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971B1 -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8971B1 KR101418971B1 KR1020140003300A KR20140003300A KR101418971B1 KR 101418971 B1 KR101418971 B1 KR 101418971B1 KR 1020140003300 A KR1020140003300 A KR 1020140003300A KR 20140003300 A KR20140003300 A KR 20140003300A KR 101418971 B1 KR101418971 B1 KR 101418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wheel
- vehicle
- unit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2—Units of separate wheels mounted for independent or coupled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2—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convertible, e.g. from road wheel to rail wheel; Wheels specially designed for alternative use on road and ra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X-shaped or fork-shaped construction, i.e. having members which form an X or fork as the frame is seen in plan vi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종동차륜에 결합되어 상기 종동차륜과 함께 레일 상에서 주행되는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는, 상기 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종동차륜이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날개 프레임; 및 상기 레일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레일 휠을 구비하며, 상기 날개 프레임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휠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도로와 레일의 겸용으로써 철도 옆 일반도에서 레일 상으로 스스로 올라가 레일 상에서 목적하는 작업 후 스스로 일반도로 내려오는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이나 토목 현장에서는 다양한 건설 또는 토목 자재와 그에 수반되는 다양한 공구, 도구, 케이블들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자재, 공구, 도구, 케이블들(이하, 이들을 통틀어 '건설 기자재'라 함)은 부피와 무게가 무척 큰 것에서부터 작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건설 기자재는 공기에 맞게 작업 현장으로 전달된다.
한편, 건설 기자재가 작업 현장으로 전달될 때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행해지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트럭 등의 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작업 현장의 경우, 차량이 이동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작업 현장 중에는 공간이 너무 협소하거나 아니면 레일 등이 배치되어 있어 차량이 접근될 수 없는 곳도 존재한다.
예컨대, 철도 교량의 시공 시 교량의 상판에 레일을 설치한 다음에 다양한 작업, 예컨대 건설 기자재의 전달 또는 차량에서의 선로 작업 등을 진행하려면 불가피하게 차량을 교량으로 주행시키면서 진행해야 하는데, 이미 레일이 설치된 이후라서 차량을 주행시키기가 어렵다.
이때는 별도의 레일 작업화 장치가 있어서 차량에 이 레일 작업화 장치를 결합시킨 후에 레일 작업화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레일 상에서 주행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까지는 이와 같은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있지 않아 레일 상으로 차량을 주행시키면서 작업하기가 곤란하였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대한 구조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도로와 레일의 겸용으로써 철도 옆 일반도에서 레일 상으로 스스로 올라가 레일 상에서 목적하는 작업 후 스스로 일반도로 내려오는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의 종동차륜에 결합되어 상기 종동차륜과 함께 레일 상에서 주행되는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는, 상기 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종동차륜이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날개 프레임; 및 상기 레일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레일 휠을 구비하며, 상기 날개 프레임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차량의 차체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프레임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용 프레임 상에는 완충보강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날개 프레임들의 상면에는 상기 날개 프레임들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 강도 보강체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 프레임들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착탈식 휠 유닛과의 결합을 위한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휠 유닛은, 상기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에 접면되어 상기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와 볼트 결합되는 휠 플레이트; 및 상기 휠 플레이트와 연결되며, 상기 레일 휠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휠 지지용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과 형상맞춤되게 안착되는 레일 안착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의 구동차륜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 프레임과 상기 착탈식 휠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날개 프레임에 대한 상기 착탈식 휠 유닛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 상으로 차량을 주행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차량, 예컨대 트럭과 같은 차량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여 레일이 설치된 이후의 작업 현장일지라도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교량의 상판에 레일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레일 상을 주행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이 구동차륜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레일 상을 주행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이 구동차륜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의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교량의 상판에 레일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 도면의 경우, 예컨대 철도 교량을 나타내는데 이처럼 철도 교량의 시공 시 교량의 상판에 레일(1)을 설치한 다음에 다양한 작업, 예컨대 건설 기자재의 전달 또는 차량(100, 도 2 참조)에서의 선로 작업 등을 진행하려면 불가피하게 차량(100)을 교량으로 주행시키면서 진행해야 하는데, 도 1처럼 이미 레일(1)이 설치된 이후라서 차량(100)을 주행시키기가 어려울 경우,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즉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를 도 2와 같은 차량(100) 즉, 트럭에 설치하면 교량의 상판에 레일(1)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레일(1) 상으로 차량(100)을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처럼 교량의 상판에 설사 레일(1)이 설치된 이후의 작업 현장일지라도 차량(100)을 주행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갖는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의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레일 상을 주행하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 영역의 확대도, 도 4는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은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8은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이 구동차륜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는 레일(1) 상으로 차량(100)을 주행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와,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을 포함한다.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는 차량(100)의 종동차륜(101)에 결합되어 종동차륜(101)과 함께 레일(1) 상에서 주행되는 구조체이다.
그리고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은 레일(1)과 형상맞춤되게 안착되는 레일 안착홈부(151)를 구비하며, 차량(100)의 구동차륜(102)의 내측에 결합되어 구동차륜(10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체이다.
여기서, 차량(100)은 예컨대, 트럭일 수 있는데 이러한 후륜 구동의 차량(100)의 종동차륜(101)은 전륜일 수 있고, 구동차륜(102)은 차량(100)의 후륜일 수 있다.
하지만, 전륜 구동 차량의 경우,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가 후륜에 결합되고,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이 전륜에 결합될 수 있다.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 다수의 날개 프레임(130), 그리고 다수의 착탈식 휠 유닛(140)을 포함한다.
본체부(120)는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의 중심 구조물이다. 사각형의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는 일정한 강성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에 본체부(120)와 날개 프레임(130), 그리고 결합용 프레임(121), 프레임 강도 보강체(131) 등은 H형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반드시 H형 형강이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120)는 차량(100)의 차체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된다. 차량(100)의 하부 구조를 보면, 양쪽 전륜을 잇는 부분에 차체 프레임이 길게 마련되는데, 이러한 차체 프레임에 본체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20)에는 차량(100)의 차체 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프레임(121)이 더 결합된다.
결합용 프레임(121)에는 다수의 결합통공(121a)이 형성되므로 U자형 볼트를 차량(100)의 차체 프레임에 걸고 단부를 결합통공(121a)에 체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용 프레임(121)을 차체 프레임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용 프레임(121)의 상부에는 완충보강재(122)가 부착될 수 있다. 완충보강재(122)는 혹시 모를 차체 프레임과의 충돌 시 보호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다수의 날개 프레임(130)은 도 7처럼 종동차륜(101)이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본체부(120)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날개 프레임(130)은 본체부(1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착탈식 휠 유닛(140)이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날개 프레임(130)의 상면에는 날개 프레임(130)들의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 강도 보강체(131)가 더 결합된다. 프레임 강도 보강체(131)는 날개 프레임(130)에 용접될 수 있다.
날개 프레임(130)들의 단부 영역에는 착탈식 휠 유닛(140)과의 결합을 위한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가 마련된다.
한편, 착탈식 휠 유닛(140)은 레일(1)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레일 휠(141)을 구비하며, 날개 프레임(13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착탈식 휠 유닛(140)은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에 접면되어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와 볼트(B) 결합되는 휠 플레이트(142)와, 휠 플레이트(142)와 연결되며, 레일 휠(141)의 양측에 배치되어 레일 휠(1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휠 지지용 벽체(143)를 포함한다.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와 휠 플레이트(142)에는 상호간 연통되는 연통공(132a,142a)이 형성되므로 이들을 맞대어 두고 볼트(B)를 체결함으로써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에 착탈식 휠 유닛(14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는 레일(1)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차량(1)이 불가피하게 도로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 굳이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착탈식 휠 유닛(140)만을 떼어내면 도로 주행이 가능해진다.
즉 착탈식 휠 유닛(140)을 해당 위치에서 떼어내면 종동차륜(101)만이 지면에 접촉되고 본체부(120)와 날개 프레임(130) 등은 지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굳이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착탈식 휠 유닛(140)만을 떼어내면 도로 주행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구동차륜(102)의 내측에 결합되는 구조체이다.
통상 트럭의 경우, 후륜은 2개씩 마련되는데, 안쪽 후륜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을 설치하면 된다.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에는 레일 안착홈부(151)가 마련되고, 이 레일 안착홈부(151)는 레일(1)과 형상맞춤되게 안착되기 때문에 마치 기차 바퀴처럼 레일(1) 상을 주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는 차량(100)의 종동차륜(101)에, 그리고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은 차량(100)의 구동차륜(102)의 내측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의 착탈식 휠 유닛(140)에 마련되는 레일 휠(141)과,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의 레일 안착홈부(151) 모두가 레일(1) 상에 올라오도록 배치한다.
이때, 종동차륜(101), 즉 전륜의 바람이 너무 팽팽한 경우에는 이로 인해 레일 휠(141)이 레일(1) 상에 구름 접촉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전륜의 바람을 조금 빼서 종동차륜(101)인 전륜과 착탈식 휠 유닛(140)에 마련되는 레일 휠(141) 전부가 레일(1) 상에 구름 접촉되도록 한다.
준비가 완료되어 차량(100)을 운행시키면 구동차륜(102)이 회전되면서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이 레일(1) 상에서 이동되는데, 이러한 동작에 맞물려 종동차륜(101)이 도 3처럼 종동차륜(101)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착탈식 휠 유닛(140)의 레일 휠(141)이 레일(1)을 타고 잘 주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따르면, 레일(1) 상으로 차량(100)을 주행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차량(100), 예컨대 트럭과 같은 차량에 설치하기가 용이하여 레일(1)이 설치된 이후의 작업 현장일지라도 차량(100)을 주행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는 날개 프레임(130)과 착탈식 휠 유닛(140)에 연결되며, 날개 프레임(130)에 대한 착탈식 휠 유닛(1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6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260)는 날개 프레임(130)의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와, 착탈식 휠 유닛(140)의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 사이에 개재되는 일정한 두께의 판상구조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부(260)를 빼거나 넣거나 하여 날개 프레임(130)에 대한 착탈식 휠 유닛(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착탈식 휠 유닛(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1)의 레일(1) 주행이나 도로 주행을 선택하기에 유리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의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역시, 날개 프레임(130)에 대한 착탈식 휠 유닛(3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6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조절부(360)는 착탈식 휠 유닛(340)에 마련되는 소켓(361)과, 날개 프레임(130)에 마련되는 소켓 수용부(362)와, 소켓(361) 및 소켓 수용부(362)에 마련되는 통공(361a,362a)으로 삽입되는 핀(363)을 포함한다. 소켓 수용부(362)에 다수의 통공(362a)이 형성되기 때문에 소켓(36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면서 소켓(361) 및 소켓 수용부(362)를 체결함으로써 날개 프레임(130)에 대한 착탈식 휠 유닛(3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의 레일(1) 주행이나 도로 주행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레일 100 : 차량
101 : 종동차륜 102 : 구동차륜
110 :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 120 : 본체부
121 : 결합용 프레임 122 : 완충보강재
130 : 날개 프레임 131 : 프레임 강도 보강체
132 :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 140 : 착탈식 휠 유닛
141 : 레일 휠 142 : 휠 플레이트
143 : 휠 지지용 벽체 150 :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
150 : 레일 안착홈부
101 : 종동차륜 102 : 구동차륜
110 :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 120 : 본체부
121 : 결합용 프레임 122 : 완충보강재
130 : 날개 프레임 131 : 프레임 강도 보강체
132 :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 140 : 착탈식 휠 유닛
141 : 레일 휠 142 : 휠 플레이트
143 : 휠 지지용 벽체 150 :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
150 : 레일 안착홈부
Claims (6)
- 차량(100)의 종동차륜(101) 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100)의 종동차륜(101)과 함께 레일(1) 상에서 상기 레일(1)을 따라 주행되는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 및
상기 레일(1)과 형상맞춤되게 안착되는 레일 안착홈부(151)를 구비하여 상기 레일(1)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100)의 구동차륜(101)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100)의 구동차륜(10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차륜 주행용 회전지지모듈(150); 을 포함하고,
상기 종동차륜 주행용 어셈블리(110)는,
상기 차량(100)의 차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용 프레임(121)과, 상기 결합용 프레임(121)의 상부에 부착되는 완충보강재(122)를 포함하는 본체부(120);
상기 차량(100)의 종동차륜(101)이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본체부(120)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전체 형상이 'X'자 형상으로 구현된 다수의 날개 프레임(130);
상기 날개 프레임(130)의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레일(1)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는 레일 휠(141)을 구비하는 착탈식 휠 유닛(140); 및
상기 착탈식 휠 유닛(140)과 상기 날개 프레임(130) 사이에 설치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360);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날개 프레임(130)은 상면에 강도를 보강하는 프레임 강도 보강체(131)가 더 결합되고, 단부 영역에는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가 더 마련되어 있고,
상기 착탈식 휠 유닛(140)은 상기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에 접면되어 상기 유닛 결합용 플레이트(132)와 볼트(B) 결합되는 휠 플레이트(142)와, 상기 휠 플레이트(142)와 연결되고 상기 레일 휠(141)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 휠(1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휠 지지용 벽체(1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360)는 상기 착탈식 휠 유닛(340)에 마련되고 통공(361a)이 마련된 소켓(361)과, 상기 날개 프레임(130)에 마련되고 상하로 복수개의 통공(362a)이 마련된 소켓 수용부(362)와, 상기 소켓(361)과 상기 소켓 수용부(362)에 마련되는 통공(361a, 362a)으로 삽입되어 상기 소켓(361)과 상기 소켓 수용부(362)를 고정하는 핀(3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3300A KR101418971B1 (ko) | 2014-01-10 | 2014-01-10 |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3300A KR101418971B1 (ko) | 2014-01-10 | 2014-01-10 |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8971B1 true KR101418971B1 (ko) | 2014-07-16 |
Family
ID=5174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3300A KR101418971B1 (ko) | 2014-01-10 | 2014-01-10 |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897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99856A (zh) * | 2015-07-27 | 2015-10-28 |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 一种适用于多种路况的新型底盘车轮及其工作方法 |
CN113276595A (zh) * | 2021-05-01 | 2021-08-20 | 李新亚 | 两用的汽车行驶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6210A (ja) * | 1992-07-08 | 1994-11-15 | Maekawagumi:Kk | 軌道工事用トラックと軌道工事用キヤタピラーカー |
JPH08230425A (ja) * | 1994-12-09 | 1996-09-10 | Zweiweg Schneider Gmbh & Co Kg | 路面及び軌道走行式マルチウェイカー |
JP2001080326A (ja) * | 1999-09-14 | 2001-03-27 | Kioritz Corp | 自走台車及びその走行方法 |
-
2014
- 2014-01-10 KR KR1020140003300A patent/KR1014189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16210A (ja) * | 1992-07-08 | 1994-11-15 | Maekawagumi:Kk | 軌道工事用トラックと軌道工事用キヤタピラーカー |
JPH08230425A (ja) * | 1994-12-09 | 1996-09-10 | Zweiweg Schneider Gmbh & Co Kg | 路面及び軌道走行式マルチウェイカー |
JP2001080326A (ja) * | 1999-09-14 | 2001-03-27 | Kioritz Corp | 自走台車及びその走行方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999856A (zh) * | 2015-07-27 | 2015-10-28 | 苏州健雄职业技术学院 | 一种适用于多种路况的新型底盘车轮及其工作方法 |
CN113276595A (zh) * | 2021-05-01 | 2021-08-20 | 李新亚 | 两用的汽车行驶方法 |
CN113276595B (zh) * | 2021-05-01 | 2024-01-05 | 李新亚 | 两用的汽车行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84300B2 (en) | Transportable equipment platform | |
CN104879061A (zh) | 自行门架式多功能凿岩台车 | |
JP5977265B2 (ja) | 懸垂式足場システム | |
US10112661B2 (en) | Track hitching structure for wheeled crane and wheeled crane | |
CN203186472U (zh) | 履带式底盘及履带式工程机械 | |
KR102109969B1 (ko) |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 |
KR101418971B1 (ko) | 차량 일반도 레일 겸용 운행장치 | |
CN110053936B (zh) | 一种管道输送装置及管道输送方法 | |
KR100764824B1 (ko) | 철도터널용 다용도 안전 작업대차 | |
CN206086734U (zh) | 一种带制动的管片运输车 | |
JP3985979B2 (ja) | トンネル補修拡幅装置 | |
JP2005076348A (ja) | 足場装置 | |
KR200435429Y1 (ko) |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
CN103111494B (zh) | 360度旋转矫正平台 | |
KR200456181Y1 (ko) | 고속철도차량 차축 베어링 고착시 이동용 조립식 보조트럭 | |
CN212176475U (zh) | 一种用于无轨施工作业车的车架 | |
CN201849911U (zh) | 重型设备运输装置 | |
JP5307760B2 (ja) | 作業機のサイドステップ装置 | |
JP2012076732A (ja) | 移動式建屋用トレーラ | |
CN210140770U (zh) | 现浇桥梁模板支架体系装置 | |
CN206436378U (zh) | 一种应用在搅拌车上的避雨挡料防跳装置 | |
CN202187784U (zh) | 隧道二衬修补台车 | |
JP3803036B2 (ja) | トンネル掘削における工事用の軌条 | |
CN204716132U (zh) | 门架式多功能凿岩台车 | |
KR200256168Y1 (ko) | 선로주행이 가능한 굴삭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