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429Y1 -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5429Y1 KR200435429Y1 KR2020060023276U KR20060023276U KR200435429Y1 KR 200435429 Y1 KR200435429 Y1 KR 200435429Y1 KR 2020060023276 U KR2020060023276 U KR 2020060023276U KR 20060023276 U KR20060023276 U KR 20060023276U KR 200435429 Y1 KR200435429 Y1 KR 2004354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ing
- work
- aerial work
- handrails
- hand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高所)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화물을 높은 위치에서 옮기거나 옮겨 싣기 위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탑승부를 승,하강 이동시켜 작업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함은 물론, 고소작업을 위한 탑승부의 공간을 탑승 및 적재량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넓게 확장하여 확보함으로서, 탑승 및 적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차량의 탑승부의 바닥판 양측단에 수직되어 설치되며, 분할된 한 쌍의 제 1, 2난간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 1, 2난간은 힌지축에 의해 수직상태로 세워져 결합되거나 수평상태로 펼쳐져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되, 제 1, 2난간은 접철되는 제 1, 2몸체로 이루어지고, 제 1, 2몸체는 연결체에 의해 접어진 상태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바닥판에 설치된 것이다.
고소작업, 몸체부, 탑승부, 난간체, 고정축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체가 장착된 고소작업용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난간체 11:제 1난간
12:제 2난간 13:힌지축
14:제 1몸체 15:제 2몸체
16:연결체 17:가이드공
18:고정축 21:고정레일
22:구동레일 23:스토퍼
24:장공부 25:레버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高所)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또는, 화물을 높은 위치에서 옮기거나 옮겨 싣기 위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탑승부를 승,하강 이동시켜 작업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함은 물론, 고소작업을 위한 탑승부의 공간을 탑승 및 적재량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넓게 확장하여 확보함으로서, 탑승 및 적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차량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로, 가로수절단, 가로등 보수, 간판설치나 건물의 외부작업 등과 같은 고소(高所) 작업시 사용되며, 고소작업을 위한 장비로는 지게차나 크레인 등의 특수장비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장비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대한 전문기술이 요구되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며, 고소작업에 따른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고, 고소작업을 위한 크레인은 고가이므로 일반소비자들은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으며, 특히, 고소작업을 위한 장비를 이용하여 가로수절단과 가로등 보수 및 간판설치 등의 작업시 작업의 난해함과 위험성이 높고, 작업을 위해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위치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작업위치 조절을 위한 별도의 운전자가 요구되므로 불편하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소작업용 차량을 이용하여 고소작업을 행함에 있어, 작업자가 탑승되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탑승부를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여 고소작업에 따른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고소작업을 위한 탑승부의 승,하강은 물론,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탑승부의 탑승공간 및 화물 등의 적재공간을 필요에 따라 넓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에 따른 효율성과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압장치에 의한 구륜부에 의해 몸체부가 전,후진 이동되고, 1, 2차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탑승부가 승,하강 및 수평상태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몸체부의 전,후진 이동과 탑승부의 승,하강을 위한 작동이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고소작업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의 바닥판 양측단에 수직되어 설치되며, 분할된 한 쌍의 제 1, 2난간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 1, 2난간은 힌지축에 의해 수직상태로 세워져 결합되거나 수평상태로 펼쳐져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2난간은 접철되는 제 1, 2몸체로 이루어지고, 제 1, 2몸체는 연결체에 의해 접어진 상태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바닥판에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때, 상기 연결체는 힌지축에 의해 탑승부의 바닥면 단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반원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2난간의 제 1몸체에는 가운데 부위에 수직되게 고정레일이 설치되고, 고정레일에는 구동레일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고정레일에는 장공부가 형성되어 구동레일에 결합되는 레버가 장공부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10)는 탑승부(2)의 바닥판(3) 양측단에 수직되어 설치되는 분할된 한 쌍의 제 1, 2난간(11, 12)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 1, 2난간(11, 12)은 힌지축(13)에 의해 수직상태로 세워져 결합되거나 수평상태로 펼쳐져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탑승부의 제 1, 2난간(11, 12)은 제 1, 2몸체(14, 15)가 접철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제 1, 2몸체(14, 15)는 연결체(16)에 의해 접어진 상태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바닥판에 설치되는바, 상기 연결체(16)는 힌지축(13)에 의해 탑승부(2)의 바닥판(3) 양측단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체(16)에는 반원형태의 가이드공(17)이 형성되며, 제 1몸체(14)에는 고정축(18)이 결합되어 가이드공(17)내에서 위치 이동되며, 고정축(18)은 몸체부(4)에 형성된 스토퍼(23)에 구속된 상태로 고정되어 난간체(10)의 수직상태 유지를 위한 잠금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체가 장착된 고소작업용 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전동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구륜부(6)에 의해 전,후진 이동되는 몸체부(4)에 탑승부(2)가 설치되며, 탑승부(2)의 바닥판(3) 양측단에는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난간체(1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난간체(10)는 제 1, 2난간(11, 12)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 1, 2난간(11, 12)은 제 1, 몸체(14, 15)가 접철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힌지축(13)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가이드공(17)이 형성된 연결체(16)에 의해 수직 및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체(16)에 형성된 가이드공(17)에는 고정축(18)이 끼워져 가이드공(17) 내에서 위치 이동되며, 고정축(18)은 제 1몸체(14)에 고정되어 난간체(10)의 수직, 수평 및 접철된 상태의 위치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축(18)은 끝단이 제 1몸체(14)에 나사방식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고정축(18)을 돌려 조이게 되면, 고정축(18)이 나사방식에 의해 연결체(16)에 밀착되게 가압되어 제 1몸체(14)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고정축(18)을 풀게 되면, 제 1몸체(14)의 고정이 해제되므로, 가이드공(17)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 이동되어 제 1몸체(14)의 위치 설정, 즉, 수직, 수평상태의 위치 설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몸체부(4)에 설치된 탑승부(2)의 난간체(10)는 제 1, 2난간(11, 12)이 힌지축(13)을 기점으로 수직상태로 고정되거나, 또는,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 태를 이루게 되며, 제 1, 2난간(11, 12)이 수평상태로 펼쳐짐에 따라, 탑승부(2)의 탑승 및 화물 적재를 위한 공간이 넓게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2난간(11, 12)의 제 1몸체(14)에는 고정레일(21)이 고정되고, 고정레일(21)에는 구동레일(22)이 삽입되되, 고정레일(21)에는 장공부(24)가 형성되고, 구동레일(22)에는 레버(25)가 결합된다.
이때, 구동레일(22)에 결합된 레버(25)는 고정레일(21)에 형성된 장공부(24)내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구동레일(22)의 하단부는 몸체부(4)에 형성된 스토퍼(23)에 끼워져 구속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10)는 고소작업을 위한 탑승부(2)에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화물을 적재함에 있어, 탑승공간이나 적재공간을 넓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먼저, 탑승부(2)에 설치된 난간체(10)의 높이를 수직방향으로 높게 하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16)에 형성된 가이드공(17)에 위치되어 조여진 상태의 고정축(18)을 풀어 해제하게 되면, 제 1몸체(14)의 구속이 해제되어 접어진 상태에서 고정점을 기점으로 약 ∠180°회전되어 수직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고정축(18)의 위치는 가이드공(17)을 따라 회동된 각도에 따라 위치 이동된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축(18)을 돌려 고정시키게 되면, 제 1몸체(14)가 소정 높이를 이루며 수직된 상태로 고정되어 난간체(10)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난간체(1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2)의 바 닥판(3)에 대한 넓이를 확장시켜 작업을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하려면, 제 1몸체(14)의 고정레일(21)에 삽입되어 설치된 구동레일(22)을 들어올려 몸체부(4)에 형성된 스토퍼(23)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제 1, 2난간(11, 12)이 연결체(16)와 함께 힌지축(13)을 기점으로 양쪽 측방으로 ∠90°회동되어 수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4(a)에서와 마찬가지로 접어진 상태로 고정축(18)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제 1몸체(14)를 ∠180°회동시켜 고정하게 되면, 탑승부(2)의 바닥면적이 난간체(10)에 의해 확장되어 넓게 확보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난간체(10)는 고소작업용 차량뿐만 아니라, 각종 탑승 및 화물 적재를 위한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차량을 이용함에 따라, 고소작업을 행함에 있어,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탑승부의 탑승공간 및 화물 등의 적재공간을 필요에 따라 넓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따른 효율성과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 유압장치에 의한 구륜부에 의해 몸체부가 전,후진 이동되고, 탑승부가 승,하강 및 수평상태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몸체부의 전,후진 이동과 탑승부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고소작업용 차량에 있어서,상기 탑승부의 바닥판 양측단에 수직되어 설치되며, 분할된 한 쌍의 제 1, 2난간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 1, 2난간은 힌지축에 의해 수직상태로 세워져 결합되거나 수평상태로 펼쳐져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 2난간은 접철되는 제 1, 2몸체로 이루어지고, 제 1, 2몸체는 연결체에 의해 접어진 상태로 수직 및 수평상태로 바닥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 1몸체 가운데 부위에 수직되게 고정레일이 설치되고, 고정레일에는 구동레일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고정레일에는 장공부가 형성되어 구동레일에 결합되는 레버가 장공부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체는 힌지축에 의해 탑승부의 바닥면 단부에 회동되도록 결합되고, 반원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276U KR200435429Y1 (ko) | 2006-08-30 | 2006-08-30 |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276U KR200435429Y1 (ko) | 2006-08-30 | 2006-08-30 |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5429Y1 true KR200435429Y1 (ko) | 2007-01-22 |
Family
ID=4156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3276U KR200435429Y1 (ko) | 2006-08-30 | 2006-08-30 |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5429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065U (ko) * | 2019-03-13 | 2020-09-23 |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
KR102270911B1 (ko) * | 2021-02-26 | 2021-06-30 | (주)한성티앤아이 |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 자동복귀장치 |
KR102409363B1 (ko) * | 2021-02-16 | 2022-06-15 | 김종근 | 특장차의 화물 상하차용 리프트 게이트 |
KR20220133391A (ko) * | 2021-03-25 | 2022-10-05 |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 자동차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
-
2006
- 2006-08-30 KR KR2020060023276U patent/KR2004354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065U (ko) * | 2019-03-13 | 2020-09-23 |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
KR200493313Y1 (ko) * | 2019-03-13 | 2021-03-10 |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
KR102409363B1 (ko) * | 2021-02-16 | 2022-06-15 | 김종근 | 특장차의 화물 상하차용 리프트 게이트 |
KR102270911B1 (ko) * | 2021-02-26 | 2021-06-30 | (주)한성티앤아이 |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 자동복귀장치 |
KR20220133391A (ko) * | 2021-03-25 | 2022-10-05 |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 자동차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
KR102511515B1 (ko) * | 2021-03-25 | 2023-03-17 |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 자동차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67122B2 (en) | Mobile well servicing units and related methods | |
US9394657B2 (en) | Mobile barrier | |
KR200435429Y1 (ko) |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 |
KR102408771B1 (ko) | 다기능 고소 작업차 | |
CN108341172A (zh) | 汽车运输架 | |
DE202005001774U1 (de) | Turmwagen als Oberleitungsmontagefahrzeug, vorzugsweise zur Überwachung, Montage, Reparatur von Oberleitungen bei Schienenfahrzeugen, ebenso an Beleuchtungskörpern, Masten usw. | |
KR100790919B1 (ko) |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 |
KR100613591B1 (ko) | 고소작업차용 탑승함 수평유지장치 | |
KR100749572B1 (ko) | 고소작업용 차량 | |
CN110576787A (zh) | 一种工程维修车 | |
KR200431799Y1 (ko) | 고소작업용 차량 | |
KR20240027328A (ko) | 자동차 루프 캐리어에 자전거 적재방법 및 상하 적재편리성 개선 | |
JP6610088B2 (ja) |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テップ機構 | |
US7849637B2 (en) | Fold-up scaffold for semi-trailer shop | |
JP3214624U (ja) | 車載式の道路点検作業機 | |
JP3968362B2 (ja) | トンネル補修作業車 | |
CN207277190U (zh) | 桥面护栏模板的安装设备 | |
KR200426975Y1 (ko) |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 |
CN115432074A (zh) | 车辆及车辆的使用方法 | |
CN218114951U (zh) | 一种升降作业车 | |
KR101564995B1 (ko) |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 |
CN108033344B (zh) | 一种基于上部床盖板翻转的安全扶梯 | |
KR102230963B1 (ko) |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 |
GB2451105A (en) | Safety System for use in the unloading of vehicles and trailers | |
KR100556623B1 (ko) | 고소작업차용 접철식 탑승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