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769A -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769A
KR20150106769A KR1020140029242A KR20140029242A KR20150106769A KR 20150106769 A KR20150106769 A KR 20150106769A KR 1020140029242 A KR1020140029242 A KR 1020140029242A KR 20140029242 A KR20140029242 A KR 20140029242A KR 20150106769 A KR20150106769 A KR 20150106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clip
cover member
steel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칠성
최영국
김현중
소순주
Original Assignee
해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769A/ko
Publication of KR2015010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패널(100);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와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상부보강재(110)와 하부보강재(120); 상기 프론트패널(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합소재의 코너 패널(200);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패널(200)은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 및 메인부재(230)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는 스틸클립(300)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메인부재(230)는 플라스틱클립으로 결합되고, 복합소재의 코너 패널은 상기 프론트 패널에 본딩 과정을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스틸클립(300)은, ㄷ 형상으로 벤딩된 베이스부(310); 및 상기 베이스부의 벤딩된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와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클립(400)은, 베이스 플레이트(410); 및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쌍의 걸림 후크(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과 코너 패널을 결합한 프론트패널 어셈블리는 무거운 하중을 스틸바를 제거하여 차체 중량이 경량화되어 연비효율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가벼운 복합소재의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부담이 줄어들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작업 시간을 단축되는 등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FRONT PANEL ASSEMBLY FOR COMMERCIAL VEHICLES}
본 발명은, 상용차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트럭의 코너 패널을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후 이것을 프론트 패널에 조립함으로써 스틸보강재를 대체하도록 하여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차체의 중량 감소와 연비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용자동차인 트럭은 운전석 및 조수석이 설치되는 캐빈과,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빈의 전면부에는 정면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 내지 반발할 수 있도록 범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범퍼의 상측에는 프론트패널이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프론트패널에는 라디에이터 그릴이 설치되어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트럭의 프론트패널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또는 미관을 위해, 몰드 부재가 전면에서 보아 횡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몰드 부재를 프론트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프론트 패널과 몰드 부재의 결합부위에 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이곳에 볼트 등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드릴 작업이나 볼트 체결을 위해서는, 작업자는 무거운 체결장비를 들고 정해진 위치에 이들 장비를 위치시키고 드릴링이나 볼트 조임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생산공정에서 계속하여 동일한 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작업자에게는 무거운 장비를 들고 장시간 동일 작업을 반복함에 따른 신체적 폐해가 발생할 수 있고, 체결하여야 하는 개수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이들을 일일이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작업 능률도 저하되는 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양측에 수직하게 두개의 스틸바를 장착하여 충격에 대비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스틸바의 중량으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고 차제 중량이 증가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의 경향을 보면 트럭이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프론트 패널 역시 점점 대형화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볼트 등 체결공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공정이 더욱더 불편해 지고 있으며, 프론트 패널에 사용되는 보강용 스틸바를 경량소재로 대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연비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를 안쪽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프론트 패널(10)은 트럭의 윈드실드 글래스 아래쪽에 위치하며, 트럭이 점점 대형화되는 추세에 맞추어 프론트 패널도 대형화 되고 있다. 프론트 패널은 트럭의 전방 측에 배치된 각종 구동 관련 및 열교환 관련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외기와 차량 실내 공간 사이의 열교환을 위해 라디에이터 그릴(20)이 설치된다. 종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를 안쪽에서 바라보면 프론트 패널(10)의 상측에 상측 스틸보강재(30)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하측 스틸보강재(50)가 배치되고, 이들 각각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지지하는 수직 스틸보강재(40)가 배치된다.
즉, 종래의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는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프론트 패널(10)에 상부와 하부 및 측면에서 각각 다수개의 스틸보강재가(30, 40, 50)가 배치되어 결합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고 충격에 대비하고 있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스틸보강재는 중량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차체가 무거워져 연비에 불리하고, 스틸보강재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이들을 조립하는 작업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에 스틸보강재가 아닌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차체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각 구성품들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프론트 패널(100);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와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상부보강재(110)와 하부보강재(120); 상기 프론트패널(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합소재의 코너 패널(200);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패널(200)은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 및 메인부재(230)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는 스틸클립(300)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메인부재(230)는 플라스틱클립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복합소재의 코너 패널은 상기 프론트 패널에 본딩 과정을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스틸클립(300)은, ㄷ 형상으로 벤딩된 베이스부(310); 및 상기 베이스부의 벤딩된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와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클립(400)은, 베이스 플레이트(410); 및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쌍의 걸림 후크(4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스틸클립에 삽입장착되는 제1돌기(213)가 형성되고, 상기 스틸클립은 내부에 제1돌기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부재의 제1장착홀(225)에 압입장착된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플라스틱클립이 장착되는 체결공(217)이 형성된 제2돌기(2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중간부재 및 메인부재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에 플라스틱클립이 체결된다.
상기 스틸클립에서,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 및 상기 내부 걸림 노치돌기는, 상기 베이스부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 바; 및 상기 수직 바의 단부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바에는 슬릿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과 코너 패널을 결합한 프론트패널 어셈블리는 무거운 하중을 스틸바를 제거하여 차체 중량이 경량화되어 연비효율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가벼운 복합소재의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부담이 줄어들어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작업 시간을 단축되는 등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다른 각도에서 본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결합된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코너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코너 패널의 일부 구성이 결합된 모습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 클립의 측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스틸 클립이 조립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 패널의 조립된 모습이며,
도 11은 도 10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일부 구간의 단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15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클립이 조립되는 모습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는 트럭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100)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와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상부보강재(110)와 하부보강재(120)가 구비되고, 프론트패널(100)의 양측에는 각각 코너 패널(200)이 결합된다. 코너 패널은 복수개의 부재가 플라스틱 클립 내지 스틸클립을 이용하여 결합된 형상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기 코너 패널(200)은 상기 프론트 패널(100)의 양측에 본딩공정에 의해 결합되며, 본딩이 도포되는 본딩라인(15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의 결합된 모습이며, 프론트 패널(100)에 상부보강재(110)와 하부보강재(120)가 결합된 후, 상기 코너 패널(200)이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 프론트 패널의 경우, 상부와 하부 스틸보강재(30, 40)를 결합하기 위해 상당한 중량이 나가는 수직보강재(도 2 50)를 결합시켰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 중량을 줄이고 연비를 향상시킨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코너 패널의 결합방식을 볼트 체결방식이 아닌 별도의 클립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작업을 단순화시켜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킨 것이다. 이하 코너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코너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너 패널(200)은 크게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와 메인부재(230)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210)에는 제1돌기(213)와 제2돌기(2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돌기(213)는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중간부재(220)를 결합시키는 스틸클립(이하 설명)이 체결되는 곳이며, 상기 제2돌기(215)는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메인부재(230)를 결합시키는 플라스틱클립(이하 설명)이 체결되는 곳이다. 상기 제1돌기(213)는 얇은 사각 단면의 돌출부재이며, 상기 제2돌기(215)는 상대적으로 크게 돌출되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이며 플라스틱클립이 삽입되는 체결공(217)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볼트 등을 이용한 체결 방법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돌기(213)와 제2돌기(215)에 클립을 삽입하는 방식을 통해 코너 패널(200)을 조립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너패널 중 상기 커버부재(210)가 상기 스틸클립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부재(220)에 결합된 모습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틸클립(3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틸클립(300)은 커버부재(210)에 마련된 복수의 제1돌기(213)에 각각 강제 압입되며, 이 압입된 상태에서 중간부재(220)의 제1장착홀(도 9의 225)에 강제 압입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틸 클립의 측면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스틸 클립이 조립되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틸클립(300)은, 내부로 삽입되는 제1돌기(213)를 감싸는 것이 가능하도록 채널 형상으로 벤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310) 및 베이스부(310)의 벤딩된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부(310)는 대략 'ㄷ'자의 채널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부(310)의 양측 사이 거리는 커버부재(210)의 제1돌기(213)가 강제 압입 가능하도록, 제1돌기(21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부(310),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후술하는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이 아연 도금된다. 일 예로, 클립은 SK5 계열의 고탄소강으로 적용 가능하며, 두께는 대략 1.2mm 정도로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두께의 경우 외력에 의해 어느 정도 탄성적으로 형상 변형이 가능하므로, 삽입돌기(210)의 두께가 일정 이상 크더라도 클립은 삽입돌기(210)에 강제 압입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는, 베이스부(31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모서리에 베이스부(31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된다. 덧붙이자면,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는 베이스부(310)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상측으로 절곡되게 젖혀 올림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틸클립(300)이 제1장착홈(도 9의 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가 제1장착홀의 내벽에 걸려짐으로써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스틸클립이 제1장착홀에 삽입되는 도중,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의 돌출 단부는 베이스부(310)를 향해 일정 정도 탄성적으로 젖혀진다. 이후, 스틸클립이 돌기 제1장착홀에 완전히 강제 압입된 상태에서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의 돌출 단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벽에 접촉하여 걸린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스틸클립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310)의 일측 및 타측 영역에는 각각 절개홀(311)이 마련된다. 또한, 절개홀(311)의 둘레에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와 반대인 베이스부(310)의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가 마련된다.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310)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하측으로 절곡되게 젖혀 내림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의 제1돌기(213)가 스틸클립(30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가 제1돌기의 외면에 접촉하여 걸려짐으로써 스틸클립(300)로부터 제1돌기(213)가 이탈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즉, 제1돌기(213)가 스틸클립에 강제 압입되는 도중,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의 돌출 단부는 베이스부(3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젖혀진다. 이후, 제1돌기가 스틸클립에 완전히 강제 압입된 상태에서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의 돌출 단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돌기의 표면에 접촉하여 걸린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이탈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한편, 스틸클립의 이러한 결합 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의 단부는 각각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자면,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는 각각 뾰족 돌기로 적용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럭의 코너패널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커버부재(210)에 마련된 복수의 제1돌기(213)에 각각 스틸클립(300)를 강제 압입한다. 여기서, 이러한 압입 작업은 작업자가 별도의 압입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손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압입 가능하다.
여기서, 제1돌기(213)에 스틸클립(300)가 완전히 압입 완료되면,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 제1돌기(210)는 스틸클립(30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다음, 작업자는 스틸클립(300)이 결합된 상태의 커버부재(210)를 중간부재(220)에 결합한다. 이때, 스틸클립(300)는 중간부재(220)에 형성된 제1장착홈(225)에 강제 압입된다. 이러한 압입 작업 또한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여 간단히 밀어넣어 가능하다. 여기서, 스틸클립(300)이 완전히 압입 완료되면,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 스틸클립(300)는 이탈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예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 및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가 마련된 스틸클립(300)를 이용하여 조립이 가능함으로써, 코너패널 조립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어서, 종래와 달리 볼트 체결을 통한 체결홀 드릴링 작업 및 체결 작업을 생략 가능함으로써 전술한 효과가 구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패널의 조립된 모습이며, 도 11은 도 10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일부 구간의 단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15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클립이 조립되는 모습이다.
도 10에 도시된 코너패널(200)은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와 메인부재(230)가 모두 결합된 형태이다. 상기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틸클립(300)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부재(230)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플라스틱클립(400)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먼저, 도 13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클립(400)을 보면, 베이스 플레이트(410), 및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쌍의 걸림 후크(4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411)가 돌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바(411)에는 각각 오목홈(412)이 마련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가락과 플라스틱클립(400)의 접촉시, 돌출바(411) 및 오목홈(412)에 의해 손가락의 아래 면과 베이스 플레이트(410) 사이에는 일정 이상의 마찰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미끌림을 더욱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플라스틱클립(400)를 장착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오목홈(412)은 볼록 돌출부로 대체 가능하며, 또한 돌출바(411) 및 오목홈(412)을 생략하고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면에 복수의 엠보싱 돌기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클립(400)은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상면에는 의도적으로 스크래치 구조(부식 효과)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볼록 돌출부, 엠보싱 돌기, 스크래치 구조 등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플라스틱클립을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 후크(420)는,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 바(421), 및 수직 바(421)의 단부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 바(4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곡 바(422)에는 슬릿홀(423)이 마련된다. 여기서, 절곡 바(422)의 단부는, 플라스틱클립(400)을 삽입 장착하는 동안 일정 정도 탄성 변형이 되면서 장착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 후, 플라스틱클립(400)이 완전하게 삽입되면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되어 장착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 바(422)에 슬릿홀(423)이 더 마련됨으로써, 절곡 바(422)의 탄성력을 보다 증대시켜 작업자가 더욱 적은 힘을 사용하더라도 손쉽게 플라스틱클립(400)을 삽입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라스틱클립(4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파손이나 손상으로 인해 교체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플라스틱클립(4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저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클립(4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양단 저면은 장착부위의 상면에서 약간 이격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양단 영역을 그림의 P방향으로 누르면, 한 쌍의 걸림 후크(420) 또한 하단부분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벤딩으로 인해 걸림 후크(4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보다 감소하여 필요시 장착된 부위로부터 플라스틱클립(40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0 내지 도 12를 보면, 본 발명의 코너패널(200) 조립은, 스틸클립(300)을 이용하여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를 결합하고, 그 후 상기 메인부재(230)를 플라스틱클립(400)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210)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돌기(213)와 함께 상하 적절한 위치에 복수 개의 제2돌기(2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2돌기(215)는 제1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돌출되고 끝단에는 플라스틱클립(400) 체결을 위한 클립홈(217)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210)의 제2돌기(215)는,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미도시)를 관통한 후 상기 메인부재(230)의 장착홈(235)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돌기(213)의 클림홈(217)이 상기 메인부재의 관통홈(23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이 클림홈(217)에 상기 플라스틱클립(400)이 장착된다.
즉, 작업자는 먼저 커버부재의 복수 개의 제2돌기(215)를 메인부재의 복수 개의 장착홈(235)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한 후, 돌출되어 노출되는 클립홈(217)에 플라스틱클립(400)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커버부재와 메인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크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플라스틱클립(400)을 원터치 푸싱 방식으로 손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부재를 메인부재에 손쉽게 고정 결합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써 상용자용 코너패널(200)을 조립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프론트 패널(100);
    상기 프론트 패널의 상부와 하부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상부보강재(110)와 하부보강재(120);
    상기 프론트패널(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합소재의 코너 패널(200);을 포함하고,
    상기 코너 패널(200)은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 및 메인부재(230)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중간부재(220)는 스틸클립(300)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재(210)와 메인부재(230)는 플라스틱클립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복합소재의 코너 패널은 상기 프론트 패널에 본딩 과정을 통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클립(300)은,
    ㄷ 형상으로 벤딩된 베이스부(310); 및 상기 베이스부의 벤딩된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외부 걸림 노치돌기(320)와 내부 걸림 노치돌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클립(400)은,
    베이스 플레이트(410); 및 베이스 플레이트(410)의 저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한쌍의 걸림 후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스틸클립에 삽입장착되는 제1돌기(213)가 형성되고,
    상기 스틸클립은 내부에 제1돌기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부재의 제1장착홀(225)에 압입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플라스틱클립이 장착되는 체결공(217)이 형성된 제2돌기(2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중간부재 및 메인부재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에 플라스틱클립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클립에서,
    상기 외부 걸림 노치돌기 및 상기 내부 걸림 노치돌기는, 상기 베이스부에 절개선을 형성한 후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수직 바; 및
    상기 수직 바의 단부에 절곡되게 연결되는 절곡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절곡 바에는 슬릿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KR1020140029242A 2014-03-12 2014-03-12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KR20150106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42A KR20150106769A (ko) 2014-03-12 2014-03-12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42A KR20150106769A (ko) 2014-03-12 2014-03-12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69A true KR20150106769A (ko) 2015-09-22

Family

ID=5424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242A KR20150106769A (ko) 2014-03-12 2014-03-12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7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068B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170305469A1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KR101454726B1 (ko) 수지 루프 패널 구조
US9688123B2 (en) Load transmission member
JP4265640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JP4725365B2 (ja) 係合固定構造および係合固定方法
JP5821223B2 (ja) ブラケット、および熱交換器の取付方法に関する。
US9840208B2 (en) Door outbelt unit for vehicle and vehicle door thererof
US20150176621A1 (en) Fastener for vehicle
US8845257B2 (en) Fastener
JP4360238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EP2966393B1 (en) An integrated bracket for automotive heat exchanger
JP2009062019A (ja) 車両用ドアのドアライニング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20150106769A (ko) 상용차용 프론트패널 어셈블리
CN103906656A (zh) 辅助拉手安装构造
KR101425718B1 (ko) 트럭의 프론트 패널에 코너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US9180827B2 (en)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a bumper covering on a vehicle body, vehicle body as well as method for assembling a bumper covering on a vehicle body
KR101744911B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부재 조립구조
KR20150106767A (ko) 상용차용 코너패널
JP2013116674A (ja) ナットプレートの取付構造
WO2014129056A1 (ja) ピラーの補強装置及び補強方法
KR101364278B1 (ko) 트럭의 프론트 패널 결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럭의 프론트 패널 어셈블리
JP2011247394A (ja) 樹脂部品の取付固定構造
JP4497071B2 (ja) 車両の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