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225B1 -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225B1
KR101418225B1 KR1020137008411A KR20137008411A KR101418225B1 KR 101418225 B1 KR101418225 B1 KR 101418225B1 KR 1020137008411 A KR1020137008411 A KR 1020137008411A KR 20137008411 A KR20137008411 A KR 20137008411A KR 101418225 B1 KR101418225 B1 KR 101418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ug
pin
opening si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854A (ko
Inventor
마사히데 미즈노
마사노리 카와하라
요시오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덴겐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2B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2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4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로 급전 플러그의 로크 기구의 작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솔레노이드에 대해 방수 대책이 필요한데, 급전 플러그 전체에 보호 커버를 마련하거나 하면, 충전장치의 설치에 의해 큰 스페이스가 필요해진다.
급전 플러그(40)를 케이스(20)에 삽입할 때에, 급전 플러그(40)에 마련한 요동핀(43)이 케이스(20) 내의 활주핀(57)을 밀어넣고, 요동핀(43)의 선단에 마련한 급전 플러그(40)의 계지부(45)와 계지부(59)가 계지하면, 활주핀(57)이 개구측으로 되돌아와, 요동핀(43)의 주연이 활주핀(57)의 주연에 맞닿아서 급전 플러그(40)와 케이스(20)를 시정한다. 또한, 활주핀을 구비한 시정 장치(50)는, 케이스(20)의 가장 속에 배치되고, 시정 장치(50)의 개구측에는 제1 방수벽(30) 및 제2 방수벽(34)을 마련하고 있고, 비는 제1 방수벽(30) 및 제2 방수벽(34)에 맞기 때문에 시정 장치(50)는 비에 젖지 않는다.

Description

충전장치{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쁜 장난이나 급전 플러그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급전 플러그에 시정(lock)할 수 있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 이륜차 등의 축전지에 급전하는 충전기로서의 충전장치에는, 아동의 장난에 의한 사고나 급전 플러그 피손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기 본체의 몸체 내에 로크 기구를 마련하고, 사용자가 해정(unlock)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급전 플러그를 충전장치의 몸체로부터 인출시킬 수 없도록 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충전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정당하게 사용할 때에는 급전 플러그를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고, 또한, 부정하게 사용하려고 하는 자에 대해서는 급전 플러그의 인출을 확실하게 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이하에, 충전장치 본체에 로크 기구를 마련한 충전장치의 종래 기술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관한 충전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충전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시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부호 90은 충전장치, 91은 급전 플러그, 92는 시정 장치, 93은 활주핀, 94는 분리 버튼, 95는 커버이다.
도 11은, 일본 특개 2010-259277 공보로 개시된 충전장치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충전장치(90)는, 본체부 정면에 급전 플러그(91)의 지지부를 마련하고, 이 지지부의 부근에 급전 플러그(91)를 지지부에서 떼어내기 위한 분리 버튼(94)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급전 플러그(91)의 선단측과 분리 버튼(94)을 덮을 수 있는 커버(95)를 마련하고 있다. 커버(95)는, 앞쪽 측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본체부 정면에 부착되어 있고, 앞쪽 측이 하방으로 회동하면 급전 플러그(91)의 선단측과 분리 버튼(94)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95)의 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충전장치(9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시정 장치(92)의 활주핀(93)이 이 구멍에 삽입되고, 커버(95)의 회동을 규제한다. 활주핀(93)은, 시정 장치(92)의 솔레노이드의 통전과 비통전의 전환에 의해 활주한다. 따라서 시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 분리 버튼(94)을 덮고 있는 커버(95)를 회동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급전 플러그(91)를 지지부로부터 떼어낼 수가 없다. 또한, 사용자가 급전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을 행함에 의해 활주핀(93)이 커버(95)의 구멍에서 이탈하여, 커버(95)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가 분리 버튼(94)를 누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충전장치에서는, 시정 장치(92)를 충전장치 본체의 앞쪽 측에 마련할 필요가 있는데, 충전장치 본체의 앞쪽 측에는 조작부나 표시부 등도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충전기 본체의 대형화를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충전기 본체의 설계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충전장치를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침입한 빗물(rain)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젖어서, 시정 장치(92)에 접속된 리드선 등을 단락시키거나, 솔레노이드 자체의 코일을 단락시키거나, 녹을 발생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시정 장치(92)를 확실하게 방수하기 위해서는, 시정 장치(92)의 주위에 방수벽을 마련하는, 또는, 커버(95)를 보다 큰 것으로 하여야 하지만, 이들도 충전장치 본체의 앞쪽 측에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충전기 본체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나아가서는, 제조 비용을 증대시키는 요인도 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10-259277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정 장치를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음과 함께, 충전장치 본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충전기 본체의 설계를 복잡하게 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충전기 본체로부터 급전 케이블을 통하여 급전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급전 플러그를 충전기 본체의 정면에 마련한 케이스에 삽입하는 구조를 갖는 충전장치로서, 상기 케이스 내에, 선단에 계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소켓과, 활주핀을 구비한 시정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급전 플러그에, 상기 커넥터 소켓에 지지되는 급전 커넥터와, 선단에 상기 계지부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구비한 요동핀을 마련하고, 상기 급전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하여, 상기 급전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소켓에 지지될 때에, 상기 요동핀이 상기 활주핀을 밀어넣고, 상기 급전 플러그의 상기 계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계지부가 계지하면, 상기 활주핀이 되돌려져서, 상기 요동핀의 주연이 상기 활주핀의 주연에 맞닿아, 상기 급전 플러그와 상기 케이스를 시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활주핀은, 상기 요동핀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또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정 장치를 설치한 상기 케이스의 배판은, 개구측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천판은, 개구측으로부터 수평 또는 내측을 향하여 상행 구배가 되도록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판은, 개구측으로부터 수평 또는 내측을 향하여 상행 구배가 되도록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l항 내지 청구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판은, 개구측으로부터 평행 또는 내측을 향함에 따라 배판의 중심에 가까와지도록 사행(斜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이면서 상기 케이스의 배판보다 개구측에 제1 방수벽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벽은, 개구측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7항 또는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벽과 상기 케이스의 배판과의 사이에 제2 방수벽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벽은, 개구측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항 내지 청구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방수벽과 상기 제2 방수벽 중, 적어도 상기 제1 방수벽의 하단부에 물 빠짐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l항 내지 청구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정 장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활주핀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가동 철심과 연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이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급전 플러그를 케이스에 삽입하여 급전 플러그의 계지부와 케이스의 계지부가 계지하면, 요동핀의 주연이 활주핀의 주연에 맞닿아서 급전 플러그와 케이스를 시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활주핀을 급전 플러그의 계지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활주시켜서 고정한 구성과 같이 활주핀을 눌러 구부리는 스트레스가 걸리는 일이 없어서, 시정 장치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는, 비를 피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커넥터 소켓과 시정 장치를 지지하는 수단으로도 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기 본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충전기 본체의 설계를 복잡하게 하는 일도 없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활주핀이 요동핀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플러그를 케이스에 삽입할 때에 요동핀이 활주핀을 밀어넣고, 계지부끼리가 계지된 때에 활주핀이 되돌아와 요동핀과 활주핀과의 주연끼리가 맞닿는 구성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배판이 개구측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배판 부근이 비에 맞기 어려워진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천판을 개구측으로부터 수평 또는 내측을 향하여 상행 구배가 되도록 경사 되어져 있기 때문에, 천판에 묻은 결로 등의 물방울이 자연스럽게 개구측으로 유출되게 된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저판을 개구측으로부터 수평 또는 내측을 향하여 상행 구배가 되도록 경사 되어져 있기 때문에, 저판에 묻은 빗물 등이 자연스럽게 개구측으로 유출되게 된다.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측판을 개구측으로부터 평행 또는 내측을 향함에 따라 배판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사행시켰기 때문에, 케이스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충전장치 본체의 내부에 마련한 기판이나 배선 등에 케이스가 접촉하여 문의 개폐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 본체의 문 폭 치수를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장치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제7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급전 플러그가 케이스에 삽입하여 있는 경우, 제1 방수벽에 의해 거의 모든 빗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방수벽이, 비로 젖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더욱 빗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급전 플러그가 케이스에 삽입하여 있는 경우는 물론, 급전 플러그가 케이스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시정 장치 등이 비에 젖는 것을 제2의 방수벽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0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방수벽의 개구부 등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들어간 비에 의해 제2 방수벽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방수벽, 또는, 제1 방수벽과 제2 방수벽의 쌍방에 노치부를 마련하기 때문에, 제1 방수벽 또는 제2 방수벽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간 비나 결로를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청구항 제1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활주핀을 활주하는, 또는, 타입 가능한 상태에서 소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좌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c)는 사시도, (d)는 커넥터 소켓을 부착한 상태의 우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급전 플러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우측면도, (b)는 우측면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시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솔레노이드의 비통전시의 우측면도, (c)는 솔레노이드의 통전시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급전 플러그의 착탈 방법을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1)로서, (a)는 급전 플러그의 인출 조작 시작 전의 상태, (b)는 솔레노이드에 통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급전 플러그의 착탈 방법을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2)로서, (c)는 급전 플러그의 로크을 해제한 상태, (d)는 급전 플러그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급전 플러그의 착탈 방법을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3)로서, (e)는 급전 플러그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 (f)는 급전 플러그의 장착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충전장치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로서, (a)는 제1의 변형례, (b)는 제2의 변형례.
도 11은 종래 기술에 관한 충전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충전장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시정 장치의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충전장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충전장치를 비바람에 직접 폭로되는 충전 스탠드나 옥외의 주차장에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의 충전장치는, 예를 들면 지하 주차장이나, 입체 주차장에 설치하여도 좋다. 즉, 설치 장소는, 비바람에 직접적으로 폭로되는 곳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충전장치는, 전기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 이륜차에 대한 충전뿐만 아니라, 건설 기계 등의 이동 가능하고 축전지를 탑재하고 있는 각종 기기에 대해 이용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에서, 일부를 제외하고 나사나 나사구멍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우선, 충전장치의 기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부호 10은 충전장치, 11은 충전기 본체, 12는 문, 13은 앞면 패널, 14는 표시부, 15는 조작부, 16은 문용 자물쇠, 17은 우측면 패널, 18은 배면 패널, 19는 좌측면 패널, 20은 케이스, 30은 제1 방수벽, 40은 급전 플러그, 41은 플러그 본체, 47은 로크 버튼, 48은 그립부, 49는 급전 케이블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 관한 충전장치(10)는, 옥외의 충전 스탠드나 옥외의 주차장에 설치하는 것이다. 충전기 본체(11)는, 지주형상의 가늘고 길다란 외관을 나타내고 있고, 앞쪽 측에는 좌측면 패널(19)측으로 열리는 문(12)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장치(10)는, 충전기 본체(11)의 배면 패널(18), 또는, 우측면 패널(17) 및 배면 패널(18)이 건축물의 벽면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문(12)에는 문용 자물쇠(16)를 마련하고 있고, 관리자 이외의 자가 개폐할 수가 없도록 하고 있다. 또한, 문(12)의 앞면 패널(13)의 상측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4), 키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15), 및, 급전 플러그(40)의 급전 커넥터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커넥터 소켓을 마련한 케이스(20)를 배치하고 있다. 급전 플러그(40)의 급전 케이블(49)은, 좌측면 패널(19)의 도시하지 않은 부위에서 충전기 본체(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 등의 피충전측의 기기에 대해 충전을 행할 때는, 후술하는 충전기 본체(11)의 조작부(15)에 대해 소정의 조작을 행한 후에, 급전 플러그(40)의 그립부(48)를 쥔 상태에서, 로크 버튼(47)을 누르면서 케이스(20) 내의 제1 방수벽(30)의 배면측에 마련하여 있는 커넥터 소켓으로부터 떼어낸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충전기 본체(11)의 외관이나, 표시부(14) 등의 배치는 한 예에 지나지 않고, 용도나 설치 장소가 상황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다시, 케이스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좌측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부호 21은 천판, 22는 저판, 23은 좌측판, 24는 우측판, 25는 배판, 26은 개구측, 27은 상부 플랜지, 28은 하부 플랜지, 29는 상부 구석(隅), 31은 개구부, 32는 노치부, 33a, 33ba 및 33bb는 절곡부, 34는 제2 방수벽, 35는 개구부, 36은 노치부, 37a, 37ba 및 37bb는 절곡부, 38은 활주핀용 개구부, 39a, 39b, 39c 및 39d는 나사구멍이고, 그 밖의 부호는 도 1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c)는 사시도, (d)는 커넥터 소켓을 부착 상태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부호 58은 커넥터 소켓, 59는 계지부이고, 그 밖의 부호는 도 2와 같은 것을 나타낸다.
케이스(20)는, 솔레노이드를 비바람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과, 솔레노이드 및 커넥터 소켓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겸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 플러그(40)를 삽입하는 측이 되는 개구측(26)(앞쪽 측)을 제외하고, 솔레노이드 및 커넥터 소켓을 수납하는 공간을 천판(21), 저판(22), 좌측판(23), 우측판(24) 및 배판(25)에 의해 둘러싸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문(12)에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구측(26)의 상하에, 상부 플랜지(27)와 하부 플랜지(28)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 및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판(21) 및 저판(22)을 개구측(26)을 향하여 하행 구배가 되도록 형성하고 있고, 특히 저판(22)은 30도 이상의 급경사로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개구측(26)으로부터 들어간 빗물과, 케이스(20) 내에서 발생한 결로를 개구부측에서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저판(22)을 급경사로 함에 의해, 케이스(20) 내에 물방울이 머무르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천판(21) 및 저판(22)의 경사각은, 이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충전장치를 설치하는 장소의 상황 등에 응하여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좌측판(23)과 우측판(24)은 배판(25)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배판(25)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급전 플러그(40)의 방향에 대해 사행(斜行)하면서 가까워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판(22)이 천판(21)보다도 급경사로 형성되어 있고, 좌측판(23)과 우측판(24)이 급전 플러그(40)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서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0)는 전체로서 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케이스(20)의 용적을 작게 함에 의해, 도 1에서 도시한 충전기 본체(11)의 문(12)을 개폐할 때에, 예를 들면 충전기 본체(11)의 내부에 마련한 기판 등에 접촉하여 개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20)의 용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충전기 본체(11)의 소형화에도 기여한다. 또한, 케이스(20)가 문(12)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문(12)의 횡폭(橫幅)를 좁게 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저판(22)을 급경사로 한 것은 빗물 등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도 갖고 있다. 또한, 충전기 본체(11)의 내부에 마련한 것이지만 배치에 응하여, 좌측판(23)과 우측판(24)의 어느 한쪽만을 배판(25)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마련하여도 좋고, 좌측판(23)과 우측판(24)을 서로 평행하게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케이스에 빗물이 들어가기 어려운 장소에 충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케이스(20)의 천판 또는 저판을 수평으로 하여도 좋다.
게다가, 케이스(20)는, 개구측(26)의 부근에 제1 방수벽(30)을 마련하고, 또한 그 내측에 제2 방수벽(34)을 마련하고 있다. 케이스(20)의 가장 내측에는 배판(25)이 위치하고 있다. 배판(25)은, 개구측(26)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시켜서, 배판(25)의 하측 부근에 배치된 배선 등이 결로 등의 물방울로 젖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배판(25)보다도 개구측(26)에 제1 방수벽(30)에 마련하고, 제1 방수벽(30)과 배판(25)과의 사이에 제2 방수벽(34)을 마련하고 있다. 제1 방수벽(30) 및 제2 방수벽(34)은, 개구측(26)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경사 되어져 있다. 이것은, 제1 방수벽(30) 및 제2 방수벽(34)을 이와 같이 경사시킴에 의해, 이들 방수벽의 하측을 케이스(20)의 내측으로 후퇴시킴에 의해, 개구측(26)으로부터 들이친, 비가 개구부(31 또는 35)를 통과하여 더욱 내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정 장치의 솔레노이드는, 가장 비에 젖기 어려운 천판(21)의 상부 구석(29)의 부근에 부착되고, 또한 제1 방수벽(30) 및 제2 방수벽(34)에 의해 비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또한, 충전장치(10)를 지붕이 있는 스페이스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방수벽(30)을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지하 주차장과 같은 비바람에 완전히 폭로되지 않는 스페이스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방수벽(30)을 생략하고, 제2 방수벽(34)에 관해서는 커넥터 소켓을 지지하는 개방적인 지지 부재, 예를 들면 띠 형상으로 형성한 금속판재를 우물정자무늬 형상으로 짜맞춘 것 등으로 치환하여도 좋다. 또한, 빗물이 케이스(20)의 내측에 들어가기 어려운 장소에 충전장치(10)를 설치하는 경우, 제1 방수벽(30) 및 제2 방수벽(34)을 수직으로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방수벽(30)은, 도 1에 도시한 급전 플러그(40)의 플러그 본체(41)를 삽통시키기 위한 개구부(31)가 중앙에 형성되고, 하단부 중앙에 노치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방수벽(34)은, 커넥터 소켓을 고정하기 위한 개구부(35)가 중앙에 형성되고, 하단부 중앙에 노치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20)의 내부에서 발생한 결로 등의 물방울이나, 개구부(31 또는 35)를 통과하여 침입한 빗물은, 저판(22)에 적하하면, 노치부(32 및 36)를 통과하여 개구측(26)으로부터 유출되게 된다. 또한, 제1 방수벽(30)은, 상하의 단부(端部)에 절곡부(33a)와 절곡부(33ba 및 33b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절곡부(33ba)와 절곡부(33bb)는, 노치부(32)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절곡부(33a)와 절곡부(33ba 및 33bb)는, 천판(21)과 저판(22)에 각각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방수벽(34)은, 절곡부(37a)와 절곡부(37ba 및 37b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절곡부(37ba)와 절곡부(37bb)는, 노치부(36)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절곡부(37a)는, 천판(21)과의 근소한 틈으로부터 빗물이 침입하고 시정 장치의 솔레노이드가 젖는 것을 막기 위해, 다른 절곡부와는 역으로 개구측(26)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굽힘 방향은 어느쪽도 좋다.
또한,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방수벽(34)은, 개구부(35)의 주변에 활주핀용 개구부(38)와, 나사구멍(39a, 39b, 39c 및 39d)이 형성되어 있다. 활주핀용 개구부(38)는, 솔레노이드의 활주핀이 삽통되는 것이다. 또한, 나사구멍(39a, 39b, 39c 및 39d)은, 커넥터 소켓(58)을 제2 방수벽(34)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소켓(58)은, 급전 플러그(40)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내측의 일부가 개구부(35)에 삽입된 상태로 제2 방수벽(34)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소켓(58)은, 천판(21)과 대향한 부위에 오목형상의 계지부(59)를 형성하고 있다. 계지부(59)는, 급전 플러그(40)의 계지부(45)가 들어감에 의해 급전 플러그(40)의 계지부(45)를 계지한다.
또한, 급전 플러그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급전 플러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우측면도, (b)는 우측면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서, 부호 42는 급전 커넥터, 42b는 상단, 43은 요동핀, 44는 요동 암, 45는 계지부, 46은 곡면이고, 그 밖의 부호는 도 1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급전 플러그(40)는, 플러그 본체(41)의 선단(先端)에,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 이륜차 등 피충전측의 수전 커넥터에 접속된 급전 커넥터(42)를 마련하고 있다. 사용할 때에는, 플러그 본체(41)와 급전 케이블(49)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그립부(48)를 쥐고, 급전 커넥터(42)를 피충전측의 수전 커넥터에 접속한다. 또한, 급전 플러그(40)의 급전 커넥터(42)에 대한 착탈 방향과 평행하게 거의 돌출하도록 요동핀(43)이 마련되어 있다. 요동핀(43)은, 급전 플러그(40)를 충전기 본체(11)에 시정하기 위한 것이다. 요동 암(44)은, 로크 버튼(47)을 도 4(a)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누름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 본체(41) 내의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45)도 상승한다. 로크 버튼(47)을 누른 채의 상태로, 급전 플러그(40)의 급전 커넥터(42)를 커넥터 소켓(58)에 삽입하고, 로크 버튼(47)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요동 암(44)이 요동하여 계지부(45)가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59)에 계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계지부(45)의 커넥터 소켓(58)과 맞닿는 면은, 곡면(46)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삽입할 때에 로크 버튼(47)을 누르고 있지 않아도, 곡면(46)이 커넥터 소켓(58)의 맞닿는 부분에 대해 활주하면서 요동 암(44)을 밀어올리기 때문에, 급전 플러그(40)를 커넥터 소켓(58)에 계속 밀어넣으면, 계지부(45)가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59) 내에 들어가 계지된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지부(45)를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를 갈고리형상으로 하고 계지부(45)를 오목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계속해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시정 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시정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솔레노이드의 비통전시의 우측면도, (c)는 솔레노이드의 통전시의 우측면도이다. 도 5에서, 부호 50은 시정 장치, 51은 솔레노이드, 52는 프레임, 52a은 절곡부, 52b는 가이드 슬릿, 53은 스프링, 54는 코일, 55는 가이드 핀, 56은 가동 철심, 57은 활주핀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급전 플러그의 착탈 방법을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1)로서, (a)는 급전 플러그의 인출(引出) 조작 시작 전의 상태, (b)는 솔레노이드에 통전한 상태이다. 도 6에서 이용한 부호는, 도 2, 도 4 및 도 5와 같은 것을 나타낸다.
시정 장치(50)는, 솔레노이드(51)와 활주핀(57)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20)의 천판(21)의 상부 구석(29)의 부근에 배치된다. 솔레노이드(51)는, 이른바 오픈 프레임 솔레노이드이고, 프레임(52)에 대해 스프링(53), 코일(54), 가이드 핀(55), 가동 철심(56) 등을 마련하고 있다. 프레임(52)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천판(21)에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52)의 절곡부(52a)는, 활주핀(57)을 안내한다. 가동 철심(56)은, 코일(54)에 통전하면, 코일(54)의 내부에 있는 고정 철심에 흡인된다. 또한, 가동 철심(56)의 선단에는 활주핀(57)이 연접하여 있고, 코일(54)에 통전하여 여자(勵磁)된 때에는, 가동 철심(56)과 활주핀(57)이 일체가 되어 코일(54)측으로 활주한다. 스프링(53)은, 코일(54)에의 통전을 정지한 때에, 코일(54)측으로 흡인된 가동 철심(56)과 활주핀(57)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가이드 핀(55)은, 가동 철심(56) 및 활주핀(57)의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있고, 가동 철심(56)과 활주핀(57)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하단부가 가이드 슬릿(52b)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하고 있고, 가동 철심(56)의 활주를 안내한다. 또한, 충전기 본체(11) 내에 마련한 제어부가 활주핀(57)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솔레노이드(51) 내에 도시하지 않은 검출 스위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 검출 스위치는, 가이드 핀(55)의 밀어넣음에 연동하고 있고, 가이드 핀(55)을 누르고 있을 때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검출 스위치는, 솔레노이드(51)의 내부 이외의 곳에 마련되어도 좋다.
그런데, 활주핀(57)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때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 플러그(40)의 삽입 방향과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활주핀(57)의 주연은, 요동핀(43)의 요동 암(44)의 주연에 가볍게 접하여 있다, 또는, 요동 암(44)의 주연에서 약간 이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급전 플러그(40)의 로크 버튼(47)을 누를려고 하여도, 요동 암(44)의 요동을 활주핀(57)이 규제하기 때문에, 로크 버튼(47)을 밀어넣을 수가 없다. 또한, 요동핀(43)의 계지부(45)가 커넥터 소켓(58)에 오목형상으로 형성한 계지부(59)에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플러그(40)를 인발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크 기구는, 급전 플러그(40)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활주핀(57)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플러그(40)를 케이스(20)에 장착할 때에 활주핀(57)에 절곡하는 스트레스가 걸리는 일이 없다.
다시, 급전 플러그의 착탈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급전 플러그의 착탈 방법을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2)로서, (c)는 급전 플러그의 로크을 해제한 상태, (d)는 급전 플러그를 인출한 상태이다. 도 7에서 이용한 부호는, 모두 도 6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급전 플러그의 착탈 방법을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3)로서, (e)는 급전 플러그를 장착하고 있는 상태, (f)는 급전 플러그의 장착을 완료한 상태이다. 도 8에서 이용한 부호는, 모두 도 6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충전장치의 사용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급전 플러그(40)의 인출 조작을 시작하기 전은,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 플러그(40)의 급전 커넥터(42)가 커넥터 소켓(58)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요동핀(43)의 계지부(45)는,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59)에 들어간 상태에서 계지되어 있고, 급전 플러그(40)는 로크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스텝 71에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1)에 통전하지 않아 소자(消磁) 상태에 있고, 활주핀(57)은 요동 암(44)에 접하여 있다. 게다가, 검출 스위치는 오프 상태에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충전기 본체(11)의 조작부(15)를 조작하면, 충전기 본체(11)의 제어부가 이용 시작을 인식하여(스텝 72), 솔레노이드(51)에 통전한다. 솔레노이드(51)가 여자되면(스텝 73), 가동 철심(56)과 활주핀(57)이 일체가 되어 코일(54)측으로 활주하고, 도 6의 (b)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동시에, 검출 스위치는 온 상태가 되고, 제어부에서 급전 플러그(40)의 로크 해제를 검지한다(스텝 74). 제어부는, 표시부(14)에 충전을 시작하도록 지시를 표시한다(스텝 75). 이 상태에서는, 요동 암(44)의 요동을 규제하는 일은 없고, 로크 버튼(47)을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어넣는 것이 가능하다.
이 지시를 본 사용자가 로크 버튼(47)을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밀어넣으면,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암(44)의 선단이 상승하도록 요동한다. 요동핀(43)의 계지부(45)는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59)로부터 떨어지고, 급전 플러그(40)의 로크가 해제되기 때문에,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소켓(58)으로부터 급전 플러그(40)를 인발한다. 그리고, 급전 플러그(40)를 전기 자동차 등의 수전 커넥터에 삽입하고(스텝 76), 조작부(15)에서 충전 시작의 조작을 행한다. 제어부는, 이 조작을 받으면(스텝 77), 솔레노이드(51)를 소자한다. 코일(54)측에 흡인되어 있던 가동 철심(56) 및 활주핀(57)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 검출 스위치는 오프가 된다(스텝 78).
전기 자동차 등에의 급전이 끝나고, 사용자가 급전 플러그(40)를 전기 자동차 등의 수전 커넥터로부터 인발하고, 사용자가 고합전 플러그(40)를 커넥터 소켓(58)에 밀어넣어 가면, 도 8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암(44)의 선단과 활주핀(57)의 선단이 맞닿는다. 급전 플러그(40)를 더욱 밀어넣으면, 활주핀(57)은 코일(54)측을 향하여 눌러져 간다. 이 때 검출 스위치는 온이 된다(스텝 79). 계지부(45)가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59)까지 도달하면, 계지부(45)가 계지부(59)의 오목부에 들어가 계지된 상태가 된다. 이 때, 활주핀(57)이 복귀하고 검출 스위치는 오프가 된다(스텝 80). 또한, 계지부(45)가 계지부(59)의 오목부에 떨어져 들어가면, 활주핀(57)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도 8의 (f)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제어부는, 검출 스위치의 오프→ 온→ 오프를 검지하면, 충전장치의 이용에 관한 일련의 동작이 종료되었다고 인식하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플로 차트는, 충전장치의 사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예를 들면 급전 시작 후에 사용자에게 급전 종료까지의 예측 시간을 표시하는 등, 또 다른 동작을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케이스의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케이스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우측 단면도로서, (a)는 제1의 변형례, (b)는 제2의 변형례이다. 도 10에서, 부호 60은 케이스, 61은 천판, 62는 저판, 63은 배판, 64는 개구측, 65는 상부 플랜지, 66은 하부 플랜지, 67은 제1 방수벽, 68a 및 68bb는 절곡부, 69는 제2 방수벽, 70a 및 70bb는 절곡부이고, 그 밖의 부호는 도 3과 같은 것을 나타낸다.
도 10의 (a)는, 방수벽을 하나로 한 변형예이다. 예를 들면, 충전장치(10)를 쉘터(지붕)가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쉘터에 의해 비가 케이스(20)에 들어가는 것을 상당히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제l 방수벽(30)을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도 10의 (b)에서는, 예를 들면, 케이스(60) 내에 시정 장치(50) 및 커넥터 소켓(58) 이외의 것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개구측(64)과 제1 방수벽(67)과의 사이의 공간, 또는, 제1 방수벽(67)과 제2 방수벽(69)과의 사이의 공간에 수납하는 것보다도, 배판(63)과 제2 방수벽(69)과의 사이의 공간에 수납하는 쪽이 비에 젖을 가능성이 작다. 그래서, 케이스(60)의 천판(61)과 저판(62)을 평행한 경사면으로서 형성하고, 배판(63)과 제2 방수벽(69)과의 사이의 공간의 용적을 크게 함에 의해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부 플랜지(65) 및 하부 플랜지(66)와, 제l 방수벽(67)의 절곡부(68a 및 68bb)와, 제2 방수벽(69)의 절곡부(70a 및 70bb)는, 절곡 방향이 반대이지만, 도 2 및 도 3의 케이스(20)와 마찬가지로 형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급전 플러그(40)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활주핀(57)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플러그(40)를 케이스(20)에 장착할 때에 활주핀(57)에 절곡하는 스트레스가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케이스(20)는, 비를 피한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 소켓(58)과 시정 장치(5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도 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기 본체(11)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충전기 본체(11)의 설계를 복잡하게 하는 일도 없다. 또한, 활주핀(57)이 요동핀(43)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플러그(40)를 케이스에 삽입할 때에 요동핀(43)이 활주핀(57)을 밀어넣고, 계지부(45)가 계지부(59)에 계지된 때에 활주핀이 되돌아와 요동핀(43)의 주연이 활주핀(57)의 주연에 맞닿는 구성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의 배판(25)을 개구측(26)으로부터 내측에 경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의 정판(正板) 부근에 마련하는 것이 비에 맞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천판(21)과 저판(22)을 개구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상행 구배가 되도록 경사시켰기 때문에, 빗물이나 결로의 물방울이 자연스럽게 개구측으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측판(23)과 우측판(24)을 개구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함에 따라 배판(25)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사행시켰기 때문에, 케이스(20)의 용적이 작아지고, 문(12)을 개폐할 때에 충전기 본체(11) 내에 마련한 것에 접촉하여 개폐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문(12)의 횡폭를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수벽(30)과 제2 방수벽(34)을 개구측(26)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시키고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빗물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제1 방수벽(30)과 제2 방수벽(34)의 하단부에 노치부(32)와 노치부(36)를 각각 마련하였기 때문에, 방수벽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간 비나 결로의 물방울을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활주핀(57)에 솔레노이드(51)의 가동 철심(56)을 연접하였기 때문에, 제어부가 솔레노이드(51)에의 통전과 비통전을 전환함에 의해 활주핀(57)의 활주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요동핀(43)을 급전 플러그(40)의 상측에 마련하는 것은 아니라, 하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의 어느 하나의 측에 마련하고, 제2 방수벽(34)의 활주핀용 개구부(38)와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59)도 이에 맞춘 측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요동핀(43)의 계지부(45)와 커넥터 소켓(58)의 계지부(59)는, 서로 계지 가능한 형상이라면, 쌍방을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한쪽을 링 형상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을 훅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하는 등, 다양한 형상이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0 : 충전장치 11 : 충전기 본체
12 : 문 13 : 앞면 패널
14 : 표시부 15 : 조작부
16 : 문용 자물쇠 17 : 우측면 패널
18 : 배면 패널 19 : 좌측면 패널
20 : 케이스 21 : 천판
22 : 저판 23 : 좌측판
24 : 우측판 25 : 배판
26 : 개구측 27 : 상부 플랜지
28 : 하부 플랜지 29 : 상부 구석
30 : 제1 방수벽 31 : 개구부
32 : 노치부 33a : 절곡부
33ba : 절곡부 33bb : 절곡부
34 : 제2 방수벽 35 : 개구부
36 : 노치부 37a : 절곡부
37ba : 절곡부 37bb : 절곡부
38 : 활주핀용 개구부 39a : 나사구멍
39b : 나사구멍 39c : 나사구멍
39d : 나사구멍 40 : 급전 플러그
41 : 플러그 본체 42 : 급전 커넥터
42b : 상단 43 : 요동핀
44 : 요동 암 45 : 계지부
46 : 곡면 47 : 로크 버튼
48 : 그립부 49 : 급전 케이블
50 : 시정 장치 51 : 솔레노이드
52 : 프레임 52a : 절곡부
52b : 가이드 슬릿 53 : 스프링
54 : 코일 55 : 가이드 핀
56 : 가동 철심 57 : 활주핀
58 : 커넥터 소켓 59 : 계지부
60 : 케이스 61 : 천판
62 : 저판 63 : 배판
64 : 개구측 65 : 상부 플랜지
66 : 하부 플랜지 67 : 제1 방수벽
68a : 절곡부 68bb : 절곡부
69 : 제2 방수벽 70a : 절곡부
70bb : 절곡부 90 : 충전장치
91 : 급전 플러그 92 : 시정 장치
93 : 활주핀 94 : 분리 버튼
95 : 커버

Claims (12)

  1. 충전기 본체로부터 급전 케이블을 통하여 급전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급전 플러그를 충전기 본체의 정면에 마련한 케이스에 삽입하는 구조를 갖는 충전장치로서,
    상기 케이스 내에, 선단에 케이스 계지부를 구비한 커넥터 소켓과,
    활주핀을 구비한 시정(施錠) 장치를 마련하고,
    상기 급전 플러그에, 상기 커넥터 소켓에 지지되는 급전 커넥터와,
    선단에 상기 케이스 계지부에 계지하는 급전 플러그 계지부를 구비한 요동핀을 마련하고,
    상기 급전 플러그를 상기 케이스에 삽입하여, 상기 급전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소켓에 지지될 때에, 상기 요동핀이 상기 활주핀을 밀어넣고, 상기 급전 플러그의 상기 급전 플러그 계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케이스 계지부가 계지하면, 상기 활주핀이 되돌려져서, 상기 요동핀의 주연이 상기 활주핀의 주연에 맞닿아, 상기 급전 플러그와 상기 케이스를 시정(施錠)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핀은, 상기 요동핀의 삽입 방향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장치를 설치한 상기 케이스의 배판은, 개구측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천판은, 개구측으로부터 수평 또는 내측을 향하여 상행 구배가 되도록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판은, 개구측으로부터 수평 또는 내측을 향하여 상행 구배가 되도록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판은, 개구측으로부터 평행 또는 내측을 향함에 따라 배판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사행(斜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이면서 상기 케이스의 배판보다 개구측에 제1 방수벽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벽은, 개구측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벽과 상기 케이스의 배판과의 사이에 제2 방수벽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벽은, 개구측으로부터 수직 또는 내측을 향하여 경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방수벽의 하단부에 물 빠짐용의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정 장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활주핀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가동 철심과 연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KR1020137008411A 2011-11-18 2011-11-18 충전장치 KR101418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6638 WO2013073049A1 (ja) 2011-11-18 2011-11-18 充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54A KR20130088854A (ko) 2013-08-08
KR101418225B1 true KR101418225B1 (ko) 2014-07-09

Family

ID=4842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411A KR101418225B1 (ko) 2011-11-18 2011-11-18 충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61216B2 (ko)
JP (1) JP5567695B2 (ko)
KR (1) KR101418225B1 (ko)
CN (1) CN103329363B (ko)
WO (1) WO2013073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4926B2 (ja) * 2011-10-07 2014-06-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充電装置
JP5884699B2 (ja) * 2012-09-28 2016-03-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形電動車両の充電コネクタ収容装置
JP5878457B2 (ja) * 2012-12-13 2016-03-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充電ケーブルロック装置
DE102013112991A1 (de) * 2013-11-25 2015-06-1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Ladestecker zum Laden eines Elektrofahrzeugs
JP6247102B2 (ja) * 2014-01-14 2017-12-13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USD778818S1 (en) * 2014-02-12 2017-02-14 Abb Technology Ag Charging station
USD733923S1 (en) * 2014-02-18 2015-07-07 Maurice Ento July Unit
US11278700B2 (en) * 2015-06-24 2022-03-22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JP6589618B2 (ja) * 2015-12-15 2019-10-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AU2017362894B2 (en) * 2016-11-15 2019-09-19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delivery device with mechanical locking system
WO2018096673A1 (ja) * 2016-11-28 2018-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
WO2018192624A1 (de) * 2017-04-21 2018-10-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baugehäuseanordnung und verfahren zur entriegelung
DE102017215010B4 (de) * 2017-08-28 2022-03-2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dose mit einem in Steckrichtung beweglichen Verriegelungselement
DE102017123207A1 (de) * 2017-10-06 2019-04-11 Kiekert Ag Elektrische Anschlussvorrichtung
WO2019145996A1 (ja) * 2018-01-23 2019-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充放電器、車両充放電システム、充電器及び車両充電システム
CN108990508A (zh) * 2018-08-02 2018-12-14 苏州科瓴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智能机器人系统
DE102018222676A1 (de) * 2018-12-20 2020-06-25 Robert Bosch Gmbh Wechselakkupack für ein akkubetriebenes Gerät mit einer Schutzkappe
CN110370974B (zh) * 2019-07-19 2020-12-22 深圳特来电新能源有限公司 一种防止拔取的可移动电力新能源桩
DE102019212431B3 (de) * 2019-08-20 2020-11-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adedose eines Elektro- oder Hybridfahrzeuges
US11318857B2 (en) 2019-11-01 2022-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hands-free electrified vehicle charging
CN111923763A (zh) * 2020-07-08 2020-11-13 张佰行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
KR102279219B1 (ko) * 2021-03-30 2021-07-19 주식회사 한우리이엔지 충돌 방지기능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CN113555723B (zh) * 2021-06-22 2022-06-17 康思立达(上海)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防水充电枪
KR102703910B1 (ko) * 2022-08-06 2024-09-06 채비(주) 전기차 충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277A (ja) 2009-04-28 2010-11-11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8348B2 (ja) * 1992-12-18 1999-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コネクタ
JPH07192806A (ja) * 1993-12-24 1995-07-28 Yazaki Corp コネクタ構造
US5676560A (en) * 1994-12-01 1997-10-14 Yazaki Corporation Powder feed connector
CN1153409A (zh) * 1995-08-09 1997-07-02 住友电装株式会社 连接器用锁定装置及其在充电连接器和/或高压电缆连接器中的应用
JP3292278B2 (ja) * 1995-12-06 2002-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JP5297967B2 (ja) 2009-10-05 2013-09-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5453040B2 (ja) * 2009-10-13 2014-03-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CN102044891A (zh) * 2009-10-13 2011-05-04 松下电工株式会社 电动汽车用充电装置
JP2011165609A (ja) 2010-02-15 2011-08-25 Tokai Rika Co Ltd 給電プラグのロック構造
JP4915970B2 (ja) * 2010-03-03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CN201674065U (zh) * 2010-04-23 2010-12-15 张家港友诚科技机电有限公司 充电接口的防拔结构
JP5486398B2 (ja) * 2010-05-12 2014-05-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
JP5437908B2 (ja) * 2010-05-17 2014-03-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ラグロック構造
CN201741933U (zh) * 2010-08-19 2011-02-09 南京康尼科技实业有限公司 充电连接器电磁锁锁固机构
JP5645077B2 (ja) * 2011-03-17 2014-12-24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用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9277A (ja) 2009-04-28 2010-11-11 Nitto Electric Works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9898A1 (en) 2013-11-21
WO2013073049A1 (ja) 2013-05-23
CN103329363A (zh) 2013-09-25
JP5567695B2 (ja) 2014-08-06
JPWO2013073049A1 (ja) 2015-04-02
US8961216B2 (en) 2015-02-24
CN103329363B (zh) 2015-11-25
KR20130088854A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225B1 (ko) 충전장치
KR102072121B1 (ko) 냉장고
KR101301631B1 (ko) 로크 장치, 전자 기기 및 로크 방법
US20140111144A1 (en) Charge connector locking apparatus
JP6249756B2 (ja) 充電コネクター用ホルダー
US9145109B2 (en) Motorcycle
JP5502826B2 (ja) コンセント、プラグ、接続装置
CN108271321B (zh) 电基板收纳用壳体
CN106703563B (zh) 车辆用外把手装置
KR20150067310A (ko) 카드 키
JP3569189B2 (ja) 弾球遊技機
JP2017107829A (ja) バッテリ装着器
JP2011124179A (ja) コンセントブロック
KR101285871B1 (ko) 충전커넥터 잠금장치
JP2011101451A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6953174B2 (ja) キャビネット
JPH08299536A (ja) 弾球遊技機の制御基板ケース装置
JP5553401B2 (ja) 自動車用充電装置
JP2013045687A (ja) コンセント
JP2007329144A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102673107B1 (ko) 차량용 콘센트 조립체
US20180101004A1 (en) Door glass welcome system
JP2006081307A (ja) 分電盤
JP6847786B2 (ja) 回路遮断器
JP3487966B2 (ja) 弾球遊技機の制御基板ケース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