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278B1 -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278B1
KR101364278B1 KR1020120083096A KR20120083096A KR101364278B1 KR 101364278 B1 KR101364278 B1 KR 101364278B1 KR 1020120083096 A KR1020120083096 A KR 1020120083096A KR 20120083096 A KR20120083096 A KR 20120083096A KR 101364278 B1 KR101364278 B1 KR 101364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truck
reinforcement
coupling memb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15A (ko
Inventor
이칠성
최영국
김현중
소순주
Original Assignee
해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278B1/ko
Priority to PCT/KR2013/003383 priority patent/WO2014021537A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2Radiator or grille guards ; Radiator grilles
    • B60R2019/525Radiator gril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보강부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에 상기 보강부가 일측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보강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에 각각 원터치 푸싱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부를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볼트 작업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보강부를 프론트 패널에 결합 고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MEMBER FOR CONNECTING A FRONT PANLE OF TRUCK AND FRONT PANEL ASSEMBLY OF TRU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보강부를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운전석 및 조수석이 설치되는 캐빈과,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빈의 전면부에는 정면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 내지 반발할 수 있도록 범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범퍼의 상측에는 프론트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라디에이터 그릴이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트럭의 프론트패널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또는 미관을 위해, 몰드 부재가 전면에서 보아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몰드 부재를 프론트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프론트 패널과 몰드 부재의 결합부위에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이곳에 볼트 등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드릴 작업이나 볼트 체결을 위해서는, 작업자는 무거운 체결장비를 들고 정해진 위치에 이들 장비를 위치시키고 드릴링이나 볼트 조임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생산공정에서 계속하여 동일한 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작업자에게는 무거운 장비를 들고 장시간 동일 작업을 반복함에 따른 신체적 폐해가 발생할 수 있고, 체결하여야 하는 개수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이들을 일일이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작업 능률도 저하되는 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최근의 경향을 보면 트럭이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프론트 패널 역시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볼트 등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공정이 더욱더 불편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볼트 체결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프론트 패널 보강부를 프론트 패널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보강부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에 상기 보강부가 일측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보강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에 각각 원터치 푸싱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부를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인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삽입공에 관통되며 상기 결합공이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보강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에는 각각 오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 바; 및 상기 수직 바의 단부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바에는 슬릿 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트럭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결합되는 보강부; 및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따르면, 볼트 작업을 이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보강부를 프론트 패널에 결합 고정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중 보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 간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가 보강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전면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중 보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 간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가 보강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는, 트럭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론트 패널(100), 프론트 패널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결합되는 보강부(200); 및 프론트 패널(100)에 보강부(200)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는 트럭의 윈드실드 글래스 아래쪽에 위치하며, 트럭이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프론트 패널(100)도 대형 및 일체 구조로 적용되고 있다.
먼저, 프론트 패널(100)은 트럭의 전방 측에 배치된 각종 구동 관련 및 열교환 관련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외기와 차량 실내 공간 사이의 열교환을 위해 라디에이터 그릴(110)이 설치된다.
다음, 보강부(200)는 외부 충격에 대한 프론트 패널(100)의 강도 보강 또는 미관 효과 증대를 위해 마련되며, 프론트 패널(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다수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00)에는 복수의 삽입공(120)이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보강부(200)는 이러한 삽입공(120)에 일부가 삽입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부(200)는, 프론트 패널(100)의 폭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보강 바(210), 상기 보강 바(210)의 일측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며 결합공(230)이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돌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부(200)를 프론트 패널(100)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삽입돌기(220)는 프론트 패널(100)에 형성된 삽입공(120)에 각각 관통 삽입되며, 결합부재(300)가 결합공(230)에 삽입되어 보강부(200)를 고정함으로써 프론트 패널(100)로부터 보강부(2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결합부재(300)는, 프론트 패널(100)의 전방에서 프론트 패널(100)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120)에 보강부(200)가 일측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프론트 패널(100)의 후방에서 보강부(20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230)에 각각 원터치 푸싱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부재(300)는 실질적으로 보강부(200)를 프론트 패널(100)에 고정하는 클립(clip)으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 즉 클립은 보강부(20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공(230)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 즉 클립은, 결합공(230)보다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 및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돌출되며 결합공(230)에 실질적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후크(32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200)를 프론트 패널(100)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먼저 보강부(200)의 복수의 삽입돌기(220)를 프론트 패널(100)의 복수의 삽입공(120)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한 후, 프론트 패널(100)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결합공(230)에 결합부재(300)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한편, 결합부재(300)를 결합공(230)에 삽입하고자 할 경우, 대개 작업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결합부재(300)의 상면을 푸싱함으로써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손가락과 결합부재(300)의 상면 사이에 미끌림이 발생하거나 일정 이하의 마찰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술한 삽입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가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311)가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311)에는 각각 오목홈(312)이 마련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가락과 결합부재(300)의 접촉시, 돌출바(311) 및 오목홈(312)에 의해 손가락의 아래 면과 베이스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마찰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미끌림을 더욱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부재(300)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오목홈(312)은 볼록 돌출부로 대체 가능하며, 또한 돌출바(311) 및 오목홈(312)을 생략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복수의 엠보싱 돌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300)는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에는 의도적으로 스크래치 구조(부식 효과)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볼록 돌출부, 엠보싱 돌기, 스크래치 구조 등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결합부재(300)를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후크(32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 바(321), 및 수직 바(321)의 단부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 바(3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곡 바(322)에는 슬릿홀(323)이 마련된다. 여기서, 절곡 바(322)의 단부는, 결합부재(300)를 결합공(230)에 삽입하는 동안 순간적으로 수직 바(321)에 접근하다가 결합부재(300)가 완전하게 삽입되면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되어 결합공(230)에 걸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 바(322)에 슬릿홀(323)이 더 마련됨으로써, 절곡 바(322)의 탄성력을 보다 증대시켜 작업자가 더욱 적은 힘을 사용하더라도 손쉽게 결합부재(300)를 삽입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부재(300)가 결합공(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재(300)의 파손 및 손상으로 인해 결합부재(300)를 새 부품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결합부재(3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저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0)가 결합공(230)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양단 저면과 삽입돌기(220)의 상면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이격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양단 영역을 누르면 마찬가지로 한 쌍의 걸림 후크(320) 또한 하단부분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벤딩으로 인해 걸림 후크(3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보다 감소하여 필요시 결합공(230)으로부터 결합부재(3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후크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부재(300)를 원터치 푸싱 방식으로 결합공(230)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보강부(200)를 프론트 패널(100)에 고정 결합하는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보다 적은 힘(노동력)을 소요하면서 결합부재(300)를 쉽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프론트 패널 120: 삽입공
200: 보강부 210: 보강 바
220: 삽입돌기 230: 결합공
300: 결합부재 310: 베이스 플레이트
311: 돌출바 312: 오목홈
320: 걸림 후크 321: 수직 바
322: 절곡 바 323: 슬릿홀

Claims (6)

  1.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보강부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공에 상기 보강부가 일측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보강부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에 각각 원터치 푸싱 방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보강부를 상기 프론트 패널에 고정하는 클립이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삽입공에 관통되며 상기 결합공이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보강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림 결합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한 쌍의 걸림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에는 각각 오목홈이 마련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 바; 및
    상기 수직 바의 단부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바에는 슬릿홀이 마련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6. 트럭의 전방에 마련되는 프론트 패널;
    상기 프론트 패널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결합되는 보강부; 및
    제1항의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KR1020120083096A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KR101364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96A KR101364278B1 (ko)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PCT/KR2013/003383 WO2014021537A1 (ko) 2012-07-30 2013-04-22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096A KR101364278B1 (ko)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15A KR20140016515A (ko) 2014-02-10
KR101364278B1 true KR101364278B1 (ko) 2014-02-19

Family

ID=5002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096A KR101364278B1 (ko) 2012-07-30 2012-07-30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4278B1 (ko)
WO (1) WO201402153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118A (ja) * 1996-12-04 1998-06-23 Toyota Auto Body Co Ltd キャブオーバ型車の前部車体構造
KR19980059663A (ko) * 1996-12-31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오디오 패널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169U (ko) * 1995-04-26 1996-11-21 차량용 래디에이터 그릴의 보강구조
KR0179631B1 (ko) * 1995-12-29 1999-04-01 양재신 라디에이터그릴 보강용 브래킷
DE10337751B3 (de) * 2003-08-07 2005-03-17 Decoma (Germany) Gmbh Kühlergrill zur Montage in einer Kühlergrillanordn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20070045412A (ko) * 2005-10-27 2007-05-0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라디에이터 그릴과 어퍼 가이드 결합구조
US8070195B2 (en) * 2009-12-07 2011-12-06 Li-Yueh Huang-Tsai Radiator grille of an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118A (ja) * 1996-12-04 1998-06-23 Toyota Auto Body Co Ltd キャブオーバ型車の前部車体構造
KR19980059663A (ko) * 1996-12-31 1998-10-07 김영귀 자동차의 오디오 패널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15A (ko) 2014-02-10
WO2014021537A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9710B1 (en) 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US9789917B2 (en) Article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JP2008221987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支持構造
US20040041439A1 (en) Vehicle front end structure
JP5009103B2 (ja) 車両用ドアのドアライニング
KR101364278B1 (ko)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CN111845289A (zh) 车门结构及车辆
EP2966393B1 (en) An integrated bracket for automotive heat exchanger
JP2018008632A (ja) 車載機器固定構造
CN103906656A (zh) 辅助拉手安装构造
KR101425718B1 (ko)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JP5204514B2 (ja) 貨物コンテナ
CN210310228U (zh) 二合一电器安装支架及汽车
KR20150106769A (ko)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JP6037984B2 (ja) バンパ用緩衝部材の取付構造
CN211075779U (zh) 一种安装底座和具有其的车辆
KR20150106767A (ko) 상용차용 코너패널
JP2011247394A (ja) 樹脂部品の取付固定構造
KR101566696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101273903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CN210502882U (zh) 车身的后部构造
CN210310227U (zh) 电器左安装支架、电器右安装支架及汽车
JP6479586B2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KR200188439Y1 (ko) 자동차용 도어
KR100921627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