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969B1 -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 Google Patents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9969B1 KR102109969B1 KR1020190075395A KR20190075395A KR102109969B1 KR 102109969 B1 KR102109969 B1 KR 102109969B1 KR 1020190075395 A KR1020190075395 A KR 1020190075395A KR 20190075395 A KR20190075395 A KR 20190075395A KR 102109969 B1 KR102109969 B1 KR 1021099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nnel
- work
- scaffold
- support
- mov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5 wor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04—Staff transport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3/00—Transport specially adapted to underground conditions
- E21F13/08—Shifting conveyors or other transport devices from one location at the working f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부는 터널의 내측벽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터널 내 고소 작업이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터널 내부의 도로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압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벽을 따라 구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균형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을 기준으로 터널의 내측벽을 향해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를 직진이동시키는 유압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는 완충쇼바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의 하단부에는 구속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고정바에 축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고정바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수단과 지면 사이에 박혀 이동수단의 구름을 간섭하는 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터널 내부의 도로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압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벽을 따라 구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균형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을 기준으로 터널의 내측벽을 향해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를 직진이동시키는 유압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는 완충쇼바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의 하단부에는 구속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고정바에 축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고정바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수단과 지면 사이에 박혀 이동수단의 구름을 간섭하는 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통상 터널은 그 용도에 따라 철도·도로와 같은 교통용 터널과, 수력발전 관개 등을 위한 수로용 터널, 상·하수도·전선로 등의 관로용 터널 및, 이 밖의 지하 발전소·변전소·석유 저장용 공동 등도 포함한다.
상기한 터널은 구조적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아치형으로 구축되고 있으며, 시공 지역의 특성과 도로의 조건 등에 따라 높이와 너비가 달라질 수밖에 없고, 주기적인 청소와 진단 및 필요시 보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철도는 선로에 설치된 궤도(레일, 침목, 체결구)의 안전여부 상태와 그 주변 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수시로 점검하고 있으며, 또한 철도운행의 안전을 위하여 주기적으로 궤도에 관련된 각종 유지보수작업 및 개량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0958호에는, 아치형 방음터널의 천정부와 터널형 교량의 저면에 작업자를 근접시켜 작업자의 청소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터널 등의 구조물의 높이와 너비에 맞는 작업공간을 부여할 수 있는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터널의 하부에 구성된 레일에 설치되어 터널을 점검하는 장비로써, 제1받침판부(10)와, 제2받침판부(20)와, 제1접철식지지보강부(30)와, 제1사다리(40)와, 제3받침판부(50)와, 제2접철식지지보강부(60)와, 제2사다리(70)와, 전도방지부재(80)로 이루어진다.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는 제1접철식지지보강부(30)에 결합설치되어 각각의 레일(1) 양측에 형성된 홈(1a)에 끼워지는 롤러를 구성한 전도방지부재(80)에 의해 작업도중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받침판부(50)에 구성되는 추락방지수단(51)을 통해 작업자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으며, 제1접철식지지보강부(30)에 연결설치되어 레일(1)에 배치되는 자전거(90)를 통해 이동배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를 이용한 선로 유지보수작업은 마지막 열차의 운행이 종료된 시간에서부터 첫 열차의 운행이 시작되기 전의 시간대에만 유지보수작업이 가능하며, 유지보수작업 등을 수행하는 각종 장비를 대기시켜놓고 있다가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시간대에 장비와 작업인원을 지하선로에 투입하여 궤도의 유지보수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작업대차의 전도방지를 위한 구성으로써, 전도방지부재(80)가 레일(1)에만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대차가 전도될 수 있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물론, 전도방지부재(80)가 레일(1) 양측에 지지되고는 있지만, 작업자가 제3받침판부(50)에 올라 작업하는 경우 전도방지부재(80)만으로는 작업대차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한 문제점은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를 추가로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의 내측벽에 발판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차의 높이에 관계 없이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널 내부의 도로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압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벽을 따라 구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균형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을 기준으로 터널의 내측벽을 향해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를 직진이동시키는 유압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는 완충쇼바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의 하단부에는 구속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고정바에 축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고정바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수단과 지면 사이에 박혀 이동수단의 구름을 간섭하는 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판의 양측에는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터널 내측벽에 지지되는 지지대가 설치됨으로써,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는 작업환경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소 작업을 위해 작업대차의 상부에 설치된 발판을 지지대가 터널의 내측벽에 직접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대차의 전도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발판위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작업대차의 상부에 위치된 발판을 터널 내측벽에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이에 관계없이 작업대차를 제작할 수 있다.
둘째, 발판의 양측에는 지지대와 별개로,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구름되는 균형롤러가 설치됨으로써, 작업대차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작업대차 이동시 터너르이 내측벽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작업대차의 주행은 안정감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지지대 및 균형롤러는 완충쇼바에 설치됨으로써, 지지환경에 큰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완충쇼바의 신축 작용을 통해 지지대 및 균형롤러는 터널의 내측벽에 항상 밀착될 수 있으므로 터널의 내측벽과 발판 간 거리 및 터널 내측벽이 고른 정도에 관계없이 지지대 및 균형롤러의 설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지지대의 단부에 흡착판이 설치되고, 그 흡착판의 터널 내측벽 압착을 통한 작업대차의 지지가 이루어짐으로써, 더욱 안정감 있는 작업대차의 지지환경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구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지지대 인출 전,후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균형롤러가 인출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제동수단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구동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지지대 인출 전,후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균형롤러가 인출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의 제동수단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는 터널 내부의 고소 작업시, 작업자에게 안정감 있는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는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이하, '작업대차'라 함)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00)과, 발판(200)과, 고정바(300)와, 지지대(400)와, 흡착판(500)과, 균형롤러(600)와, 아웃트리거(700)를 포함한다.
이동수단(100)은 작업대차를 이동시키며 도로 또는 선로를 따라 구름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동수단(100)이 반드시 구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작업대차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이동수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를 구성하는 레일(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판(200)은 작업자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후술하는 고정바(30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된다. 발판(200)은 터널 내부의 고소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서 있을 수 있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발판(200)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발판(2000의 둘레에는 펜스(21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펜스(210)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펜스(210)의 구성은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자의 허리 높이에 대응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발판(2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지지대(400) 및 균형롤러(600)가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고정바(300)는 발판(200)과 이동수단(100) 사이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00)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해 설치된다. 고정바(300)의 높이는 발판(200)의 위치를 결정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바(3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고정바(300)는 발판(200)의 각 모서리 부분 저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동수단(100)은 고정바의 하단부에 축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고정(300)바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310)가 설치된다. 연결바(310)는 고정바(300)를 보강하고 후술하는 아웃트리거(700) 설치를 위한 구성이다.
지지대(400)는 후술하는 아웃트리거(700)와 더불어 작업대차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발판(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발판(200)은 지면으로부터 상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발판(200)에 올라 서 있는 작업대차의 무게 중심은 상부에 작용하는바, 지지대(400)는 발판(200)의 양측을 터널의 내측벽에 지지하여 발판(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지지대(400)가 발판(200)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작업대차의 하부가 레일(1)에만 지지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더욱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 지지대(400)는 발판(200)의 내부에 출입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대(400)는 발판(200)의 양측에서 인출되어 터널의 내측벽에 지지되거나 인출된 지지대(400)는 발판(2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지지대(400)의 출입작용을 위한 구동수단은 유압구동수단(800)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대(400)의 출입을 위한 구동수단이 유압구동수단(800)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모터를 적용하여 지지대(400)의 출입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대(400)는 완충쇼바(41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완충쇼바(410)는 발판(200의 내부에 출입되는 구성이며, 완충쇼바(410)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흡착판(500)이 설치된다. 완충쇼바(410)는 지지대(400)가 터널 내측벽에 발판(200)을 지지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발판을 더욱 안정감 있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완충쇼바(410)의 구성은 발판(200)과 터널 내측벽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터널 내측벽에 대한 지지대(400)의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담보할 수 있다. 상기 완충쇼바(410)는 가스쇼바임이 바람직하다.
흡착판(500)은 지지대(400)의 단부에 설치되며, 완충쇼바(410)에 축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흡착판(500)은 탄력 있는 고무재질임이 바람직하며 터널 내측벽에 흡착될 수 있으므로 지지대(500)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흡착판(500)은 공지된 기술로서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홈을 형성한다. 또한, 흡착판(500)이 완충쇼바(410)의 단부에 축 결합됨으로써, 터널의 내측벽이 고르지 않더라도 흡착판(500)은 완충쇼바(410)를 기준으로 회동되면서 터널의 내측벽에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균형롤러(600)는 작업대차 이동시 작업대차의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발판(200)의 양측에 설치된다. 균형롤러(600) 역시 지지대(400)와 마찬가지로 유압구동수단(800)을 통해 발판(200)의 내부에 출입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균형롤러(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의 양측에 한 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레일(1)과 이동수단(100) 간 유격 발생으로 인해, 작업대차 이동시 좌,우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균형롤러(600)가 터널의 내측벽에 지지됨으로써 작업대차는 균형있게 이동할 수 있다. 균형롤러(600)는 지지대(400)와 마찬가지로 완충쇼바(61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완충쇼바(610)에 균형롤러(600)가 설치됨으로써 터널 내측벽이 고르지 않더라도 균형롤러(600)의 구름작용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트리거(700)는 작업대차의 움직임을 지면에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웃트리거(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310)에 설치된다. 아웃트리거(700)는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아웃트리거(700)는 아우터바(710)와 이너바(7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너바(720)는 아우터바(710)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너바(720)의 단부에는 지면에 안정감 있게 지지될 수 있는 안착편(72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평상시에 이너바(720)는 아우터바(7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작업시에는 아우터바(710)로부터 인출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를 이용한 터널 내부 작업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내 작업 구역으로 작업대차를 이동시킨다. 작업대차가 터널 내 작업구역에 도착하면 유압구동수단(800)을 작동하여 발판(200)으로부터 지지대(400)를 인출시킨다. 완충쇼바(4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0)으로부터 인출되며 흡착판(500)은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이때, 흡착판(500)은 완충쇼바(410)에 의해 터널의 내측벽에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압착이 된다. 이로 인해 발판(200)의 무게 중심이 작업대차의 상부에 작용하더라도 발판(200)은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판(200) 상에서 작업자가 옮겨 다니더라도 흡착판(500)을 통해 터널 내측벽에 흡착된 지지대(400)는 완충쇼바(410)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는 안정감 있게 작업에 임할 수 있다.
지지대(400)가 터널 내측벽에 지지되면, 작업자는 아웃트리거(700)를 이용해 작업대차를 지면에 지지시킨다. 이를 위해, 아우터바(710)로부터 이너바(720)를 인출하여 안착편(721)을 지면에 지지시킨다. 이에 따라, 작업대차의 상부는 지지대(400)를 통해 터널의 내측벽에 지지되고, 작업대차의 하부는 아웃트리거(700)를 통해 지면에 지지됨으로써 작업대차는 터널 내 작업구역에서 균형 있게 작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차가 제공된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사다리(미도시)를 통해 발판(200)에서 내려올 수 있으며 작업자는 작업대차를 다른 작업 구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아웃트리거(700)의 이너바(720)를 아우터(710)바 내부로 원위치시키고 유압구동수단(800)을 동작하여 완충쇼바(410)를 발판(200)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작업대차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이 풀리고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작업자는 유압구동수단(800)을 동작하여 균형롤러(600)를 발판(200)으로부터 인출시킨다. 정확하게는 균형롤러(600)가 설치된 완충쇼바(6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0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인출되며 균형롤러(600)는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발판(200)의 양측과 터널의 내측벽 사이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지 않거나 터널의 내측벽이 고르지 않더라도 완충쇼바(610)의 완충작용을 통해, 균형롤러(600)는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차는 균형롤러(600)가 터널의 내측벽을 밀착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자는 발판(200)으로부터 지면에 내려온 상태일 수 있으며, 작업대차의 안정감 있는 균형 유지를 통해 발판(200)에 작업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대차가 이동될 수도 있다.
작업대차가 작업 구역으로 이동하면,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작업자는 지지대(400) 및 아웃트리거(700)를 동작시켜 작업대차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터널 작업을 실시한다.
한편, 작업대차는 지지대(400) 및 아웃트리거(700)와 더불어 이동수단(100)의 움직임을 추가로 구속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고정바(300)의 하단부에 이동수단(100)이 설치되고, 고정바(300)의 일측에는 구속수단(900)이 설치된다. 구속수단(900)은 이동수단(100)의 구름을 구속하며 이동수단(100)과 지면 사이에 개재되도록 마련된다. 구속수단(9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910)와 쐐기(920)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부재(910)의 상단부는 고정바(300)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이동수단(100)과 고정바(300)를 향해 회동된다. 쐐기(920)는 이동수단(100)과 지면 사이에 박혀 이동수단(100)의 구름을 간섭한다. 쐐기(920)는 회동부재(91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쐐기(920)는 회동부재(910)의 회동에 의해 이동수단(100)을 구속시키거나 이동수단(100)의 구속을 해제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는 터널 내 고소 작업을 위해 제공되는 과정에서, 작업 환경을 안정감 있게 제공하였다. 작업대차의 하부는 물론 작업대차의 상부도 터널 내측벽에 지지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작업대차는 터널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이동수단 200 : 발판
210 : 펜스 300 : 고정바
310 : 연결바 400 : 지지대
410,610 : 완충쇼바 500 : 흡착판
600 : 균형롤러 700 : 아웃트리거
710 : 아우터바 720 : 이너바
721 : 안착편 800 : 유압구동수단
900 : 구속수단 910 : 회동부재
920 : 쐐기
210 : 펜스 300 : 고정바
310 : 연결바 400 : 지지대
410,610 : 완충쇼바 500 : 흡착판
600 : 균형롤러 700 : 아웃트리거
710 : 아우터바 720 : 이너바
721 : 안착편 800 : 유압구동수단
900 : 구속수단 910 : 회동부재
920 : 쐐기
Claims (5)
- 터널 내부의 도로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설치된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설치되며,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압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발판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터널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상기 내측벽을 따라 구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균형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판을 기준으로 터널의 내측벽을 향해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를 직진이동시키는 유압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 및 균형롤러는 완충쇼바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바에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아웃트리거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바의 하단부에는 구속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고정바에 축 결합되어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고정바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수단과 지면 사이에 박혀 이동수단의 구름을 간섭하는 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395A KR102109969B1 (ko) | 2019-06-25 | 2019-06-25 |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395A KR102109969B1 (ko) | 2019-06-25 | 2019-06-25 |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9969B1 true KR102109969B1 (ko) | 2020-05-12 |
Family
ID=7067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5395A KR102109969B1 (ko) | 2019-06-25 | 2019-06-25 |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996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02547A (zh) * | 2021-05-17 | 2021-08-03 | 中南大学 | 一种井下自动化可调节安全防护车及其使用方法 |
KR102286392B1 (ko) | 2021-02-03 | 2021-08-05 |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 선로용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선로 간 대차 이동장치 |
KR102328740B1 (ko) | 2021-02-18 | 2021-11-18 | 주식회사 에너솔라 | 매설 배관 탐지장치 |
KR20220070828A (ko) * | 2020-11-23 | 2022-05-31 | 우종규 | 전차선로 보수용 슬라이딩 절연사다리차 |
KR102422665B1 (ko) * | 2021-12-08 | 2022-07-20 | 청봉산업 주식회사 | 안전 기능이 강화된 교량 점검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3474A (ko) * | 2004-07-06 | 2006-01-11 |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 터널내 천장부 천공장비 작업대 |
KR20070031631A (ko) * | 2005-09-15 | 2007-03-2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밀림방지장치가 장착된 수직 및 수평작업용 곤도라 |
KR101298542B1 (ko) * | 2012-04-16 | 2013-08-2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
KR101360958B1 (ko) | 2013-08-12 | 2014-02-24 |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 |
-
2019
- 2019-06-25 KR KR1020190075395A patent/KR1021099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3474A (ko) * | 2004-07-06 | 2006-01-11 |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 터널내 천장부 천공장비 작업대 |
KR20070031631A (ko) * | 2005-09-15 | 2007-03-2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밀림방지장치가 장착된 수직 및 수평작업용 곤도라 |
KR101298542B1 (ko) * | 2012-04-16 | 2013-08-22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터널용 트러스 구조물 |
KR101360958B1 (ko) | 2013-08-12 | 2014-02-24 | (주)청운구조안전연구원 | 철도터널용 접철식 작업대차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0828A (ko) * | 2020-11-23 | 2022-05-31 | 우종규 | 전차선로 보수용 슬라이딩 절연사다리차 |
KR102553292B1 (ko) | 2020-11-23 | 2023-07-06 | 우종규 | 전차선로 보수용 절연 사다리차 |
KR102286392B1 (ko) | 2021-02-03 | 2021-08-05 | 주식회사 선진이엔씨 | 선로용 마운트 및 이를 이용한 선로 간 대차 이동장치 |
KR102328740B1 (ko) | 2021-02-18 | 2021-11-18 | 주식회사 에너솔라 | 매설 배관 탐지장치 |
CN113202547A (zh) * | 2021-05-17 | 2021-08-03 | 中南大学 | 一种井下自动化可调节安全防护车及其使用方法 |
KR102422665B1 (ko) * | 2021-12-08 | 2022-07-20 | 청봉산업 주식회사 | 안전 기능이 강화된 교량 점검대차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9969B1 (ko) | 터널 작업용 작업대차 | |
CN105016223B (zh) | 用于塔吊的横梁支撑系统 | |
US3016989A (en) | Elevator plant and its guide rails | |
JP5977265B2 (ja) | 懸垂式足場システム | |
ES2591207T3 (es) | Sistema de acceso para paredes en voladizo o de curvatura convexa | |
CN104179090B (zh) | 一种地铁铺轨系统 | |
JP6348888B2 (ja) |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 |
CN106285020A (zh) | 高空预制板安装机 | |
JP2020159057A (ja) | トンネル天井面研掃方法及びトンネル天井面研掃装置 | |
CN102837705B (zh) | 一种钢箱内运输小车 | |
JP6167025B2 (ja) |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 |
CN103835195A (zh) | 一种铺轨机低位顶升快速横移变跨装置及方法 | |
CN204848050U (zh) | 用于塔吊的横梁支撑系统 | |
JP2001048012A (ja) |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点検用の移動足場装置 | |
JP2009263868A (ja) | 架設桁を反力体としたプレストレス合成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 |
US20060086568A1 (en) | Scaffolding structure | |
KR101294239B1 (ko) | 터널형 방음벽 점검, 교체, 및 청소장치 | |
JP2007320491A (ja) | 保守車両昇降装置および保守車両昇降方法 | |
KR100990239B1 (ko) | 터널의 중앙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 |
JP2008214930A (ja) | 鉄道ホーム間仮設橋 | |
CN105239515A (zh) | 一种公铁两用桥中铁路防护棚架的托架安装设备及方法 | |
JP6873435B2 (ja) |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 |
CN204023325U (zh) | 一种地铁铺轨系统 | |
CN205188823U (zh) | 轻轨预应力盖梁施工及封端作业平台 | |
CN211711873U (zh) | 一种轨道式用于吊装运输的牵引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