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718B1 -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718B1
KR101425718B1 KR1020120083095A KR20120083095A KR101425718B1 KR 101425718 B1 KR101425718 B1 KR 101425718B1 KR 1020120083095 A KR1020120083095 A KR 1020120083095A KR 20120083095 A KR20120083095 A KR 20120083095A KR 101425718 B1 KR101425718 B1 KR 101425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truck
panel
projection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14A (ko
Inventor
이칠성
최영국
김현중
소순주
Original Assignee
해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718B1/ko
Priority to PCT/KR2013/003381 priority patent/WO2014021536A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양측 영역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너 패널에 마련된 복수의 삽입돌기에 각각 강제 압입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돌기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영역에 마련된 돌기 삽입홀에 강제 압입되어 상기 코너 패널을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볼트 작업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코너 패널을 프론트 패널에 결합 고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MEMBER FOR CONNECTING CORNER PANEL ON A FRONT PANLE OF TRUCK AND FRONT PANEL ASSEMBLY OF TRU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운전석 및 조수석이 설치되는 캐빈과,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빈의 전면부에는 정면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 내지 반발할 수 있도록 범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범퍼의 상측에는 프론트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라디에이터 그릴이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의 양측 영역에는 측면 충돌에 대한 강도 보강을 위해 코너 패널이 더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코너 패널을 프론트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서 프론트 패널과 코너 패널의 상호 결합부위에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이곳에 볼트 등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드릴 작업이나 볼트 체결을 위해서는, 작업자는 무거운 체결장비를 들고 정해진 위치에 이들 장비를 위치시키고 드릴링이나 볼트 조임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생산공정에서 계속하여 동일한 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작업자에게는 무거운 장비를 들고 장시간 동일 작업을 반복함에 따른 신체적 폐해가 발생할 수 있고, 체결하여야 하는 개수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이들을 일일이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작업 능률도 저하되는 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최근의 경향을 보면 트럭이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프론트 패널 역시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볼트 등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공정이 더욱더 불편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볼트 체결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코너 패널을 프론트 패널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양측 영역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너 패널에 마련된 복수의 삽입돌기에 각각 강제 압입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돌기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영역에 마련된 돌기 삽입홀에 강제 압입되어 상기 코너 패널을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은, 상기 삽입돌기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으로 벤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 영역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돌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삽입홀을 형성하는 내벽에 걸림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 영역에는 각각 절개홀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홀의 둘레에는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와 반대인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삽입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에 걸림되는 내부 걸림 노치돌기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 및 상기 내부 걸림 노치돌기는, 상기 베이스부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 및 상기 내부 걸림 노치돌기는 각각,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뾰족 돌기일 수 있다.
상기 클립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크롬 아연 도금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트럭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코너 패널; 및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따르면, 볼트 작업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코너 패널을 프론트 패널에 결합 고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분리된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코너 패널을 프론트 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코너 패널이 프론트 패널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분리된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코너 패널을 프론트 패널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코너 패널이 프론트 패널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는, 트럭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론트 패널(100), 프론트 패널(100)의 양측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코너 패널(200), 및 프론트 패널(100)에 코너 패널(20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는 트럭의 윈드실드 글래스 아래쪽에 위치하며, 트럭이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프론트 패널(100)도 대형 및 일체 구조로 적용되고 있다.
먼저, 프론트 패널(100)은 트럭의 전방 측에 배치된 각종 구동 관련 및 열교환 관련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외기와 차량 실내 공간 사이의 열교환을 위해 라디에이터 그릴(110)이 설치된다.
다음, 코너 패널(200)은 외부 충격에 대한 프론트 패널(100)의 강도 보강, 구체적으로 트럭 주행시 측면 충돌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이로부터 프론트 패널(100)의 파손 및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으로서, 프론트 패널(100)의 좌우 양측 영역에 각각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코너 패널(200)에는 복수의 삽입돌기(210)가 마련되며, 프론트 패널(100)에는 삽입돌기(210)가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돌기 삽입홀(120)이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는 종래와 달리 볼트 등을 이용한 체결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삽입돌기(210)를 돌기 삽입홀(120)에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 코너 패널(200)을 고정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삽입돌기(210)와 돌기 삽입홀(120) 사이에는 풀림 방지 및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르 유지를 위해 결합부재(30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300)는 삽입돌기(210) 및 돌기 삽입홀(120) 사이에 개재되어 코너 패널(200)을 프론트 패널(100)에 고정 결합하는 클립(clip)으로서, 코너 패널(200)에 마련된 복수의 삽입돌기(210)에 각각 강제 압입되며, 복수의 삽입돌기(210)에 압입된 상태에서 프론트 패널(100)의 양측 영역에 마련된 돌기 삽입홀(120)에 강제 압입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 즉 클립은, 삽입돌기(210)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으로 벤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310), 및 베이스부(310)의 일측 및 타측 영역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부(310)는 대략 'ㄷ'자의 채널 형상을 가지며, 이하 설명에서는 'ㄷ'자 구조의 상측 또는 하측 단부를 일측 영역이라 하며, 반대 단부를 타측 영역이라 한다. 한편, 베이스부(310)의 일측 및 타측부(상판부 및 하판부)의 사이 거리는 코너 패널(200)의 삽입돌기(210)가 강제 압입 가능하도록, 삽입돌기(2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 구체적으로 베이스부(310),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후술하는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아연 도금된다.
일 예로, 클립은 SK5 계열의 고탄소강으로 적용 가능하며, 두께는 대략 1.2mm 정도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두께의 경우 외력에 의해 어느 정도 탄성적으로 형상 변형이 가능하므로, 삽입돌기(210)의 두께가 일정 이상 크더라도 클립은 삽입돌기(210)에 강제 압입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는, 베이스부(310)의 일측 및 타측 영역에서 서로 마주보는 양단 모서리에 베이스부(31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덧붙이자면,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는 베이스부(310)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상측으로 절곡되게 젖혀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이 돌기 삽입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가 돌기 삽입홀(120)을 형성하는 내벽에 걸려짐으로써 프론트 패널(100)로부터 클립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덧붙이자면, 금속 소재의 클립이 돌기 삽입홀(120)에 삽입되는 도중,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의 돌출 단부는 베이스부(310)를 향해 일정 이상 하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젖혀진다. 이후, 클립이 돌기 삽입홀(120)에 완전히 강제 압입된 상태에서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의 돌출 단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돌기 삽입홀(120)을 형성하는 내벽에 접촉하여 걸린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프론트 패널(100)로부터 클립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310)의 일측 및 타측 영역에는 각각 절개홀(311)이 마련된다. 또한, 절개홀(311)의 둘레에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와 반대인 베이스부(310)의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가 마련된다.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310)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하측으로 절곡되게 젖혀 내림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너 패널(200)의 삽입돌기(210)가 결합부재(300), 즉 클립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가 삽입돌기(210)의 외면(상면 및 하면)에 접촉하여 걸려짐으로써 클립으로부터 결합부재(300)로부터 삽입돌기(210)가 이탈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덧붙이자면, 삽입돌기(210)가 금속 소재의 클립에 강제 압입되는 도중,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의 돌출 단부는 베이스부(310)로부터 이격되는 상측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젖혀진다. 이후, 삽입돌기(210)가 클립에 완전히 강제 압입된 상태에서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의 돌출 단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삽입돌기(210)의 표면(상면 및 하면)에 접촉하여 걸린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클립으로부터 삽입돌기(210)가 이탈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210)가 결합부재(300)를 개재한 상태로 돌기 삽입홀(120)에 강제 압입된 상태에서 이러한 결합 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의 단부는 각각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자면,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는 각각 뾰족 돌기로 적용된다.
덧붙여, 이러한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에 의한 걸림 구조를 보완하여 돌기 삽입홀(120)로부터의 결합부재(300) 이탈 및 결합부재(300)로부터의 삽입돌기(210) 이탈을 보다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 예로 결합부재(300)의 내면 및 외면에는 상호 접촉하는 대상물 사이의 접촉 마찰력을 더 증대하도록, 스크래치 구조, 엠보싱 돌기 등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코너 패널(200)에 마련된 복수의 삽입돌기(210)에 각각 결합부재(300)를 강제 압입한다. 여기서, 이러한 압입 작업은 작업자가 별도의 압입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손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압입 가능하다.
여기서, 삽입돌기(210)에 결합부재(300)가 완전히 압입 완료되면,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 삽입돌기(210)는 결합부재(30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다음, 작업자는 결합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의 코너 패널(200)을 프론트 패널(100)에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재(300)는 프론트 패널(100)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 삽입홀(120)에 강제 압입된다. 이러한 압입 작업 또한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여 간단히 코너 패널(200)을 푸싱함으로써 수행 가능하다.
여기서, 결합부재(300)가 돌기 삽입홀(120)에 완전히 압입 완료되면,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 결합부재(300)는 돌기 삽입홀(12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가 마련된 결합부재(300)를 이용하여 코너 패널(200)을 프론트 패널(100)에 강제 압입하여 고정 가능함으로써, 고정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종래와 달리 볼트 체결을 통한 체결홀 드릴링 작업 및 체결 작업을 생략 가능함으로써 전술한 효과가 구현 가능하다.
덧붙여, 작업자가 이러한 코너 패널(200) 결합작업을 다수회 반복하여 실시할 수도록 전술한 효과는 더욱 증대된다 하겠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프론트 패널 120: 돌기 삽입홀
200: 코너 패널 210: 삽입돌기
300: 결합부재 310: 베이스부
311: 절개홀 320: 외부 걸림 노치돌기
330: 내부 걸림 노치돌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양측 영역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너 패널에 마련된 복수의 삽입돌기에 각각 강제 압입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돌기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영역에 마련된 돌기 삽입홀에 강제 압입되어 상기 코너 패널을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이며,
    상기 클립은,
    상기 삽입돌기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으로 벤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 영역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돌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삽입홀을 형성하는 내벽에 걸림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 영역에는 각각 절개홀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홀의 둘레에는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와 반대인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삽입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에 걸림되는 내부 걸림 노치돌기가 더 마련되며,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 및 상기 내부 걸림 노치돌기는, 상기 베이스부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5.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양측 영역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코너 패널에 마련된 복수의 삽입돌기에 각각 강제 압입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돌기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영역에 마련된 돌기 삽입홀에 강제 압입되어 상기 코너 패널을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이며,
    상기 클립은,
    상기 삽입돌기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으로 벤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 영역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돌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 삽입홀을 형성하는 내벽에 걸림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및 타측 영역에는 각각 절개홀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홀의 둘레에는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와 반대인 상기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클립이 상기 삽입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돌기에 걸림되는 내부 걸림 노치돌기가 더 마련되며,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 및 상기 내부 걸림 노치돌기는 각각,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는 뾰족 돌기인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크롬 아연 도금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7. 트럭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영역에 각각 결합되는 코너 패널; 및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KR1020120083095A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KR10142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95A KR101425718B1 (ko)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PCT/KR2013/003381 WO2014021536A1 (ko) 2012-07-30 2013-04-22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95A KR101425718B1 (ko)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14A KR20140016514A (ko) 2014-02-10
KR101425718B1 true KR101425718B1 (ko) 2014-07-31

Family

ID=5002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95A KR101425718B1 (ko)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25718B1 (ko)
WO (1) WO201402153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650A (ja) * 2006-10-20 2008-05-01 Isuzu Motors Ltd フロ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447201Y1 (ko) * 2008-08-05 2010-01-14 덕양산업주식회사 트림 장착용 패스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112A (ja) * 1991-10-14 1993-04-27 Suzuki Motor Corp フロントコーナー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232663A (ja) * 1994-02-21 1995-09-05 Nissan Shatai Co Ltd コーナーパネル取付構造
KR200156288Y1 (ko) * 1996-12-30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사이드 가니쉬 마운팅 클립
JP3841383B2 (ja) * 1999-03-31 2006-11-01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グリルの取り付け構造
JP2010149621A (ja) * 2008-12-24 2010-07-08 Daimler Ag トラック外装部品の組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0650A (ja) * 2006-10-20 2008-05-01 Isuzu Motors Ltd フロ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447201Y1 (ko) * 2008-08-05 2010-01-14 덕양산업주식회사 트림 장착용 패스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14A (ko) 2014-02-10
WO2014021536A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0922B2 (ja) クリップ
US20150360729A1 (en) Vehicle hood structure
JP2012121504A (ja) 外装品取付方法
JP2008030514A (ja) ドアライニング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JP5044666B2 (ja) マッドガードの取付構造
US20090152416A1 (en) Junction box mounting bracket
JP2016153292A (ja) 荷重伝達部材
KR20200001041U (ko)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US9738241B2 (en) Bumper absorber attachment structure
US8845257B2 (en) Fastener
KR101425718B1 (ko)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JP2018008632A (ja) 車載機器固定構造
JP5182497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取付構造及びラジエータグリルの取外し方法
JP2009073425A (ja) 車両用外装部品
KR20150106767A (ko) 상용차용 코너패널
KR101364278B1 (ko)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KR20150106769A (ko)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KR102261764B1 (ko) 다단 결합형 차량용 고정구
KR100881742B1 (ko) 훼스너 조립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트림판넬
JP2016121711A (ja) 車両部品の取付け構造
JP4497071B2 (ja) 車両の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2008143366A (ja) 車両用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5629612B2 (ja) 車両前部
JP6705095B2 (ja) 内装パネル用組付け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