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851B1 - 미끄럼 방지 타이어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851B1
KR101425851B1 KR1020130102836A KR20130102836A KR101425851B1 KR 101425851 B1 KR101425851 B1 KR 101425851B1 KR 1020130102836 A KR1020130102836 A KR 1020130102836A KR 20130102836 A KR20130102836 A KR 20130102836A KR 101425851 B1 KR101425851 B1 KR 10142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ble
tire
support ar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로그생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로그생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로그생각
Priority to KR102013010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851B1/ko
Priority to PCT/KR2014/008055 priority patent/WO20150305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3Vehicle mounted non-skid chains actuated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0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가 결빙되거나 도로에 빗물 등이 고여 있을 경우 탑승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면 타이어에서 미끄럼 방지 돌기가 돌출되어 지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제동거리가 짧아질 수 있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타이어{Nonskid tire}
본 발명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가 결빙되거나 도로에 빗물 등이 고여 있을 경우 탑승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면 타이어에서 미끄럼 방지 돌기가 돌출되어 지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제동거리가 짧아질 수 있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차량의 조향장치 축과 연결되는 휠의 외측면을 감싸며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다양한 무늬의 홈(trea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무늬의 홈은 타이어와 지면과의 접지력을 높여 차량의 제동거리 및 눈길, 빗길 등에서 차량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빗길 주행시 수막현상으로 차량의 제동력이 상실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타이어에 형성된 홈(tread)만으로는 눈길 및 빙판길 등을 주행할 때 지면과의 접지력이 떨어져 운전하는데 있어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의 타이어에는 다양한 돌기가 돌출 형성된 타이어가 제작되었으나 한정된 계절이나 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타이어를 자주 교체해야만 했고, 고속주행시 타이어와 지면과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상당한 피로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타이어를 교체하지 않고 타이어에 별도의 체인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제품이 제작되었으나 체인을 장착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며, 설치시 소음과 진동으로 인해 차량의 주요부품들이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한정된 장소나 특정한 계절에만 사용할 수 있는 타이어가 아닌 다양한 계절 및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도로와의 접지성능이 향상되어 운전자가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는 타이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8710호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등록일 2003.06.20)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7452호 '빙판길 주행용 보조장치' (공개일 2002.04.13) 3.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03365호 '사고방지에 도움이 되는 흡반의 이용방법' (공개일 1997.1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에 구비되는 타이어가 눈길, 빗길 및 결빙되어 있는 도로 등의 미끄러운 도로에서 브레이크를 밟을 때 타이어의 접지면에서 돌기가 돌출되어 지면과 타이어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제동거리가 짧아질 수 있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의 조작 이외에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돌기의 돌출여부를 조작할 수 있어 계절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고, 고속주행시 타이어의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제작된 미끄럼 방지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타이어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110); 상기 구동축(11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휠(200); 상기 휠(2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부타이어(300); 상기 내부타이어(3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홈(410)이 반복 형성되는 외부타이어(400); 마찰돌기(510)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홈(410)에 설치되되, 상면에 상기 마찰돌기(51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520)와 상기 상부케이스(520)에 삽입되는 하부케이스(530)와 상기 상부케이스(520) 및 하부케이스(530) 내부에 형성되는 견인대(540) 및 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되고, 타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입되도록 상기 견인대(540)에 편심되어 연결되는 회전핀(550)을 포함하는 접지부(500); 상기 구동축(110)에 설치되는 지지암(120); 상기 지지암(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부타이어(400)가 회전하면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되도록 상기 회전핀(550)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 로드(600); 상기 지지암(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부타이어(400)가 회전하면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입되도록 상기 회전핀(550)을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 로드(700); 상기 제1 로드(600)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2 로드(700)와 연결되는 제2 케이블(820) 및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2 케이블(820)을 조작하는 페달(830)을 포함하는 제어부(8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500)에는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520)의 내측상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530)의 내측하면에 고정되어 인장력 작용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520)와 상기 하부케이스(53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60)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대(540)는 상기 상부케이스(520) 및 하부케이스(530)와 접촉하는 각각의 모서리가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로드(600) 및 상기 제2 로드(700)가 상기 회전핀(550)을 회전시킬 때 상기 탄성부재(560)의 인장력으로 인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타이어(40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핀(550)의 외주면에는 제1 걸림돌기(551)와 제2 걸림돌기(55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로드(600)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551)에 걸리는 제1 롤러(6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700)에는 상기 제2 걸림돌기(552)에 걸리는 제2 롤러(7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120)에는 일측이 상기 제1 로드(6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암(120)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로드(600)와 상기 회전핀(550)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로드(600)를 탄성지지하는 제1 스프링(620)과 일측이 상기 제2 로드(7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암(120)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로드(700)와 상기 회전핀(550)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로드(700)를 탄성지지하는 제2 스프링(7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타이어(300)에는 상기 접지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휠(200)의 외주면을 관통하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내부타이어 돌기(3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암(120)에는 보조지지암(121)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마찰돌기(510)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하는 가압로드(900)가 상기 보조지지암(12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페달(830)의 조작으로 인해 상기 가압로드(900)가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 또는 감압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가압로드(9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폐달(830)과 연결되는 제3 케이블(8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암(121)에는 일측이 상기 가압로드(9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지지암(121)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로드(900)와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로드(900)를 탄성지지하는 제3 스프링(9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드(900)에는 상기 가압로드(900)가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하면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와 접촉되는 가압롤러(9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내부에 상기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3 케이블(840) 및 상기 제1 케이블(810) 및 상기 제3 케이블(84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케이블(820)이 관통되는 제어하우징(850); 상기 제어하우징(85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2 케이블(820) 및 상기 제3 케이블(840)의 외측면을 감싸는 안내링(860); 일측이 상기 제어하우징(850)의 내측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링(860)에 고정되며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케이블(820)을 견인하도록 상기 안내링(860)을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 케이블 스프링(870);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케이블(820)의 견인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케이블(810) 및 상기 제3 케이블(840)을 견인하도록 상기 안내링(860)을 타측방향으로 견인하는 조작레버(8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 중 어떠한 특정한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타이어의 접지면에서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타이어와 도로의 접지력을 상승시켜 제동거리를 감소시키고, 돌출되는 돌기에 의해 눈길이나 빗길 운전 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돌기가 돌출될 수 있어 계절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평소 주행 중에는 돌기가 돌출되지 않아 타이어의 소음이 없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타이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타이어의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접지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접지부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마찰돌기가 인출된 상태는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로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로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가압로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타이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타이어의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접지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접지부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마찰돌기가 인출된 상태는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로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로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가압로드의 작동순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어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 타이어는 구동축(110)을 갖는다. 구동축(110)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구동축(110)의 끝단에는 휠(200)이 구비된다. 휠(200)은 구동축(110)과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어 구동축(110)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휠(200)에는 내부타이어(300)가 형성된다. 내부타이어(300)는 휠(2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휠(20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휠(200)에 고정된다. 내부타이어(3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외부타이어(400)가 형성된다. 외부타이어(400)에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홈(410)이 다수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외부타이어(400)의 홈(410)에는 마찰돌기(510)가 외부타이어(400)의 외측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는 접지부(500)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접지부(500)는 상면에 마찰돌기(51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520), 하부케이스(530), 견인대(540) 및 회전핀(550)을 포함한다. 상부케이스(520)는 하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견인대(5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부케이스(530)는 상부케이스(520)에 삽입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견인대(5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견인대(540)는 상부케이스(520) 및 하부케이스(530) 내부에 구비된다. 회전핀(550)은 견인대(540)의 일측면에 편심되도록 연결되고 상부케이스(520)에 형성된 상부안착홈(521) 및 하부케이스(530)에 형성된 하부안착홈(531)에 안착되며 외력에 의해 견인대(5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견인대(540)가 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견인대(540)가 상부케이스(520)를 외부타이어(400) 외측방향으로 견인함과 동시에 마찰돌기(510)는 외부타이어(4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반대로 견인대(540)가 타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부케이스(520)는 외부타이어(400) 내측방향으로 하강하여 마찰돌기(510)는 외부타이어(400)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접지부(500)는 탄성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60)는 상단이 상부케이스(520)의 내측상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하부케이스(530)의 내측하면에 고정된다. 탄성부재(560)는 마찰돌기(510)가 항상 외부타이어(40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520)를 내부타이어(400)의 내측방향으로 당기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탄성부재(560)는 상부케이스(520) 및 하부케이스(530) 내부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부케이스(520) 및 하부케이스(530)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는 견인대(540)의 모서리는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견인대(540)의 모서리가 굴곡지면 견인대(540)가 회전하기 용이하며, 일정각도 회전핀(550)이 회전하면 탄성부재(560)의 인장력으로 인해 견인대(540)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견인대(540)의 모서리는 굴곡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굴곡되는 반지름 값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회전핀(550)은 외부타이어(4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회전핀(550)의 외주면에는 제1 걸림돌기(551)와 제2 걸림돌기(552)가 돌출 형성된다.
도 1 및 도 5 를 참조하면 구동축(110)에는 지지암(120)이 형성된다. 지지암(120)과 구동축(110) 사이에는 베어링 등을 설치하여 구동축(110)의 회전력으로 인해 지지암(1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5 를 참조하면 지지암(120)의 일측에는 제1 로드(600)가 형성된다. 제1 로드(600)는 지지암(12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회전핀(550)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로드(6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핀(550)이 일측으로 회전되면 마찰돌기(510)가 외부타이어(400)의 외측으로 인출 된다.
또한 제1 로드(600)와 회전핀(550)이 접촉되는 제1 로드(600)의 일측단에는 제1 롤러(610)가 형성된다. 제1 롤러(610)는 제1 로드(6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1 걸림돌기(551)에 접촉된다. 즉 제1 로드(6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롤러(610)와 제1 걸림돌기(551)가 접촉되면 제1 롤러(610)가 회전핀(55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롤러(610)가 회전하여 제1 걸림돌기(551)와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도 1 및 도 5 를 참조하면 지지암(120)의 타측에는 제2 로드(700)가 형성된다. 제2 로드(700)는 제1 로드(700)와 동일하게 지지암(12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회전핀(55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2 로드(7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핀(550)을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마찰돌기(510)는 외부타이어(40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또한 제2 로드(700)와 회전핀(550)의 제2 걸림돌기(552)와 접촉되는 일측단에는 제2 롤러(710)가 형성된다. 제2 롤러(710)도 제1 롤러(6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 걸림돌기(552)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 로드(7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롤러(710)와 제2 걸림돌기(552)가 접촉되면 제2 롤러(710)가 회전핀(55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2 롤러(710)가 회전하여 제2 걸림돌기(552)와 제2 로드(700)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도 1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1 로드(600)와 제2 로드(700)를 제어하는 제어부(800)가 구비된다. 제어부(800)는 제1 케이블(810)과 제2 케이블(820) 및 페달(830)을 포함한다. 페달(830)은 일반 차량에서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페달일 수 있다. 제1 케이블(810)은 일측이 제1 로드(600)와 연결되고 타측이 페달(830)에 연결되어 페달(830)을 조작함으로써 제1 로드(600)의 회전을 제어한다.
즉, 도 6 의 (b)를 참조하면 페달(830)를 가압하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이 제동됨과 동시에 제1 로드(600)가 하강하고 제1 롤러(610)가 회전핀(550)의 제1 걸림돌기(551)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찰돌기(510)를 인출시킨다. 이때 외부타이어(400)는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1 롤러(610)는 이웃하는 다른 회전핀(550)의 제1 걸림돌기(551)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찰돌기(510) 또한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도 6 의 (c)를 참조하면 지지암(120)에는 일측이 제1 로드(6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암(120)에 고정되는 제1 스프링(620)이 형성된다. 제1 스프링(620)은 페달(83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제1 로드(600)가 회전핀(550)과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로드(6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스프링(620)에 의해 제1 로드(600)는 항상 회전핀(55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폐달(830)을 가압할 때만 마찰돌기(510)를 외부타이어(400)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7 을 참조하면 제2 케이블(820)은 일측이 제2 로드(700)와 연결되고 타측이 페달(830)과 연결되어 페달(830)의 조작으로 인해 제2 로드(7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 의 (a)를 참조하면 폐달(830)의 가압이 해제되면 제2 로드(700)는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롤러(710)는 제2 걸림돌기(552)에 걸리면서 회전핀(550)을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마찰돌기(510)는 외부타이어(40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도 7 의 (b)를 참조하면 외부타이어(400)는 회전하고 있으므로 제2 롤러(710)는 이웃한 다른 회전핀(550)의 제2 걸림돌기(552)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마찰돌기(510)는 순차적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 7 의 (c)를 참조하면 지지암(120)에는 일측이 상기 제2 로드(7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암(120)에 고정되는 제2 스프링(720)이 형성된다. 제2 스프링(720)은 제2 로드(700)의 제2 롤러(710)와 회전핀(550)의 제2 걸림돌기(552)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로드(700)를 탄성지지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지지암(120)에는 걸림봉(122)이 돌출 형성된다. 걸림봉(122) 지지암(12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로드(600) 및 제2 로드(700)가 일정각도 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로드(600) 및 제2 로드(700)가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범위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내부타이어(300)에는 내부타이어 돌기(310)가 내부타이어(3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내부타이어 돌기(310)는 휠(200)의 외주면을 관통하며 내부타이어(30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지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홈(410)과 동일한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5 를 참조하면 지지암(120)에는 보조지지암(121)이 돌출 형성된다. 보조지지암(121)에는 가압로드(9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가압로드(900)는 마찰돌기(510)가 인출될 때 마찰돌기(510)가 지면에 밀착되어 차량의 제동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접지부(500)를 가압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즉 내부타이어 돌기(310)는 접지부(500)와 동일한 위치에 있으므로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하면 접지부(500)가 가압되고 동시에 마찰돌기(510)가 지면과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내부타이어 돌기(310)에는 돌기커버(311)가 삽입될 수 있다. 돌기커버(310)는 내부타이어 돌기(310)와 가압로드(900)와 접촉될 때 내부타이어 돌기(310)가 가압로드(900)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 1 및 도 8 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800)는 가압로드(900)를 회전을 제어하는 제3 케이블(8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케이블(840)은 일측이 가압로드(900)와 연결되고 타측이 페달(830)과 연결되며, 페달(830)을 가압하면 가압로드(900)가 회전하여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한다.
한편 도 8 의 (b)를 참조하면 보조지지암(121)에는 일측이 가압로드(900)에 고정되고 타측이 보조지지암(121)에 고정되는 제3 스프링(910)이 형성된다. 제3 스프링(910)은 페달(830)을 가압하면 인장되고 페달(830)의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로드(900)와 내부타이어 돌기(3100)가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압축되어 가압로드(900)를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제3 스프링(910)에 의해 가압로드(900)와 내부타이어 돌기(310)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 을 참조하면 가압로드(900)에는 내부타이어 돌기(310)와 접촉되는 가압롤러(920)가 형성된다. 가압롤러(920)는 가압로드(900)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가압로드(900)가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할 때 내부타이어 돌기(310)와 접촉되면 구동축(110)이 회전하여 내부타이어(300)가 회전하므로 내부타이어(3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가압롤러(920)로 가압로드(900)와 내부타이어 돌기(31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9 를 참조하면 제어부(800)는 제어하우징(850), 안내링(860), 제1 케이블 스프링(870) 및 조작레버(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하우징(85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1 케이불(810), 제2 케이블(820) 및 제 3 케이블(840)이 관통된다. 이때 제2 케이블(830)은 제1 케이블(810) 및 제3 케이블(840)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안내링(860)은 제어하우징(850) 내부에 설치되며 제1 케이블(810)과 제2 케이블(820) 및 제3 케이블(840)의 외측면을 감싸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케이블 스프링(870)은 이격된 제2 케이블(820)를 견인하도록 안내링(860)을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제2 케이블(820)이 견인되면 제2 로드(700)의 제2 롤러(710)와 회전핀(550)의 제2 걸림돌기(552)가 상호 접촉되면서 마찰돌기(510)는 항상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작레버(880)는 안내링(860)과 연결된다. 조작레버(880)는 안내링(860)을 타측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으며, 안내링(860)이 타측방향으로 견인되면 제2 케이블(820)의 견인은 해제되고, 제1 케이블(810) 및 제3 케이블(840)은 견인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페달(830)를 가압하지 않아도 조작레버(880)의 조작으로 인해 마찰돌기(510)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880)는 3단계로 견인될 수 있으며 1단계는 폐달(830)의 조작에 의해서만 마찰돌기(510)가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단계이고, 2단계는 폐달(830)의 조작에 의해서만 마찰돌기(510)가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되, 마찰돌기(510)가 소정부분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단계이고, 3단계는 항상 마찰돌기(51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안내링(860)과 조작레버(880) 사이에는 제2 케이블 스프링(8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스프링(890)은 마찰돌기(510)가 인출된 상태에서 페달을 밟으면 제2 케이블 스프링(890)이 늘어나면서 제1 내지 제3 케이블(810,820,8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차량을 운행중 어떠한 특정한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페달(830)을 가압하는 경우 마찰돌기(510)가 인출되어 도로와의 접지력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차량의 제동거리가 감소하므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마찰돌기(510)가 인출될 수 있어 눈길이나 빗길 등 계절에 상관없이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10 : 구동축 120 : 지지암
121 : 보조지지암 122 : 걸림봉
200 : 휠 300 : 내부타이어
310 : 내부타이어 돌기 311 : 돌기커버
400 : 외부타이어 410 : 홈
500 : 접지부 510 : 마찰돌기
520 : 상부케이스 530 : 하부케이스
540 : 견인대 550 : 회전핀
551 : 제1 걸림돌기 552 : 제2 걸림돌기
560 : 탄성부재 600 : 제1 로드
610 : 제1 롤러 620 : 제1 스프링
700 : 제2 로드 710 : 제2 롤러
720 : 제2 스프링 800 : 제어부
810 : 제1 케이블 820 : 제2 케이블
830 : 페달 840 : 제3 케이블
850 : 제어하우징 860 : 안내링
870 : 제1 케이블 스프링 880 : 조작레버
890 : 제2 케이블 스프링 900 : 가압로드
910 : 제3 스프링 920 : 가압롤러

Claims (8)

  1.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축(110);
    상기 구동축(110)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휠(200);
    상기 휠(2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부타이어(300);
    상기 내부타이어(30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홈(410)이 반복 형성되는 외부타이어(400);
    마찰돌기(510)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홈(410)에 설치되되, 상면에 상기 마찰돌기(510)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520)와 상기 상부케이스(520)에 삽입되는 하부케이스(530)와 상기 상부케이스(520) 및 하부케이스(530) 내부에 형성되는 견인대(540) 및 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되고, 타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입되도록 상기 견인대(540)에 편심되어 연결되는 회전핀(550)을 포함하는 접지부(500);
    상기 구동축(110)에 설치되는 지지암(120);
    상기 지지암(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부타이어(400)가 회전하면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되도록 상기 회전핀(550)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제1 로드(600);
    상기 지지암(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부타이어(400)가 회전하면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입되도록 상기 회전핀(550)을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제2 로드(700);
    상기 제1 로드(600)와 연결되는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2 로드(700)와 연결되는 제2 케이블(820) 및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상기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2 케이블(820)을 조작하는 페달(830)을 포함하는 제어부(8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500)에는 상단이 상기 상부케이스(520)의 내측상면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케이스(530)의 내측하면에 고정되어 인장력 작용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520)와 상기 하부케이스(53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560)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대(540)는 상기 상부케이스(520) 및 하부케이스(530)와 접촉하는 각각의 모서리가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로드(600) 및 상기 제2 로드(700)가 상기 회전핀(550)을 회전시킬 때 상기 탄성부재(560)의 인장력으로 인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타이어(400)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핀(550)의 외주면에는 제1 걸림돌기(551)와 제2 걸림돌기(55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로드(600)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551)에 걸리는 제1 롤러(6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로드(700)에는 상기 제2 걸림돌기(552)에 걸리는 제2 롤러(7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120)에는 일측이 상기 제1 로드(6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암(120)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로드(600)와 상기 회전핀(550)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로드(600)를 탄성지지하는 제1 스프링(620)과
    일측이 상기 제2 로드(7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암(120)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로드(700)와 상기 회전핀(550)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로드(700)를 탄성지지하는 제2 스프링(7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타이어(300)에는 상기 접지부(5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휠(200)의 외주면을 관통하며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내부타이어 돌기(3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암(120)에는 보조지지암(121)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마찰돌기(510)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하는 가압로드(900)가 상기 보조지지암(12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페달(830)의 조작으로 인해 상기 가압로드(900)가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 또는 감압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가압로드(9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폐달(830)과 연결되는 제3 케이블(8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암(121)에는 일측이 상기 가압로드(9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지지암(121)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로드(900)와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로드(900)를 탄성지지하는 제3 스프링(9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드(900)에는 상기 가압로드(900)가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를 가압하면 상기 구동축(1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내부타이어 돌기(310)와 접촉되는 가압롤러(9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내부에 상기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3 케이블(840) 및 상기 제1 케이블(810) 및 상기 제3 케이블(840)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케이블(820)이 관통되는 제어하우징(850);
    상기 제어하우징(85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케이블(810)과 상기 제2 케이블(820) 및 상기 제3 케이블(840)의 외측면을 감싸는 안내링(860);
    일측이 상기 제어하우징(850)의 내측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안내링(860)에 고정되며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케이블(820)을 견인하도록 상기 안내링(860)을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 케이블 스프링(870);
    상기 마찰돌기(51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케이블(820)의 견인을 해제하고 상기 제1 케이블(810) 및 상기 제3 케이블(840)을 견인하도록 상기 안내링(860)을 타측방향으로 견인하는 조작레버(8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이어.
KR1020130102836A 2013-08-29 2013-08-29 미끄럼 방지 타이어 KR10142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836A KR101425851B1 (ko) 2013-08-29 2013-08-29 미끄럼 방지 타이어
PCT/KR2014/008055 WO2015030515A1 (ko) 2013-08-29 2014-08-29 미끄럼 방지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2836A KR101425851B1 (ko) 2013-08-29 2013-08-29 미끄럼 방지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851B1 true KR101425851B1 (ko) 2014-08-13

Family

ID=5174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2836A KR101425851B1 (ko) 2013-08-29 2013-08-29 미끄럼 방지 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5851B1 (ko)
WO (1) WO201503051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803U (ja) * 1991-08-28 1993-10-19 巌 中島 自動車タイヤ用スパイク
JPH06166305A (ja) * 1991-11-22 1994-06-14 Saburo Nakayama スパイクピン出入タイヤ
JPH0667107U (ja) * 1993-03-01 1994-09-20 義春 平沼 スパイクタイヤのピン可動装置
KR20120008320U (ko) * 2011-05-26 2012-12-05 오재용 스노우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407A (ja) * 1996-12-18 1998-06-30 Nobuo Takashima タイヤのスパイクピン出没装置
KR100511602B1 (ko) * 2002-03-19 2005-08-31 송화석 자동차용 미끄럼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803U (ja) * 1991-08-28 1993-10-19 巌 中島 自動車タイヤ用スパイク
JPH06166305A (ja) * 1991-11-22 1994-06-14 Saburo Nakayama スパイクピン出入タイヤ
JPH0667107U (ja) * 1993-03-01 1994-09-20 義春 平沼 スパイクタイヤのピン可動装置
KR20120008320U (ko) * 2011-05-26 2012-12-05 오재용 스노우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515A1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448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буксовы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меющего колеса
KR101425851B1 (ko) 미끄럼 방지 타이어
KR101410532B1 (ko) 차량용 스노우 체인
CN204367789U (zh) 一种汽车应急防滑链
CN204172615U (zh) 用于轮胎防滑的橡胶垫片
CN109080384B (zh) 一种车轮防滑链装置
KR101181945B1 (ko) 타이어 밀림방지장치
CN202115288U (zh) 汽车轮胎套
JP7061248B2 (ja) ブレーキ機構
JP2016508467A (ja) 滑り止め円形フランジ
KR200274276Y1 (ko) 자동차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CN215154531U (zh) 一种汽车制动拉杆支架
KR101423041B1 (ko) 자동차바퀴 부착용 미끄럼방지장치
KR100595423B1 (ko) 자동차용 보조제동장치
KR200323574Y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KR100648250B1 (ko) 타이어 미끄럼 방지장치
RU2238855C2 (ru) Противобукс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9972851U (zh) 一种道路设计防滑结构
CN109606011A (zh) 一种防滑型轮毂
KR200318710Y1 (ko)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RU2523541C1 (ru) Противопробукс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574327A (en) Traction device for automotive tires
CN211599343U (zh) 一种汽车电子机械制动装置
CN108773366B (zh) 一种自锁驻车器
CN204726166U (zh) 一种轮胎防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