-리포산의 최종 농도가 0.1%에 도달하도록 증류수에 분산시켰다. 분산액을 레진으로 제조된 투명한 시험 튜브에 넣고, 상기 시험 튜브를 태양광 하에서 실내에서 정치시켰다. 시약 α-리포산에 알칼리(5M NaOH)를 첨가시킴으로써 pH 7 내지 7.5로 조정하여 제조된, 물에 용해된 α-리포산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을 또한 대조군으로서 동일한 방식으로 정치시켰다.
그 결과, 2주 경과 후, 대조 용액 및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의 분산액으로부터 특징적인 유황 냄새가 강력하게 발산되었다. 그 수준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물에 용해된 α-리포산을 갖는 수성 분산액의 수준과 동일하였다. 반면에,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분산액으로부터 어떠한 냄새도 발산되지 않았다.
(시험예 3: 염색된 기니아 피그에서 자외선 유도된 색소침착에 대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억제 효과에 대한 시험)
멜라노형성 세포를 갖는 염색된 기니아 피그(Weiser Maples, 5 주, 수컷)의 등 부분을 2 cm × 2 cm의 면적으로 잘라내고, 실시예 3A에서 수득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분산액(α-리포산 350㎍ 함유)을 매주 5일(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씩, 매일 1회, 매일 80 mg의 양으로 적용하였다. 적용 후, 적용 시작일(월요일) 및 2, 4 및 7일 후(수요일, 금요일 및 다음 토요일)에, 8 J/㎠에서 UV-A 및 12 mJ/㎠에서 UV-B로 조사(irradiation)를 수행하였다. 기니아 피그 피부에서 멜라노형성 지수로서 피부의 밝기(L* 값)가 색차계(color-difference meter)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밝기의 감소량을 흑화도의 지수로 사용하였다. 밝기와 관련하여, 더 큰 L* 값은 더 흰 색상을 나타낸다. 시험 시작일로부터 멜라노형성에 기인한 밝기에서 변화량(ΔL* 값)의 절대값이 비교되었다. α-리포산을 함유하지 않은 물만 적용한 기니아 피그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가 적용된 그룹은 대조군에 비하여 밝기에서 보다 적은 감소를 나타내었고, 즉 전체 시험 기간 동안 내내 피부의 흑화가 억제되었다. 시험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ΔL* 값의 절대값은 대조군은 8.3이었고, 반면에 상기 절대값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가 적용된 그룹에 대하여 6.6이었다.
하기 표 5 및 도 4에서, 0일 후(월일), 4일 후(금요일), 7일 후(월요일) 및 9일 후(수요일)에 측정된 ΔL* 값의 절대값이 개시되어 있다. α-리포산 나노입자가 피부로 흡수되고 자외선에 의해 야기되는 색소침착을 억제할 수 있음이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수득된 결과에 의해 확인되었다.
시료
시간(일)
0 4 7 9
대조군(물) 0 3.0 7.8 8.3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분산액 0 2.0 6.3 6.6
(시험예 4: 광노화 모델 마우스에서 피부 보습, 장벽 기능 및 주름으로부터 회복에 대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영향을 입증하기 위한 시험)
헤어리스 마우스(hairless mouse)의 등 부분을 2달 동안 매주 5일을 일일 55 mJ/㎠에서 UV-B로 조사함으로써, 광노화 모델 마우스를 만들었다. 실시예 3A에서 수득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분산액(α-리포산 350㎍ 함유)을 1달 동안 매주 5일씩(즉,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적용하고, 토요일 및 일요일에는 적용하지 않음) 일일 1회 일일당 80 mg의 양으로 상기 마우스에 적용하였다. 적용 시작시와 적용 완료시에, 상기 마우스의 피부를 외관 검사하여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각질층의 수분의 양 및 경피 수분 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여, 주름 상태 및 각질층 수분 및 피부 장벽 기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 및 도 5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를 적용한 그룹은 적용 시작 시에 비하여 각질층에서 수분의 양이 회복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대조군(α-리포산을 함유하지 않는 물만 유사하게 적용함)은 각질층에서 수분의 양이 회복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 완료 시까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를 적용한 그룹에 대하여 각질층의 수분의 양은 18.2(μs)이었고, 반면에 대조군에 대하여 상기 양은 5.6(μs)이었다. 게다가, 시험 마지막 날에 TEWL 값은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를 적용한 그룹에 대해 15.7(g/h·㎡)이었고, 반면에 TEWL 값은 대조군에 대해 32.6(g/h·㎡)이었다. 따라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를 적용하는 경우, 피부의 장벽 기능의 회복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주름의 리플리카(replica) 사진이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시험 시작 시와 비교된 주름 상태의 임의의 변화는 대조군에서는 인식되지 않았으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를 적용한 그룹에서, 주름의 분명한 감소를 알 수 있었다. 상기 개시된 결과로부터 하기 효과가 확인되었다. α-리포산 나노입자는 피부로 흡수되고, 이들 나노입자는 광노화된 피부 상태를 건강한 상태로 돌려놓는다.
각질층에서 수분량

시간(일)
1 30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분산액 8.9 18.2
대조(물) 7.2 5.6
(측정예 2: 입자 크기의 측정)
실시예 22A에서 제조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의 용액은, 광분산 광도계(Otsuka Electronics Co., Ltd., FPAR1000)로 입자 크기의 측정을 수행시켰다. 그 결과, 실시예 22A에서 제조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의 입자 크기는 약 20 nm인 것이 확인되었다. 입자 크기는,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 및 이온-교환수를 사용한 경우 둘 다 거의 동일하였다. 광분산 광도계(Otsuka Electronics Co., Ltd., FPAR1000)을 사용하여 측정된, 증류수를 사용하여 실시예 22A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입자 크기 분포 결과는 도 7에 개시되어 있다.
(측정예 3: 입자 크기의 측정)
실시예 29A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용액의 입자 크기를 광분산 광도계(Otsuka Electronics Co., Ltd., FPAR1000)로 측정하였다. 상기 용액이 완전히 투명하다는 사실과 입자 크기의 측정 결과로부터, 실시예 29A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주 입자가 약 12 nm의 평균 입자크기를 갖는, 200 nm 내지 17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약한 클러스터를 형성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입자 크기는,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와 이온-교환수를 사용한 경우 둘 다 거의 동일하였다. 상기 광분산 광도계(Otsuka Electronics Co., Ltd., FPAR1000)로 측정한 바와 같이, 실시예 29A에서 이온-교환수를 사용하여 제조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의 입자 크기의 분포 결과는 도 8에 개시된다.
(측정예 4: 입자 크기의 측정)
각각 실시예 24A, 24B, 25A, 25B, 33A, 33B, 36A 및 36B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용액에 대하여, 입자 크기를 광분산 광도계(Otsuka Electronics Co., Ltd., FPAR1000)로 측정하였다.
측정예 1 내지 4에서 측정된 각각의 α-리포산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nm)는 하기 표 7에 요약되어 있다.
평균 입자 크기(nm)
실시예 1A, B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10
비교예 1A α-리포산-분산액 760
실시예 22A, B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19.3
실시예 24A, B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17.8
실시예 25A, B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55.9
실시예 29A, B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109.2
실시예 33A, B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82.7
실시예 36A, B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11
(시험예 5: 제제의 열안정성 시험)
실시예 22A에서 제조된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및 비교예 22-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 분산액(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둘 다 첨가하지 않음)을 각각 60℃에서 저장하고(가열하에서 저장), 용액 내의 α-리포산의 양을 3주까지 매주 1회 HPLC로 분석하였다. 가열하에서 저장된 후 α-리포산의 양을 가열 전 α-리포산의 양으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하여 α-리포산의 잔량 비율을 계산하였다. α-리포산의 잔량 비율의 결과는 하기 표 8 및 도 9에 제시된다. 기호 ■는 비교예 22-1A의 α-리포산 분산액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기호 □는 실시예 22A의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경과 시간(일) 0 7 14 21
잔량 비율(%) 비교예 22-1A의 α-리포산 분산액 100.0 97.5 93.9 82.1
실시예 22A의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100.0 98.4 97.2 88.7
그 결과, 60℃에서 3주 동안 저장한 후,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2-1A에서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는 약 18%의 감소를 나타내지만, 실시예 22A의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에서, α-리포산의 감소는 약 11%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제는 α-리포산의 안정성면에서 매우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제제의 열안정성 시험)
실시예 29A에서 제조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및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22-2A에서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를 각각 60℃에서 저장하고, 이 용액 중의 α-리포산의 양을 3주까지 매주 1회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가열하에서 저장된 후 α-리포산의 양을 가열 전 α-리포산의 양으로 나누고, 그 결과에 100을 곱하여 α-리포산의 잔량 비율을 계산하였다. α-리포산의 잔량 비율의 결과는 하기 표 9 및 도 10에 제시된다. 기호 ■는 비교예 22-2A의 α-리포산 나노입자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기호 △는 실시예 29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경과 시간(일) 0 7 14 21
잔량 비율(%) 비교예 22-2A의 α-리포산 분산액 100.0 99.6 95.3 86.6
실시예 29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100.0 98.1 96.1 91.5
그 결과, 60℃에서 3주 동안 저장한 후, 염화마그네슘과 탄산나트륨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2-2A에서 제조된 α-리포산 나노입자는 약 13%의 감소를 나타내지만, 실시예 29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에서, α-리포산의 감소는 약 8%로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제는 α-리포산의 안정성면에서 매우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전구지방세포(preadipocyte)의 분화와 연관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기능에 대한 시험)
1.5 ml의 D-MEM 배지(10% FC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및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이 공급된 D-MEM 배지, 모두 최종 농도)를 3.5 cm 직경의 플라스틱 페트리 디쉬에 첨가하였다. 이에, 전구지방세포(preadipocyte)인 5.0 × 104 세포의 3T3-L1 세포를 현탁하고, 3일 동안 예비배양하여 융합 상태로 만들었다. 그 후, 상기 배지를 3 ml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10% FC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5 ㎍/ml의 인슐린, 0.25 μM의 덱사메타존 및 0.5 mM의 이소부틸-메틸잔틴(IBMX)이 공급된 D-MEM, 모두 최종 농도)로 대체하였다. 2일 후, 배지를 3 ml의 동일한 조성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로 대체한 후, 2일 동안 배양하였다. 따라서,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에서 배양은 총 4일 동안 수행되었다. 상기 배양 동안, 실시예 20A의 α-리포산 용액 또는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용액을 상기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에 첨가하여 0, 100, 250 또는 500 μM의 α-리포산 농도를 만들었다. 모든 배양은 5% CO2 및 37℃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었다.
수득되는 배양된 세포에서 축적된 지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세포를 1 ml의 PBS 완충 용액으로 세정한 후, 세포를 중성의 완충된 포르말린으로 5분 동안 고정시켰다. 세포를 추가로 70% 에탄올 용액 및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이어서, 1 ml의 오일 레드 오(Oil Red O) 용액(포화 오일 레드 오/이소프로판올 용액 및 증류수를 6:4의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여과함으로써 제조된 염색 용액)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정치시켰다. 염색 용액을 제거하고, 염료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을 때까지 세포를 70% 에탄올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그 후, 0.75 ml의 4% Nonidet P-40/이소프로판올 용액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염료를 용리시켰다. 이 용액의 전부를 회수하고 520 nm 파장에서 흡광율을 분광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α-리포산의 첨가는 지질 축적의 감소를 야기하는 반면에,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첨가는 세포에서 지질의 축적시키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1). 즉,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미성숙 지방세포 내로 당을 효율적으로 도입시키는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α-리포산 나노입자는 상술된 시험에서 당의 도입을 가속시키기 때문에, α-리포산 나노입자 단독으로는 인식할 수 없었던,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α-리포산 나노입자에 대하여 기대될 수 있고, 이는 당뇨병에 대한 치료 약물로서 상기 나노입자의 유용성을 나타낸다.
(시험예 8: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분화와 관련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기능에 대한 시험)
1.5 ml의 D-MEM 배지(10% FC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및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이 공급된 D-MEM 배지, 모두 최종 농도)를 3.5 cm 직경의 플라스틱 페트리 디쉬에 첨가하였다. 이에, 전구지방세포인 5.0 × 104 세포의 3T3-L1 세포를 현탁하고, 3일 동안 예비배양하여 융합 상태로 만들었다. 그 후, 상기 배지를 3 ml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10% FC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5 ㎍/ml의 인슐린, 0.25 μM의 덱사메타존 및 0.5 mM의 이소부틸-메틸잔틴(IBMX)이 공급된 D-MEM, 모두 최종 농도)로 대체하고, 배양을 4일 동안 수행하여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후, 배지를 지방세포 성숙 배지(10% FC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및 5 ㎍/ml의 인슐린이 공급된 D-MEM, 모두 최종 농도)로 대체하고, 7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시험 배지로 대체하고, 배양을 추가로 4일 동안 수행하였다. 시험 배지는 α-리포산 용액 또는 실시예 20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용액을 상기 지방세포 성숙 배지에 첨가하여 0, 100, 250 또는 500 μM의 α-리포산 농도를 만듦으로써 제조되었다. 각각의 배지는 배양 동안 매일 동일한 배지로 대체되었다. 모든 배양은 5% CO2 및 37℃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었다.
수득되는 배양된 세포에서 축적된 지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세포를 1 ml의 PBS 완충 용액으로 세정한 후, 세포를 중성의 완충된 포르말린으로 5분 동안 고정시켰다. 세포를 추가로 70% 에탄올 용액 및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이에, 1 ml의 오일 레드 오 용액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정치시켰다. 염색 후, 염료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을 때까지 세포를 70% 에탄올 용액으로 세정하였다. 이에, 0.75 ml의 4% Nonidet P-40/이소프로판올 용액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염료를 용리시켰다. 이 용액의 전체 분량을 회수하고, 520 nm 파장에서 흡광율을 분광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지질의 축적의 감소를 야기하는 α-리포산-첨가된 그룹에서 지질 축적 양은 미첨가된 그룹의 지질 축적 양과 거의 구별되지 않았으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가 첨가된 그룹에서 세포 내의 지질의 축적 작용은 인식되었다(도 12). 즉, 시험예 7과 유사하게,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성숙된 지방세포로 당을 효율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작용을 갖는다는 점이 나타난다. 특히, 지방세포에 대하여, 분화의 모든 단계에서 지질의 축적을 허용하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수득된 결과로부터, α-리포산 나노입자 단독으로는 인식될 수 없었던,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α-리포산 나노입자에 대하여 기대될 수 있고, 이는 당뇨병에 대한 치료 약물로서 상기 나노입자의 유용성을 나타낸다.
(시험예 9: 배양 배지에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안정성 분석 및 상기 나노입자의 세포내 위치측정(localization))
시험예 7에서 개시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양을 수행하였다. α-리포산 및 실시예 20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를 각각 250 μM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상기 세포의 배양 배지의 상등액 전체 분량을 회수하여, 배양 상등액 분획으로 표시하였다. 세포를 추가로 PBS 완충 용액으로 세정한 후, 세포의 회수 및 세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세포를 원심분리에 의해 침전시키고, 세포를 500 μL의 정제수에 현탁하고, 초음파처리로 파괴시켰다. 이 파괴된 세포 유체를 15000 rpm(분당 회전수)에서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회수하여 세포 파괴 유체 분획으로 표시하였다. 각 분획의 잔류 α-리포산 농도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세포 파괴 유체 분획에서 농도 면에서는 어떠한 차이도 인식할 수 없었다(도 13). 그러나, 배양 상등액 분획에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를 첨가한 실험군에 대해 α-리포산 잔류량이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도 14). 상기 수득된 결과로부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배양 배지 내에서 상당히 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시험예 7에서 관측된 바와 같이 α-리포산 및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사이에 작용상의 차이점은 세포 내의 α-리포산 농도상의 차이점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에 의해 가지게 되는 물리화학적인 특성상의 차이점에 기인하는 것임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10: 주름 모델 마우스에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적용의 주름-방지 효과에 대한 시험)
헤어리스 마우스(Hr/kud, 9주, 수컷)를 자외선 광선으로 조사시킴으로써, 주름 모델 마우스를 만들었다. 상기 주름 모델의 제조에서, 상기 마우스는 13주 이상(5일/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자외선 광선으로 조사되어, UVA 및 UVB의 총 노출량이 각각 148.99 J/㎠ 및 3.49 J/㎠이었다. 주름 모델을 만든 후, 0.01% α-리포산을 함유하는 시판중인 화장품 및 실시예 21A의 0.0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함유 수성 분산액을, 매주 5회씩(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매회 30 mg/㎠/일의 양으로 마우스의 등 부분에 적용하였고, 이를 6주 동안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어떠한 제제도 적용하지 않고 6주 동안 사육된 마우스의 미적용 그룹, 및 UV 방사에 의해 주름 형성을 당하지 않은 채, 상기 다른 그룹과 동시에 사육된 마우스의 미처리 그룹이 사용되었다. 만들어진 주름 모델은 리플리카 방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도 15에 제시된 원래 설정된 스코어링 기준을 근거로, 주름의 정도는 시각 검사로 비교되었고, 주름 모델 마우스의 스코어링이 수행되었다. 게다가, 마우스 등 피부에 파라핀-엠베딩된 구획을 만들어, 히알루론산으로 염색함으로써 그의 총량을 비교하였다. 히알루론산으로 염색하는 것은 바이오틴-표시된 히알루론산-결합된 단백질(바이오틴-표시된 HABP, 세이카가쿠(Seikagaku) 사)을 탐지자로서 사용하고 스트렙타비딘-표시된 형광 염료(Cy3 스트렙타비딘, 잭슨 이뮤노리서치 래버러토리즈(Jackson Imunoresearch Laboratories))에 의해 측정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6주 동안 적용이 수행된 마우스 등 부분의 리플리카의 분석법으로부터, 0.01% α-리포산-함유 시판품과 비교 시, 0.0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함유 수성 분산액이 적용된 그룹에서, 보다 높은 주름 개선 효과가 관측되었다(도 16). 스코어링에서도 주름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표 10).
동일한 마우스 피부 구획의 히알루론산으로의 염색이 수행되었고, 그 결과 0.01% α-리포산-함유 시판품 또는 미적용 그룹에서 히알루론산의 감소가 관측되었지만, 0.0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가 적용된 그룹에서 미처리 그룹의 결과와 동일한 정도의 히알루론산의 축적이 관측되었다(도 17). 진피에서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주름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시된 결과로부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자외선 광선에 의해 손상된 진피층에서 세포외 매트릭스인, 히알루론산의 양의 증가 작용을 가지며, 주름은 이러한 효과에 의해 개선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적용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
시험 그룹 테스트 전 6주 후
주름 모델 α-리포산 나노입자(n=5) 2.94±0.75 2.40±0.59
시판품(n=6) 3.00±0.71 2.63±0.77
미적용(n=5) 3.00±0.70 3.04±0.61
미처리(n=5) 1.00±0.00 1.03±0.07
평균±표준편차
(시험예 1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의 적용에 의한 사람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한 시험)
30대인 남성 대상(대상 1)에게, 매일 2회씩 얼굴의 반쪽에 0.01%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그리고 얼굴의 나머지 반쪽에 실시예 21A의 0.0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함유 수성 분산액을 균일하게 적용하게 하였다. 또한, 50대인 여성 대상(대상 2)에게, 매일 얼굴의 반쪽에 실시예 21A의 0.0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함유 수성 분산액을 균일하게 적용하게 하고, 얼굴의 나머지 반쪽은 미적용으로 남겨두었다. 시험 기간은 각각 16주이고, 주름의 평가는 시험 전 및 16주 후에 눈가의 잔주름 면적에 리플리카를 제조함으로써 수행되었다.
그 결과, 상기 두 대상에서, 0.01%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적용하거나 미적용한 반대쪽 면과 비교시 0.01%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함유 수성 분산액을 적용한 면에서 주름의 개선이 관측되었다(도 18). 상기 제시된 결과로부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사람의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12: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에 의한 히알루론산 축적에 대한 시험)
3 ml의 D-MEM 배지(10% FC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및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이 공급된 D-MEM 배지, 모두 최종 농도)를 6.0 cm 직경의 플라스틱 페트리 디쉬에 첨가하였다. 이에, 전구지방세포인 1.5 × 105 세포의 3T3-L1 세포를 현탁하고, 3일 동안 예비배양하여 융합 상태로 만들었다. 그 후, 상기 배지를 3 ml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10% FCS, 100 units/ml의 페니실린, 100 ㎍/ml의 스트렙토마이신, 5 ㎍/ml의 인슐린, 0.25 μM의 덱사메타존 및 0.5 mM의 이소부틸-메틸잔틴(IBMX)이 공급된 D-MEM, 모두 최종 농도)로 대체하였다. 2일 후, 배지를 3 ml의 동일한 조성의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로 대체한 후, 배양을 2일 동안 수행하였다. 따라서, 배양은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에서 총 4일 동안 수행되었다. α-리포산 용액 또는 실시예 50A의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 용액을 상기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배지에 첨가하여 0, 100, 250 또는 500 μM의 α-리포산 농도로 만들었다. 배양 후, 1 ml의 PBS 완충 용액을 배양 상등액이 제거된 페트리 디쉬에 첨가하고, 세포를 세포 스크레이퍼로 수확하였다. 수확된 세포를 초음파처리로 파괴시켜 세포 파괴 유체를 생성하였다. 상기 유체에 함유된 히알루론산의 양을 효소-연결 면역흡수 분석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정량하였다. 히알루론산 ELIS의 실험법은 애니카 제이콥슨(Annica Jacobson) 등의 문헌 [Int. J. Cancer, 102:212-219 (2002)]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모든 배양은 5% CO2 및 37℃의 조건 하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α-리포산-첨가된 그룹과 비교시,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가 첨가된 그룹이 보다 높은 히알루론산의 양을 나타냈다(도 19). 상기 개시된 결과로부터, 시험예 7과 유사하게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성숙된 지방세포로 당을 효율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작용을 갖는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특히, 지방세포에 대하여, 분화의 모든 단계에서 지질의 축적을 허용하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수득된 결과로부터,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히알루론산이 세포 표면에 축적되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는 α-리포산-MgCO3 나노입자는 피부의 진피층의 수분 보유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관절의 연골 세포 표면에 히알루론산을 축적시키고 농축시킴으로써 관절 연골 조직 사이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기대되고, 이로써 골관절염의 치료 약물로서 상기 나노입자의 유용성도 역시 나타내었다.
α-리포산 나노입자 단독으로는 인식될 수 없었던, 혈중 글루코즈 수준을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α-리포산 나노입자에 대하여 기대될 수 있고, 이는 당뇨병에 대한 치료 약물로서 상기 나노입자의 유용성을 제안한다.
(실시예 51: 외부 사용을 위한 연고의 제조)
외부 사용을 위한 연고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1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외부사용을 위한 연고 제제
실시예 7A의 α-리포산-인산 Ca 나노입자 페이스트 5.0 중량부
백색 바셀린(White petrolatum) 93.5 중량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2 중량부
메틸파라벤 0.3 중량부
총량 100.00 중량부
(실시예 52: 화장 에멀젼의 제조)
화장 에멀젼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2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화장 에멀젼 제제
실시예 14A의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분산액 0.10 중량부
세틸 알코올 1.5 중량부
바셀린 12.00 중량부
액체 파라핀 8.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1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0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1500) 3.00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1.00 중량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30 중량부
아황산 수소 나트륨 0.01 중량부
카복시비닐 폴리머 0.05 중량부
적정량
메틸파라벤 적정량
밸런스
총량 100.00 중량부
(실시예 53: 치약의 제조)
치약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3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치약 제제
실시예 10B의 α-리포산-ZnCO3 나노입자 분산액 2.00 중량부
인산 수소 칼슘 45.00 중량부
글리세린 8.00 중량부
소르비톨 20.00 중량부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1.00 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이트 1.50 중량부
사카린 소듐 0.01 중량부
향미 1.00 중량부
소듐 벤조에이트 0.30 중량부
밸런스
총량 100.00 중량부
(실시예 54: 정제의 제조)
정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4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정제 제제
폴리덱스트로오스 9.7 중량부
당 에스터 2.0 중량부
향미 0.3 중량부
소르비톨 27.0 중량부
팔라티노오스 60.0 중량부
실시예 1A의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페이스트 1.0 중량부
총량 100.0 중량부
(실시예 55: 주사액의 제조)
주사액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5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주사액 제제
일본 약전의 생리 식염수 95.0 중량부
실시예 1A의 α-리포산-CaCO3 나노입자 페이스트 5.0 중량부
총량 100.0 중량부
(실시예 56: 스킨 토너의 제조)
스킨 토너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6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스킨 토너 제제
실시예 22A의 α-리포산-Ca 나노입자 분산액 1.0 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1.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1.0 중량부
글리세린 1.0 중량부
1% 히알루론산 1.0 중량부
메틸파라벤 0.1 중량부
94.9 중량부
총량 100.0 중량부
(실시예 57: 피부용 외부 로션의 제조)
피부용 외부 로션은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7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로션 제제
실시예 22B의 α-리포산-Ca 나노입자 분산액 5.0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3.0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 중량부
잔탄 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2.0 중량부
1% 히알루론산 Na 2.0 중량부
덱스트린 0.8 중량부
메틸파라벤 0.2 중량부
86.7 중량부
총량 100.0 중량부
(시험예 13: UV-B 조사에 기인하는 헤어리스 마우스 피부의 장벽 기능의 감소에 대한 α-리포산-함유 피부용 외부 로션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시험)
헤어리스 마우스(Hos: HR-1, 25주, 수컷)의 등 부분에 70 mJ/㎠에서 UV-B를 1회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실시예 57에서 수득된 α-리포산-Ca 나노입자-함유 피부용 외부 로션을 연속적으로 4일 동안 일일 1회씩, 일일 100 ㎕를 사용하여 상기 마우스에 적용하였다. 경피 수분 손실량(TEWL)을 자외선 조사 직후, 자외선 조사로부터 4일째, 5일째에 측정하여, 피부 장벽 기능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자외선 조사 직전의 TEWL로부터 각 측정일의 TEWL로의 TEWL 값의 증가량은 ΔTEWL로 정의되고, 이는 피부 장벽 기능에서 감소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표 1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측정일에 대하여, 대조군(α-리포산을 함유하지 않고 물만 유사하게 적용됨, n=3)에 대한 TEWL 값의 증가보다 α-리포산-Ca 나노입자-함유 피부용 외부 로션을 적용한 그룹(n=3)은 TEWL 값의 증가가 억제되었고, 즉 피부 장벽 기능의 감소가 억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제시된 결과로부터, α-리포산-Ca 나노입자-함유 피부용 외부 로션이 자외선 조사 후 피부 상에 작동하고, 자외선 자극으로 인한 피부의 기능적 장애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경과 시간(일) 0 3 4
ΔTEWL
(g·㎡/h)
평균 값
증류수를 적용한 그룹 0 63.2 165.4
실시예 57의 α-리포산-Ca 나노입자-함유 피부용 외부 로션을 적용한 그룹 0 31.9 137.0
(실시예 58: 드링크 조제의 제조)
드링크 조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19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드링크 조제 제제
실시예 22B의 α-리포산-Ca 나노입자 분산액 10.0 중량부
수크로오스 27.0 중량부
밸런스
총량 100.0 중량부
상기 기재된 표 19에서 α-리포산-Ca 나노입자 분산액을 최소량의 0.25 M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α-리포산을 중화하고 용해함으로써 수득된 1% 수용액으로 대체하여 비교품을 제조하였다. 5명의 전문 패널리스트가 실시예 58의 드링크 조제 및 비교품의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전원이 본 실시예의 드링크 조제가 비교품에 비하여 α-리포산에 의해 야기되는 유황 냄새 및 혀의 얼얼한 느낌이 감소되고, 따라서 탁월한 식감을 갖는다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59: 청량 음료의 제조)
청량 음료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법에 따라 하기 표 20에 제시된 제제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청량 음료 제제
실시예 29B의 α-리포산-Mg 나노입자 분산액 10.0 중량부
수크로오스 9.0 중량부
구연산 1.4 중량부
말산 0.5 중량부
밸런스
총량 100.00 중량부
상기 기재된 표 20에서 α-리포산-Mg 나노입자 용액을 최소량의 0.25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α-리포산을 중화하고 용해함으로써 수득된 1% 수용액으로 대체하여 비교품을 제조하였다. 5명의 전문 패널리스트가 실시예 59의 청량 음료 및 비교품의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전원이 본 실시예의 청량 음료(드링크 조제)가 비교품에 비하여 α-리포산에 의해 야기되는 유황 냄새 및 혀의 얼얼한 느낌이 감소되고, 따라서 탁월한 식감을 갖는다고 평가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사용하여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들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해당 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태양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설명 및 기술 상식을 근거하여 동일한 범주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 인용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문헌은 그 내용 자체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그 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서 인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α-리포산이 다가금속 무기염의 코팅으로 코팅되기 때문에, 물에 용해된 투명 용액의 형태를 유지하고 덜 자극적이다. 따라서, 피하 및 정맥 주사 제제의 형태로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외부 제제의 형태로 적용됨으로써, 또는 구강용 조성물의 형태로 잇몸과 같은 구강 점막을 통하여 투여되는 경우, 상기 나노입자는 만족스럽게 경피적으로 흡수되고, 나노입자가 자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염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α-리포산은 지속 방출 방식으로 나노입자로부터 방출되고, 따라서 자외선 자극에 기인한 피부의 활성화, 광노화의 억제, 광노화로부터 회복, 및 멜라노형성의 억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음식에 사용되는 경우, α-리포산의 유황 냄새 특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선호되는 제품으로서 가치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α-리포산의 배합의 양이 또한 증가된다. 따라서, 보다 쉽게 α-리포산의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매우 큰 비표면을 갖기 때문에, 체내로 매우 만족스럽게 흡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음료와 같은 다양한 음식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9)

  1.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수성 분산액 속에 2가 금속염을 첨가하는 단계, 여기서 2가 금속염은 2가 금속 할로겐화물, 2가 금속 아세트산염 또는 2가 금속 글루콘산염이며; 그리고
    2가 금속염이 첨가된 수성 분산액 속에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첨가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얻기 위해 액체 형태인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α-리포산을 용해하는 단계; 및
    수성 분산액을 얻기 위해 계면활성제 용액에 물 또는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 α-리포산, 알칼리성 물질 및 물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α-리포산-함유 수성 분산액 속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브롬화칼슘, 불화칼슘, 요오드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브롬화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염화아연, 브롬화아연, 불화아연, 요오드화아연, 아세트산칼슘,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아연, 글루콘산칼슘, 글루콘산마그네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2가 금속염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글루콘산아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인산나트륨 및 인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 탄산염 또는 알칼리 금속 인산염은 탄산나트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10 이상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옥틸 도데실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스테아릴 에터, 폴리옥시에틸렌(10 내지 20의 중합도) 폴리옥시프로필렌(4 내지 8의 중합도) 세틸 에터, 폴리옥시에틸렌(20 내지 100의 중합도) 수소화 캐스터 오일 및 수크로오스 라우르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α-리포산과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에 α-리포산을 용해하기 전에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속에 혼합되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물이 계면활성제 용액에 물을 함유하는 액체를 첨가하는 단계에서, 물을 함유하는 액체로 사용되는 방법.
  12. α-리포산,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 2가 금속 이온 및 탄산염 이온 또는 인산염 이온을 포함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13. 제 12 항에 있어서,
    2가 금속 이온은 칼슘 이온, 아연 이온 또는 마그네슘 이온인 α-리포산 나노입자들.
  14. 제 12 항에 있어서,
    비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터,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15. 제 12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α-리포산 나노입자들.
  16. 제 12 항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17. 제 12 항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약품.
  18. 제 12 항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
  19. 제 12 항에 따른 α-리포산 나노입자들을 포함하는 식품.
KR1020107015636A 2007-12-14 2008-12-12 α-리포산 나노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1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24041 2007-12-14
JP2007324041 2007-12-14
PCT/JP2008/072699 WO2009078366A1 (ja) 2007-12-14 2008-12-12 α-リポ酸ナノ粒子およびその調製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660A KR20100101660A (ko) 2010-09-17
KR101441523B1 true KR101441523B1 (ko) 2014-09-17

Family

ID=4079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636A KR101441523B1 (ko) 2007-12-14 2008-12-12 α-리포산 나노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79874B2 (ko)
EP (1) EP2241314B1 (ko)
JP (2) JP4647706B2 (ko)
KR (1) KR101441523B1 (ko)
CN (1) CN101945654B (ko)
CA (1) CA2707010A1 (ko)
WO (1) WO2009078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335A1 (ja) * 2009-05-29 2010-12-02 江崎グリコ株式会社 α-リポ酸ナノ粒子を含有する、ターンオーバー促進用組成物
WO2012165468A1 (ja) * 2011-05-31 2012-12-06 学校法人 聖マリアンナ医科大学 親油性化合物を高濃度で含有する液晶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液晶組成物
US20140155359A1 (en) * 2011-07-15 2014-06-05 Prayon Formulation of transparent and nutritive microemulsions
ITMI20111452A1 (it) * 2011-07-29 2013-01-30 Istituto Biochimico Naz Sav Io Srl Soluzione basica di acido alfa-lipoico e suoi usi
KR101504907B1 (ko) * 2013-01-29 2015-03-25 코스맥스 주식회사 알파리포산을 함유하는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131A (ko) 2013-02-05 2015-11-25 1글로브 헬스 인스티튜트 엘엘씨 약물 전달 담체로서 생체분해가능하고 임상적으로 상용가능한 나노입자
CN103226103B (zh) * 2013-04-04 2015-02-04 哈尔滨师范大学 一种汞离子比色检测探针及其应用方法
JP2015105249A (ja) * 2013-11-29 2015-06-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化粧料
CN103690492A (zh) * 2013-12-16 2014-04-02 常熟富士莱医药化工有限公司 一种硫辛酸颗粒的制备方法
JP2016088902A (ja) * 2014-11-07 2016-05-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徐放担体
WO2016098857A1 (ja) 2014-12-19 2016-06-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剤
WO2016160436A1 (en) * 2015-03-27 2016-10-06 Andrew Teng Tiny particles for control-rele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421131A1 (en) * 2017-06-30 2019-01-02 Blink AG A sample cartridge for incubating and/or analyzing a dispersion of particles, cells or droplets
JP2019069912A (ja) * 2017-10-06 2019-05-09 株式会社シャネル化粧品技術開発研究所 非水系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553458B (zh) * 2018-04-25 2020-06-30 四川大学 一种抗肿瘤纳米药物
EP3860581A4 (en) * 2018-10-06 2022-07-20 Btv Holding, Llc CYSTEAMINE ZINC COMPLEX AND METHODS OF USE OF A CYSTEAMINE ZINC COMPLEX
US10799455B1 (en) 2019-11-11 2020-10-13 King Abdulaziz University Micellles containing alpha lipoic acid as a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JP7333751B2 (ja) * 2019-12-20 2023-08-25 ライオン株式会社 ヒト抗菌ペプチド産生促進剤
CN114010522B (zh) * 2021-12-22 2023-10-13 郑州大学 一种硫辛酸混合胶束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637203A (zh) * 2022-02-15 2023-08-25 四川大学 硫辛酸纳米粒子在制备氧化应激相关疾病治疗药物中的应用
CN115844892B (zh) * 2022-09-21 2024-04-19 中国药科大学 二硫键修饰的纳米聚集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9412A2 (en) 2004-03-17 2005-09-29 Takemoto Arnold C Tissue detoxification and health supp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JP2006219467A (ja) 2005-02-10 2006-08-24 Oriza Yuka Kk 脂肪蓄積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2833A1 (de) * 2000-08-30 2002-03-14 Basf Ag Feste Zubereitungen mit einer Multi-Kern Struktur
US7998507B2 (en) * 2000-09-21 2011-08-16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Nanoparticulate composition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MAP) kinase inhibitors
ES2324400T3 (es) 2001-02-11 2009-08-06 Aquanova Ag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un concentrado de isoflavonas.
US20030054042A1 (en) 2001-09-14 2003-03-20 Elaine Liversidge Stabilization of chemical compounds using nanoparticulate formulations
AU2003261167A1 (en) * 2002-07-16 2004-02-02 Elan Pharma International, Ltd Liquid dosage compositions of stable nanoparticulate active agents
JP5285201B2 (ja) 2002-09-25 2013-09-11 株式会社ナノエッグ レチノイン酸ナノカプセル
JP4716666B2 (ja) 2003-05-21 2011-07-06 有限会社オガ リサーチ α−リポ酸含有水性製剤
JP2005037267A (ja) 2003-07-16 2005-02-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パルスレーザ装置の出力モニタ方法及び装置
JP2005037268A (ja) 2003-07-16 2005-02-10 Cosmo Instruments Co Ltd 流量検査装置
JP2005070413A (ja) 2003-08-25 2005-03-17 Alps Electric Co Ltd ホルダ付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9589A (ja) 2003-09-03 2006-08-03 Ltt Bio-Pharma Co Ltd 生理活性タンパク質またはペプチドを含有する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ナノ粒子からなる外用剤
KR101089534B1 (ko) 2003-10-15 2011-12-05 가부시키가이샤 나노에그 다가 금속 무기염 피복 레티노인산 나노입자의 입경의조정방법 및 당해 조정방법에 의해 얻어진 나노입자
EP1674094A4 (en) * 2003-10-15 2009-12-09 Nanoegg Res Lab Inc COMPOSITION CONTAINING RETINOIC ACID NANOPARTICLES COATED WITH A VERSATILE METAL INORGANIC SALT
CA2549966A1 (en) * 2003-12-24 2005-07-07 Ltt Bio-Pharma Co., Ltd. Drug-containing nanoparticl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arenterally administered preparation from the nanoparticle
US20080274193A1 (en) * 2004-01-23 2008-11-0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Retinoic Acid-Containing Antidiabetic Agent
JP2006028031A (ja) 2004-07-12 2006-02-02 Ltt Bio-Pharma Co Ltd 経粘膜吸収用薬物封入ナノ粒子
DE502005008953D1 (de) * 2004-08-18 2010-03-18 Aquanova Ag Liponsäure-konzentrat
EP1797109B1 (en) * 2004-09-09 2016-02-24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Mixtures of polypept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JP4849792B2 (ja) 2004-09-14 2012-01-11 オリザ油化株式会社 美容用組成物
JP2006129841A (ja) 2004-11-09 2006-05-25 Nof Corp α−リポ酸含有水性組成物
JP2006257010A (ja) 2005-03-16 2006-09-28 Yokohama Yushi Kogyo Kk α−リポ酸水溶性組成物、それを含む飲食品、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EP1897539B1 (en) * 2005-06-24 2012-10-31 Kaneka Corporation Anti-fatigue composition
JP2007016000A (ja) 2005-07-11 2007-01-25 Taiyo Kagaku Co Ltd チオクト酸含有組成物
JP2007091686A (ja) 2005-09-30 2007-04-12 Ltt Bio-Pharma Co Ltd ヒノキチオールを含有するナノ粒子
JP2007302570A (ja) 2006-05-08 2007-11-22 Fancl Corp チオクト酸を含有する徐放性製剤
JP4997449B2 (ja) 2007-01-31 2012-08-0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超臨界流体を用いた油脂コーティング複合化粒子の製法及び複合化粒子
US20090131537A1 (en) * 2007-11-14 2009-05-21 Wille Jr John Jacob Wound healing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9412A2 (en) 2004-03-17 2005-09-29 Takemoto Arnold C Tissue detoxification and health supp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JP2006219467A (ja) 2005-02-10 2006-08-24 Oriza Yuka Kk 脂肪蓄積阻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45654A (zh) 2011-01-12
JP2011063606A (ja) 2011-03-31
JPWO2009078366A1 (ja) 2011-04-28
EP2241314B1 (en) 2013-04-17
JP5547612B2 (ja) 2014-07-16
KR20100101660A (ko) 2010-09-17
JP4647706B2 (ja) 2011-03-09
WO2009078366A1 (ja) 2009-06-25
US9079874B2 (en) 2015-07-14
EP2241314A1 (en) 2010-10-20
EP2241314A4 (en) 2012-08-08
CN101945654B (zh) 2012-06-27
CA2707010A1 (en) 2009-06-25
US20110065781A1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23B1 (ko) α-리포산 나노입자들 및 이의 제조 방법
TWI353861B (ko)
JP5191988B2 (ja) エステル化レシチンを用いたナノ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皮膚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US20160324747A1 (en) Low-toxicity sophorolipid-containing composition and use therefor
JP5271538B2 (ja) 皮膚再生促進剤
CN108348560A (zh) 包含水飞蓟素和磺烃基醚环糊精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JP6847871B2 (ja) ウロリチン類含有水溶液、その乾燥固形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ウロリチン類の安定化方法
JP4365437B2 (ja) ポリガンマグルタミン酸−ビタミン複合体及びその用途
Boskabadi et al. Topical gel of vitamin A solid lipid nanoparticles: a hopeful promise as a dermal delivery system
WO2013012197A2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5024924B2 (ja) 皮膚バリヤ機能改善剤
CN103070390B (zh) 纳米脂质载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22919B1 (ko) 인디루빈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3807926B2 (ja) アスコルビン酸類を含む皮膚外用剤
JP6787633B2 (ja) ウロリチン類含有水溶液、その乾燥固形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ウロリチン類の安定化方法および水溶化方法
JP2000159656A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
WO2010137335A1 (ja) α-リポ酸ナノ粒子を含有する、ターンオーバー促進用組成物
JPH09176030A (ja) 皮脂分泌促進剤
WO2021235275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JP3075438B2 (ja) 新規なアシル化ケフィラン及びその用途ならびに製造方法
JP2004035477A (ja) 老化防止剤又は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2047133A (ja) 老化防止剤
JP2014227395A (ja) 抗炎症剤、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抗アレルギー剤
JP2004075558A (ja) 美白改善用キット
JP2002275085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